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749B1 - Door fram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oor fram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749B1
KR101855749B1 KR1020120123010A KR20120123010A KR101855749B1 KR 101855749 B1 KR101855749 B1 KR 101855749B1 KR 1020120123010 A KR1020120123010 A KR 1020120123010A KR 20120123010 A KR20120123010 A KR 20120123010A KR 101855749 B1 KR101855749 B1 KR 101855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bright
outer frame
engaging por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0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5752A (en
Inventor
곽대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749B1/en
Publication of KR20140055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7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7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이트 몰딩의 장착이 간단하면서도 견고해짐과 동시에 브라이트 몰딩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은, 자동차의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하는 브라이트 몰딩이 결합되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브라이트 몰딩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어 제작되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어 제작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이트 몰딩이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rame of an automobile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bright molding, while being simple and robust in mounting the bright molding.
A door frame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otive door frame to which a bright molding for enhancing the appearance of an automobile is coupled. The door frame is manufactured by changing its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right molding. An inner frame coupled to the outer frame, the outer frame being formed in a shap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outer frame; Wherein the bright molding is directly mounted on the outer frame.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DOOR FRAME FOR VEHICLE}Door frame of a vehicle {DOOR FRAM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출 폭이 변화하는 브라이트 몰딩(bright molding)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자동차의 가변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rame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door frame of an automobile formed such that a bright molding having a varying exposure width is coupl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door frame)은 자동차의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창틀을 말한다. 즉,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은 도어 글라스(door glass)를 감싸도록 형성된 프레임이다. 나아가,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에는 도어 글라스 런(door glass run)이 장착되어 도어 글라스의 개폐를 가이드한다.Generally, a door frame of an automobile refers to a window frame attached to a door of an automobile. That is, the door frame of a car is a frame formed to surround a door glass. Furthermore, a door glass run is mounted on the door frame of the vehicle to guid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glass.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은 브라이트 몰딩(bright molding)과 결합된다. 여기서, 브라이트 몰딩은 자동차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써,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된다. 또한, 브라이트 몰딩은 자동차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door frame of the car is combined with bright molding. Here, the bright molding is a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utomobile, and is mounted outside the door frame of the automobile. Also, the bright molding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esigns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automobile.

종래에는 브라이트 몰딩의 형상에 따라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의 형상을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의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형상의 브라이트 몰딩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과 브라이트 몰딩의 사이에 플라스틱 결합부재가 배치됨으로써,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과 브라이트 몰딩의 결합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나아가, 리벳(rivet)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과 브라이트 몰딩을 직접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Conventionally, it has not been easy to change the shape of the door 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right molding. Further, additional components are required to engage the various types of bright moldings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door frame of an automobile. For example, the plastic coup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door frame of the automobile and the bright molding, so that the door frame of the automobile and the bright molding can be coupled. Furthermore, the door frame of the vehicle and the bright molding can be directly coupled using a coupling member such as a rivet.

하지만, 상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사용하게 되면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과 브라이트 몰딩의 결합을 위한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사용하더라도 형상이 상이한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과 브라이트 몰딩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However, using these additional components increases the cost of combining the door frame of the vehicle and the bright molding. Further, even using these additional components, there is a limitation in firmly bonding the door frame and the bright molding of automobiles of different shapes.

한편, 자동차의 디자인에 따라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및 도어 글라스는 복곡면(surface of nonzero Gaussian curvature)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브라이트 몰딩은 상기 복곡면에 따라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을 일으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 플라스틱 결합부재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브라이트 몰딩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브라이트 몰딩의 탄성변형이 용이하지 못하다. 즉,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과 브라이트 몰딩의 결합이 불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vehicle, the door frame and the door glass of the vehicle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surface of nonzero Gaussian curvature. At this time, the bright molding causes elastic deformation to be coupled with the door frame of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curved surface. However, when an additional component such as the plastic coupling member is mounted on the bright mold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bright molding is not easy. That is, the combination of the door frame of the vehicle and the bright molding may not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이트 몰딩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frame of an automobile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bright molding.

