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008B1 - Monitoring system of environment state - Google Patents

Monitoring system of environment st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008B1
KR101850008B1 KR1020170080426A KR20170080426A KR101850008B1 KR 101850008 B1 KR101850008 B1 KR 101850008B1 KR 1020170080426 A KR1020170080426 A KR 1020170080426A KR 20170080426 A KR20170080426 A KR 20170080426A KR 101850008 B1 KR101850008 B1 KR 101850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late
buffer
caps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민대
Original Assignee
박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대 filed Critical 박민대
Priority to KR102017008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0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0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 pollution monitoring system. The environment pollution monitoring system includes: an indoor sensing module (100) including sensors which are installed in a room to measure the individual pieces of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and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rates of the room, an A/D converter which converts analog signals input from the sensors to digital signals,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s converted by the A/D converter to data for enabling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outside; an outdoor sensing module (110) including sensors which are installed in an outdoor environment to measure the individual pieces of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and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rates in the room, an A/D converter which converts analog signals input from the sensors to digital signals,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s converted by the A/D converter to data for enabling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outside; and a predetermined buffer module (181) which is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Accordingly, the environment pollution monitoring system ensures the physical durability enabled by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regarding a measuring means arranged in an outdoor environment, thereby enabling a stable monitoring system operation.

Description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Monitoring system of environment state}Monitoring system of environment state

본 발명은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및 실외의 다양환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실외에 위치되는 측정수단에 내적 요인 또는 외적 요인에 기인하는 물리적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to a user and securing physical durability caused by internal factors or external factors To an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쾌적하고 안전한 삶을 누리기 위하여 사람이 거주하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 및 실외의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온도, 습도, 기압,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과 같은 정보에 기반하여 각종 환경오염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변 환경에 대한 각종 정보의 획득에 기반하는 환경의 오염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용이해졌다. 그렇지만, 실내와 실외 각각의 환경 오염 모니터링 함에 있어서 실외의 경우에는 각종 기후 요인과 외적인 요인들에 의하여 물리적인 충격에 그대로 노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실외의 구비되는 측정수단은 실내에 구비되는 측정수단에 대비하여 파손에 취약하고 이로 인하여 유지 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enjoy a pleasant and safe life,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live. Therefore, information o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ir pressure, oxygen concentration, A technology for monitoring va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conditions is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This makes it easier to monito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based on the acquisition of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owever, in outdoor monitoring of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al pollution, it is generally exposed to physical impacts due to various climatic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Therefore, the measuring means provided outside is vulnerable to breakage in comparison with the measuring means provided in the room, which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따라서, 실내와 실외 환경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ntegrated monitoring of th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is not easy.

한국등록특허 제10-1066629호Korean Patent No. 10-1066629

본 발명은, 실내 및 실외의 다양환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실외에 위치되는 측정수단에 물리적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that provides various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to users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and can ensure physical durability in a measurement means located outdoors.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 습도, 기압,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들과,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로 이루어진 실내감지모듈; 실외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 습도, 기압,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들과,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로 이루어진 실외감지모듈 및 상기 실외감지모듈(110)의 저면부 상에는 구비되는 소정의 버퍼모듈을 포함하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sensors installed in a room and each for measu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air pressure, oxygen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an indoor space, A / D An indoor sensing module including a controller, a controller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A / D converter into data to enabl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to the outside. An outdoor unit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for measu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indoor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oxygen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from the sensors into a digital signal; An outdoor sensing modul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A / D converter into data so that the digital signal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 wireless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outside; And an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predetermined buffer module.

본 발명에 따른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실외에 위치되는 측정수단에 내적 요인 또는 외적 요인에 기인하는 물리적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secure physical durability due to internal factors or external factors in the measurement means located outdoors.

둘째, 온도, 습도, 기압,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환경요소를 측정하는 통합형 감지모듈를 실내 및 실외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 실내 및 실외의 다양한 구역에 대한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환경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Second, integrated sensing module that measure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an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indoors or outdoors to measure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various indoor and outdoor areas, Can be monitored.

셋째, 감지모듈과 모니터링장치 간의 통신이 무선통신, 특히 지그비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유선통신 방식에 비해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위치에 감지모듈를 설치하여 더욱 정확한 실내 및 실외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배터리와 같은 저전력 전원을 이용하여 감지모듈의 구조를 단순화 및 소형화 할 수 있다.Thirdly, sinc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ing module and the monitoring device is perform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save time and cost for constructing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ired communication method, By installing a sensing module, more accurat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and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module can be simplified and miniaturized by using a low power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감지모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모니터링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ensing module of FIG. 1. Referring to FIG.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onitoring apparatus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buffer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most stiffener, the plurality of suspended stiffeners, and the lowermost stiffener of the structures according to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unit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감지모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모니터링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ensing module of FIG. 1. Referring to FIG.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onitoring apparatus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1.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감지모듈과 모니터링장치(120) 및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감지모듈(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내감지모듈(100) 및 실외감지모듈(110)에서 감지된 다양한 환경 정보를 지그비통신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장치(120)에 전달하여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시각적 표시수단 등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1 to 3, the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door sensing module installed in a room, a monitoring device 120, and an outdoor sensing module 110 installed outdoors,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100 and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device 120 via Zigbee communication and is provided to a person living in the room through visual display means or the like.

