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680B1 -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680B1
KR101856680B1 KR1020170152335A KR20170152335A KR101856680B1 KR 101856680 B1 KR101856680 B1 KR 101856680B1 KR 1020170152335 A KR1020170152335 A KR 1020170152335A KR 20170152335 A KR20170152335 A KR 20170152335A KR 101856680 B1 KR101856680 B1 KR 10185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sprinkler
hydran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호진
Original Assignee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전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5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4Pipe-line systems pressuris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에서 배관 계통의 결함으로 인해 유출된 누설부분을 감지함과 아울러 소화설비의 자동 압력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관리실에 구비된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와 연계하여 공동주택 단지 내에 설치된 다수의 가로등이 유문등 기능도 함께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모기에 의한 전염병 예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WATER LEAK DETECTING SYSTEM FOR USE OF FIRE PIPE IN APARTMENTHOUSE}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에서 배관 계통의 결함으로 인해 유출된 누설부분을 감지함과 아울러 소화설비의 자동 압력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관리실에 구비된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와 연계하여 공동주택 단지 내에 설치된 다수의 가로등이 유문등 기능도 함께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모기에 의한 전염병 예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하는 가스관, 송유관, 하수관, 상수도관등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노후화되거나 부식됨에 따라 서서히 소량으로 누수되거나 누설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럴 경우 확인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하여 대량으로 누설되거나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만 사후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을 부담하면서 보수하거나 교체공사를 하여야 한다.
또한, 지하 매설관 신설공사 후 준공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연결부의 누설여부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밀시험을 하거나, 누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압시험을 하여야 하나 수압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배관재 안에 물을 채워넣고 일정한 수압으로 규정된 시간을 경과시킨 후 이상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수압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배관재에 물을 채워 넣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수압이 저하되어 연결부 이상이 확인되더라도 보수할 위치를 별도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투입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누수 감지관을 시공할 경우, 연결부에 육면체로 구성된 구조물 상부에 PE코팅된 감지선 일부를 벗겨 상부에 위치시키고 구조물 하부에 물에 뜨는 재료를 금속 코팅하여 누수발생시 부력으로 밀려 올라가 쇼트를 유발시켜 누수를 확인하는 누수감지 센서를 배관재 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사용하나, 이 방식은 누수감지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일정압력 이상의 수압이 작용하여 고무로 만든 하드커버 상단에 부착된 압력센서를 밀어 올려 물이 누수감지센서까지 올라와야 하기 때문에 상기 하드커버 상호 접촉면과 하드커버와 배관재 외면 접촉면 사이로 누수가 되지 않도록 고무를 이용하여 밀폐시키고 수압으로 하드커버가 이탈되지않도록 여러개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립해야 하므로 자재비와 시공비가 많이 들고, 대형관용일수록 무거워서 취급이 어렵고 완벽하게 수밀을 유지시키는 것이 어려우며 특히 현재의 방법으로는 유체가 누설될 경우 확인할 방법이 없다.
특히, 펌프들이 모두 습기가 많은 지하에 설치됨으로써 펌프들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펌프들이 작동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실제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소방시스템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또한, 대형 발전소의 배관 계통에는 배관의 파단 사고를 막기 위한 지지 구조물 등 고가의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막대한 유지 관리비가 지출되고 있다. 지역 난방용 배관에 노후화로 인해 누설이 발생될 경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야기된다.
이와 같이 고온 고압 배관 계통에 있어서, 배관 결함 위치가 누설 감지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현재 사용되는 고정식 누설 감지기는 많은 양의 누수가 흘러나와 누설 감지기까지 전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누설감지기가 배관과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므로 배관의 결함 위치로부터 많은 양의 누수가 진행되어 감지기까지 전달되어야 누수가 감지됨으로써 배관 누수의 조기 발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소화용수 급수방식은 지하층이나, 건축물의 최저층부에 수조를 설치하고, 가압,급수하는 방식이나, 초고층 빌딩의 급수가압 방식은 초고층부에 소화수조를 설치하고 자연낙차압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는 설계에 의한 시공에서 중력의 법칙에 수직 100m의 소화배관 일 경우 중력의 법칙 0.98kg/cm2을 적용할 경우 대략 배관내의 소화압력(10kg/cm2)의 영향을 받는다. 이때, 소방법적 유효압력 옥내소화전 방사압력(7kg/cm2) 이상이 되며, 120m이상일 경우 소방법적(한국소방검정공사 소화설비 검정형식제품의 최소 12kg/cm2)인 압력이상이 배관이나,기타 밸브, 헤드, 부속류에 영향을 주게 된다. 위의 검정형식제품의 최소 12kg/cm2 이상일 경우 옥내소화전 앵글밸브에 감압밸브를 설치하며, 수평 MAIN 배관에 감압밸브를 사용하나, 감압밸브가 고장이 났을 경우 배관내의 압력은 한계치에 도달하여 각 구성설비 부속(배관나사부분, 스프링클러헤드, 부속류, 밸브이음부)에서 누수되어 2차적인 물적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감압밸브는 사람에게 쉽게 보이지 않는 설비 PIT나 밸브실에 위치하고 있어, 감압밸브 고장 유무를 쉽게확인할 수 없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필히 어느 한곳에 이상이 생겨야 관리자가 일일이 육안점검의 시간적인 피해손실과 보수의 신속한 대응이 늦어진다.
