KR101861236B1 - 교통사고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사고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236B1
KR101861236B1 KR1020170114814A KR20170114814A KR101861236B1 KR 101861236 B1 KR101861236 B1 KR 101861236B1 KR 1020170114814 A KR1020170114814 A KR 1020170114814A KR 20170114814 A KR20170114814 A KR 20170114814A KR 101861236 B1 KR101861236 B1 KR 10186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information
vehicle
traffic accident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광
장명규
Original Assignee
김영광
장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광, 장명규 filed Critical 김영광
Priority to KR102017011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교통사고 조사 전문가가 현장에 출동하여 조사하는 현장조사 방식을 완전 대체가능한, 사고처리를 온전히 온라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일반인들이라도,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을 실행시키고 나서 어플에서 지시하는 대로만 따라하기만 하면 교통사고 처리가 가능한 유저 중심의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교통사고가 발생한 사고 현장의 운전자나 탑승자 단말(10)이나 현장의 교통사고 목격자(10')의 사고 현장의 교통사고 정보 및 경찰/보험사 조사요원 단말(20)에 의한 현장조사 결과물이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60)을 통해 수집되어지고, 이러한 수집된 정보가 통합관제센터(70)로 전송되어지는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으로서, 차량운행 정보, 현장조사 결과물 및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가 함께 통합됨으로써 의미있는 이벤트 정보를 형성된 후,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60)로 전송되어지고, 모바일 단말(60)의 어플에 의해 단말 자체에 의해 수집된 정보와 재통합되며, 모바일 단말(60)의 어플에 의해 단말 자체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는, 교통사고의 원인과 책임 소재, 그리고 부상의 정도와 피해 규모 등, 교통사고의 재구성이 가능할 정도의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모바일 단말의 어플이 교통 사고 기록의 수집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사고 처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TRAFFIC ACCIDENT}
본 발명은 교통사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교통사고를 신고하고 관계기관에 전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통사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e-TAMS (emergency Traffic Accident Management System) 란, 경찰 또는 사고조사 요원, 운전자, 탑승자, 목격자가 교통사고 현장에서 ICT 기반을 활용한 e-TAM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을 가지고 교통사고 현장의 데이터를 보내면 국가기관 통합 관제센터에 전송이 되어 웹서버에 저장되는 방식을 의미하는 본 발명자가 만들어낸 조어인바, 경찰 또는 사고조사 요원이 입력하는 앱(App)과 일반 운전자, 탁승자, 목격자, 보험조사요원의 사용범위가 구분되며,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지 제21호 교통사고보고서의 항목에 따라 사고일시, 사고장소, 사고유형, 인적요인, 차량파손 부위 등과 차량에 부착된 블랙박스와 연동하여 실시간 처리되는 방식이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2014년에 2,000만대를 돌파하였으며, 자동차 등록대수의 급격한 증가는 필히 교통사고라는 문제점을 동반하였다. 교통사고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예방정책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경찰청 ‘2016교통 사고통계’ 의하면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가 10.1명이고 자동차 1만대 당 사망자가 2.2명으로 OECD국가 31개 국가 중에 28위를 차지를 한다.
2008년에 국토교통부는 보험개발원에 위탁운영 중인 ‘자동차의무보험 가입관리전산망’을 경찰청 ‘교통경찰업무관리시스템(TCS)’에 연계하여, 경찰관이 무보험차량을 단속을 위해서는 운전자에게 보험가입증명서를 요구하거나 ‘보험개발원’, ‘보험회사’ 등에 확인요청 하는 업무처리 불편함을 없애고 당사자의 보험가입 여부에 대해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단속시스템 개선했을 뿐, 현재 교통사고 처리에 근본적인 대응책은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국내에서 운전자가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조치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보면, 첫째, 경찰에 접수.처리된 교통사고의 경우, 도로교통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도로에서 차의 교통으로 인적피해가 발생한 사고이다.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112신고를 통하여 관할지구대의 당직경찰관이나 순찰근무자가 초동 출동하여 교통정리와 사상자 구호 등의 기본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이후 관할 경찰서 사고조사 경찰관이 현장에 출동하여 공식적인 사고처리업무를 수행하는데, 이때 현장에서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지 제21호 서식의 교통사고보고서의 항목’으로 사고 정보를 수작업으로 조사한 다음, ‘교통경찰업무관리시스템(TCS)에 입력하면 수집된 정보는 데이터로 구축되고, 이 교통사고 데이터는 연간단위로 도로교통공단에 제공되어서 도로교통공단에서 구축한 웹사이트인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을 통해 정보를 대외적으로 유관기관 등에 연구 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둘째, 보험사에 사고를 접수한 경우가 있는데, 보험사 조사요원의 초동출장 지연으로 인한 교통정체와 교통사고의 증거자료 미비로 인한 사법기관 소송 분쟁이 수백만 건이 발생되고 있다.
즉, 당사자는, 의료비, 소득의 상실, 간호비, 장례비, 정신적 피해 등의 심리적 비용, 가해차량의 파손, 도로구조물 및 상품 등의 재물의 손괴, 피해차량의 파손, 차량 및 재물파손의 간접손해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도로관서 사고처리비용, 재판비용, 경찰관서 사고처리 비용, 긴급구호 및 보험기관 사고처리비용 등의 공공적 지출 비용이 불필요하게 발생하게 되며, 제3자의 경우에도, 차량 지.정체로 인한 시간과 연료손실, 문병을 위한 시간 및 교통비용, 정신적 피해 등 사회 심리적 약화 등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e-Call(차량긴급 구난체계)이라는 응급사고 처리시스템 정책이 도입되었는바, e-Call(emergency-Call)은 차량운행중, 교통사고 발생시 사고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e-Call 센터로 전송 후, 112, 119 등 긴급구조기관 및 유관기관과 신속하게 연계하여 인명구조 및 사고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이미 유럽 및 러시아에서는 활성화 단계인 서비스이다.
국토교통부는 제7차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을 통해 비상대응체제 고도화 중점 추진과제로 사고 발생 시, 응급사고 처리를 위한 ‘긴급구난 자동전송 시스템’을 도입 추진중이다. 민간에서도 자동차제조사, 이동통신사를 중심으로 e-Call을 포함한 패키지 형태의 서비스 상품을 출시하여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그러나, 이는 자동차 제조사의 경우 신규차량 대상으로 제한되어 있고, 이동통신사-보험사 연계형 상품의 경우 특정 통신사 및 보험사에 가입해야 하는 제한적인 서비스이다.
또한, 연간 약150만대 생산되는 신규차량에만 e-Call 서비스를 도입하면, 기존에 운행 중인 약2,000만대 차량 적용효과의 5% 수준에 그친다는 본질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e-Call(교통사고 긴급통보시스템)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 긴급구난체제 구축사업으로, 차량의 사고발생시 ‘센서’에서 충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신고센터로 사고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써 경제적 분석이나 효과 측면에서 상당수 운전자들이 자발적으로 설치하려는 이용자들이 많지 않아 수요가 적고, 또한 그렇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높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전화 통화를 통한 교통사고 신고 및 실제 현장 출동을 통한 사고처리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0751871호 (명칭: 모바일을 이용한 사고 보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가 제안되었다.
상기 제1 종래기술은, 보험회사에 가입한 고객의 가입자 단말기(10)와, 상기 가입자 단말기(10)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회사 서버(20)와, 상기 이동통신회사 서버(20)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보험회사 서버(30)와, 상기 보험회사 서버(30)와 내부통신망으로 연결된 담당자 단말기(40)로 구성된다. 상기 가입자 단말기(10)는 카메라기능, 캠코더 기능, 음성녹음기능, 멀티메일전송기능, GPS(Global Positioning Satellite System)기능 등의 보편적인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PCS, PDA 등으로 키입력부에는 사고알림 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종래기술의 방법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통사고가 발생한 즉시 가입자 단말기(10) 키입력부에 구비된 사고알림버튼을 이용하여 교통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보험회사에 알리게 된다(S100). 이때, 가입자 단말기(10)의 사고알림버튼이 입력되어 전송신호가 출력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회사 서버(20)에 가입자 단말기(10)의 고유번호(ESN)정보가 전송되고 이를 통해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가입되어 있는 보험회사가 확인되어, 해당 보험회사 서버(30)로 고객의 주민등록번호가 전송된다. 상기 보험회사 서버(30)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전송된 고객의 주민등록번호를 확인하여 보험회사에 가입된 고객임을 확인하고, 가입된 고객의 세부정보를 확인하여 고객이 현재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의 사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한 모바일의 사양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션플랜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절한 액션플랜을 선택하고 고객의 가입자 단말기(10)로 문자메세지나 음성메세지 또는 메일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액션플랜의 내용을 전송한다(S200).
상기 가입자 단말기(10)에 전송된 액션플랜에 따라 사용자는 가입자 단말기(10)의 키입력부를 구동하여 가입자 단말기(10)가 키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가입자 단말기(10)의 부가기능이 동작되어 증거자료데이터들이 가입자 단말기(10)의 메모리에 기록되는데, 상기 가입자 단말기(10)가 가지는 부가 기능은 카메라기능, 캠코더기능, 음성녹음기능, GPS기능 등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조작해서 사고현장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사고 상대방과의 대화를 녹음하며, 사고 발생장소에 관한 위치정보 등 다양한 증거자료들을 획득하여 메모리에 기록한다(S300). 상기 액션플랜에 따라 수집된 증거자료들은 일단 상기 가입자 단말기(1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송할 증거자료들이 선택되어 전송하라는 입력이 들어오면 전송신호가 출력되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회사 서버(20)로 전송되고, 상기 이동통신회사 서버(20)는 증거자료와 함께 전송되는 가입자 단말기(10)의 고유번호(ESN)를 확인하여 다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등록된 보험회사를 확인하고 전송된 상기 증거자료들과 함께 상기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를 해당 보험회사 서버(30)로 전송한다(S400). 상기 보험회사 서버(30)는 상기 전송된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로 고객임을 확인하고, 전송된 증거자료들을 분석하여 인명 피해가 있는 경우(S500)에는 전송된 위치(GPS)정보를 119에 통보하여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사실이 자동으로 신고되도록 한다(S510). 상기 보험회사 서버(30)에서 전송된 증거자료들을 분석하여 인명피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증거자료 중 액션 플랜에 따라 인명피해 여부가 문자정보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이것으로 판단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음성녹음된 자료를 음성판독과정을 거쳐 인명피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이후에 전송된 증거자료들을 교통사고 증거자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600)한 후 내부 통신망을 통해 담당자 단말기(일반PC, PDA등)로 고객정보 및 전송된 증거자료를 전송하여(S700) 담당자가 사고 현장이나 고객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원활한 사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종래기술에 의하면, 보험회사 고객이 사고 발생 당시 현장에서 보험사에서 제시하는 액션플랜에 따라 모바일을 이용하여 증거자료들을 수집하고 이를 보험회사의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때문에, 증거자료를 유실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객이 별도로 담당자에게 연락하지 않아도 담당자가 사고 발생사실을 인지하고 바로 사고 처리를 할 수 있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사고 처리 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종래기술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고를 전파한다는 기본 개념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액션 플랜이 구체화되지 않았고, 사고나 인명 피해 등의 판단이 어떻게 인간의 판단방법을 거치지 않고 판단되는지 등에 대한 구체화가 없어, 실제로 실시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도 2a는, 제2 종래기술로서의 대한민국 특허 제10-1321415호 (명칭: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보 접수 방법) 에 대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주행정보 접수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b는, 제2 종래기술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사고정보 접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상기 제2 종래기술은, 차량 정보 수집기가 미리 설정된 차량진단항목을 통해 차량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중에 차량의 이상이 발견될 경우 운전자 휴대단말기를 통해 차량고장정보를 보험사로 전달함으로써, 보험사에서 차량 고장에 따른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2 종래기술의 구성에 대하여, 좀더 상술하면, 차량 정보 수집기(100)는, 차량용 블랙박스 및 OBD(On-Board Diagnosis) 단자를 포함하며,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사고 상황 등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고,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사고정보 및/또는 이상이 발견된 항목을 포함하는 차량고장정보를 수집하여 휴대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이때 차량사고정보는, 차량이 받은 충격값, 충격 직전의 차량의 속도값, GPS를 통한 차량의 위치정보, 충격 후 차량이 정지한 시간정보, 사고 시각으로부터 -10초 내지 +20초의 사고영상을 포함한다.
휴대단말기(200)는, 차량 정보 수집기(100)로부터 차량사고정보, 차량고장정보, 차량주행정보와 같은 차량 관련 정보를 전달받고 표시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인 스마트 드라이빙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히며, 차량 정보 수집기(100)로부터 차량 사고에 따른 차량사고정보를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차량사고정보를 운전자정보와 함께 보험사 서버(300)로 전달한다.