또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이 생략되고, 브라이트 몰딩의 장착이 간단하면서도 견고해질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door frame of a vehicle in which the additional components are omitted and the mounting of the bright molding is simple and robus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은, 자동차의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하는 브라이트 몰딩이 결합되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브라이트 몰딩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어 제작되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어 제작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이트 몰딩이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door frame for a vehicle, to which a bright molding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an automobile is coupled, An outer frame to be manufactured; An inner frame coupled to the outer frame, the outer frame being formed in a shap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outer frame; Wherein the bright molding is directly mounted on the outer frame.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패턴부 및 몰딩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부는 복수개의 웨더 스트립이 장착되도록 롤포밍되고, 상기 몰딩 장착부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이 직접적으로 장착되도록 상기 브라이트 몰딩의 형상에 따라 벤딩될 수 있다.The outer frame includes a pattern portion and a molding attaching portion, wherein the pattern portion is roll-formed to mount a plurality of weather strips, and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can be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right molding so that the bright molding is directly mounted .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부; 다른 웨더 스트립이 장착되도록 롤포밍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된 걸림부;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몰딩 장착부에 결합되도록 롤포밍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된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벤딩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몰딩 장착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벤딩될 수 있다.Wherein the inner frame includes: a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the outer frame; An engaging portion bent from the support portion by roll forming so as to mount another weather strip; And a coupling part bent from the supporting part by roll forming to be coupled to the molding mounting part of the outer frame. And the engaging portion may be bent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olded mounting portion of the outer frame that is bent.

상기 몰딩 장착부 및 상기 결합부가 설정길이를 갖도록 상기 몰딩 장착부의 일단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이 커팅되고, 상기 몰딩 장착부의 일단은 상기 결합부의 일단을 감싸면서 헤밍 결합되며, 상기 몰딩 장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설정길이는 상기 몰딩 장착부의 일단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이 헤밍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이트 몰딩이 직접적으로 장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are cut so that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have a set length, one end of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is hemming- The length may be set such that the bright molding is directly mounted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engagement portion are hemmingly coupled.

상기 몰딩 장착부의 일단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의 설정길이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의 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length of one end of the molding mounting part and one end of the engaging part may vary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right molding.

상기 브라이트 몰딩은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몰딩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The bright molding may be mounted on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by elastic deformation.

상기 몰딩 장착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는 실러가 도포될 수 있다.A sealer may be applied between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상기 몰딩 장착부의 일단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의 헤밍 결합 시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몰딩 장착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부를 가압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upport member for pressing the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when one end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re hemming-coupled.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결합부를 가압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걸림부가 부분적으로 절개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may be partially cut so that a space for supporting the engaging portion by the support member is secu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과 브라이트 몰딩의 결합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이 생략됨으로써 결합이 간단해지고 결합을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components for joining the door frame of the vehicle and the bright molding are omitted, so that the joining is simplified and the cost for the joining can be reduced.

또한,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의 가변 및 브라이트 몰딩의 탄성변형이 용이해짐에 따라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및 브라이트 몰딩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디자인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variable door frame of the automobile and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bright molding are facilitated, the freedom of design of the door frame and the bright molding of the automobile can be improved. Therefore, various designs of automobiles can be real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or frame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door frame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or frame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10)은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1)의 상단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10)은 전방 지주부(12), 후방 지주부(16) 및 루프부(1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door frame 10 of the automobile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door panel 1 constituting the door. Further, the door frame 10 includes a front support portion 12, a rear support portion 16, and a loop portion 14.

상기 전방 지주부(12)는 후방 지주부(16) 및 루프부(14)보다 상대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전방 지주부(12)는 상기 도어 패널(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The front support portion 12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automobile relative to the rear support portion 16 and the loop portion 14. Further, the front support portion 12 is arranged to extend upward from the door panel 1.