이에 따른 물적인 피해와 동시에 어느 장소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2차적인 물적 피해보다 긴급하게 당초 목적인초기소화의 1차원적인 부분에 필요한 수원의 확보가 어려워 화재발생에 긴급한 대응 부분의 방재 소화에 대한마비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습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알램밸브 2차측의 과압으로 인해 관리자가 매달 1차례씩 정기적으로 스프링클러 TEST BOX의 압력 GAGE나, 알람밸브 2차측 GAGE에서 배관내의 유지압력(12kg/cm2) 이상의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고 배관내 소화수를 드레인 시켜주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23800호(2011.03.14.)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에서 배관 계통의 결함으로 인해 유출된 누설부분을 감지함과 아울러 소화설비의 자동 압력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관리실에 구비된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와 연계하여 공동주택 단지 내에 설치된 다수의 가로등이 유문등 기능도 함께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모기에 의한 전염병 예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수조와, 옥상수조와,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각 층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급수라인과,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각 층에 설치된 소화전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한 소화전 급수라인과, 지하수조로부터 옥상수조로 물을 양수하기 위한 양수용 급수라인과, 상기 급수라인들에 설치되는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와, 상기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수압에 따라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를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클러 급수라인은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지하로 연장배관되는 스프링클러 공급관과, 상기 스프링클러 공급관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는 다수의 스프링클러 분기관과, 상기 스프링클러 분기관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링클러와,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스프링클러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하여 옥상수조와 인접하여 스프링클러 공급관에 차례로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급수펌프, 스프링클러 충압펌프와, 스프링클러 압력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클러 급수펌프 및 스프링클러 충압펌프는 스프링클러 압력탱크의 내부압력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소화전 급수라인은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지하로 연장배관되는 소화전 공급관과, 상기 소화전 공급관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는 다수의 소화전 분기관과, 상기 소화전 분기관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소화전과,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소화전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하여 옥상수조와 인접하여 소화전 공급관에 차례로 설치되는 소화전 급수펌프, 소화전 충압펌프 및 소화전 압력탱크를 가지고, 상기 소화전 급수펌프 및 소화전 충압펌프는 소화전 압력탱크의 내부압력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각 층에 생활용수를 공급하도록 옥상수조로부터 지하까지 연장배관되는 생활용수 공급관 및 상기 생활용수 공급관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는 생활용수 분기관들로 이루어진 생활용수 급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클러 급수라인ㆍ소화전 급수라인ㆍ양수용 급수라인을 이루는 배관으로부터 누출된 유체의 감지인자를 임피던스 변화로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인자에 따라 전기 전도도가 변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센서소자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감지센서부 및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부의 합성 임피던스 파형으로부터 누설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부의 양 끝단에 병렬로 연결된 임피던스 측정부를 갖는 누설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는 상기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의 양측에서 측정된 수압값이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이상 신호를 송신하는 디지털 인디케이터, 상기 디지털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의 수압을 감압시키기 위한 감압 신호를 송신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에 설치되어 감압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여 수압을 감압시키는 모터 오퍼레이팅밸브 및 상기 급수라인들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상기 급수라인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관리실에 설치된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는 질병관리본부 서버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공동주택의 단지내 설치된 가로등은 유문등(4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문등(400)은 상기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컨트롤러(410)가 탑재되고,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망체(442)는 