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398B1 -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server connection of IoT device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server connection of IoT device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398B1
KR101853398B1 KR1020170036974A KR20170036974A KR101853398B1 KR 101853398 B1 KR101853398 B1 KR 101853398B1 KR 1020170036974 A KR1020170036974 A KR 1020170036974A KR 20170036974 A KR20170036974 A KR 20170036974A KR 101853398 B1 KR101853398 B1 KR 10185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ot device
connection
smartphone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선국
김상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6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3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access registration method of an Internet of things (IoT)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a system thereof. The server access regist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xecuting a registration mode for a specific IoT device; performing an interactive access subroutine with a specific server; transmitting an SSID to a smartphone and being on standby; selecting, by the smartphone, the SSID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IoT device; completing, by the smartphone, a communications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IoT device; terminating the registration mode of the smartphone; completing, by the specific IoT device, the reception of router (AP) information and a server address from the smartphone; updating and storing, by the specific IoT device, the AP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attempting, by the specific IoT device, a connection to the received AP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confirming, by a server,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c IoT device; and terminating the registration mode for the specific IoT device. Therefore, the complexity of the 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can be simplified, and thus the development efficiency can be greatly enhanced.

Description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server connection of IoT device using smartphone applica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 server connection of an Internet device using a smart phone applica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와 병행하여 표기함)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서버 도메인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으로부터 전달받아 서버접속을 시도하는 방법으로, 추후 서버의 도메인 및 IP주소 변경 시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발명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access regist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stuff Internet device using a smart phone appl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rver domain regist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server domain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 And an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from an application (APP), which is a smart phone application program, and attempts to access the ser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connection registration method and system of a used object Internet device.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사용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개인이나 조직이 유용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체계와 기계장치 혹은 컴퓨터망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Applications, which are generally used in smartphones, are applications that help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perform useful tasks, or programs that are used to manage computer systems and machine devices or computer networks. do.

이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은 그 프로그램이 설계된 작업의 특성에 따라 문자, 그림 또는 영상 등과 같은 자료를 처리하고, 몇몇 응용프로그램들이 서로 연관성이 있는 프로그램들을 하나로 묶어 패키지 형태로 제공되기도 하는데, GIS와 그 자료를 실용적으로 실제 사용함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임업서비스는 생태학적 지도제작을 위해 식생 자료를 사용한다.Such an application program may process data such as text, pictures, or imag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ed work, and some applications may be provided in a package form by bundling together related programs. The GIS and its data Practically speaking, forest services, for example, use vegetation data for ecological mapping.

또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라 함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하고, IoT 디바이스란 이와 같은 IoT 기술이 탑재된 각종 전기 및 전자장치로써 예를 들어 원격제어가 가능한 보일러 등이 이에 포함된다.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an intelligent technology and service that connects all objects based on the Internet and communicates information between people, things, objects and objects. The IoT device is an IoT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the technology include, for example, a boiler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한편, 도 1은 종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상호간 통신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gistering a server connection of a subject Internet device using a conventional smart phone application. Referring to FIG.

먼저, IoT 디바이스(1)는 각 스마트폰(2)의 APP로부터 접속할 댁내 공유기(AP)(3) 정보(예를 들어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와 패스워드(PW) 등)를 수신 받는다.First, the IoT device 1 receives home router (AP) 3 information (for example,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and a password (PW)) to be connected from the APP of each smartphone 2.

이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1)는 각 스마트폰(2) APP로부터 수신받은 AP 정보(즉, SSID 및 PW 등)를 이용하여 AP(3)에 접속한다.The IoT device 1 then accesses the AP 3 using the AP information (i.e., SSID, PW, etc.) received from each smartphone 2 APP.

이후, 상기 IoT 디바이스(1)는 현재 연결된 AP(3)를 통해, 스마트폰(2)의 APP구분과 상관없이 IoT 디바이스(1) 내에 미리 입력된 서버주소로 해당 서버(4)에 접속을 시도한다.Thereafter, the IoT device 1 attempts to access the corresponding server 4 through the currently connected AP 3 with the server address pre-inputted in the IoT device 1 regardless of the APP classification of the smart phone 2 do.

이때,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는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의 각 헤더에 붙는 고유 식별자로써 무선 장치들이 BSS(basic service set)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텍스트 데이터로서 하나의 무선 랜을 다른 무선 랜으로부터 구분해 주므로, 특정 무선 랜에 접속하려는 모든 AP나 무선 장치들은 반드시 일정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사용해야만 하며, SSID가 변경되면 그 BSS에 접속할 수 없다.Here, the service set identifier (SSID) is a unique identifier attached to each header of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LAN, and is used as text data used when wireless devices access a basic service set (BSS) All APs or wireless devices that want to connect to a specific wireless LAN must use a certain set of service identifiers (SSIDs), and can not access the BSS when the SSID is changed.