또한, 휴대단말기(200)의 스마트 드라이빙 애플리케이션은 차량 정보 수집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충격값과 중대 사고 판단 지수를 비교하여, 중대사고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경미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200)는, 사고 영상을 재생함과 동시에 사고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운전자로부터 사고접수 요청을 받으면, 보험사 서버(300)로 운전자 정보 및 차량사고정보를 전달하며, 경미한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보험사 서버(300)는 보험사에 가입된 회원의 자동차번호, 회원의 인적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10)를 포함하며,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운전자정보 및 차량사고정보를 전달받으면, 콜센터를 통해 운전자와 통화를 시도하고, 사고 처리를 수행한다.
도 1b는 상기 제2 종래기술의 차량 정보 수집기의 내부 구성도인바, GPS모듈(115)은 차량 주행이 시작되면,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현 위치에 대한 좌표 데이터 즉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카메라(116)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충격감지센서(117)는 차량 주행 중에 차량의 외부 충격에 의한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OBD단자(111)는 연결 케이블에 의해 외부 장치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주행 속도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메모리부(113)는 GPS모듈(115)을 통해 수집한 차량의 위치정보와 카메라(116)를 통해 촬영한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하고, 송수신부(114)는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사고정보를 휴대단말기(200)로 전달하고, 차량 고장 발생시 차량고장정보를 휴대단말기(200)로 전달하며, 제어부(110)는 차량 정보 수집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충격감지센서(117)로부터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센서(117)로부터 충격값을 수집하고, GPS모듈(115)로부터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집하여 휴대단말기(200)로 전달하며, 충격이 감지된 시각으로부터 -10초 내지 +20초의 영상을 수집하고, OBD단자(111)를 통해 충격이 감지되기 직전의 속도값과 충격이 감지된 후 차량이 정지한 시간정보를 수집하여 휴대단말기(200)로 전달한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은 역시, 차량의 충격감지센서(117)로부터 충격값을 서버로 전달하고 단말기와 함께 사고를 서버로 알리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교통사고 처리의 현장 출동 방식에 대한 완전 대체는 불가능하다.
한편, 좀더 구체화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1418534호 (명칭: 휴대단말을 이용한 교통사고 관리 시스템 및 교통사고 관리 방법) 의 제3 종래기술은, 휴대단말기의 이용자에게 교통사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교통사고와 관련된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며, 교통사고 현장 도면 작성 및 관리와 신속한 교통사고 처리가 용이한 휴대단말을 이용한 교통사고 관리 시스템 및 교통사고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종래기술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교통사고 현장 관리 시스템(100)은, 휴대단말(102), 정보제공서버(104), DB서버(106)를 포함한다.
휴대단말(102)은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를 실행 및 수행하도록 제공하되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카메라, GPS 등이 내장되며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를 실행하여 휴대단말(102)의 디스플레이창에 활성화시키고,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를 작동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정보제공서버(104)로 업로드 및 요청(Request)을 하고, 정보제공서버(104)로부터 교통사고 관련 데이터의 처리결과 및 처리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받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그리고,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는 작성된 교통사고 현장 도면을 정보제공서버(104)에 업로드 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는 교통사고 발생시 교통사고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교통사고 현장에 대한 도면을 작성하고, 작성된 도면을 정보제공서버(104)로 전송하는 사고 접수부(110), 교통사고 리스트 조회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고접수부(110)는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를 이용해 교통사고 현장 도면을 작성하기 위한 것으로, 사고에 대한 임의의 사고접수 번호가 부여되며, 실시간으로 날짜 및 시각 정보가 제공된다.
이러한, 사고접수부(110)는 날짜 및 시각 설정모듈(111), 사고장소 지정 모듈(112), 과실도표데이터 지정 모듈(113), 사진첨부모듈(114), 현장약도 작성 모듈(115) 정보전송모듈(116)로 구성된다.
도 3b를 참고하여, 상기 제3 종래기술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교통사고 관리 시스템의 교통사고 관리 방법(200)을 설명하면, 휴대단말(102)에서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를 실행하여 휴대단말(102)의 디스플레이창에 활성화시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 실행 단계(S210), 휴대단말(102)에서 교통사고 현장 도면을 작성하는 교통사고도면작성 단계(S220), 휴대단말(102)에서 작성된 교통사고 현장 도면과 이에 대한 데이터를 정보제공서버(104)에 업로드 및 저장하는 정보전송 단계(S230), 정보제공서버(104)와 연동된 경찰서, 손해보험사의 DB서버(106)에 정보제공서버(104)에 저장된 교통사고 현장 도면과 이에 대한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교통사고 접수를 수행하는 사고접수 단계(S240), 휴대단말(102)을 이용하여 정보제공서버(104)에 저장된 교통사고 현장 도면과 이에 대한 데이터를 조회하는 조회 단계(S250)를 포함한다.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 실행 단계(S210)는, 휴대단말(102)에서,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를 실행하며, 휴대단말(102)의 디스플레이창에 활성화시킴으로써,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정보제공서버(104)로 교통사고 관련 데이터를 업로드 및 요청(Request)을 하고, 정보제공서버(104)로부터 처리결과 및 처리결과에 따른 교통사고 관련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계를 수행할 수가 있다.
교통사고 도면 작성 단계(S220)는, 휴대단말(102)에서 교통사고 어플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고접수부(110)를 통해 교통사고 현장 도면을 작성 및 스케치하기 위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 도면 작성단계(S220)는 날짜 및 시각 설정단계(S221), 장소 지정단계(S222), 과실도표데이터 지정단계(S223), 촬영 및 첨부단계(S225), 스케치 단계(S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종래기술은, 상기 제1 및 제2 종래기술에 비해, 좀더 구체적이기는 하다. 그러나, 여전히 유저의 숙련도에 의존하여 신고가 이루어져야 하며, 어플 역시 사용이 복잡하여, 경찰관이나 교통사고처리 담당자와 같은 어지간한 숙련자가 아니고서는 사고를 당한 현장에서 정신이 없는 상태에서 직접 사고 당사자가 이를 이용하여 사고를 신고하고 필요한 사고 정보를 업로드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종래기술보다 좀더 발전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34849호 (명칭: 스마트폰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사고 처리 방법) 와 같은 것이 있다.
상기 제4 종래기술은,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처리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100)와 차량 탑승자가 소지한 스마트폰(200) 및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사고 정보를 전달받는 보험사 서버(300)로 구성된다.
블랙박스(100)는 차량의 사고를 감지하고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 이벤트 정보와 사고 영상을 생성하며, 스마트폰(200)과 무선으로 연동하기 위해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폰(200)은, 핫 스팟 및 개방형 AP로서 기능할 수 있어 블랙박스(100)와 무선 연결되어 블랙박스(100)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 블랙박스(100)에서 생성한 사고 이벤트 정보와 사고 영상을 처리하고, 상기 사고 이벤트 정보를 보험사 서버(300)로 전송하며, 또한 보험사의 요청에 따라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보험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보험사 서버(300)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전송된 사고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사고의 심각성에 대한 사고 레벨을 판단하고, 상기 사고 레벨에 따라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스마트폰(200)으로 요청하여 제공받는다.
나아가서 차량 외부에 위치되며, 다수의 차량에 대한 사고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서버(4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블랙박스(100) 중의 사고판단부(110)는, 가속 센서 등을 포함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사고 이벤트를 생성하며, 영상 촬영부(130)는 카메라 등을 포함하여 항시 또는 운행중이나 사고 이벤트 발생시에 영상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며, 영상 처리부(150)는 사고판단부(110)에서 생성한 사고 이벤트 정보나 영상 촬영부(130)에서 생성한 사고 영상 정보를 처리하며, 상황에 따라서는 스마트폰(200)의 핫스팟 또는 개방형 AP 기능을 통해 차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외부 보험사 서버(300)로 제공하거나 데이터 저장 서버(4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200)은, 핫스팟 또는 개방형 AP 기능을 수행하여 블랙박스(100)를 보험사 서버(300)에 연결시키는 통신 매개체가 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고처리 어플리케이션(250)이 탑재되어, 사고처리 어플리케이션(250)이 블랙박스(100)와 무선 연결되어 블랙박스(100)에서 생성한 사고 이벤트 정보와 사고 영상을 처리하고, 상기 사고 이벤트 정보를 보험사 서버(300)로 전송하며, 보험사의 요청에 따라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보험사 서버(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블랙박스(100)가 차량의 사고를 감지(S10)하고 이에 대한 사고 이벤트 정보와 사고 영상을 생성(S30)하여 무선 연결된 스마트폰(200)에 전송(S50)하면, 스마트폰(200)은 전송된 사고 이벤트 정보와 사고 영상을 저장하거나 데이터 저장 서버(400)에 전송(S110)한다.
데이터 저장 서버(400)는 상기 사고 이벤트 정보와 사고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S130)하고 이에 대한 업로드 주소를 생성(S150)하여 상기 업로드 주소를 스마트 폰(200)에 전송(S170)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은 상기 사고 이벤트 정보를 해당 보험사 서버(300)로 전송(S210)하여 차량 사고 발생을 보험사에 통지하면, 보험사 서버(200)는 상기 사고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사고의 심각성에 대한 사고 레벨을 판단(S230)하여, 상기 사고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스마트폰(200)으로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S250)한다.
그러면 스마트폰(200)은 보험사 서버(300)로부터의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업로드 주소에 접속(S310)하여 상기 사고 영상에서 사고 정지 이미지를 추출(S330)하고, 상기 사고 정지 이미지와 업로드 주소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생성(S350)하여 보험사 서버(300)로 전송한다.
따라서, 보험사 서버(300)는 전송된 상세 정보를 통해 사고 경위와 심각성 정도 및 가해자, 피해자 등 다양한 사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4 종래기술 역시, 단순히 블랙박스의 영상을 이용한다는 점에 있어서만 장점이 있을 뿐, 블랙박스가 촬영하지 못하는 사고 영상 (예를들면, 타이어 스키즈 마크나 파손 부위의 촬영) 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보를 주지 못하며, 이러한 정보를 제외하고서는 일반적인 교통사고 처리의 현장 출동 방식에 대한 완전 대체는 절대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제5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1599628호 (명칭: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 와 같은 것이 있는바, 상기 제5 종래기술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5a는 제5 종래기술의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b는 제5 종래기술의 모바일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c 내지 도 5e는 제5 종래기술의 모바일단말의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이며, 도 5f는 제5 종래기술의 사고영상 관리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제5 종래기술의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은,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자의 모바일단말(110)이나 블랙박스를 통해 촬영된 교통사고의 영상데이터를 접수하고 이를 사고관련자 및 보험사, 경찰청, 방송국 등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고처리의 객관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단말(110)이나 PC단말(120) 등의 클라이언트단말(100)에 설치된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손쉽게 제보영상으로 접수시킬 수 있어 사고영상의 제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클라이언트단말(100) 및 사고영상 관리서버(2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클라이언트단말(100)은, 사고영상정보를 제보하고자 하는 사용자(제보자)나 상기 제5 종래기술의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을 통해 접수된 사고영상 접수정보를 열람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운용하는 단말로서,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촬영된 사고영상데이터, 사고장소의 위치데이터 및 촬영시간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사고영상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며, 통신망(10)을 통해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다른 제3자들에 의해 접수된 사고영상 접수정보를 화면창에 표시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단말(100)은, 도 5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단말(110)이거나 블랙박스(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수하기 위한 PC단말(120)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110)인 경우, 스마트폰과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구동할 수 있는 휴대단말이며, 통상의 스마트폰과 같이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112), 음성녹음을 위한 마이크(113) 및 각종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8)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단말(110)은 데이터송수신부(111), 카메라(112), 마이크(113), 어플리케이션구동부(114), 사고영상 생성부(115), 메모리(116), GPS모듈(117) 및 디스플레이(118)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11)는 모바일인터넷 등의 통신망(10)을 통해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생성된 사고영상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이며, 상기 카메라(112)는 CCD 또는 CMOS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수단이다.
상기 마이크(113)는 주변의 음성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어플리케이션구동부(114)은 모바일단말(110)에 설치된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각종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이다.
