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497B1 - 건물내 단절 소방실 및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물내 단절 소방실 및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497B1
KR101846497B1 KR1020170111759A KR20170111759A KR101846497B1 KR 101846497 B1 KR101846497 B1 KR 101846497B1 KR 1020170111759 A KR1020170111759 A KR 1020170111759A KR 20170111759 A KR20170111759 A KR 20170111759A KR 101846497 B1 KR101846497 B1 KR 101846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layer
room
floor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
Original Assignee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1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임시적 대피장소 개념과 패러다임을 달리 하여, 다층 건물의 각 층의 공간 중 하나를 '소방실'로 지정하여 화재 발생시 이 소방실이 자동으로 화재진압 모드로 전환되어 해당층 또는 그 인접 층의 화재 진압을 스스로 도와서 화재 확산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건물의 각 층마다 또는 각층의 특정구역마다 적어도 하나씩의 소방실을 만들어 놓는다. 각 소방실에서는, 건물에 항시 존재하는 수도배관이 화재발생시 소화수 공급원으로 자동 전환되어 소화수를 살수하고, 보관해 둔 소화용 포말, 기체 등의 소화제가 자동으로 분사된다. 그 밖에 다른 기능들도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로써, 해당층 또는 그 상하 인접 층의 화재 진압 활동에 본 발명의 소방실이 자동으로 추가되어서 화재의 조기 진압에 도움을 주고 화재 확산을 최소화하며 피해를 최소화한다.

Description

건물내 단절 소방실 및 제어장치{Isolated fire fighting room in building and its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건물 내 각층에 설치되는 단절형 소방실 및 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층 건물에 화재발생시 많은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사람들의 대피 문제가 큰 문제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건물에 부스 형태의 대피실을 마련하거나, 화장실을 임시 피신장소로 활용하는 기술이 출원되었다(아래의 선행 특허문헌 참조).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임시 방편에 불과하고 이러한 대피실에 피신해 있어도 잠시의 시간만 벌 수 있을 뿐이다. 또한 오히려 외부로의 대피가 가능한 상황이었는데도 처음부터 이러한 대피실로 다급하게 들어가게 되는 심리적 본능상 인명피해가 더 커질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57204, 공고일자 2007년09월1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06151, 공고일자 2013년09월10일
종래 기술의 임시적 대피장소 개념과 패러다임을 달리 하여, 다층 건물의 각 층의 공간 중 하나를 '소방실'로 지정하여 화재 발생시 이 소방실이 자동으로 화재진압 모드로 전환되어 해당층 또는 그 인접 층의 화재 진압을 스스로 도와서 화재 확산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히여 건물의 각 층마다 또는 각층의 특정구역마다 적어도 하나씩의 소방실을 만들어 놓는다. 각 소방실에서는, 건물에 항시 존재하는 수도배관이 화재발생시 소화수 공급원으로 자동 전환되어 소화수를 살수하고, 보관해 둔 소화용 포말, 기체 등의 소화제가 자동으로 분사된다. 그 밖에 다른 기능들도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로써, 해당층 또는 그 상하 인접 층의 화재 진압 활동에 본 발명의 소방실이 자동으로 추가되어서 화재의 조기 진압에 도움을 주고 화재 확산을 최소화하며 피해를 최소화한다.
