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505B1 - keep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 Google Patents

keep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505B1
KR101850505B1 KR1020160128227A KR20160128227A KR101850505B1 KR 101850505 B1 KR101850505 B1 KR 101850505B1 KR 1020160128227 A KR1020160128227 A KR 1020160128227A KR 20160128227 A KR20160128227 A KR 20160128227A KR 101850505 B1 KR101850505 B1 KR 10185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corona discharge
voltage
dental implant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7711A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6012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505B1/en
Publication of KR2018003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7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5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8Modification of implant surfaces in order to improve biocompatibility, cell growth, fixation of biomolecules, e.g. plasma treatment

Abstract

픽스츄어의 식립시 초기 골형성 촉진 및 골융합 기간의 단축을 위해 픽스츄어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되 개질된 표면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1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된 금속제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가 밀폐 보관되되 선택적으로 인출되도록 개폐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부; 및 상기 보관된 픽스츄어와 대향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픽스츄어의 2차 표면 개질을 위한 오존을 형성하는 코로나방전핀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내주에 상기 픽스츄어의 최대 외경부를 초과하는 내경의 지지돌기부가 형성된 용기본체부와,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부에는 상기 케이스부 삽입시 상기 보관된 픽스츄어의 외주를 감싸 고정하는 부싱부가 안착되되, 상기 부싱부는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이탈시 상기 픽스츄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원호형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몸체부로 구비되고, 상기 각 분할몸체부는 외주부가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주에 형합되도록 형성되되 내주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외주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celerate initial bone formation and shorten the duration of osseointegration when the fixture is placed, the surface of the fixture is modified to be hydrophilic and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fixture i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al dental implant A housing portion having a housing space in which the fixture for the housing is hermetically closed, the housing portion being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a corona discharge fin disposed inside the casing so as to face the stored fixture, the corona discharge fin forming ozone for reforming the secondary surface of the fixture, wherein the casing is formed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sealing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Wherein the bush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vided body portions divided in an arcuate shape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fixture when the bushing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case portion, wherein each of the divided body portions has an outer peripheral porti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xtur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ture, That provides a storage device for a tooth implant as claimed.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keep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ing apparatus for a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츄어의 식립시 초기 골형성 촉진 및 골융합 기간의 단축을 위해 픽스츄어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되 개질된 표면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는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implant storage device for dental implants, which is capable of modifying the surface of a fixture to be hydrophilic in order to accelerate initial bone formation and shorten a b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device for an implant.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란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의 의미하며, 치과에서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체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 반응이 적은 티타늄(titanium) 등의 픽스츄어(인공 치근), 치조골에 식립된 인공 치근에 결합되어 저작면을 형성하는 크라운 등을 의미하며, 상기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는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Generally, implants are replacements for restoring human tissues when they are lost. In dentistry, fixtures (artificial teeth), such as titanium, which have less rejection to the human body to replace the teeth of lost teeth, A crown which is joined to an artificial root placed on an alveolar bone to form a chewing surface, and the like, and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tooth can be restored by using the implant.

여기서, 상기 픽스츄어 등의 임플란트는 식립시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한 오염으로 치조골 등의 구강 내부 조직이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향균 처리된 후 밀봉 포장되어 보관된다. Here, the implant such as the fixture is subjected to antibacterial treatment to prevent infections of oral tissues such as alveolar bone, etc.,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or bacteria when the implant is placed, and then sealed and packed.

또한, 현재 대부분의 픽스츄어는 RBM, SLA 등의 공정을 통해 친수성 표면을 갖도록 처리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은 공정 후 공기 중에 노출되면 시간의 지남에 따라 산화층이 증가하고 탄화수소 화합물과 같은 오염원에 의해 표면에너지가 안정화되어 소수성으로 변하게 된다. In addition, most fixtures are processed to have a hydrophilic surface through processes such as RBM and SLA. At this time, when the surface of the fixture is exposed to the air after the process, the oxide layer increases with time, and the surface energy is stabilized by the contaminant source such as hydrocarbon compound and becomes hydrophobic.

이에 따라, 체액 및 혈액에 대한 젖음성이 저하되어 골융합 반응이 느려지고 임플란트가 안정화되기까지의 회복 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ttability with body fluids and blood is decreased, the fusion reaction is slowed, and the recovery period until the implant is stabilized is increased.

이에, 종래에는 살균된 픽스츄어를 용기에 포장한 후 용기 외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용기 내부에 포장된 픽스츄어의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켜 친수성을 확보하는 기술이 고안된 바 있다.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devised a technique of packing a sterilized fixture into a containe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increasing the surface energy of the fixture packed in the container to secure hydrophilicity.

그러나, 종래의 자외선 처리 장치는 낮은 투과성을 갖는 자외선이 용기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조사되기 위해, 자외선이 투과 가능한 특수한 재질의 용기가 요구되어 용기의 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ultraviolet processing apparatus, since ultraviolet rays having low permeability are irradiated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tainer made of a special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ultraviolet rays is required and the cost of the container is increased.

더욱이, 발광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의 강도는 용기의 투과시 용기의 투과율에 따라 감소될 뿐만 아니라 발광장치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Moreover, the intensity of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reduced not only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ttance of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permeated, but also sharply de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increased.

이에 따라, 픽스츄어의 표면 처리 및 살균을 위해 충분한 강도의 자외선이 조사되기 위해서는 높은 강도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장치가 요구되어 장치의 구성이 복잡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발광장치의 구동을 위해 다량의 전력이 소모되고 고강도 자외선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Accordingly, in order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of sufficient intensity for surface treatment and disinfection of the fixture,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ultraviolet rays of high intensity is required, which complic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In order to drive a light emitting device, When power is consumed and high-intensity ultraviolet rays leaks to the outside, there is a risk of causing fatal damage to the human body.

한국 등록특허 제10-0958841호Korean Patent No. 10-095884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픽스츄어의 식립시 초기 골형성 촉진 및 골융합 기간의 단축을 위해 픽스츄어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되 개질된 표면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는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dental implant storage device in which the surface of a fixture is modified to be hydrophilic while maintaining a modified surface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order to accelerate initial bone formation and shorten the osseointegration period when the fixture is placed The problem is solv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1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된 금속제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가 밀폐 보관되되 선택적으로 인출되도록 개폐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부; 및 상기 보관된 픽스츄어와 대향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픽스츄어의 2차 표면 개질을 위한 오존을 형성하는 코로나방전핀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내주에 상기 픽스츄어의 최대 외경부를 초과하는 내경의 지지돌기부가 형성된 용기본체부와,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부에는 상기 케이스부 삽입시 상기 보관된 픽스츄어의 외주를 감싸 고정하는 부싱부가 안착되되, 상기 부싱부는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이탈시 상기 픽스츄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원호형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몸체부로 구비되고, 상기 각 분할몸체부는 외주부가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주에 형합되도록 형성되되 내주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외주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comprising: a case part having a first surface modification and sterilization treatment internal fixture fixture for a metal tooth implant, the storage space being opened and clos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nd a corona discharge fin disposed inside the casing so as to face the stored fixture, the corona discharge fin forming ozone for reforming the secondary surface of the fixture, wherein the casing is formed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sealing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Wherein the bush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vided body portions divided in an arcuate shape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fixture when the bushing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case portion, wherein each of the divided body portions has an outer peripheral porti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xtur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ture, That provides a storage device for a tooth implant as claimed.

