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573B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573B1
KR101856573B1 KR1020167018065A KR20167018065A KR101856573B1 KR 101856573 B1 KR101856573 B1 KR 101856573B1 KR 1020167018065 A KR1020167018065 A KR 1020167018065A KR 20167018065 A KR20167018065 A KR 20167018065A KR 101856573 B1 KR101856573 B1 KR 10185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connectors
pow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002A (ko
Inventor
김욱
Original Assignee
(주)알파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파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알파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16010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에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되,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활성화시킨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 및 효용성이 증대되고, 유연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며, 단말기로의 전원 공급이 최선의 형태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DEVICE}
본 명세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에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되,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활성화시킨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배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스마트폰 및 테블릿을 포함한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하나의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포트레이트(portrait)형태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스마트폰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 곳에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으며, 테블릿 PC의 경우 랜드스케이프(landscape)형태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테블릿PC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곳에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는 당해 단말기에 고정 설치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도 설치되어 있을 경우 외부전원과 접속하기에 편리한 경우가 많다. 또한, 커넥터의 위치에 대한 선호도는 다양한 여건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어떤 위치로 놓았느냐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장측면 또는 단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이 외부전원과 접속하는데 더 유리한 경우가 많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외부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의 위치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취향, 휴대 단말기가 사용되는 형태 및 휴대 단말기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커넥터만을 구비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고정된 하나의 커넥터라는 점으로 인해, 이러한 사항들을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종래 기술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하여 사용의 편의성 및 효용성을 증대시키고, 휴대 단말기의 사용 형태 및 기능에 따라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 공급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커넥터,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소비부 및 상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활성화된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는, 상기 단말기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는, 전원이 공급되는 VBUS와 연결되는 VBUS핀 및 GND선과 연결되는 GND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는,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DATA BUS와 연결되는 DATA BUS핀 및 HOST와 SLAVE를 구별하는 ID 케이블과 연결되는 ID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DATA BUS는, 비반전 데이터 신호와 반전된 데이터 신호가 같이 전송되는 두 개의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DATA BUS핀은, 상기 비반전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D+핀 및 상기 반전된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D-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DATA BUS 및 상기 DATA BUS핀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전원소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와 연결되는 스위치를 폐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단말기가 거치대 상에 놓여진 형태에 따른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하측의 단측면부 및 좌우측의 장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는, 상기 단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 및 상기 장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기가 거치대 상에 놓여진 형태는, 상기 단측면부가 상기 거치대 상에 마주보게 놓여진 제 1 형태 및 상기 장측면부가 상기 거치대 상에 마주보게 놓여진 제 2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단측면부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장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2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장측면부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단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특정 기능에 따른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특정 기능은, 상기 전원소비부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 모듈에서 수행되는 통신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카메라 기능, 데이터 관리 기능 및 상기 단말기 관리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특정 기능에 따른 기준은,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이 포함된 위치에 따른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커넥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전원공급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연결 여부에 따른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된 커넥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설정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에 대응되는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가 활성화 대상에 해당함을 알리는 활성화 대상 표시 및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가 활성화되었음을 알리는 활성화 표시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 외의 커넥터에 대응되는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 외의 커넥터가 비활성화임을 알리는 비활성화 표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에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 중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를 활성화시켜 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 및 효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에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 중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를 활성화시켜 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유연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활성화된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단말기로의 전원 공급이 최선의 형태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내부 회로의 효율이 최대가 되는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단말기 내부 회로의 손실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등을 통해 단말기의 활성화 여부 및 상태를 알림으로써, 사용자에게 활성화 정보 제공 및 활성화된 커넥터로의 전원 공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배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1.
도 5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2-1.
도 5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2-2.
도 6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1-1.
도 6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1-2.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2.
도 8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3-1.
도 8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3-2.
도 9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추가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1.
도 9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추가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2.
