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586B1 - 낚시찌 높이 조절구 - Google Patents

낚시찌 높이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586B1
KR101854586B1 KR1020180007124A KR20180007124A KR101854586B1 KR 101854586 B1 KR101854586 B1 KR 101854586B1 KR 1020180007124 A KR1020180007124 A KR 1020180007124A KR 20180007124 A KR20180007124 A KR 20180007124A KR 101854586 B1 KR101854586 B1 KR 101854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fishing
fastening
induc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용
백일근
Original Assignee
신태용
백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용, 백일근 filed Critical 신태용
Priority to KR102018000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줄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도록 경사면에 제1유도로가 형성된 헤드부와 수평면에 제2유도로가 형성된 바텀부로 구비되는 조절구를 통해 낚시줄을 제동하여, 상기 조절구에 연결된 낚시찌가 수심(水深)에 따라 자동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두부와 후두부 사이에 구비되어 조절구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제동추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전두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전두부 쪽에 인접하여 상기 경사면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낚시추에 연결되는 낚시줄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1유도로; 상기 헤드부의 하방에 관통된 개방부 양쪽으로 구비되고, 낚시찌가 연결되는 찌연결구가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접하여 상기 헤드부에 대향(對向) 구비된 바텀부; 상기 바텀부의 가운데 부위에 수평면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도로를 통과한 낚시줄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2유도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찌 높이 조절구{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FLOAT}
본 발명은 낚시찌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낚시줄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도록 경사면에 제1유도로가 형성된 헤드부와 수평면에 제2유도로가 형성된 바텀부로 구비되는 조절구를 통해 낚시줄을 제동하여, 상기 조절구에 연결된 낚시찌가 수심(水深)에 따라 자동으로 그 높이가 조절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낚시 방법이나 대상어의 습성, 기상, 물때, 조류의 흐름 등에 따라 설정하는 이른바, 낚시대와 릴을 기본으로 낚시줄, 찌, 바늘, 추 등 다수의 낚시 도구(이를 "채비"라고도 한다.)를 준비해야 하고, 그 중에서도 찌(이를 "낚시찌"라고도 한다.)의 기능적 역할은 물고기의 입질을 전달해 주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기에 낚시인들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레저(Leisure) 차원에서 낚시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고급화된 낚시 채비가 개발되고 있고, 반면에 초보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저렴하고 다양한 낚시 채비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5440호(2012년 09월 18일)로 등록된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이를 '문헌 1'이라 한다.)가 이미 널리 알려져있다.
상기 문헌 1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면, 낚싯대와 연결되는 낚싯줄(1)의 단부에 봉돌(2)이 연결되고, 상기 낚싯줄(1)에 연결되며 상기 봉돌(2)에 의하여 수면에 세워지는 낚시찌(3)와 연결되어 물 깊이에 따라 낚시찌(3)를 조절하는 낚싯줄 제동구에 있어서, 내측에 낚싯줄(1)이 삽입되도록 일측에서 하측으로 삽입공(11)이 천공되고, 상측에 낚시찌(3)가 연결되며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구(10)와; 상기 회전구(1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힌지연결되며, 낚싯줄(1)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수직으로 천공된 수직공(21)이 형성된 고정본체(20)와; 상기 고정본체(20)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봉돌(2)과 연결되는 낚싯줄(1)을 가압하는 링형상의 압박오링(30)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 1은 낚싯줄(1)을 가압하여 제동 즉, 밀착 고정시켜 주는 장점은 있으나, 이와는 달리 회전구(10)의 일측 하측에 고정본체(20)의 상측에서 회전되도록 곡면 형상으로 돌출된 브레이크안착구(12)와 그 하측에 회전구(10)가 상측으로 회전시 낚싯줄(1)을 밀착시켜 고정시켜 주는 브레이크고무(13)에 의해 자칫, 상기 회전구(10)가 제대로 회전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고무(13)에 밀착된 낚싯줄(1)에 의해 상기 회전구(10)에 연결된 낚시찌(3)가 수면으로 올라오지 못하는 예컨대, 상승 작용의 기술적인 한계성을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절구는 낚시줄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도록 경사면에 제1유도로가 형성된 헤드부와 수평면에 제2유도로가 형성된 바텀부로 구비되고, 상기 제1유도로와 제2유도로의 기울기 제어에 의해 낚시줄을 제동하여, 상기 조절구에 