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939B1 -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939B1
KR101855939B1 KR1020110096433A KR20110096433A KR101855939B1 KR 101855939 B1 KR101855939 B1 KR 101855939B1 KR 1020110096433 A KR1020110096433 A KR 1020110096433A KR 20110096433 A KR20110096433 A KR 20110096433A KR 101855939 B1 KR101855939 B1 KR 101855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signal
remote control
depth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685A (ko
Inventor
설성운
권미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939B1/ko
Priority to US13/587,540 priority patent/US9024875B2/en
Priority to EP12183941.9A priority patent/EP2574062A3/en
Priority to CN201210359306.7A priority patent/CN103024410B/zh
Publication of KR2013003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포인터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선택 영역이 지정되는 단계, 선택 영역의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 영역의 깊이값을 추출하는 단계, 선택 영역의 깊이값을 변경하는 단계와 변경된 깊이값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D 영상의 설정을 간편하고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포인터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선택 영역이 지정되는 단계, 선택 영역의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 영역의 깊이값을 추출하는 단계, 선택 영역의 깊이값을 변경하는 단계와 변경된 깊이값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포인터를 이동하는 단계, 이동한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을 중심으로 기준거리 내에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깊이값(depth)을 추출하는 단계, 오브젝트의 깊이값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오브젝트의 깊이값을 변경하는 단계와 변경된 깊이값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포인터를 이동하는 단계, 주시점(Convergence point)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주시점 변경 입력시의 포인터가 위치한 좌표에 기초하여 주시점을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주시점에 기초하여 깊이값(depth)을 재연산하는 단계와 재연산된 깊이값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영상의 설정을 간편하고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3D 영상의 다양한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포맷에 따라 시청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도 11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8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도 21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시청장치(19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2D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안경(glass)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18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180) 외에 시청장치(195)로서 추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시청장치(195)는, 입체 영상 시청이 가능한 3D용 글래스일 수도 있다. 3D용 글래스(195)는, 패시브 방식의 편광 글래스 또는 액티브 방식의 셔터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헤드 마운트 타입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장치(195)가 편광 글래스인 경우, 좌안 글래스는, 좌안용 편광 글래스로, 우안 글래스는 우안용 편광 글래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청장치(195)가 셔터 글래스인 경우,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는 서로 교대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시청장치(195)는, 사용자 별로 각각 서로 다른 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2D용 글래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장치(195)가 편광 글래스인 경우, 동일한 편광 글래스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시청장치(195a)의 좌완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는, 모두 좌안용 편광 글래스로 구현되고, 제2 시청장치(195b)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는, 모두 우안용 편광 글래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청장치(195)가 셔터 글래스인 경우, 동일한 시간에 개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시청장치(195a)의 좌완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는, 모두 제1 시간 동안 개방되고, 제2 시간 동안 모두 닫히며, 제2 시청장치(195b)의 좌완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는, 모두 제1 시간 동안 닫히고, 제2 시간 동안 모두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모니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이 중 셋탑 박스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셋탑 박스(250)와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셋탑 박스(2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 저장부(258), 신호 처리부(26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58)는, 신호 처리부(2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260)는, 입력되는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을 수행하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디코더 또는 음성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26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2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 동작 입력, 설정 입력 등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30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 외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셋탑 박스(250)는, 별도의 미디어(media) 재생을 위한 미디어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입력부의 예로는, 블루레이 입력부(미도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250)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되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미디어는 신호 처리부(260)에서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 이후, 그 표시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방송 수신부(27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73), 저장부(278), 제어부(2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83), 디스플레이(290), 및 오디오 출력부(29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72)는, 튜너부(270)와 복조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270), 복조부(275), 저장부(278), 제어부(2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83), 디스플레이(290), 및 오디오 출력부(295)는, 상술한 도 1에서 기술한 튜너부(110), 복조부(120), 저장부(140), 제어부(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에 대응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73)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셋탑 박스(25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셋탑 박스(2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제어부(290)를 거쳐, 디스플레이(290) 또는 오디오 출력부(295)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다음, 도 2b를 참조하면, 셋탑 박스(250)와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도 2a의 셋탑 박스(250)와 디스플레이장치(300)와 동일하나, 다만, 방송 수신부(272)가 디스플레이장치(300) 내가 아닌 셋탑 박스(250) 내에 위치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또한, 방송 수신부(27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5)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만을 기술한다.