상기 실내감지모듈(100)와 실외감지모듈(110)는 각각 실내와 실외의 환경 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모니터링장치(120)에 전송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감지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감지모듈(100) 및 실외감지모듈(110)를 이루는 감지모듈(100, 110)는 각각 주변의 온도, 습도, 기압, 산소농도, 이산화탄소농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01), 습도센서(102), 기압센서(103), 산소센서(104) 및 이산화탄소센서(105)와, 상기 온도센서(101), 습도센서(102), 기압센서(103), 산소센서(104), 이산화탄소센서(105)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106)와, 상기 A/D컨버터(106)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송수신을 위한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어부(107)와, 이 제어부(107)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장치(120)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장치(120)는 상기 실내감지모듈(100)와 실외감지모듈(110)에 의해 전달된 다양한 환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실내감지모듈(100) 및 실외감지모듈(11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123)와, 사용자의 조작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부(121)와, 상기 무선수신부(123)를 통해 입력된 환경정보 및 상기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조작 명령을 처리하여 출력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122)와, 이 제어부(122)에 의해 제공된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감지모듈(100)와 실외감지모듈(110)에 의해 측정된 환경 정보 및 상기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명령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door sensing module 100 and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may measur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respectively, and transmit the indoor and outdoor sensing signals to the monitoring device 120. The indoor sensing module 100 and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may be sensing module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constituting the indoor sensing module 100 and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01 for measuring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air pressure, oxygen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 humidity sensor 102, an air pressure sensor 103, an oxygen sensor 104, and a carbon dioxide sensor 105, and the temperature sensor 101, the humidity sensor 102, the air pressure sensor 103, the oxygen sensor 104, An A / D converter 106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from the A / D converter 105 into a digital signal, a control unit 107 for processing a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 / D converter 106 into data for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108 for transmitt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07 to the monitoring device 120. The monitoring device 120 provides the user with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door sensing module 100 and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The indoor sensing module 100 and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A wireless receiving unit 123 for receiving transmitted data, an input unit 121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environmen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23, and operation command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1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door sensing module 100 and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provided by the controller 122 and the input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124 for displaying commands and the like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모듈(100, 110)와 모니터링장치(120) 간의 무선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비는 IEEE 802.15 규격에 기반을 두는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 규격으로서, 20 ~ 250kbps의 비교적 저속의 전송속도를 갖으나, 전력소모가 적어 가정이나 산업 현장의 자동화 분야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용으로 적합하다. 지그비의 무선 주파수 대역은 868MHz, 902 ~ 928MHz 및 2.4GHz 인데, 본 발명에서는 2.4GHz 대역의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and the monitoring device 120 is preferably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ZigBee is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standard based on the IEEE 802.15 standard, which has a relatively low transmission rate of 20 to 250 kbps. However, it consumes less power and is suitabl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automation field of home or industrial field. The radio frequency band of ZigBee is 868 MHz, 902 to 928 MHz and 2.4 GHz,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the Zigbe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2.4 GHz band.

상기 감지모듈(100, 110)는 실내의 임의의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형태의 케이스에 내장된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모듈(100, 110)의 작동 전원은 상용 교류전원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전원플러그를 통해 공급될 수도 있고, 자체에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는 교체식의 화학전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고정 설치된 태양전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장치(120)의 표시부(124)는 자체에 구비된 LED나 LCD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홈네트워크를 통해 TV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외부의 디스플레이기기에 출력 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해당 기기를 이용하는 동안에 실내 환경요소에 대한 검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are housed in a case of a miniaturized type so that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can be easily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a room. The operating power of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may be supplied through a cable and a power plug connected to a commercial AC power source, or may be supplied by a built-in battery. The battery may be a replaceable chemical battery or a fixed solar cell. The display unit 124 of the monitoring device 120 may be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ED or an LCD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120. In some cases, the display device 124 may output signals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such as a TV or a computer monitor through a home network And may be configured to monitor the detection information on the indoor environmental element while the user is using the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감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모듈(100, 110)를 실내와 실외 등 여러 장소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확인이 용이한 위치에 모니터링장치(120)를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감지모듈(100, 110)의 온도센서(101), 습도센서(102), 기압센서, 산소센서(104) 및 이산화탄 소센서(105)에 의해 실내와 실외의 온도, 습도, 기압,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가 측정되고,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가 상기 A/D컨버터(106)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07)로 입력된다. 상기 감지모듈(100, 110)의 제어부(107)는 입력된 측정 데이터와 해당 감지모듈(100, 110)의 기기별 식별코드를 팩킹하여 상기 무선송신부(108)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송신부(108)가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한다.The sens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indoor and outdoor locations, as shown in FIG. 1, and a monitoring device 120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 In this state,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humidity, and humidity a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01, the humidity sensor 102, the air pressure sensor, the oxygen sensor 104 and the carbon dioxide sensor 105 of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 The atmospheric pressure, the oxygen concentration,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re measured, and the measured analog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106 and inputted to the control unit 107. The control unit 107 of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packs the input measurement data and the identification codes of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and transmits them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08.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108 ) Sends the data to the outside.