상기 후방 지주부(16)는 상기 전방 지주부(12)보다 상대적으로 자동차의 후방 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후방 지주부(16)는 상기 도어 패널(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The rear support portion (16)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automobile relative to the front support portion (12). Further, the rear support portion 16 is arranged to extend upward from the door panel 1.

상기 루프부(14)는 상기 전방 지주부(12) 및 상기 후방 지주부(16)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루프부(14)는 자동차의 루프(도시하지 않음)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지주부(12), 상기 후방 지주부(16) 및 상기 루프부(14)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전방 지주부(12), 상기 후방 지주부(16) 및 상기 루프부(14)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요소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 지주부(12), 상기 후방 지주부(16) 및 상기 루프부(14)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loop portion 14 is arrang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front support portion 12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16. Further, the loop portion 14 is disposed adjacent to a loop (not shown) of the automobile. Therefore, a space surrounded by the front support portion 12, the rear support portion 16, and the loop portion 14 is formed. Furthermore, at least two of the front support portion 12, the rear support portion 16, and the loop portion 14 may be integrally formed. Needless to say, the front support portion 12, the rear support portion 16, and the loop portion 14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간에는 도어 글라스(3)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자동차의 후방 도어에 구비된 도어 프레임(10)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2, a door glass 3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1, the door frame 10 provided in the rear door of the automobile i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자동차의 외부에서 바라본 도어 프레임(10)을 나타내며,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외측에는 브라이트 몰딩(20)이 장착된다.FIG. 1 shows a door frame 10 viewed from the outside of a vehicle, and a bright molding 20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frame 10.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은 자동차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써, 자동차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은 자동차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bright molding 20 is a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utomobile and is mounted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automobile. In addition, the bright molding 2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automobile.

도 1에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의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루프부(14) 및 후방 지주부(16)에 장착되는 U자 형상의 브라이트 몰딩(20)이 도시되었다. 또한,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가변된다. 즉,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의 형상이 변경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haped bright molding 20 mounted on a loop portion 14 and a rear support portion 16 of the door frame 10 in one embodiment of the bright molding 20, (20) is shown. Also, the width of the bright molding 20 va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in a U-shape. That is,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right molding 20 is ch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된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도어 프레임(10)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oor frame 10 in which the bright molding 20 manufactured in a complicated shape as shown in FIG. 1 can be easily mounted will be described.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는 차체(2) 및 도어 글라스(3)가 추가적으로 도시되었다. 즉, 도 2에는 자동차의 도어 및 도어 글라스(3)가 폐쇄된 상태가 도시되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the vehicle body 2 and the door glass 3 are additionally shown. That is,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automobile and the door glass 3 are clos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 및 도어 글라스(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10)은 차체(2) 및 도어 글라스(3)가 인접하도록 차체(2)와 도어 글라스(3)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10)과 상기 차체(2)의 사이 및 상기 도어 프레임(10)과 상기 도어 글라스(3)의 사이에는 웨더 스트립(30)이 배치된다.2,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automobile and the door glass 3 are closed, the door frame 10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2 and the door glass 3 so that the vehicle body 2 and the door glass 3 are adjacent to each other. 3). A weather strip 30 is disposed between the door frame 10 and the vehicle body 2 and between the door frame 10 and the door glass 3. [

상기 도어 프레임(10)은 아우터 프레임(100) 및 이너 프레임(110)을 포함한다.The door frame 10 includes an outer frame 100 and an inner frame 110.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은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이 자동차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의 일부분에 장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너 프레임(110)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의 일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된다.The outer frame 100 is disposed such that the bright molding 20 is mounted on a part of the outer frame 100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inner frame 110 is disposed relatively inward relative to a portion of the outer frame 100.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과 상기 이너 프레임(110)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이 장착되는 부분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의 일부분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의 일부분은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이너 프레임(110)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되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이 장착되는 부분의 강성을 증대시킨다.The outer frame 100 and the inner frame 110 are independently formed and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door frame 10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portion where the bright molding 20 is mounted can be improved. In detail, the bright molding 20 is directly mounted on a part of the outer frame 100, and a part of the outer frame 100 is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right molding 20. [ At this time, the inner frame 110 is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frame 100, and the rigidity of the portion where the bright molding 20 is mounted is increased by being coupled to the outer frame 100 .