그런데 종래 특정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대부분의 IoT 디바이스에는, 접속될 서버 도메인 및 IP주소가 MCU 프로그램 안에 고정값으로 입력되어 있는 하드코딩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연동되어야 하는 서버의 도메인 및 IP주소가 변경 될 경우, IoT 디바이스의 MCU 프로그램까지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IoT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pecific server adopts a hard-coding scheme in which a server domain and an IP address to be connected are input as fixed values in the MCU program, the domain and IP address of the ser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CU program of the IoT device needs to be chang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55678호(2015년 09월 18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55678 (September 18, 20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43870호(2016년 07월 25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43870 (Jul. 25, 2016)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IoT 디바이스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등록과정에서 접속할 서버주소(도메인 및 IP주소)가 갱신되도록 하여 별도로 IOT 디바이스에 서버주소 변경 입력하는 과정 없이 간단하게 변경 가능하고, 특히 수출용 제품 개발 등 IoT 디바이스의 사양 변경 없이 서버가 변경되어야 할 경우 또는 테스트 서버를 이용한 개발 테스트 등의 상황에서 IoT 디바이스의 별도 프로그램 변경 없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만 개발하여 서버주소를 변경한 APP을 IOT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것 만으로도 IOT 디바이스의 서버정보가 변경될 수 있어, 제품의 개발 및 설계에 따른 복잡성을 간소화하고 개발 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OT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erver to update a server address (domain and IP address) IoT devices can be changed easily without changing the address. In particular, when the server needs to be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IoT device, such as development of products for export, or in a development test using a test server, The server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can be changed only by registering the APP having changed the server address in the IOT device so that the complexity of the 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can be simplified and the smartphone application Useful Things Internet Diva To provide a scan of a registration server connected to a method and system it is an obje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은,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IOT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댁내 공유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되어, 어플리케이션 변경에 대응하여 갱신될 수 있는 서버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 사이와 상호 접속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등록모드 실행을 위해 자체의 SSID를 스마트폰에 송출하고 대기하는 단계와; 댁내 공유기의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에서는 특정 IOT 디바이스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댁내 공유기의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을 완료하는 단계와; 스마트폰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완료하는 단계와; 스마트폰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로 특정 IOT 디바이스가 접속할 공유기(AP) 정보 및 서버주소를 송신하고 스마트폰의 등록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공유기(AP) 정보와 서버주소를 수신 완료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은 AP 정보 및 서버주소를 갱신 저장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수신받은 AP 정보 및 서버주소로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판단하여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특정 IOT 디바이스 등록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the method comprising: executing a registration mode for a specific IOT device through an application in a smartphone; Performing interconnection subroutines between specific servers using a server address that is stored in an application in the smartphone through a home router and can be updated in response to an application change; Sending and waiting its own SSID to the smart phone for execution of the registration mode in a specific IOT device; Selecting a SSID transmitted from a specific IOT device in a smartphone communicatively connected via Wi-Fi in a home router; Comple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smartphone using Wi-Fi of a home router in a specific IOT device; Comple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specific IOT device in the smartphone; Transmitting a router address and a server address to be connected to a specific IOT device to a specific IOT device in the smart phone and ending the registration mode of the smart phone; Receiving a router address and a server address from a smart phone in a specific IOT device; Updating and storing AP information and a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a smart phone in a specific IOT device;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AP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the specific IOT device; Confirming a connection of a specific IOT device at the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in the specific IOT device, and ending the specific IOT device registration mode if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또, 상기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판단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없으면 해당 IOT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서버 접속 불가를 표시하고 등록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in the specific IOT device, the connection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the registration mode is terminated.

또한, 상기 스마트폰과 서버 사이에서 실행되는 상호 접속 서브루틴은, 스마트폰에서 도메인 주소로 특정 서버와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해당 서버에서 특정 스마트폰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와; 스마트폰에서 해당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스마트폰에서 통신 접속된 해당 서버의 주소를 서버 도메인으로 선택한 다음 특정 IoT 디바이스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로 돌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erconnection subroutine executed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server may include attempting to access a specific server from a smart phone with a domain address; Confirming a connection of a specific smartphone with the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in the smartphone; If there is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as a result of a primary determination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the smart phone selects an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server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as a server domain, and then selects an SSID sent from a specific IoT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또, 스마트폰에서 특정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한 결과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없으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서버 IP 주소로 해당 서버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해당 서버에서 특정 스마트폰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와; 특정 스마트폰에서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2차적으로 판단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스마트폰에서 서버 주소를 서버 IP로 선택한 다음 특정 IoT 디바이스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로 돌입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a specific server in the smartphone and there is no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it is attempted to connect to the server using the server IP address of the smartphone. Confirming a connection of a specific smartphone with the server; Determining in a specific smartphone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If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is found as a result of secondaril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the smart phone selects a server address as a server IP and then proceeds to a step of selecting an SSID transmitted from a specific IoT device .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서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2차적으로 판단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없으면, 스마트폰 표시부에 서버 접속 불가 표시를 하고 스마트폰 등록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connection response acknowledgment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erver, the server displays a connection failure indication on the smart phone display and terminates the smart phone registration mode. d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스템는, 스마트폰 또는 서버와의 통신과 표시 및 저장 등 IoT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시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부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변경에 대응하여 갱신될 수 있는 서버주소(도메인 또는 IP주소)를 전달받아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저장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AP 접속정보, 서버 접속정보 등을 수신받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연결상태에 관한 내용을 송수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IoT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얻은 서버 접속정보로 서버와 통신하고 실질적인 데이터를 송수신을 하는 서버 통신부를 구비한 IoT 디바이스와; IoT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의 통신과 표시 및 조작 등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시하는 스마트폰 제어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버 도메인 및 IP 주소 설정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서버 접속 불가능 시 서버 연결불가능 표시를 해 주는 표시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한지 및 IP로 접속 가능한지 판단 후 IoT 디바이스에 전달할 서버 접속 정보를 결정하는 서버 도메인 또는 서버 IP 선택 판단부, IoT 디바이스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해 통신하여 AP 연결정보 및 서버 주소를 IoT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IoT 디바이스 통신부, 등록모드 진행 시 IoT 디바이스의 SSID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한지 및 IP로 접속 가능한지 판단 시 서버 통신 여부를 미리 판단하고 등록완료 시 실질적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를 구비한 스마트폰과; IoT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통신 시 해당 기기의 요청에 따른 송신 데이터를 판단하는 서버 제어부와, 등록 진행 시 IoT 디바이스와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등록 완료 후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들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IoT 디바이스 통신부 및, 등록 진행 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등록 완료 후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또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 조회를 위한 상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를 구비한 서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including an IoT device 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functions of an IoT device such as communication with a smart phone or a server, display and storage, and a server A smart 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P access information, server access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contents related to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smartphone application, receives the address (domain or IP addres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so that the smart phone application can identify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using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mart phone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device; A smartphone 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functions according to the smart phone application such as communication with the IoT device or the server, display and operation of the IoT device or the server, and server connection impossibility when the server is not accessibl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rver domain and IP address setting i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A server domain or server IP selec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martphone application is connectable to the domain and whether connection to the IP is available, and then determines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an IoT device and Wi-Fi ), An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AP connec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address to the IoT device, an operation unit for selecting the SSID of the IoT device in the registration mode, and a control unit for allowing the smart phone application to access the domain Whether or not the server communicates Re-determining, and smart phones equipped with a server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actual data upon completion of the registration; A server controller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data according to a request of a corresponding device when communicating with an IoT device or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a server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IoT device at the time of registration, And information on status information for inquiring status of the IoT device, and the lik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in the course of registration, an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after registration is completed And a server having a smart phone application communicat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IoT 디바이스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등록과정에서 접속할 서버주소(도메인 및 IP주소)가 갱신되도록 하여 줌으로써 별도로 IOT 디바이스에 서버주소 변경 입력하는 과정 없이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고, 특히 수출용 제품 개발 등 IoT 디바이스의 사양 변경 없이 서버가 변경되어야 할 경우 또는 테스트 서버를 이용한 개발 테스트 등의 상황에서 IoT 디바이스의 별도 프로그램 변경 없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만 개발하여 서버주소를 변경한 APP을 IOT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것 만으로도 IOT 디바이스의 서버정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개발 및 설계에 따른 복잡성을 간소화하고 개발 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rver connection registration method and system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address (domain and IP address) to be connected in the registration process with the smartphone application in the IoT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without changing the server address in the IOT device. In particular, when the server needs to be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specification of the IoT device, such as development of a product for export, The server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can be changed merely by registering the APP with the changed server address in the IOT device by developing only the smartphone application without changing the program of the IOT device,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the efficiency can be greatly increased.