상기 감지모듈(100, 110)로부터 송출된 무선 데이터가 상기 모니터링장치(120)의 무선수신부(123)에 수신되면, 모니터링장치(120)의 제어부(122)가 이를 전달받아 신호를 송신한 감지모듈(100, 110)가 설치된 실내 또는 실외의 온도, 습도, 기압,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환경요소 정보를 상기 표시부(124)를 통해 표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기압센서, 산소센서 및 이산화탄소센서가 통합되고 소형화된 감지모듈(100, 110)를 실내 및 실외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 실내 및 실외의 다양한 구역에 대한 온도, 습도, 기압,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실내의 환경요소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하여 실내 환경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실외의 환경 상태를 실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어 외출 여부, 산책이나 운동 등의 야외 활동에 관한 선택 등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is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23 of the monitoring device 120, the control unit 122 of the monitoring device 120 receives the wireless data, Humidity, air pressure, oxygen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indoor or outdoor installed in the indoor units 100 and 110 through the display unit 124. [ As described abo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integrated with the temperature sensor, the humidity sensor, the air pressure sensor, the oxygen sensor, and the carbon dioxide sensor, It is possible to measure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various outdoor areas more accurately so as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and to adjust th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to the optimum condi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grasp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room, thereby facilitating selection of outdoor activities such as going out, walking, and exercising.

또한, 실내 및 실외의 기압,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측정하여 실내의 사용자가 항상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나 호흡기 질환 환자 등에게 건강 유지와 치료에 도움이 되는 날씨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감지모듈(100, 110)와 모니터링장치(120) 간의 통신이 무선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유선통신 방식에 비해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위치에 감지모듈(100, 110)를 설치하여 더욱 정확한 실내 및 실외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지그비 무선통신을 이용한 저전력 통신망을 구성하여 감지모듈(100, 110)의 작동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지모듈의 구조를 단순화 및 소형화 할 수 있고, 전원 공급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배선이 필요 없도록 하여 시스템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더욱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door and outdoor air pressure,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etc. can be measured and monitored by the user in the room at all times, thereby providing precise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change that helps the health and treatment of the elderly 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Further, sinc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and the monitoring device 120 is perform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constructing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ired communication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re accurat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by installing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at more locations. In particular, by configuring a low-power communication network using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and using the battery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for the sensing modules 100 and 110,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module can be simplified and miniaturiz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he system installation can be further reduc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4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buffer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모듈(181)은 상기 실외감지모듈(110)의 바닥부과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실외감지모듈(110)의 저면부에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실외감지모듈(110)의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1811c, 1811d)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며,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버퍼공간(H1)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된다. 4 to 7, the buffer module 181 includes a lower unit 1812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and a lower unit 1812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unit 1812, And a buffer unit 1811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buffer unit 1811. The buffer unit 1811 includes an upper fixing plate 1811a facing the bottom of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a lower fixing plate 1811b facing the lower unit 1812, And elastic housings 1811c and 1811d provided between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and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At this time, the outer side portions of the elastic housings 1811c and 1811d are formed in a zigzag shape. The elastic housing 1811e is filled with an elastic filler 1811e and the elastic filler 1811e is fill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elastic housing 1811c and 1811d.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buffer spaces H1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rnal reinforcing plates are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buffer spaces H1.

이때 상기 버퍼공간(H1)은 상기 내부 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T2)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T2)와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buffer space H1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internal reinforcing plate.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f facing the upper fixing plate 1811a among the inner reinforcing plates is formed with a lower surface projection T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g facing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s has a predetermined upper surface protrusion T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f and the lower reinforcing plate 1811b 1811g are formed with upper surface protrusions T2 and lower surface protrusions T1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가 상기 버퍼공간(H1)을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는 상호 형합적인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유닛(1812)과 상기 인출수단(4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리프팅수단(LU)이 구비되는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하부유닛(1812) 상에서 일정 범위 내로 유동 가능하도록 복수 구비된다.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하부유닛(1812)의 각 모서리부 상에 위치되는 제1모드와, 상기 각모서리부로부터 상기 하부유닛(1812)의 가상의 중심점을 향하여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유동되는 제2모드로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팅수단(LU)을 통하여 상기 하부유닛(1812)과 상기 인출수단(40) 사이를 일정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퍼유닛(1811)을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동작시킨다. Each of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f,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plate 1811h and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1811g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protrusions T2 and the lower protrusions T1 And are brought into mutual contact via the buffer space H1. Here, the upper surface protrusions T2 and the lower surface protrusions T1 are preferably formed as concave and convex shapes that are mutually combined. Lifting means (LU)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wer unit 1812 and the drawing means 40 is provided. The buffer unit 1811 can be moved to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lower unit 1812 A plurality is provided. The buffer unit 1811 includes a first mode positioned on each corner of the lower unit 1812 and a first mode positioned on each corner of the lower unit 1812 simultaneously or non- And to operate in a second mode of flow.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buffer unit 1811 in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in a state where the buffer unit 1811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unit 1812 and the drawing means 40 through the lifting means LU .

