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650B1 - 유아용 대소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대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650B1
KR101860650B1 KR1020160176158A KR20160176158A KR101860650B1 KR 101860650 B1 KR101860650 B1 KR 101860650B1 KR 1020160176158 A KR1020160176158 A KR 1020160176158A KR 20160176158 A KR20160176158 A KR 20160176158A KR 101860650 B1 KR101860650 B1 KR 101860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owl
toilet
coupled
receiv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장교
Original Assignee
정장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교 filed Critical 정장교
Priority to KR102016017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대소변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좌변기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소변기의 형태로 개별 사용 가능한 변기통, 그리고 상기 변기통에 결합되고, 타 구조물에 부착되어 상기 변기통을 타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변기통을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변기통을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고, 고정수단을 통하여 사용 대상의 신체에 맞게 변기통의 위치를 변경 할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변기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대소변기{Chamber Pot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대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여아 및 남아 모두가 대변과 소변을 볼 수 있는 유아용 대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변기는 유아 및 어린 아동의 대소변을 가리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었으며, 대부분 의자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좌변기와 같은 착석 자세에서 유아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유아 변기는 변기 시트와 등받이를 갖춘 의자 형태로, 변기 시트의 중앙부에는 유아의 엉덩이 크기에 맞도록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관통부에 변기통을 끼우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유아 변기는 여아의 경우 대변 및 소변 시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남아의 경우 대변 시에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변 시에는 변기통을 직접 들어 남아에게 도움을 주거나 소변기를 따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소변기를 구비할 필요 없이 여아 및 남아 모두가 대변과 소변을 모두 볼 수 있도록 하는 대소변기가 요구되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93-0002106호 (공개일 1993. 02. 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변 또는 여아의 소변 시에는 변기통을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남아의 소변기로 사용할 때는 본체로부터 변기통을 분리한 후 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변기통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대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대소변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좌변기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소변기의 형태로 개별 사용 가능한 변기통, 그리고 상기 변기통에 결합되고, 타 구조물에 부착되어 상기 변기통을 타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변기통이 결합 가능한 수용부, 그리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등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기통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수용몸체, 그리고 상기 수용몸체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 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수용몸체의 내면에는 상기 수용몸체의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변기통에 부착되어 내측에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 결합부, 그리고 상기 타 구조물에 부착 가능한 흡착수단 및 상기 삽입홈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변기통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변기통에 부착되는 브래킷부, 그리고 상기 브래킷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결합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결합고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측에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타 구조물에 흡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흡착부,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흡착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미리 설정된 길이의 막대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결합부재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길이방향의 일 측을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다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기통은 상기 변기통의 외면에 복수로 구비되어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되고, 상기 변기통의 외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타 구조물에 지지되며, 상기 변기통을 상기 타 구조물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키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제1 결합부의 돌출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변기통을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변기통을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고, 고정수단을 통하여 사용 대상의 신체에 맞게 변기통의 위치를 변경 할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변기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변기통에 부착되는 고리형태의 제1 결합부와, 직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통하여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변기통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2 결합부에 결합하거나, 제2 결합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변기통에 제1 결합부의 돌출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타 구조물에 지지되는 지지블록을 구비하여, 변기통이 본체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변기통을 자립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변기통을 타 구조물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켜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변기통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대소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통이 타 구조물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에 의해 변기통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의 연결부재가 길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의 결합고리와 제2 결합부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통이 수평으로 배치된 타 구조물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대소변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통이 타 구조물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에 의해 변기통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의 연결부재가 길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의 결합고리와 제2 결합부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통이 수평으로 배치된 타 구조물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대소변기(100)(이하 '유아용 대소변기(100)'라 함)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지면에 지지되어 내부에 후술할 변기통(20)을 수용하고, 사용자가 앉거나, 앉은 상태로 등을 기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본체(10)는 내측에 수용홈(11a)이 형성되어 변기통(20)이 결합 가능한 수용부(11)와. 수용부(11)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등지지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기통(20)이 결합된 수용부(11)에 앉은 상태에서 등지지부(13)에 등을 기댄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유아용 대소변기(100)는 변기통(20)을 포함한다.