도 1은 종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의 결합상태 및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의 (a)~(c)은 본 발명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connection registra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Internet device using a conventional smart phone applica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connection to a server,
3 (a) to 3 (c) are detailed block diagrams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nd operation st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의 결합상태 및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a)~(c)은 본 발명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mbined state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rver connection registration method of a thing Internet device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 to 3 (c) FIG.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폰(2)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IoT 디바이스(1)에 대한 등록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1)와;(S1) executing a registration mode for a specific IoT device (1) through an application in the smartphone (2);

댁내 공유기(3)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2)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되어, 어플리케이션 변경에 대응하여 갱신될 수 있는 서버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4) 사이와 상호 접속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S2)와;Executing interconnection subroutines between the specific servers 4 using a server address which is stored in the application in the smartphone 2 through the in-house router 3 and can be updated in response to the application change (S2 )Wow;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 등록모드 실행을 위해 자체의 SSID를 스마트폰(2)에 송출하고 대기하는 단계(S3)와;(S3) sending and waiting its own SSID to the smart phone (2) for execution of the registration mode in the specific IoT device (1);

댁내 공유기(3)의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2)에서는 특정 IoT 디바이스(1)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S4)와;(S4) selecting an SSID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IoT device (1) in the smartphone (2) communicatively connected via Wi-Fi of the home router (3);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 댁내 공유기(3)의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2)과 통신 연결을 완료하는 단계(S5)와;(S5) of comple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martphone (2) using the Wi-Fi of the home router (3) in the specific IoT device (1);

스마트폰(2)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1)와 통신 연결을 완료하는 단계(S6)와;Comple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IoT device 1 in the smartphone 2 (S6);

스마트폰(2)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1)로 특정 IoT 디바이스(1)가 접속할 공유기(3) 정보 및 서버주소를 송신(S7)하고 스마트폰(2)의 등록모드를 종료(S8)하는 단계와;(S7) the router 3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to be connected to the specific IoT device 1 by the specific IoT device 1 in the smart phone 2 and ending the registration mode of the smart phone 2 (S8) Wow;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 스마트폰(2)으로부터 공유기(3) 정보와 서버주소를 수신 완료하는 단계(S9)와;(S9)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outer (3) and a server address from the smart phone (2) in the specific IoT device (1);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받은 AP 정보 및 서버주소를 갱신 저장하는 단계(S10)와;(S10) updating and storing the AP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2 in the specific IoT device 1;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 수신받은 AP 정보 및 서버주소로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S11)와;(S11) attempting connection to the AP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the specific IoT device (1);

서버(4)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1)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S12)와;Confirming connection of the specific IoT device 1 in the server 4 (S12);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판단(S13)하여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특정 IOT 디바이스 등록모드를 종료(S14)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in the specific IoT device 1 (S13), and terminating the specific IOT device registration mode (S14) if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is present.

또, 상기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판단(S13)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없으면(S13에서 No),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in the specific IoT device 1 (S13) and there is no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No in S13)

해당 IoT 디바이스(1)의 표시부(14)에 서버 접속 불가를 표시(S15)하고 등록모드를 종료(S14)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15) indicating that the server can not b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4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1 and ending the registration mode (S14).

또한, 상기 스마트폰(2)과 서버(4) 사이에서 실행되는 상호 접속 서브루틴(S2)은,In addition, the interconnect subroutine S2 executed between the smartphone 2 and the server 4,

스마트폰(2)에서 도메인 주소로 특정 서버(4)와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S21)와;Attempting to connect to the specific server 4 at the domain address in the smartphone 2 (S21);

해당 서버(4)에서 특정 스마트폰(2)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S22)와;(S22) of confirming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c smartphone (2) in the server (4);

스마트폰(2)에서 해당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23)와;(S23) of judg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in the smartphone (2);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S23)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스마트폰(2)에서 통신 접속된 해당 서버(4)의 주소를 서버 도메인으로 선택(S28)한 다음, 특정 IoT 디바이스(1)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S4)로 돌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re is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as a result of judging in S23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the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server 4 communicatively connected in the smartphone 2 is selected as the server domain (S28) (S4) of selecting an SSID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IoT device (1).