여기서, 상기 코로나방전핀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전환하는 오염원과 반응하는 오존이 형성되도록 기입력된 1차 전원을 기설정된 코로나발생전압 이상의 2차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코로나방전핀에 공급하는 승압컨버터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rimary power source, which has been pre-input so that ozone reacts with a contamination source that converts the surface of the fixture to a hydrophobic state through a corona discharge of the corona discharge pin, is converted into a secondary power source having a predetermined corona generation voltage, And a step-up converter for supplying the voltage to the discharge pin.

그리고, 상기 코로나방전핀의 하단부에는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승압컨버터는 외부 전력원에 접속되는 도크부에 구비되되 상기 입력단자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end of the corona discharge pin is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that is exposed through the cas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voltage step-up convert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that is provided in a dock part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

또한, 상기 승압컨버터는 상기 코로나방전핀에 음극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도록 상기 기입력된 1차 전원을 음전압으로 변환하는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up converter further includes a negative voltage doubler rectifying circuit for converting the input primary power to a negative voltage so that a cathode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in the corona discharge pin.

한편, 상기 코로나방전핀의 측부에는 코로나 방전시 이온화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조사되도록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side portion of the corona discharge fin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portion that emits ultraviolet rays to be irradiated to the fixture via an ionization region during corona discharg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storage device for dental im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코로나방전핀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지속적으로 오존이 형성되므로 픽스츄어의 표면에 침착된 탄소 계열의 오염원이 오존과의 반응을 통해 분리 및 제거되어 픽스츄어가 표면 개질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First, since ozone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case through the corona discharge of the corona discharge pin, a carbon-based contaminant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fixture is separated and removed through reaction with ozone, and the fixture is surface- It can be stably stored.

둘째, 상기 승압컨버터의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를 통해 상기 코로나방전핀에 높은 전위의 음전압이 인가되므로 음극 코로나 방전을 통한 오존 발생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오존에 의해 분리된 탄소계열의 오염원이 음전압의 전기장을 통해 코로나방전핀에 포집되므로 픽스츄어의 개질된 표면에 재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Second, since a negative voltage having a high potential is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through the cathode voltage doubler rectifier circuit of the voltage-up converter, not only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through the cathode corona discharge is increased but also the contamination source of carbon- It is collected on the corona discharge pin through the electric field of the voltage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recombining on the modified surface of the fixture and the surface modification maintenance performance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셋째, 상기 발광부가 코로나 방전시 이온화 영역을 경유하여 픽스츄어에 조사되도록 자외선을 방출하므로 전기장을 통한 이온화와 자외선을 통한 외각 전자의 여기과정이 시너지 효과를 제공하여 오존의 발생속도 및 발생량이 현저히 증가됨과 함께 픽스츄어의 표면에 조사된 자외선을 통해 탄소 원자 및 오존 간의 반응이 활성화되므로 제품의 표면 개질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Thirdly, since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ultraviolet rays to be irradiated to the fixture through the ionization region during the corona discharge, the excitation process of the excitation electrons through the electric field and the ultraviolet rays provides a synergistic effect, and the generation rate and the generation amount of ozone are remarkably increased The reaction between the carbon atoms and the ozone is activated through ultraviolet rays irradiated on the surface of the fixture, so that the surface modification performance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넷째, 상기 부싱부가 케이스부 및 픽스츄어 사이 공간에 형합되되 원호형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몸체부로 구비되어 핀셋 등의 시술도구를 이용하여 픽스츄어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분할된 각각이 자중에 의해 나사부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ourthly, the bush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vided body portions divided into an arcuate shape which ar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case portion and the fixture, and if the fixture is lifted using a surgical tool such as a tweezers,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의 승압컨버터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의 부싱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의 승압컨버터를 나타낸 회로도.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orage device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tep-up converter of a storage device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bushing portion of a storage device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rage device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orage device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orage device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boost converter of a storage device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ntal implant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의 승압컨버터를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의 부싱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rage device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voltage-up converter of a dental implan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lan view showing a bushing portion of a dental implant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100)는 케이스부(10) 및 코로나방전핀(20a)을 포함한다. 1 to 3, a storage device 100 for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and a corona discharge pin 20a.

한편,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는 1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된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f)가 밀폐 보관되되 선택적으로 인출되도록 개폐되는 수납공간(16)이 형성된다. Inside the case 10, a storage space 16 is formed in which the fixture f for a tooth implant that has undergone the primary surface modification and sterilization is hermetically sealed, bu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0)는 상단부에 픽스츄어(f)의 수납 및 인출되는 개구가 형성되되 내부에 픽스츄어(f)가 수용되는 수납공간(16)이 형성된 용기본체부(10b)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실링커버(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ase 10 includes a container main body 10b having an upper opening formed with an opening for receiving and drawing the fixture f and a receiving space 16 for accommodating the fixture f therein, And a sealing cover 10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부(10b)는 상기 픽스츄어(f)를 수납, 인출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형태이기만 하면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원기둥이나 다각기둥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shap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b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form in which an opening that can receive and draw out the fixture f is formed, and may be variously provided with a cylinder, a polygonal column, or the like.

물론, 상기 개구에 대한 밀폐성 향상을 위해서는 개구의 단면적이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픽스츄어(f)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부(10b)는 상하방향 폭이 넓고 좌우방향 폭이 좁은 용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is preferably minimized in order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f the opening,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b has a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in a narrow container form.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수납공간(16)은 상기 픽스츄어(f)의 수납 및 인출 과정, 보관시 상기 용기본체부(10b) 및 상기 픽스츄어(f) 간의 접촉/마찰이 방지되도록 상기 픽스츄어(f)의 부피를 초과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accommodating space 16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10b prevents contact / friction between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b and the fixture f during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fixture f, The size of the fixture (f)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fixture (f).

또한, 상기 실링커버(10a)는 일부분이 상기 용기본체부(10b)에 힌지 연결된 힌지식이나 상기 용기본체부(10b)와 분리되는 착탈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방식에 있어서도 회전 개폐식이나 강제 끼움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ealing cover 10a may be hinged to the container body 10b by a hinge or a detachable typ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10b is separated from the sealing cover 10a. Or the like.

이때, 상기 실링커버(10a)는 실리콘이나 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poly tetra fluor ethylene, PTFE) 등의 밀폐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실링커버(10a)의 하면부에 밀폐패킹(11)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aling cover 10a may be made of a seal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r polytetrafluorethylene (PTFE). The sealing cover 10a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packing 11 Or the like.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커버(10a)가 상기 용기본체부(10b)와 분리 가능한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부(10b)에 회전 결합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ealing cover 10a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part 10b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part 10b.

상세히, 상기 픽스츄어(f)는 높은 강도를 갖고 내식성이 뛰어나면서도 생체친화적인 티타늄 등의 금속제로 구비되되, 체액이나 혈액에 대해 높은 젖음성을 갖도록 1차 표면 개질 처리되며, 식립시 감염이 예방되도록 1차 살균 처리된 후 상기 케이스부(10)에 포장된다. In detail, the fixture (f) is made of a metal such as titanium, which is high in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and is biocompatible, and is subjected to a firs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to have high wettability with body fluids and blood, And then packaged in the case part 10 after being subjected to a primary sterilization treatment.