소방실은 단절형 구조로서 외부의 다른 시스템이나 통제실 등과의 연계가 전혀 없이 화재시에 독자적으로 할당된 임무를 수행한다. 즉, 기존에 별도로 운용되고 있는 건물의 소방 관리실이나 통제실 등은 그것대로 운용되고, 여기에 더불어 본 발명의 소방실은 독립적으로 외부로부터의 통제 없이 자체적으로 자동 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시에도 외부와의 통신선로 파괴 등으로 인한 기능저하나 기능무력화가 없다. 별도의 소방체계와 무관하게 스스로 화재 확산 최소화의 역할을 할 뿐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멸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소방실은, 소방실을 외부공간과 경계짓는 내화벽, 소방실이 위치한 해당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해당층 화재감지기, 소방실 외부를 촬영하여 외부로 무선 송출하는 카메라, 화재 감지시 소방실 외부로 조명을 방출하는 조명방출기, 화재 감지시 음향을 발생하여 소방실 외부로 방출하는 음향발생기, 소방실 내로 일부분이 유도된 건물내 기설치된 수도배관, 화재 감지시 상기 수도배관의 소방실 내로 유도된 부분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소화수밸브, 개방된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배관 내의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해당층의 소방실 외부로 살수하는 살수노즐, 소방실 내에 위치하는 진화용 소화제가 저장되어 있는 소화제탱크, 화재 감지시 상기 소화제탱크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소화제밸브, 상기 소화제밸브의 개방시에 소화제를 해당층의 소방실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소방실은,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위층 화재감지기,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아래층 화재감지기, 화재 감지시 개방된 상기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으로 살수하는 위층 살수노즐, 화재 감지시 개방된 상기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으로 살수하는 아래층 살수노즐, 화재 감지시 개방된 상기 소화제밸브를 통해 소화제를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으로 분사하는 위층 분사노즐, 화재 감지시 개방된 상기 소화제밸브를 통해 소화제를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으로 분사하는 아래층 분사노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소방실은,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위층 화재감지기,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아래층 화재감지기, 화재 감지시 상기 수도배관의 소방실 내로 유도된 부분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위층 소화수밸브, 개방된 상기 위층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으로 살수하는 위층 살수노즐, 화재 감지시 상기 수도배관의 소방실 내로 유도된 부분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아래층 소화수밸브, 화재 감지시 개방된 상기 아래층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으로 살수하는 아래층 살수노즐, 소방실 내에 위치하는, 위층 진화용 소화제가 저장되어 있는 위층 소화제탱크, 화재 감지시 상기 위층 소화제탱크의 소화제를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으로 분사하는 위층 분사노즐, 소방실 내에 위치하는, 아래층 진화용 소화제가 저장되어 있는 아래층 소화제탱크, 화재 감지시 상기 아래층 소화제탱크의 소화제를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으로 분사하는 아래층 분사노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성요소들을 갖는 소방실을 제어하는 장치는, 명령어코드와 연동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CPU, 해당층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34)로 전달하는 해당층 화재감지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를 구동하여 제어하는 카메라구동부,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영상처리부에 의해 영상처리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무선송출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방출기를 구동하는 조명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음향발생기를 구동하는 음향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층 소화수밸브를 구동하는 소화수밸브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층 소화제밸브를 구동하여 제어하는 소화제밸브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소방실의 출입문 잠김을 확인하고 시건장치를 작동시켜서 완전 폐쇄하는 시건장치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발전기의 구동 및 제어를 수행하는 발전기구동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은 CPU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어코드가 기록된 기록매체도 본 발명으로서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은 이후에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인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할 때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다층 건물의 각 층마다 화재 발생시 소방실이 자동으로 화재진압 모드로 전환되어 해당층 또는 그 인접 층의 화재 진압을 스스로 도와서 화재 확산을 최소화하며 피해를 최소화한다. 단절형 구조로 운용되므로, 화재시에도 외부와의 통신선로 파괴 등으로 인한 기능저하나 기능무력화가 없다.
도 1은 건물의 각 층에에서 운용되는 소방실(12)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른 소방실(12)의 구조도
도 3은 도 2 실시예 1을 변형한 실시예 2에 따른 소방실(12)의 구조도
도 4는 도 2의 실시예 1의 소방실제어장치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실시예 2의 소방실제어장치 구성도
도 6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소방실제어장치의 추가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건물(10)의 2~n F의 각 층에 있는 여러 방이나 공간들 중에서 최소한 하나의 방을 소방실(12)로 운용한다. 도 1에서는 각 층에 하나의 소방실(12)을 설치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더 큰 건물의 경우에는 각 층에 2개 이상의 구역을 나누어 각 구역마다 소방실(12)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구역에 관계없이 층마다 여러 개의 소방실 설치도 가능하다.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각층의 소방실(12)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있을 필요가 없다. 각 층의 사정에 맞게, 가령, 자투리공간 등에 소방실(12)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에 건물에는 소방 관련 시스템(화재감지망, 관리실, 통제실 등)이 구축되어 있을 것이지만, 본 발명의 소방실(12)은 그런 것들과 단절되고 다른 방과도 단절되도록 구성된다. 오직 소방실 자체적으로 독립 운용되도록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절형 소방실 개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인 실시예 1에 따른 소방실(12)의 구조도이다. 이 실시예는 화재가 감지된 해당층(즉, 소방실(12)이 설치되어 있는 층)에 소화수살수 및 소화제분사를 행하는 구성이다.
