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850B1 -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850B1
KR101852850B1 KR1020170043495A KR20170043495A KR101852850B1 KR 101852850 B1 KR101852850 B1 KR 101852850B1 KR 1020170043495 A KR1020170043495 A KR 1020170043495A KR 20170043495 A KR20170043495 A KR 20170043495A KR 101852850 B1 KR101852850 B1 KR 101852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ot
module
sensor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배
Original Assignee
(주)설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설악전기 filed Critical (주)설악전기
Priority to KR102017004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IoT 배전반으로 이루어진 IoT 배전반 집합, 네트워크, 원격 유지 관리 서버, 그리고 IoT 기반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진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수집모듈, 정보분석모듈, 정보제공모듈로 이루어진 IoT 기반 제어부를 포함하는 각 IoT 배전반은, 화재감지센서, 절연저항감지센서, 누전감지센서 및 과부하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정보를, 상기 절연저항감지센서로부터 절연저항 파괴정보, 상기 누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 이상인 것에 해당하는 누전감지정보, 상기 과부하감지센서로부터 과부하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집모듈; 상기 정보수집모듈로부터 수신된 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수신에 따라, 단계별 위험수위정보를 분석한 뒤,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와 함께 위험수위정보를 정보제공모듈로 제공하는 정보분석모듈; 및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와 최종적인 위험수위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 유지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 유지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는 정보제공모듈; 을 포함하는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관리되는 다수의 배전관에 대한 실시간 관리를 IoT(Internet of Thinsg) 기반으로 수행하며, 전기적인 문제를 미리 알려주거나, 제작한 배전반 설비에 대해서 원격 통신으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원격 통신으로 정보를 제공받은 관리자가 스마트폰 등을 활용하여 신속한 조치 및 관리를 위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직접 배전반을 방문함이 없이도 장기간 관리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원격 화재 진압, 선순환 공기 흐름 제어를 통해 내부의 미세 먼지 유입을 최소화하도록 원격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REMOT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DISTRIBUTING BOAR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IoT 배전반 시스템을 원격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전반에 대한 유지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즉, 종래의 기술 1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094148호 "지능형 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통합관리 방법(Intelligent switchgea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installations)"은 배전반 내부의 각각의 기기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위치별, 용도별 등에 따라 구분되어 설치된 복수의 배전반들에 대하여 실시간 감시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지능형 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2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019580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walk in distributing board)"은 전력 휴식기 또는 비상 정전 시, 워크인 배전부에 비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워크인 배전반 내부 및 외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이상 신호 분석 작업 및 사용자 확인 작업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워크인 배전반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3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67618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은 배전반의 개보수 또는 정전시에 듀얼시퀀스 모니터링(Dual sequence monitoring)에 의해 전력 공급을 차단 또는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4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57092호 "2차원 진단 영상과 3차원 진단 영상 간의 절환 기능을 갖는 수배전 관리 장치와 그것에 의해 관리되는 수배전반(Power distribution manag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switching between two-dimensional diagnosis image and three-dimensional diagnosis image and distributing board managed thereby)"은 저압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등과 같은 전기설비에 내장된 차단기의 상태를 관찰하고 진단함으로써 수배전을 관리하는 장치 및 이러한 수배전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 1 내지 4는 모두 각개의 배전반 내에서의 각 기능구성부에 대한 관리 및 유지를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업체에서 설치 및 운용 보수를 위해 제공한 수많은 배전반에 대한 원격으로 유지 및 관리를 위한 기술을 제공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094148호 "지능형 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통합관리 방법(Intelligent switchgea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019580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walk in distributing board)"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67618호 "듀얼 시퀀스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ng board with dual-sequence apparatus)"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57092호 "2차원 진단 영상과 3차원 진단 영상간의 절환 기능을 갖는 수배전 관리 장치와 그것에 의해 관리되는 수배전반(Power distribution manag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switching between two-dimensional diagnosis image and three-dimensional diagnosis image and distributing board managed thereb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관리되는 다수의 배전관에 대한 실시간 관리를 IoT(Internet of Thinsg) 