또한, 상기 사고영상 생성부(115)는 상기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카메라(112)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적 구성이며, 상기 메모리(116)는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데이터 및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GPS모듈(117)은 GPS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좌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며, 디스플레이(118)는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포함하여 모바일단말(110)의 구동상태에 따른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도 5c 내지 도 5e에는 상기 제5 종래기술의 모바일단말(110)의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c 내지 도 5e를 참고하면, 모바일단말(110)에 설치된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도 5c에서와 같이 사고영상정보를 생성하거나 열람하기 위한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118)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118)에는 사고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사고영상 촬영버튼(119a)과, 사용자가 촬영한 사고영상을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수시키기 위한 사고영상 접수버튼(119b)과, 사용자가 촬영한 사고영상을 열람하기 위한 촬영영상 열람버튼(119c) 및,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수되어 등록된 각 사고영상 접수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접수영상 열람버튼(119d)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사고영상 촬영버튼(119a)을 선택하면, 모바일단말(110)의 어플리케이션구동부(114)는 자동적으로 카메라(112)를 구동시켜 도 5d에서와 같이 실시간으로 사고현장을 촬영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구동부(114)는 마이크(113)를 함께 구동시켜 사고현장의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영상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GPS모듈(117)을 함께 구동시켜 상기 영상데이터에 GPS위치 좌표데이터 등의 위치데이터가 상기 영상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d에서와 같이, 촬영버튼(119e), 정지버튼(119f) 및 저장버튼(119g) 등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118)에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원하는 사고현장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116)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영상 생성부(115)는 촬영시간을 카운트하여 촬영시작 시각과 촬영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촬영시간데이터를 획득하며, 이를 통해 촬영된 사고영상데이터, 사고장소의 위치데이터(GPS 위치신호) 및 촬영시간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촬영이 완료된 후 촬영영상 열람버튼(119c)을 조작하여 본인이 촬영된 사고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이 완료된 사고영상정보를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수시키기 위해 사고영상 접수버튼(119b)을 선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구동부(114)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8)에 사용자(제보자)의 이름, 연락처, 사고위치 및 사고일시, 접수시키고자 하는 사고영상에 대한 확인창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구동부(114)는 선택된 사고영상정보에 포함된 위치데이터와 촬영시간데이터를 통해 상기 사고위치 및 사고일시에 대한 항목이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동입력된 항목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각 항목들을 입력 및 확인하고 접수요청 버튼(119h)을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구동부(114)는 통신망(10)을 통해 지정된 사고영상정보들을 사고영상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14)는 디스플레이(118) 상에 사고관련 차량의 차량색상이나 차량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확인창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보면서 각 차량의 색상이나 번호판을 확인하여 해당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단말(100)은 PC단말(120)일 수 있는데, 상기 PC단말(120)은 사고영상데이터가 모바일단말(110)이 아닌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에서 촬영된 경우 이를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C단말(120)은 통상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등의 퍼스널컴퓨터와 같이 통신망(10)을 통해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속이 가능하면서 상기 제5 종래기술의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일 설치 구동할 수 있는 단말이다.
통상적으로 블랙박스에서 촬영된 영상은 탈착이 가능한 SD메모리 등의 외장메모리(130)에 저장되는데, 이 블랙박스 메모리(130)를 PC단말(120)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상술한 모바일단말(110)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촬영된 사고영상데이터, 사고장소의 위치데이터 및 촬영시간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이를 사고영상 관리서버(200)로 전송시킬 수 있다.
상기 사고영상 관리서버(200)는, 각 클라이언트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사고영상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열람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서버로서,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통신부(210), 회원관리부(220), 사고영상취합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동일사고그룹 관리부(250), 지명추출부(260) 및, 데이터제공부(27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통신부(210)는, 각 클라이언트단말(100), 후술되는 보험사단말(310), 경찰청단말(320) 및 방송국단말(3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수단이며, 상기 회원관리부(220)는 클라이언트를 제보자 회원으로 가입하고 회원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사고영상취합부(230)는 각 클라이언트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고영상정보를 접수하며 각 회원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며, 동일사고그룹 관리부(250)는 기설정된 동일사고 취급기준에 따라 상기 사고영상정보에 포함된 위치데이터 및 촬영시간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고영상정보를 동일사고별로 그룹핑하여 분류한다.
상기 지명추출부(260)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맵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사고영상정보별로 사고장소의 주소명이나 도로명 등의 사고장소 지명을 추출하며, 상기 데이터제공부(270)는 지명추출부(260)에 의해 추출된 사고장소 지명, 사고일시, 사고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영상 접수정보를 동일사고별로 구분하며 이를 데이터테이블 형태로 가공하여 접속된 각 클라이언트단말(100), 보험사단말(310), 경찰청단말(320), 방송국단말(330)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동일사고 취급기준은 교통사고가 발생한 사고장소와 사고시간을 기준으로 각 사고영상정보를 분류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치로서, 사고발생 위치의 범주(예를 들면 반경 500m, 반경 1km 등)와 사고발생 시간대(±30분, 또는 ± 1시간 등)에 따라 각 사고들을 구분함으로써 동일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영상 접수정보는,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속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사고영상 관련 데이터로서, 상기 사고영상 접수정보에는 사고장소 지명, 사고일시 및 사고영상데이터만이 포함된다.
상술한 클라이언트단말(100) 및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의 구성을 통해, 제3자의 모바일단말(110)이나 블랙박스를 통해 촬영된 교통사고의 사고영상정보를 접수하여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저장하고, 이를 가공하여 사고장소 지명, 사고일시, 사고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영상 접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고관련자 및 보험사, 경찰청, 방송국 등과 함께 공유할 수 있어 사고처리의 객관성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202)은 상기 제5 종래기술의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운용하는 PC등의 단말로서, 클라이언트단말(100)과 같이 통신망(10)을 통해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자단말(202)을 통해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수된 각 사고영상정보의 영상데이터를 열람하면서 사고관련차량들의 차량번호나 차량색상을 확인한 후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확인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영상 관리서버(200)는, 각 클라이언트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사고영상데이터에 표시되는 사고 관련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모자이크 처리하여 보안 사고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안영상 생성부(28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제공부(270)는 일반 클라이언트에게는 상기 보안 사고영상데이터가 포함된 사고영상 접수정보를 제공하되, 기설정된 데이터 접근 기준에 따라 허용된 특정 클라이언트에게는 모자이크 처리되지 않은 원본 사고영상데이터가 포함된 사고영상 접수정보를 제공하도록 동작된다.
또한, 상기 사고영상 관리서버(200)는, 각 클라이언트별로 사고영상정보를 접수한 횟수 또는 접수된 사고영상정보의 공적활용I(예를 들면 사고과실여부 판단에 이용된 경우) 횟수를 기준으로 혜택부여를 위한 가상의 포인트를 부여하고 이를 집계하는 포인트관리부(29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클라이언트(제보자, 열람자) 뿐만 아니라, 차량사고에 대한 사고처리를 위해 사고영상데이터가 필요한 경찰청 및 보험사 또는 사고기사 작성을 위해 사고영상데이터가 필요한 방송국을 대상으로 경찰청단말(320) 및 보험사단말(310), 방송국단말(330)을 통해 사고영상 관리서버(200)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각 기관이 필요로 하는 사고영상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5 종래기술은 비교적, 사고처리를 온라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상세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상기 제5 종래기술 역시, 어디까지나 제보자(사고 당사자나 목격자 등)가 정확한 영상을 제시해 주었을 때만 의미가 있는 것인데, 따라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교통사고 조사 요령에 적합한 영상을 취득하여 제공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기 때문에, 교통사고 양 당사자 간에 합의가 어려운 경우에는, 실제 교통사고 조사 전문가(교통경찰이나 보험사의 사고조사원)가 올 때까지 현장을 그대로 유지하고 기다려야 한다는 점에 별반 차이가 없으며, 이는 교통사고영상 제보 시스템의 장점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것이다.
제1 종래기술: 대한민국 특허 제10-0751871호 (명칭: 모바일을 이용한 사고 보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제2 종래기술: 대한민국 특허 제10-1321415호 (명칭: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보 접수 방법) 제3 종래기술: 대한민국 특허 제10-1418534호 (명칭: 휴대단말을 이용한 교통사고 관리 시스템 및 교통사고 관리 방법) 제4 종래기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34849호 (명칭: 스마트폰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사고 처리 방법) 제5 종래기술: 대한민국 특허 제10-1599628호 (명칭: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존의 교통사고 조사 전문가가 현장에 출동하여 조사하는 현장조사 방식을 완전 대체가능한, 사고처리를 온전히 온라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특히, 교통사고 조사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라도, 특히 교통사고 후에 당황한 상태의 초보 운전자라 할지라도,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을 실행시키고 나서 어플에서 지시하는 대로만 따라하면,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38조에 따른 별지 제21호 서식의 <교통사고보고서> 및 "교통사고조사 기술지원 업무지침" 그리고 '교통안전공단' 산하 '교통안전교육원'의 "사고현장 및 사고차량 조사방법"의 기준에 적합한 교통사고 영상 및 조사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가능함으로 인하여, 기존의 현장 조사 방식을 완전 대체할 수 있는 교통사고 처리가 가능하며, 그것도 관련 법규를 모르는 일반인도 쉽게 조작 가능한 어플을 제공함으로써 유저 중심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은, 교통사고가 발생한 사고 현장의 운전자나 탑승자 단말(10)이나 현장의 교통사고 목격자(10')의 사고 현장의 교통사고 정보 및 경찰/보험사 조사요원 단말(20)에 의한 현장조사 결과물이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60)을 통해 수집되어지도록 지원하고, 이러한 수집된 정보가 통합관제센터(70)로 전송되어지는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서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은, 차량운행 정보, 현장조사 결과물 및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가 함께 통합됨으로써 의미있는 이벤트 정보가 형성되도록 한 후,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60)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60)의 어플에 의해 단말 자체에 의해 수집된 정보와 재통합되도록 하며, 상기 교통사고 처리 방법은, (e) 상기 모바일 단말(60)은 어플 실행을 개시하여, 교통현장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고 교통현황을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23); (f) 상기 (e) 단계 이후, 사고차량운전자/탑승자 단말(10)나 사고차량목격자 단말(10')에 의해 사고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원하거나(S24), 현장조사요원 단말(20)에 의해 현장 조사 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25); 및 (g) 상기 (f) 단계에서 수집된 사고정보를 상기 통합관제센터(70)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어플이 실행되면, 메인화면에서 "사진촬영" 아이콘(700)을 클릭하는 경우, 사고현장 녹화를 진행하도록 지원하고, 녹화가 완료되면, 녹화가 완료되었음을 어플이 알리면서 다음 스틸사진 촬영을 안내하고, 사고 특징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스틸사진을 촬영하도록 지원하되, 녹화 및 스틸사진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추가정보입력"을 안내하는 단계; (E2) 상기 메인화면에서, "음성 기록" 아이콘(700)을 클릭하는 경우, 음성 기록을 진행하도록 지원하고, 음성 기록 후에, 음성기록이 완료되었음을 어플이 알리면서 다음 "추가정보입력"을 안내하는 단계; 및 (E3) 상기 메인화면에서, "텍스트 입력" 아이콘(800)을 클릭하여, 텍스트 입력 모드로 하여 사건 메모를 별도로 진행하도록 지원하거나, "도면 작업" 아이콘(900)을 클릭하여, 전자펜 입력 모드로 하여 사건 메모를 별도로 진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추가 정보에는, 사고 관련자 정보, 사고 환경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를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메모 기능은 사고 녹화나 이미지를 불러와서 진행하되, 사고 이미지나 동영상과 링크되면서도, 상기 메모는 사고 이미지나 동영상과 별개의 파일로 형성되어 원본 사진이나 동영상에 손상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운행 정보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운행기록장치(30) 및 충격센서장치(40)로부터 수집되며, 상기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는, 블랙박스(50) 자체의 카메라 정보 및 GPS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운행 정보가 블랙박스(50) 내의 OBD 단자(53)를 통하여 1차로 블랙박스에서 수집되어지고, 다시 2차로 상기 모바일 단말(60)의 어플에 의해 단말 자체에 의해 수집된 정보와 재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단말(60)은, '사고현장 기록전송부(61)'에 의한 '사고현장 기록전송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제센터(70)는, 교통사고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 및 전송하는 기능을 행하며, 사고정보, 위치정보, 차량정보와 같은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710), 상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부(720), 및 연계 기관에 교통사고를 전파하고 사고처리 피드백을 행하는 정보전송부(7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은, 교통사고가 발생한 사고 현장의 운전자나 탑승자 단말(10)이나 현장의 교통사고 목격자(10')의 사고 현장의 교통사고 정보 및 경찰/보험사 조사요원 단말(20)에 의한 현장조사 결과물이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60)을 통해 수집되어지도록 지원하고, 이러한 수집된 정보가 통합관제센터(70)로 전송되어지는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서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은, 차량운행 정보, 현장조사 결과물 및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가 함께 통합됨으로써 