또, 스마트폰(2)에서 특정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S23)한 결과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없으면(S23에서 No),If the smartphone 2 determines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pecific server 4 (S23) and there is no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No in S23)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서버 IP 주소로 해당 서버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S25)와; A step (S25) of attempting connection to the server with the server IP address of the server itself;

해당 서버(4)에서 특정 스마트폰(2)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S26)와;Confirming connection of the specific smartphone 2 with the server 4 (S26);

특정 스마트폰(2)에서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27)와;(S27) of judg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in the specific smartphone (2);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2차적으로 판단(S27)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스마트폰(2)에서 서버 주소를 서버 IP로 선택(S28)한 다음 특정 IoT 디바이스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S4)로 돌입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re is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as a result of judging in S27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the smart phone 2 selects the server address as the server IP (S28), and then transmits it from the specific IoT device (S4) of selecting an on-SSID.

또한, 상기 스마트폰(2)에서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2차적으로 판단(S27)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없으면(S27에서 No),If there is no connection response signal (No in S27) as a result of the second determination in S27 that the smartphone 2 ha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스마트폰(2)의 표시부(22)에 서버 접속 불가 표시(S29)하고 스마트폰 등록모드를 종료(S8)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29), and terminating the smartphone registration mode (S8), on the display unit (22) of the smartphone (2).

한편, 본 발명 시스템은,On the other hand,

이동통신 단말기인 스마트폰(2) 또는 서버(4)와의 통신과 표시 및 저장 등 IoT 디바이스(1)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시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부(11)와, 스마트폰(2)의 어플리케이션 변경에 대응하여 갱신될 수 있는 서버주소(도메인 또는 IP주소)를 전달받아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저장부(12),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AP 접속정보, 서버 접속정보 등을 수신받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연결상태에 관한 내용을 송수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13),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IoT 디바이스(1)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표시하는 표시부(14)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얻은 서버 접속정보로 서버(4)와 통신하고 실질적인 데이터를 송수신을 하는 서버 통신부(15)를 구비한 IoT 디바이스(1)와;An IoT device control unit 11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functions of the IoT device 1 such as communication and display and storage with the smart phone 2 or the server 4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torage unit 12 for receiving and storing a server address (a domain or an IP address) that can be updated correspondingly, a storage unit 12 for receiving and storing AP information,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a smartphone application, A display unit 14 for displaying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so that the smartphone application can identify the IoT device 1, and a display unit 14 for displaying the service set identifier (SSID) An IoT device (1) having a server communication unit (15)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4) as conn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substantial data;

IoT 디바이스(1) 또는 서버(4)와의 통신과 표시 및 조작 등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시하는 스마트폰 제어부(21)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버 도메인 및 IP 주소 설정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서버 접속 불가능 시 서버 연결 불가능 표시를 해 주는 표시부(22),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한지 및 IP로 접속 가능한지 판단 후 IoT 디바이스(1)에 전달할 서버 접속 정보를 결정하는 서버 도메인 또는 서버 IP 선택 판단부(23), IoT 디바이스(1)와 공유기(3)의 와이-파이(Wi-Fi)를 이용해 통신하여 AP 연결정보 및 서버 주소를 IoT 디바이스(1)로 송신하는 IoT 디바이스 통신부(24), 등록모드 진행 시 IoT 디바이스(1)의 SSID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5)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한지 및 IP로 접속 가능한지 판단 시 서버 통신 여부를 미리 판단하고 등록완료 시 실질적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26)를 구비한 스마트폰(2)과;A smartphone control unit 21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functions according to a smart phone application such as communication with the IoT device 1 or the server 4, display and operation,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a server domain and an IP address setting in the smartphone application A server domain or a server I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martphone application can access the domain and server acces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1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mart phone application can access the domain, A selection determination unit 23 and an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24 for communicating the AP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to the IoT device 1 by communicating using the Wi-Fi between the IoT device 1 and the router 3 An operation unit 25 for allowing the smart phone application to select the SSID of the IoT device 1 in the registration mode, Whether in a smart phone (2) includes determining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communication server in advance, and a server communication section 26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t the completion register and substantial;

IoT 디바이스(1) 또는 스마트폰(2) 어플리케이션과 통신 시 해당 기기의 요청에 따른 송신 데이터를 판단하는 서버 제어부(41)와, 등록 진행 시 IoT 디바이스(1)와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등록 완료 후 IoT 디바이스(1)의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들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IoT 디바이스 통신부(42) 및, 등록 진행 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등록 완료 후 IoT 디바이스(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또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 조회를 위한 상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43)를 구비한 서버(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rver control unit 41 for judging transmission data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corresponding device when communicating with the IoT device 1 or the smartphone 2 application and a server control unit 4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IoT device 1 An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4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1 after completion of registration, and an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4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a smart 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43 for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on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I / O device, status information for status inquiry of the IoT device, and the like.

이와 같은 단계 및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작용효과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erver connection registration method and the operational effect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eps and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먼저, 본 발명 시스템은 도 2 및 도 3의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IoT 디바이스(1)와 공유기(3), 복수의 스마트폰(2) 및 복수의 서버(4)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2 and 3 (a) to 3 (c),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n IoT device 1 and a router 3, a plurality of smartphones 2, and a plurality of servers 4 ).

상기한 본 발명 시스템 중 상기 IoT 디바이스(1)는 도 3의 (a)와 같이, 크게 IoT 디바이스 제어부(11)와 저장부(12),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13), 표시부(14) 및 서버 통신부(15)를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3 (a), the IoT device 1 includes the IoT device control unit 11 and the storage unit 12, the smart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13, the display unit 14, and the server 14, And a communication unit (15).

이때, 상기 IoT 디바이스(1)의 IoT 디바이스 제어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스마트폰(2) 또는 서버(4)와의 통신과 표시 및 저장 등 IoT 디바이스(1) 자체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IoT device control unit 11 of the IoT device 1 performs overall control functions of the IoT device 1 itself such a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2 or the server 4, display and stor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또, 상기 IoT 디바이스(1)에 구비된 저장부(12)는 스마트폰(2)의 어플리케이션 변경에 대응하여 갱신될 수 있는 서버주소(도메인 또는 IP주소)를 전달받아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13)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AP 접속정보, 서버 접속정보 등을 수신받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연결상태에 관한 내용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orage unit 12 provided in the IoT device 1 receives a server address (domain or IP address) that can be updated in response to an application change of the smart phone 2, The smart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13 receives AP access information,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contents related to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smartphone application.