도 9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추가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3.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들의 조합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시스템, 전원 공급 시스템, 예를 들어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시스템, USB 포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되, 설명의 편의 및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구체적인 실시 예', '실시 형태' 및 '대표 실시 예'로 목차를 나누고, 상기 목차 순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은 하술된 실시 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내부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통해, 또는 전원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소형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폰, PDA, 테블릿PC, 노트북, 네비게이션, MP3플레이어 등일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말기인 핸드폰을 중심으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커넥터를 지칭할 때에는 도면 부호 (10)을, 각각의 커넥터를 지칭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도면 부호 (10A 또는 10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커넥터(10),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소비부(20) 및 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핸드폰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 또는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원은, 배전계통과 연결된 콘센트일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원은 또한, 컴퓨터, 노트북 및 전용 거치대 등에 포함된 전원 공급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단말기(100)의 정격 전압으로 상기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원은, 전원케이블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원은, 상기 전원케이블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전원공급원은, 상기 전원케이블을 통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단말기(100)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의 상측면부 및 우측면부(도면을 바라보는 시점 기준)에 제 1 커넥터(10A) 및 제 2 커넥터(10B)로 각각 나누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또한, 상기 단말기(100)의 모든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단말기(100)의 네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되어, 총 4개의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는 VBUS와 연결되는 VBUS핀(11) 및 GND선과 연결되는 GND핀(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BUS 및 상기 GND선은, 상기 전원케이블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VBUS 및 상기 GND선은 또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에 연결되는 전용케이블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VBUS 및 상기 GND선은, 상기 단말기(100)에 공급 가능한 전압의 크기로, 상기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VBUS핀(11) 및 상기 GND핀(12)은, 각각의 핀이 분리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DATA BUS와 연결되는 DATA BUS핀(13) 및 HOST와 SLAVE를 구별하는 ID 케이블과 연결되는 ID핀(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ATA BUS 및 상기 ID 케이블은, 상기 전원케이블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ATA BUS 및 상기 ID 케이블은 또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에 연결되는 상기 전용케이블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ATA BUS핀 및 상기 ID핀(13)은, 각각의 핀이 분리될 수 있으며, 또는 도 3과 같이 하나의 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DATA BUS는, 비반전 데이터 신호와 반전된 데이터 신호가 같이 전송되는 두 개의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DATA BUS핀(13)은, 상기 비반전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D+핀 및 상기 반전된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D-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핀 및 상기 D-핀은, 각각의 핀이 하나의 핀인 상기 DATA BUS핀(13)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DATA BUS 및 상기 DATA BUS핀(13)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통신이란,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에 PC 및 노트북 등이 연결됐을 경우, 상기 PC 및 노트북과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에 상기 PC 및 노트북이 상기 DATA BUS를 통해 연결된 경우,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에 포함된 상기 DATA BUS핀(13)을 통해, 상기 PC 및 노트북에 저장된 이미지 및 멀티미디어 파일 등이 상기 단말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추가로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1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2-1이다.
도 5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2-2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커넥터(10),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소비부(20) 및 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각각을 상기 전원소비부(20)에 연결시키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가 제 1 커넥터(10A) 및 제 2 커넥터(10B)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제 1 커넥터(10A)를 상기 전원소비부에 연결시키는 제 1 스위치(40A) 및 상기 제 2 커넥터(10B)를 상기 전원소비부에 연결시키는 제 2 스위치(4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4개인 경우, 상기 스위치(40)도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의 개수와 같은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전자식 스위칭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전자식 스위칭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로서,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또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경우, 상기 스위치(40)는 ON 상태가 되어 폐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경우, 상기 스위치(40)는 OFF 상태가 되어 개로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와 연결되는 스위치(40A 또는 40B)를 폐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또한,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 외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스위치(40A 또는 40B)를 개로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어느 하나의 커넥터(10A 또는 10B)를 상기 전원소비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의 동작에 대한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상기 제 1 커넥터(10A) 및 상기 제 2 커넥터(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스위치(40)가 상기 제 1 스위치(40A) 및 상기 제 2 스위치(40B)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상기 제 1 커넥터(10A)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 1 커넥터(10A)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 1 커넥터(10A)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제 1 스위치(40A)가 폐로되도록 제어하고, 비활성화된 상기 제 2 커넥터(10B)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제 2 스위치(40B)는 개로되도록 제어하여, 활성화된 상기 제 1 커넥터(10A)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는, 반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상기 제 1 커넥터(10A) 및 상기 제 2 커넥터(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스위치(40)가 상기 제 1 스위치(40A) 및 상기 제 2 스위치(40B)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상기 제 2 커넥터(10B)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 2 커넥터(10A)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 2 커넥터(10B)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제 2 스위치(40B)가 폐로되도록 제어하고, 비활성화된 상기 제 1 커넥터(10A)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제 1 스위치(40A)는 개로되도록 제어하여, 활성화된 상기 제 2 커넥터(10B)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들은, 각각의 실시 예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를 든 것으로서, 실시 예의 적용 및 실시는 상술한 예시 이외에 다양한 형태 및 방법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 - 활성화 기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활성화 기준]은 상술 또는 하술된 실시 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6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1-1이다.