예를 들어, 1차 표면 개질 처리는 산화알루미늄 내지는 산화티타늄, 인산칼슘 등의 생체 친화성 매질을 분사하여 표면에 거칠기를 형성하는 RBM(resorbable blasting media) 표면 처리, RBM 표면 처리 후 산성 용액 등을 이용한 화학적인 에칭을 수행하는 SLA(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표면 처리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using a resorbable blasting media (RBM) surface treatment to form a surface roughness by spraying a biocompatible medium such as aluminum oxide or titanium oxide or calcium phosphate, an acidic solution after RBM surface treatment (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surface treatment to perform the chemical etching using the surface treatment.

그리고, 1차 살균 처리는 픽스츄어(f)를 세정액, 자외선, 플라즈마, 오존 등에 노출시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f)의 식립시 감염 및 염증 등의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식립된 픽스츄어(f)가 안정적으로 골융착될 수 있다. The primary steriliza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exposing the fixture (f) to a cleaning liquid, ultraviolet rays, plasma, ozone, or the like. Accordingly, side effects such as infection and inflammation during placement of the fixture (f) can be minimized, and the fixture (f) placed can be stably fused.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된 픽스츄어(f)의 외주를 감싸 고정하는 부싱부(30)가 구비된다. 1 to 3, a bushing 30 for enclosing and fix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ceived fixture f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part 10b.

상세히,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상단부에는 상기 실링커버(10a)가 결합되는 결합격벽(14)이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내주에는 상기 결합격벽(14)의 하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상기 부싱부(30)가 걸림되어 안착되는 지지돌기부(15)가 형성된다. In detail,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b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ition wall 14 to which the sealing cover 10a is coupled, and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b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artition wall 14 The bushing 30 is engaged with the support protrusions 15,

이때, 상기 지지돌기부(15)의 내경은 상기 픽스츄어(f)의 최대 외경부를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protrusion 15 is larg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ixture f.

여기서, 상기 부싱부(30)는 상기 케이스부(10)에 삽입시 상기 픽스츄어(f)를 고정하되 상기 케이스부(10)로부터 이탈시 상기 픽스츄어(f)로부터 분리되도록 원호형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몸체부(30a,30b)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bushing 30 fixes the fixture f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case 10 and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f when it is detached from the case 1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그리고, 상기 각 분할몸체부(30a,30b)는 외주부가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내주에 형합되도록 형성되되, 내주부가 상기 픽스츄어(f)의 외주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된다. Each of th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is formed such tha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thereof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10b and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thereof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ture f.

이때, 상기 분할몸체부(30a,30b)의 외주부는 전체가 결합격벽(14)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 결합격벽(14)에 내경에 대응되되 하부가 상기 지지돌기부(15)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partition wall 14, and the upper portion may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partition wall 14,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할몸체부(30a,30b)의 외주부 중 상부가 결합격벽(14)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하부가 상기 지지돌기부(15)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The upper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divided body parts 30a and 30b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partition wall 14 and the lower part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ing projection part 15, Explain.

즉, 상기 각 분할몸체부(30a,30b)의 외주부 상단에 상기 지지돌기부(15)의 상단에 걸림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된 걸림날개부(31)가 구비되며, 상기 각 분할몸체부(30a,30b)의 외주 하부는 상기 지지돌기부(15)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each of th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is provided with the engagement wing portion 31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rojection portion 15, And 30b are provided to have outer diameters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s of the support protrusions 15. [

이때, 상기 각 분할몸체부(30a,30b)의 내주에는 상기 픽스츄어(f)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함몰된 함몰부(33)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depressed portions 33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so as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ture f.

이에 따라, 상기 각 분할몸체부(30a,30b)는 상기 함몰부(33)가 상기 픽스츄어(f)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밀착되며 상기 픽스츄어(f)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are radi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depression 33 so as to face the fixture f,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fixture f. Can be combined.

이때, 상기 각 분할몸체부(30a,30b)가 상기 픽스츄어(f)의 외주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돌기부(15)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날개부(31)가 상기 지지돌기부(15)의 상단에 걸림되며 상기 부싱부(30)가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split body portions 30a and 30b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rotrusions 15 while being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ture f, the retaining wings 31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rotrusions 15 And the bushing 30 can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10b.

그리고, 상기 각 분할몸체부(30a,30b)는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내주와 상기 픽스츄어(f)의 외주 사이에 끼움되며 외부주가 상기 결합격벽(14) 및 지지돌기부(15)의 내주에 밀착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지지됨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f)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Each of th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is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10b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ture f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vided barrier ribs 14 and the support protrusions 15 So that it can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ture (f) as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and is supported radially inward.

이때, 상기 각 분할몸체부(30a,30b)의 내주에는 상기 픽스츄어(f)의 나사부(s)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2)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protrusion 32 for locking the screw portion s of the fixture f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이에 따라, 상기 분할몸체부(30a,30b)가 상기 픽스츄어(f)의 외주에 밀착되면, 상기 나사부(s) 및 상기 걸림돌기(32)가 상호 물림되며 상기 픽스츄어(f)가 상기 부싱부(30)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내부에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Thus, when th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ture f, the screw portion s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s 32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And can be stably housed in the container body part 10b without flowing.

즉, 상기 부싱부(30)는 상기 픽스츄어(f)와 함께 상기 결합격벽(14)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돌기부(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픽스츄어(f)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f)와 함께 상기 결합격벽(14)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픽스츄어(f)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at is, the bushing 3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ition 14 together with the fixture f to fix the fixture f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support protrusion 15,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ture f when it is pulled out of the coupling partition 14 together with the fixture f.

이처럼, 상기 분할몸체부(30a,30b)가 상기 픽스츄어(f)를 감싸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싱부(30)를 상기 결합격벽(14) 내부로 삽입하기만 하면 픽스츄어(f)가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제품의 보관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As long as the bushing portion 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ition wall 14 in a state where the split body portions 30a and 30b are coupled so as to surround the fixture f, It can be stably fixed without flow, so that the storag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더욱이, 기삽입된 픽스츄어(f)를 핀셋 등의 시술도구를 이용하여 용기본체부(10b)의 외부로 인출하기만 하면 각 분할몸체부(30a,30b)가 분할되며 픽스츄어(f)의 나사부(s)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urther, if the pre-inserted fixture f is pulled out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10b using a surgical tool such as a tweezers, th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are divided and the fixture f It is automatically separated from the thread portion (s),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때, 상기 부싱부(30)는 둘 이상의 분할몸체부(30a,30b)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분할몸체부(30a,30b)의 조립시 전체원호각도가 360도 이하가 되되 180도를 초과하고, 하나의 분할몸체부(30a,30b)는 180도 이하의 원호각도를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bushing 30 may be formed as two or mor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When the divided body portions 30a and 30b are assembled, the total arc angle is 360 degrees or less, And one split body portion 30a, 30b is preferably provided to have an arc angle of 180 degrees or less.