소방실(12)의 상하좌우가 내화벽(14)으로 둘러싸여 있다. 내화벽(14)의 내화 또는 내열 성능이 아주 높은 수준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소방실(12)은 사람이 대피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화재시에 소방실(12) 내부에 설치된 기계 및 전자 장비들을 최소한으로 보호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하도록 해 주는 정도의 내화성 또는 내열성이면 된다. 따라서 기체나 액체에 대한 완전 밀폐형일 필요도 없다.
내화벽(14)에는 해당층 화재감지기(15)를 설치하였다. 이 화재감지기(15)는 해당층의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각종 화재감지용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화재시에 사람이 눌러서 작동시키는 스위치(도 4의 38)를 사용할 수도 있다.
내화벽(14)에는 또한 내열성 카메라(16)를 설치하고 무선 영상송출장치(미도시)를 적소에 설치하여 외부로 해당층의 상황을 무선으로 송출하여 외부에서 상황 감시를 하도록 하였다. 이 무선 영상송출 기능이 본 발명의 소방실(12)에 부여된 유일한 외부로의 통신수단이다. 단 쌍방향 통신이 아닌 일방향 신호송출만, 그것도 무선으로 행하므로 본 발명의 소방실(12)의 단절성이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내화벽(14)에는 또한 조명방출기(18)를 설치하여, 화재시 해당층의 소방실(12) 외부로 강한 조명을 방사해서 해당층에 있는 사람들이 대피할 때에 길잡이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음향발생기(20)를 설치하여 화재시 음향 경고를 하도록 하였다. 일반 스피커는 화염에 취약하므로 음향발생기(20)로는 금속제 혼(horn)을 사용하였다.
이상에서는 카메라(16), 조명방출기(18), 음향발생기(20)를 내화벽(14)의 외부에 설치한 것이었는데, 이럴 경우에 화재에 의한 손상이나 파괴의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들 요소를 내화벽(14) 외부에 설치하지 않고, 소방실(12)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내화벽(14)에 작은 내열성 투명창(미도시)을 만들고 이 투명창을 통해 소방실(12) 내부에서 외부로 조명을 방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투명창을 통해 소방실(12)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로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음향발생기(20)가 특히 화재에 취약한데, 소방실(12) 내에 고출력 파워앰프(도시)를 설치하고 이 파워앰프를 통해 소방실(12) 외부에서 들리도록 음향을 증폭하여 소방실(12) 내의 스피커(미도시)로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소방실(12)은 화재발생시는 물론 평상시에도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는 공간이므로 그 출입문(미도시)은 평상시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최소한의 크기로 관련자만 드나들 수 있도록 설치한다. 다만, 화재시에 다급한 심리상태의 사람들이 본능적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있으므로, 화재가 감지되면 사람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소방실(12) 내부의 소방실제어장치(추후 설명)는 다시 한번 출입문의 잠김 확인을 하고 시건장치를 작동시켜서 완전 폐쇄 조치를 행한다. 이와 병행하여 출입문을 출입이 불편한 정도의 크기로 제작하고 불편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카메라(16), 조명방출기(18), 음향발생기(20)를 소방실(12) 내에 설치하고 출입문 잠김확인 및 시건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본 소방실(12)은 본격적으로 외부와의 단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소방실(12)에 수도배관(22), 소화수밸브(24), 살수노즐(26)을 설치하였다. 이것들이 건물내 수도 시설을 이용한 자동 살수장치를 이룬다. 즉, 어느 건물에나 항시 존재하는 수도배관을, 화재발생시 소화수 공급원으로 자동 전환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해당층의 수도배관(22)의 일부를 소방실(12) 내로 끌어들여와 화재시에 자동으로 소화수밸브(24)를 개방하여서 살수노즐(26)을 통해 소화수(수도물)를 해당층에 살수하도록 하였다.
또한, 소방실(12) 내에 소화제탱크(28), 소화제밸브(30), 소화제 분사노즐(32)을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소방실에서 자동으로 진화용 기체나 포말 등의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하였다. 소화제탱크(28)에 소화제가 압축 저장되어 있다가 해당층 화재 감지시 소화제밸브(30)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분사노즐(32)을 통해 해당층에 분사된다.