도 6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1-2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2이다.
도 8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3-1이다.
도 8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예시도 3-2이다.
<제 1 기준 - 거치대 상에 놓여진 형태>
도 6에 도시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전원소비부(20) 및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0)를 포함하되,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단말기(100)가 거치대(200) 상에 놓여진 형태에 따른 기준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용성 등이 고려되어 결정된 기준을 의미한다.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단말기(100)가 놓여질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 자전거용 거치대, 충전 거치대, 디스플레이용 받침대 등 모든 거치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단말기(100)가 중력 방향으로 놓여질 수 있는 거치대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200) 상에 놓여진 상기 단말기(100)는, 상하측의 단측면부 및 좌우측의 장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단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 및 상기 장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거치대(200) 상에 놓여진 형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측면부가 상기 거치대(200) 상에 마주보게 놓여진 제 1 형태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측면부가 상기 거치대(200) 상에 마주보게 놓여진 제 2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1 형태는, 상기 단말기(100)가 포트레이트(portrate) 형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트레이트 형태는,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이 세로 방향으로 길게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단측면부와 상기 거치대(200) 상과의 수평 상태 유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단측면부가 상기 거치대(200) 상과 마주보는 형태가 되어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이 세로 방향으로 길게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제 1 형태로 놓여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형태는 또한, 상기 단말기(100)가 세로 방향으로 놓여진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단측면부 및 상기 장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측면부 중 어느 한 측면이 중력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가 세로 방향으로 놓여진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형태는, 상기 단말기(100)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형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랜드스케이프 형태는,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장측면부와 상기 거치대(200) 상과의 수평 상태 유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장측면부가 상기 거치대(200) 상과 마주보는 형태가 되어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제 2 형태로 놓여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형태는 또한, 상기 단말기(100)가 가로 방향으로 놓여진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단측면부 및 상기 장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측면부 중 어느 한 측면이 중력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가 가로 방향으로 놓여진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제 1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단측면부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인 상기 제 1 커넥터(10A)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장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인 상기 제 2 커넥터(10B)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거치대(200) 상에 상기 제 1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단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인 상기 제 1 커넥터(10A)로 전원을 공급받게 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거치대(200) 상에 상기 제 1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단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인 상기 제 1 커넥터(10A)로 전원을 공급받게 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로의 전원 공급이 효용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제 2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장측면부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인 상기 제2 커넥터(10B)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단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인 상기 제 1 커넥터(10A)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거치대(200) 상에 상기 제 2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장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인 상기 제 2 커넥터(10B)로 전원을 공급받게 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거치대(200) 상에 상기 제 2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장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인 상기 제 2 커넥터(10B)로 전원을 공급받게 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로의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 2 기준 - 특정 기능>
도 7에 도시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전원소비부(20) 및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0)를 포함하되,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특정 기능에 따른 기준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단말기(100)의 최소 손실 및 최대 효율 등이 고려되어 결정된 기준을 의미한다.
상기 특정 기능은, 상기 전원소비부(20)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 모듈(21 또는 22)에서 수행되는 통신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카메라 기능, 데이터 관리 기능 및 상기 단말기(100) 관리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전원소비부(20)는, 상기 단말기(100)의 내부 회로를 총칭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21 또는 2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소비부(20)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이 수행되는 일련의 회로 모듈 및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음원 재생 모듈 및 음성 출력 장치, 상기 단말기(100)의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렌즈 및 촬영 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 소자 및 중앙처리장치(CPU), 상기 단말기(100)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연산 장치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모듈, 특히, 상기 단말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저장되는 배터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21 또는 22)은, 상기 단말기(100)의 내부 회로에 집중되어 배치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회로 모듈(21 또는 22)이 상기 내부 회로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21 또는 22)이 상기 내부 회로에 분산되어 배치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로 모듈(21)이 상기 단말기(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회로 모듈(22)이 상기 단말기(100)의 우측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회로 모듈(21)은 상기 제 1 커넥터(10A)에 근접한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제 2 회로 모듈(22)은 상기 제 2 커넥터(10B)에 근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특정 기능 중 상기 제 1 회로 모듈(21)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 1 회로 모듈(21)이 배치된 위치에 근접한 상기 제 1 커넥터(10A)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유리해지고,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특정 기능 중 상기 제 2 회로 모듈(21)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 2 회로 모듈(22)이 배치된 위치에 근접한 상기 제 2 커넥터(10B)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유리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21 또는 2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21 또는 22)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커넥터(10A 또는 10B)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 1 회로 모듈(21)이 상기 단말기(100)를 구동하는 전원이 저장되는 배터리이고, 상기 단말기(100)가 급속 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제 1 회로 모듈(21)인 배터리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 1 커넥터(10A)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 1 커넥터(10A)로 공급받은 전원이 상기 배터리에 바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전원 손실을 줄여 효율을 높이게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회로 모듈(22)이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고, 상기 단말기(100)가 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2 회로 모듈(21)인 디스플레이 모듈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 2 커넥터(10B)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 2 커넥터(10B)로 공급받은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바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전원 손실을 줄여 효율을 높이게 될 수 있다.