의미있는 이벤트 정보가 형성되도록 한 후,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60)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60)의 어플에 의해 단말 자체에 의해 수집된 정보와 재통합되도록 하며, 상기 교통사고 처리 방법은, (e) 상기 모바일 단말(60)은 어플 실행을 개시하여, 교통현장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고 교통현황을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23); (f) 상기 (e) 단계 이후, 사고차량운전자/탑승자 단말(10)나 사고차량목격자 단말(10')에 의해 사고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원하거나(S24), 현장조사요원 단말(20)에 의해 현장 조사 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25); 및 (g) 상기 (f) 단계에서 수집된 사고정보를 상기 통합관제센터(70)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사고 차량의 주위를 개략적으로 사진촬영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30); 를 적어도 포함하며, (e2) 상기 사고 차량의 파손부위를 사진촬영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50), (e3) 상기 사고차량의 바퀴를 사진촬영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70) 및 (e4) 상기 사고 차량의 주위를 360도 동영상 촬영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90) 중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1) 단계는, (e11) 사고현장의 전후좌우 4방향에서 피사체(사고현장 차량)을 촬영하도록 유도하는 음성 또는 화면 안내를 행하면서 차량의 전후좌우 4방향에서의 선택을 할 수 있는 선택입력창(611,612,613,614)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2); (e12) 유저가 상기 (e11) 단계에서의 선택입력창의 전후좌우 4방향 모드에서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체크하는 단계(S33); (e13) 상기 (e12) 단계에서의 체크 결과, 일정시간 동안 그러한 선택신호가 확인되지 않으면 처음으로 리턴하여 다시 시작하고, 일정시간 내에 그러한 선택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방향 모드로의 사진촬영에 들어가도록, 근거리 사진 모드로의 유도를 행하는 단계(S34); 및 (e14) 상기 (e13) 단계에서의 어플의 유도에 따라, 사진촬영 버튼(616) 혹은 아이콘 터치가 되어 사진을 촬영이 행하여 지도록 지원하는 단계(S3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 이전에, (a) 차량운행 기록장치(30)에서 차량 운행시 각종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단계(S11); (b) 상기 (a) 단계에서 획득된 정보로부터 혹은 독자적으로 차량에 부착된 충격센서장치(40)가 사고로 인식할 만큼의 충격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단계(S12);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 결과, 사고로 인식할 만큼의 충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a) 단계부터 반복수행하고, 사고로 인식할 만큼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발생 전후의 차량운행정보를 추출하고(S13), OBD 단자(53)를 통하여 블랙박스(50)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블랙박스의 해당 기능을 활성화시키게 되는 단계(S14); 및 (d) 상기 블랙박스가 사고발생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60)로 전송하는 단계(S1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f) 단계에서 수집된 사고정보를 선택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6); (g2) 상기 (g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사고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7); (g3) 상기 (g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하나도 선택되지 않았으면 처음으로 리턴하여 다시 반복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라도 선택되었으면, 다시 유저에 의한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8); 및 (g4) 상기 (g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전송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역시 처음으로 리턴하고, 전송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합관제센터(70)으로의 전송을 행하게 되는 단계(S29);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e1) 단계는, (e15) 상기 (e14) 단계 이후, 상기 (e2) 내지 (e4)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행을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7); (e16) 상기 (e1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유저가 상기 (e2) 내지 (e4)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행을 원하는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e2) 내지 (e4)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행을 지원하고(S42-S43), 한편, 상기 (e2) 내지 (e4)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행을 원하는 경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e14) 단계에서 촬영된 사진(611b)의 사진 확인을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단계(S38); (e17) 상기 (e1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사진 확인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e12) 단계로 리턴하고, 유저가 확인을 원하는 사진(611b)을 선택하여 사진 확인을 원하는 경우에는, 사진 출력창(617)에 보다 큰 이미지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사진 편집을 원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텍스트 입력 아이콘(618)이나 그리기 입력 아이콘(619) 혹은 음성 녹음 아이콘(615)을 선택하여 사진 편집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39); (e18) 상기 (e17) 단계 이후, 유저가 선택한 확인을 원하는 사진(611b)을 삭제히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삭제 지원을 하는 단계(S40); (e19) 상기 (e18) 단계 이후, 유저가 추가 촬영을 원하는지 여부를 묻기 위한 선택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유저의 추가촬영 소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1);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e1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추가 촬영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후에 상기 (e2) 내지 (e4)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행을 지원하고(S42-S43), 반면, 추가 촬영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e12) 단계로 리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e13) 단계는, (e131) 상기 (e12) 단계에서 선택된 사진촬영 방향에 맞추어 1차 사진 촬영을 하면서 변수 N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단계(S341); (e132) 상기 (e131) 단계에서 촬영된 사진 정보 중에서, 관심 영역을 탐색하게 되는 단계(S342); (e133) 상기 (e132) 단계에서 탐색한 관심영역에 기초하여 차량의 종류나 제원에 따른 차량의 전체 영역을 탐색 및 추정하는 단계(S343); (e134) 상기 (e133) 단계에서 탐색한 차량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사진의 구도 및 크기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344); (e135) 상기 (e13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적정하다고 판단되면 사진촬영 안내를 하고(S349), 서브루틴을 종료하면서, 프로세스를 상기 (e14) 단계로 이행하고, 차량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사진의 구도 및 크기가 적정치 않다고 판단되면, 촬영 구도 조정을 안내하게 되는 단계(S345); (e136) 상기 (e135) 단계 이후, 재촬영을 하고나서 상기 변수 N의 값을 인크리먼트하는 단게(S346); 및 (e137) 상기 변수 값이 기준값(No)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47),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기 (e112) 단계로 리턴하여 반복 수행하고, 상기 변수 값이 기준값(No)에 도달하였으면 에러를 출력하고(S348), 종료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교통사고 조사 전문가가 현장에 출동하여 조사하는 현장조사 방식을 완전 대체가능한, 사고처리를 온전히 온라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교통사고 조사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라도,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을 실행시키고 나서 어플에서 지시하는 대로만 따라하면, 기준에 적합한 교통사고 영상 및 조사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가능함으로 인하여, 기존의 현장 조사 방식을 완전 대체할 수 있는 교통사고 처리가 가능하다.
즉,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에, 현장에서 손쉽게 핸드폰으로 교통사고 접수, 현장조사, 긴급조치, 사고현장 사진 및 동영상증거(블랙박스 연동)을 ‘국가 관제센터’로 보내게 되며, 실시간 분석한 후, 초동대처 방안부터 ① 경찰 교통사고 조사절차, ② 보험처리 절차를 종합지원하여 국민의 안전을 보호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즉,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현장위치 접수→증거물제공→사고정보전송→긴급구조기관 연계를 통해, 경찰 및 보험사 출동, 병원이송, 사고처리까지 다양한 부처 및 기관의 연계가 가능하고, e-Call 시스템의 센서감지 방식보다 경쟁력이 높으며, 운전자는 즉시 현장사진 및 당사자 간에 각종 증거를 남기고 차량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소송분쟁에서까지 사법기관에서 증거자료로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e-Call 시스템과 비교해서 상당한 예산을 줄이고 국가재원 낭비를 절감하여, 사고 원인의 정확한 분석 제공으로 보상자료, 소송자료 등을 지원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연간 도로교통비용 약 28조5천억원의 10% 이상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바, 각 부처의 분산된 정보시스템 구축과 정부정책방향의 미비로 국가의 소중한 자원인 인명과 재화의 손실 등 경제적 손실을 동반하여 국민 경제적 측면에서 사회적 비용 등을 화폐가치로 환산한 2015년 약28조 5,744억원(경찰청, 2015년도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연간 10% 이상을 e-TAMS 구축으로 줄일 수 있다고 판단(도로교통사고비용은 GDP 1.8%이상 차지)된다.
이외에,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a는, 제1 종래기술의 모바일을 이용한 사고 보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1b는, 제1 종래기술의 모바일을 이용한 사고 보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a는, 제2 종래기술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주행정보 접수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2b는, 제2 종래기술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사고정보 접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는, 제3 종래기술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교통사고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b는, 제3 종래기술의 휴대단말을 이용한 교통사고 관리 시스템의 교통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a는, 제4 종래기술의 스마트폰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4b는 제4 종래기술의 교통사고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a는 제5 종래기술의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b는 제5 종래기술의 모바일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c 내지 도 5e는 제5 종래기술의 모바일단말의 사고영상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5f는 제5 종래기술의 사고영상 관리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예시하여 주는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서 관제 서버시스템의 기능을 예시하여 주는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서 유관 기관의 연결 관계를 예시하여 주는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의 전체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1 단계(4방향 촬영)의 상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2 단계(파손부위 촬영)의 상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3 단계(차량바퀴 촬영)의 상세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4 단계(사고동영상 촬영)의 상세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어플의 실행 초기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1 단계(4방향 촬영)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2 단계(파손부위 촬영)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3 단계(차량바퀴 촬영)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4 단계(사고동영상 촬영)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데이터의 구조 및 다이어그램.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도 11의 S34 단계에 대응되는 사고현황 사진 촬영 안내 피드백 과정의 상세 흐름도.
도 22는 도 21의 차량 영역 탐색 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녹화 및 사진 쵤영의 상세 흐름을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녹음 및 추가 정보 입력의 상세 흐름을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메모 입력의 상세 흐름을 보여주는 제3 변형예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전송 단계의 상세 흐름을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예시하여 주는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서 관제 서버시스템의 기능을 예시하여 주는 구조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서 유관 기관의 연결 관계를 예시하여 주는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1 단계(4방향 촬영)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2 단계(파손부위 촬영)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3 단계(차량바퀴 촬영)의 상세 흐름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4 단계(사고동영상 촬영)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어플의 실행 초기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1 단계(4방향 촬영)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2 단계(파손부위 촬영)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3 단계(차량바퀴 촬영)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제4 단계(사고동영상 촬영)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데이터의 구조 및 다이어그램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교통사고가 발생한 사고 현장의 운전자나 탑승자(10) 및/또는 현장의 교통사고 목격자(10')의 사고 현장의 교통사고 정보 (촬영사진 및 기록물), 경찰/보험사 조사요원(20)에 의한 현장조사 결과물이 차량의 블랙박스(50)의 정보와 함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60)을 통해 수집되어지고, 이러한 수집된 정보가 본 발명에 관한 통합관제센터(e-TAMS)(70)로 전송되어 진다.
이때, 차량에 따라서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차량운행기록장치(30) 및 충격센서장치(40) 등의 차량운행 정보가 블랙박스(50) 내의 OBD 단자(53)를 통하여 수집되어 지고, 아울러 상기 블랙박스 자체의 카메라 모듈(51) 정보 및 GPS 정보와 함께 통합됨으로써 의미있는 이벤트 정보를 형성된 후, 통신모듈(52)을 통해 모바일 단말(60)기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60)의 어플에 의해 단말 자체에 의해 수집된 정보와 재통합되어 진다.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60)의 어플에 의해 단말 자체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는, 단순한 참고용에 그쳐서는 안 되고, 교통사고의 원인과 책임 소재, 그리고 부상의 정도와 피해 규모 등, 교통사고의 재구성이 가능할 정도의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어플은 통상의 어플과 마찬가지로, 앱스토어나 기타 방식에 의해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에 탑재될 수 있어야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모바일 단말(6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여러 기능을 지녀야 하며, 그 중에서도 당연히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사고현장 기록전송부(61)'에 의한 '사고현장 기록전송 기능'이다. 이는, '사고운전자 및 탑승자(10)'에 의한 '기초자료 입력', '사고현장 녹화(동영상 포함)', '사고현장촬영(사진)', '음성녹음', '메모', '서명' 등의 구체적인 동작이 수반되어진다. 참고로, '목격자(10')' 역시, 각자의 스마트폰에 깔린 어플을 통하여 교통사고에 대한 신고가 가능하다. 아울러, '경찰 또는 조사요원'에 의한 '경찰 또는 조사요원 현장조사 및 메모', '서명', '등급별 자료 열람 범위 제한' 등의 기능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데이타 서버 전송기능'이 필요한바, 블랙박스 정보 및 현장자료를 수집하여 수신자나 지정자에게 사고정보 선택 후 전송 및 알람기능이 필요하다.
