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726B1 - Portable cart having goods storage utility and assembly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Portable cart having goods storage utility and assembly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726B1
KR101845726B1 KR1020170060075A KR20170060075A KR101845726B1 KR 101845726 B1 KR101845726 B1 KR 101845726B1 KR 1020170060075 A KR1020170060075 A KR 1020170060075A KR 20170060075 A KR20170060075 A KR 20170060075A KR 101845726 B1 KR101845726 B1 KR 101845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members
groove
longitudinal
corn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승섭
Original Assignee
오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섭 filed Critical 오승섭
Priority to KR102017006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7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7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capable of being unfolded like a flat bench or loading articles requiring protection to move the articles to a destination;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cart comprises: a four fixable prefabricated wheel members; first to fourth leg members; a longitudinal connection member for the leg member connected to a top of the four leg members to a support member through a nut member; the support member integrated by including two longitudinal tubular member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in an insertion or serration type, and two vertical members vertically penetrating the tubular member; and a first table, wherein the tubular member of the support member is supported through a first U-shaped bent member and the vertical member thereof is supported through a second U-shaped bent member and forms a first storage box through folding operation.

Description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 및 조립방법{PORTABLE CART HAVING GOODS STORAGE UTILITY AND ASSEMBLYING METHOD OF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본 발명은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에 탑재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정육면체 형상의 조립체이고 상기 조립체는 필요시 펼쳐서 평상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하부에는 의자의 다리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기 평상 위에 놓여 있는 물체를 지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평상을 지탱하는 발바닥 부분의 바퀴를 굴려서 이동기능을 갖는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 및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be-shaped assembly having a size that can be mounted on a trunk of a vehicle, and the assembly can be used as a flat-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capable of supporting an object lying on the flat surface and rolling a wheel of a foot portion supporting the flat surfac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현대에는 과거와는 다르게 캠핑이나 야외활동의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캠핑 용품의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며, 특히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철가능하게 구비되는 테이블에 대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Unlike in the past, the frequency of camping and outdoor activitie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ccordingly, various camping equipment technologies that are easy to carry and store are presented. Especially, Technologies are presented in various ways.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실용신안 공고 재실1996-003124호[절첩식상]이 있는 데, 상기 종래 기술은 대접면에 요입들조와 요입홈이 형성되고, 경첩으로 연결된 상판과, 상판의 하부에 절첩 자유롭게 형성된 지각부, 단지각과 장지각에 각각 고정구와 고정요입부가 있는 절첩식 교자상에 있어서, 경첩부에 소정의 통공이 천설되어 푸쉬 버튼 스위치가 탄발구에 의하여 지지봉이 다른 통공에 삽입발출되도록 설치하고, 상판의 하면에 할합선을 따라서 인접한 양측과 중심부에 다면체 형상의 상하판재의 중간에 회전체결구가 회전가능한 할합 지주부1과 육면체 형상의 베이스 상부에 형성된 역V자형상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쌍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단에 일정 형상의 손잡이 설치된 삽입 체결구를 갖는 할합 지지부1가 다수개 설치되는 절첩식상을 제시하고 있다.[0003] The conventional art has a conventional art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6-003124 [folding type]. In the related art, there are an upper plate formed with recesses and recessed grooves on the recessed surface and connected by a hinge, And the pushbutton switch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ushbutton switch is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other through holes by the pushbutton, In the middl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in the form of polyhedrons on both sides and along the shor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supports 1 having an insertion fastener provided with a handle of a predetermined shape at the upper end thereof are provided, have.

그러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을 절첩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지각과 장지각을 각각 접은 후에, 상판을 접어야 하며, 반대로 상을 펼치는 경우에도 각각의 단지각과 장지각을 개별적으로 펼치는 것으로서, 접고 펴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has to fold the upper plate after folding each of the respective angles and long corners to fold the corners, and even when the corners are unfolded, it is necessary to unfold each of the corners and the long corners individual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또한 종래기술로 실용신안공고 재실 1988-0003792호 [휴대용 절첩 탁자]가 있는 데, 상기 종래 기술은 저면이 개방된 한 쌍의 중공 상자형 상판을 절첩가능하게 결합하고, 양측면에는 손잡이 반편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손잡이의 양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돌편을 돌출설치하고, 각 일측에는 양측에 안내홈이 형성된 렛치안내편을 돌출설치하여 상기 걸림홈과 안내홈에서 슬라이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레치를 설치하며, 양측 상판의 저면에는 각각 서로 길이 차이 만큼 높고 낮은 지편으로 지지하고, 다리의 상단부에는 걸림융기와 정지돌기가 형성된 버팀간과 걸림융기에 형성된 걸고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다리의 하단부에는 걸림홈이 걸리는 걸림돌핀을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휴대용 절첩탁자를 제시하고 있다.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 portable model folding table of 1988-0003792, which has a pair of hollow box type top plates which are opened at the bottom and are fol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lf pieces of knobs are formed at both sides In this case, latching pieces having latch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are provided with protruding latching pieces having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respectively, so that the latching grooves and the latches, which are slidable in the guide grooves, And hook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legs, respectively, which are formed by hooking up and hooking protrusions, and hook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lower ends of the legs, A portable folding table is provided in which the stumbling pins are protruded to both sides.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상판을 절첩하는 경우, 절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며, 의자 다리를 접었을 때, 별도로 접힌 상태의 다리를 고정할 수 없어 접고 펼치는 데 다리가 펴질 수 있어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 when the upper plate is folded, a separate fixing means must be provided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and when the chair leg is folded, the legs can not be fixed in the fold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6-0072117호[휴대용 다용도 접이의자, 무름 기도 의자, 접이식 간이의자, 콤팩트의자, (야외용)테이블, 접이용 탁자]가 있는 데,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의자를 절첩할 수 있도록 다리를 접고 상판을 접을 수 있는 구성으로서,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conventional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6-0072117 (portable multipurpose folding chair, unglazed chair, folding simple chair, compact chair, table for outdoor use, In which the legs are folded so that the legs can be folded and the upper plate can be folded.