상기 웨더 스트립(30)은 상기 도어 프레임(10)과 상기 차체의 사이에서 상기 차체(2)와 접촉되는 제1 차체 접촉부(32), 상기 제1 차체 접촉부(32)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서 상기 차체(2)와 접촉되는 제2 차체 접촉부(34),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자동차의 내측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10)을 덮는 내측 커버부(36) 및 상기 도어 프레임(10)과 상기 도어 글라스(3)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 글라스(3)와 접촉되는 도어 글라스 접촉부(3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차체 접촉부(32), 상기 제2 차체 접촉부(34), 상기 내측 커버부(36) 및 상기 도어 글라스 접촉부(38)는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프레임(10)에는 복수개의 웨더 스트립(32, 34, 36, 38)이 장착된다.The weather strip 30 includes a first body contacting portion 3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2 between the door frame 10 and the vehicle body, A second body contacting portion 34 in contact with the door frame 10 and an inner cover portion 36 covering the door frame 10 inside the automobile to prevent exposure of the door frame 10, And a door glass contact portion 38 contacting the door glass 3 between the door glass 3 and the door glass 3. The first body contacting portion 32, the second body contacting portion 34, the inner covering portion 36, and the door glass contacting portion 38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a plurality of weather strips 32, 34, 36, and 38 are mounted on the door frame 10.

여기서, 상기 웨더 스트립(30)은 자동차 외부의 공기나 소리가 들어오지 않도록 도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무 패킹을 말한다. 이러한 웨더 스트립(30)의 형상 및 기능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weather strip 30 refers to a rubber packing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door such that no air or sound is outside the automobile.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weather strip 30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those skilled in the art),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는 이너 프레임(110)과 결합되기 전의 아우터 프레임(100)이 도시되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 outer frame 100 before being coupled with the inner frame 110 is show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은 몰딩 장착부(102) 및 패턴부(10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outer frame 100 includes a molding mount 102 and a pattern unit 104.

상기 몰딩 장착부(102)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몰딩 장착부(102)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이 직접적으로 장착되도록 상기 브라이트 몰딩의 형상에 따라 벤딩(bending)된다.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102 is a portion where the bright molding 20 is mounted. In addition,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102 is bend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right molding so that the bright molding is directly mounted.

상기 몰딩 장착부(102)는 제1 커팅부(106)를 포함한다.The molding mounting portion 102 includes a first cutting portion 106.

상기 제1 커팅부(106)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의 폭에 따라 상기 몰딩 장착부(102)가 커팅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몰딩 장착부(102)의 일단은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의 폭에 따라 상기 몰딩 장착부(102)가 설정길이를 갖도록 커팅된다. 또한, 상기 몰딩 장착부(102)의 설정길이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의 폭에 따라 가변된다.The first cutting portion 106 is a portion where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102 is cut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right molding 20 which va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one end of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102 is cut so that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102 has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right molding 20. In addition, the set length of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102 varies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right molding 20. [

상기 패턴부(104)는 복수개의 웨더 스트립(34, 36, 38)이 장착되도록 롤포밍(roll forming)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패턴부(104)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의 강성을 고려하여 일정한 패턴에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롤포밍은 주로 복잡한 형상으로 구부러진 판을 가공하는 방법으로써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롤포밍에 의해 가공된 후 상기 몰딩 장착부(102)가 벤딩될 수 있다.The pattern unit 104 is a roll-formed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weather strips 34, 36, and 38 are mounted. In addition, the pattern unit 104 is 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in consideration of the rigidity of the outer frame 100. Here, the roll forming is a method of processing a bent plate mainly in a complicated shape, and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urthermore, after the entire shape of the outer frame 100 is processed by roll forming,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102 can be bent.