기반으로 수행하며, 전기적인 문제를 미리 알려주거나, 제작한 배전반 설비에 대해서 원격 통신으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통신으로 정보를 제공받은 관리자가 스마트폰 등을 활용하여 신속한 조치 및 관리를 위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직접 배전반을 방문함이 없이도 장기간 관리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화재 진압, 선순환 공기 흐름 제어를 통해 내부의 미세 먼지 유입을 최소화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는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은,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IoT 배전반(100)으로 이루어진 IoT 배전반 집합(100G), 네트워크(1), 원격 유지 관리 서버(2), 그리고 IoT 기반 스마트폰(3)으로 이루어진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수집모듈(121), 정보분석모듈(122), 정보제공모듈(123)로 이루어진 IoT 기반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각 IoT 배전반(100)은, 화재감지센서(111), 절연저항감지센서(112), 누전감지센서(113) 및 과부하감지센서(114)로 이루어진 센서부(110); 화재감지센서(111)로부터 화재감지정보를, 절연저항감지센서(112)로부터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센서(113)로부터 입력된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 이상인 것에 해당하는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센서(114)로부터 과부하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집모듈(121); 정보수집모듈(121)로부터 수신된 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수신에 따라, 단계별 위험수위정보를 분석한 뒤,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와 함께 위험수위정보를 정보제공모듈(123)로 제공하는 정보분석모듈(122); 및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와 최종적인 위험수위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 유지 관리 서버(2)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0)를 제어하여 원격 유지 관리 서버(2)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는 정보제공모듈(1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 유지 관리 서버(2)로 액세스하여 하나의 IoT 배전반 집합(100G)으로 설정된 각 IoT 배전반(100)의 식별ID 별로 감지정보 및 위험수위정보를 점검 및 검침하여, 원격으로 네트워크(1)를 통해 직접적으로 각 IoT 배전반(100)의 센서부(100)를 구성하는 센서에 대한 개별적인 감지정보에 대한 요청을 실시간으로 요청하여 원격에서 하나의 IoT 배전반 집합(100G)을 구성하는 각 IoT 배전반(100)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하는 IoT 기반 스마트폰(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분석모듈(122)은,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의 IoT 배전관 내부의 발생 공간을 분석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분석모듈(122)은,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시 각 감지정보별 발생 공간에 따른 누적분포를 생성하여 누적분포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며,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 상의 설정된 영역으로부터의 각 감지정보의 발생 공간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경우, 먼 거리에 반비례하는 강도 정수(strength integer)를 생성하여 수신 정보별로 강도 정수를 적용하여 위험수위정보를 생성한 뒤, 각 감지정보의 위험수위정보의 평균을 연산하여 최종적인 위험수위정보를 정보제공모듈(123)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IoT 기반 제어부(120)는, 화재감지센서(111)로부터 화재감지정보를 수신하면 IoT 배전반 케이스의 전면 도어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타격부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여, 전면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실시간으로 관리되는 다수의 배전관에 대한 실시간 관리를 IoT(Internet of Thinsg) 기반으로 수행하며, 전기적인 문제를 미리 알려주거나, 제작한 배전반 설비에 대해서 원격 통신으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원격 통신으로 정보를 제공받은 관리자가 스마트폰 등을 활용하여 신속한 조치 및 관리를 위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직접 배전반을 방문함이 없이도 장기간 관리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계별 위험수위정보를 수신한 관리자가 단계별 위험수위정보를 수신한 관리자가 위험수위에 따라 원격 화재 진압, 선순환 공기 흐름 제어를 통해 내부의 미세 먼지 유입을 최소화하도록 원격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중 하나의 IoT 배전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중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IoT 배전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은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IoT 배전반(100)으로 이루어진 IoT 배전반 집합(100G), 네트워크(1), 원격 유지 관리 서버(2), 그리고 IoT 기반 스마트폰(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중 하나의 IoT 배전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IoT 배전반(100)은 센서부(110), IoT 기반 제어부(120), 송수신부(130), 그리고 내부 장치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110)는 화재감지센서(111), 절연저항감지센서(112), 누전감지센서(113), 과부하감지센서(114) 등을 구비하여 각 센서가 내부 장치부(140)에 형성되거나 IoT 배전반 케이스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재감지센서(111)는 배전반(20)의 화재를 감지하여 IoT 기반 제어부(120)로 화재감지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화재감지정보를 수신한 IoT 기반 제어부(120)는 화재감지센서(111)로부터 화재감지정보를 수신하면 IoT 배전반 케이스의 전면 도어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타격부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전면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절연저항감지센서(112)는 누설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신호검출수단, 신호처리수단, 절연검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검출수단은 전류센서로 클램프(clamp) 타입의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류센서는 영상변류기(Zero Current Transformer, ZCT)가 사용될 수 있다. 누설전류를 측정하는데 있어 고조파 성분을 포함한 전류와 전압신호를 변환하는 변환기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변환기는 전력시스템에서 전류 또는 전압측정을 위해 직접적인 연결이 불가능한 환경에서 장비의 동작과 병행할 수 있다. 신호검출에 사용되는 전류센서들의 오차는 크기에 있어 측정된 값과 관련되어 5%, 위상각(Phase Angle)에서 5°를 초과하지 않는다.
신호검출수단은 연속신호를 샘플링하기 전에 저역통과 능동 필터로 높은 주파수 성분을 미리 제거해 주고, 샘플링 주파수를 저역통과 필터 차단주파수의 2배 이상으로 설정하여 샘플링한다.