등록실용신안 제20-0150032호[절첩테이블]은 간편한 사용방법으로 절첩, 전개하여 각종 야외 레저 활동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테이블을 제시하고 있다.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150032 [Folded Table] presents a table which is folded and developed in a convenient way of use to provide ease of use in various outdoor leisure activities.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다리를 힌지 결합시켜 상판으로 접은 후, 테이블을 절첩하는 기술로서, 테이블 절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fixing means is required to hold the folded state of the table as a technique of folding the table after hinging the legs to fold it to the upper pl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에 있어서, 상측에 형성된 수납부재와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재 및 최하층에 형성된 고정형 바퀴 등의 이동부재를 결합하여 차량 등에 적재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펼치거나 조립하기 편리하여 식사 등을 하기 위하여 평상처럼 펼치거나 또는 보호가 필요한 물건들을 적재하여 목적지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which comprises a storage member formed on an upper side, a support member formed on a lower sid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capable of unfolding or assembling in the outdoors so that it can be spread like a flat surface for food or the like, or can be moved to a destination by loading objects requiring protection. There is a purpose.

또한 이동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단순히 조립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분리가 가능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가 쓰러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재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형성되어 이동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바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와 지지부재 및 바퀴부재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view of the convenience of movement, it is possible to use a foldable or foldable storage member which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rather than simply being assemb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assembling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wheel member, which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and a wheel member which is formed below the supporting member and can be moved easily.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는, 4개의 고정가능한 조립식 바퀴부재; 상기 조립식 바퀴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홈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내지 4의 다리 부재; 상기 4개의 다리부재의 상단에 너트부재를 통해서 받침부재와 연결되는 다리 부재에 대한 길이방향의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압입 또는 서레이션 방식으로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2개의 관형부재와 상기 관형부재와 수직으로 관통되는 2개의 수직부재를 포함하여 일체화된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 중 관형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앙에 형성된 홈을 통해서 밀착 결합된 제1 브래킷을 관통하는 구부러진 U 자 형태의 제1절곡부재를 통해서 지지되고, 수직부재는 이격된 제2브래킷을 관통하는 구부러진 U자 형태의 제2절곡부재를 통해서 지지되고, 접힘 동작을 통해서 제1 수납함을 형성하는 제1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2개의 수직부재는, 제1, 2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2 다리부재 사이에 형성된 제1 다리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1 길이부재와 나사 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4 다리부재를 연결하는 제2 다리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2 길이부재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테이블은 두께가 길이와 폭보다 짧은 직육면체의 형상이되, 중앙부; 상기 중앙부와 4면에서 제1내지 4의 경첩을 통해서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1 내지 4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 2측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와는 제5 경첩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측면부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12 모서리부; 상기 제2와 3측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부와는 제6경첩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측면부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23모서리부; 상기 제3과 4측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부와는 제7경첩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4측면부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34 모서리부; 및 상기 제4와 1측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와는 제8경첩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4측면부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41 모서리부를 포함하면서 직육면체의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12모서리부와 제2측면부를 고정시키는 제1 조립식브래킷; 상기 제23모서리부와 제2측면부를 고정시키는 제2 조립식브래킷; 상기 제34모서리부와 제4측면부를 고정시키는 제3 조립식브래킷; 및 상기 제41모서리부와 제4측면부를 고정시키는 제4 조립식브래킷을 포함하여 상기 직육면체의 형상을 지지하고, 상기 길이 방향의 홈은 상측에 직경이 큰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의 하측으로 연속하는 수직 방향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방향의 홈의 안쪽으로는 상기 수직방향의 홈과 수평되는 방향으로 수평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폄홍의 말미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 홈을 통해서 삽입되는 접이식 테이블의 삽입부재의 걸이부가 걸리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대칭을 이루는 제1, 2분체를 포함하되,상기 제1,2 분체는 하면에 제1, 2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지지판의 하측에는 제9, 10 경첩이 형성되어서 하측으로 절첩될 수 있고, 상기 제1홈에 삽입시에는 상기 제9, 10 경첩을 구부려서 폭을 줄여서 삽입하였다가 상기 길이방향의 홈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삽입시에는, 상기 제1,2 분체를 펼쳐서 길이 방향의 길이를 최대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테이블을 고정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including: four fixable wheel members; First to fourth leg members each including a longitudinal groove that is screwed to the prefabricated wheel member; A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to a leg member connected to a receiving member through a nut member at an upper end of the four leg members; An integrated support member including two longitudinal tubular members coupled with the connection member in a press-fit or a serration manner, and two vertical members vertically penetrating the tubular member; And a tubular member of the supporting member is supported through a first bent member of a bent U-shape passing through a first bracket tightly coupled through a groove formed at a longitudinal center thereof, and the vertical member penetrates the separated second bracket And a first table supported by a second bent member of a bent U-shap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members and forming a first housing through a folding operation, wherein the two vertical members includ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And a first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eg members, the first and second leg member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leg members, and the second leg member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leg members, And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with a second length member connecting members in a threaded manner, wherein the first table has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thickness shorter than a length and a width, And first to fourth side parts joined to the central part in a hinged manner through first to fourth hinges on four sides, the first to fourth side parts being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arts, And a second corner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face part by a hinge connection method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side face part by a side contact; A third corner part form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ide parts and coupled to the third side part through a sixth hinge in a hinged manner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side part while contacting the side surface; A fourth corner portion form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ide portions and coupled to the third side portion through a seventh hinge in a hinged manner and separated from the fourth side portion while contacting the side surface; And a fourth corner portion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ourth and one side portions and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portion through a hinge connection method through an eighth hinge and is separated from the fourth side portion while contacting the side surface, A first assembled bracket for forming the second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A second assembly type bracket fixing the 23rd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A third assembly type bracket fixing the fourth corner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And a fourth assembly type bracket for fixing the fourth corner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to support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erein the longitudinal groove has a first groove having a large diameter on an upper side thereof, A horizontal groove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groove in the vertical groove, and a latching jaw is form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bar, Wherein the folding table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powder that are symmetrical,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owder hav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ninth and a 10th hinge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so as to be folded downward. Wh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the ninth and the 10th hinges are bent, The second table can be fixed by unfolding the first and second powder so as to maximize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tab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jaw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의 조립방법은, (a) 고정가능한 조립식 바퀴부재의 작동편을 눌러 바퀴를 정지시키는 단계(s10)와, (b) 상기 바퀴부재의 상측부의 나사부를 다리부재와 연결하는 단계(s20)와, (c) 상기 바퀴부재와 연결된 다리부재를 연결부재를 통해서 받침부재의 관형부재와 세레이션 또는 압입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s30)와 (d) 상기 받침부재 중 수직부재의 고정부를 통해서 다리연결부재와 길이부재를 연결하는 단계(s40)와 (e) 다리부재와 받침부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관형부재를 2개의 제1브래킷을 통해서 제1 테이블의 하면과 연결하고, 상기 수직부재를 제2브래킷을 통해서 제1테이블의 하면과 연결시키는 단계(s50)와, (f) 상기 다리부재의 길이방향의 홈을 통해서 접이식 테이블을 걸림턱에 연결시키는 단계(s60);와, (g) 상기 제1 테이블의 중앙부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 내지 4측면부를 돌려 상기 제1 내지 4측면부를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s70); 및 (h) 상기 제1 또는 제3 측면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2 모서리부, 제23모서리부, 제34 모서리부 및 제41 모서리부를 회전시켜 각각 제2 측면부 또는 제4 측면부와 결합시키고 제1 내지 4 조립브래킷으로 고정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assembling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stopping a wheel by pressing an operation piece of a fixable prefabricated wheel member; (b) (C) connecting the leg members connected with the wheel member to the tubular member of the supporting member through serration or indentation by means of a connecting member (s30) and (d) connecting the threaded portion to the leg member; (S40) connecting the leg linking member and the elongated member through the fixing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e) connecting the le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to each other through the two first brackets 1)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able through the second bracket (s50); and (f) connecting the folding table to the engagement jaw Connecting stage (S60); and, (g) step (s70) to be built back to the first to fourth side portions that are coupled with the center hinge of the first table in the vertical to the first to fourth side portions; And (h) rotating the twelfth corner portion, the twenty-third corner portion, the thirty-fourth corner portion, and the thirty-first corner portion hinged to the first or third side portion to couple with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or the fourth side surface portion, 4 to an assembly bracket (step s8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또는 이동수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바퀴에 다리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다리부재의 상면에 직사각형 형상의 받침부재를 테이블 상에 결합하고,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펴거나 접을 수 있어서, 평상의 형태로 사용하거나, 수납함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카트 형태의 운반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 leg member is connected to a wheel that can serve as a supporting or moving means, and a rectangular receiving member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eg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can be spread or folded as necessary so that it can be used in a flat shape or in the form of a storage box so that the convenience of moving images can be achiev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which can also be used.