상기 몰딩 장착부(102) 및 상기 패턴부(104)는 이너 프레임 접촉면(108)을 포함한다.The molding mounting portion 102 and the pattern portion 104 include an inner frame contact surface 108.

상기 이너 프레임 접촉면(108)은 상기 몰딩 장착부(102) 및 상기 패턴부(104)가 상기 이너 프레임(110)에 각각 접촉되는 면이다. 즉, 상기 이너 프레임(110)은 상기 몰딩 장착부(102) 및 상기 패턴부(104)에 접촉되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에 결합된다.The inner frame contact surface 108 is a surface where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102 and the pattern portion 104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frame 110, respectively. That is, the inner frame 110 is coupled to the outer frame 100 while contacting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102 and the pattern portion 10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프레임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 프레임(110)은 지지부(112), 걸림부(116) 및 결합부(114)를 포함한다.4, the inner frame 110 includes a supporting portion 112, a locking portion 116, and a coupling portion 114. [

상기 지지부(112)는 상기 이너 프레임(110)이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112)는 상기 패턴부(104)의 이너 프레임 접촉면(108)에 접촉된다.The support portion 112 is a portion where the inner frame 110 is supported by the outer frame 100. The support portion 11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frame contact surface 108 of the pattern portion 104.

상기 걸림부(116)는 상기 지지부(112)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16)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장착된 복수개의 웨더 스트립(34, 36, 38) 이외의 웨더 스트립(32)이 장착되도록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116)에 의해 상기 이너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웨더 스트립(32)은 상기 제1 차체 접촉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걸림부(116)는 롤포밍에 의해 형성된다.The latching portion 116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support portion 112. The catching portion 116 is bent so that a weather strip 32 other than a plurality of weather strips 34, 36, and 38 attached to the outer frame is mounted. Here, the weather strip 32 mounted on the inner frame 110 by the engagement portion 116 may include the first body contacting portion 32. Further, the engaging portion 116 is formed by roll forming.

상기 결합부(114)는 상기 지지부(112)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이너 프레임(110)은 상기 지지부(112)로부터 상기 걸림부(116) 및 상기 결합부(114)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U자 형상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부(114)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의 몰딩 장착부(102)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114)는 상기 벤딩된 몰딩 장착부(102)의 형상에 따라 벤딩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114)의 벤딩은 상기 이너 프레임(110)의 전체적인 형상이 롤포밍에 의해 가공된 후 수행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114 extends from the support portion 112 by bending. The inner frame 110 may have a U-shape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116 and the engaging portion 114 extend from the supporting portion 112 in the same direction. Further, the coupling portion 114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102 of the outer frame 100. That is, the coupling portion 114 is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ending molding mounting portion 102. The bending of the coupling portion 114 may be performed after the overall shape of the inner frame 110 is processed by roll forming.

상기 결합부(114)는 제2 커팅부(118)를 포함한다.The engaging portion 114 includes a second cutting portion 118.

상기 제2 커팅부(118)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의 폭에 따라 상기 결합부(114)가 커팅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결합부(114)의 일단은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의 폭에 따라 상기 결합부(114)가 설정길이를 갖도록 커팅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14)의 설정길이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의 폭에 따라 가변된다.The second cutting portion 118 is a portion where the engaging portion 114 is cut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right molding 20 that va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one end of the coupling part 114 is cut so that the coupling part 114 has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right molding 20. In addition, the set l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114 varies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right molding.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아우터 프레임(100)과 이너 프레임(110)의 결합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bination of the outer frame 100 and the inner frame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는 아우터 프레임(100)과 이너 프레임(110)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었다.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door frame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and 6, a state in which the outer frame 100 and the inner frame 110 are combined is show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프레임(10)은 헤밍 결합부(120), 실러 도포부(140) 및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6, the door frame 10 includes a hemming engagement portion 120, a sealer application portion 140, and a support member 130. As shown in FIG.