절연검출수단은 영상변류기(ZCT)로 검출한 부하절연 임피던스에 흐르는 절연 검출용 주파수 성분의 전류에 대해 변압기의 접지선(또는 중성선)과 대지 간으로부터 받아들인 절연검출용 주파수의 전압에 의해 유효분 검출회로에서 유효분 연산을 행한 저항성의 전류를 분리 추출한다. 출력전류환산회로에서는 추출한 저항성의 전류를 대상전로의 대지전압에 환산한 전류치(통과기준) 또는 절연저항치로 변환하여 IoT 기반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절연저항감지센서(112)는 내부 장치부(140)에 포함된 절연저항의 파괴를 감지하여 IoT 배전반 케이스 내부의 스파크 발생 가능성을 IoT 기반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누전감지센서(113)는 상술한 영상변류기(Zero Current Transformer, ZCT)로부터 노이즈 필터를 거쳐 입력된 전류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전류 이상인 경우, SCR로 트립 신호(Trip Signal)를 출력함으로써, SCR 상의 게이트(Gate)에 트리거 신호 입력에 따라 SCR의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애노드와 캐소드가 도통되면서 동작되어 트립 코일에 많은 전류가 흐르면서 기전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이 기전력에 의하여 전원 차단부의 스위치가 동작되어 전기적 연결에 따라 전원선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한다.
한편, 누전감지센서(113)는 입력된 전류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전류 이상인 경우 누전으로 판단하여 IoT 기반 제어부(120)의 정보수집모듈(121)로 제공할 수 있다.
과부하감지센서(114)는 과부하나 단락 및 아크를 판단하기 위해 배전된 전원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수단과, 전류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전류와 기준 전류를 비교하여 전류 이상시 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보호계전수단과, 광섬유를 이용하여 아크 발생을 검출하며, 아크 발생시 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아크 센서를 구비하며, 보호계전수단과 아크 센서에서 각각 발생한 트립 신호를 과부하감지정보로 IoT 기반 제어부(120)로 제공함으로써, IoT 기반 제어부(120)에 의한 보호계전수단과 아크 센서에서 각각 발생한 트립 신호의 경우 과부하에 의한 단락 또는 아크로 분석되도록 한다.
한편, IoT 기반 제어부(120)는 정보수집모듈(121), 정보분석모듈(122) 및 정보제공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수집모듈(121)은 화재감지센서(111)로부터 화재감지정보를, 절연저항감지센서(112)로부터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센서(113)로부터 입력된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 이상인 것에 해당하는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센서(114)로부터 과부하감지정보를 수신한다.
정보분석모듈(122)은 정보수집모듈(121)로부터 수신된 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수신에 따라, 단계별 위험수위정보를 분석한 뒤,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와 함께 위험수위정보를 정보제공모듈(123)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분석모듈(122)은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의 발생 공간을 분석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정보분석모듈(122)은 센서부(110)를 구성하는 각 센서에 대한 IoT 배전반 케이스 내의 설치 공간 정보 및 각 공간 정보를 갖는 센서의 식별 ID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정보분석모듈(122)은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시 각 감지정보별 발생 공간에 따른 누적분포를 생성하여 누적분포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며,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 상의 설정된 영역으로부터의 각 감지정보의 발생 공간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경우, 먼 거리에 반비례하는 강도 정수(strength integer)를 생성하여 수신 정보별로 강도 정수를 적용하여 위험수위정보를 생성한 뒤, 각 감지정보의 위험수위정보의 평균을 연산하여 최종적인 위험수위정보를 정보제공모듈(123)로 제공할 수 있다.
정보제공모듈(123)은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와 최종적인 위험수위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 유지 관리 서버(2)로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원격 유지 관리 서버(2)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IoT 기반 스마트폰(3)은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 유지 관리 서버(2)로 액세스하여 하나의 IoT 배전반 집합(100G)으로 설정된 각 IoT 배전반(100)의 식별ID 별로 감지정보 및 위험수위정보를 점검 및 검침할 수 있으며, 원격으로 네트워크(1)를 통해 직접적으로 각 IoT 배전반(100)의 센서부(100)를 구성하는 센서에 대한 개별적인 감지정보에 대한 요청을 실시간으로 요청함으로써 원격에서 하나의 IoT 배전반 집합(100G)을 구성하는 각 IoT 배전반(100)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중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IoT 배전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IoT 배전반(100)은 센서부(110), 개폐구동부(110a), IoT 기반 제어부(120), 송수신부(130), 내부 장치부(140), 마이크로 캡슐 모듈(200),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300), 상부팬(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110)는 화재감지센서(111), 절연저항감지센서(112), 누전감지센서(113), 과부하감지센서(114), 온습도 센서(115)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캡슐 모듈(200)은 모듈 프레임(210) 및 화재 진화용 마이크로 캡슐 입자(2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300)은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310),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320), 오염도센서(330), 열선 형성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배전반(100)으로 구성된 IoT 배전반 집합(100G)을 구비한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여기서 내부 장치부(140)는 변압부, 계기용변압기, 부가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변압부는 변압부 내부 필터 및 몰드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변압부 내부 필터는 변압부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그 측면으로는 측면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변압부의 몰드변압기에서 발생된 열에 대한 방열이 IoT 기반 제어부(120)에 의한 제어를 받는 상부팬(400)의 회전에 따라 공기 흐름 영역(A.F.)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몰드변압기는 계기용변압기를 통해 고압단자로 인입된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여 저압단자를 통해 부하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며, IoT 배전반(100)에서 발열이 큰 부분이다.