<제 3 기준 - 연결 여부>
도 8에 도시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전원소비부(20) 및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0)를 포함하되,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전원공급원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간의 연결 여부에 따른 기준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중의 편의성 및 효용성 등이 고려되어 결정된 기준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가 사용되는 상태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의 좌우측면을 감싸는 그립 형태인 경우, 상기 단말기(100)의 우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 2 커넥터(10B)는 상기 전원공급원과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아 상기 단말기(100)의 상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 1 커넥터(10A)로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하게 되므로, 연결된 상기 제 1 커넥터(10A)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또는, 상기 단말기(100)가 사용되는 상태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의 상하측면을 잡는 형태인 경우, 상기 단말기(100)의 상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 1 커넥터(10A)는 상기 전원공급원과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아 상기 단말기(100)의 우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 2 커넥터(10B)로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하게 되므로, 연결된 상기 제 2 커넥터(10B)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된 커넥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또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상기 전원공급원과 우선 연결된 커넥터를 활성화시키는 기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커넥터의 선연결 및 후활성화에 대한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초기에는 비활성화 상태로 있다가,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이 되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되기 전에는 비활성화 상태로 있다가,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되면,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커넥터(10A)가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되면, 상기 제 1 커넥터(10A)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제 2 커넥터(10B)는 비활성화 상태로 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초기에는 비활성화 상태로 있다가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됐을 시에 활성화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에서의 활성화 대기 상태에 의한 불필요한 동작 및 전원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들은, 각각의 실시 예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를 든 것으로서, 실시 예의 적용 및 실시는 상술한 예시 이외에 다양한 형태 및 방법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형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형태]는 상술 또는 하술된 실시 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추가로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추가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9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추가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1이다.
도 9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추가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2이다.
도 9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추가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3이다.
<복수의 USB 커넥터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전원소비부(20) 및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단말기(100)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VBUS핀(11) 및 상기 GND핀(12)을 포함하되, 상기 DATA BUS핀 및 상기 ID핀(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스위치(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PC, 노트북 등의 전원공급원과 연결되는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USB 포트가 연결되는 USB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USB 포트는, PC, 노트북 등의 전원공급원과 상기 단말기(100)를 연결시키는 USB 케이블의 포트일 수 있다.
상기 USB 포트는,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이 같이 수행되도록 상기 VBUS 및 상기 DATA BUS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상기 USB 커넥터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VBUS핀(11) 및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상기 DATA BUS핀(13)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상기 USB 커넥터인 경우, 상기 VBUS핀(1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DATA BUS핀(13)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DATA BUS핀(13)은, 상기 전원소비부(20)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전원소비부(20) 외에 별도의 데이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VBUS핀(11)을 통한 전원 공급과는 별도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스위치(40)를 통해 상기 전원소비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각각이 상기 전원소비부(20)와 연결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제 1 커넥터(10A)와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제 1 스위치(40A) 및 상기 제 2 커넥터(10B)와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제 2 스위치(4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를 상기 전원소비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커넥터(10A)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40A)가 폐로되고 상기 제 2 스위치(40B)는 개로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10A)와 상기 전원소비부(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커넥터(10A)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제 2 커넥터(10B)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40A)가 개로되고 상기 제 2 스위치(40B)는 폐로됨으로써, 상기 제 2 커넥터(10B)와 상기 전원소비부(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커넥터(10B)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를 더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전원소비부(20) 및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단말기(100)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VBUS핀(11) 및 상기 GND핀(13)을 포함하되, 상기 DATA BUS핀 및 상기 ID핀(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스위치(40)를 더 포함하되,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전용은,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의 활성화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의 연결 순서에 관계없이 우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에 우선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커넥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는,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 등의 전원공급원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만을 위한 커넥터이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에 우선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용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USB 포트가 연결되는 USB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상기 USB 커넥터인 경우, 상기 VBUS핀(1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DATA BUS핀(13)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DATA BUS핀(13)은, 상기 전원소비부(20)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전원소비부(20) 외에 별도의 데이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VBUS핀(11)을 통한 전원 공급과는 별도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전원소비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스위치(40)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는, 상기 스위치(40)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전원소비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는, 활성화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전원소비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가 연결된 경우, 비활성화되어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가 전원을 공급받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활성화되어 상기 스위치(40)가 폐로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가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스위치(40)는 개로되어,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또는,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로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스위치(40)는 개로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전원 공급 전용 커넥터(10c)로의 전원 공급이 유지되게 된다.