또한 바퀴부재, 다리부재 및 지지부재, 받침부재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어서, 조립이 간단하고,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는 힌지 결합한 형태의 경첩들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손쉽게 수납함의 형태로 변형하거나 4인 이상의 사람들이 토론, 식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평상의 형태로 활용가능하여 설치의 편리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물품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의 조립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lso, since the wheel member, the leg member, th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can be coupled in a screw-type manner, the assembly is simple and the hinge is hi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assembling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that can be utilized in a flat form in which four or more people can perform discussions, meals, and the like, thereby ensuring convenience and ease of installation.

또한 재질이 가벼운 철제, 플라스틱 제, 또는 목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비중이 크지 않고, 우레탄 바퀴로 구성되어 있어서 무거운 물건의 적재 시에 손쉬운 운반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material is made of light iron, plastic or wood, the weight is not so large, and it can be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which can easily carry the heavy object when it is loaded with a urethane wh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에 사용되는 바퀴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에 사용된느 바퀴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를 펼쳤을 때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500)에서 접이식 테이블(300)을 다리 부재(200)의 길이방향의 홈(260)에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의 제1테이블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를 물품 수납공간을 갖도록 변형한 상태를 아래쪽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heel member used in a portable cart having a product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heel unit used in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when the portable cart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4 is a view showing coupling the folding table 300 to the longitudinal grooves 260 of the leg member 200 in the portable cart 500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table of a portable cart having a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cart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to have an article storage space as seen from below and from abov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do.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에 장착되는 고정가능한 바퀴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xable wheel member mounted on a portable cart having a storage function of an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카트에 사용되는 고정가능한 바퀴부재(100)는, 브라켓트(10)의 양측판(102) 사이에 설치되는 바퀴(20)와, 브라켓트(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템(30)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브라켓트(10)의 일측에는 자동레버의 작동편(606)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발을 이용해 작동편(606)을 하향으로 누르거나 또는 상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휴대용 카트에 사용되는 고정가능한 바퀴 부재와 브라케트(1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동을 설정하거나 또는 제동해제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러한 각부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a fixable wheel unit 100 used in a portable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eel 20 installed between both side plates 102 of a bracket 10, And an actuating piece 606 of an automatic lev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10 so as to be protruded so that the actuating piece 606 is pressed downward by using a foot, The brakes can be set or release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bracket 10 and the fixable wheel member used in the portable cart by lifting the brakes upward. Respectively.