연결된 낚시찌가 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는 전두부와 후두부 사이에 구비되어 조절구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제동추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전두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된 헤드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전두부 쪽에 인접하여 상기 경사면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낚시추에 연결되는 낚시줄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1유도로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하방에 관통된 개방부 양쪽으로 구비되고, 낚시찌가 연결되는 찌연결구가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 접하여 상기 헤드부에 대향(對向) 구비된 바텀부; 상기 바텀부의 가운데 부위에 수평면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도로를 통과한 낚시줄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2유도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절구에 구비된 제1유도로와 제2유도로의 기울기 제어에 의해 낚시줄을 제동하여, 상기 조절구에 연결된 낚시찌의 높이를 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여 맞춰 줄 수 있기 때문에 낚시 초보자들에게는 번거로움을 해소시켜 주고, 나아가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구는 바다, 강,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물의 빠른 유속이나 강한 바람 등의 외부적인 환경 영향을 받지 않고 낚시찌의 수면 노출을 초기 셋팅(Setting)된 그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구를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A-A 절단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조절구에 찌연결고리와 제동추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조절구에 찌연결고리와 제동추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있어서, 조절구의 제1 및 제2유도로에 낚시줄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 있어서, 낚시찌가 연결된 조절구가 낚시추의하중에 의해 물속에 투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에 있어서, 조절구의 제1 및 제2유도로의 기울기 제어에 의해 낚시줄이 제동되어 낚시찌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높이 조절을 위한 장치의 조절구를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8에 있어서, A-A 절단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8에 있어서, 조절구에 찌연결고리와 제동추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도면이다.
도 11 본 발명에 따른 도 10에 있어서, 조절구에 찌연결고리와 제동추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1에 있어서, 조절구의 제1 및 제2유도로에 낚시줄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에 있어서, 낚시찌가 연결된 조절구가 낚시추의 하중에 의해 물속에 투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3에 있어서, 조절구의 제1 및 제2유도로의 기울기 제어에 의해 낚시줄이 제동되어 낚시찌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 및 도 8에 있어서, B-B 절단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일실시 사례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에 나타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낚시찌 높이 조절구에 대해 그 일실시 사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헤드(Head)부(130)와 지지부(120) 및 바텀(Bottom)부(140)가 일체화되도록 조절구(100, 100a)를 성형하고, 상기 지지부(120)에 구비된 체결공(12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찌연결구(200)를 통해서 낚시찌(600)가 연결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구(100, 100a)는 낚시줄(500)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도록 경사면(133)에 제1유도로(135)가 형성된 헤드부(130)와 수평면(141)에 제2유도로(142)가 형성된 바텀부(140)로 구비되고, 상기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 제어에 의해 낚시줄(500)을 제동하여, 상기 조절구(100, 100a)에 연결된 낚시찌(600)가 수심(水深) 즉, 물의 깊이에 따라 자동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낚시줄(500)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에는 상기 낚시줄(500)이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점(P1, P2)과 제동점(Q1, Q2)을 각각 생성시켜 주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에 대해 첨부된 도 1, 도 2 및 도 8, 도 9를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두(前頭)부(131)와 후두(後頭)부(132) 사이에 돌출 구비되어 조절구(100, 100a)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제동추(320)가 체결되는 체결부(110, 110a)를 경계로 하여, 상기 전두부(131)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133)이 형성된 헤드부(130)가 구성된다.