또한, 상기 IoT 디바이스(1)에 구비된 표시부(14)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IoT 디바이스(1)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표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15)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얻은 서버 접속정보로 서버(4)와 통신하고 실질적인 데이터를 송수신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14 of the IoT device 1 displays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so that the smartphone application can identify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1,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5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4 as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mart phone application and performs transmission / reception of actual data.

한편, 상기 스마트폰(2)들은 도 3의 (b)와 같이 크게, 스마트폰 제어부(21)와 표시부(22), 서버 도메인 또는 서버 IP 선택 판단부(23), IoT 디바이스 통신부(24), 조작부(25) 및 서버 통신부(26)를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3, the smartphone 2 includes a smartphone control unit 21, a display unit 22, a server domain or server IP selection determination unit 23, an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24, An operation unit 25 and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6. [

이때, 상기 스마트폰(2)의 스마트폰 제어부(21)는, IoT 디바이스(1) 또는 서버(4)와의 통신과 표시 및 조작 등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표시부(22)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버 도메인 및 IP 주소 설정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서버 접속 불가능 시 서버 연결 불가능 상태임을 표시해 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smartphone control unit 21 of the smartphone 2 performs overall control functions according to the smartphone application such as communication with the IoT device 1 or the server 4 and display and operation, ) Indicates that the server can not be connected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rver domain and IP address setting in the smartphone application.

또, 상기 스마트폰(2)에 구비되어 있는 서버 도메인 또는 서버 IP 선택 판단부(23)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한지 및 IP로 접속 가능한지를 판단한 후, IoT 디바이스(1)에 전달할 서버 접속 정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 통신부(24)는 IoT 디바이스(1)와 공유기(3)의 와이-파이(Wi-Fi)를 이용해 통신하여 AP 연결정보 및 서버 주소를 IoT 디바이스(1)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rver domain or server IP selection determination unit 23 provided in the smart phone 2 determines whether the smartphone application can connect to the domain and can access the IP, And the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24 communicates the AP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with the IoT device 1 via the Wi-Fi communication between the IoT device 1 and the router 3, 1).

또한, 상기 스마트폰(2)에 구비되어 있는 조작부(25)는 등록모드 진행 시 IoT 디바이스(1)의 SSID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26)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한지 및 IP로 접속 가능한지 판단 시 서버 통신 여부를 미리 판단하고 등록완료 시 실질적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25 provided in the smart phone 2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the SSID of the IoT device 1 in the registration mode,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6 transmits the smart phone application to the domain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server is communicated when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IP, and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ubstantial data upon completion of registration.

한편, 상기 서버(4)들은 도 3의 (c)와 같이 크게, 서버 제어부(41)와 IoT 디바이스 통신부(42)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43)를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The server 4 includes a server control unit 41, an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42,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43 as shown in FIG. 3C.

이때, 상기 서버(4)의 서버 제어부(41)는 IoT 디바이스(1) 또는 스마트폰(2) 어플리케이션과 통신 시 해당 기기의 요청에 따른 송신 데이터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 통신부(42)는 등록 진행 시 IoT 디바이스(1)와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등록 완료 후에는 IoT 디바이스(1)의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들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server control unit 41 of the server 4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transmission data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corresponding device when communicating with the IoT device 1 or the smartphone 2 application, and the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42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IoT device 1 in the course of registr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1 after completion of registration.

또, 상기 서버(4)에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43)는, 등록 진행 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등록 완료 후에는 IoT 디바이스(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또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 조회를 위한 상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mart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43 provided in the server 4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martphone application connection status at the time of registration and controls the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1 Or status information for status inquiry of the IoT devic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 시스템 중 상기 IoT 디바이스(1)는 도 2와 같이, 스마트폰(2) 어플리케에션의 등록과정에서 스마트폰(2) 공유기(3)로부터 접속할 AP 정보(SSID, PW)와 서버 주소(도메인 또는 IP)를 수신받는데, 이때 IoT 디바이스(1)는 1개의 스마트폰(2) 어플리케이션과 연동이 가능한 상태를 갖는다.As shown in FIG. 2, the IoT device 1 of the server connection registration system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a smart phone application 2) receives the AP information (SSID, PW) and the server address (domain or IP) to be connected from the router 3, and the IoT device 1 has a state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one smartphone 2 application at this time.

이후, 상기 IoT 디바이스(1)는 스마트폰(2) 어플리케에션으로부터 수신받은 AP 정보(SSID, PW)를 이용하여 공유기(3)에 접속한 다음, 연결된 공유기(3)를 통해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받은 서버주소(도메인 또는 IP)로 접속을 시도한다.Thereafter, the IoT device 1 accesses the router 3 using the AP information (SSID, PW)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2, and then accesses the smart phone 2 via the connected router 3 2) from the server address (domain or IP) received.

한편, 본 발명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 내의 스마트폰 제어부(21)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IoT 디바이스(1)에 대한 등록모드를 실행(S1)한 다음, 댁내 공유기(3)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2)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되어, 어플리케이션 변경에 대응하여 갱신될 수 있는 서버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4) 사이와 상호 접속 서브루틴(S2)을 수행하게 된다.4, the smartphone controller 21 in the smartphone 2 executes a registration mode for a specific IoT device 1 through an application (S1) (2), and performs an interconnecting subroutine (S2) with specific servers (4) using a server address that can be updated in response to an application change.

또,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 등록모드 실행을 위해 자체의 SSID를 스마트폰(2)에 송출하고 대기(S3) 상태에 돌입한다.In addition, the specific IoT device 1 sends its own SSID to the smart phone 2 for execution of the registration mode, and enters the standby (S3) state.