계기용변압기는 부가장치부를 통해 인입된 고압의 전력을 몰드변압기의 고압단자를 통해 몰드변압기로 전달한다. 부가장치부는 계기용변압기의 하부에 형성되며, 부스바, 피뢰기 등과 같이 변압설비를 제외한 모든 수배전반 장치가 실장 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캡슐 모듈(200)은 IoT 배전반 케이스 내부에 부착되어 화재시 염화에 의해 모듈 프레임(210) 내부의 화재 진화용 마이크로 캡슐 입자(220)가 터지면서 소화 가스를 분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캡슐 모듈(200)은 패드 형태 제작되어 배면에 접착제를 이용한 스티커 형태, 자력을 이용한 자석 부착식, 망 부착 방식, 벨크로 타입 부착 방식, 필름 타입 부착 방식 등으로 IoT 배전반 케이스의 내부 중 상부패널의 하단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 타입 부착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 캡슐 모듈(200)의 모듈 프레임(210)을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시험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용융흐름지수(210℃/2.12kg)가 3g/10min, 평균밀도가 0.80g/㎤, 평균분자량이 500,000mol/g인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계 난연제 1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7 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0.5 중량부, 탄산칼슘 150 중량부, 메틸렌 비스스테아라마이드 0.5 중량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및 안정제(Irganox-B225, 시바가이기) 1.5 중량부의 배합물을 250℃로 유지된 플레네터리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다음, 캘린더 롤 표면온도가 210 ℃로 유지된 캘린더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가이드 롤러에 의한 연신 오븐으로 이송에 따른 가열 방식 연신이 수행되어 제조된 필름에 대한 연신 전후의 면적 비율이 6.5 내지 7배 달성하는 다중 이송 롤러에 의한 장력을 활용한 연신된 필름 시트에 대한 연성화와 함께 니들 스플릿(needle split) 방식에 의한 메쉬(mesh) 공정에 따라 다이아몬드 격자 구조를 갖도록 한 뒤, 다중 이송 롤러에 의해 안정화 오븐으로 이송하여 가열에 의한 안정화를 수행한 뒤, 형성된 필름은 -10 ℃로 급속히 냉각하여 250㎛두께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한다. 그리고, 화재 진화용 마이크로 캡슐 입자(220)는 직경 5 내지 20㎛의 마이크로 사이즈(Micro Size) 캡슐로 마이크로 소화 물질(active agent)(약 5 내지 10㎛)을 Microencapsulation, 즉, 마이크로 캡슐에 액체, 기체, 고체를 삽입하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마이크로 캡 내부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마이크로 캡은 이물질 침투에 강하며, 온도에 자동 반응하여 안정성 및 유연성이 향상된 바인드 물질로 고분자 쉘이다.
소화 약제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소화 물질(active agent)은 할로겐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수소화불화탄소(HYdrofluorocarbon, 이하, 'HFC')를 사용함으로써, 억제 냉각에 의해 화제를 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마이크로 소화 물질(active agent)은 HFC-227ea(CH3CHFCF3)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CFC 대체물질인 불화탄화수소(HFC)는 유기 반응원료로서 두 가지 이상의 할로겐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탄화수소 화합물에서 염소를 불소로 치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된 할로겐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탄화수소 화합물은 CHaXb(X=Cl 또는 F a=1 또는 2이고, b=4-a, 적어도 한 개의 Cl을 포함) 및 CX3CHa'Xb' (X=Cl 또는 F, a'=1,2 또는 3이고 b'=3-a', 적어도 1개 이상의 Cl을 포함) 및 C2HaClb(a=0, 1, 2 또는 3이고, b=4-a)중에서 선택된다.
모듈 프레임(210)은 개폐구동부(110a)에 의해 하부 프레임이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구동부(110a)는 IoT 기반 제어부(120)에 의한 제어를 받는다.
이에 따라, IoT 기반 제어부(120)의 정보제공모듈(123)은 감지정보, 그리고 미리 설정된 위험수위정보 이상의 위험수위정보를 수신한 IoT 기반 스마트폰(3)에 의한 네트워크(1)를 통한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130)를 제어한 뒤, IoT 기반 스마트폰(3)에 의한 개폐구동부(110a)의 제어명령을 수신한 뒤,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개폐구동부(110a)를 제어하여 모듈 프레임(210)의 하부 프레임이 개방되어 화재 진화용 마이크로 캡슐 입자(220)가 하방으로 직하하여 스파크, 화재 등과 같은 위험상황에 대한 원격 대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온습도 센서(115)와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된 IoT 기반 제어부(120)는,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310),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320), 오염도 센서(330), 열선 형성부(340)가 일체로 형성된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300)을 IoT 배전반(100)의 전면 하단부에 최초로 삽입하거나 기존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300)에 대해서 교체를 수행하고, 열선 형성부(340)의 구동수단과 내부 장치부(140)의 온습도 센서(115) 간의 스위치에 대한 물리적 연결에 따라 새로운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300)의 IoT 배전반(100)의 전면 하단부의 삽입을 인식한 뒤,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 유지 관리 서버(2) 및 IoT 기반 스마트폰(3)으로 인식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0)를 제어한다.