여기서, 상기 부싱부(30)가 두 개의 분할몸체부로 구비된 경우 각 분할몸체부는 180도로 구비됨이 가장 바림직하며, 상기 각 분할몸체부가 결합격벽(14)과 픽스츄어(f)의 상부 외주 사이를 실링하여 수납공간(16)이 더욱 안정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When the bushing 30 is provided with two divided body portions, the divided body portions are most desirably provided at an angle of 180 degrees, and each of the divided body portions has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artition 14 and the fixture f The storage space 16 can be sealed more stably.

그리고, 상기 실링커버(10a)는 상기 결합격벽(14)을 감싸는 뒤집어진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실링커버(10a)의 측벽부(13)가 상기 결합격벽(14)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The sealing cover 10a is provided in an inverted container shape surrounding the coupling partition 14 so that the side wall 13 of the sealing cover 10a can be screwed to the coupling partition 14 .

여기서, 상기 실링커버(10a)의 하면부에는 상기 지지돌기부(15)의 상면부와 대면되는 부분을 따라 고정돌기(12)가 하향 돌설되며, 상기 실링커버(10a) 및 상기 결합격벽(14)의 결합시 상기 부싱부(30)가 상기 지지돌기부(15) 및 상기 고정돌기(12) 사이에서 가압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protrusion 12 is downwardly protruded along th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cover 10a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rotrusion 15 and the sealing cover 10a, The bushing 30 can be pressed and fix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15 and the fixing protrusion 12. [

이에 따라, 케이스부(10)의 운반시에도 상기 부싱부(30) 및 픽스츄어(f)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보관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flow of the bushing 30 and the fixture f is prevented even when the case 10 is being transported, the storag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은 상기 수용된 픽스츄어(f)와 대향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픽스츄어(f)의 2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를 위한 오존을 형성한다. 1 and 2,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is disposed inside the casing 10 so as to face the received fixture f, Thereby forming ozone for surface modification and sterilization treatment.

그리고,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은 승압컨버터(20b)에 의해 공급된 2차 전원에 의해 코로나 방전될 수 있다.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may be corona discharged by the secondary power supply supplied by the voltage-up converter 20b.

여기서, 상기 승압컨버터(20b)는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로나방전핀(20a)과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tep-up converter 20b may be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rona discharge fin 20a, or may be detachable from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또한, 상기 승압컨버터(20b)가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 일체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승압컨버터(20b)는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수납공간(16) 하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승압컨버터(20b)가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하면부에 배치되되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이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하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납공간(16) 내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the voltage-up converter 20b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the voltage-up converter 20b may be disposed below the storage space 16 of the container main body 10b Wherein the step-up converter 20b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10b and the corona discharge fin 20a penetrate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10b,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it.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하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승압컨버터(20b)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하면부가 밀폐되어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이 상기 수납공간(16)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10b is open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portion 10b is hermetically sealed by the voltage up converter 20b so that the corona discharge fin 20a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16).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압컨버터(20b) 및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이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납공간(16) 하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p-up converter 20b and the corona discharge fin 20a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b and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space 16 as an example.

이때,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은 상기 수용된 픽스츄어(f)와 대향되도록 상기 승압컨버터(20b)의 상면부에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voltage-up converter 20b so as to face the received fixture f.

여기서,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은 상기 픽스츄어(f)의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판형, 원기둥형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f)와 대향되는 일단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으로 협소화되는 쐐기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rona discharge fin 20a is disposed to be opposed to the fixture f,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 column shape, or the like, and one end of the corona discharge fin 20a facing the fixture f is narrowed in cross- And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a wedge shape.

그리고, 상기 승압컨버터(20b)는 기입력된 1차 전원을 기설정된 코로나발생전압 이상의 2차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으로 공급한다. The step-up converter 20b converts the input primary power source into a secondary power source having a predetermined corona generating voltage or higher, and supplies the secondary power source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이때, 상기 코로나발생전압은 높은 전위의 양전압 또는 음전압을 의미하며,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의 일단부측 각도 및 단면적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코로나방전핀(20a) 일단부의 전기력선 밀도가 약 1kV/cm를 초과할 수 있는 정도의 전압을 의미한다. Here, the corona occurrence voltage means a positive or negative voltage having a high potential, and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ngl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at one end of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Quot; means a voltage at which the density can exceed about 1 kV / cm.

예를 들어, 상기 승압컨버터(20b)는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기입력된 1차 전원을 높은 전위을 음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 높은 전위의 음전압이 인가되어 음극 코로나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oltage-up converter 20b includes a cathode voltage-doubler rectifying circuit, and converts a high potential into a negative voltage and supplies a negative voltage having a high potential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And negative cathode corona discharge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승압컨버터(20b)는 도 2의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의 방향이 반전된 양극 배전압 정류회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기입력된 1차 전원을 높은 전위의 양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 높은 전위의 양전압이 인가되어 양극 코로나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ltage-up converter 20b may include a positive voltage doubler rectifying circuit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diode is inverted in the negative voltage-doubler rectifying circuit of FIG. 2, and a positive voltage of a high voltage And positive voltage of high potential is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fin 20a, so that anode corona discharge can be generated.

물론, 상기 승압컨버터(20b)는 높은 전위의 양전압 및 음전압을 펄스형으로 순차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는 양극 및 음극 코로나 방전이 펄스형으로 교번하여 발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압컨버터(20b)가 1차 전원을 높은 전위의 음전압으로 변환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Of course, the voltage-up converter 20b may be configured to sequentially output a positive voltage and a negative voltage of a high potential in a pulse-like manner,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corona discharges are alternately generated in a pulsed manner in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step-up converter 20b converts the primary power source to a negative voltage of a high potenti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한편,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은 상기 승압컨버터(20b)에 접속되며,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 상기 승압컨버터(20b)로부터 출력된 2차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의 쐐기형 일단(21)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is connected to the step-up converter 20b and is connect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when the secondary power output from the step-up converter 20b is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A corona discharge may be generated at the wedge-shaped end 21 of the wedge-

여기서, 코로나 방전은 대전된 물체에서 표면전하밀도가 증가되는 부분 주변의 유체가 전위차에 의해 이온화되며 발생되는 전기적 방전을 의미한다. Here, the corona discharge means an electric discharge generated when the fluid around the portion where the surface charge density is increased in the charged object is ionized by the potential difference.

즉, 코로나방전핀(20a)의 일단(21)과 인접한 영역 내의 중성 산소 분자가 전기장에 의해 이온화되고, 산소 이온이 중성 산소 분자와 결합하여 반응성 발생기인 오존이 발생될 수 있다. That is, the neutral oxygen molecules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one end 21 of the corona discharge fin 20a are ionized by the electric field, and the oxygen ions are combined with the neutral oxygen molecules to generate ozone as the reactive generator.

상세히,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은 1차 표면 개질 처리를 통해 -OH의 작용기를 갖는 고에너지 상태의 친수성 표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형성된 -OH의 작용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소와 결합되어 안정화되고,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이 저에너지 상태의 소수성 표면으로 복원된다. Specifically, the surface of the fixture (f) is converted to a high-energy-state hydrophilic surface having a functional group of -OH through a primary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At this time, the functional group of -OH formed is stabilized by bonding with carbon over time, and the surface of the fixture (f) is restored to a hydrophobic surface with a low energy state.