먼저 첨부도면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Q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에 사용되는 고정할 수 있는 바퀴 부재(100)과 브라켓트(10)의 예시도로서, 상기 바퀴 부재(100)의 상부에는 바퀴 부재(100)을 운반대차나 카트 등에 장착하기 위해 스탬(30)이 설치되는 데, 스템(30)의 형태는 바퀴 부재(100)의 제품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변형이 가능함은 이미 공지된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xable wheel member 100 and a bracket 10 used in a portable cart having a? Q product storage func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wheel member 100, A stem 30 is provided for mounting the wheel assembly 100 on a carrier or a cart. The shape of the stem 30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roduct specifications of the wheel assembly 100, Since this is tru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도면과 같이, 상기 스템(30)의 하부에는 취보 볼트가 투입되는 스템(30)의 체결공(302) 부분을 벤딩 가공하여 고정판(40)을 일체로 형성하되, 스탬(30)과 고정판(40) 사이에는 브라켓트(10)의 단부가 위치하게 하여 스템(30)과 고정판(40), 브라켓트(10) 사이에 각각 볼베어링을 환상으로 매입 형성함으로써, 일체로 된 스템(30)과 고정판(40)이 동시에 움직이며, 브라켓트(10)만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데, 각 부의 움직임은 볼베어링에 의해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케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fixing plate 40 is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fastening hole 302 of the stem 30 into which the hook bolts are inser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em 30, 40 and the bracket 10 are positioned so that the ball 30 is embedded between the stem 30 and the fixed plate 40 and the bracket 10 to form an annular stem 30 and a fixed plate 40 ) Move simultaneously, and only the bracket 10 moves individually, and the movement of each part enables smooth rotation by the ball bearing.

한편 그 일측에는 양측면에 외향으로 결합돌기(507a)가 형성된 지지편(507)을 형성하여 양측의 결합돌기(507a)가 브라켓트(10)의 양측판(102)에 형성된 설치공(102)에 끼워지도록 압지판(50)을 브라켓트(10) 내부에 설치하게 되는 데, 이 압지판(50)은 전방에 다수의 걸편(501)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40)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부(402)에 끼워짐으로써, 브라켓트(10)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support piece 507 having coupling projections 507a formed on the opposite sides thereof on both sides thereof is formed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s 507a on both sides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s 102 formed in the both side plates 102 of the bracket 10 The clamping plate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pieces 501 at a front side thereof to form a concave and convex portion 40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amping plate 40, The rotation of the bracket 10 can be brak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를 펼쳤을 때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when the portable cart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기능을 가진 휴대용 카트(500)는 4개의 고정가능한 조립식 바퀴부재(100)와, 상기 조립식 바퀴부재(100)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홈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내지 4의 관형의 다리 부재(210, 220,230, 240)와, 상기 다리부재(210, 220, 230, 240)의 상단에 너트부재를 통해서 받침부재와 연결되는 길이방향의 연결부재(270)와, 상기 연결부재(270)와 압입 또는 서레이션(serration) 방식으로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2개의 관형부재(360, 361)와 상기 관형부재(360, 361)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2개의 수직부재(370, 372)를 포함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와 제1, 2브래킷(393, 395)을 통해서 지탱되고 접힘 동작을 통해서 제1 수납함을 형성하는 제1테이블(400)을 포함하되, 상기 2개의 수직부재(370, 372)는, 제1, 2 고정부(294)를 포함하여 상기 제1,2 다리부재(210, 220)를 연결하는 제1 다리연결부재(282)와 나사 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길이부재(292)를 포함하고, 상기 제3,4 다리부재(240)를 연결하는 제2 다리연결부재(284)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길이부재(292)를 포함하며, 상기 제1테이블(400)은 두께가 길이와 폭보다 짧은 직육면체의 형상이되, 중앙부(410)와, 상기 중앙부(410)와 4면에서 제1내지 4의 경첩(432, 434, 436, 438)을 통해서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1 내지 4측면부(412, 414, 416. 418)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 2측면부(412, 41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412)와는 제5 경첩(442)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측면부(414)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12 모서리부(422)와, 상기 제2와 3측면부(414, 416)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부(416)와는 제6경첩(444)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측면부(414)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23모서리부(424)와, 상기 제3과 4측면부(416, 418)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부(416)와는 제7경첩(446)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4측면부(418)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34 모서리부(426); 및 상기 제4와 1측면부(412, 418)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412)와는 제8경첩(448)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4측면부(418)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41 모서리부(428)를 포함하면서 직육면체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portable cart 500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fixed assembled wheel members 100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that are screwed to the assembled wheel member 100 The tubular leg members 210, 220, 230 and 240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nd the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27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eg members 210, 220, 230, Two longitudinal tubular members 360 and 361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270 in a press fitting or serration manner and two vertical members 360 and 361 vertically connected to the tubular members 360 and 361, And a first table (400) which is supported by the receiving member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370, 372) and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393, 395) The two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includ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294, And a plurality of first elongated members 292 connected in a threaded manner to a first leg connecting member 282 connecting legs 210 and 220, And a plurality of second elongated members 292 connected to the second leg connecting member 284 in a threaded manner. The first table 400 has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ose thickness is shorter than the length and width, (412, 414, 416, 418) which are hingedly coupled to the central part (410) through the first to fourth hinges (432, 434, 436, 438) An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412 and 414 and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side portion 412 through a fifth hinge 442. The second side portion 414 And a second hinge 444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ide parts 414 and 416 and the third side part 416. The second hinge 44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arts 416 and 416, A third corner portion 424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414 by a hinge coupling method an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414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third corner portion 424 form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ide surface portions 416 and 418, A fourth corner portion 426 which is coupled to the side portion 416 through a hinge connection method through a seventh hinge 446 and is separated from the fourth side portion 418 while contacting a side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side portion 412 is coupled to the fourth side portion 412 and the fourth side portion 412 by a hinge coupling method through an eighth hinge 448,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n be formed by including the forty-fourth corner portion 428 which is separated while touching.