상기 경사면(133)은 원형 또는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가능하고, 첨부된 도 1, 도 2 및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중심 즉, 체결공(121)의 중심(y1)과 76 °(도)가 되도록 경사각(u1)을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예컨대 1호 줄에 가까운 가는 낚시줄(500)을 사용할 경우에는 68 내지 80°(도)의 경사각(u1)으로 형성시켜 주고, 또한 5호 줄에 가까운 굵은 낚시줄(500)을 사용할 경우에는 72 내지 84°(도)의 경사각(u1)으로 형성시켜 주되,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사각(u1)은 1호 줄 내지 5호 줄의 낚시줄(500)을 사용하여 제동 작용이 가능하도록 68 내지 84°(도)로 형성시켜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각(u1)의 유지를 위해 첨부된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텀부(140)에 구비된 수평면(141)을 기준으로 헤드부(130)에 구비된 경사면(133)의 하부면(133a)과 수평면(134)의 하부면(134a)까지의 간격을 보면, 전두부(131) 쪽의 전두간격(d1)이 후두부(132) 쪽의 후두간격(d2)보다 더 짧게(d1<d2) 되도록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헤드부(130)는 수평면(134)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기존의 경사면(133)을 후두부(132) 쪽으로 확장시킨 경사면(133')을 형성시켜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실시 사례로 상기 헤드부(130)의 전두부(131)와 후두부(132) 사이 예컨대, 경사면(133)과 수평면(134)의 경계 부위에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두부(132) 쪽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면(134)과 수직으로 체결공(111)이 형성된 체결부(110)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10)의 체결공(111)에 체결부재(310)를 통해 체결되는 제동추(320)는 그 하중에 의해 체결공(121)에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중심으로 조절구(100)를 헤드부(120) 쪽으로 회동시켜,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체결부(110)를 경계로 하여 후두부(132) 쪽 예컨대, 수평면(134) 쪽에 위치하도록 체결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동추(320)는 체결부재(310)에 구비된 수나사부(311)에 암나사부(321)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거나, 또는 상기 체결부재(310)가 무나사부로 구비된 경우에는 억지 끼워 맞춤으로 고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동추(320)는 그 하중에 의해 첨부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구(100)에 구비된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 제어에 따른 낚시줄(500)을 제동시켜 주기 위해 지지부(120)의 체결공(12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기준으로 제동각(θ2) 생성에 보조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2실시 사례로 상기 헤드부(130)의 전두부(131)와 후두부(132) 사이 예컨대, 경사면(133)과 수평면(134)의 경계 부위에는 첨부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두부(132) 쪽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면(134)과 수직으로 체결부(110a)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10a)에 체결되는 제동추(320)는 그 하중에 의해 체결공(121)에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중심으로 조절구(100a)를 헤드부(120) 쪽으로 회동시켜,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체결부(110a)와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체결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동추(320)는 체결부(110a)에 구비된 수나사부(112)에 암나사부(321)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거나, 또는 상기 체결부(110a)가 무나사부로 구비된 경우에는 억지 끼워 맞춤으로 고정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동추(320)는 그 하중에 의해 첨부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구(100a)에 구비된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 제어에 따른 낚시줄(500)을 제동시켜 주기 위해 지지부(120)의 체결공(12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기준으로 제동각(θ2) 생성에 보조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부(130)의 전두부(131) 쪽에 인접하여 상기 경사면(133)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낚시추(이를 "봉돌"이라고도 함.)(700)에 연결되는 낚시줄(500)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1유도로(135)가 구성된다.
상기 제1유도로(135)는 인입 통과하는 낚시줄(500)에 대한 마찰력의 생성을 위한 수단으로 첨부된 도 1, 도 2 및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중심 즉, 체결공(121)의 중심(y1)과 14 °(도)가 되도록 기울기각(θ1)을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예컨대 1호 줄에 가까운 가는 낚시줄(500)을 사용할 경우에는 10 내지 16°(도)의 기울기각(θ1)으로 형성시켜 주고, 또한 5호 줄에 가까운 굵은 낚시줄(500)을 사용할 경우에는 12 내지 18°(도)의 기울기각(θ1)으로 형성시켜 주되,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기울기각(θ1)은 사용하는 낚시줄(500)을 고려하여 제동 작용이 가능하도록 10 내지 18°(도)로 형성시켜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1유도로(135)의 입구에는 사용 빈도가 많은 낚시줄(500)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굴곡부(510)에 대해 제1유도로(135)에 인입을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나팔 또는 깔때기 형상의 보조안내구(도시 생략함.)를 추가로 형성시켜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부(130)의 하방(下方)에 전두부(131) 쪽과 후두부(132) 쪽이 서로 통하도록 관통된 개방부(150) 양쪽으로 구비되고, 낚시찌(600)가 연결되는 찌연결구(200)가 체결축(210)을 통해 체결되도록 체결공(121)이 형성된 지지부(1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0)에는 첨부된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구(100, 100a)의 전장(全長)(L0)대비 5등분(L1 내지 L5) 한 상태에서 바텀부(140) 쪽으로부터 L2 내지 L4 영역에 체결공(121)을 형성시킨 구성으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체결공(121)은 앞에서 언급한 L2 내지 L4 영역 내에서 그 위치를 다르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시켜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공(121)에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중심으로 조절구(100, 100a)가 제동추(320)의 하중에 의한 영향을 받아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 제어에 유용한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부(120)는 헤드부(130)의 전두부(131) 쪽은 제2유도로(135) 쪽으로 경사지게 바텀부(140)의 수평면(141)에 접하도록 형성하고, 헤드부(130)의 후두부(132) 쪽은 수평면(134)과 직각되게 바텀부(140)의 수평면(141)에 접하도록 형성시켜 주게 된다.