정보수집모듈(121)은 이미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상부팬(400)의 공기 인입단 영역의 오염도 센서(330)뿐만 아니라,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300)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310)의 배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320)의 배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330)와의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되면,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오염도 센서(330)를 인식한다. 여기서 IoT 기반 제어부(120)는 열선 형성부(340) 중 열선과의 물리적 연결에 대한 인식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수집모듈(121)은 인식된 온습도 센서(115)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 그리고 인식된 각 오염도 센서(330)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한 뒤, 상부팬(400)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형성된 제 1 오염도 센서(330),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300)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310)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오염도 센서(330),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320)의 배면에 형성된 제 3 오염도 센서(330)로부터 각각 제 1 내지 제 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한다.
정보분석모듈(122)은 수신된 각 오염도 측정 정보를 ppm 데이터값으로 변환하고, 미리 설정된 먼지 오염도 측정 횟수를 충족하는 경우, 측정되어 축적된 ppm 데이터값에 대한 ppm 평균값을 연산한 뒤, ppm 평균값에 대한 단계별 미세먼지 농도 구간의 추출을 수행한다. 이후, 정보제공모듈(123)은 각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를 위한 LED 조명에 대해서 추출된 미세먼지 농도 구간과 매칭되는 LED 조명(500)에서 표현되는 색상을 추출한 뒤, 추출된 색상을 이용하여 각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를 위한 LED 조명(5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제 1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상부팬(400)의 청소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제 2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310)의 교체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320)의 청소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이 초록색인 경우, ppm 평균값이 최하의 구간일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이 빨간색인 경우, ppm 평균값이 최상의 구간일 수 있으며, 그 사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색상으로 구간 값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모듈(123)은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을 네트워크(2)를 통해 원격 유지 관리 서버(2) 및 IoT 기반 스마트폰(3)으로 인식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0)를 제어한다.
IoT 기반 제어부(120)는 단계별 위험수위정보를 수신한 뒤, 위험수위정보 중 임계치 미만의 위험수위정보인 경우 상술한 방식으로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을 IoT 기반 스마트폰(3)으로 전송한 뒤, IoT 기반 스마트폰(3)으로부터 상부팬(400)과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320)의 배면 사이에는 상호 직교하는 방향의 공기 흐름 영역(A.F.)을 통해 공기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부팬(4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각 제어 정보에 따라 변화된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 그리고 단계별 위험수위정보,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다시 IoT 기반 스마트폰(3)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네트워크
2 : 원격 유지 관리 서버
3 : IoT 기반 스마트폰
100 : 배전반
100G : 배전반 집합
110 : 센서부
110a : 개폐구동부
111 : 화재감지센서
112 : 절연저항감지센서
113 : 누전감지센서
114 : 과부하감지센서
115 : 온습도 센서
120 : IoT 기반 제어부
121 : 정보수집모듈
122 : 정보분석모듈
123 : 정보제공모듈
130 : 송수신부
140 : 내부 장치부
200 : 마이크로 캡슐 모듈
210 : 모듈 프레임
220 : 화재 진화용 마이크로 캡슐 입자
300 :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
310 :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320 :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330 : 오염도센서
340 : 열선 형성부
400 : 상부팬
500 : LED 조명

Claims (5)

  1.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IoT 배전반으로 이루어진 IoT 배전반 집합, 네트워크, 원격 유지 관리 서버, 그리고 IoT 기반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진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oT 배전반은 센서부, 개폐구동부, IoT 기반 제어부, 송수신부, 내부 장치부, 마이크로 캡슐 모듈,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 그리고 상부팬을 포함하며,
    센서부는, 화재감지센서, 절연저항감지센서, 누전감지센서, 과부하감지센서, 온습도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IoT 기반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정보를, 상기 절연저항감지센서로부터 절연저항 파괴정보, 상기 누전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 이상인 것에 해당하는 누전감지정보, 상기 과부하감지센서로부터 과부하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집모듈; 상기 정보수집모듈로부터 수신된 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수신에 따라, 단계별 위험수위정보를 분석한 뒤,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와 함께 위험수위정보를 정보제공모듈로 제공하는 정보분석모듈; 및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와 최종적인 위험수위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 유지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 유지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는 정보제공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 모듈은, 모듈 프레임 및 화재 진화용 마이크로 캡슐 입자로 이루어지며,