모기들이 출입할 수 있는 망공을 갖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모기유도등(444)이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모기유도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공(446)이 형성되고,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낙하하는 모기를 검출하는 센서(422)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를 유인하는 유도물질(MKO)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되고,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되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고,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구성, 방습성, 내약품성을 갖추기 위해 지르코니아 분말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4.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2.5중량%와, 톨루엔에 용해된 DMAP(dimethylaminopyridine) 2.5중량%와,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2.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5중량%와, 실리콘수지 5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와,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2.5중량%와, 액화무수암모니아 1.5중량%와, SBR(Styrene-Butadiene Rubber)3.5중량%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은 복수개의 누설감지부를 배관 외주면에 설치하여 검출된 임피던스 변화치를 측정하므로써, 누설되기전의 임피던스와 누설후 임피던스차이로서 누설위치 주변의 누설상태를 판단하여 정확한 누설량 및 누설 위치를 검출하여 사전에 누설을 보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재 소화설비 급수라인용 배관들의 압력의 상태를 표시하며, 배관내 과압으로 배관과 옥내소화전 앵글밸브, 스프링클러(밸브, 헤드, 말단)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용 급수라인등의 배관내 압력을 상시에 모니터링하고 배관내의 압력상승에 따른 신속한 제어를 통해 일정한 배관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소방법에 의거한 초기소화설비의 본 목적을 충족시키면서 소화설비의 유연하고 신속한 관리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관리실에 구비된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와 연계하여 공동주택 단지 내에 설치된 다수의 가로등이 유문등 기능도 함께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모기에 의한 전염병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의 배관에 설치된 누수 감지부의 요부 발췌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에 적용되는 누설감지부의 임피던스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의 압력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압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디케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공동주택의 가로등을 유문등으로 활용한 유문등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내부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의 배관에 설치된 누수 감지부의 요부 발췌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에 적용되는 누설감지부의 임피던스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은 지하수조(11)와, 옥상수조(13)와, 상기 옥상수조(13)로부터 각 층에 설치된 스프링클러(23)에 물을 압송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급수라인(2)과, 상기 옥상수조(13)로부터 각 층에 설치된 소화전(33)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한 소화전 급수라인(3)과, 지하수조(11)로부터 옥상수조(13)로 물을 양수하기 위한 양수용 급수라인(4)으로 이루어지며, 각 라인마다 소정위치에 누설된 습기에 의하여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양수용 급수라인(4)은 지하수조(11)와 옥상수조(13)를 서로 연결하는 양수파이프(41)와, 상기 지하수조(11)와 인접하여 양수파이프(41)에 배관되는 양수펌프(42)를 가진다. 따라서 양수펌프(42)를 구동하면 지하수조(11)로부터 양수파이프(41)를 통하여 옥상수조(13)로 물이 지속적으로 양수되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프링클러 급수라인(2)은 옥상수조(13)로부터 지하까지 연장배관되는 스프링클러 공급관(21)과, 상기 스프링클러 공급관(21)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는 다수의 스프링클러 분기관(22)과, 상기 스프링클러 분기관(22)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링클러(23)와, 상기 옥상수조(13)로부터 스프링클러(23)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하여 옥상수조(13)와 인접하여 스프링클러 공급관(21)에 차례로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급수펌프(24), 스프링클러 충압펌프(25) 및 스프링클러 압력탱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클러 급수펌프(24) 및 스프링클러 충압펌프(25)는 스프링클러 압력탱크(26)의 내부압력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프링클러 압력탱크(26)에는 내부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감지기(미도시)가 설치되고, 이 압력감지기는 스프링클러 급수펌프(24) 및 스프링클러 충압펌프(2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 누설 등에 의하여 스프링클러 압력탱크(26)의 압력이 비교적 작게 저하될 경우에는 스프링클러 충압펌프(25)가 구동되고, 반면 스프링클러 압력탱크(26)의 압력이 비교적 크게 저하될 경우에는 스프링클러 급수펌프(24)가 구동됨으로써, 스프링클러 급수라인(2)의 관로압력을 비교적 높게 유지하게 된다.