신호 처리부(260)는, 튜너부(270) 및 복조부(27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3)는, 채널 선택, 채널 저장 등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b의 셋탑 박스(250)에서는 도 1에서의 오디오 출력부(185)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각 별도의 오디오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4는 3D 영상의 다양한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포맷에 따라 시청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19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 또는 튜너부(110)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 신호가,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후의 제어부(170), 특히 영상 처리부(320) 등에서 신호 처리되어, 각각 2D 영상 신호,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의 혼합 신호, 3D 영상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다양한 포맷의 3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으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시점 영상 신호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 등일 수 있다. 복수 시점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은, 도 4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좌,우로 배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도 4a), 상,하로 배치하는 탑 앤드 바텀(Top / Bottom) 포맷(도 4b), 시분할로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도 4c),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라인 별로 혼합하는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도 4d),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박스 별로 혼합하는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도 4e)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195)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3D 영상 신호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오브젝트의 예로는 PIP(picuture in picture)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EPG,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텍스트, 영상 내의 사물, 인물, 배경, 웹 화면(신문, 잡지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예시된 다양한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포맷에 따라, 도 5와 같이, 안경 타입의 시청장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5(a)는, 포맷터(360)가 도 4의 포맷 중 프레임 시퀀셜 포맷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경우, 3D용 글래스(195), 특히 셔터 글래스(195)의 동작을 예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80)에 좌안 영상(L)이 표시된 경우, 셔터 글래스(195)의 좌안 글래스가 개방, 우안 글래스가 닫히는 것을 예시하며, 우안 영상(R)이 표시된 경우, 셔터 글래스(195)의 좌안 글래스가 닫히고, 우안 글래스가 개방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5(b)는, 포맷터(360)가 도 4의 포맷 중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경우, 3D용 글래스(195), 특히 편광 글래스(195)의 동작을 예시한다. 한편, 도 5(b)에서 적용되는 3D용 글래스(195)는, 셔터 글래스일 수 있으며, 이때의 셔터 글래스는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 모두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편광 글래스 처럼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미도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 처리부(320)의 출력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하고, OSD 생성부(340)는 OSD 생성과 함께 3D 처리를 수행한 후, 믹서(345)에서 각각의 처리된 3D 신호를 믹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증대를 위해, 제어부(170)는 3D 효과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특히 3D 영상 내의 3D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기울기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3D 영상 신호 또는 3D 영상 신호 내의 3D 오브젝트(510)를 일정 비율로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512)할 수 있으며, 또한 도 6(b) 및 도 6(c)와 같이, 3D 오브젝트를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사다리꼴 형상, 514, 516)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d)와 같이, 3D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평행 사변형 형상, 518)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스케일링(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을 통해, 3D 영상 또는 3D 영상 내의 3D 오브젝트의 입체감 즉, 3D 효과(3-dimensional effect)를 강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울기(slope)가 커질수록, 도 6(b) 또는 도 6(c)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514,516)의 평행한 양변의 길이 차가 커지거나, 도 6(d)와 같이, 회전각이 더 커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은, 포맷터(360)에서 3D 영상 신호가 소정 포맷으로 정렬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영상처리부(320) 내의 스케일러(235)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OSD 생성부(340)는, 3D 효과 강조를 위해, 생성되는 OSD를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3D 효과(3-dimensional effect)를 위한 신호 처리로서, 도 6에서 예시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 등 외에, 영상 신호 또는 오브젝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의 신호 처리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는, 제어부(170) 내에서 수행되거나, 별도의 3D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 내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술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 등과 함께, 포맷터(360)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영상처리부((320)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영상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들(615,625,635,645)이 예시된다.