이는 상기 지지부(120)의 체결공(121)을 기준으로 바텀부(140)보다 헤드부(120) 쪽에 무게가 더 실리도록 하여 제동추(320)의 하중에 의한 영향을 받아 조절구(100, 100a)의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 제어에 유용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공(121)에 체결된 찌연결구(200)는 첨부된 도 6, 도 7 및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핀(Pin) 등으로 구비된 연결수단(620) 및 연결고리(610)를 통해서 낚시찌(600)를 조절구(100, 100a)에 연결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120)에 접하여 상기 헤드부(130)에 대향(對向) 구비된 바텀(Bottom)부(140)와 상기 바텀부(140)의 가운데 부위에 수평면(141)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도로(135)를 통과한 낚시줄(500)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2유도로(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텀부(300)는 첨부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2유도로(142)는 첨부된 도 1, 도 2 및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공(121)의 중심(y1)과 후두부(132) 쪽으로 이격간격(d3)을 두고 형성시킨 구성으로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낚시줄(500)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길이(h1, h2) 및 그 내경(φ1, φ2)은 첨부된 도 1, 도 2 및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하게 형성되고(h1=h2, φ1=φ2), 이때 상기 내경(φ1, φ2)은 0.2 내지 0.8mm로 형성시킨 구성으로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에는 첨부된 도 5, 도 7 및 도 12,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500)이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점(P1, P2)과 제동점(Q1, Q2)을 생성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내경(φ1, φ2)은 0.5mm로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조절구(100, 100a)에 사용되는 낚시줄(500)의 호수 예컨대, 1호 줄 내지 5호 줄의 굵기에 따른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를 통과할 때의 마찰력 발생과 함께 낚시줄(500)의 제동각(θ2) 생성 작용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0.2 내지 0.8mm로 형성시켜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줄(500)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 사이에는 첨부된 도 5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낚시줄(500)이 접촉되는 마찰점(P1, P2)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각(k1, k2)이 둔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낚시줄(500)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1유도로(135)의 하단 내면에 상기 낚시줄(500)이 접촉되는 제1마찰점(P1)을 기준으로 145 °(도)의 제1유도각(k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조절구(100, 100a)에 사용되는 낚시줄(500)의 호수 예컨대, 1호 줄 내지 5호 줄의 굵기에 따른 제1유도로(135)를 통과할 때 마찰력 발생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130 내지 160 °(도)의 제1유도각(k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유도로(135)를 통과한 낚시줄(500)이 접촉되는 제2유도로(142)의 상단 내면의 제2마찰점(P2)을 기준으로 130 °(도)의 제2유도각(k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찬가지로 조절구(100, 100a)에 사용되는 낚시줄(500)의 호수 예컨대, 1호 줄 내지 5호 줄의 굵기에 따른 제2유도로(142)를 통과할 때 마찰력 발생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115 내지 145 °(도)의 제2유도각(k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보면,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헤드부(130) 쪽에 형성되는 제1유도각(k1)은 바텀부(140) 쪽에 형성되는 제2유도각(k2)보다 더 크게(k1>k2)하여 주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유도각(k2)보다 더 크게 형성시킨 제1유도각(k1)에 의해 즉, 완만한 꺾임 각을 주도록 하여 제1유도로(135)의 마찰력은 제2유도로(142)보다 작게 되어 사용빈도가 많은 낚시줄(500)에서 자주 발생하는 굴곡부(510)에 대한 제2유도로(142)에 인입 통과를 용이하게 하고, 더 나아가 첨부된 도 6 및 도 13의 화살표(가)와 같이 낚시줄(500)로 하여금 낚시추(700)의 하중에 의해 물속에서 지면(800) 쪽으로의 이동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구(100, 100a)와 낚시찌(600)의 합산 부력은 낚시추(700)의 하중과 1:1 비로 매칭(Matching)되도록 구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낚시채비 준비과정에서 낚시찌(600)가 연결된 조절구(100, 100a)를 