상기 제1 내지 4다리부재(210, 220, 230, 240)의 중앙 부위에는 길이방향의 홈(260)이 형성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방향의 홈(260)에는 접이식 테이블(300)이 끼워진 상태일 수 있다. 제2 테이블(300)은 접이식 테이블일 수 있다.A longitudinal groove 26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to fourth leg members 210, 220, 230, and 240. As shown in FIG. 3, The folding table 300 may be fitted. The second table 300 may be a foldable table.

이러한 제2 테이블(300)을 삽입하기 위해서 상기 길이방향의 홈(260)의 시작 부분에서는 반경이 큰 원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아래 쪽으로 내려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홈의 형상이 레일 형태로 형성된 상태이어서, 한번 끼워지고 난 후에는 빼기 위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홈(260)의 상측부에 형성된 제1홈을 통과하여야 상기 접이식 테이블(300)을 상기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5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In order to insert the second table 300, a circular groove having a large radius is formed at the beginning of the groove 2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roove having a smaller radius is formed in a rail shape The foldable table 300 can be detached from the portable cart 500 having the storing function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ove 2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의 홈(260)에 삽입되고 난 후에는 상기 다리 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형태의 홈의 말단에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기능을 가진 휴대용 카트(500)를 상기 다리부재(200)의 길이방향의 홈(26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And a hook (not shown) is formed at the end of a vertical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member 200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2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not be easy to separate the portable cart 500 from the longitudinal grooves 260 of the leg member 200.

상기 다리부재(200)의 상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관형부재(360, 361)와 이에 수직하게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된 수직부재(370, 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형부재(360, 361)는 상기 수직 부재(370, 372)보다 길이가 길고, 관형부재(360, 361)의 양끝에는 다리부재(20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재(2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70)는 상기 관형부재(360, 361)와 압입 또는 세레이션(serration)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다리부재(200)와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나사 결합방식은 나사를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다리부재(200)와 연결부재(270)를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너트 부재의 위치에 따라 다리 부재(200)의 길이가 변동될 수 있어서, 길이 변동 기능을 갖출 수 있다.The leg members 200 may include tubular members 360 and 361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formed in a vertically integrated shape. The tubular members 360 and 361 are longer than the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and the connecting members 270 can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tubular members 360 and 361 to be connected to the leg members 200 have. The connecting member 270 may be coupled with the tubular member 360 or 361 in a press-fitting or serration manner and may be coupled with the leg member 200 in a manner that the length thereof can be adjusted by a screw- . The screw coupling may be a shape that passes through the leg member 200 and the connecting member 270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rew. The length of the leg member 200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nut member, so that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length can be provided.

상기 받침부재는 중앙에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서 상기 제1테이블(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테이블(400)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테이블(400)의 중앙부(410)와 제1 내지 4측면부(412, 414, 416, 418)의 힌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펴서 제1 수납함을 형성하였을 때 상기 제1 수납함에는 무거운 물체와 같은 중량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체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받침 부재에 대한 강도 보강이 필요할 수 있다.The receiving member may have a groov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o support the first table 400. The central portion 410 of the first table 400 and the first to fourth side portions 412, 414, 416 and 418 are hinged not only to the first table 400 but also to the first table 400, A heavy object such as a heavy object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receptacle. In order to support the weight of such a weight, strength reinforcement to the support member may be required.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500)는 제1, 2 다리부재(210, 220)를 연결하는 제1 다리연결부재(282)와 제3, 4 다리부재(230, 240)을 연결하는 제2 다리연결부재(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cart 500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g connecting member 282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leg members 210 and 220 and a third leg member 230 , And a second leg connecting member (284) connecting the first leg connecting member (240) and the second leg connecting member (284).

상기 제1, 2 수직부재(370, 372)와 제1, 2 다리연결부재(282, 284)는 길이부재(292)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길이부재(292)는 각각 평행하게 형성된 수직부재(370, 372)와 다리부재(200) 사이에 형성된 다리연결부재(282, 284)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1 테이블(400)에 중량물이 실리더라도 아래 쪽으로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켜 강도 보강을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길이부재(292)는 다리연결부재(282, 284)와 수직부재(370, 372)를 고정부(294)를 통해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and the first and second leg connecting members 282 and 28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length member 292. The length member 292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leg connecting members 282 and 284 formed between the leg members 200 in the diagonal direction, ),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reinforcing the strength by dispersing the force acting downward. The length member 292 may be connected to the leg connecting members 282 and 284 and the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through the fixing portion 294. [