상기 헤밍 결합부(120)는 커팅된 상기 몰딩 장착부(102)의 일단 및 상기 결합부(114)의 일단이 헤밍(hemming)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몰딩 장착부(102)의 일단은 상기 결합부(114)의 일단을 감싸면서 헤밍 결합된다. 여기서, 헤밍 결합은 하나의 판이 다른 하나의 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결합하는 가공법을 말한다. 이러한 헤밍 결합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hemming joining portion 120 is a portion where one end of the molded mounting portion 102 and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14 are joined by hemming. In addition, one end of the molding mounting part 102 is hemmingly coupled with one end of the coupling part 114. Here, hemming bonding refers to a processing method in which one plate surrounds the edge of another plate and joins them. This hemming combination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한편, 상기 몰딩 장착부(102) 및 상기 결합부(114)의 설정길이는 상기 몰딩 장착부(102)의 일단과 상기 결합부(114)의 일단이 헤밍 결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몰딩 장착부(102)의 일단과 상기 결합부(114)의 일단이 헤밍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이 상기 몰딩 장착부(102)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The set length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102 and the fitting portion 114 is set so that one end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102 and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14 are joined by hemming, And the length of the braid molding 20 is set to a length at which the braid molding 20 can be directly mounted on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102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14 and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14 are hemming-

다시 말해,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의 형상이 가변되고, 상기 가변되는 브라이트 몰딩(20)의 단면의 형상에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형상이 가변됨으로써 상기 브라이트 몰딩(20)이 상기 도어 프레임(10)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right molding 20 is vari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door frame 10 is var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variable brightness molding 20, 20 can be directly mounted on the door frame 10.

상기 실러 도포부(14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과 상기 이너 프레임(110) 사이에 실러(sealer)가 도포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실러는 상기 몰딩 장착부(102)의 이너 프레임 접촉면(108)과 상기 결합부(114)의 사이에 도포된다. 한편, 상기 몰딩 장착부(102) 및 상기 결합부(114)의 벤딩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과 상기 이너 프레임(110)의 헤밍 결합에 선행되거나 후행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러 도포부(140)에 도포된 실러는 상기 몰딩 장착부(102) 및 상기 결합부(114)의 벤딩 또는 헤밍 시,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과 상기 이너 프레임(110)의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슬립을 방지한다.The sealer applying unit 140 is a portion to which a sealer is applied between the outer frame 100 and the inner frame 110. Further, the sealer is applied between the inner frame contact surface 108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102 and the engaging portion 114. The bending of the molding attaching portion 102 and the engaging portion 114 may precede or follow the hemming connection of the outer frame 100 and the inner frame 110. The sealer applied to the sealer applying unit 140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outer frame 100 and the inner frame 110 when the molding attaching unit 102 and the engaging unit 114 are bent or hemmed. Prevent possible slip.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몰딩 장착부(102)의 일단 및 상기 결합부(114)의 일단의 헤밍 결합 시에 상기 결합부(114)가 상기 몰딩 장착부(102)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부(114)를 가압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100)과 상기 이너 프레임(110)의 결합이 완료된 후 제거된다.The supporting member 1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4 so that the coupling part 11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olding mounting part 102 when one end of the molding mounting part 102 and one end of the coupling part 114 are hemming- ). Also, the support member 130 is removed after the outer frame 100 and the inner frame 110 are coupl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 프레임(110)은 절개부(119)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inner frame 110 includes a cutout 119.