먼저, 제1 오브젝트(615)는,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좌안 영상(611,L)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613,R)를 포함하며, 제1 좌안 영상(611,L)과 제1 우안 영상(613,R)의 간격은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d1 인 것이 예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1 좌안 영상(61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603)과 제1 우안 영상(60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오브젝트(615)가 디스플레이(180) 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 제2 오브젝트(625)는, 제2 좌안 영상(621,L)과 제2 우안 영상(623,R)를 포함하며, 서로 겹쳐져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므로, 그 간격은 0 인 것이 예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625)가 디스플레이(180) 상에 위치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는, 각각 제3 좌안 영상(631,L)과 제2 우안 영상(633,R), 제4 좌안 영상(641,L)과 제4 우안 영상(643,R)를 포함하며, 그 간격이 각각 d3, d4 인 것이 예시된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상이 맺히는 위치에, 각각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며, 도면에서는, 각각 디스플레이(180) 보다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제4 오브젝트(645)가 제3 오브젝트(635) 보다 더 앞에, 즉 더 돌출되는 것으로 인식되며, 이는 제4 좌안 영상(641,L)과 제4 우안 영상(643,R)의 간격(d4)이, 제3 좌안 영상(631,L)과 제3 우안 영상(633,R)의 간격(d3) 보다 더 큰 것에 기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80)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615,625,635,645) 사이의 거리를 깊이(depth)로 표현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보다 뒤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경우의 깊이(depth)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하며, 디스플레이(180)보다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경우의 깊이(depth)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즉,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 정도가 더 클수록, 깊이의 크기는 더 커지게 된다.
도 8을 보면, 도 8(a)의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a)이, 도 8(b)에 도시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b)이 더 작은 경우, 도 8(a)의 3D 오브젝트의 깊이(a')가 도 8(b)의 3D 오브젝트의 깊이(b') 보다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예시되는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에 의해, 사용자 입장에서 상이 맺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9의 (b)), 앞뒤(도 9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9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825), 사용자 입력부(835), 센서부(840), 출력부(850), 전원공급부(860), 저장부(870), 제어부(8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8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8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8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8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8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8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8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840)는 자이로 센서(841) 또는 가속도 센서(8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8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8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8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850)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8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850)는 사용자 입력부(8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8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8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8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8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8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8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8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8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8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8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880)는 사용자 입력부(8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8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8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7은 도 11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3D 영상을 표시한다.(S1110)
3D 영상은 외부 기기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거나, 영상표시장치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생성한 3D 오에스디(OSD)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이하의 도면에서는 표시되는 3D 영상의 일예로 3D 모드 진입시 표시되는 3D 존(zone)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3D 영상은 다른 동영상이거나 사진과 같은 정지 영상일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3D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동에 의해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로컬키(미도시)에 3D 모드 진입을 위한 핫 키(hot key)가 구비되는 경우, 핫 키의 동작에 의해, 3D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3D 모드 진입의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80)에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3D 모드 진입을 알려주는 오브젝트가 선택되어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a는 디스플레이(180)에 홈 화면(122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홈 화면(1220)은, 스마트 TV의 홈 화면으로서, 방송 영상(1230)이 표시되는 영역, 이동 또는 교체 가능한 카드 오브젝트(1240, 1250)가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 영역, 및 즐겨찾기 또는 애플리케이션 메뉴(1260)가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에서는, 컨텐츠 제공자 리스트를 나타내는 컨텐츠 제공자 카드 오브젝트(1240),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카드 오브젝트(1250)를 예시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카드 오브젝트(1250) 내에 3D 존(zone) 애플리케이션 항목(1255)이 예시된다.
이러한 3D 존(zone) 애플리케이션 항목(125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2b와 같이, 3D 존(zone)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3D 존(zone) 애플리케이션 항목(1255) 선택은, 원격제어장치(200) 특히, 공간 리모콘을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3D 존 화면(1270)은, 도 12b와 같이, 3D 홈 화면으로서, 컨텐츠 종류를 나타내는 3D 오에스디(1281, 1283, 1285, 1287, 1289)와 나가기 항목(1291)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3D 존 화면임을 나타내는 오에스디(12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3D 오에스디로, '엔터테인먼트' 항목(1281), '스포츠' 항목(1283), '뮤직' 항목(1285), '교육' 항목(1287), '키즈' 항목(1289) 등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컨텐츠 종류 별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나가기 항목(1291)과 3D 존 화면임을 나타내는 오에스디(1275)는, 3D 오에스디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2b에서는, 안경 방식에 따른 3D 영상 표시시, 3D 글래스 없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3D 영상(1270)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각 3D 오에스디(1281, 1283, 1285, 1287, 1289)는, 육안으로, 일부 겹쳐 보일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2c는, 안경 방식에 따른 3D 영상 표시시, 3D 글래스(195)를 통해 시청한 3D 영상(1270)을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각 3D 오에스디(1281, 1283, 1285, 1287, 1289)가 각각 해당 깊이(da,db,dc,dd,de)를 가지고 돌출되어 보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오에스디(OSD)는, 도 3의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또는 오브젝트 등과 동일한 용어일 수 있다.