이와 같이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은 화재가 감지된 해당층에 소화수를 살수하고 소화제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을 변형한 실시예 2에 따른 소방실(12)의 구조도이다. 이 실시예 2는, 화재가 감지된 해당층에의 소화수살수 및 소화제분사는 당연하고, 해당층에서 화재가 감지되지 않았더라도 그 인접층, 즉, 위층이나 아래층에서 화재가 난 것을 인식하면 그 위층이나 아래층으로도 소화제를 살수하고 소화제를 분사한다.
이를 위해 해당층 화재감지기(15) 이외에, 위층 화재감지기(15')와 아래층 화재감지기(15")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해당층으로의 소화수살수를 위한 수도배관(22), 소화수밸브(24), 살수노즐(26) 이외에, 위층으로의 살수를 위한 위층 수도배관(22'), 위층 소화수밸브(24'), 위층 살수노즐(26')이 추가되었다. 여기서 위층 수도배관(22')은 해당층 살수를 위한 수도배관(22)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층으로의 소화제 분사를 위한 소화제탱크(28), 소화제밸브(30), 분사노즐(32) 이외에, 위층으로의 소화제 분사를 위한 위층 소화제탱크(28'), 위층 소화제밸브(30'), 위층 분사노즐(32')이 추가되었다. 여기서도 위층 소화제탱크(28')는 해당층 소화제 분사를 위한 소화제탱크(28)와 동일한 것 또는 별도의 것을 이용 가능하다.
그리고, 아래층으로의 살수를 위한 아래층 수도배관(22"), 아래층 소화수밸브(24"), 아래층 살수노즐(26")이 추가되었다. 또한 아래층으로의 소화제 분사를 위한 아래층 소화제탱크(28"), 아래층 소화제밸브(30"), 아래층 분사노즐(32")이 추가되었다. 여기서도, 아래층 수도배관(22")은 해당층 살수를 위한 수도배관(22)과 동일한 것 또는 별도의 것을 이용 가능하다. 그리고 아래층 소화제탱크(28")는 해당층 소화제 분사를 위한 소화제탱크(28)와 동일한 것 또는 별도의 것을 이용 가능하다.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2의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 1의 소방실제어장치 구성도이다. 전체적으로 CPU(34)와 명령어코드(62)에 의한 마이크로제어 방식의 마이크로컨트롤러 구조이다.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해당층 화재감지기(15)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34)로 전달하는 해당층 화재감지부(36) -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화재감지기(15)는 해당층의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각종 화재감지용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화재시에 사람이 눌러서 작동시키는 스위치(38)를 화재감지기(15)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CPU(34)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16)를 구동하여 제어(가령, 줌인아웃, 틸팅, 회전, 촬영개시, 촬영중단 등)하는 카메라구동부(42) -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메라(16)가 촬영한 영상은 이 카메라구동부(42)를 통해 CPU(34)에 입력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CPU(34)의 다른 입력포트로 개별적으로 입력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카메라(16)에서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44) - GPU, DSP 모듈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카메라(16)에서 촬영한 영상은 CPU(34)를 통해 받을 수도 있고 직접 카메라(16)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48)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송출부(46) - 2.4GHz의 ISM 밴드를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 RF모듈로서 SPI 통신을 수행하고 유효 송신 거리가 대략 200~800m인 RF24L01 무선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CPU(34)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방출기(18)를 구동하는 조명구동부(50) - 조명방출기(18)로는 기존의 고광도 할로겐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최근에 개발된 고휘도 LED를 사용하면 전력소모와 열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LED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저전력 소모를 위하여 펄스에 의한 다이나믹 방식으로 조명구동부(50)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PU(34)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음향발생기(20)를 구동하는 음향구동부(52) -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소방실(12) 내에서 고출력 파워앰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음향구동부(52)에는 고출력 파워앰프도 포함될 것이다,
CPU(34)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층 소화수밸브(24)를 구동하여 제어하는 소화수밸브구동부(54) - 이 소화수밸브구동부(54)는 소화수밸브(24)를 솔레노이드 전자밸브로 구현시에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CPU(34)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층 소화제밸브(30)를 구동하여 제어하는 소화제밸브구동부(56) - 소화수밸브(24)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 전자밸브로 구현시에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이상의 기능블록들은 CPU(34) 하드웨어와 연동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readable) 명령어코드(62)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된다. 명령어코드(62)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인스트럭션 저장소(가령, ROM)에 펌웨어 또는 기계어의 형태로 저장가능하다. 이 명령어코드(64)는 ROM, USB메모리 등의 기록매체에 담겨서 실시가능하다.