낚시줄(500)에 연결된 낚시추(700) 쪽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첨부된 도 6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속으로 투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낚시찌(600)의 몸체 상측에 통공(631)을 통해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진 찌부력계(630)는 그 자체 부력에 의해 수면(900) 위로 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찌부력계(630)의 통공(631)에 낚시찌(600)의 상단에 구비된 보기찌(601) 예컨대, 인디케이터(Indicator) 부분이 걸려 결국, 상기 낚시찌(600)는 물속의 지면(800) 쪽으로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낚시추(700)는 그 하중에 의해 화살표(가)와 같이 지면(800) 쪽으로 내려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조절구(100, 100a)와 낚시찌(600)의 합산 부력과 낚시추(700)의 하중은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예컨대, 첨부된 도 7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합산 부력에 의해 화살표(나)와 같이 조절구(100, 100a)와 낚시찌(600)가 수면(900)으로 올라 갈려는 힘과 상기 하중에 의해 화살표(가)와 같이 낚시추(700)가 물속의 지면(800) 쪽으로 내려 갈려는 힘과의 상호 반작용을 거듭하면서, 상기 낚시줄(500)이 낚시추(700)의 하중에 의해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를 통과하면서 내려가게 되고, 마침내 상기 낚시추(700)가 지면(800)에 닿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낚시추(700)가 지면(800)에 닿게 되면 조절구(100, 100a)와 낚시찌(600)의 합산 부력이 0으로 되어 상기 조절구(100, 100a)는 제동추(320)의 무게에 의해 화살표(다)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1유도로(135)에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낚시줄(500)은 상기 제1유도로(135)의 하단 내면의 제1마찰점(P1)을 기점으로 상단 내면의 제1제동점(Q1)에 접촉됨과 함께 지지부(120)의 체결공(12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기준으로 1 내지 7°(도)의 제동각(θ2)을 생성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제2유도로(142)에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낚시줄(500)도 상기 제2유도로(142)의 상단 내면의 제2마찰점(P2)을 기점으로 하단 내면의 제2제동점(Q2)에 접촉된과 함께 지지부(120)의 체결공(12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기준으로 1 내지 7°(도)의 제동각(θ2)을 생성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110, 110a)에 체결된 제동추(320)의 무게에 의해 조절구(100, 100a)를 화살표(다) 방향으로 보다 확실하게 회동시켜 주는 보조 작용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 제어를 통해 낚시줄(500)의 제동각(θ2) 생성에 기여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동추(320)의 무게는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이 체결되는 체결공(121)의 형성 위치 및 낚시찌(600)의 부력에 따라 적절한 무게를 산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낚시찌(600)의 맨 상측에 구비된 보기찌(601) 부분이 수면(900) 위로 노출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낚시찌(600)의 중심(C1)과 조절구(100, 100a)에 구비된 지지부(120)의 체결공(12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중심(y1)으로 하는 낚시줄(500)의 제동보존각(θ3)을 생성시켜 주는 것에 의해 상기 조절구(100, 100a)에 연결된 낚시찌(600)가 수심(水深) 즉, 물의 깊이에 따라 자동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어 유지할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제동보존각(θ3)은 90°(도)를 기준으로 이보다 더 크게 하면 낚시줄(500)의 제동 작용에 유리한 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60 내지 120°(도) 내에서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동각(θ2)은 첨부된 도 7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도)가 되도록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예컨대 1호 줄에 가까운 가는 낚시줄(500)을 사용할 경우에는 1 내지 6°(도)의 제동각(θ2)으로 생성시켜 주도록 하고, 5호 줄에 가까운 굵은 낚시줄(500)을 사용할 경우에는 2 내지 7°(도)의 제동각(θ2)으로 생성시켜 주되, 상기 조절구(100, 100a)에 사용되는 낚시줄(500)의 굵기에 따른 제동각(θ2)은 1 내지 7°(도)로 생성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절구(100, 100a)는 합성수지로 야광소재를 사용하여 성형하거나, 또는 야광물질을 외면에 코팅(Coating) 또는 도포 처리하여 야간에 낚시채비를 준비할 때 유용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내면에는 낚시줄(500)과의 마찰력 생성 즉, 상기 낚시줄(500)이 외부적인 영향에 기인하여 너무 쉽게 상ㆍ하 방향으로 