참고로, '사고환경'이란, 광고물, 노면상태, 날씨, 도로유형, 충돌유형, 교통신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차량현황'이란, 충돌대상, 사고유형, 손상상태, 탑승자, 운전자, 소유자, 사고발생시 상태, 운전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60)은, 이외에도, '긴급구난 서비스부(62)'에 의한 '긴급구난 서비스 기능'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긴급구조알림 서비스'는, SOS 단축으로 긴급 사고대응처리를 행하며, 사망, 부상자 통합콜센터 요원에게 긴급 알리미 기능을 수행하되, 자동으로 위치정보 및 블랙박스정보(OBD 정보 포함)의 사고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모바일 단말(60)은, '사고현황 진행 검색부(63)'에 의한 '사고현황 진행 검색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바, 접수번호에 따라 교통사고 관련 자료를 실시간 상황판으로 표시하는 '실시간 처리확인 기능' 및 사고처리현황 및 부상자, 사망자 등 사고처리(대인 및 대물처리), 분쟁처리 결과 등의 검색을 행하는 '사고자료 검색 기능'을 갖도록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60)은, 이들 기능 외에도, '개인정보 관리부(64)에 의한 '개인정보 관리 기능'을 행하도록 하는바, '일정관리 기능' (사고처리 등 일정관리 및 검색기능), '차량진단기능', '민원처리기능' (담당경찰, 보험사 등), '운행패턴분석 기능' 등을 갖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주체들은, 등급별 아이디 / 패스워드 발급으로 앱(APP)을 실행하되, 당사자 및 이해관계 여부에 따라 그리고 신분에 따라, 앱의 사용범위 및 교통사고 현황 정보에의 액세스 범위가 달라지도록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관한 '통합 관제센터(e-TAMS)'(70)는, 제어 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상기 '통합 관제센터(e-TAMS)'(70)의 기능은, 교통사고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 및 전송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즉, 사고정보, 위치정보, 차량정보, 음성정보, 운행정보, 현장사진, 현장조사,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들 정보를 가공하여 사고판단, 사고표출, 콜백(Call Back), 심각도판단, 긴급구난판단, 등을 행하게 되며, 필요시 연계기관 사고처리(민사 및 형사), 사고처리 피드백(Feedback)을 위해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 관제센터(e-TAMS)'(70)의 기능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정보수집부(710)는, '사고정보수신 프로토콜'에 의해, 사고정보, 위치정보, 차량정보, '문자+동영상+녹음+현장사진+차량정보+블랙박스정보+서명' 과 같은 정보를 수집하고, 다음 정보분석부(720)는, '사고판단 분석프로그램'에 의해 사고판단, 사고표출, 콜백(Call Back), 긴급구난판단과 같은 정보 분석을 행하며, 마지막으로 정보전송부(730)는, '연계/전송 프로그램'에 의해, 연계 기관에 교통사고를 전파하고 사고처리 피드백을 행하게 된다.
참고로, 연계기관으로는, 도 6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토교통부서버(801), 경찰청서버(802), 지자체서버(803)와 접속된 ITS 서버(80), 보험사 서버(81), 보험개발원서버(82), 신호운영서버(83), 소방방제청서버(84), 의료기관서버(85), 법원서버(86), 방송 보도를 위한 언론사와 같은 민간기관서버(87)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합 관제센터(e-TAMS)'는, 통신 프로그램(711), 분석 프로그램(712), 전송 프로그램(713), 연계 프로그램(714)을 실행하는 e-TAMS 관제서버(70)와, 표출 운영단말(751), 관리운영단말(752), 분석운영단말(753)을 포함하는 운영단말 시스템(75), 그리고 웹 인터페이스(74)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현재의 교통처리 방식은, 운전자전화연결-사고유형접수-사고현장출동(경찰/보험사출동)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e-Call 시스템은, 감지센서-차량정보전달-운전자전화연결-사고유형접수-사고현장출동의 순대로 이루어지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e-TAMS 관제서버시스템에 의하면, 이들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의 전체 흐름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량운행 기록장치(30)에서 차량 운행시 각종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S11), 한편 이들 정보로부터 혹은 독자적으로 차량에 부착된 충격센서장치(40)는 사고로 인식할 만큼의 충격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바(S12), 그 정도의 충격이 감지되지 않으면 반복수행하고,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발생 전후의 차량운행정보를 추출하고(S13), OBD 단자(53)를 통하여 블랙박스(50)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블랙박스의 해당 기능을 활성화시키게 되며(S14), 이에 블랙박스는 사고발생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S15), 모바일 단말(6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모바일 단말(60)은 상기 블랙박스로부터의 페어링 방식으로 e-TAMS 어플 실행을 개시할 수 있으나, 사고차량운전자/탑승자(10)나 사고차량목격자(10') 혹은 경찰관이나 보험사 직원과 같은 현장조사요원(20)에 의해 개시되어 질 수도 있다.
즉, 사고차량운전자/탑승자(10)가 e-TAMS 어플 실행을 강제실행하거나(S21), 사고차량목격자(10')가 e-TAMS 어플 실행을 강제실행하거나(S21'), 및/또는 현장조사요원(20)이 e-TAMS 어플 실행을 강제실행하게 되면(S22),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60)은, 교통현장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고 교통현황을 기록하게 된다(S23).
이후, 사고차량운전자/탑승자(10)나 사고차량목격자(10')에 의해 사고정보(사고 기본정보, 위치정보, 차량정보, 음성, 사진)를 수집하거나(S24), 현장조사요원(20)에 의해 현장 조사 정보를 수집하게 되고(S25), 수집된 정보를 선택창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26).
이에 디스플레이된 사고정보가 유저에 의해 하나 이상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7), 하나도 선택되지 않았으면 처음으로 리턴하여 다시 반복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라도 선택되었으면, 다시 유저에 의한 전송 여부를 타진하여(S28), 역시 전송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저가 사고가 났다 하더라도 자체 사고이거나 경미한 사고여서 전송을 원치 않을 수도 있다), 역시 처음으로 리턴하고, 전송을 원하는 경우에는 비로소 e-TAMS 통합관제시스템(70)으로의 전송을 행하게 된다(S29).
한편,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에 의한 e-TAMS 교통사고 처리 방법의 핵심은, 유저가 얼마만큼 신뢰성 있는 교통사고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는가에 그 성패가 달려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에서는, 사고현장의 촬영 방식에 대하여 특히 개선을 가하였는바, 특별히 전문가가 아닌 누구라도 모바일 단말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e-TAMS 어플의 지시대로 하면 충분히 신뢰성 있는 사고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다.
그 일례를,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먼저, 도 10의 S23 단계와 같은 사고 정보 수집 단계를 위한 어플이 실행되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창이 표시(디스플레이)되어 진다.
즉,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60)의 메인 표시창에 사진촬영 아이콘(600), 녹음 아이콘(700), 텍스트 입력 아이콘(800), 도면 작업 아이콘(900)이 표시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메인 표시창 외측의 일측에도 (도 15에서는 하단에), 사진촬영 아이콘(600'), 녹음 아이콘(700'), 텍스트 입력 아이콘(800'), 도면 작업 아이콘(900')이 표시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사고현장 사진촬영 메뉴(600a)와 동시 녹음기능 메뉴(600b), 및 사고현장 동영상촬영 메뉴(600c)와 동시 녹음기능 메뉴(600d)를 포함하며, 보다 상세히는, '사고현장 사진촬영' 메뉴의 부메뉴로는, '1단계-4방향 사진촬영' 메뉴(610), '2단계-파손부위 사진촬영' 메뉴(620), '3단계-사고차량 바퀴(핸들) 사진촬영' 메뉴(630)가 있고, 사고현장 동영상촬영 메뉴의 부메뉴로는 '360도 동영상 촬영' 메뉴(640)가 있다.
이들은, 프로그램 조작을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UI(User Interface) 기능 도입으로 사고대처에 최적의 효과 구현과 촬영단계에 따라 카메라 모드 자동변환 기능을 갖추도록 하여야 바람직하며, 사고 이미지와 별개로 원본 사진에 손상이 없도록 별도로 사진 위에 메모 (텍스트 입력, 스타일러스 e-TAMS App. 펜 사용) 기능으로 사고현장을 생동감 있게 기록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유저가 사진촬영 아이콘(600, 600')을 터치하면, 순서대로 '1단계-4방향 사진촬영'(S30), '2단계-파손부위 사진촬영'(S50), '3단계-사고차량 바퀴(핸들) 사진촬영'(S70) 및 '360도 동영상 촬영'(S90)이 수행되어 지도록 한다. 다만, 이들은 어느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고, 실행 순서를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1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1단계-4방향 사진촬영'(S30) 과정을 상술한다.
상기 '1단계-4방향 사진촬영' 과정은, 유저가 4방향 촬영 아이콘(610)을 터치하면(S30), '1단계-4방향 사진촬영' 확인 과정(S31)을 거쳐 개시되며, 전방, 우방, 후방, 좌방의 4방향에서 사고 현장을 촬영하는 가장 기본적인 사고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먼저, 사고현장의 전후좌우 4방향에서 피사체(사고현장 차량)을 촬영하도록 유도하는 음성 및/또는 화면 안내를 행한다(S32). 일례로 도 1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고지점의 20~30m거리에서 4방향에서 사진 촬영합니다. 반드시 차선, 도로상황, 차선이 노출되도록 촬영합니다." 라는 멘트가 나오도록 하면서 (및/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동시에 화면에는 차량의 전후좌우 4방향에서의 선택을 할 수 있는 선택입력창(611,612,613,614)을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상기 안내에 따라 유저가 전후좌우 4방향 모드에서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체크하는바(S33), 일정시간 동안 그러한 선택신호가 확인되지 않으면 처음으로 리턴하여 다시 시작하고, 일정시간 내에 그러한 선택신호가 확인되면, 일례로 도 16의 (a)에서, '1번'을 선택하면, 좌측하방에 [전방] 이라고 표시되는 식으로, 모드 표시부(611a)에 S33 단계에서 선택된 방향 모드가 표시되면서, 상기 선택된 방향 모드로의 사진촬영에 들어가게 되는바, 역시 사고현장의 20~30m 후방에서 피사체(사고현장 차량)가 중앙에 올 수 있도록 근거리 사진 모드로의 유도를 행한다(S34).
이 역시, 음성 및/또는 화면 안내를 통해 유저로 하여금 수동으로 근거리 모드를 행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차량까지의 거리를 적외선 방식으로 측정하여 거리를 맞추도록 반자동으로 유도할 수도 있고, 혹은 카메라가 현재 화면을 인식하여 거리 및 차량의 위치를 자동으로 맞추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변형예'로서 후술한다.
다음, 사진촬영 버튼(616) 혹은 아이콘을 터치하여 원하는 만큼의 사진을 촬영하게 되며(S35), 촬영된 횟수 만큼의 아이콘이 [전방] 이라는 모드 표시부(611a) 아래에 최소 크기의 사진(611b)으로 표시된다(S36). 혹은 숫자로도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촬영횟수는 사진촬영 버튼(616)을 누르는 횟수만큼 가능하며, 참고로,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전방 모드에서 총 4회의 사진을 촬영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유저가 이전 상태로의 이행 또는 멈춤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기타 동작을 취하여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바(S37), 유저가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원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종료 확인 팝업창(미 도시됨)을 띄워서 확인을 하여(S42), 1단계-4방향 촬영 단계를 종료하면서 도 15의 화면으로 이행하게 된다(S43).
한편, 상기 S37 단계에서 일정시간 내에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원하는 동작을 취하지 않으면, 사진 확인을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바(S38), 유저가 확인을 원하는 사진(611b)을 선택하여 사진 확인을 원하는 경우에는, 사진 출력창(617)에 보다 큰 이미지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사진 편집을 원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텍스트 입력 아이콘(618)이나 그리기 입력 아이콘(619) 혹은 음성 녹음 아이콘(615)을 선택하게 하면서(S39), 이를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일례로, 도 16의 (b) 및 (c)는 텍스트 입력 자판이나 전자펜(619a)을 이용하여 사진에 텍스트를 입력하고 혹은 방향을 도시한 예를 나타내었으며, 경우에 따라 녹음을 하여 녹음파일이 해당 사진과 함께 링크되어 추후 증거 확보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촬영 영상은 직접 증거이고, 텍스트 입력이나 그리기 및 음성 녹음은 유저의 의견에 해당하므로, 이들은 어디까지나 분리가능하여야 하며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어 지도록 한다.
이후, 유저가 해당 사진의 삭제를 원하는 경우, 삭제할 수 있도록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해당 사진에 대한 삭제 및 확인(삭제 취소)이 가능하게 하고(S40), 유저가 추가 촬영을 원하는지 여부를 묻기 위해 "추가" 아이콘이 동시에 상기 S40 단계에서의 팝업창이나 혹은 별도의 후속되는 팝업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추가촬영을 원하는지를 판단하여(S41),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후에 상기 S42 단계로 이행하여 최종적으로 종료 확인 팝업창(미 도시됨)을 띄워서 확인을 하여, 1단계-4방향 촬영 단계를 종료하면서 도 15의 화면으로 이행하게 된다(S43).
반면, 상기 S41 단계에서 추가 촬영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S33 단계로 리턴하는바, 도 16의 (a)에 해당하는 표시창을 다시 디스플레이하여 주고, 유저가 전후좌우 4방향 모드에서 다시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체크하고(S33), 상기 S33 및 S34 단계로 계속 진행한다.
일례로, "1단계-4방향 촬영" 과정 중, [전방] 촬영 모드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상태를 알리는 기능으로 [전방] 글자가 깜빡거리게 되며, [전방] 아이콘 하측의 단추키를 누르고 촬영된 사진을 볼 수 있다. 만약 1번 촬영이 완료되면 깜빡거림이 사라지고, 이제 유저가 S33 단계에서 선택한 촬영 모드 (일테면 2번 촬영 모드, 즉 [좌방] 촬영 모드) 로 넘어가면서, 상기 촬영 모드 아이콘(611a)에 [좌방]이 표시되면서 깜박거리게 된다. 혹은 1번 활영모드(전방 촬영모드) 후에 자동으로 다음 모드인 2번 (즉, [좌방] 모드) 로 넘어가도록 프로그래밍되어질 수도 있다.