한편, CPU(34)에는 추후에 다른 추가 기능의 확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포트(40)를 마련하였다. 예비포트(40)를 사용하여 기능 확장을 하기 위해서는 명령어코드(64)의 업데이트와 함께 확장 기능을 수행하는 보드를 연결하면 된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 2의 소방실제어장치 구성도이다. 카메라구동부(42), 영상처리부(44), 무선송출부(46), 조명구동부(50), 음향구동부(52), 예비포트(40), 명령어코드(62)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달라진 구성요소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해당층 화재감지기(15)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34)로 전달하는 해당층 화재감지부(36) -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화재감지기(15)는 해당층의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각종 화재감지용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화재시에 사람이 눌러서 작동시키는 스위치(38)를 화재감지기(15)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위층 화재감지기(15')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34)로 전달하는 위층 화재감지부(36') - 여기서도 위층 화재감지기(15')는 위층의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각종 화재감지용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화재시에 사람이 눌러서 작동시키는 스위치(38')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아래층 화재감지기(15")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34)로 전달하는 아래층 화재감지부(36") - 여기서도 아래층 화재감지기(15")는 아래층의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각종 화재감지용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화재시에 사람이 눌러서 작동시키는 스위치(38")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CPU(34)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층, 위층, 아래층 소화수밸브(24, 24', 24")를 구동하여 제어하는 소화수밸브구동부(54) - 이 소화수밸브구동부(54)는 소화수밸브(24, 24', 24")를 모두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설계된 하나의 기능블록일 수도 있고, 해당층 소화수밸브(24), 위층 소화수밸브(24), 아래층 소화수밸브(24)를 각각 제어하는 개별적인 해당층 소화수밸브구동부, 위층 소화수밸브구동부, 아래층 소화수밸브구동부일 수도 있다,
CPU(34)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층, 위층, 아래층 소화제밸브(30, 30', 30")를 구동하여 제어하는 소화제밸브구동부(56) - 이 소화제밸브구동부(56)는 소화제밸브(30, 30', 30")를 모두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설계된 하나의 기능블록일 수도 있고, 해당층 소화제밸브(30), 위층 소화제밸브(30'), 아래층 소화제밸브(30")를 각각 제어하는 개별적인 해당층 소화제밸브구동부, 위층 소화제밸브구동부, 아래층 소화제밸브구동부일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소방실제어장치의 추가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앞에서 도 2의 설명시에, "... 화재시에 다급한 심리상태의 사람들이 본능적으로 출입문을 통해 소방실(12)로 들어올 가능성이 있으므로, 화재가 감지되면 사람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소방실(12) 내부의 소방실제어장치는 다시 한번 출입문의 잠김 확인을 하고 시건장치를 작동시켜서 완전 폐쇄 조치를 행한다 ..."라고 언급한 것처럼, 도 6의 실시예에서는 CPU(34)에 시건장치구동부(58)를 추가하고 명령어코드(62)를 갱신하여 출입문(미도시)의 잠김을 재차 확인하고 시건장치를 작동시켜서 완전 폐쇄 조치를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소방실(12) 내의 모든 전기장치들의 전원은 일반적인 것처럼 상용 AC 전원을 이용하면 되지만, 화재시의 지속적 소방실 운용을 위해 그리고 외부와의 확실한 단절을 위해 배터리나 발전기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화재감지 시점까지는 상용 AC 전원을 사용하다가 화재감지 직후부터는 자동으로 배터리 전원으로 절환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는 수명이 유한하고 열에 약한 문제가 있으므로 배터리 대신에 자체적으로 발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배터리를 완전히 대체하여 발전기만 사용할 수도 있고, 배터리와 발전기를 병용할 수도 있다.