임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해 실리콘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합성수지계, 불소수지계, 에폭시계, 페트(PET)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조성된 마찰물질을 두께 0.01 내지 0.2mm로 코팅(Coating) 또는 도포 처리시킨 구성으로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언급된 마찰력의 생성은 바다, 강, 호수 등에 있어서 물의 빠른 유속이나 파도 및 강한 바람 등의 외부적인 환경 영향에 의해 조절구(100, 100a)가 낚시줄(500)을 타고 쉽게 유동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를 통해 낚시찌(600)의 초기 셋팅(Setting)된 수면(900) 노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낚시줄(500)이 인입 유도되어 상ㆍ하 방향으로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둔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유도각(k1, k2)과 제1 및 제2마찰점(P1, P2)을 형성시켜 주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를 통과하는 낚시줄(500)에 대해 접촉 마찰력을 생성시켜 주고, 둘째 상기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 제어에 따른 제동각(θ2)을 생성시켜 주는 것에 의해 조절구(100, 100a)에 연결된 낚시찌(600)가 물의 빠른 유속이나 파도 및 강한 바람 등에 임의 유동하는 사례가 없이 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어 유지시켜 주는 작용 효과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0, 100a : 조절구
110, 110a : 체결부
111 : 체결공
112 : 수나사부
120 : 지지부
121 : 체결공
130 : 헤드(Head)부
131 : 전두부
132 : 후두부
133, 133' : 경사면
133a : 하부면
134 : 수평면
134a : 하부면
135 : 제1유도로
140 : 바텀(Bottom)부
141 : 수평면
142 : 제2유도로
150 : 개방부
200 : 찌연결구
210 : 체결축
310 : 체결부재
311 : 수나사부
320 : 제동추
321 : 암나사부
500 : 낚시줄
510 : 굴곡부
600 : 낚시찌
601 : 보기찌
610 : 연결고리
620 : 연결수단
630 : 찌부력계
631 : 통공
700 : 낚시추
800 : 지면
900 : 수면

Claims (13)

  1. 전두부(131)와 후두부(132) 사이에 구비되어 조절구(100, 100a)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제동추(320)가 체결되는 체결부(110, 110a)를 경계로 하여, 상기 전두부(131)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133)이 형성된 헤드부(130);
    상기 헤드부(130)의 전두부(131) 쪽에 인접하여 상기 경사면(133)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낚시추(700)에 연결되는 낚시줄(500)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1유도로(135);
    상기 헤드부(130)의 하방에 관통된 개방부(150) 양쪽으로 구비되고, 낚시찌(600)가 연결되는 찌연결구(200)가 체결되도록 체결공(121)이 형성된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에 접하여 상기 헤드부(130)에 대향(對向) 구비된 바텀부(140);
    상기 바텀부(140)의 가운데 부위에 수평면(141)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도로(135)를 통과한 낚시줄(500)이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제2유도로(14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0)의 체결공(111)에 체결부재(310)를 통해 체결되는 제동추(320)는 체결공(121)에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중심으로 조절구(100)를 헤드부(120) 쪽으로 회동시켜,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체결부(110)를 경계로 하여 후두부(132) 쪽에 위치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0a)에 체결되는 제동추(320)는 체결공(121)에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중심으로 조절구(100a)를 헤드부(120) 쪽으로 회전시켜,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의 기울기가 제어되도록 상기 체결부(110a)와 동축상에 위치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33)은 체결공(121)의 중심(y1)과 68 내지 84°(도)의 경사각(u1)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21)은 조절구(100, 100a)의 전장(全長)(L0)대비 5등분(L1 내지 L5) 한 상태에서 바텀부(140) 쪽으로부터 L2 내지 L4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21)에 체결된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중심으로 상기 조절구(100, 100a)가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로(135)는 체결공(121)의 중심(y1)과 10 내지 18°(도)의 기울기각(θ1)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도로(142)는 체결공(121)의 중심(y1)과 후두부(132) 쪽으로 이격간격(d3)을 두고 제1유도로(135)와 동일한 길이(h1=h2) 및 동일한 내경(φ1=φ2)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에는 