여기서, 상기 오존은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전환하는 양전하의 탄소계열 오염원과 반응할 수 있다. Here, the ozone can react with a positive charge carbon-based contaminant source that converts the surface of the fixture (f) to a hydrophobic property.

즉, 상기 오존은 픽스츄어(f)의 표면에 결합된 탄소원자와 반응하며, 양전하의 탄소 이온이 픽스츄어(f) 표면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픽스츄어(f)의 표면이 고에너지 상태의 친수성으로 재전환될 수 있다. That is, the ozone reacts with the carbon atom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fixture (f), and as the positive carbon ions are separated from the fixture (f) surface, the surface of the fixture (f) Can be switched back.

이처럼, 수납공간(16) 내부의 한정된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오존이 발생되므로 발생된 오존이 픽스츄어의 표면에 원활하게 접촉되어 픽스츄어의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 성능이 개선될 수 있으며, 픽스츄어의 표면이 지속적으로 오존에 노출됨에 따라 제품의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Since the ozone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limited space inside the storage space 16, the generated ozone can smoothl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xture to improve the surface modification and disinfection performance of the fixture, Is continuously exposed to ozone, the surface modification maintenance performanc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승압컨버터(20b)는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의 일단부에서 음극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도록 상기 입력된 1차 전원을 음전압으로 변환하는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2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boost converter 20b includes a negative voltage boosting circuit 24 for converting the input primary power to a negative voltage to generate a negative corona discharge at one end of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desirable.

상세히, 상기 승압컨버터(20b)는 전원입력부(26), 승압부(25),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24), 전원출력부(23)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각 구성부(23,24,25,26)가 절연케이스(22) 내부에 집적되어 모듈화된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voltage-up converter 20b includes a power input unit 26, a voltage-up unit 25, a negative voltage-side voltage rectifier circuit 24, and a power output unit 23, 25 and 26 are integrated in the insulating case 22 to be understood as a module.

이때, 상기 전원입력부(26)는 외부 전력원에 접속되어 1차 전원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단자부(26a)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부(26a)는 상기 절연케이스(22)의 하면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부(10b)의 하면부를 관통하여 외부 전력원에 접속될 수 있다. The power source input unit 26 may include a terminal unit 26a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receiving a primary power source. The terminal unit 26a may be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on case 22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10b.

여기서, 상기 전원입력부(26)는 USB 방식 내지는 휴대폰 배터리 방식으로 별도의 스위칭 수단 없이 단자부(26a)의 접속 및 단락에 따라 전원 입력이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 등의 내부 전력원과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power input unit 26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power inpu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and short-circuit of the terminal unit 26a without a separate switching means using a USB system or a mobile phone battery system, May be included.

그리고, 상기 승압부(25)는 상기 전원입력부(26)에 연결된 입력코일부와,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24)에 연결된 출력코일부를 포함하며, 각 코일부의 권선비율에 따라 단자부(26a)에 입력된 전원의 전압이 승압되어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24)에 인가될 수 있다. The voltage step-up unit 25 includes an input coil part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part 26 and an output coil part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voltage rectifying circuit 24, 26a may be stepped up and applied to the cathode voltage doubler rectifying circuit 24. [

또한,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24)는 콘덴서(condenser)와 다이오드(diode)가 쌍을 이루어 다단으로 직병렬 연결된 회로로, 각 쌍의 콘덴서 및 다이오드를 통해 출력코일부에 의해 인가된 전원이 정해진 배수로 승압되되 음전압으로 변환되어 2차 전원으로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gative voltage doubler rectifying circuit 24 is a circuit in which a condenser and a diode are paired and connected in series in a multi-stage manner, and a power source applied by an output coil portion through each pair of capacitors and diodes The voltage is boosted to a predetermined multiple but converted into a negative voltage and output to the secondary power source.

이때, 상기 출력된 2차 전원은 전원출력부(23)를 거쳐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 인가된다. At this time, the output of the secondary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via the power output unit 23.

여기서, 상기 전원출력부(23)는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되, 전류량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24) 및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을 연결한다. Here, the power output unit 23 connects the cathode-side voltage-regulating circuit 24 and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so that the amount of current is minimized while a voltage of a high potential is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

예를 들어, 상기 전원출력부(23)는 저항소자(23a)를 포함하며,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의 타단은 저항소자(23a)를 거쳐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24)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wer output unit 23 includes a resistance element 23a, and the other end of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cathode voltage doubler rectifying circuit 24 via a resistance element 23a .

또한, 상기 전원출력부(23)는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24)에 연결된 제1대전코일부와,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의 타단에 연결된 제2대전코일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1대전코일부 및 제2대전코일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병렬 배치된 상태에서 전기적인 대전에 의해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 전압이 인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ower output unit 23 may include a first charging coil part connected to the cathode voltage doubler rectifying circuit 24 and a second charging coil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It is also possible that a voltage is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by electric charging in a state where the first charging coil portion and the second charging coil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24)를 통해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 인가되는 2차 전원의 전류량이 제한되어 감전 또는 누전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코로나방전핀(20a)의 발열이 최소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secondary power source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is limited through the cathode voltage doubler rectifying circuit 24, so that the risk of electric shock or electric leakage can be minimized. Heat generation can be minimized.

이때, 2차 전원을 통해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 높은 전위의 음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의 일단(21)에 음극 코로나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negative voltage of high potential is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through the secondary power source, a cathode corona discharge may be generated at one end 21 of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이에 따라, 상기 코로나방전핀(20a) 일단(21) 주변의 이온화 영역 내에서 오존의 발생량이 증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mount of generated ozone in the ionization region around the one end 21 of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에 인가된 음전압의 전기장은 오존에 의해 상기 픽스츄어(f) 표면의 산화티타늄과 같은 생체 친화성 매질로부터 분리된 탄소 계열의 오염원 또는 수납공간(16) 내에 존재하는 탄소 계열의 오염원을 상기 코로나방전핀(20a)의 외면으로 포집할 수 있다. The electric field of the negative voltage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0a is supplied to the corona discharging pin 20a through a contamination source of carbon series separated from the biocompatible medium such as titanium oxide on the surface of the fixture f by the ozone, An existing carbon-based contaminant can be collec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ona discharge fin 20a.

이에 따라, 오존 반응을 통해 픽스츄어(f)의 개질된 표면에 탄소 계열의 오염원이 재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표면 개질 유지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rbon-based contaminants from recombining on the modified surface of the fixture (f) through the ozone reaction, so that the surface modification maintenance performance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압컨버터(420b)의 위치를 제외한 기본적은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ental implant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position of the voltage-up converter 420b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압컨버터(420b)는 상기 케이스부와 분리되어 외부 전력원에 접속된 도크부(450)에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voltage-up converter 420b may be provided in the dock 450 separated from the case uni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이때, 상기 도크부(450)에는 복수의 승압컨버터(420b)가 구비되되, 외부 전력원에 접속되어 입력된 1차 전원을 복수의 승압컨버터(420b)로 분할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부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dock 450 includes a plurality of step-up converters 420b and a power supply circuit part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dividing and supplying the input primary power to the plurality of step-up converters 420b .