아뭏든, 현재 전환된 촬영 모드 (일례로 [좌방] 촬영 모드) 표시가 동시에 깜빡거릴 때에, 2번 촬영위치([좌방] 촬영 위치)에서 사진촬영 버튼(616)을 누르면 누르는 횟수만큼 촬영이 되고, 좌방 모드에서 촬영한 사진이 최소 모드로 표시되어 진다(S35-S36).
역시 S37 단계 내지 S41 단계가 반복되어지고, 2번 촬영모드 ([좌방] 촬영모드) 가 종료되면, 다시 3번 촬영모드 ([후방] 촬영모드) 를, 그리고 이후 4번 촬영모드 ([우방] 촬영모드) 를 진행하게 되는바,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방향에서의 촬영까지 마무리 하면 [1단계-4방향 촬영] 공정이 종료된다.
*********
이제, 도 12 및 도 17을 참조하여, "2단계-파손부위 사진촬영" 과정(S50)을 상술한다.
먼저, 도 15의 초기 화면에서, '2단계-파손부위 사진촬영' 아이콘(620)을 터치하면(S50), '2단계-파손부위 사진촬영' 확인 과정(S51)을 거쳐 개시되며, 사고현장 차량의 파손부위(전방, 측방, 상방) 와 차량 번호판이 함께 나오게 촬영하는 단계이다.
먼저, 피사체(파손부위)(621)가 중앙에 올 수 있도록 유도하고 [파손 사진] 을 촬영하라는 음성 및/또는 화면 안내를 행한다(S52). 일례로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손부위와 함께 차량번호판을 볼 수 있도록 함께 촬영합니다." 라는 멘트가 나오도록 하면서 (및/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동시에 화면에는 차량의 파손부위(전방, 측방, 상방) 촬영을 안내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파손부위 촬영 모드로의 유도를 행한다(S54). 이 역시, 음성 및/또는 화면 안내를 통해 유저로 하여금 수동으로 파손부위 촬영 모드를 행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차량까지의 거리를 적외선 방식으로 측정하여 먼 거리에서 차츰 가까운 거리로의 거리를 맞추도록 반자동으로 유도할 수도 있고, 혹은 카메라가 현재 화면을 인식하여 거리 및 차량의 위치를 자동으로 맞추도록 할 수도 있다.
즉, '2단계-파손부위 촬영' 모드에서는, 파손 부위의 상태(전방, 측방, 상방)에 따라 긁힌 흔적 등을 확대하여 촬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화면을 늘려서 촬영이 가능하고 원하는 대로 축소까지 가능하도록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자료는 사고 당시 차량의 파손 부위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도 하며, 사진촬영 결과에 따라 도 17의 화면의 하단에 파노라마처럼 이미 촬영된 사진(621b)이 하단에 작은 이미지로 생성된다. 또한 원하는 사진을 터치하면 촬영된 사진의 확인 및 삭제를 할 수 있고. 그 외에 사진 원본 위에 [펜입력]과 [텍스트 입력]이 가능하고 원본 이미지는 그대로 보존된다.
더 부연하면, 사진촬영 버튼(616) 혹은 아이콘을 터치하여 원하는 만큼의 사진을 촬영하게 되며(S55), 촬영된 횟수 만큼의 아이콘이 표시창 하단에 최소 크기의 사진(611b)으로 표시된다(S56). 혹은 숫자로도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촬영횟수는 사진촬영 버튼(616)을 누르는 횟수만큼 가능하며, 참고로,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총 10회의 사진(621)을 촬영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유저가 이전 상태로의 이행 또는 멈춤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기타 동작을 취하여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바(S57), 유저가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원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종료 확인 팝업창(미 도시됨)을 띄워서 확인을 하여(S62), 2단계-파손부위 촬영 단계를 종료하면서 도 15의 화면으로 이행하게 된다(S63).
한편, 상기 S57 단계에서 일정시간 내에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원하는 동작을 취하지 않으면, 사진 확인을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바(S58), 유저가 확인을 원하는 사진(621b)을 선택하여 사진 확인을 원하는 경우에는, 사진 출력창(627)에 보다 큰 이미지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사진 편집을 원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텍스트 입력 아이콘(628)이나 그리기 입력 아이콘(629) 혹은 음성 녹음 아이콘(625)을 선택하게 하면서(S59), 이를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일례로, 도 16의 (b) 및 (c) 참조).
이후, 유저가 해당 사진의 삭제를 원하는 경우, 삭제할 수 있도록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해당 사진에 대한 삭제 및 확인(삭제 취소)이 가능하게 하고(S60), 유저가 추가 촬영을 원하는지 여부를 묻기 위해 "추가" 아이콘이 동시에 상기 S60 단계에서의 팝업창이나 혹은 별도의 후속되는 팝업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추가촬영을 원하는지를 판단하여(S61),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후에 상기 S62 단계로 이행하여 최종적으로 종료 확인 팝업창(미 도시됨)을 띄워서 확인을 하여, 2단계-파손부위 촬영 단계를 종료하면서 도 15의 화면으로 이행하게 된다(S63).
반면, 상기 S61 단계에서 추가 촬영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S54 단계로 리턴하는바, 도 17에 해당하는 표시창을 다시 디스플레이하여 주고, 상기 S54 단계 (파손부위 촬영모드 유도 단계) 로 계속 진행한다.
이제, 도 13 및 도 18을 참조하여, "3단계-사고차량 바퀴(핸들) 사진촬영" 과정(S70)을 상술한다.
먼저, 도 15의 초기 화면에서, '3단계-사고차량 바퀴(핸들) 사진촬영' 아이콘(630)을 터치하면(S70), '3단계-사고차량 바퀴(핸들) 사진촬영' 확인 과정(S71)을 거쳐 개시되며, 사고현장 차량 바퀴의 돌아가는 각도(특히 앞바퀴) 및/또는 상대방 차량 블랙박스 유무를 촬영하는 단계이다.
먼저, 피사체(바퀴 및/또는 핸들)(631)가 중앙에 올 수 있도록 유도하고 [바퀴 사진] 을 촬영하라는 음성 및/또는 화면 안내를 행한다(S72). 일례로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고차량의 앞바퀴 및/또는 핸들 돌아가는 각도와 상대방 블랙박스 여부까지 촬영합니다." 라는 멘트가 나오도록 하면서 (및/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동시에 화면에는 사고차량의 앞바퀴 및/또는 핸들 촬영을 안내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바퀴/핸들부위 촬영 모드로의 유도를 행한다(S74). 이 역시, 음성 및/또는 화면 안내를 통해 유저로 하여금 수동으로 바퀴/핸들부위 촬영 모드를 행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혹은 카메라가 현재 화면에서 바퀴를 인식하여 거리 및 차량의 위치를 자동으로 맞추도록 할 수도 있다.
즉, '3단계-사고차량 바퀴(핸들) 사진촬영' 모드에서는, 바퀴/핸들 부위의 상태에 따라 스키즈 마크 등을 확대/축소하여 촬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화면을 늘려서 촬영이 가능하고 원하는 대로 축소까지 가능하도록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자료는 사고 당시 차량의 방향이나 운전 상태 및 차량의 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도 하며, 사진촬영 결과에 따라 도 18의 화면의 하단에 파노라마처럼 이미 촬영된 사진(631b)이 하단에 작은 이미지로 생성된다. 또한 원하는 사진을 터치하면 촬영된 사진의 확인 및 삭제를 할 수 있고. 그 외에 사진 원본 위에 [펜입력]과 [텍스트 입력]이 가능하고 원본 이미지는 그대로 보존된다.
더 부연하면, 사진촬영 버튼(616) 혹은 아이콘을 터치하여 원하는 만큼의 사진을 촬영하게 되며(S75), 촬영된 횟수 만큼의 아이콘이 표시창 하단에 최소 크기의 사진(611b)으로 표시된다(S76). 혹은 숫자로도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촬영횟수는 사진촬영 버튼(616)을 누르는 횟수만큼 가능하며, 참고로,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총 10회의 사진을 촬영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유저가 이전 상태로의 이행 또는 멈춤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기타 동작을 취하여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바(S77), 유저가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원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종료 확인 팝업창(미 도시됨)을 띄워서 확인을 하여(S82), 3단계-사고차량 바퀴(핸들) 사진촬영 단계를 종료하면서 도 15의 화면으로 이행하게 된다(S83).
한편, 상기 S57 단계에서 일정시간 내에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원하는 동작을 취하지 않으면, 사진 확인을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바(S78), 유저가 확인을 원하는 사진(621b)을 선택하여 사진 확인을 원하는 경우에는, 사진 출력창(627)에 보다 큰 이미지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사진 편집을 원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텍스트 입력 아이콘(628)이나 그리기 입력 아이콘(629) 혹은 음성 녹음 아이콘(625)을 선택하게 하면서(S79), 이를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일례로, 도 16의 (b) 및 (c) 참조).
이후, 유저가 해당 사진의 삭제를 원하는 경우, 삭제할 수 있도록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해당 사진에 대한 삭제 및 확인(삭제 취소)이 가능하게 하고(S80), 유저가 추가 촬영을 원하는지 여부를 묻기 위해 "추가" 아이콘이 동시에 상기 S80 단계에서의 팝업창이나 혹은 별도의 후속되는 팝업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추가촬영을 원하는지를 판단하여(S81),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후에 상기 S82 단계로 이행하여 최종적으로 종료 확인 팝업창(미 도시됨)을 띄워서 확인을 하여, 3단계-사고차량 바퀴(핸들) 사진촬영 단계를 종료하면서 도 15의 화면으로 이행하게 된다(S83).
반면, 상기 S81 단계에서 추가 촬영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S74 단계로 리턴하는바, 도 18에 해당하는 표시창을 다시 디스플레이하여 주고, 상기 S74 단계 (사고차량 바퀴(핸들) 사진촬영 유도 모드) 로 계속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도 15 및 도 20을 참조하여, "360도 동영상 촬영" 과정(S90)을 상술한다.
먼저, 도 15의 초기 화면에서, '4단계-360도 동영상 촬영' 아이콘(640)을 터치하면(S90), '4단계-360도 동영상 촬영' 확인 과정(S91)을 거쳐 개시되며, 사고현장 사진 이외에 담지 못하는 동영상을 360도 회전하면서 현장의 생동감을 담을 수 있고 주변의 목격자가 있다면 추후 진술을 할 수 있도록 녹음까지 병행하는 단계이다.
먼저, [360도 동영상] 을 촬영하라는 음성 및/또는 화면 안내를 행한다(S92). 일례로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고차량을 360도 돌면서 주변을 생동감 있게 촬영합니다." 라는 멘트가 나오도록 하면서 (및/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동시에 화면에는 사고차량 주위의 동영상 촬영을 안내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동영상 촬영 모드로의 유도를 행한다(S94). 이 역시, 음성 및/또는 화면 안내를 통해 유저로 하여금 수동으로 360도 동영상 촬영 모드를 행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혹은 카메라가 현재 화면에서 차량을 인식하여 거리 및 차량의 위치를 자동으로 맞추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자료는 스틸 사진으로 담지 못하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교통사고를 재구성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된다.
더 부연하면, 사진촬영 버튼(616) 혹은 아이콘을 터치하여 원하는 만큼의 녹음과 함께 동영상을 촬영하게 되며(S95), 유저가 사진촬영 버튼(616) 혹은 아이콘 터치를 끝내면, 4단계-360도 동영상 촬영 단계를 종료하면서 도 15의 화면으로 이행하게 된다(S99).