또한, 상기 관형부재(360, 361)들의 측면부로는 구부러진 U자형태의 제1 절곡부재(397)가 관통하고 있어서, 상기 제1 테이블(400)을 펴거나 접었을 때 지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자형태의 제1절곡부재가 관통하기 위해서 제1브래킷(39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370, 372)에는 구부러진 U자형태의 제2 절곡부재(398)가 관통하고 있어서, 상기 제1 테이블(400)을 펴거나 접었을 때 지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2 절곡부재(398)을 지탱하기 위해서, 상기 수직부재(370,372)와 이격된 위치에 제2 브래킷(395)이 형성될 수 있다. A bent U-shaped first bending member 397 penetrates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tubular members 360 and 361 to support the first table 400 when the first table 400 is folded or folded . In this way, the first bracket 393 can be formed so that the U-shaped first bending member passes through. In addition, the bent vertical U-shaped second bending member 398 penetrates through the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to support the first table 400 when the first table 400 is folded or folded. At this time, in order to support the second bending member 398, a second bracket 39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500)에서 접이식 테이블(300)을 다리 부재(200)의 길이방향의 홈(260)에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coupling the folding table 300 to the longitudinal grooves 260 of the leg member 200 in the portable cart 500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접이식 테이블(300)이 삽입부재(미도시)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상기 다리부재(200)의 길이방향의 홈(260)에 상기 제2 테이블(300)의 중앙부분을 접어서 삽입하는 것을 모식적ㅇ로 보여준다.4,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table 300 is folded in the groove 2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member 200 in such a manner that the folding table 300 inserts an insertion member (not shown) It is shown schematically as insertion.

접이식 테이블(300)은 길이방향의 홈(260)을 통해서 삽입되는 접이식 테이블(300)의 삽입부재의 걸이부(도면번호 미부여)가 걸리고 398상기 제2 테이블(300)은 대칭을 이루는 제1, 2분체(300A, 300B)를 포함하되, 상기 제 1,2 분체(300A, 300B)는 하면에 제1, 2 지지판(354)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지지판(354)의 하측에는 제9, 10 경첩(356, 358)이 형성되어서 하측으로 절첩될 수 있고, 상기 길이방향의 홈(260)에 삽입 시에는 상기 제9, 10 경첩(356, 358)을 구부리고 폭을 줄여서 삽입하였다가 상기 길이방향의 홈(260)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턱(미도시)에 삽입 시에는, 상기 제1,2 분체(300A, 300B)를 펼쳐서 길이 방향의 길이를 최대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테이블(300)을 고정화시킬 수 있다.The folding table 300 is hooked on a hook portion (not numbered) of the insertion member of the folding table 300 inserted through the longitudinal groove 260 and the second table 300 has the firs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54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owders 300A and 300B and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54 The ninth and the 10th hinges 356 and 358 are formed and folded downward while the ninth and the 10th hinges 356 and 358 are bent and inserted at a reduced width when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groove 260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oove 2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powders 300A and 300B are unfolded so tha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ximized, (300) can be immobilized.

이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300)은 동일한 형상의 분체(300A, 300B)가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분체(300A, 300B)는 사각형 형상ㅇ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크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해 질 수 있지만 본원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500)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그 최대 폭과 길이가 바퀴가 고정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형의 넓이와 일치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be more specific, the folding tab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air of powders 300A and 300B having the same shape. Each of the powders 300A and 300B is preferably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may vary in size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However, the powder 300A and 300B may be used in a portable cart 500 having a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width and the length thereof are coincident with the width of the rectangle formed by fixing the wheels.

또한 상기 분체(300A, 300B)는 서로 대향하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분체(300A, 300B)를 통하여 설명하면, 중앙선을 기준으로 절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체(300A, 300B)의 접혀지는 하면에는 제1,2 지지판(354)이 형성되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300) 상에 무거운 물체를 놓거나 하였을 때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 지지판(354)의 중앙선 쪽으로는 제9, 10 경첩(356, 36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300)을 완전히 접었다고 가정했을 때 제9 경첩(356)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마주하는 면은 분체(300A, 300B)의 일면이 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판(354)의 각 면일 수 있다.The powders 300A and 300B have the same shape facing each other and can be folded on the basis of a center line as described with one powder 300A and 300B and the folds of the powders 300A and 300B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54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ldable table 300 to support a heavy object on the foldable table 300. The ninth and the 10th hinges 356 and 368 may be formed on the center lin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54. Therefore, when the folding table 300 is completely folded, the facing surface rotated about the axis of the ninth hinge 356 is not one surface of the powders 300A and 300B but may be a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354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의 제1테이블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table of a portable cart having a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 테이블(400)은 중앙부(410)와 상기 중앙부(410)와 둘러싸는 4개의 면이 제1 내지 4경첩(442, 444, 446, 448)을 통해서 힌지 결합되는 제1내지 4측면(412, 414, 416, 418)을 포함할 수 있다.5, the first table 400 includes a central portion 410 and four surfaces surrounded by the central portion 410 are hing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hinges 442, 444, 446, and 448, And may include one to four sides 412, 414, 416, 418.

도 5는 상기 제1테이블(400)을 펼쳐서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룰 때의 도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제1 테이블(400)을 접어서 물건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힌지 결합된 각각의 측면(412, 414, 416, 418)을 접어서 상기 측면부(412, 414, 416, 418)의 높이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able 400 is unfolded to form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t this time, in order to fold the first table 400 and load the objects, it is necessary to fold the hinged side surfaces 412, 414, 416, 418 to match the height of the side portions 412, 414, 416, 418 .

이에 따라 상기 제1, 2 측면부(412, 414) 사이에는 제12 모서리부(42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3측면부(414, 416) 사이에는 제23 모서리부(424)가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상기 제3, 4 측면부(416, 418) 사이에는 제34 모서리부(426)가 형성되고, 상기 제4, 1측면부(418, 412) 사이에는 제41 모서리부(428)가 형성될 수 있다.A twelfth corner portion 422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412 and 414 and a 23rd corner portion 424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ide portions 414 and 416 . A fourth corner portion 426 is form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ide portions 416 and 418 and a fourth corner portion 428 is formed between the fourth and first side portions 418 and 412 .