또한, 댁내 공유기(3)의 와이-파이를 통해 서버(4)와 연결된 상태에서 서버(4)와의 상호 접속 서브루틴(S2)을 수행한 스마트폰(2)에서는 특정 IoT 디바이스(1)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S4)하고,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는 댁내 공유기(3)의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2)과 통신 연결을 완료(S5)한다.In the smartphone 2 that has performed the interconnection subroutine S2 with the server 4 in a state where the server 4 is connected to the home router 3 via the Wi-Fi of the home router 3, (S4), and the specific IoT device (1) complete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mart phone (2) using the Wi-Fi of the home router (S5).

이후, 상기 스마트폰(2)에서는 특정 IoT 디바이스(1)와 통신 연결을 완료(S6)하고 난 다음 특정 IoT 디바이스(1)로 특정 IoT 디바이스(1)가 접속할 공유기(3) 정보 및 서버주소를 송신(S7)한 후, 스마트폰(2)의 등록모드를 종료(S8)하게 된다.Thereafter, the smartphone 2 complete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IoT device 1 (S6) and then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router 3 to be connected to the specific IoT device 1 and the server address to the specific IoT device 1 After the transmission (S7), the registration mode of the smartphone 2 is ended (S8).

한편,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공유기(3) 정보와 서버주소를 수신 완료(S9)한 다음,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받은 AP 정보 및 서버주소를 갱신 저장(S10)한 후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받은 AP 정보 및 서버주소로 연결을 시도(S11)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pecific IoT device 1,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router 3 and the server address from the smartphone 2 (S9), the AP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2 are updated (Step S11), the AP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2 are attempted to be connected.

또, 서버(4)에서는 특정 IoT 디바이스(1)가 접속된 상태인지를 확인(S12)하여 그 결과를 해당 IoT 디바이스(1)에 전송한다.The server 4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pecific IoT device 1 is connected (S12),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IoT device 1.

또한,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받은 AP 정보 및 서버주소로 연결을 시도(S11)한 상기 IoT 디바이스(1)에서는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판단(S13)하여, 만약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해당 IoT 디바이스(1)가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받은 AP 정보 및 서버주소로 정상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인식하고, 특정 IOT 디바이스 등록모드를 종료(S14)하게 된다.The IoT device 1 which has attempted to connect to the AP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2 in step S11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in step S13, If there is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1 recognizes that it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AP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2, and ends the specific IOT device registration mode (S14).

그러나 상기 특정 IoT 디바이스(1)에서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판단(S13)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없으면(S13에서 No), 사용자가 그 상태를 알아 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IoT 디바이스(1)의 표시부(14)에 서버 접속 불가 상태임을 표시(S15)하고 등록모드를 종료(S14)하게 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in the specific IoT device 1 (S13) and there is no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No in S13), in order for the user to know the state, The display unit 14 of the IoT device 1 indicates that the server can not be accessed (S15), and the registration mode is ended (S14).

한편, 상기 스마트폰(2)과 서버(4) 사이에서 실행되는 상호 접속 서브루틴(S2)은, 오플리케이션의 등록모드를 실행중인 상기 스마트폰(2)에서 저장부(12) 내에 기 저장되어 있는 도메인 주소로 특정 서버(4)와 접속을 시도(S21)하고, 해당 서버(4)에서 특정 스마트폰(2)의 접속을 확인(S22)하고 그 결과를 송출해 오면, 상기 스마트폰(2)에서 해당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S23)하게 된다.Meanwhile, the interconnection subroutine S2 executed between the smartphone 2 and the server 4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in the smartphone 2 under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registration mode (S21), the server 4 confirms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c smartphone 2 (S22)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martphone 2 (Step S23), the server 4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2)에서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S23)한 결과, 만약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스마트폰(2)이 특정 서버(4)와 정상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인식하고, 통신 접속된 해당 서버(4)의 주소를 서버 도메인으로 선택(S28)한 다음, 특정 IoT 디바이스(1)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S4)로 돌입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23 that the smartphone 2 ha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in step S23, if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the smart phone 2 normally communicates with the specific server 4 Recognizes the connected state, selects the address of the server 4 to which the communication is connected as the server domain (S28), and then proceeds to step S4 to select the SSID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IoT device 1 .

그러나 상기 스마트폰(2)의 스마트폰 제어부(21)에서 특정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S23)한 결과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없으면(S23에서 No),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서버 IP 주소로 해당 서버(4)로의 접속을 시도(S25)하여 줌으로써 해당 서버(4)에서는 특정 스마트폰(2)의 접속을 확인(S26)하게 된다.However, if the smartphone control unit 21 of the smart phone 2 firs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pecific server 4 (S23) and there is no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No in S23) The server 4 confirms the connection of the specific smartphone 2 (S26) by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server 4 with the server IP address stored in the server 12 (S25).

이후, 상기 특정 스마트폰(2)에서는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다시 즉, 2차적으로 판단(S27)하여 만약, 서버(4)로부터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S27에서 Yes), 스마트폰(2)에서 서버 주소를 서버 IP로 선택(S28)한 다음 특정 IoT 디바이스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S4)로 돌입하게 된다.If there is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from the server 4 (Yes in S27), the specific smartphone 2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S27) The smart phone 2 selects a server address as a server IP (S28), and then proceeds to a step S4 of selecting an SSID transmitted from a specific IoT device.

그러나 상기 스마트폰(2)에서 서버(4)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2차적으로 판단(S27)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없으면(S27에서 No), 사용자가 그 상태를 알아 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2)의 표시부(22)에 서버 접속 불가 표시(S29)하고, 스마트폰 등록모드를 종료(S8)하게 된다.However, if the smartphone 2 determines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4 (S27) and there is no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S27: No), the user can recognize the state The server can not b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22 of the smartphone 2 (S29), and the smartphone registration mode is ended (S8).