참고로,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데이터의 구조 및 다이어그램이다. 교통사고의 당사자들과 사고환경, 사고대상 차량 정보 및 조사자들의 사인과 의견 및 사고의 객관적 자료 등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e-TAMS 교통사고 조사의 사고현장 증거기록의 중요성에 대하여 더욱 상술하면, 성공적인 사고현장 조사는 상당한 양의 기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나, 본 발명에 관한 e-TAMS 앱은 손쉽게 누구나 사용가능하도록 그 사용자 범위를 운전자, 탑승자, 목격자, 조사요원(경찰등)까지 광범위하게 포함하고 있다. 다시 정리하자면, 긴급한 사고현장에서 당황하여 어떻게 조치방법을 모르는 일반운전자들(운전자,탑승자,목격자)을 대상으로, 교통사고와 도로 및 여러가지 종류의 차량에 대하여 전문지식이 있는 교통사고 조사요원(경찰,보험조사원등)으로 구분한다. 교통사고 조사는 사고현장과 사고차량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조사하여 교통사고에 관련된 증거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일련의 가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교통조사 조사단계에서 수집된 자료가 미비하거나, 사진들이 적절하게 촬영하지 않았다면 분쟁의 다툼과 긴급응급조치를 할 수 없다. 살인사건의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하므로, 언제나 사건현장을 다시 조사할 수 있고, 아주 자세하고 완벽하게 자료와 증거들을 수집할 수 있다. 반면에 교통사고 조사는 이와는 정반대의 조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교통사고 조사원(경찰,보험사직원)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사고현장은 이미 많은 차량들과 사람들이 지난간 후이며, 사고분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는 증거들이 이런 차량들이나 사람들에 의하여 훼손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그래서 사고현장에서 차량이 이동되기 전에 사고정보가 훼손된 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운전자, 탑승자, 목격자도 손쉽게 사고현장을 기록할 수 있도록 사진 및 동영상촬영, 녹음, 메모기능으로 정확한 사고조사가 될 수 있도록 누구나 손쉽게 현장사건을 기록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한다. 경찰이나 보험조사요원이 사고지점에 도달하여 교통사고 조사 이전에 기 서버에 전송된 운전자의 사진등 정보를 기초로 최초 조사부터 자세하게 수작업(교통사고조사양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Tablet PC에 설치된 e-TAMS 앱을 이용하여 정확한 기록과 증거를 남길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경찰 또는 조사요원, 운전자 등이 사고처리 현장에서 기초자료, 각종조사 및 증거자료를 e-TAMS 프로그램이 설치된 Tablet 또는 스마트 폰에 입력 후 즉시 관제센터 DB에 전송하여 관제센터 요원이 모니터링 후 사고조치를 간편한 UI 기능으로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사고현장의 긴급한 상황을 고려하여 신속 정확한 데이터를 관제센터에 빠른 시간 내에 수집할 수 있도록 e-TAMS 프로그램 조작이 손쉽게 UI 기능 도입과 사고대처에 운전자, 경찰, 조사요원 등이 누구나 손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e-TAMS 모바일 앱으로 현장에서 관제센터에 자료를 전송하고, GPS와 차량 ICT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사고위를 표시해 줌으로써 사진/음성/동영상/텍스트 등 손쉽게 다양한 자료제공, 각종보고 분석기능 및 GPS와 차량 ICT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사고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경찰청, 보험개발원, 보험회사 등 통합된 연계처리 불가능으로 국가의 소중한 자원인 인명과 재화가 손실되고, 도로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인 소송, 보상문제 등 사회적 비용이 많이 지출되고 있고 이로 인한 도로교통비용은 연간 GDP 1.8% 규모이며 국가예산의 약 4.7%를 해당하는바,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Tablet 활용으로, 우리나라 전체로는 교통사고 비용 연 약2.8조원의 절감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증거자료는 수집, 기록을 통하여 유관기관에 제공되어 법적 분쟁해결, 보상금처리 뿐만 아니라 국가교통계획에 수립, 교통안전교육에 지침을 제공하고, 특히 운전자는 신체적, 금전적 위험에서 사고자의 보호, 합리적인 사고분석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기록함으로써 사법기관, 변호사의 법적 다툼을 결정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운전자의 경우, App 설치시 핸드폰으로 사고현장을 신고하고, 사고현장의 사진, 당사자 인적사항, GPS정보, 블랙박스 Event 영상 등을 전송하면 국가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하여 경찰, 보험사 및 유관기관 연계처리로 유사시 즉각 긴급출동 서비스 뿐만 아니라, 사고원인의 정확히 분석까지 지원하여 보상자료 및 사법기관까지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아울러, e-TAMS 관제센터에 수집된 정보는, 사고당사자의 분쟁해결, 보험보상자료, 의료기관, 사법기관 등 사후 국가차원 활용방안과 국제교류, 협력에 제공될 뿐만 아니라 타 유관기관과 연계가 가능하도록 DB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GPS정보 Event 영상 등을 관제센터의 담당요원이 모니터링, 분석 후 사고여부를 확인한 다음 유사시 즉각 긴급출동 서비스 뿐만 아니라 병원 응급조치에도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상의 제1 실시예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의 흐름은 순서대로 프로그램되어 있어 앱 실행과 동시에 자동으로 실행되어져도 좋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반드시 1단계부터 4단계의 순서대로 차례차례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단계에서도 반드시 그 순서대로, 예컨데 1단계에서 "전방-좌방-후방-우방"의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단계의 순서를 바꾸어서 진행하여도 되며, 혹은 필요치 않거나 촬영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각 흐름의 순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변형예)
이제, 이상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 2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도 11의 S34 단계에 대응되는 사고현황 사진 촬영 안내 피드백 과정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차량 영역 탐색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본 변형예의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각 단계에서의 촬영사진의 적합성을 유저가 스스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앱이 프로그래밍에 의해 자동으로 판단하여 유저에게 정확한 사진 촬영을 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이 더욱 강화된 점이다.
먼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진촬영 방향 모드가 선택되고(S33), 유저가 어느 정도 차량의 위치에 맞추어서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 뷰파인더를 맞추면, 1차 사진 촬영을 하면서 변수 N의 초기값을 설정한다(S341). 이때, 사진 촬영은 정확히 확정된 사진 촬영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분석을 위한 예비적 촬영이다.
이후, 어느 차량이나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며 차량의 종류나 제원이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거의 변함이 없는 차량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관심 영역을 탐색하게 되는바(S342), 차량의 전면이라면 양쪽 헤드라이트를 관심영역으로, 후방이라면 좌우 방향표시등(깜박이)을, 측면이라면 앞뒤 자동차 바퀴를 관심영역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관심영역을 가지고 각 차량의 종류나 제원에 따른 차량의 전체 영역을 탐색 및 추정하고(S343), 이에 따라 차량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사진의 구도 및 크기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바(S344), 적정하면 사진촬영 안내를 하고(S349), 서브루틴을 종료하면서, 프로세스를 도 11의 S35 단계로 이행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사진의 구도 및 크기가 적정치 않다고 판단되면, 촬영 구도 조정을 안내하게 되는바(S345), 음성 및/또는 화면 표시를 통해, "좌측/우측으로 좀더 이동해 주세요" 라든가, "앞/뒤로 좀더 이동해 주세요", 카메라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향해 주세요" 등의 멘트를 함으로써, 유저가 교통사고 사진 촬영에 적정한 구도 및 배율을 잡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후, 재촬영을 하고나서 상기 변수 N의 값을 인크리먼트하고(S346), 상기 변수 값이 기준값(No)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47),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기 S342 단계로 리턴하여 반복 수행하고, 상기 변수 값이 기준값(No)에 도달하였으면 반복해서도 적정한 사진 촬영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에러를 출력하고(S348), 수동으로 전환하면서 이를 유저에게 알리어 강제로 서브루틴을 빠져나와 도 11의 S35 단계로 진행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차량 영역 탐색 단계(S343)는, 본 실시예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단계인바, 이를 도 22를 참조하여 더 상술하면, 먼저 관심 영역에 따라 전처리에 의한 보정을 행하게 된다(S343-1). 즉, 날씨나 시간, 또는 주위환경 등에 따라 야외에서의 촬영은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바, 먼저 차량의 실루엣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심 영역의 생차값을 기준으로 전체 사진의 필터링을 행하도록 한다.
이후, 관심영역 및 차량 실루엣을 바탕으로 차량영역 후보들을 선정하는바(S343-2), 차량이 주위의 구조물과 구분이 잘 되지 않을 경우도 있으며, 최악의 경우 차량의 일부가 파손되어 실제 차량으로 인식될만한 부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몇 가지의 경우로 후보군을 선정하게 된다.
이제, 각 후보군에 대하여, 차량의 각도 조절 및 정규화를 행하게 된다(S343-3).
마지막으로, 차량의 크기 및 중심점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 차량의 유리창이나 손잡이부 등의 세부 대조 작업을 함으로써 차량을 검증하게 되며(S343-5), 이로써 차량의 크기 및 위치를 확정하게 된다. 이후, 바람직한 교통사고 사진촬영 구도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상기 도 21의 S344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상세예에 의하면, 교통사고 사진 촬영에 대하여 경험이 전무한 유저의 경우에, 자동차의 일부만을 촬영하여 전체 구도를 알 수 없게 함으로써 나중에 시시비비를 가릴 때에 도움이 되지 않는 사진을 촬영하거나, 혹은 너무 멀리서 촬영함으로써 차량의 번호판이나 세부 사항이 인식되지 않는 등의 엉뚱한 사진 촬영의 위험성을 최대한 줄이고, 초보의 경우에도 교통사고 증거물로서 적정한 크기 및 구도의 사진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 교통경찰이나 보험사 직원과 같은 전문 조사원이 도착하기 전에도 적정한 사진을 촬영하여 보관 혹은 본 발명의 e-TAMS 서버(70)로 보냄으로써, 사고 현장을 조속히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이제, 이상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녹화 및 사진 쵤영의 상세 흐름을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녹음 및 추가 정보 입력의 상세 흐름을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기록 단계의 메모 입력의 상세 흐름을 보여주는 제3 변형예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처리 방법 중, 사고현황 전송 단계의 상세 흐름을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이다.
본 제2 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은, 제1 실시예의 사진촬영 흐름의 순서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의 편의상, 녹화를 먼저 실행하되, "녹화 - 스틸 사진 촬영 - 음성 기록 - 추가 정보 입력 - 사진 메모 - 전송" 의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도 23의 (a)의 메인화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진촬영" 아이콘(700)을 클릭하여, 사고현장 녹화를 우선 진행하되(도 23의 (b) 참조), 녹화가 진행되거나 종료된 시점에서,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도 23의 (c) 참조), 녹화가 완료되었음을 어플이 알리면서 다음 스틸사진 촬영을 안내하며(도 23의 (d) 참조), 차량 찌그러진 부위나 스키즈 마크 등의 하나 이상의 스틸사진을 촬영하고(도 23의 (e) 참조), 역시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도 23의 (f) 참조), 사진 촬영이 완료되었음을 어플이 알리면서 다음 음성 녹음을 안내하는(도 23의 (g) 참조), 일련의 절차가 개시된다.
이후, 도 24의 (a)의 메인화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성 기록" 아이콘(700)을 클릭하여, 음성 기록을 진행하되(도 24의 (b) 참조), 음성 기록 후에,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도 24의 (c) 참조), 음성기록이 완료되었음을 어플이 알리면서 다음 "추가정보입력"을 안내하며(도 24의 (d) 참조), 텍스트 입력을 통해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바(도 24의 (e) 참조), 추가 정보에는, 운전자, 탑승자, 사상자, 목격자, 등의 관련자 정보; 광도, 노면 상태, 날씨, 도로 유형, 충돌 유형, 교통 신호, 통행로 유형, 등과 같은 사고 환경 정보; 및 충돌 대상, 사고 유형, 손상 상태, 사고 발생시 상태, 사고 발생시 운행 방향, 등의 차량 상태 정보; 를 포함할 수 있다(도 24의 (f) 참조).