상기 리프팅수단(LU)은 상기 제1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버퍼유닛(1811) 사이에 구비되는 제1리프팅수단(LU1)과, 상기 제1모드 상태에서 상기 버퍼유닛(1811)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모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리프팅을 수행하는 제2리프팅수단(LU2)과, 상기 제1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버퍼유닛(1811) 사이에 상기 제1리프팅수단(LU1)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3리프팅수단(LU3)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기 제1리프팅수단(LU1)과 상기 제3리프팅수단(LU3)을 1차적으로 구동시키며, 2차적으로 상기 버퍼유닛(1811)을 제1모드로 동작시키며, 3차적으로 상기 제2리프팅 수단을 구동시킨다.The lifting means LU includes first lifting means LU1 provided between the buffer units 1811 on the basis of the first mode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ffer unit 1811 in the first mode, A second lifting means LU2 protruding upward in the second mode to perform a lifting operation and a second lifting means LU2 between the buffer unit 1811 and the first lifting means LU1, And a third lifting means LU3 provided. The control unit primarily drives the first lifting unit LU1 and the third lifting unit LU3 and secondarily operates the buffer unit 1811 in the first mode, And drives the second lifting means.

도 7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프레임(101)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b1)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 및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과 마주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1)에 대한 버퍼을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된다. 상기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 정판(1811b)에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8, the upper fixing plate 1811a includes a first fixing plate 1811a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01 and a second fixing plate 1811b1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1811a1 so as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es a second fixing plate 1811a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housing 1811c and 1811d and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b1.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includes a third fixing plate 1811b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unit 1812 and a third fixing plate 1811b1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fixing plate 1811b1 so as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811c, and 1811d, and a fourth fixing plate 1811b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1811g. A predetermined hollow region H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filler 1811e and a buffer 1811i for buffering the frame 101 is provided on the hollow region H2 in response to an external impact . The buffer plate 1811i includes an upper plate 1811i1 and a lower plate 1811i2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elastic means and the upper plate 1811i1 and the lower plate 1811i2 ar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1811a, And is bound to the fixed plate 1811b so as to be able to slide with an improved squareness.

도 8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은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접촉되는 최상단상판(1811f1)과, 상기 최상단 상판과 탄성체(E2)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상단하판(1811f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상단하판(1811f2)의 저면에는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중단 보강판(1811h)은 상기 버퍼공간(H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최상단 하판(1811f)과 대향하는 중단상판(1811h1)과, 상기 중단상판(1811h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중단하판(1811h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단상판(1811h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T2)가 형성된다.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기 버퍼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단하판(1811h2)과 대향하는 최하단상판(1811g1)과, 상기 최하단상판(1811g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하단하판(1811g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하단상판(1811g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T2)가 형성된다.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most stiffener, the plurality of suspended stiffeners, and the lowermost stiffener of the structures according to FIG. 9, the uppermost stiffening plate 1811f includes an uppermost upper plate 1811f1 contacting the upper fixing plate 1811a and an uppermost lower plate 1811f2 coupled to the uppermost plate via the elastic body E2 do. Here, a bottom projection (T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most lower plate 1811f2. The intermittent reinforcing plate 1811h includes an intermediate upper plate 1811h1 facing the uppermost lower plate 1811f with the buffer space H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lower bottom plate 1811h1 bonded with the intermediate upper plate 1811h1 via an elastic body 1811h2). An upper surface protrusion T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upper plate 1811h1.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1811g includes a lowermost upper plate 1811g1 opposed to the lower lower plate 1811h2 with the buffer spac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lowermost lower plate 1811g2 joined with the lowestermost upper plate 1811g1 via an elastic body . An upper surface protrusion T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most upper plate 1811g1.