즉, 압력저하 범위가 설정값으로 설정되어 있어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스프링클러 충압펌프(25)가 구동되고, 그 값보다 큰 설정값에 이르면 스프링클러 급수펌프(24)가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클러 공급관(21)의 지하로 연장된 부분의 하단에는 스프링클러 드레인밸브(2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스프링클러 공급관(21)의 옥상수조(13)로부터의 인출단에는 스프링클러 급수밸브(2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소화전 급수라인(3)은 상기 옥상수조(13)로부터 지하로 연장배관되는 소화전 공급관(31)과, 상기 소화전 공급관(31)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는 다수의 소화전 분기관(32)과, 상기 소화전분기관(32)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소화전(33)과, 상기 옥상수조(13)로부터 소화전(33)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하여 옥상수조(13)에 인접하여 소화전 공급관(31)에 차례로 설치되는 소화전 급수펌프(34), 소화전 충압펌프(35) 및 소화전 압력탱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소화전 급수펌프(34) 및 소화전 충압펌프(35)는 소화전 압력탱크(36)의 내부압력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화전 압력탱크(36)에도 소화전 압력탱크(36)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기(미도시)가 설치되고, 이 압력감지기는 스프링클러 급수펌프(24) 및 스프링클러 충압펌프(2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 누설 등에 의하여 소화전 압력탱크(36)의 압력이 비교적 작게 저하될 경우에는 소화전 충압펌프(35)가 구동하고, 소화전 압력탱크(36)의 압력이 비교적 크게 저하될 경우에는 소화전 급수펌프(34)가 구동됨으로써, 소화전 급수라인(3)의 관로 압력을 비교적 높게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전 공급관(31)의 지하로 연장된 부분의 하단에는 소화전 드레인밸브(38)가 설치되고,소화전 공급관(31)의 옥상수조(13)로부터의 인출단에는 소화전 급수밸브(3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생활용수 급수라인(5)은 옥상수조(13)로부터 지하까지 연장배관되는 생활용수 공급관(51)과, 상기 생활용수 공급관(51)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는 생활용수 분기관(5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생활용수 공급관(51)의 지하로 연장된 부분의 하단에는 생활용수 드레인밸브(54)가 설치되고, 생활용수 공급관(51)의 옥상수조(13)로부터의 인출단에는 생활용수 급수밸브(5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활용수 공급관(51)의 옥상수조(13)로부터의 인출단에도 생활용수 급수밸브(53)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술한 스프링클러 급수라인(2), 소화전 급수라인(3), 지하수조(11)에서 옥상수조(13)으로 물을 급수하는 양수용 급수라인(4), 생활용수 공급관(5)들의 각 라인 소정위치에 다수의 누설감지부(60)을 설치하여 소방배관의 누수를 사전에 검출하고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덧붙여,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지만, 급수펌프(24,34)들 및 충압펌프(25,35)들이 옥상에 설치됨으로써 이것들을 구동하기 위한 조작반도 옥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의 누설 감지를 위해서 감지 인자의 변화에 의해 전기 전도도가 변화하는 세라믹 소자 등과 같은 소형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온 고압 배관 계통과 같이 감시 대상 영역의 길이가 길고,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설치할 장소가 협소하며, 누설 시의 위험을 고려하여 감시자가 직접 접근하기에 열악한 환경에서는, 상기 소형 센서를 직렬로 연결하여 감지 대상부 주위에 설치한 후, 센서의 양단의 임피던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되면, 상기 감지 대상부의 주변 환경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누설 등과 같이 확산하는 성질을 갖는 인자를 감지할 경우에는 배관 주변의 단열재 피복관 내부에 센서 등을 설치하게 되면, 누설 증기가 확산되기 전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미량의 누설도 감지 할 수 있다. 여기서, 단열재 피복관 내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는 개별적인 센서의 신호선을 모두 설치할수 없으므로 직렬로 연결된 센서 열을 사용하면 효율적이다.
즉, 직렬로 연결된 센서 열을 설치 공간이 협소한 설비시설 혹은 가압 중수형 원전의 압력관이나 가압 경수형 원전의 증기 배관 혹은 화학 물질 생산 공장 등의 접근이 어려운 배관 등에 설치하여 임피던스 측정치의 변화를 추적하여 누설량 및 누설 위치 등을 감지 할 수 있게 된다.
도 2b에 따르는 본 발명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에 적용되는 누설감지부의 임피던스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설감지부(60)은 온도, 습도 등과 같은 감지 인자의 변화에 따라 저항이 변화되는 세라믹 센서소자(21a,31a,41a,51a)와, 세라믹 센서소자(21a,31a,41a,51a)와 병렬로 연결된 임피던스 측정부(61)로 구성된다.
누설감지부(60)의 임피던스 측정은 누설감지부(60)의 양단에 임피던스측정부(61)를 병렬로 연결시키고, 그 양단에 전압원(63)을 통해 정전압을 인가하여 누설감지부(60)에서 감지된 인자 변화에 의한 임피던스 파형을 측정하게 된다.
전술한 도 2a와 도 2b에 따르는 본 발명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의 누설감지는, 각 배관(21,31,41,51)들로 이루어진 급수라인(2,3,4,5)의 배관된 외주면에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감지센서(21a,31a,41a,51a) 및 그 양단에 임피던스 측정부(61)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복수개의 감지센서들(21a,31a,41a,51a)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양단에 임피던스측정부(61)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구성으로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 감지센서(21a,31a,41a,51a)를 배관(21,31,41,51)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해서 임의의 위치에서 누설이 발생했을 경우 그 주변의 특정 습도 를 감지하고, 각 감지센서(21a,31a,41a,51a)의 출력신호를 받은 임피던스 측정부(61)에서 각각의 저항 변화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임피던스 변화선도를 통해 누설이 감지된 습도 감지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직렬로 연결되는 각 누설감지부에는 용량이 다른 캐패시터를 연결할 수 있다.