추가로, 도 25의 (a)의 메인화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텍스트 입력" 아이콘(800)을 클릭하여, 텍스트 입력 모드로 하여 사건 메모를 별도로 진행하거나(도 25의 (b) 참조), "도면 작업" 아이콘(900)을 클릭하여, 전자펜 입력 모드로 하여 사건 메모를 별도로 진행하되(도 25의 (c) 참조), 메모 기능은 사고 이미지를 불러와서 진행함으로써, 사고 이미지와 링크되어 사고 정보를 더 이해하기 쉽게 하기도 하며, 다만 상기 메모는 사고 이미지와 별개의 파일로 형성되어 원본 사진에 손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록된 사고현황 정보들은, e-TAMS 모바일 앱으로 현장에서 관제 센터로 직접 전송되어 지도록 하는바, 이들은 GPS와 차량 ICT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사고 위치를 지도에 표시해 줌으로써, 사진/음성/동영상/텍스트 등의 정보를 손쉽고 다양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6의 (a)는 e-TAMS 모바일 앱의 초기 화면이고, 도 26의 (b)는 사고 위치를 지도에 표시한 상태의 화면이며, 도 26의 (c)는 사고 정보를 입력한 상태의 모바일 단말의 화면의 일예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변형과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 운전자/탑승자 단말 10' : 목격자 단말
20 : 현장조사요원
30 : 차량운행기록장치 40 : 충격센서장치
50 : 차량 블랙박스 60 : 모바일 단말
70 : 통합관제센터(e-TAMS) 80 : ITS 서버
600,600' : 사진촬영 아이콘 700,700' : 녹음 아이콘
800,800' : 텍스트 입력 아이콘 900,900' : 도면 작업 아이콘

Claims (11)

  1. 교통사고가 발생한 사고 현장의 운전자나 탑승자 단말(10)이나 현장의 교통사고 목격자(10')의 사고 현장의 교통사고 정보 및 경찰/보험사 조사요원 단말(20)에 의한 현장조사 결과물이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60)을 통해 수집되어지도록 지원하고, 이러한 수집된 정보가 통합관제센터(70)로 전송되어지는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서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은,
    차량운행 정보, 현장조사 결과물 및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가 함께 통합됨으로써 의미있는 이벤트 정보가 형성되도록 한 후,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60)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60)의 어플에 의해 단말 자체에 의해 수집된 정보와 재통합되도록 하며,
    상기 교통사고 처리 방법은,
    (e) 상기 모바일 단말(60)은 어플 실행을 개시하여, 교통현장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고 교통현황을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23);
    (f) 상기 (e) 단계 이후, 사고차량운전자/탑승자 단말(10)나 사고차량목격자 단말(10')에 의해 사고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원하거나(S24), 현장조사요원 단말(20)에 의해 현장 조사 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25); 및
    (g) 상기 (f) 단계에서 수집된 사고정보를 상기 통합관제센터(70)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어플이 실행되면, 메인화면에서 "사진촬영" 아이콘(700)을 클릭하는 경우, 사고현장 녹화를 진행하도록 지원하고, 녹화가 완료되면, 녹화가 완료되었음을 어플이 알리면서 다음 스틸사진 촬영을 안내하고, 사고 특징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스틸사진을 촬영하도록 지원하되, 녹화 및 스틸사진 촬영이 종료된 시점에서 "추가정보입력"을 안내하는 단계;
    (E2) 상기 메인화면에서, "음성 기록" 아이콘(700)을 클릭하는 경우, 음성 기록을 진행하도록 지원하고, 음성 기록 후에, 음성기록이 완료되었음을 어플이 알리면서 다음 "추가정보입력"을 안내하는 단계; 및
    (E3) 상기 메인화면에서, "텍스트 입력" 아이콘(800)을 클릭하여, 텍스트 입력 모드로 하여 사건 메모를 별도로 진행하도록 지원하거나, "도면 작업" 아이콘(900)을 클릭하여, 전자펜 입력 모드로 하여 사건 메모를 별도로 진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추가 정보에는, 사고 관련자 정보, 사고 환경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를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메모 기능은 사고 녹화나 이미지를 불러와서 진행하되, 사고 이미지나 동영상과 링크되면서도, 상기 메모는 사고 이미지나 동영상과 별개의 파일로 형성되어 원본 사진이나 동영상에 손상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운행 정보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운행기록장치(30) 및 충격센서장치(40)로부터 수집되며,
    상기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는, 블랙박스(50) 자체의 카메라 정보 및 GPS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운행 정보가 블랙박스(50) 내의 OBD 단자(53)를 통하여 1차로 블랙박스에서 수집되어지고, 다시 2차로 상기 모바일 단말(60)의 어플에 의해 단말 자체에 의해 수집된 정보와 재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60)은, '사고현장 기록전송부(61)'에 의한 '사고현장 기록전송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제센터(70)는, 교통사고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 및 전송하는 기능을 행하며, 사고정보, 위치정보, 차량정보와 같은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710), 상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부(720), 및 연계 기관에 교통사고를 전파하고 사고처리 피드백을 행하는 정보전송부(7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
  4. 교통사고가 발생한 사고 현장의 운전자나 탑승자 단말(10)이나 현장의 교통사고 목격자(10')의 사고 현장의 교통사고 정보 및 경찰/보험사 조사요원 단말(20)에 의한 현장조사 결과물이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60)을 통해 수집되어지도록 지원하고, 이러한 수집된 정보가 통합관제센터(70)로 전송되어지는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에서의 교통사고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교통사고 처리 시스템은,
    차량운행 정보, 현장조사 결과물 및 차량에 부착된 장치의 정보가 함께 통합됨으로써 의미있는 이벤트 정보가 형성되도록 한 후, 통신모듈을 통해 모바일 단말(60)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60)의 어플에 의해 단말 자체에 의해 수집된 정보와 재통합되도록 하며,
    상기 교통사고 처리 방법은,
    (e) 상기 모바일 단말(60)은 어플 실행을 개시하여, 교통현장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고 교통현황을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23);
    (f) 상기 (e) 단계 이후, 사고차량운전자/탑승자 단말(10)나 사고차량목격자 단말(10')에 의해 사고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원하거나(S24), 현장조사요원 단말(20)에 의해 현장 조사 정보를 수집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25); 및
    (g) 상기 (f) 단계에서 수집된 사고정보를 상기 통합관제센터(70)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사고 차량의 주위를 개략적으로 사진촬영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30); 를 적어도 포함하며,
    (e2) 상기 사고 차량의 파손부위를 사진촬영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50), (e3) 상기 사고차량의 바퀴를 사진촬영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70) 및 (e4) 상기 사고 차량의 주위를 360도 동영상 촬영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90) 중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1) 단계는,
    (e11) 사고현장의 전후좌우 4방향에서 피사체(사고현장 차량)을 촬영하도록 유도하는 음성 또는 화면 안내를 행하면서 차량의 전후좌우 4방향에서의 선택을 할 수 있는 선택입력창(611,612,613,614)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2);
    (e12) 유저가 상기 (e11) 단계에서의 선택입력창의 전후좌우 4방향 모드에서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신호를 체크하는 단계(S33);
    (e13) 상기 (e12) 단계에서의 체크 결과, 일정시간 동안 그러한 선택신호가 확인되지 않으면 처음으로 리턴하여 다시 시작하고, 일정시간 내에 그러한 선택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방향 모드로의 사진촬영에 들어가도록, 근거리 사진 모드로의 유도를 행하는 단계(S34); 및
    (e14) 상기 (e13) 단계에서의 어플의 유도에 따라, 사진촬영 버튼(616) 혹은 아이콘 터치가 되어 사진을 촬영이 행하여 지도록 지원하는 단계(S3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전에,
    (a) 차량운행 기록장치(30)에서 차량 운행시 각종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단계(S11);
    (b) 상기 (a) 단계에서 획득된 정보로부터 혹은 독자적으로 차량에 부착된 충격센서장치(40)가 사고로 인식할 만큼의 충격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단계(S12);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 결과, 사고로 인식할 만큼의 충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a) 단계부터 반복수행하고, 사고로 인식할 만큼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발생 전후의 차량운행정보를 추출하고(S13), OBD 단자(53)를 통하여 블랙박스(50)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블랙박스의 해당 기능을 활성화시키게 되는 단계(S14); 및
    (d) 상기 블랙박스가 사고발생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60)로 전송하는 단계(S1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f) 단계에서 수집된 사고정보를 선택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6);
    (g2) 상기 (g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사고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7);
    (g3) 상기 (g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하나도 선택되지 않았으면 처음으로 리턴하여 다시 반복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라도 선택되었으면, 다시 유저에 의한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8); 및
    (g4) 상기 (g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전송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역시 처음으로 리턴하고, 전송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합관제센터(70)으로의 전송을 행하게 되는 단계(S29);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1) 단계는,
    (e15) 상기 (e14) 단계 이후, 상기 (e2) 내지 (e4)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행을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7);
    (e16) 상기 (e1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유저가 상기 (e2) 내지 (e4)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행을 원하는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e2) 내지 (e4)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행을 지원하고(S42-S43), 한편, 상기 (e2) 내지 (e4)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행을 원하는 경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e14) 단계에서 촬영된 사진(611b)의 사진 확인을 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단계(S38);
    (e17) 상기 (e1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사진 확인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e12) 단계로 리턴하고, 유저가 확인을 원하는 사진(611b)을 선택하여 사진 확인을 원하는 경우에는, 사진 출력창(617)에 보다 큰 이미지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사진 편집을 원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텍스트 입력 아이콘(618)이나 그리기 입력 아이콘(619) 혹은 음성 녹음 아이콘(615)을 선택하여 사진 편집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39);
    (e18) 상기 (e17) 단계 이후, 유저가 선택한 확인을 원하는 사진(611b)을 삭제히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삭제 지원을 하는 단계(S40);
    (e19) 상기 (e18) 단계 이후, 유저가 추가 촬영을 원하는지 여부를 묻기 위한 선택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유저의 추가촬영 소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1);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e1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추가 촬영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후에 상기 (e2) 내지 (e4) 단계 중의 어느 하나로의 이행을 지원하고(S42-S43), 반면, 추가 촬영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e12) 단계로 리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13) 단계는,
    (e131) 상기 (e12) 단계에서 선택된 사진촬영 방향에 맞추어 1차 사진 촬영을 하면서 변수 N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단계(S341);
    (e132) 상기 (e131) 단계에서 촬영된 사진 정보 중에서, 관심 영역을 탐색하게 되는 단계(S342);
    (e133) 상기 (e132) 단계에서 탐색한 관심영역에 기초하여 차량의 종류나 제원에 따른 차량의 전체 영역을 탐색 및 추정하는 단계(S343);
    (e134) 상기 (e133) 단계에서 탐색한 차량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사진의 구도 및 크기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344);
    (e135) 상기 (e13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적정하다고 판단되면 사진촬영 안내를 하고(S349), 서브루틴을 종료하면서, 프로세스를 상기 (e14) 단계로 이행하고, 차량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사진의 구도 및 크기가 적정치 않다고 판단되면, 촬영 구도 조정을 안내하게 되는 단계(S345);
    (e136) 상기 (e135) 단계 이후, 재촬영을 하고나서 상기 변수 N의 값을 인크리먼트하는 단게(S346); 및
    (e137) 상기 변수 값이 기준값(No)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47),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기 (e112) 단계로 리턴하여 반복 수행하고, 상기 변수 값이 기준값(No)에 도달하였으면 에러를 출력하고(S348), 종료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처리 방법.
  11. 삭제
KR1020170114814A 2017-09-07 2017-09-07 교통사고 처리 방법 KR10186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14A KR101861236B1 (ko) 2017-09-07 2017-09-07 교통사고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814A KR101861236B1 (ko) 2017-09-07 2017-09-07 교통사고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236B1 true KR101861236B1 (ko) 2018-05-25

Family

ID=6229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814A KR101861236B1 (ko) 2017-09-07 2017-09-07 교통사고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2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4470A (zh) * 2019-03-15 2019-08-02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的防查勘员造假方法、装置、终端及介质
KR20200030298A (ko) 2018-09-12 2020-03-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자동 교통사고 처리 서비스 방법
CN111079506A (zh) * 2019-10-11 2020-04-28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增强现实的信息采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1553268A (zh) * 2020-04-27 2020-08-18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车辆部件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10100884A (ko) * 2020-02-07 2021-08-1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정형화 정보인식기술 및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사고 정보 오차 개선 및 경찰의 교통사고 정보 수집 업무 간소화 장치
KR20230010465A (ko) * 2021-07-12 2023-01-19 도로교통공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사고위치 제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102B1 (ko) * 2016-11-25 2017-08-17 주식회사 오복소프트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102B1 (ko) * 2016-11-25 2017-08-17 주식회사 오복소프트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298A (ko) 2018-09-12 2020-03-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자동 교통사고 처리 서비스 방법
CN110084470A (zh) * 2019-03-15 2019-08-02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的防查勘员造假方法、装置、终端及介质
CN111079506A (zh) * 2019-10-11 2020-04-28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增强现实的信息采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20210100884A (ko) * 2020-02-07 2021-08-1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정형화 정보인식기술 및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사고 정보 오차 개선 및 경찰의 교통사고 정보 수집 업무 간소화 장치
KR102356573B1 (ko) * 2020-02-07 2022-01-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정형화 정보인식기술 및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사고 정보 오차 개선 및 경찰의 교통사고 정보 수집 업무 간소화 장치
CN111553268A (zh) * 2020-04-27 2020-08-18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车辆部件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30010465A (ko) * 2021-07-12 2023-01-19 도로교통공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사고위치 제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574463B1 (ko) * 2021-07-12 2023-09-06 도로교통공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사고위치 제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236B1 (ko) 교통사고 처리 방법
US20190057601A1 (en) Investigation assist device, investigation assist method and investigation assist system
JP6750998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US7881604B2 (en) Image recording device, image managing system, and image recording control program
JP2021176090A (ja) 車載電子機器、サーバ、及びクライアント端末
JP2018061216A (ja) 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情報表示方法
US20140168436A1 (en) License plate integration &amp; communication system
US201401146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Integrated Collection of Data for Use in Incident Reports and Insurance Claims and to Related Methods of Performing Emergency Responder Cost Recovery
US2014018072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verification of insurance information via a game system
US20040105005A1 (en) Networked camera system and a monitoring method thereof
US20080228512A1 (en) Cross-jurisdictional towing administration and data management system
KR101599628B1 (ko)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
JP2018060481A (ja) 誘導システム及び誘導方法
US20190120650A1 (en) Investigation assist system and investigation assist method
US10984254B2 (en) Investigation assist system and investigation assist method
JP201711699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08120971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ck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environmental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mobile device
JP201715702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9080294A (ja) 捜査支援システム及び捜査支援方法
US9641965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aw enforcement
KR101725760B1 (ko)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교통법규위반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25722A (ja) 中古車両の査定システム
KR20150080058A (ko) 차량용 블랙박스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950387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ata collection, exchange, and analysis
EP3579210B1 (en) Securi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