낚시줄(500)이 인입 유되되어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점(P1, P2)과 제동점(Q1, Q2)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로(135)에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낚시줄(500)은 낚시추(700)가 그 하중에 의해 지면(800)에 닿게 되면, 상기 제1유도로(135)의 하단 내면의 제1마찰점(P1)을 기점으로 상단 내면의 제1제동점(Q1)에 접촉되어,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기준으로 1 내지 7°(도)의 제동각(θ2)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도로(142)에 인입 유도되어 통과하는 낚시줄(500)은 낚시추(700)가 그 하중에 의해 지면(800)에 닿게 되면, 상기 제2유도로(142)의 상단 내면의 제2마찰점(P2)을 기점으로 하단 내면의 제2제동점(Q2)에 접촉되어, 찌연결구(200)의 체결축(210)을 기준으로 1 내지 7°(도)의 제동각(θ2)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로(135)와 제2유도로(142) 사이에는 낚시줄(500)이 접촉되는 마찰점(P1, P2)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각(k1, k2)이 둔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500)은 제1유도로(135)의 하단 내면에 접촉되는 제1마찰점(P1)을 기준으로 130 내지 160 °(도)의 제1유도각(k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도로(135)를 통과한 낚시줄(500)은 제2유도로(142)의 상단 내면에 접촉되는 제2마찰점(P2)을 기준으로 115 내지 145 °(도)의 제2유도각(k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각(k1)은 제2유도각(k2)보다 더 크게(k1>k2)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높이 조절구.
KR1020180007124A 2018-01-19 2018-01-19 낚시찌 높이 조절구 KR101854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24A KR101854586B1 (ko) 2018-01-19 2018-01-19 낚시찌 높이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24A KR101854586B1 (ko) 2018-01-19 2018-01-19 낚시찌 높이 조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586B1 true KR101854586B1 (ko) 2018-05-03

Family

ID=6224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124A KR101854586B1 (ko) 2018-01-19 2018-01-19 낚시찌 높이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5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9648B2 (ja) 1993-04-09 1996-07-31 秀一 大原 固定浮子及び浮子止ゴムの構造
JP2008092809A (ja) 2006-10-06 2008-04-24 Takao Horie 浮き止めとそれを用いた釣り用浮き
JP5596693B2 (ja) 2008-10-03 2014-09-24 ラングレイ イノベーション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改良された魚釣り用のおも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9648B2 (ja) 1993-04-09 1996-07-31 秀一 大原 固定浮子及び浮子止ゴムの構造
JP2008092809A (ja) 2006-10-06 2008-04-24 Takao Horie 浮き止めとそれを用いた釣り用浮き
JP5596693B2 (ja) 2008-10-03 2014-09-24 ラングレイ イノベーション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改良された魚釣り用のおも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9561A (en) Directional diving device for trolling
US7007906B2 (en) Adjustable top mount
US11344012B2 (en) Fishing lure
KR101621308B1 (ko) 올림 낚시용 추
KR101882086B1 (ko) 수심측정이 용이하며 미세 부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낚시찌
US20220217958A1 (en) Fishing lure
KR101854586B1 (ko) 낚시찌 높이 조절구
US4255890A (en) Trolling planer and release
JP2005143446A (ja) ジョイントタイプミノー
US5555668A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bait at desired depth while fishing
JP6618065B1 (ja) ルアー
US4581842A (en) Trolling diver
US7162829B2 (en) Fishing device
KR20190083134A (ko) 낚시찌 높이 조절장치
US5611167A (en) Multidirectional deep sea fishing cannonball
US4672769A (en) Adjustable fishing float
KR20140130396A (ko)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
US20220295770A1 (en) Fishing Aid
JP5813271B1 (ja) 中通し浮き
US3624949A (en) Fish hook positioning devices
JP3223413U (ja) 簡単装着で外れにくくタナが瞬時に変えられるダウンショットシンカー
KR102377924B1 (ko) 낚시 채비
CN211558529U (zh) 立式浮漂
KR20190049903A (ko) 낚시용 찌
JPH0637661Y2 (ja) 浮 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