한편, 3D 모드 진입의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80)에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3D 모드 진입을 알려주는 오브젝트가 선택되어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a는 디스플레이(180)에 영상(1320)이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133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메뉴(1330)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로컬키의 메뉴키가 동작하는 경우 표시될 수 있다.
도 13a에서는, 메뉴(1330) 내의 항목으로서, 홈 화면 바로 가기 항목, 방송 채널 넘버 항목, 최근 시청 보기 항목, 검색 항목, 가이드 항목, 채널 브라우저 항목, 3D 전환 항목(1335), 픽쳐 인 픽쳐(PIP) 항목, 웹 브라이져 항목 등을 예시한다.
이 중 3D 전환 항목(133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3b와 같이, 3D 존(zone) 화면(127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3D 전환 항목(1335) 선택은, 원격제어장치(200) 특히, 공간 리모콘을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3D 존 화면(1270)은, 3D 홈 화면으로서, 컨텐츠 종류를 나타내는 3D 오에스디(1281, 1283, 1285, 1287, 1289)와 나가기 항목(129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3D 모드로의 진입은 자동으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D 시청장치(195)를 착용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3D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청장치 착용 등의 감지는, 상술한 촬영부(미도시) 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3D 모드로의 진입은 자동으로 진입하는 경우, 도 13b와 같이, 3D 존(zone) 화면(127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3D 존 화면(1270)은, 3D 홈 화면으로서, 컨텐츠 종류를 나타내는 3D 오에스디(1281, 1283, 1285, 1287, 1289)와 나가기 항목(129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면(S1120), 상기 포인터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선택 영역이 지정된다.(S1130)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205)를 P1 지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P2 지점을 거쳐 P3 지점까지 드래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래그 입력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1 버튼(예를 들어 'OK'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포인터가 이동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버튼을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격제어장치가 움직이는 경우에는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고, 제1 버튼을 누르지 않고 원격제어장치가 움직이는 경우는 포인터의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선택 영역의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영역이 지정되면, 지정된 선택 영역의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선택 영역의 좌표 정보는 시작점 P1의 좌표 정보(x,y) 외에도 시작점 P1을 기준으로 폭, 높이(w,h) 또는 거리, 반지름(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좌표 정보의 경우 (x,y,w,h), 원형 좌표의 경우 (x,y,r)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영역의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을 수신한다.(S1140)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1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도 16a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1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도 16b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기울이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드래그 입력을 구분해주는 동작이 제1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x,y 방향의 이동인 경우를 가정해본다면,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을 구분해주는 입력으로써 원격제어장치의 제1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의 소정 동작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드래그 입력에 연속적인 동작으로써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는 드래그 입력과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에 각각 다른 버튼을 할당함으로써 두 동작을 더 명확히 구분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선택 영역의 깊이값을 추출한다.(S1150)
이 경우에, 깊이값의 추출은 선택 영역 내의 좌표에 대응하는 깊이값들을 좌표별로 직접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3D 영상의 전체 영역의 좌표별 깊이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깊이값을 전체 영역의 좌표별 깊이값으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영역의 깊이값을 변경하고,(S1160) 상기 변경된 깊이값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한다.(S117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배경과 소정 오브젝트 간의 입체감또는 소정 오브젝트의 돌출되어 보이는 정도를 가변하도록 도 15의 (a)와 같이 3D 깊이값을 감소시키거나, 도 15의 (b)와 같이 3D 깊이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깊이값 변경의 일예로 상기 3D 영상의 전체 영역의 좌표별 깊이값을 추출한 경우를 간단히 살펴본다면, 깊이값은 z(x,y)로 좌표별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5의 (a)와 같이 3D 깊이값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변경되는 깊이값 z'(x,y)은 0.5 * z(x,y)으로 변경될 수 있고, 도 15의 (b)와 같이 3D 깊이값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변경되는 깊이값 z'(x,y)은 2 * z(x,y)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0.5, 2와 같은 스케일링 팩터를 변경하고자 하는 좌표의 깊이값에 승산함으로써 깊이값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단계(S116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이동에 비례하도록 상기 깊이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이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1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도 16a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Q1 정도 멀어지거나 Q2 정도 접근하도록 이동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각각 Q1, Q2에 비례하도록 깊이값의 변경 정도를 결정하고 깊이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이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1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도 16b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기울이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단계(S116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제1 방향으로 기울이는 정도에 따라 상기 깊이값을 증가시키고, 제2 방향으로 기울이는 정도에 따라 상기 깊이값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한편, 깊이값의 변경량(q)은 상기 좌표 정보와 함께 내부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17은 선택 영역(1771)이 증가된 깊이값(df)을 가지고 더 돌출되어 보이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도 18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1810),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820), 