    사익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은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오염도센서, 열선 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장치부는 변압부, 계기용변압기, 부가장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부는 변압부 내부 필터 및 몰드변압기를 포함하며, 변압부 내부 필터는 변압부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그 측면으로는 측면 필터가 형성되며, 변압부의 몰드변압기에서 발생된 열에 대한 방열이 상기 IoT 기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받는 상기 상부팬의 회전에 따라 공기 흐름 영역(A.F.)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며, 몰드변압기는 계기용변압기를 통해 고압단자로 인입된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여 저압단자를 통해 부하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계기용변압기는 부가장치부를 통해 인입된 고압의 전력을 몰드변압기의 고압단자를 통해 몰드변압기로 전달하며, 부가장치부는 계기용변압기의 하부에 형성되며, 변압설비를 제외한 모든 수배전반 장치가 실장되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 모듈은, IoT 배전반 케이스 내부에 부착되어 화재시 염화에 의해 상기 모듈 프레임 내부의 상기 화재 진화용 마이크로 캡슐 입자가 터지면서 소화 가스를 분출하며, 패드 형태 제작되어 배면에 접착제를 이용한 스티커 형태, 자력을 이용한 자석 부착식, 망 부착 방식, 벨크로 타입 부착 방식, 필름 타입 부착 방식 중 하나로 형성되어 IoT 배전반 케이스의 내부 중 상부패널의 하단 영역에 부착되며, 필름 타입 부착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자동 소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 캡슐 모듈의 모듈 프레임을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하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용융흐름지수(210℃/2.12kg)가 3g/10min, 평균밀도가 0.80g/㎤, 평균분자량이 500,000mol/g인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계 난연제 10 중량부, 삼산화안티몬 7 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0.5 중량부, 탄산칼슘 150 중량부, 메틸렌 비스스테아라마이드 0.5 중량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및 안정제(Irganox-B225, 시바가이기) 1.5 중량부의 배합물을 250℃로 유지된 플레네터리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다음, 캘린더 롤 표면온도가 210 ℃로 유지된 캘린더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가이드 롤러에 의한 연신 오븐으로 이송에 따른 가열 방식 연신이 수행되어 제조된 필름에 대한 연신 전후의 면적 비율이 6.5 내지 7배 달성하는 다중 이송 롤러에 의한 장력을 활용한 연신된 필름 시트에 대한 연성화와 함께 니들 스플릿(needle split) 방식에 의한 메쉬(mesh) 공정에 따라 다이아몬드 격자 구조를 갖도록 한 뒤, 다중 이송 롤러에 의해 안정화 오븐으로 이송하여 가열에 의한 안정화를 수행한 뒤, 형성된 필름은 -10 ℃로 급속히 냉각하여 250㎛두께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조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화재 진화용 마이크로 캡슐 입자는 직경 5 내지 20㎛의 마이크로 사이즈(Micro Size) 캡슐로 마이크로 소화 물질(active agent)(5 내지 10㎛)을 Microencapsulation을 적용하여, 이물질 침투에 강하며 온도에 자동 반응하여 안정성 및 유연성이 향상된 바인드 물질로 고분자 쉘인 마이크로 캡 내부에 삽입시키며, 소화 약제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소화 물질(active agent)은 할로겐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수소화불화탄소(HYdrofluorocarbon, 이하, 'HFC')를 사용하여, 억제 냉각에 의해 화제를 소화시키며,
    상기 모듈 프레임은 상기 개폐구동부에 의해 하부 프레임이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IoT 기반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받으며,
    상기 IoT 기반 제어부의 정보제공모듈은 감지정보, 그리고 미리 설정된 위험수위정보 이상의 위험수위정보를 수신한 IoT 기반 스마트폰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한 뒤, IoT 기반 스마트에 의한 개폐구동부의 제어명령을 수신한 뒤,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개폐구동부를 제어하여 모듈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이 개방되어 화재 진화용 마이크로 캡슐 입자가 하방으로 직하하여 스파크, 화재를 포함하는 위험상황에 대한 원격 대처가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온습도 센서와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된 상기 IoT 기반 제어부는,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상기 오염도 센서, 상기 열선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을 IoT 배전반의 전면 하단부에 최초로 삽입하거나 기존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에 대해서 교체를 수행하고, 상기 열선 형성부의 구동수단과 상기 내부 장치부의 온습도 센서 간의 스위치에 대한 물리적 연결에 따라 새로운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의 IoT 배전반의 전면 하단부의 삽입을 인식한 뒤,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유지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스마트폰으로 인식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정보수집모듈은 이미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상기 상부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의 상기 오염도 센서뿐만 아니라,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배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와의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되면,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오염도 센서를 인식하며, 인식된 온습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 그리고 인식된 각 오염도 센서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한 뒤, 상기 상부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형성된 제 1 오염도 센서, 상기 오염방지 일체형 모듈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오염도 센서,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형성된 제 3 오염도 센서로부터 각각 제 1 내지 제 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정보분석모듈은 수신된 각 오염도 측정 정보를 ppm 데이터값으로 변환하고, 미리 설정된 먼지 오염도 측정 횟수를 충족하는 경우, 측정되어 축적된 ppm 데이터값에 대한 ppm 평균값을 연산한 뒤, ppm 평균값에 대한 단계별 미세먼지 농도 구간의 추출을 수행하며,