도 9는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UT)가 형성된다.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 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방돌출부(DT)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방돌출부(U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고정판(1811a1)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상방돌출부(UT) 및 상기 제1고정판(1811a1)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5)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상기 하방돌출부(D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고정판(1811b2)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하방돌출부(DT)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6)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한편 상기 버퍼유닛(1811)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즉, 상기 상부고정판(1811a),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상기 탄성하우징(1811c)은 직육면체 또는 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1811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보다 원활한고 안정적인 버퍼 기능이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버퍼구(1811i) 역시 상기 탄성하우징(1811c)와 함께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보다 용이한 버퍼 작용이 가능하게 해준다.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unit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10,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extends at least outward beyond the area of the first fixing plate 1811a1, and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extends upward at both ends of the outer sides of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The upper projecting portion UT is formed.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extends to at least both outsides beyond the area of the third fixing plate 1811b1 and has a downward protruding portion 1811b2 formed at each end of the out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DT) is formed.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rojecting portion UT is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first fixing plate 1811a1. The upper projecting portion UT and the first fixing plate 1811a1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n elastic means E5, Restoring force is given. At least a part of the downward projecting portion DT is positioned to face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so that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DT and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are bound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means E6, . On the other hand, the buffer unit 1811 has been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verall shape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cuboid. That is, the upper fixing plate 1811a,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and the elastic housing 1811c are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hexahedron. Here, the elastic housing 1811c is formed in a zigzag shape as described above, thereby enabling a highly stable buffer function to be smooth upward and downward against an external impact. The buffering part 1811i also allows the buffering operation to be facilitat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impact with the elastic housing 1811c.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보강판(1811h) 역시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충진체(1811e) 상에서 상기 버퍼공간(H1)을 경유한채 상호 상방과 하방 간에 버퍼되어 접촉한다. 이때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 보강판(1811h)은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여 추가적으로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버퍼유닛(1811)은 충격이 가해지기 전과 충격이 가해진 후를 비교 했을 때, 충격이 가해진 후의 형상은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하게 가압된 형상을 뛰게 되는 것이다.The uppermost stiffening plate 1811f, the lowermost stiffening plate 1811g and the intermediate stiffening plate 1811h may also be formed on the elastic filler 1811e in correspondence with an external impact via the buffer space H1, Buffered. At this time,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f,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1811g, and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plate 1811h serve to suppress the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T2 and the lower surface projection T1, Thereby preventing the flow caused by the impact. 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buffer unit 1811 before and after the shock is applied, the shape after the impact is exerted is uniformly pres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도 10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인출수단(40)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실외감지모듈(110)의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실외감지모듈(110)의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된다.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11, a predetermined buffer module 181 is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drawing means 40. The buffer module 181 includes a lower unit 1812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The buffer unit 1811 includes an upper fixing plate 1811a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and a lower fixing plate 1811b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 A lower fixing plate 1811b facing the lower unit 1812 and an elastic housing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1811a and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and the outer side portion of the elastic housing is formed in a zigzag shape . A plurality of buffer spaces H1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filler 1811e and inner reinforcing plates are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buffer spaces H1 and the upper fixing plate 1811a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f is formed with a bottom proj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가 상기 버퍼공간(H1)를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며,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인출수단(40)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과 마주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g facing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s has a predetermined upper surface protrusion.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plates 1811h positioned between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f and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1811g are formed with upper surface protrusions and lower surface protrusions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Each of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f,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plate 1811h and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1811g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protrusions and the lower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buffer space H1 And the upper surface protrusions and the lower surface protrusions are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upper fixing plate 1811a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1811a1 so as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fixing plate 1811a2 facing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f.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includes a third fixing plate 1811b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unit 1812 and a third fixing plate 1811b1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fixing plate 1811b1 so as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fourth fixing plate 1811b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1811g.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 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버퍼공간(H1)들은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TH)가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H1)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캡슐(C1)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캡슐(C1)이 파손되면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연통로(TH)를 통해 상기 각 버퍼공간(H1)으로 유입된다. 상기 버퍼공간(H1) 상에는 상기 캡슐(C1) 또는 상기 캡슐(C1)로부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1 히팅수단(HT1)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로(TH) 상에는 경유되는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지그재그 형태의 상기 외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AH)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수단(40)에 대한 버퍼 기능을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된다. 상기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E)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 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extends at least outward beyond the area of the first fixing plate 1811a1 and has upwardly extending upper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uter sides of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extends at least outward beyond the area of the third fixing plate 1811b1 and each end of the outer sides of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extends upward. The buffer space H1 is formed with one or more communication paths TH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 buffer space H1 has a capsule C1 filled with a predetermined content, When the capsule C1 is brok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nd the discharged contents are introduced into the respective buffer spaces H1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TH. A first heating means HT1 for heating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capsule C1 or the capsule C1 is provided on the buffer space H1 and the contents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TH And a second heating means (HT2) for heating the airbag. The elastic housing has a plurality of air holes (AH)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surface in a zigzag shape. A predetermined hollow region H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filling material 1811e and a buffer 1811i for buffering the drawing means 40 is formed on the hollow region H2, . The buffer plate 1811i includes a top plate 1811i1 and a bottom plate 1811i2 bonded to each other via elastic means E. The top plate 1811i1 and the bottom plate 1811i2 are connected to the top plate 1811a, And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so as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2 캡슐(C2)이 내장되며, 상기 탄성수단(E)의 양측에서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 이웃하도록 종방향을 따라 한 쌍의 종보강체(LP)가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3 캡슐(C3)이 내장된다.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상기 제2 캡슐(C2)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의 외측에는 상기 제3 캡슐(C3)을 히팅하기 위한 제3 히팅수단(HT3)이 구비된다. 상기 종보강체(LP)는 상기 종보강체(LP)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캡슐(C3)의 내용물이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는 면의 길이방향 상에 복수의 토출구(DC)가 형성된다. 상기 캡슐(C1), 상기 제2 캡슐(C2) 및 상기 제3 캡슐(C3)의 각 내용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The upper plate 1811i1 and the lower plate 1811i2 are provided with a second capsule C2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based on an impact from the outside and the upper plate 1811i1 and the lower plate 1811i1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means E, A pair of longitudinally rigid bodies LP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ower plate 1811i2 and a third capsule C3 in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based on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do. The upper plate 1811i1 and the lower plate 1811i2 are provided with a second heating means HT2 for heating the second capsule C2 and the third capsule C3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elongated rigid body LP. And a third heating means HT3 for heating. The longitudinal rigid body LP is form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facing the elastic means so that the contents of the third capsule C3 are discharged toward the elastic means on the basis of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longitudinal rigid body LP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DC) are formed. The contents of the capsule (C1), the second capsule (C2) and the third capsule (C3) include a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any one of polyethylene, polyvinyl chloride and polystyrene do.