또한 상기 제1 측면부(412)와 상기 제1, 2 모서리부(422) 사이에는 제5 경첩(452)를 통해서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2 모서리부(422)와 상기 제2 측면부(414)사이는 분리되어 있어서 펼쳐져 있던 제1 테이블(400)을 접어 제1 수납공간을 형성할 때에는, 상기 제1, 2 모서리부(422)가 회전하여 제2측면(414)과 맞닿는 면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제3측면부(416)과 제2측면부(414) 사이에 형성된 제2,3 모서리부(424) 역시 제3 측면부(416)와 제6경첩(444)을 통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1 수납공간의 일측면이 되는 제2측면부(414)와 맞닿는 형상이 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rner portions 422 and 422 are hinged to each other through a fifth hinge 452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412 and the first and second corner portions 422, 414 are separated so that when the first table 400 is folded to form the first storage space, the first and second corner portions 422 rotate to form a surface contacting with the second side surface 414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can be formed inside. The second and third corner portions 424 formed between the third side surface portion 416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414 are also configur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third side surface portion 416 and the sixth hinge 444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414, which is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storage space.

동일한 원리로 제7경첩(446)과 제8경첩(448)도 형성될 수 있다.The seventh hinge 446 and the eighth hinge 448 may be formed on the same principle.

또한 상기 제12모서리부(422)와 제2측면부(414)를 고정시키는 제1 조립식브래킷(461); 상기 제23모서리부(424)와 제2측면부(414)를 고정시키는 제2 조립식브래킷(462); 상기 제34모서리부(426)와 제4측면부(418)를 고정시키는 제3 조립식브래킷(463); 및 상기 제41모서리부(428)와 제4측면부(418)를 고정시키는 제4 조립식브래킷(464)를 포함하여 상기 직육면체의 형상을 지지할 수 있다.A first assembly type bracket 461 for fixing the twelfth corner portion 42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414; A second assembly bracket 462 for fixing the 23rd corner portion 424 and the second side portion 414; A third assembly type bracket 463 for fixing the 34th corner portion 426 and the fourth side portion 418; And a fourth assembly type bracket 464 for fixing the fourth corner portion 428 and the fourth side portion 418 to support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테이블(400)의 내부에는 각종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고 다리부재(200)의 하측에는 고정가능한 바퀴부재(100)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품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카트로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tab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heel member 100 capable of loading various articles and being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g member 20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테이블(300)의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500)에의 삽입 방법은, 이하와 같다. A method of inserting the folding table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hape into the portable cart 500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접이식 테이블(300)을 접어서 상기 다리 부재(200)의 길이 방향의 홈(260)의 상층부에 형성된 제1홈에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이, 길이방향의 홈(260)의 상층부에 끼우게 되면, 자중에 의해 접이식 테이블(300)의 삽입부재(미도시)가 상기 길이방향의 홈(26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하강하여 길이방향의 홈(260)의 말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300)은 펼쳐진 상태가 된다.The folding table 300 is folded and inserted into a first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ove 2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member 200. The insertion member (not shown) of the folding table 300 is lowered along the rails formed in the longitudinal grooves 260 by its own weight to be gu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olding table 300 is in the unfolded state while being caught by the engaging jaw formed at the end of the groove 260 of the folding table 300.

이와 같이 접이식 테이블(300)이 펼쳐지면, 상기 접이식 테이블(300)이 걸림턱에 걸린 상태가 되어 제2 수납공간에 무거운 물체를 실커나 담아 보관할 수 있다. When the folding table 300 is unfolded as described above, the folding table 300 is caught by the latching jaw, so that heavy objects can be stored in the second storing spa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the portable cart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의 조립방법은, (a) 고정가능한 조립식 바퀴부재(100)의 작동편(606)을 눌러 바퀴(20)를 정지시키는 단계(s10)와, (b) 상기 바퀴부재(100)의 상측부의 나사부(70)로 다리부재(210, 220, 230, 240)를 연결하는 단계(s20)와, (c) 상기 바퀴부재(100)와 연결된 다리부재(200)를 연결부재(270)를 통해서 받침부재의 관형부재(360, 361)와 세레이션 또는 압입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s30)와 (d) 상기 받침부재 중 수직부재(370, 372)의 고정부(294)를 통해서 다리부재(200)의 다리연결부재(282, 284)를 연결하는 단계(s40)와 (e) 상기 다리부재(200)와 받침부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관형부재(360, 361)를 2개의 제1브래킷(393) 사이에 끼우고, 상기 수직부재(370, 372)를 상기 수직부재(370, 372)와 이격된 제2브래킷(395)를 통해서 연결하여 상기 제1 테이블(400)을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s50)와, (f) 상기 다리부재(200)의 길이방향의 홈(260)을 통해서 접이식 테이블(300)을 걸림턱에 연결시키는 단계(s60);와, (g) 상기 제1 테이블(400)의 중앙부(410)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 내지 4측면부(412, 414, 416,418)를 돌려 상기 제1 내지 4측면부(412, 414, 416, 418)를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s70); 및 (h) 상기 제1 또는 제3 측면부(412,416)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2 모서리부(422), 제23모서리부(424), 제34 모서리부(426) 및 제41 모서리부(428)를 회전시켜 각각 제2 측면부(414) 또는 제4 측면부(418)와 결합시키고 제1 내지 4 조립브래킷(461, 462,463,464)으로 고정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assembling a portable cart having an article storage function includes the steps of: (a) stopping the wheel 20 by pressing the operating piece 606 of the fixable wheel assembly 100; (b) A step (s20) of connecting the leg members 210, 220, 230 and 240 to the threaded portion 70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assembly 100; and (c) connecting the leg members 200 connected to the wheel member 100 to the connecting members (S30) of serially or press-fitting the tubular members 360 and 361 of the supporting member through the fixing member 270 of the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and (d) A step (s40) of connecting the leg connecting members 282 and 284 of the leg member 200 with the leg members 200 and 284; and (e) And the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through a second bracket 395 spaced from the vertical members 370 and 372, Support (F50) connecting the folding table (300) to the engaging jaw through the groove (2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g member (200); (g) 414, 416, 418 vertically by turning the first to fourth side portions 412, 414, 416, 418 hinged to the central portion 410 of the table 400 (Step s70 ); (H) a twelfth corner portion 422, a 23rd corner portion 424, a 34th corner portion 426 and a 41st corner portion 428 hinged to the first or third side portions 412 and 416, (S80) by rotating the second side portions 414 or the fourth side portions 418 and fixing them with the first to fourth assembly brackets 461, 462, 463, 464, respectively.