상기 절개부(119)는 상기 걸림부(116)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119)는 상기 지지부재(130)가 상기 결합부(114)를 가압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걸림부(116)가 부분적으로 절개된 부분이다. 나아가, 상기 절개부(119)는 상기 이너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걸림부(116)가 일변이 개구된 사각형으로 절개됨으로써 형성된 상기 절개부(119)가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ut-out portion 119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116. The cutout portion 119 is a portion where the engaging portion 116 is partially cut so as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130 presses the engaging portion 114. Further, a plurality of cutouts 119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110. 5, the cutout portion 119 formed by cutting the engaging portion 116 into a square having one open side i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은 상기 절개부(119)를 지나는 B-B 선을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10)이 절개된 단면도이다. 따라서, 도 6에는 상기 걸림부(116)가 생략되었다. 또한, 도 6에는 아우터 프레임(100)과 이너 프레임(11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상기 지지부재(130)가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단면도에 추가적으로 도시되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frame 10 along the line B-B passing through the cutout 119. As shown in FIG. 6, the engaging portion 116 is omitted. 6, the support member 130 for facilitating the engagement of the outer frame 100 and the inner frame 110 is additionally shown in the sectional view of the door frame 1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10)과 브라이트 몰딩(20)의 결합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이 생략됨으로써 결합이 간단해지고 결합을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10)의 가변 및 브라이트 몰딩(20)의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 용이해짐에 따라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10) 및 브라이트 몰딩(20)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디자인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dditional components for joining the door frame 10 and the bright molding 20 of the automobile are omitted, the joining can be simplified and the cost for the joining can be reduced. Further, since the variable door frame 10 of the automobile and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bright molding 20 are facilitated, the freedom of design of the door frame 10 and the bright molding 20 of the automobile can be improved . Therefore, various designs of automobiles can be realized.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1: 도어 패널 2: 차체
3: 도어 글라스
10: 도어 프레임 12: 전방 지주부
14: 루프부 16: 후방 지주부
20: 브라이트 몰딩
30: 웨더 스트립 32: 제1 차체 접촉부
34: 제2 차체 접촉부 36: 내측 커버부
38: 도어 글라스 접촉부
100: 아우터 프레임 102: 몰딩 장착부
104: 패턴부 106: 제1 커팅부
108: 이너 프레임 접촉면
110: 이너 프레임 112: 지지부
114: 결합부 116: 걸림부
118: 제2 커팅부 119: 절개부
120: 헤밍 결합부 130: 지지부재
140: 실러 도포부
1: Door panel 2: Body
3: Door glass
10: door frame 12: front edge housewife
14: Loop part 16:
20: Bright molding
30: weather strip 32: first body contacting portion
34: second body contacting portion 36: inner cover portion
38: Door glass contact
100: outer frame 102: molding mounting part
104: pattern part 106: first cutting part
108: Inner frame contact surface
110: Inner frame 112: Support
114: engaging portion 116: engaging portion
118: second cutting portion 119: cutting portion
120: Hemming joint 130: Support member
140: sealer application part

Claims (9)