상기 포인터를 이동하는 단계(S1830), 상기 이동한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을 중심으로 기준거리 내에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깊이값(depth)을 추출하는 단계(S18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9a와 도 19b와 같이, 포인터(205)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거리 내의 오브젝트가 선택되고, 해당 오브젝트의 깊이값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깊이값 추출 단계(S1840)는 상기 기준거리 내의 깊이값을 추출하여, 동일한 깊이값을 가지는 영역의 깊이값을 상기 오브젝트의 깊이값으로 추출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오브젝트 구별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동일한 깊이값을 가지는 경우에 하나의 오브젝트로 판별하고 선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9a와 같이, 2개의 오브젝트(1910, 1920) 중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되거나, 도 19b와 같이, 복수의 오브젝트(1930)가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오브젝트의 깊이값 변경 입력을 수신하면(S1850), 상기 오브젝트의 깊이값을 변경하고(S1860), 상기 변경된 깊이값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870)
한편, 도 20은 도 19a와 도 19b의 오브젝트 선택 및 깊이값 변경이 반영된 3D 영상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살펴보면, 선택된 오브젝트들(2010, 2020)이 각각 증가된 깊이값(dg, dh)을 가지고 더 돌출되어 보이게 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선택 영역을 지정하고 깊이값을 변경하나 본 실시예는 포인터가 위치한 오브젝트가 선택되어 깊이값이 변경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1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단계(S186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이동에 비례하도록 상기 깊이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또는,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입력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1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기울이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깊이값(depth) 변경 단계(S186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제1 방향으로 기울이는 정도에 따라 상기 깊이값을 증가시키고, 제2 방향으로 기울이는 정도에 따라 상기 깊이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2 내지 도 24는 도 21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2110),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2110), 상기 포인터를 이동하는 단계(S2130)를 포함한다.
이후 주시점(Convergence) 변경 입력을 수신한다.(S2140)
여기서, 상기 주시점(Convergence) 변경 입력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1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주시점 변경 입력시의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좌표에 기초하여 주시점을 변경하고,(S2150) 상기 변경된 주시점에 기초하여 깊이값(depth)을 재연산한다.(S2160)
이후, 상기 재연산된 깊이값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한다.(S2170)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의 전체적인 입체감을 가변하도록 도 22와 같이 주시점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사람이 지각하는 양안에 의한 입체감은 주시점(Convergence)에 의한 양안 시차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데,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좌표가 수직, 수평 방향으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오브젝트 좌표의 차이, 시차량을 조절하는 것이 주시점(Convergence) 변경에 해당할 수 있다.
사람의 두 눈은 좌우 눈동자를 움직여서 관측하고자 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시차량을 조절한다. 해당 오브젝트의 시차량이 0이 되었을 때 가장 편안하게 입체 영상을 관람할 수가 있다. 반면, 주시점(Convergence)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3D 영상이 겹쳐보이거나 흐릿하게 보이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시점 변경 단계(S2150)는 도 23과 같이,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좌표를 깊이값이 0인 기준점(2310)으로 지정할 수 있고, 기준점(2310)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영상의 깊이값을 재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점(2310)보다 앞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들은 더 돌출되어 보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깊이값(depth) 재연산 단계(S216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이동 정도에 비례하도록 깊이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주시점 변경에는 전체 좌표별 깊이값을 추출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3D 영상의 전체 좌표별 깊이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깊이값(depth) 재연산 단계(S2160)는, 도 24와 같이, 상기 전체 좌표별 깊이값에 동일한 값(d)을 가감하여 깊이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의 (a)와 같이 주시점을 변경하도록 깊이값 z'(x,y)은 z(x,y)-6으로 변경될 수 있고, 도 22의 (b)와 같이 주시점을 변경하도록 깊이값 z'(x,y)은 z(x,y)+6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6, +6과 같이 전체 영상의 깊이값에 동일한 값(d)을 가감하여 깊이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깊이값(Depth) 변경 영역을 직접 화면 위에 그리거나, 오브젝트 별로 선택 후 깊이값(Depth)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의 주시점(Convergence)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3D 영상의 설정을 간편하고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이동하는 단계;
    주시점(Convergence)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시점 변경 입력시의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좌표에 기초하여 주시점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주시점에 기초하여 깊이값(depth)을 재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재연산된 깊이값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시점(Convergence) 변경 입력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1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포인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값 재연산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이동에 비례하도록 상기 깊이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의 전체 좌표별 깊이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값 재연산 단계는, 상기 전체 좌표별 깊이값에 동일한 값을 가감하여 깊이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096433A 2011-09-23 2011-09-23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855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33A KR101855939B1 (ko) 2011-09-23 2011-09-23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13/587,540 US9024875B2 (en) 2011-09-23 2012-08-16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2183941.9A EP2574062A3 (en) 2011-09-23 2012-09-1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210359306.7A CN103024410B (zh) 2011-09-23 2012-09-24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433A KR101855939B1 (ko) 2011-09-23 2011-09-23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85A KR20130032685A (ko) 2013-04-02