도 11은 도 4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설명하면,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파쇄되는 소정의 파쇄형 버퍼모듈(BM)이 구비된다. 상기 파쇄형 버퍼모듈(BM)은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 구비되는 용기부(SH)와, 상기 용기부(SH) 내부에 구비되어 파쇄되는 파쇄물를 포한한다. 상기 파쇄물은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일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2 파쇄물(BM2)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타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3 파쇄물(BM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파쇄물(BM1) 내지 상기 제3 파쇄물(BM3)은, 외측면 상에 요철형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호 간에 형합되어 마주 접한다. 상기 제1 파쇄물(BM1)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1-1 파쇄물(BM1-1)이 내장되며, 상기 제2 파쇄물(BM2)는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2-1 파쇄물(BM2-1)이 내장되고, 상기 제3 파쇄물(BM3)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3-1 파쇄물(BM3-1)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제1-1 파쇄물(BM1-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2 파쇄물(BM2)와 상기 제2-1 파쇄물(BM2-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고, 상기 제3 파쇄물(BM3)과 상기 제3-1 파쇄물(BM3-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진다.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Referring to FIG. 12, a part of the buffer module BM is broken between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and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by an external impact. do. The shredded buffer module BM includes a container part SH provid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and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and a crushing part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part SH . The crushed material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container portion SH and a plurality of second crushed materials BM1 on the container portion SH along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crushed material BM1. And a third plurality of crushed materials BM3 provided along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rushed material BM1 on the container portion SH. The first crushed material BM1 to the third crushed material BM3 are each formed with protrusions and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 and they form a mutual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crushed material BM1 has a different strength from the first crushed material BM1-1 and the second crushed material BM2 has a different strength from the second crushed material BM2-1. And the third crushed material BM3 has a different intensity of the third crushed material BM3-1 and the first crushed material BM1 and the first crushed material BM1-1 And the second crushed material BM2-1 has a different hardness from each other, and the third crushed material BM3 and the third crushed material BM2-1 have different hardness, and the second crushed material BM2 and the second crushed material BM2-1 have different hardness, (BM3-1) have mutually different hardness.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2 파쇄물(BM2)의 외측과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3 파쇄물(BM3)의 외측에는 각각 소정의 충진물(PM)이 충진되며, 상기 충진물(PM)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SH)와 대응되는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제1영역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제2영역 상에는 각각 상기 파쇄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수단(AM)이 구비된다. 상기 파쇄수단(AM)은 발열을 위한 제5 히팅수단이 내장된다. 상기 제2고정판(1811a2)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 상에서 각각 상방과 하방간의 유동되어 상기 파쇄물을 가압하기 위한 제1 유동모드 및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파쇄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제2 유동모드로 동작 된다. 한편,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과 상기 용기부(SH) 사이에는 소정의 히팅수단(PH)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수단(PH)는 제어부를 통한 외부의 제어 하에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상기 용기부(SH)를 가열한다. A predetermined filler PM is filled i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crushed material BM2 toward the container portion SH and the outer side of the third crushed material BM3 directed toward the container portion SH, PM)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any one of polyethylene, polyvinyl chloride, and polystyrene. The first area of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portion SH and the second area of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are provided with crushing means AM for crushing the crushed material. The crushing means (AM) is equipped with a fifth heating means for generating heat. A first flow mode for flow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fixed plate 1811a2 and the fourth fixed plate 1811b2 to press the pulverized material and a second flow mode for rotating the flui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grind the pulverized material, . Meanwhile, a predetermined heating means PH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housings 1811c and 1811d and the container portion SH. The heating means PH is selectively operated under external control through a control unit to heat the container portion SH.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110 : 감지모듈 101 : 온도센서
102 : 습도센서 103 : 기압센서
104 : 산소센서 105 : 이산화탄소센서
106 : A/D컨버터 107 : 제어부
108 : 무선송신부 120 : 모니터링장치
121 : 입력부 122 : 제어부
123 : 무선수신부 124 : 표시부
100, 110: sensing module 101: temperature sensor
102: humidity sensor 103: air pressure sensor
104: oxygen sensor 105: carbon dioxide sensor
106: A / D converter 107:
108: wireless transmission unit 120: monitoring device
121: input unit 122:
123: wireless receiver 124: display

Claims (14)