발전기의 구동 및 제어를 위한 발전기구동부(60)를 CPU(34)에 추가할 수 있다. CPU(34)는 화재 감지시에 또는 화재감지후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에 발전기구동부(60)를 구동하여 발전기를 기동시킨다. 발전기(미도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류(기름)를 연료로 하는 발전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유류가 화재에 취약하므로 다른 방식의 발전기를 독자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소방실(12)에 적합한 안전한 발전기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화재 감지시에 건물 자체의 수도배관(22, 22', 22")을 밸브(24, 24', 24")로 열어서 살수를 하므로, 이 기능을 이용하여 수도배관(22, 22', 22")에서 일부분을 분기하고 여기에 제3의 밸브, 이름하여 발전기구동밸브(미도시)를 설치한다. 화재가 감지되면 CPU(34)는 발전기구동부(60)에 제어신호를 보내 발전기구동밸브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때 분출되는 수압을 이용해서 발전기의 임펠러를 회전시켜서 전기를 발생시킨다. 유류를 사용하지 않는 수력발전기가 되는 것이다.
건물(10), 소방실(12), 내화벽(14), 화재감지기(15, 15', 15"), 카메라(16), 조명방출기(18), 음향발생기(20), 수도배관(22, 22', 22"), 소화수밸브(24, 24', 24"), 살수노즐(26, 26', 26"), 소화제탱크(28, 28', 28"), 소화제밸브(30, 30', 30"), 소화제 분사노즐(32, 32', 32")

Claims (5)

  1. 삭제
  2.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소방실로서,
    소방실과 그 외부의 공간을 경계짓는 벽으로, 내열성 투명창이 설치된 내화벽,
    소방실이 위치한 해당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해당층 화재감지기,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위층 화재감지기,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아래층 화재감지기,
    소방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화벽의 투명창을 통해 소방실 외부를 촬영하여 외부로 무선 송출하는 카메라,
    소방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내화벽의 투명창을 통해 소방실 외부로 조명을 방출하는 조명방출기,
    소방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소방실 외부에서 들을 수 있는 음량으로 소방실 내에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기,
    건물내 기설치된 수도배관으로부터 소방실 내로 유도된 배관 부분,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 위층 화재감지기, 아래층 화재감지기 중 하나가 화재 감지시 상기 수도배관의 소방실 내로 유도된 배관 부분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소화수밸브,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개방된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해당층의 소방실 외부로 살수하는 해당층 살수노즐,
    상기 위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개방된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으로 살수하는 위층 살수노즐,
    상기 아래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개방된 상기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으로 살수하는 아래층 살수노즐,
    소방실의 내부에 위치하며, 진화용 소화제가 저장되어 있는 소화제탱크,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 위층 화재감지기, 아래층 화재감지기 중 하나가 화재 감지시 상기 소화제탱크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소화제밸브,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에 개방된 상기 소화제탱크의 소화제를 해당층의 소방실 외부로 분사하는 해당층 분사노즐,
    상기 위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에 개방된 상기 소화제탱크의 소화제를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으로 분사하는 위층 분사노즐, 그리고
    상기 아래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에 개방된 상기 소화제탱크의 소화제를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으로 분사하는 아래층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건물내 단절 소방실.
  3.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소방실로서,
    소방실과 그 외부의 공간을 경계짓는 벽으로, 내열성 투명창이 설치된 내화벽,
    소방실이 위치한 해당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해당층 화재감지기,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위층 화재감지기,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아래층 화재감지기,
    소방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화벽의 투명창을 통해 소방실 외부를 촬영하여 외부로 무선 송출하는 카메라,
    소방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내화벽의 투명창을 통해 소방실 외부로 조명을 방출하는 조명방출기,
    소방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소방실 외부에서 들을 수 있는 음량으로 소방실 내에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기,
    건물내 기설치된 수도배관으로부터 소방실 내로 유도된 배관 부분,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수도배관의 소방실 내로 유도된 배관 부분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해당층 소화수밸브,
    상기 위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수도배관의 소방실 내로 유도된 배관 부분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위층 소화수밸브,
    상기 아래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수도배관의 소방실 내로 유도된 배관 부분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아래층 소화수밸브,
    상기 개방된 해당층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해당층의 소방실 외부로 살수하는 해당층 살수노즐,
    상기 개방된 위층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으로 살수하는 위층 살수노즐,
    상기 개방된 아래층 소화수밸브를 통해 수도물을 소화수로서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으로 살수하는 아래층 살수노즐,
    소방실의 내부에 위치하며, 해당층 진화용 소화제가 저장되어 있는 해당층 소화제탱크,
    소방실의 내부에 위치하며, 위층 진화용 소화제가 저장되어 있는 위층 소화제탱크,
    소방실의 내부에 위치하며, 아래층 진화용 소화제가 저장되어 있는 아래층 소화제탱크,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해당층 소화제탱크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해당층 소화제밸브,
    상기 위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위층 소화제탱크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위층 소화제밸브,
    상기 아래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아래층 소화제탱크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아래층 소화제밸브,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해당층 소화제밸브에 의해 개방된 상기 해당층 소화제탱크의 소화제를 해당층의 소방실 외부로 분사하는 해당층 분사노즐,
    상기 위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위층 소화제밸브에 의해 개방된 상기 위층 소화제탱크의 소화제를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위층으로 분사하는 위층 분사노즐,
    상기 아래층 화재감지기가 화재 감지시 상기 아래층 소화제밸브에 의해 개방된 상기 아래층 소화제탱크의 소화제를 소방실이 위치한 층의 아래층으로 분사하는 아래층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건물내 단절 소방실.