    상기 정보제공모듈은 각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를 위한 LED 조명에 대해서 추출된 미세먼지 농도 구간과 매칭되는 LED 조명에서 표현되는 색상을 추출한 뒤, 추출된 색상을 이용하여 각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를 위한 LED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 제 1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상부팬의 청소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제 2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교체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청소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정보제공모듈은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을 네트워크(2)를 통해 원격 유지 관리 서버 및 IoT 기반 스마트폰으로 인식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IoT 기반 제어부는 단계별 위험수위정보를 수신한 뒤, 위험수위정보 중 임계치 미만의 위험수위정보인 경우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을 IoT 기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 뒤, IoT 기반 스마트폰으로부터 상부팬과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 사이에는 상호 직교하는 방향의 공기 흐름 영역(A.F.)을 통해 공기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부팬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각 제어 정보에 따라 변화된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 그리고 단계별 위험수위정보,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다시 IoT 기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모듈은,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이 초록색인 경우, ppm 평균값이 최하의 구간이며,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이 빨간색인 경우, ppm 평균값이 최상의 구간이며, 초록색과 빨간색 사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색상으로 구간 값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정보분석모듈은,
    각 감지정보(화재감지정보, 절연저항 파괴정보, 누전감지정보, 과부하감지정보)의 IoT 배전관 내부의 발생 공간을 분석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모듈은,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시 각 감지정보별 발생 공간에 따른 누적분포를 생성하여 누적분포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며,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 상의 설정된 영역으로부터의 각 감지정보의 발생 공간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경우, 먼 거리에 반비례하는 강도 정수(strength integer)를 생성하여 수신 정보별로 강도 정수를 적용하여 위험수위정보를 생성한 뒤, 각 감지정보의 위험수위정보의 평균을 연산하여 최종적인 위험수위정보를 상기 정보제공모듈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기반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정보를 수신하면 IoT 배전반 케이스의 전면 도어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타격부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여, 전면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KR1020170043495A 2017-04-04 2017-04-04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95A KR101852850B1 (ko) 2017-04-04 2017-04-04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95A KR101852850B1 (ko) 2017-04-04 2017-04-04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850B1 true KR101852850B1 (ko) 2018-04-27

Family

ID=6208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495A KR101852850B1 (ko) 2017-04-04 2017-04-04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850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928B1 (ko) 2018-12-19 2019-07-08 주식회사 벽진테크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사고 예방시스템을 내장한 배전반
KR102083114B1 (ko) * 2019-03-15 2020-04-23 주식회사 퀀텀솔루션 PLC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및 전력을 통신하는 IoT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82055B1 (ko) * 2018-09-10 2020-04-24 주식회사 정우인더스트리 통합시스템용 스마트 랙
KR20200090012A (ko) * 2019-01-18 2020-07-28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1416A (ko) 2019-05-14 2020-11-24 (주)그린텍시스템 사물인터넷 기반의 배전반 상태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212476B1 (ko) * 2019-08-26 2021-02-10 주식회사 대홍전기 엣지 컴퓨팅 기반의 전력관리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분전반 및 전동기제어반
CN112653008A (zh) * 2020-12-15 2021-04-13 北京双杰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户外一体式sf6环网柜
KR102289496B1 (ko) * 2021-02-10 2021-08-12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태양광 발전장치용 스마트 접속반
KR20210145428A (ko)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에니트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지능형 배전반을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KR102395169B1 (ko) * 2021-06-08 2022-05-06 우천희 주거지 전기설비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30962B1 (ko) * 2021-08-02 2022-08-08 박윤수 사물 인터넷 기반의 배전반 내부상태 관리 및 제어형 배전반 시스템
KR20220118118A (ko) * 2021-02-18 2022-08-25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내 복수의 센서에 대한 통신주기 설정 방법
KR102513647B1 (ko) 2022-06-29 2023-03-24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위상차 없는 센서유닛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전기안전 원격 점검 및 제어장치
KR102608952B1 (ko) * 2022-12-21 2023-11-30 이수열 서지 및 노이즈 예방용 전기 플랜트 전원 공급 시스템