이때, 일반적으로 서버 접속을 위한 서버주소는 도메인 주소로 구성되지만, DNS(Domain Name System)의 문제발생 등으로 인해 도메인 주소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본 발명에서는 2순위를 두어 IP 주소로 접속을 시도하고, IP 주소로도 접속이 불가능할 시에는 IoT 디바이스(1)에 서버 주소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서버 접속 불가능 표시 후 스마트폰(2)의 등록모드를 종료하게 된다.In this case, although the server address for connection to the server is usually composed of domain addresses, if the domain address can not be used due to a problem of DNS (Domain Name System)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is not possible even with the IP address, information on the server address is not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1, and the registration mode of the smart phone 2 is terminated after the server connection is disabl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IoT 디바이스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등록과정에서 접속할 서버주소(도메인 및 IP주소)가 갱신되도록 하여 줌으로써 별도로 IOT 디바이스에 서버주소 변경 입력하는 과정 없이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address (domain and IP address) to be connected in the registration process with the smartphone application can be updated in the IoT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so that it can be easily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server address in the IOT device .

특히, 본 발명은 수출용 제품 개발 등 IoT 디바이스의 사양 변경 없이 서버가 변경되어야 할 경우 또는 테스트 서버를 이용한 개발 테스트 등의 상황에서 IoT 디바이스의 별도 프로그램 변경 없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만 개발하여 서버주소를 변경한 APP을 IOT 디바이스에 등록하는 것 만으로도 IOT 디바이스의 서버정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개발 및 설계에 따른 복잡성을 간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개발 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server is changed without changing specifications of an IoT device such as development of a product for export, or a smart phone application is changed without changing a program of the IoT device in a development test using a test server, Registering the APP in the IOT device can change the server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hereby simplifying the complexity of the 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product development efficiency.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 IoT 디바이스
11 : IoT 디바이스 제어부 12 : 저장부
13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 14 : 표시부
15 : 서버 통신부
2 : 스마트폰
21 : 스마트폰 제어부 22 : 표시부
23 : 서버 도메인 또는 서버 IP 선택 판단부
24 : IoT 디바이스 통신부 25 : 조작부
26 : 서버 통신부
3 : 공유기(또는 AP)
4 : 서버
41 : 서버 제어부 42 : IoT 디바이스 통신부
43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
1: IoT device
11: IoT device control unit 12:
13: smart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14:
15: Server communication section
2: Smartphone
21: smartphone control unit 22: display unit
23: server domain or server IP selection decision section
24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25:
26: Server communication section
3: Router (or AP)
4: Server
41: server control unit 42: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43: smart 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section

Claims (6)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IOT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댁내 공유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되어, 어플리케이션 변경에 대응하여 갱신될 수 있는 서버주소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 사이와 상호 접속 서브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등록모드 실행을 위해 자체의 SSID를 스마트폰에 송출하고 대기하는 단계와;
댁내 공유기의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에서는 특정 IOT 디바이스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댁내 공유기의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을 완료하는 단계와;
스마트폰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을 완료하는 단계와;
스마트폰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로 특정 IOT 디바이스가 접속할 공유기(AP) 정보 및 서버주소를 송신하고 스마트폰의 등록모드를 종료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공유기(AP) 정보와 서버주소를 수신 완료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은 AP 정보 및 서버주소를 갱신 저장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수신받은 AP 정보 및 서버주소로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특정 IOT 디바이스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와;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판단하여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특정 IOT 디바이스 등록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Executing a registration mode for a specific IOT device through an application on a smart phone;
Performing interconnection subroutines between specific servers using a server address that is stored in an application in the smartphone through a home router and can be updated in response to an application change;
Sending and waiting its own SSID to the smart phone for execution of the registration mode in a specific IOT device;
Selecting a SSID transmitted from a specific IOT device in a smartphone communicatively connected via Wi-Fi in a home router;
Comple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smartphone using Wi-Fi of a home router in a specific IOT device;
Comple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specific IOT device in the smartphone;
Transmitting a router address and a server address to be connected to a specific IOT device to a specific IOT device in the smart phone and ending the registration mode of the smart phone;
Receiving a router address and a server address from a smart phone in a specific IOT device;
Updating and storing AP information and a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a smart phone in a specific IOT device;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AP information and the server address received from the specific IOT device;
Confirming a connection of a specific IOT device at the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in the specific IOT device, and ending the specific IOT device registration mode if there is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IOT 디바이스에서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판단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없으면,
해당 IOT 디바이스의 표시부에 서버 접속 불가를 표시하고 등록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re is no access response signal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in the specific IOT device,
And displaying a server connection disable message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ending the registration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서버 사이에서 실행되는 상호 접속 서브루틴은,
스마트폰에서 도메인 주소로 특정 서버와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해당 서버에서 특정 스마트폰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와; 스마트폰에서 해당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스마트폰에서 통신 접속된 해당 서버의 주소를 서버 도메인으로 선택한 다음 특정 IoT 디바이스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로 돌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terconnect subroutine running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server,
Attempting to connect to a specific server from a smart phone at a domain address;
Confirming a connection of a specific smartphone with the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in the smartphone;
If there is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as a result of a primary determination that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the smart phone selects an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server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as a server domain, and then selects an SSID sent from a specific IoT device And register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in the server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스마트폰에서 특정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1차적으로 판단한 결과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없으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서버 IP 주소로 해당 서버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해당 서버에서 특정 스마트폰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와; 특정 스마트폰에서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2차적으로 판단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있으면, 스마트폰에서 서버 주소를 서버 IP로 선택한 다음 특정 IoT 디바이스로부터 송출되어 온 SSID를 선택하는 단계로 돌입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f there is no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as a result of a primary determination that the smartphone ha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a specific server,
Attempting to connect to the server with the server IP address it has;
Confirming a connection of a specific smartphone with the server; Determining in a specific smartphone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If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is found as a result of secondaril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the smart phone selects a server address as a server IP and then proceeds to a step of selecting an SSID transmitted from a specific IoT device And registering the server connection of the object Internet device us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서 서버로부터 접속 확인 응답신호가 있는지 2차적으로 판단한 결과 접속 응답신호가 없으면,
스마트폰 표시부에 서버 접속 불가 표시를 하고 스마트폰 등록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f there is no access response signal as a result of secondaril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acknowledgment signal from the server in the smartphon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server connection disable indication on the smart phone display unit and ending the smart phone registration mode.
스마트폰 또는 서버와의 통신과 표시 및 저장 등 IoT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시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부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변경에 대응하여 갱신될 수 있는 서버주소(도메인 또는 IP주소)를 전달받아 저장 또는 갱신 저장하는 저장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AP 접속정보, 서버 접속정보 등을 수신받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연결상태에 관한 내용을 송수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IoT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얻은 서버 접속정보로 서버와 통신하고 실질적인 데이터를 송수신을 하는 서버 통신부를 구비한 IoT 디바이스와;
IoT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의 통신과 표시 및 조작 등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시하는 스마트폰 제어부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버 도메인 및 IP 주소 설정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서버 접속 불가능 시 서버 연결불가능 표시를 해 주는 표시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한지 및 IP로 접속 가능한지 판단 후 IoT 디바이스에 전달할 서버 접속 정보를 결정하는 서버 도메인 또는 서버 IP 선택 판단부, IoT 디바이스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해 통신하여 AP 연결정보 및 서버 주소를 IoT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IoT 디바이스 통신부, 등록모드 진행 시 IoT 디바이스의 SSID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한지 및 IP로 접속 가능한지 판단 시 서버 통신 여부를 미리 판단하고 등록완료 시 실질적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를 구비한 스마트폰과;
IoT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통신 시 해당 기기의 요청에 따른 송신 데이터를 판단하는 서버 제어부와, 등록 진행 시 IoT 디바이스와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등록 완료 후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들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IoT 디바이스 통신부 및, 등록 진행 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등록 완료 후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또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 조회를 위한 상태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통신부를 구비한 서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 시스템.
IoT device control unit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functions of IoT device such as communication with smart phone or server, display and storage, and server address (domain or IP address) that can be updated in response to application change of smart phone. A smart 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P connection information and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from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contents related to the connection status with the smartphone application, a smart 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that identifies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 IoT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using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mart phone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ubstantially;
A smartphone 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control functions according to the smart phone application such as communication with the IoT device or the server, display and operation of the IoT device or the server, and server connection impossibility when the server is not accessibl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rver domain and IP address setting i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A server domain or server IP selec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martphone application is connectable to the domain and whether connection to the IP is available, and then determines server connec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an IoT device and Wi-Fi ), An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AP connec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address to the IoT device, an operation unit for selecting the SSID of the IoT device in the registration mode, and a control unit for allowing the smart phone application to access the domain Whether or not the server communicates Re-determining, and smart phones equipped with a server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actual data upon completion of the registration;
A server controller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data according to a request of a corresponding device when communicating with an IoT device or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a server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IoT device at the time of registration, And information on status information for inquiring status of the IoT device, and the lik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in the course of registration, an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after registration is completed And a server having a smart phone application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mart phone application.
KR1020170036974A 2017-03-23 2017-03-23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server connection of IoT device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KR101853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74A KR101853398B1 (en) 2017-03-23 2017-03-23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server connection of IoT device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74A KR101853398B1 (en) 2017-03-23 2017-03-23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server connection of IoT device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398B1 true KR101853398B1 (en) 2018-04-30