자동차의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하는 브라이트 몰딩이 결합되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브라이트 몰딩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어 제작되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어 제작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이트 몰딩이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패턴부 및 몰딩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부는 복수개의 웨더 스트립이 장착되도록 롤포밍되고,
상기 몰딩 장착부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이 직접적으로 장착되도록 상기 브라이트 몰딩의 형상에 따라 벤딩되며,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부;
다른 웨더 스트립이 장착되도록 롤포밍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된 걸림부;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몰딩 장착부에 결합되도록 롤포밍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절곡된 결합부;
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벤딩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몰딩 장착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벤딩되며,
상기 몰딩 장착부 및 상기 결합부가 설정길이를 갖도록 상기 몰딩 장착부의 일단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이 커팅되고,
상기 몰딩 장착부의 일단은 상기 결합부의 일단을 감싸면서 헤밍 결합되며,
상기 몰딩 장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설정길이는 상기 몰딩 장착부의 일단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이 헤밍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이트 몰딩이 직접적으로 장착되도록 설정되되,
상기 몰딩 장착부의 일단 및 상기 결합부의 일단의 헤밍 결합 시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몰딩 장착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부를 가압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A door frame of a vehicle to which a bright molding for enhancing the appearance of an automobile is coupled,
An outer frame which is manufactured by changing its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right molding; And
An inner frame coupled to the outer frame, the inner frame being formed to have a different shape according to a shape of the outer frame;
≪ / RTI >
The bright molding is formed to be directly mounted on the outer frame,
Wherein the outer frame includes a pattern portion and a molding mounting portion,
The pattern portion is roll-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weather strips are mounted,
The molding mounting part is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right molding so that the bright molding is directly mounted,
In the inner frame,
A supporting part supported on the outer frame;
An engaging portion bent from the support portion by roll forming so as to mount another weather strip; And
A coupling part bent from the supporting part by roll forming to be coupled to the molding mounting part of the outer frame;
, ≪ / RTI &
The coupling portion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of the outer frame bent,
One end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are cut so that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have a set length,
Wherein one end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is hemming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set length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set such that the bright molding is directly mounted when one end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are hemmingly couple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member for pressing th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when one end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are hemming-enga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장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설정길이는 상기 브라이트 몰딩의 폭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t length of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variable according to a width of the bright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이트 몰딩은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몰딩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ight molding is mounted to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by elastic de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장착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는 실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aler is applied between the molding mount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결합부를 가압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걸림부가 부분적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partially cut so that a spac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presses the engaging portion is secured.
KR1020120123010A 2012-11-01 2012-11-01 Door frame for vehicle KR1018557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010A KR101855749B1 (en) 2012-11-01 2012-11-01 Door fram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010A KR101855749B1 (en) 2012-11-01 2012-11-01 Door fram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752A KR20140055752A (en) 2014-05-09
KR101855749B1 true KR101855749B1 (en) 2018-05-09

Family

ID=5088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010A KR101855749B1 (en) 2012-11-01 2012-11-01 Door fram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7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77B1 (en) 2014-09-26 2016-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frame for vehicle with high anticorrosion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64083B1 (en) 2015-07-14 2016-10-2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Vehicle door molding structure
KR20220087999A (en) 2020-12-18 2022-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for frame f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35B1 (en) * 2006-11-08 2008-01-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xing structure of door and bright molding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35B1 (en) * 2006-11-08 2008-01-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xing structure of door and bright molding for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752A (en)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6143B2 (en) Joint structure of door edge member
RU2753009C2 (en) Sealing and decorative mounting kit for the window edge of an automobile vehicle
KR101518912B1 (en) Door frame for vehicle
KR101518908B1 (en) Door frame for vehicle
JP2012240454A (en) Fixing molding and fixing structure for vehicle cowl louver
KR101855749B1 (en) Door frame for vehicle
JP6373619B2 (en) Vehicle mall
KR101518906B1 (en) Door frame for vehicle
JP5860967B2 (en) Vehicle door
KR20160028257A (en) Weather strip structure of door for vehicle
US10202086B2 (en) Tailgate
CN110893747B (en) Vehicle window assembly and vehicle
JP6107288B2 (en) Vehicle door frame molding
JP2007168654A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6051918B2 (en) Vehicle door sash structure
WO2015046146A1 (en) Vehicle door molding connection structure
JP4008218B2 (en) Panel seal structure
JP2015193275A (en) Vehicle door structure
JP5461257B2 (en) Car door structure
JP6081717B2 (en) Vehicle door frame
JP5243994B2 (en) Door molding mounting structure
JP2009119966A (en) Door sash structure for vehicle
JP5785068B2 (en) Division bar
KR102039896B1 (en) cowl grille for automobile
KR20220009978A (en) Outer sealing strip with adaptive tri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