KR101855939B1 true KR101855939B1 (ko) 2018-05-09

Family

ID=4711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433A KR101855939B1 (ko) 2011-09-23 2011-09-23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24875B2 (ko)
EP (1) EP2574062A3 (ko)
KR (1) KR101855939B1 (ko)
CN (1) CN1030244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8473A1 (en) 2014-09-22 2017-08-02 THOMSON Licensing Use of depth perception as indicator of search, user interest or preference
CN104703047B (zh) * 2015-03-23 2018-03-23 北京京东方多媒体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显示参数的方法、遥控器及显示装置
US10136124B2 (en) * 2015-04-27 2018-11-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ereoscopic display of objects
US10366536B2 (en) 2016-06-28 2019-07-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finite far-field depth perception for near-field objects in virtual environments
WO2019023852A1 (en) * 2017-07-31 2019-02-0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INTERACTION WITH THREE-DIMENSIONAL INTERNET CONTENT DISPLAYED ON A USER INTERFACE
CN107767412A (zh) * 2017-09-11 2018-03-06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装置
JP7134656B2 (ja) * 2018-03-15 2022-09-12 ソニー・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医療用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0549A1 (en) 2007-03-29 200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ynamic depth of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s
US20100080448A1 (en) * 2007-04-03 2010-04-01 Wa James Tam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difying depth maps
KR101000062B1 (ko) * 2010-04-21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6947A (ja) 2000-05-12 2001-11-22 Sony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US20040238732A1 (en) * 2001-10-19 2004-12-02 Andrei State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virtual convergence and head mountable display
CN101030321B (zh) * 2006-03-01 2011-05-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遥控器、影像设备、遥控方法及***
JP2010087298A (ja) * 2008-09-30 2010-04-15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00041006A (ko) 2008-10-13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멀티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KR101547151B1 (ko) * 2008-12-26 201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19980B1 (ko) 2010-06-22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EP2268045A1 (en) 2009-06-26 2010-12-29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1019154A2 (en) * 2009-08-14 2011-02-17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9681112B2 (en) * 2009-11-05 2017-06-1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631451B1 (ko) * 2009-11-16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307224B2 (en) 2009-11-23 2016-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GUI provid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CN101739804A (zh) 2009-11-27 2010-06-16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电视机遥控***
EP2561685A4 (en) * 2010-04-21 2013-10-09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US20120274626A1 (en) * 2011-04-29 2012-11-01 Himax Media Solutions, Inc. Stereoscopic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0549A1 (en) 2007-03-29 200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ynamic depth of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s
US20100080448A1 (en) * 2007-04-03 2010-04-01 Wa James Tam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difying depth maps
KR101000062B1 (ko) * 2010-04-21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76736A1 (en) 2013-03-28
EP2574062A3 (en) 2014-05-07
EP2574062A2 (en) 2013-03-27
CN103024410B (zh) 2015-11-18
US9024875B2 (en) 2015-05-05
CN103024410A (zh) 2013-04-03
KR20130032685A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05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55939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6327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0782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163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02949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06109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2566165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83684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1263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2948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4581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7880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2566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90323B1 (ko) 영상표시장치, 셋탑 박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6327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6327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82214B1 (ko)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68964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3060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788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9851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43875A (ko) 무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4742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2025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