변기통(20)은 본체(10)에 결합되어 좌변기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소변기의 형태로 개별 사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변기통(20)은 본체(10)의 수용홈(11a)에 수용된 상태로 본체(10)의 외면에 지지되고, 내측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21a)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변기통(20)은 내측에 수용공간(21a)을 형성하고, 본체(10)에 결합되는 수용몸체(21)와, 수용몸체(21)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본체(10)에 결합 시 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턱(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21a)이 형성된 수용몸체(21)의 내면에는 수용몸체(21)의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된 홈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기통(20)의 입구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변기통(20)을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배치시킨 후, 수용공간(21a)으로 소변을 보게 되면, 수용공간(21a)으로 유입된 소변은 중력에 의해 외측으로 함몰된 홈부(211)로 모이게 된다. 또한, 홈부(211)는 수용몸체(21)의 내부에 단차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소변을 볼 경우, 수용몸체(21)의 내벽에 부딪혀 주변으로 비산되는 소변이 변기통(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수용몸체(21) 내부에 단차진 부위는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용공간(21a)에 수용된 소변을 외부로 버리기 위해 변기통(20)을 기울일 경우, 보다 편리하게 수용공간(21a)에 수용된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유아용 대소변기(100)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한다.
고정수단(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통(20)에 결합되고, 타 구조물(200)에 부착되어 변기통(20)을 타 구조물(200)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수단(30)은 변기통(20)에 부착되어 내측에 삽입홈(313a)을 형성하는 제1 결합부(31)와, 타 구조물(200)에 부착 가능한 흡착수단 및 삽입홈(313a)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제1 결합부(31)에 결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변기통(2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통(20)의 외면에 부착되는 브래킷부(311)와, 브래킷부(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삽입홈(313a)이 형성되는 결합고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브래킷부(311)와 결합고리(313)에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각 결합수단에는 정밀한 회전각도의 조절을 위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 가능한 톱니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33)는 삽입홈(313a)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고리(313)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31), 결합부재(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측에 결합부재(331)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임수단(333a)을 구비하여 결합부재(33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33), 타 구조물(200)에 흡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흡착부(335), 그리고 각도조절부(333)로부터 연장되어 흡착부(335)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37)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흡착부(335)는 연결부재(337)와 결합되고, 압력차에 의한 흡착력을 이용하여 타 구조물(200)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는 일반적인 흡착구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기통(20)의 입구가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어있지 않을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333)의 제어를 통하여 결합고리(313)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331)의 회전각도 및 브래킷부(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결합고리(313)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변기통(20)을 사용목적에 적합한 위치로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331)는 결합고리(313)의 일 방향으로만 삽입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재(331)는 미리 설정된 길이의 막대구조로 형성되고, 삽입홈(313a)은 결합부재(331)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결합부재(331)는 길이방향의 일 측을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다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331)에 결합된 결합고리(313)가 결합부재(331)의 타 측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변기통(20)을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일 방향으로만 결합 가능한 구조를 통하여 변기통(20)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37)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37)는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재(337)는 각도조절부(333)에 결합되고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337a)와, 흡착부(335)에 결합되어 가이드 홈에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길이조절부(33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길이조절부(337b)의 외면과 길이조절부(337b)의 외면에 접하는 가이드부(337a)의 내면에는 보다 정밀한 길이조절을 위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 가능한 톱니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변기통(20)에는 변기통(20)을 타 구조물(200)에 지지하는 지지블록(25)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변기통(20)은 변기통(20)의 외면에 복수로 구비되어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되고, 변기통(20)의 외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타 구조물(200)에 지지되며, 변기통(20)을 타 구조물(200)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키는 지지블록(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블록(25)의 돌출길이(L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31)의 돌출길이(L1)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변기통(20)이 지면과 같이 수평으로 배치된 타 구조물(200)에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야 할 경우, 복수의 지지블록(25)을 통하여 타 구조물(2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변기통(20)에서 제1 결합부(31)가 부착된 부위는 주변 외면보다 변기통(20)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 깊이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어, 제1 결합부(31)와 타 구조물(200) 간의 간섭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함몰된 부위와 주변 외면 사이의 연결부위는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결합고리(313) 및 결합부재(331)의 회전 시, 결합고리(313) 및 결합부재(331)와의 간섭을 예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변기통(20)을 본체(10)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변기통(20)을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30)을 통하여 사용 대상의 신체에 맞게 변기통(20)의 위치를 변경 할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변기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변기통(20)에 부착되는 고리형태의 제1 결합부(31)와, 직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통하여 제1 결합부(31)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33)를 구비함으로써, 변기통(20)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2 결합부(33)에 결합하거나, 제2 결합부(33)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변기통(20)에 제1 결합부(31)의 돌출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타 구조물(200)에 지지되는 지지블록(25)을 구비하여, 변기통(20)이 본체(1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변기통(20)을 자립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변기통(20)을 타 구조물(200)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켜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변기통(20)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유아용 대소변기
10. 본체
11. 수용부 11a. 수용홈
13. 등지지부
20. 변기통
21. 수용몸체 21a. 수용공간
211. 홈부
23. 지지턱
25. 지지블록
30. 고정수단
31. 제1 결합부
311. 브래킷부
313. 결합고리 313a. 삽입홈
33. 제2 결합부
331. 결합부재
333. 각도조절부 333a. 조임수단
335. 흡착부
337. 연결부재
337a. 가이드부 337b. 길이조절부
200. 타 구조물

Claims (11)

  1.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좌변기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소변기의 형태로 개별 사용 가능한 변기통, 그리고
    상기 변기통에 결합되고, 타 구조물에 부착되어 상기 변기통을 타 구조물에 고정시키며, 다중위치에서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변기통에 부착되는 브래킷부 및 상기 브래킷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결합고리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 그리고
    상기 타 구조물에 부착 가능한 흡착수단 및 상기 삽입홈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부에 비체결 구조로 결합되고 회전을 통하여 상기 변기통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길이방향의 일 측을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다면체 형상의 막대구조로 형성되고, 이의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삽입홈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결합고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측에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타 구조물에 흡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흡착부,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흡착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유아용 대소변기.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는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변기통이 결합 가능한 수용부, 그리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등지지부
    를 포함하는 유아용 대소변기.