  4. 제2항에 기재된 구성요소를 갖는 건물내 단절 소방실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명령어코드와 연동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CPU,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로 전달하는 해당층 화재감지부,
    상기 위층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로 전달하는 위층 화재감지부,
    상기 아래층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로 전달하는 아래층 화재감지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제어하는 카메라구동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영상처리부에 의해 영상처리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무선송출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방출기를 구동하는 조명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발생기를 구동하는 음향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화수밸브를 구동하는 소화수밸브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화제밸브를 구동하는 소화제밸브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소방실의 출입문의 잠김을 확인하고 시건장치를 작동시켜서 완전 폐쇄하는 시건장치구동부를 포함하는, 건물내 단절 소방실 제어장치.
  5. 제3항에 기재된 구성요소를 갖는 건물내 단절 소방실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명령어코드와 연동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CPU,
    상기 해당층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로 전달하는 해당층 화재감지부,
    상기 위층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로 전달하는 위층 화재감지부,
    상기 아래층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CPU로 전달하는 아래층 화재감지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제어하는 카메라구동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영상처리부에 의해 영상처리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무선송출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방출기를 구동하는 조명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발생기를 구동하는 음향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해당층 소화수밸브를 구동하는 해당층 소화수밸브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층 소화수밸브를 구동하는 위층 소화수밸브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아래층 소화수밸브를 구동하는 아래층 소화수밸브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해당층 소화제밸브를 구동하는 해당층 소화제밸브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위층 소화제밸브를 구동하는 위층 소화제밸브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아래층 소화제밸브를 구동하는 아래층 소화제밸브구동부,
    CPU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소방실의 출입문의 잠김을 확인하고 시건장치를 작동시켜서 완전 폐쇄하는 시건장치구동부를 포함하는, 건물내 단절 소방실 제어장치.

KR1020170111759A 2017-09-01 2017-09-01 건물내 단절 소방실 및 제어장치 KR101846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59A KR101846497B1 (ko) 2017-09-01 2017-09-01 건물내 단절 소방실 및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59A KR101846497B1 (ko) 2017-09-01 2017-09-01 건물내 단절 소방실 및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497B1 true KR101846497B1 (ko) 2018-04-09

Family

ID=6197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759A KR101846497B1 (ko) 2017-09-01 2017-09-01 건물내 단절 소방실 및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4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21B1 (ko) * 2016-08-17 2017-07-28 이수기술단(주)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21B1 (ko) * 2016-08-17 2017-07-28 이수기술단(주)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04008B1 (ko)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KR20170088544A (ko)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JP2007213307A (ja) 火災監視消火・放水制御システム
KR101853291B1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101720748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29640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CN109663258B (zh) 一种智能控制消防***
JP2016140414A (ja) 自動火災報知消火システム
KR101846497B1 (ko) 건물내 단절 소방실 및 제어장치
JP2023068011A (ja) 消火設備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JP2012100819A (ja) 泡消火装置
KR101658710B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CN103480099A (zh) 一种楼道防火***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101524779B1 (ko) 금연구역 소화 시스템
KR200466854Y1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20170000100A (ko) 다중영역 관리용 소화시스템
KR101828028B1 (ko)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CN103473876A (zh) 一种可编码楼道防火***
WO2013110172A1 (en) Smart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