캐패시터 용량의 차이가 작을 경우에는 임피던스 변화선도의 형태를 구별하기가 어려우므로 각각 60배 이상의 용량 차이가 나는 캐패시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긴 배관에는 적절한 감지 효율을 위해누설감지부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나, 캐패시터 용량의 제약으로 인해 모두 다른 캐패시터 용량을 사용하지는 못한다.
때문에, 배관이 정상상태일 경우 센서의 저항에 어떠한 변화도 없을 때의 임피던스 파형도에 대해 누설시 감지센서(21a,31a,41a51a)의 저항이 변화될 때의 임피던스 파형도를 측정하면 감지센서의 저항이 모두 동일하게 감소함이 정상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센서소자(21a,31a,41a,51a)를 구비한 누설감지부(60)에 대한 초기 시공시의 임피던스 변화도를 기준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기본값으로 시공후 누설감지부(6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변화도를 비교 분석하므로써, 누설량 및 누설 위치를 검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누설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자료 분석기 등에 전송하여 누설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의 압력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압밸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디케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은 압력 제어를 위해 급수라인(2,3,4,5)에는 감압밸브(110) 및 알람밸브(120)가 설치된다. 다만, 도 3에서는 양수용 급수라인(4)에 설치된 것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아울러 상기 감압밸브(110) 또는 알람밸브(120) 상에는 디지털 인디케이터(140)가 함께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인디케이터(140)는 감압밸브(110)를 기준으로 예시하자면, 옥상수조(13)와 가까운 1차측과, 상기 제1차측과 대향하는 반대측인 제2차측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인디케이터(140)는 상기 감압밸브(110) 또는 알람밸브(120)를 기준으로 1차측과 2차측의 배관 수압을 측정하며, 측정된 수압값이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이상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디지털 인디케이터(140)에는 정상 상태의 수압값 또는 수압값의 범위가 셋팅되며, 디지털 인디케이터(140)는 이상 유무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상기 측정된 수압값이 기 설정된 수압값 또는 수압값의 범위를 벗어나거나 그 외의 감지 가능한 이상이 발생하면 이와 같은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고 동시에 이상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메인제어부(170)는 지하수조(11) 또는 옥상수조(13) 내의 수량 이상 여부, 소화설비 펌프(190)의 이상 여부, 전실 제연팬의 기동 여부, 절연계통(195)의 이상 여부, 방재설비 풍수해 펌프 기동 여부 또는 층별 배연창의 개폐여부에 관한 정보를 각 측정 감지부로부터 통신중계기(16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중계기(160)는 지하수조(11) 또는 옥상수조(13), 소화펌프(190), 절연계통설비(195), 디지탈인디케이터(140), 모터 오퍼레이팅밸브(150), 급수라인(2,3,3,4,5) 등에서 측정되는 이상 신호를 전달받아, 이상 신호를 RS232 또는 RS485 또는 이더넷방식으로 통신하여 메인제어부(170)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통신중계기(160)를 통하여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감압밸브(110) 및 알람밸브(120)의 수압을 감압시키기 위한 감압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중계기(160)는 상기 감압신호를 모터 오퍼레이팅밸브(MOV:Motor Operating Valve)(150)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터 오퍼레이팅 밸브(150)는 감압밸브(110), 알람밸브(120)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감압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동작(open)하여 수압을 감압시킨다.
한편,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는 메인제어부(170)로부터 급수라인(2,3,3,4,5)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통보받고, 상기 메인제어부(170)에 의해 급수라인들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한다.
또한,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는 공동주택의 관리실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옥상수조(13) 내의 소화수량 이상 여부, 소화설비펌프(190)의 이상 여부, 전실 제연팬의 기동 여부, 절연계통(195)의 이상 여부, 방재설비 풍수해 펌프 기동 여부 또는 층별 배연창의 개폐 여부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85)를 사용하여 와이파이(WIFI), 3G 또는 4G 망을 통하여 상기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에 접속되어 경보상황 문자 메시지 수신, 방재설비 모니터링, 원격제어 또는 경보조회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의 기본적인 급수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수장으로부터 지하수조(11)에 물이 공급됨에 따라 양수펌프(42)를 구동하면 지하수조(11)로부터 양수파이프(41)에 의하여 옥상수조(13)로 물이 양수되어 옥상수조(13)에 물이 지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옥상수조(13)에 저장된 물은 생활용수 공급관(51) 및 각 층으로 분기된 생활용수 분기관(52)들을 통하여 각층으로 공급됨으로써 생활용수로 활용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스프링클러 급수라인(2) 및 소화전 급수라인(3)에는 물이 충전되어 관로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소정의 설정압력에 놓이게 된다.