<디폴트 커넥터를 더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전원소비부(20) 및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단말기(100)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VBUS핀(11) 및 상기 GND핀(12)을 포함하되, 상기 DATA BUS핀 및 상기 ID핀(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스위치(40)를 더 포함하되, 디폴트(Default)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디폴트 커넥터(1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전원 공급은,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의 활성화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의 연결 순서에 관계없이 우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에 우선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커넥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USB 포트가 연결되는 USB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상기 USB 커넥터인 경우, 상기 VBUS핀(1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DATA BUS핀(13)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DATA BUS핀(13)은, 상기 전원소비부(20)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전원소비부(20) 외에 별도의 데이터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VBUS핀(11)을 통한 전원 공급과는 별도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전원소비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스위치(40)를 포함하되,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는, 상기 스위치(40)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전원소비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는, 활성화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전원소비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가 연결된 경우, 비활성화되어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가 전원을 공급받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활성화되어 상기 스위치(40)가 폐로된 상태에서,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가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스위치(40)는 개로되어,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또는,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로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스위치(40)는 개로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디폴트 커넥터(10d)로의 전원 공급이 유지되게 된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들은, 각각의 실시 예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를 든 것으로서, 실시 예의 적용 및 실시는 상술한 예시 이외에 다양한 형태 및 방법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대표 실시 예 - 실시 예들의 조합]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대표 실시 예]는 상술된 실시 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 예들을 조합한 상기 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들의 조합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전원소비부(20) 및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10)는, 상기 단말기(100)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및 상기 전원소비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와 연결되는 스위치(40)를 폐로하되,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출력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10A 또는 10B)에 대응되는 출력장치(50A 또는 50B)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10A 또는 10B)가 활성화 대상에 해당함을 알리는 활성화 대상 표시 및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가 활성화되었음을 알리는 활성화 표시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 외의 커넥터에 대응되는 출력장치(50A 또는 50B)를 통해,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 외의 커넥터가 비활성화임을 알리는 비활성화 표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장치(50)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과 같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어,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의 활성화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장치(50)는 또한,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되어,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의 활성화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 장치(50)는,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출력 장치(50)는 또한, 음성 출력으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10)의 활성화 여부를 표시하는 음성 출력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활성화 대상 표시는,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10A 또는 10B)가 활성화 대상에 해당함을 알리는 표시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전원공급원과의 연결을 유도하는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커넥터(10A)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인 경우, 상기 제 1 커넥터(10A)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출력장치(50A)를 통해 상기 활성화 대상 표시가 출력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10A)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전원공급원과의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활성화 대상 표시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10)가 활성화되기 이전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표시는,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가 활성화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로,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로 전원을 공급받는 중임을 알리는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커넥터(10B)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로, 상기 제 2 커넥터(10B)로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경우, 상기 제 2 커넥터(10B)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출력장치(50B)를 통해 상기 활성화 표시가 출력됨으로써, 상기 제 2 커넥터(10B)로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중임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비활성화 표시는,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 외의 커넥터가 비활성화임을 알리는 표시로,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10A 또는 10B) 외의 커넥터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가 아님을 알리는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커넥터(10A)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이고, 상기 제 2 커넥터(10B)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커넥터(10A)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출력장치(50A)를 