KR102679529B1 (ko) * 2022-01-27 2024-07-01 아리온주식회사 200l 이상 대용량 케미컬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24B1 (ko) * 2014-02-20 2014-05-27 추인엽 근접센서를 이용한 지진 감지 배전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7426B1 (ko) * 2014-08-22 2015-01-28 (주)성지이앤씨 분전반의 전기화재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유비쿼터스형 분전반
KR101587530B1 (ko) * 2015-06-03 2016-01-21 주식회사 효성전기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56703B1 (ko) * 2016-03-22 2016-09-12 (주)이레이티에스 스마트 감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자가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924B1 (ko) * 2014-02-20 2014-05-27 추인엽 근접센서를 이용한 지진 감지 배전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7426B1 (ko) * 2014-08-22 2015-01-28 (주)성지이앤씨 분전반의 전기화재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유비쿼터스형 분전반
KR101587530B1 (ko) * 2015-06-03 2016-01-21 주식회사 효성전기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56703B1 (ko) * 2016-03-22 2016-09-12 (주)이레이티에스 스마트 감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자가진단 시스템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055B1 (ko) * 2018-09-10 2020-04-24 주식회사 정우인더스트리 통합시스템용 스마트 랙
KR101996928B1 (ko) 2018-12-19 2019-07-08 주식회사 벽진테크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사고 예방시스템을 내장한 배전반
KR102230217B1 (ko) * 2019-01-18 2021-03-22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0012A (ko) * 2019-01-18 2020-07-28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3114B1 (ko) * 2019-03-15 2020-04-23 주식회사 퀀텀솔루션 PLC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및 전력을 통신하는 IoT 네트워크 시스템
KR20200131416A (ko) 2019-05-14 2020-11-24 (주)그린텍시스템 사물인터넷 기반의 배전반 상태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212476B1 (ko) * 2019-08-26 2021-02-10 주식회사 대홍전기 엣지 컴퓨팅 기반의 전력관리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분전반 및 전동기제어반
KR20210145428A (ko)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에니트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지능형 배전반을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CN112653008A (zh) * 2020-12-15 2021-04-13 北京双杰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户外一体式sf6环网柜
CN112653008B (zh) * 2020-12-15 2023-09-22 北京双杰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户外一体式sf6环网柜
KR102289496B1 (ko) * 2021-02-10 2021-08-12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태양광 발전장치용 스마트 접속반
KR102454732B1 (ko) * 2021-02-18 2022-10-13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내 복수의 센서에 대한 통신주기 설정 방법
KR20220118118A (ko) * 2021-02-18 2022-08-25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내 복수의 센서에 대한 통신주기 설정 방법
KR102395169B1 (ko) * 2021-06-08 2022-05-06 우천희 주거지 전기설비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2260416A1 (ko) * 2021-06-08 2022-12-15 우천희 주거지 전기설비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30962B1 (ko) * 2021-08-02 2022-08-08 박윤수 사물 인터넷 기반의 배전반 내부상태 관리 및 제어형 배전반 시스템
KR102679529B1 (ko) * 2022-01-27 2024-07-01 아리온주식회사 200l 이상 대용량 케미컬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79536B1 (ko) * 2022-01-27 2024-07-01 아리온주식회사 독립 퍼지수단을 가지는 케미컬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79533B1 (ko) * 2022-01-27 2024-07-01 아리온주식회사 탱크 자동압력제어가 가능한 케미컬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13647B1 (ko) 2022-06-29 2023-03-24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위상차 없는 센서유닛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전기안전 원격 점검 및 제어장치
KR102608952B1 (ko) * 2022-12-21 2023-11-30 이수열 서지 및 노이즈 예방용 전기 플랜트 전원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50B1 (ko) IoT 배전반 원격 유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707823B (zh) 一种变电站多维智能远程巡检***
CN111107675B (zh) 基于泛在电力物联网的电缆通道边缘物联终端及方法
CN109785572B (zh) 一种基于神经网络的消防预警方法及***
KR101587530B1 (ko)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CN105561492B (zh) 人的行为统计信息动态获取终端、疏散***和方法
CN107807593B (zh) 配电房主控装置、主控***和检测控制方法
US1080468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arc flash exposure hazard
CN106056833A (zh) 安全监测方法、装置、***及监控***
CN115313658B (zh) 一种数字孪生变电站智能运维***
KR101403465B1 (ko)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CN208521198U (zh) 配电房***
CN107124037A (zh) 一种基于多数据源的变电站智能巡检***及综合诊断方法
KR102154854B1 (ko)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CN101969229B (zh) 二次回路在线监视的方法
KR20160005480A (ko) 수배전반의 도어 개폐장치
CN113018728B (zh) 一种电缆隧道火灾分级研判消防***
CN109165751A (zh) 医院电气安全立体监测云平台、***及其方法、电气***
CA266503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re protection of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170123295A (ko) 산불 감시 시스템
CN109038814A (zh) 电力变电站管理方法和装置
CN110718963A (zh) 一种基于移动终端控制配电室监控***
CN108151802A (zh) 一种火灾信息展示***及方法
CN105469536A (zh) 一种防止带电接地作业的方法及装置
CN110568292A (zh) 基于配电箱的故障检测方法及故障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