통상적으로 관로의 말단설정압력은 1.7㎏/㎠ 이상 높은 압력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클러 급수라인(2) 및 소화전 급수라인(3)의 관로압력이 높게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클러 급수라인(2) 및 소화전 급수라인(3)에서 물이 누설되면 관로압력이 비교적 낮게 저하되면 충압펌프(25,35)들이 구동됨으로써 관로의 손실압력을 보상하게 된다.
또한, 관로압력이 비교적높게 저하되면 충압펌프들(25,35)은 구동되지 않고 급수펌프들(24,34)이 구동됨으로써 관로의 손실압력이 보상된다.
따라서, 관로의 압력은 항상 일정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면, 먼저 스프링클러(23)의 작동에 의하여 물이 확산분사됨으로써 소화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스프링클러(23)의 작동에 의하여 물의 배출되면 스프링클러 급수라인(2)의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므로, 이때에는 스프링클러 급수펌프(24)가 구동됨으로써 압력이 보상되면서 스프링클러(23)에 물이 계속 공급되어 소화작업이 자동적으로 계속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소화전 분기관(32)에, 소화전(33)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방호스를 연결한 다음, 소화전 밸브를 열면 소방호스를 통하여 물이 분사되어 소화작업을 수동으로 행할 수 있다.
소화전(33)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소화전 급수라인(3)의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소화전 급수펌프(34)가 구동됨으로써 압력이 보상되면서 소화전(33)에 물이 계속 공급되므로 소화전(33)에 의한 수동 소화작업이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관리실에 설치된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와 질병관리본부 서버를 통신가능하게 연결하고, 질병관리본부 서버에서는 전국의 각 공동주택(예. 아파트)로부터 모기 발생 현황을 수집함으로써 특히, 여름철 모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염병을 포함한 모기에 의한 감염사고를 예방하는 조치를 취함으로써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가로등을 유문등 형태로 전환하고, 이 유문등을 상기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가 관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8 내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유문등(400) 을 가로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문등(400)은 일종의 모기포집기 기능을 수행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통신부 및 카메라와 카운터를 갖춘 컨트롤러(41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410)는 카메라와 카운터를 통해 포집된 모기 이미지와 포집된 모기 갯수를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는 질병관리본부 서버와 통신하며, 질병관리본부 서버는 전국아파트 단위 모기 포집 현황을 통계처리하여 한 해 모기 발생량이나 모기의 종류 등을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내주면에 컨트롤러(410)가 설치되고, 또한 바디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유도망체(442)는 망공이 커 모기 등 벌레들이 출입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가로등 역할을 함께 담당하는 모기유도등(444)이 설치되어 특히, 모기가 쉽게 유인될 수 있도록 된다.
여기에서, 상기 모기유도등(444)은 유도망체(442)의 바닥면 중앙에 고정되며, 점등제어기(미도시)를 더 탑재하여 모기유도등(444)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모기유도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공(446)이 형성되는데,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센서(422)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센서(422)는 초음파센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지만, 물체의 이동을 검출하기 쉬운 적외선센서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가 좋아하는 유도물질(MKO)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된다.
또한,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설치되며, 상술한 컨트롤러(4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살충제분사기(424)는 시중에 시판중인 자동방향제분사기를 응용하여 회로 구성에서 분사시점을 컨트롤러(410)가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설계만 변형된 것이며,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야간에 모기유도등(444)이 점등되면 모기가 모기유도등(444) 쪽으로 유인되어 들어 오게 된다.
그런 다음, 모기는 자신이 좋아하는 유도물질(MKO)의 향 때문에 모기통과공(446)을 거쳐 유도케이스(460)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모기통과공(446)을 통과하는 모기를 센서(424)가 인식하여 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컨트롤러(410)는 살충제분사기(424)를 제어하여 살충제를 분사시킨다.
결국, 모기는 살충제를 맞고 차단판(462) 위로 낙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되고,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되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고,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된다.
때문에, 상기 개폐모터(M)가 컨트롤러(410)의 제어하에 구동되어 드럼(D)이 와이어(W)를 감게 되면 차단판(462)이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열리게 된다.