버퍼모듈(181)을 포함하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 습도, 기압,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들과,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로 이루어진 실내감지모듈(100);
실외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 습도, 기압,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들과,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로 이루어진 실외감지모듈(110) 및
상기 실외감지모듈(110)의 저면부 상에는 구비되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
(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 보강
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가 상기 버퍼공간(H1)를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며,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저면부에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H1)들은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TH)가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H1)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캡슐(C1)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캡슐(C1)이 파손되면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고, 유출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연통로(TH)를 통해 상기 각 버퍼공간(H1)으로 유입되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And a buffer module 181. The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includes sensors installed in a room to measur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oxygen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a room, A controller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A / D converter into data so that the digital signal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to the outside, Module 100;
An outdoor unit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for measu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indoor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oxygen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from the sensors into a digital signal; An outdoor detection module 110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A / D converter into data for enabling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outside,
And a predetermined buffer module (181)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outdoor sensing module (110)
The buffer module 181,
A lower unit 1812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and a buffer unit 1811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from above the lower unit 1812,
The buffer unit 1811 includes:
A lower fixing plate 1811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unit 1812 and an elastic housing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1811a and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Wherein the elastic housing has an outer side portion formed in a zigzag shape,
The elastic housing is filled with an elastic filler (1811e), and the elastic filler
A plurality of buffer spaces H1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ffer plate 1811e and inner reinforcing plates are provided between the buffer spaces H1, The lower end fixing plate 1811f is formed with a bottom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lower end fixing plate 1811g facing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s has an upper surface projection And the intermediate reinforcing plates 1811h positioned between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1811f and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1811g are formed with upper surface protrusions and lower surface protrusions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uppermost stiffening plate 1811f, the intermediate stiffening plate 1811h,
Each of the plates 1811g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rotrusions and the lower surface protrusions via the buffer space H1 when vibration based on an external impact is generated, Lt; / RTI &
The upper fixing plate 1811a includes a first fixing plate 1811a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face portion and a lower fixing plate 1811a1 which is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fixing plate 1811a2 facing the plate 1811f,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A third fixing plate 1811b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unit 1812 and a third fixing plate 1811b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unit 1812 and a third fixing plate 1811b1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fixing plate 1811b1 so as to be slid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ourth fixing plate 1811b2 facing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extends at least outward beyond the area of the first fixing plate 1811a1 and has upwardly extending upper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uter sides of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extends at least outward beyond the area of the third fixing plate 1811b1 and each end of each of the outer sides of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extends upward,
The buffer space H1 is formed with one or more communication paths TH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 buffer space H1 has a capsule C1 filled with a predetermined content, And the contents are flowed out when the capsule (C1) is broken, and the outflowed contents are introduced into the respective buffer spaces (H1)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퍼공간(H1) 상에는 상기 캡슐(C1) 또는 상기 캡슐(C1)로부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1 히팅수단(HT1)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로(TH) 상에는 경유되는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지그재그 형태의 상기 외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AH)이 형성되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buffer space (H1), the capsule (C1) or the capsule (C1)
A first heating means HT1 for heating the contents,
A second heating means HT2 for heating the contents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TH is provided,
Wherein the elastic housing has a plurality of vent holes (AH)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surface in a zigzag shap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저면부에 대한 버퍼을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되며,
상기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E)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 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2 캡슐(C2)이 내장되며,
상기 탄성수단(E)의 양측에서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 이웃하도록 종방향을 따라 한 쌍의 종보강체(LP)가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3 캡슐(C3)이 내장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상기 제2 캡슐(C2)을 히팅 하기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의 외측에는 상기 제3 캡슐(C3)을 히팅하기 위한 제3 히팅수단(HT3)이 구비되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elastic filler 1811e has a predetermined hollow region H2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On the hollow region H2, a buffer hole 1811i for a buffer for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mpact,
The buffer plate 1811i includes a top plate 1811i1 and a bottom plate 1811i2 bonded to each other via elastic means E. The top plate 1811i1 and the bottom plate 1811i2 are fixed to the top plate 1811a, And the lower fixing plate 1811b so as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811i1 and 1811i2 are each provided with a second capsule C2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based on an external shock,
A pair of longitudinally rigid bodies LP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upper plate 1811i1 and the lower plate 1811i2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means E, A third capsule C3 into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based on the impact,
The upper plate 1811i1 and the lower plate 1811i2 are provided with second heating means HT2 for heating the second capsule C2,
And a third heating means (HT3) for heating the third capsule (C3) is provided outside the rigid body (LP).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종보강체(LP)는,
상기 종보강체(LP)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캡슐(C3)의 내용물이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는 면의 길이방향 상에 복수의 토출구(DC)가 형성되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hort-time rigid body LP,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DC are form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facing the elastic means so that the contents of the third capsule C3 are discharged toward the elastic means based on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rigid longitudinal body LP Formed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C1), 상기 제2 캡슐(C2) 및 상기 제3 캡슐(C3)의 각 내용물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contents of the capsule (C1), the second capsule (C2) and the third capsule (C3) comprises a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any one of polyethylene, polyvinyl chloride and polystyren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파쇄되는 소정의 파쇄형 버퍼모듈(BM)이 구비되며,
상기 파쇄형 버퍼모듈(BM)은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 (1811b2) 사이에 구비되는 용기부(SH)와,
상기 용기부(SH) 내부에 구비되어 파쇄되는 파쇄물를 포함하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Between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and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there is provided a predetermined fracture type buffer module BM which is crushed based on an external impact,
The shredded buffer module BM includes a container portion SH provid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late 1811a2 and the fourth fixing plate 1811b2,
(EN) An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shredded material disposed inside a container portion (SH).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파쇄물은,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일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2 파쇄물(BM2)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타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3 파쇄물(BM3)을 포함하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above-
A plurality of first shreds BM1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container portion SH,
A plurality of second crushed materials BM2 arranged along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first crushed material BM1 on the container portion SH,
And a third plurality of crushed materials (BM3) provided along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rushed material (BM1) on the container part (SH).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물(BM1) 내지 상기 제3 파쇄물(BM3)은,
외측면 상에 요철 형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호 간에 형합되어 마주 접하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pulverized product (BM1) to the third pulverized product (BM3)
And protrusions 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80426A 2017-06-26 2017-06-26 Monitoring system of environment state KR1018500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426A KR101850008B1 (en) 2017-06-26 2017-06-26 Monitoring system of environment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426A KR101850008B1 (en) 2017-06-26 2017-06-26 Monitoring system of environment st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008B1 true KR101850008B1 (en) 2018-04-18