그리고, 상기 도크부(450)의 상면부에는 상기 케이스부의 용기본체부(410b) 하단부가 삽입 및 안착될 수 있는 도킹홈(451)이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부(410b)의 하단부가 상기 도킹홈(451)에 삽입되면, 상기 용기본체부(410b)의 하단면 및 상기 승압컨버터(420b)의 절연케이스(422) 상면부가 상호 접촉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dock 450 is provided with a docking recess 451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410b of the case can be inserted and seated. When inserted into the groove 451,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410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case 422 of the voltage-up converter 420b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코로나방전핀(420a)의 하단부에는 상기 케이스부의 용기본체부(410b)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단자(421b)가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corona discharge pin 420a is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421b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tainer body part 410b of the case part.

그리고, 상기 승압컨커버(420b)에는 상기 입력단자(421b)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423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423b)는 1차 전원을 코로나발생전압 이상의 2차 전원으로 변환 출력하는 전원출력부에 연결되며, 상기 절연케이스(422)의 상면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booster cone 420b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423b to which the input terminal 421b is selectively connected. The connection unit 423b may be connected to a power output unit that converts the primary power source to a secondary power source having a corona generating voltage or higher and may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on case 422. [

이때, 상기 용기본체부(410b)의 하단부가 상기 도킹홈(451)에 삽입되면, 상기 입력단자(421b)가 상기 접속부(423)에 삽입 및 접속되고 상기 2차 전원이 상기 코로나방전핀(420a)에 인가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410b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recess 451, the input terminal 421b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423 and the secondary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420a ). ≪ / RTI >

물론, 별도의 입력단자(421b) 없이 상기 코로나방전핀(420a)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입력단자(421b)를 대체하여 승압컨버터(420b)에 접속될 수 있다. Of course, the lower end of the corona discharge pin 420a may be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se portion without a separate input terminal 421b. Instead of the input terminal 421b, the corona discharge pin 420a may be connected to the boost converter 420b .

이처럼, 상기 승압컨버터(420b)가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분리되므로 상기 케이스부의 구조 및 크기가 간소화되어 한층 컴팩트한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booster converter 420b is separated from the case part,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case part are simplified, so that a more compact product can be provided.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부(240)를 제외한 기본적은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ental implant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light emitting portion 24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코로나방전핀(220a)의 측부에는 코로나 방전시 이온화 영역(k)을 경유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조사되도록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2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a side of the corona discharge fin 220a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portion 240 that emits ultraviolet rays to be irradiated to the fixture via an ionization region k during corona discharge.

여기서, 상기 발광부(240)는 150nm~400nm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LED 소자 등으로 구비되되, 상기 픽스츄어(f)의 나사부(s)와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구비된다. Here, the light emitting unit 240 is an LED device emitting light with a wavelength of 150 nm to 400 nm, and is disposed inside the case unit to be opposed to the screw portion s of the fixture f.

이때, 상기 발광부(240)는 방출된 자외선이 코로나 방전시 이온화 영역(k)을 경유하여 상기 픽스츄어(f)에 조사되도록 실질적인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는 영역인 코로나방전핀(220a)의 일단으로부터 픽스츄어(f)에서 멀어지는 방향 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240 emits light from one end of the corona discharge pin 220a, which is a region in which a substantial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so that the emitted ultraviolet light is irradiated to the fixture f via the ionization region k during corona discharge It is preferable to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xture f.

여기서, 이온화 영역(k)은 상기 코로나방전핀(220a)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코로나방전핀(220a)에 인가된 전압의 전위량에 비례하는 반경의 구형으로 형성된다. Here, the ionization region k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having a radiu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electric potential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pin 220a from one end of the corona discharge fin 220a.

그리고, 상기 발광부(240)는 상기 코로나방전핀(220a)으로부터 이온화 영역(k)의 직경에 대응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코로나방전핀(220a)의 일단으로부터 하부에 대응되는 상기 승압컨버터(220b)의 절연케이스 상면부에 설치되며, 상부를 향해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boost converter 220b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rona discharge pin 220a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onization region k from the corona discharge pin 220a. And may be installed to emit ultraviolet rays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case.

이때, 상기 발광부(240)는 1차 전원을 공유하도록 상기 승압컨버터(220b)의 전원입력부에 병렬 또는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승압컨버터(220b)가 외부 전력원에 접속되면 상기 코로나방전핀(220a)의 코로나 방전과 함께 상기 발광부(240)가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24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or in series to the power input unit of the voltage step-up converter 220b to share the primary power. When the voltage step-up converter 220b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light emitting unit 240 emits ultraviolet rays together with the corona discharge of the light emitting unit 220a.

여기서, 상기 자외선은 산소 분자의 결합 에너지를 초과하는 에너지 충격을 통해 산소 분자의 외각 전자를 여기시켜 산소 분자를 반응성 발생기인 오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Here, the ultraviolet ray may convert the oxygen molecules into ozone as a reactive generator by exciting the outer electrons of the oxygen molecule through an energy impact exceeding the binding energy of the oxygen molecule.

즉, 상기 코로나 방전을 통한 이온화 영역 내에 자외선이 조사되며, 전기장을 통한 산소 분자의 이온화와, 자외선을 통한 외각 전자의 여기 과정이 시너지 효과를 제공하므로 오존 발생 속도 및 발생량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으며, 제품의 표면 개질 처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That is,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in the ionization region through the corona discharge, ionization of the oxygen molecules through the electric field and excitation of the excitation electrons through ultraviolet rays provide a synergistic effect, so that the rate and amount of generated ozone can be remarkably increased, The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performanc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이때, 상기 용기본체부(210b)의 내면에는 절연성 자외선 반사물질을 통한 반사층(21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반사층 없이 상기 용기본체부(210b)가 높은 자외선 반사율을 갖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재질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reflective layer 217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art 210b through an insulating ultraviolet reflective material, and the container body part 210b is formed of polytetrafluoroethylene material having a high ultraviolet reflectance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24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용기본체부(210b)의 외부로 손실되지 않고 반사되어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으로 집중 조사될 수 있다. Accordingly,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40 can be reflected without being lost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210b, and can be focused on the surface of the fixture f.

더욱이, 반사된 자외선은 조사 방향의 전환을 통해 나사부(s)의 요철 형상으로 인해 최초 방출된 방향에서 직접 닿지 못하는 부분까지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f)의 표면 전체에 대해 세밀하게 조사될 수 있다. Further, the reflected ultraviolet rays can be irradiated to a portion of the fixture (f) that is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originally emitted direction due to the uneven shape of the screw portion (s) through the switching of the irradiation direction, .

여기서, 상기 자외선은 픽스츄어(f) 표면의 산화티타늄 등과 같은 생체 친화성 매질이 기결합된 탄소 원자와 분리되도록 오존과 반응하는 광촉매 반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유기물질의 결합고리를 깨트려 표면 세정 효과를 부여하고,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를 태워 죽이는 살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ultraviolet ray may activate the photocatalytic reaction with ozone so that the biocompatible medium such as titanium oxide or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fixture (f) is separated from the carbon atoms bonded to 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ing effect and provide a sterilizing effect of burning viruses and bacteria.