이렇게 차단판(462)이 개방되면 그 위에 있던 모기 사체는 하방향으로 낙하되며, 바디하우징(430)의 바닥면에 모이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바닥면에는 마개(480)가 조립되어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므로 모인 모기 사체는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외부에 설치되는 관계로 내구성, 방습성, 내약품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지르코니아 분말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4.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2.5중량%와, 톨루엔에 용해된 DMAP(dimethylaminopyridine) 2.5중량%와,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2.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5중량%와, 실리콘수지 5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와,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2.5중량%와, 액화무수암모니아 1.5중량%와, SBR(Styrene-Butadiene Rubber) 3.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지르코니아 분말은 성분간 바인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은 방수성 유기물이기 때문에 지르코니아 분말의 비표면적을 작게 해서 수분이 흡수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접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포타슘실리케이트(Potassium Silicate)는 무기질로서 이물 부착을 억제시키면서 방습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톨루엔에 용해된 DMAP(dimethylaminopyridine)는 경화반응을 촉진하면서 고열팽창을 억제하고 조성물들끼리의 바인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은 반응성이 강한 염소계 물질로서 조성물의 반응 안정화를 위해 첨가되며,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성에 의해 유화물질들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은 내산성과 내약품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성분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며, 실리콘수지는 규소와 산소 결합을 주체로 하는 고분자로서 접착력을 증대시켜 구성성분간 바인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트리에탄올아민은 약알카리성으로서 산도 조절을 위해 첨가되는 완충제이며, 페트롤라툼은 비결정성인 고체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모양의 물질로서 방수 기능이 있어 제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는 계면 부착력을 강화시켜 들뜸,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액화무수암모니아는 방수성과 밀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SBR(Styrene-Butadiene Rubber)은 스티렌과 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합성고무공중합체로서 좋은 접착력과 마모 저항성 및 노화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베이스수지이다.
2: 스프링클러 급수라인 3: 소화전 급수라인
4: 양수용 급수라인 5: 생활용수 급수라인
11: 지하수조 13: 옥상수조
23: 스프링클러 33: 소화전
42: 양수펌프 60: 누설감지부
61: 임피던스 측정부

Claims (1)

  1. 지하수조와, 옥상수조와,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각 층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급수라인과,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각 층에 설치된 소화전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한 소화전 급수라인과, 지하수조로부터 옥상수조로 물을 양수하기 위한 양수용 급수라인과, 상기 급수라인들에 설치되는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와, 상기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수압에 따라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를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클러 급수라인은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지하로 연장배관되는 스프링클러 공급관과, 상기 스프링클러 공급관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는 다수의 스프링클러 분기관과, 상기 스프링클러 분기관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링클러와,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스프링클러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하여 옥상수조와 인접하여 스프링클러 공급관에 차례로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급수펌프, 스프링클러 충압펌프와, 스프링클러 압력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클러 급수펌프 및 스프링클러 충압펌프는 스프링클러 압력탱크의 내부압력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소화전 급수라인은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지하로 연장배관되는 소화전 공급관과, 상기 소화전 공급관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는 다수의 소화전 분기관과, 상기 소화전 분기관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소화전과,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소화전들에 물을 압송하기 위하여 옥상수조와 인접하여 소화전 공급관에 차례로 설치되는 소화전 급수펌프, 소화전 충압펌프 및 소화전 압력탱크를 가지고, 상기 소화전 급수펌프 및 소화전 충압펌프는 소화전 압력탱크의 내부압력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옥상수조로부터 각 층에 생활용수를 공급하도록 옥상수조로부터 지하까지 연장배관되는 생활용수 공급관 및 상기 생활용수 공급관으로부터 각 층으로 분기되는 생활용수 분기관들로 이루어진 생활용수 급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클러 급수라인ㆍ소화전 급수라인ㆍ양수용 급수라인을 이루는 배관으로부터 누출된 유체의 감지인자를 임피던스 변화로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인자에 따라 전기 전도도가 변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센서소자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감지센서부 및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부의 합성 임피던스 파형으로부터 누설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부의 양 끝단에 병렬로 연결된 임피던스 측정부를 갖는 누설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는 상기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의 양측에서 측정된 수압값이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이상 신호를 송신하는 디지털 인디케이터, 상기 디지털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의 수압을 감압시키기 위한 감압 신호를 송신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감압밸브 및 알람밸브에 설치되어 감압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하여 수압을 감압시키는 모터 오퍼레이팅밸브 및 상기 급수라인들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상기 급수라인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관리실에 설치된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는 질병관리본부 