Family

ID=6208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426A KR101850008B1 (en) 2017-06-26 2017-06-26 Monitoring system of environment st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00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958B1 (en) 2018-05-03 2018-10-01 동양비엠에스(주) Module type multi-functional integrated sensor
KR101927709B1 (en) * 2018-05-03 2019-02-26 (주)리채 Joint method of junction structure of vibration control damper for seismic reinforce of building
KR101928746B1 (en) * 2018-05-03 2019-03-12 (주)리채 Junction Structure of vibration control damper for seismic reinforce of building
CN114942307A (en) * 2022-06-06 2022-08-26 广东信拓网络科技有限公司 Highly flexible carbon emission metering equipment and platfor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75B1 (en) * 2005-03-02 2007-06-12 (주)엠피기술산업 A form memory bearing apparatus for structure
KR101128090B1 (en) * 2011-01-14 2012-03-29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onitoring system for interior environments using the combination sensor modu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75B1 (en) * 2005-03-02 2007-06-12 (주)엠피기술산업 A form memory bearing apparatus for structure
KR101128090B1 (en) * 2011-01-14 2012-03-29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onitoring system for interior environments using the combination sensor modul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958B1 (en) 2018-05-03 2018-10-01 동양비엠에스(주) Module type multi-functional integrated sensor
KR101927709B1 (en) * 2018-05-03 2019-02-26 (주)리채 Joint method of junction structure of vibration control damper for seismic reinforce of building
KR101928746B1 (en) * 2018-05-03 2019-03-12 (주)리채 Junction Structure of vibration control damper for seismic reinforce of building
CN114942307A (en) * 2022-06-06 2022-08-26 广东信拓网络科技有限公司 Highly flexible carbon emission metering equipment and platform
CN114942307B (en) * 2022-06-06 2023-09-01 广东信拓网络科技有限公司 Metering equipment for carbon emis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008B1 (en) Monitoring system of environment state
KR101487391B1 (en)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Jump Rope Apparatus
KR101119904B1 (en) Insole sheet for walk diagnosis, shoes system for walk diagnosis using thereof, and diagnosis service system for walk posture
KR102485677B1 (en) Body Balance and body activity measurement System
CN102610060B (en) Portable gas alarm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N104739420B (en) A kind of medicinal intelligent bracelet for being convenient for measuring human body blood oxygen saturation
KR20170109934A (en) Healthcare system of air mattress for bed
CN206818167U (en) A kind of landslide detection device
KR2017006585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tilizing smart air mattress
TWM566595U (en) Treadmill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KR101126522B1 (en) Integrated sensing system for indoor-outdoor environment
KR20110056946A (en) Wireless communication type integrated indoor environment measuring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grated indoor environment control using the same
KR102561764B1 (en) Smart bottle
US20120293015A1 (en) Process device with light change triggered display
CN101101300B (en) Public place air environment monitoring display system
US20140232550A1 (en) Sensing device
KR20120009644A (en) Absorbent article monitoring system using sensor node
KR101812124B1 (en) The combination multifunctional Portable State the measuring devices of Bluetooth based
CN205233616U (en) Intelligence shoe -pad
CN203659162U (en) Pedestrian state detection system with pressure sensors
CN206056643U (en) A kind of environmental detection set for showing index
CN202916932U (en) Embedded equipment for object moving detection and alarming
CN101425149B (en) Devices for monitoring action safety of human by utilizing electronic mark band and method thereof
KR20160015808A (en)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using Wireless Jump Rope Apparatus and Health Management Method
CN203383856U (en) Gas density wireless sensing and det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