이에 따라, 제품의 표면 개질 성능과 살균 처리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rface modification performance and the sterilization treatment performance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도 6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본체부(310b)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ental implant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ntainer main part 310b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부(310b)는 상부에 상기 부싱부가 안착되는 지지돌기부가 돌설되되 내부에 상기 픽스츄어가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된 상부바디부(310c)와, 상기 상부바디부(310c)의 측벽부(312)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하부바디부(310d)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6, the container body part 310b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protrusion part on which the bushing part is mounted, and an upper body part 310c And a lower body part 310d which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312 of the upper body part 310c.

이때, 상기 하부바디부(310d)의 측벽부(311)에는 상기 상부바디부(310c)의 측벽부(312) 외면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과 구획되는 내면부를 따라 오존제거층(311b)이 구비된다. The ozone removing layer 311b is formed on the side wall 311 of the lower body 310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312 of the upper body 310c, .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부(310d)의 측벽부(311)는 상기 상부바디부(310c)의 측벽부(312)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The side wall part 311 of the lower body part 310d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side wall part 312 of the upper body part 310c.

상세히, 상기 하부바디부(310d)의 하면부에는 상기 코로나방전핀 및 승압컨버터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바디부(310c)의 측벽부(312) 하단부와 대면되는 부분을 따라 실링부재(313a)가 설치되는 실링홈(313)이 형성된다. The corona discharge pin and the step-up converter are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310d and a sealing member 313a is formed along a portion facing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312 of the upper body 310c A sealing groove 313 is formed.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부(310d)의 측벽부(311)는 상기 상부바디부(310c)의 측벽부(312)를 초과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바디부(310c)의 측벽부(312)가 상기 하부바디부(310d)의 측벽부(311)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The side wall portion 311 of the lower body portion 310d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exceeding the side wall portion 312 of the upper body portion 310c so that the side wall portion 312 of the upper body portion 310c May be inserted into the side wall portion 311 of the lower body portion 310d.

이때, 상기 하부바디부(310d)의 측벽부(311) 상단에는 상기 상부바디부(310c)의 측벽부(312)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312a)에 탄발 삽입되는 걸림돌기(311a)가 돌설된다. At this time, a locking protrusion 311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311 of the lower body part 310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12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312 of the upper body part 310c .

이에 따라, 상기 하부바디부(310d) 및 상부바디부(310c)의 결합시 상기 걸림홈(312a)에 상기 걸림돌기(311a)가 탄발 삽입되면, 상기 코로나방전핀을 통해 형성된 오존이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바디부(310c)의 측벽부(312) 하단부가 상기 실링부재(313a)에 밀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engagement protrusion 311a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312a when the lower body 310d and the upper body 310c are engaged, the ozone formed through the corona discharge pi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312 of the upper body portion 310c may be fixed to the sealing member 313a so as not to be leak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상부바디부(310c)의 측벽부(312) 하단에는 스토퍼홈(312b)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바디부(310d)의 측벽부(311)가 상기 상부바디부(310c)의 측벽부(312)를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걸림돌기(311a)가 상기 스토퍼홈(312b)에 탄발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stopper groove 312b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312 of the upper body part 310c, and a side wall part 311 of the lower body part 310d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part 312c of the upper body part 310c. The locking protrusion 311a may be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stopper groove 312b when the locking protrusion 311 is slid downward along the stopper groove 312. [

이에 따라, 케이스부 내부의 수납공간이 확장되면 상기 하부바디부(310d)의 측벽부(311) 내면에 형성된 오존제거층(311b)이 상기 수납공간과 대면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case part is expanded, the ozone removal layer 311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311 of the lower body part 310d may face the storage space.

즉, 상기 코로나방전핀을 통한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 개질이 완료되면, 상기 하부바디부(310d) 및 상기 상부바디부(310c)를 상하 방향으로 당겨 상기 오존제거층(311b)과 상기 수납공간이 대면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urface modification of the fixture through the corona discharge pin is completed, the lower body part 310d and the upper body part 310c are pulled up and down so that the ozone removal layer 311b and the storage space Can be confronted.

이때, 상기 오존제거층(311b)은 오존의 자가 분해를 촉진시키는 활성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zone removing layer 311b may be made of activated carbon for promoting autolysis of ozone.

이에 따라, 상기 오존제거층(311b)이 상기 수납공간과 대면되도록 상기 하부바디부(310d)가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픽스츄어의 외면과 반응 후 수납공간 내부에 잔존하는 오존이 제거되므로 상기 실링커버(310a)의 개방시 오존의 과다 흡입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lower body portion 310d is slid so that the ozone removal layer 311b faces the storage space, ozone remaining in the storage space after the reaction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is removed, A safety accident due to excessive suction of ozone or the like at the time of opening the opening 310a can be prevented.

한편, 도 7은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의 승압컨버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압컨버터(520b)의 회로 구조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FIG.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boost converter of a dental implant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ircuit structure of the step-up converter 520b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압컨버터(520b)는 상기 입력된 1차 전원을 음전압으로 변환하는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524b)와, 상기 입력된 1차 전원을 양전압으로 변환하는 양극 배전압 정류회로(524a)와, 상기 코로나방전핀(520a)에 양극 코로나 방전 및 음극 코로나 방전이 교번하여 발생되도록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524b) 및 상기 양극 배전압 정류회로(524a)에 상기 1차 전원을 교번하여 인가하는 스위칭부(526)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7, the voltage-up converter 520b includes a negative voltage doubler rectifying circuit 524b for converting the input primary voltage to a negative voltage, and a positive voltage doubler rectifying circuit 524b for converting the input primary voltage to a positive voltage. Voltage rectification circuit 524a and the positive voltage doubler rectification circuit 524a are alternately supplied to the negative voltage doubler rectification circuit 524b and the positive voltage doubling rectification circuit 524a so that the positive corona discharge and the negative corona discharge are alternately generated in the corona discharge pin 520a, And a switching unit 526 for applying alternating power to the power source.

상세히, 상기 승압컨버터(520b)는 외부 전력원에 접속되되 교류 또는 직류의 1차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526)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입력부(526)는 상기 1차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양극 배전압 정류회로(524a)에 인가하는 제1승압부(526a)와 상기 1차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524b)에 인가하는 제2승압부(526b)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oltage-up converter 520b includes a power input unit 526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receiving an AC or DC primary power, and the power input unit 526 boosts the primary power, And a second boosting unit 526b for boosting the primary power source and applying the boosted voltage to the negative voltage boosting rectifying circuit 524b.

이때, 상기 스위칭부(526c)는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승압부(526a) 및 상기 1차 전원이 접속되면 상기 제2승압부(526b) 및 상기 1차 전원이 단락되되, 상기 제1승압부(526a) 및 상기 1차 전원이 단락되면 상기 제2승압부(526b) 및 상기 1차 전원이 접속되도록 제어하며, 기설정된 주기로 제1승압부(526a) 및 제2승압부(526b)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witching unit 526c is formed of a transistor or the like. When the first step-up unit 526a and the first power source are connected, the second step-up unit 526b and the primary power source are short- The first boosting unit 526a and the second boosting unit 526b and the primary power supply are controlled to be connected when the primary power supply is short-circuited and the first boosting unit 526a and the second boosting unit 526b ) Can be switched and controlled.