Family

ID=6208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74A KR101853398B1 (en) 2017-03-23 2017-03-23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server connection of IoT device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39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696B1 (en) * 2018-05-15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Operating method of home appliance system
KR20200142975A (en)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ERVER, INTERNET OF THINGS(Io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000976A (en) * 2019-06-26 2021-01-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Fi IoT Device to new AP
KR20210133412A (en) 2020-04-29 2021-11-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IoT system server certification device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678B1 (en) * 2014-05-30 2015-09-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Register method of using a smart phone the boiler thermostat AP
KR101643870B1 (en) * 2015-08-26 2016-08-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Easy guide how to connect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customer premises router with Wi-Fi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678B1 (en) * 2014-05-30 2015-09-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Register method of using a smart phone the boiler thermostat AP
KR101643870B1 (en) * 2015-08-26 2016-08-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Easy guide how to connect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customer premises router with Wi-Fi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696B1 (en) * 2018-05-15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Operating method of home appliance system
KR20200142975A (en) * 2019-06-14 2020-12-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ERVER, INTERNET OF THINGS(Io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95475B1 (en) 2019-06-14 2020-12-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ERVER, INTERNET OF THINGS(Io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000976A (en) * 2019-06-26 2021-01-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Fi IoT Device to new AP
KR102213325B1 (en) * 2019-06-26 2021-02-0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Fi IoT Device to new AP
KR20210133412A (en) 2020-04-29 2021-11-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IoT system server certif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2356858B1 (en) * 2020-04-29 2022-01-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IoT system server certification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4850B2 (en) Assistance device
KR1018533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server connection of IoT device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EP3118700B1 (en) Intelligent home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alljoyn technology
CN113132185B (en) Equipment distribution network binding method, system,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5870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validity of wifi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8954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LAN access point and settings confirmation/change method used therefor
US2008009052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mobility management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s
US200502709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wireless network device
US20100115108A1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US20140177615A1 (en) Method for scanning a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evice and terminal device for the same
CN105744598B (en) A kind of connection method of Wireless LAN and device
CN104770020A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on attributes in HESSID and the associated queries
US20210084703A1 (en) Configuration system, client device, embedded device configu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602191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ic and Secure Troubleshooting of Appliances Using Wireless and Mobile Network
CN113595839B (en) Device bind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333062A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household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62411B1 (en) Method for quick establishing bluetooth connection
US9226223B2 (en) Network connection system of network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llowing a terminal device to access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behind a router without a NAT loopback function
CN108541078B (en) Terminal binding method, system, terminal and server
JP540561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KR1023908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351074A (en) Network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0640826B1 (en) Method of controlling home network devices
KR101676432B1 (en) Discovery and Access System of Internet of Things board and Application Server under wireless WiFi Environment and method at the same
JP6061480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