통해 상기 활성화 대상 표시 또는 상기 활성화 표시가 출력되고, 상기 제 2 커넥터(10B)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출력장치(50B)를 통해 상기 비활성화 표시가 출력됨으로써, 상기 제 2 커넥터(10B)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가 아님을 알릴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대상 표시, 상기 활성화 표시 및 상기 비활성화 표시는, 각각이 구분되도록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출력장치가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활성화 대상 표시는 황색 계열의 점등 표시, 상기 활성화 표시는 녹색 계열의 점등 표시 및 상기 비활성화 표시는 적색 계열의 점등 표시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활성화 대상 표시는 깜빡이는 점등 표시, 상기 활성화 표시는 완전 점등 표시 및 상기 비활성화 표시는 소등 표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단말기(100)가 거치대(200) 상에 놓여진 형태에 따른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거치대(200) 상에 상기 제 1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단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인 상기 제 1 커넥터(10A)로 전원을 공급받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커넥터(10A)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스위치(40A)가 폐로되고, 상기 제 1 커넥터(10A)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출력 장치(50A)를 통해 상기 제 1 커넥터(10A)의 활성화 표시가 표시되고, 상기 장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인 상기 제 2 커넥터(10B)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스위치(40B)가 개로되고, 상기 제 2 커넥터(10B)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출력 장치(50B)를 통해 상기 제 2 커넥터(10B)의 비활성화 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또한, 상기 특정 기능에 따른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회로 모듈(21)이 상기 단말기(100)를 구동하는 전원이 저장되는 배터리이고, 상기 단말기(100)가 급속 충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제 1 회로 모듈(21)인 배터리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 1 커넥터(10A)가활성화되어 상기 제 1 커넥터(10A)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스위치(40A)가 폐로되고, 상기 제 1 커넥터(10A)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출력 장치(50A)를 통해 상기 제 1 커넥터(10A)의 활성화 표시가 표시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 2 회로 모듈(22)이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고, 상기 단말기(100)가 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2 회로 모듈(21)인 디스플레이 모듈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 2 커넥터(10B)가 활성화되어 상기 제 2 커넥터(10B)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스위치(40B)가 폐로되고, 상기 제 2 커넥터(10B)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출력 장치(50B)를 통해 상기 제 2 커넥터(10B)의 활성화 표시가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전원공급원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10) 간의 연결 여부에 따른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가 사용되는 상태가 상기 단말기(100)의 좌우측면을 감싸는 그립 형태인 경우, 상기 단말기(100)의 우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 2 커넥터(10B)는 상기 전원공급원과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아 상기 단말기(100)의 상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 1 커넥터(10A)로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하게 되므로, 연결된 상기 제 1 커넥터(10A)가 활성화되어 상기 제 1 커넥터(10A)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스위치(40A)가 폐로되고, 상기 제 1 커넥터(10A)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출력 장치(50A)를 통해 상기 제 1 커넥터(10A)의 활성화 표시가 표시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단말기(100)가 사용되는 상태가 상기 단말기(100)의 상하측면을 잡는 형태인 경우, 상기 단말기(100)의 상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 1 커넥터(10A)는 상기 전원공급원과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아 상기 단말기(100)의 우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 2 커넥터(10B)로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하게 되므로, 연결된 상기 제 2 커넥터(10B)가 활성화되어 상기 제 2 커넥터(10B)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스위치(40B)가 폐로되고, 상기 제 2 커넥터(10B)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출력 장치(50B)를 통해 상기 제 2 커넥터(10B)의 활성화 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들은, 각각의 실시 예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의 조합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를 든 것으로서, 실시 예의 적용 및 실시는 상술한 예시 이외에 다양한 형태 및 방법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시스템, 전원 공급 시스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USB포트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원 또는 PC, 노트북, 이종의 기기와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폰, 테블릿PC, 노트북,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이종 또는 동종의 기기 간에 신호 송수신이 가능해지도록 해주는 젠더(Gender), 커넥터(Connector) 및 케이블 포트(Cable Port)를 사용하는 모든 단말기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에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 중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를 활성화시켜 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 및 효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에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 중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를 활성화시켜 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유연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활성화된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단말기로의 전원 공급이 최선의 형태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 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내부 회로의 효율이 최대가 되는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단말기 내부 회로의 손실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등을 통해 단말기의 활성화 여부 및 상태를 알림으로써, 사용자에게 활성화 정보 제공 및 활성화된 커넥터로의 전원 공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커넥터;
    상기 공급받은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소비부; 및
    기 설정된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켜, 활성화된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단말기가 거치대 상에 놓여진 형태 또는 상기 특정 기능에 따른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는,
    상기 단말기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는,
    전원이 공급되는 VBUS와 연결되는 VBUS핀; 및