그리고,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524b) 및 상기 양극 배전압 정류회로(524a)는 상기 코로나방전핀(520a)의 타단부에 병렬 연결되며, 상기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524b) 및 상기 코로나방전핀(520a) 사이, 양극 배전압 정류회로(524a) 및 상기 코로나방전핀(520a) 사이에는 전류량을 제한하는 저항소자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cathode double voltage rectifying circuit 524b and the anode double voltage rectifying circuit 524a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ther end of the corona discharge pin 520a and connected to the cathode double voltage rectifying circuit 524b and the corona discharge It is preferable that a resistance element for limiting the amount of current is provided between the fins 520a, between the positive voltage doubler rectifying circuit 524a and the corona discharge pin 520a.

이때, 상기 전원입력부(526)가 상기 1차 전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칭부(526c)가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승압부(526a) 및 상기 제2승압부(526b)에 교번하여 1차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코로나방전핀(520a)에 양극 코로나 방전 및 음극 코로나 방전이 교번하여 발생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power input unit 526 is connected to the primary power source, the switching unit 526c alternately supplies the first boosting unit 526a and the second boosting unit 526b with 1 When a power source is applied, an anode corona discharge and a cathode corona discharge may be alternately generated in the corona discharge pin 520a.

이에 따라, 상기 코로나방전핀(520a)의 코로나 방전 영역 내에서 전기장에 의한 전자 간 충돌 빈도가 증가되고, 중성 산소 분자의 이온화에 따른 오존이 발생량 및 발생속도가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requency of inter-electron collision by the electric field in the corona discharge region of the corona discharge pin 520a i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generated ozone and the generation rate of ozone due to ionization of neutral oxygen molecules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300,400: 보관장치 10: 케이스부
10a: 실링커버 10b: 용기본체부
20a: 코로나방전핀 20b: 승압컨버터
240: 발광부
100, 200, 300, 400: Storage device 10:
10a: sealing cover 10b: container body part
20a: corona discharge pin 20b: step-up converter
240:

Claims (5)

내부에 1차 표면 개질 및 살균 처리된 금속제 치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가 밀폐 보관되되 선택적으로 인출되도록 개폐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부; 및
상기 보관된 픽스츄어와 대향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픽스츄어의 2차 표면 개질을 위한 오존을 형성하는 코로나방전핀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내주에 상기 픽스츄어의 최대 외경부를 초과하는 내경의 지지돌기부가 형성된 용기본체부와, 상기 용기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부에는 상기 케이스부 삽입시 상기 보관된 픽스츄어의 외주를 감싸 고정하는 부싱부가 안착되되, 상기 부싱부는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이탈시 상기 픽스츄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원호형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몸체부로 구비되고,
상기 각 분할몸체부는 외주부가 상기 용기본체부의 내주에 형합되도록 형성되되 내주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외주에 대응되도록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
A case part in which a fixture for a metal dental implant having a first surface modified and sterilized therein is enclosed,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a storage space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s formed; And
And a corona discharge pin disposed inside the casing so as to face the stored fixture, the corona discharge pin forming ozone for secondary surface modification of the fixture,
Wherein the case por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portion formed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and having a support protrusion having an inner diameter exceeding a maximum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fixture at an inner periphery thereof and a sealing cove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Wherein the bush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plit body portions divided into a circular arc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fixture when the bush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case portion, Respectively,
Wherein each of the divided body portions is formed such that an outer peripheral portion thereof is formed in an inn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an inner peripheral portion thereof is formed to fit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방전핀의 코로나 방전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전환하는 오염원과 반응하는 오존이 형성되도록 기입력된 1차 전원을 기설정된 코로나발생전압 이상의 2차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코로나방전핀에 공급하는 승압컨버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imary power source for converting ozone reacting with a contamination source that converts the surface of the fixture into a hydrophobic state through a corona discharge of the corona discharge pin into a secondary power source having a predetermined corona generation voltage or higher, And a step-up converter for supplying the dental implant to the dental impla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방전핀의 하단부에는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입력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승압컨버터는 외부 전력원에 접속되는 도크부에 구비되되 상기 입력단자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lower end of the corona discharge fin is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penetrating the case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step-up convert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provided at a dock part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connection part being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컨버터는 상기 코로나방전핀에 음극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도록 상기 기입력된 1차 전원을 음전압으로 변환하는 음극 배전압 정류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up converter includes a cathode voltage-doubler rectifying circuit for converting the input primary power to a negative voltage so that a cathode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in the corona discharge p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방전핀의 측부에는 코로나 방전시 이온화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조사되도록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ide portion of the corona discharge fin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portion for emitting ultraviolet rays to be irradiated to the fixture via an ionization region during corona discharge.
KR1020160128227A 2016-10-05 2016-10-05 keep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KR1018505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227A KR101850505B1 (en) 2016-10-05 2016-10-05 keep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227A KR101850505B1 (en) 2016-10-05 2016-10-05 keep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711A KR20180037711A (en) 2018-04-13
KR101850505B1 true KR101850505B1 (en) 2018-04-19

Family

ID=6197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227A KR101850505B1 (en) 2016-10-05 2016-10-05 keep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5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867B1 (en) * 2018-05-08 2020-05-29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Surface treatment device for implant
WO2020138639A1 (en) *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디엑스엠 Ultraviolet sterilizer for dental implant
CN115297803A (en) * 2020-03-04 2022-11-04 株式会社普拉斯 Implant storage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383B1 (en) * 2005-11-10 2008-02-15 국현민 A sterilizer for toothbrush
KR101440251B1 (en) * 2010-09-30 2014-09-12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leaning processing device for biological implant
WO2015087326A1 (en) * 2013-12-10 2015-06-18 Nova Plasma Ltd.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n impla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383B1 (en) * 2005-11-10 2008-02-15 국현민 A sterilizer for toothbrush
KR101440251B1 (en) * 2010-09-30 2014-09-12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leaning processing device for biological implant
WO2015087326A1 (en) * 2013-12-10 2015-06-18 Nova Plasma Ltd.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n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711A (en)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830B1 (en) package for dental implant
KR101850505B1 (en) keep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US11872104B2 (en) Implant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device
KR102064955B1 (en) package for dental implant
KR101797158B1 (en) package for dental implant
US20190159874A1 (en) Implant packaging container
KR101774551B1 (en) LED type air disinfection devices UV lamps installed to use the AC
KR102590340B1 (en) ultraviolet irradiation apparatus for surface treatment of dental implant
JPH09225012A (en) Portable ultraviolet sterilizer
US20220409346A1 (en) Implant packaging bottle
KR101769780B1 (en) package for dental implant
JP2018102635A (en) Sterilization method, and sterilizer
US20080131330A1 (en) Ultra-Violet Batch Water Treatment and Small Item Sterilization System
KR102064951B1 (en) ultraviolet irradiation apparatus for surface treatment of dental implant
JP2005065838A (en) Treatment apparatus for medical waste
KR101769783B1 (en) package for dental implant
WO2006076813A1 (en) Ultra-violet batch water treatment and small item sterilization system
KR101834767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of package for dental implant
KR102209803B1 (en) package for dental implant
KR102198261B1 (en) package for dental implant
KR102387694B1 (en) Storage of Implant
CN211705372U (en) Disinfection cabinet
KR20200083194A (en) Ultraviolet sterilizer for dental implant
CN214494054U (en) Implant packaging bottle
KR200418654Y1 (en) Plasma dischar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