서버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공동주택의 단지내 설치된 가로등은 유문등(4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문등(400)은 상기 방재설비 통합 모니터링 제어부(180)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컨트롤러(410)가 탑재되고,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망체(442)는 모기들이 출입할 수 있는 망공을 갖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모기유도등(444)이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모기유도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공(446)이 형성되고,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낙하하는 모기를 검출하는 센서(422)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를 유인하는 유도물질(MKO)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되고,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되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고,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구성, 방습성, 내약품성을 갖추기 위해 지르코니아 분말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4.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2.5중량%와, 톨루엔에 용해된 DMAP(dimethylaminopyridine) 2.5중량%와,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2.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5중량%와, 실리콘수지 5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와,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2.5중량%와, 액화무수암모니아 1.5중량%와, SBR(Styrene-Butadiene Rubber)3.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
KR1020170152335A 2017-11-15 2017-11-15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 KR101856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335A KR101856680B1 (ko) 2017-11-15 2017-11-15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335A KR101856680B1 (ko) 2017-11-15 2017-11-15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680B1 true KR101856680B1 (ko) 2018-05-14

Family

ID=6218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335A KR101856680B1 (ko) 2017-11-15 2017-11-15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68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8394A (zh) * 2019-03-29 2019-07-05 许昌学院 一种基于天然气用气数据的住房空置率估算方法
CN110568911A (zh) * 2019-09-05 2019-12-13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服务器
CN111855096A (zh) * 2020-08-13 2020-10-30 赖圣利 一种消防栓漏水报警检测装置
KR20210023339A (ko) * 2019-08-23 2021-03-04 김광선 스프링클러 헤드 누수 감지 장치,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154692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KR102401143B1 (ko) * 2021-07-19 2022-05-25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KR102425025B1 (ko) * 2021-10-18 2022-07-27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확인가능 소방 방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207B1 (ko) * 1998-03-16 2000-12-15 박동일 건물의소방시스템
KR101291717B1 (ko) * 2012-02-01 2013-07-31 박우순 소화설비 압력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207B1 (ko) * 1998-03-16 2000-12-15 박동일 건물의소방시스템
KR101291717B1 (ko) * 2012-02-01 2013-07-31 박우순 소화설비 압력제어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8394A (zh) * 2019-03-29 2019-07-05 许昌学院 一种基于天然气用气数据的住房空置率估算方法
KR20210023339A (ko) * 2019-08-23 2021-03-04 김광선 스프링클러 헤드 누수 감지 장치,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21199B1 (ko) * 2019-08-23 2021-11-02 김광선 스프링클러 헤드 누수 감지 장치,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0568911A (zh) * 2019-09-05 2019-12-13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服务器
KR20210154692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KR102373325B1 (ko) * 2020-06-12 2022-03-11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CN111855096A (zh) * 2020-08-13 2020-10-30 赖圣利 一种消防栓漏水报警检测装置
KR102401143B1 (ko) * 2021-07-19 2022-05-25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KR102425025B1 (ko) * 2021-10-18 2022-07-27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확인가능 소방 방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680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
US10016643B2 (en) Hydro fire mitigation system
US201003076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bling utilities
US20090151961A1 (en) Residential Exterior Deluge System
MX2008011510A (es) Sistema de extincion de incendios.
KR101291717B1 (ko) 소화설비 압력제어 시스템
US20170357275A1 (en) Wireless system for protecting buildings against water leaks
US11359359B2 (en)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dry pipe sprinkler system
CN206852977U (zh) 一种自动监测和充水的干式消火栓***
KR10193912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CN108505540A (zh) 一种管廊专用埋地阀门井
KR100666405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누수차단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배관시스템
CN217366985U (zh) 本质安全的预制舱式泛水型自动灭火***
KR102480719B1 (ko) 공동주택의 방화 스프링클러 자동화 운용시스템
GB2063536A (en) Pneumatic fire alarm system
CN113309183A (zh) 一种应用于高层建筑的二次供水加压泵房
CN205563333U (zh) 一种智能楼宇监控***
CN218076094U (zh) 一种自动喷水灭火管道***
KR100999749B1 (ko) 필로티 내의 배관 동파방지용 열선 작동램프 시공방법
CN214512390U (zh) 一种高层建筑消防用外墙灭火装置
CN205637720U (zh) 一种变电设备用安全隔离房
CN210355799U (zh) 一种自动监控恒温雨淋阀撬块
CN110947145B (zh) 一种无动力电缆沟除湿灭火装置
CN215609001U (zh) 一种无源消防***
CN214614349U (zh) 一种消防用防撞消防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