    GND선과 연결되는 GND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는,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DATA BUS와 연결되는 DATA BUS핀; 및
    HOST와 SLAVE를 구별하는 ID 케이블과 연결되는 ID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ATA BUS는,
    비반전 데이터 신호와 반전된 데이터 신호가 같이 전송되는 두 개의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DATA BUS핀은,
    상기 비반전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D+핀 및 상기 반전된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D-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ATA BUS 및 상기 DATA BUS핀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 및 상기 전원소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와 연결되는 스위치를 폐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하측의 단측면부 및 좌우측의 장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커넥터는,
    상기 단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 및 상기 장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에 각각 나누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거치대 상에 놓여진 형태는,
    상기 단측면부가 상기 거치대 상에 마주보게 놓여진 제 1 형태 및 상기 장측면부가 상기 거치대 상에 마주보게 놓여진 제 2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1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단측면부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장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 2 형태로 놓여진 경우,
    상기 장측면부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단측면부에 배치된 커넥터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상기 전원소비부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 모듈에서 수행되는 통신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카메라 기능, 데이터 관리 기능 및 상기 단말기의 관리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에 따른 기준은,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이 포함된 위치에 따른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상기 복수의 회로 모듈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커넥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전원공급원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간의 연결 여부에 따른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원과 연결된 커넥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설정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제 15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에 대응되는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커넥터가 활성화 대상에 해당함을 알리는 활성화 대상 표시 및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가 활성화되었음을 알리는 활성화 표시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 외의 커넥터에 대응되는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활성화된 커넥터 외의 커넥터가 비활성화임을 알리는 비활성화 표시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67018065A 2013-12-06 2013-12-06 휴대용 단말기 KR101856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11274 WO2015083859A1 (ko) 2013-12-06 2013-12-06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002A KR20160101002A (ko) 2016-08-24
KR101856573B1 true KR101856573B1 (ko) 2018-05-11

Family

ID=5327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065A KR101856573B1 (ko) 2013-12-06 2013-12-06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6573B1 (ko)
WO (1) WO201508385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7428A1 (en) * 2009-08-11 2011-02-17 Buffalo Inc. Connection apparatus
JP2013223269A (ja) * 2012-04-13 2013-10-28 Olympus Imaging Corp 充電可能な携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7048B2 (en) * 2002-04-16 2005-10-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witching circuit for charge and discharge of multiple battery systems
KR101956527B1 (ko) * 2011-12-26 2019-06-24 삼성전자 주식회사 Usb 호스트 장치 및 그 전원 관리 방법
KR20130122266A (ko) * 2012-04-30 201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모드에서 충전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7428A1 (en) * 2009-08-11 2011-02-17 Buffalo Inc. Connection apparatus
JP2013223269A (ja) * 2012-04-13 2013-10-28 Olympus Imaging Corp 充電可能な携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002A (ko) 2016-08-24
WO2015083859A1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9543B (zh) 集線器
JP6875547B2 (ja) アダプター、端末装置、およびアダプターシステム
US8898489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reless power docking station module with shared power source and wireless peripheral support
KR2017010354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충전 방법
WO2017176413A1 (en) Adjustable power delivery apparatus for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c
CN203761448U (zh) 便于手机驱动的显示设备
CN107643994B (zh) 终端、终端外设、信号发送及接收方法、数据传输***
US200901604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1176078B2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put/output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for
US201400593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from host apparatus to external apparatus
US20100301674A1 (en) Control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667072B2 (en) Mobile power device with memory storage feature which switches between master and slave roles
KR101231599B1 (ko) 충전포트를 구비한 차량용 데이터통신 모듈
CN202120268U (zh) Usb控制装置及具有usb控制装置的设备
KR102672130B1 (ko)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 및 방법
TWI814946B (zh) 交流電源適配器指示器
WO2020093673A1 (zh) 触控显示设备
US20120089763A1 (en) Computer and usb interface module thereof
US20120272074A1 (en) I/O Module with Power-Uninterruptible USB Port
US9401626B2 (en) Battery, power suppl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856573B1 (ko) 휴대용 단말기
US20130300214A1 (en) Transmission c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switching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CN102723751A (zh) 多功能充电接口、电源装置和充电方法
US9110840B2 (en) Base for a tablet computer
CN202384813U (zh) 一种多功能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