  3. 제1항에서,
    상기 변기통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수용몸체, 그리고
    상기 수용몸체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 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턱
    을 포함하는 유아용 대소변기.
  4. 제3항에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수용몸체의 내면에는
    상기 수용몸체의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된 홈부가 형성되는 유아용 대소변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유아용 대소변기.
  9. 삭제
  10. 제1항에서,
    상기 변기통은
    상기 변기통의 외면에 복수로 구비되어 미리 설정된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되고, 상기 변기통의 외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타 구조물에 지지되며, 상기 변기통을 상기 타 구조물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키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유아용 대소변기.
  11. 제10항에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제1 결합부의 돌출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유아용 대소변기.
KR1020160176158A 2016-12-21 2016-12-21 유아용 대소변기 KR101860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158A KR101860650B1 (ko) 2016-12-21 2016-12-21 유아용 대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158A KR101860650B1 (ko) 2016-12-21 2016-12-21 유아용 대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650B1 true KR101860650B1 (ko) 2018-05-23

Family

ID=6245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158A KR101860650B1 (ko) 2016-12-21 2016-12-21 유아용 대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6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988A (ko) * 2011-07-29 2013-02-06 이보환 좌변기와 소변기로의 사용이 가능한 변기의자
KR200474275Y1 (ko) * 2013-04-04 2014-09-03 주식회사 다인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KR20160031346A (ko) * 2014-09-12 2016-03-22 정민찬 학습용 머리받침대
JP2016524502A (ja) * 2013-05-30 2016-08-18 ジン キム、チュ 乳幼児用ビ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988A (ko) * 2011-07-29 2013-02-06 이보환 좌변기와 소변기로의 사용이 가능한 변기의자
KR200474275Y1 (ko) * 2013-04-04 2014-09-03 주식회사 다인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JP2016524502A (ja) * 2013-05-30 2016-08-18 ジン キム、チュ 乳幼児用ビデ
KR20160031346A (ko) * 2014-09-12 2016-03-22 정민찬 학습용 머리받침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6-524502호(2016.08.18.)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759B2 (en) Chair for personal relief
US8893317B2 (en) Toilet training device
KR101654843B1 (ko)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AU2015100116B4 (en) Child seat
KR20090101477A (ko) 유아용 변기 사용 연습기
KR101860650B1 (ko) 유아용 대소변기
KR200495017Y1 (ko)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JP2013523306A (ja) トイレット・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KR200399753Y1 (ko) 휴대용 좌변기
JP6338888B2 (ja) 補助便座
GB2360938A (en) Multi-functional infant/child seat
KR101327507B1 (ko) 좌우 가변폭 조절 이동식 의자
KR200428121Y1 (ko) 유아용 식탁 의자
KR101463960B1 (ko) 휴대용 변기
KR20140132921A (ko) 폭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변기 의자
KR930002941Y1 (ko) 간이 좌변기
JP2015043847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102083102B1 (ko) 유아용 변기시트
KR102132304B1 (ko) 접이식 유아용 비데
KR200320365Y1 (ko) 분리되는 의자식 아동변기
KR200166119Y1 (ko) 전개 및 이동이 가능한 목욕 및 배변용 의자
KR200320416Y1 (ko) 유아의 좌변기용 의자
KR940002098Y1 (ko) 좌변기의 소아용 발 받침대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KR200240463Y1 (ko) 좌변기 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