이상과 같이 바퀴(20)와 다리부재(200)를 연결하고, 상기 바퀴(20)가 부착된 다리부재(200)를 통해서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500)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자동차 등을 통한 운반시에는 제1테이블(400)과 결합되어 있는 받침부재만을 분리하고 각 다리부재(210, 220, 230, 240)를 연결부재(270)를 통해서 접고 난 후 최종적으로 다리부재(200)가 접힌 받침부재를 분리한 후 자동차의 트렁크 등을 통한 운반으로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heels 20 and the leg members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mobility of the portable cart 500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can be imparted through the leg member 200 with the wheels 20 attached thereto, Finally, when transporting the vehicle through an automobile or the like, only the support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table 400 is separated, and the respective leg members 210, 220, 230, and 240 are fold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270, After the member 200 is separated from the folded support member, the member 200 can be freely moved by the transportation through the trunk of the vehicle or the like.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를 물품 수납공간을 갖도록 변형한 상태를 아래쪽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cart having the article storage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to have an article storage space as seen from below and from above.

도 6, 7을 참조하면, 제12 모서리부(422), 제23 모서리부(424), 제34 모서리부(426) 및 제41모서리부(428)는 각각 제2측면부(414), 또는 제4측면부(418)에 결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수납공간에는 필요한 물건들을 손쉽게 담을 수 있다.6 and 7, the twelfth corner portion 422, the 23rd corner portion 424, the 34th corner portion 426, and the 41st corner portion 428 are formed by the second side portions 414, 4 side portions 418,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necessary items in the first storage space thus form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브라켓트 20: 바퀴
100: 조립식 바퀴부재 102: 양측판
200: 다리 부재 210: 제1 다리
220: 제2 다리 230: 제3 다리
240: 제4 다리
260: 길이방향의 홈 360: 제1관형부재
361: 제2관형부재 370: 제1수직부재
372: 제2 수직부재 393: 제1 브래킷
395: 제2브래킷 300: 접이식 테이블
400: 제1 테이블
10: Bracket 20: Wheel
100: a prefabricated wheel member 102:
200: leg member 210: first leg
220: second leg 230: third leg
240: Fourth leg
260: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60: first tubular member
361: second tubular member 370: first vertical member
372: second vertical member 393: first bracket
395: second bracket 300: folding table
400: first table

Claims (2)

4개의 고정가능한 조립식 바퀴부재;
상기 조립식 바퀴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홈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내지 4의 다리 부재;
상기 4개의 다리부재의 상단에 너트부재를 통해서 받침부재와 연결되는 다리 부재에 대한 길이방향의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압입 또는 서레이션 방식으로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2개의 관형부재와 상기 관형부재와 수직으로 관통되는 2개의 수직부재를 포함하여 일체화된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 중 관형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앙에 형성된 홈을 통해서 밀착 결합된 제1 브래킷을 관통하는 구부러진 U 자 형태의 제1절곡부재를 통해서 지지되고,
수직부재는 이격된 제2 브래킷을 관통하는 구부러진 U자 형태의 제2절곡부재를 통해서 지지되고, 접힘 동작을 통해서 제1 수납함을 형성하는 제1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2개의 수직부재는, 제1, 2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2 다리부재 사이에 형성된 제1 다리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1 길이부재와 나사 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4 다리부재를 연결하는 제2 다리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2 길이부재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테이블은 두께가 길이와 폭보다 짧은 직육면체의 형상이되,
중앙부;
상기 중앙부와 4면에서 제1내지 4의 경첩을 통해서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제1 내지 4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과 2측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와는 제5 경첩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측면부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12 모서리부;
상기 제2와 3측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부와는 제6경첩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측면부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23모서리부;
상기 제3과 4측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부와는 제7경첩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4측면부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34 모서리부; 및
상기 제4와 1측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와는 제8경첩을 통해서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4측면부와는 측면이 닿으면서 분리되는 제41 모서리부를 포함하면서 직육면체의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12모서리부와 제2측면부를 고정시키는 제1 조립식브래킷;
상기 제23모서리부와 제2측면부를 고정시키는 제2 조립식브래킷;
상기 제34모서리부와 제4측면부를 고정시키는 제3 조립식브래킷; 및
상기 제41모서리부와 제4측면부를 고정시키는 제4 조립식브래킷을 포함하여 상기 직육면체의 형상을 지지하고,
상기 길이 방향의 홈은 상측에 직경이 큰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의 하측으로 연속하는 수직 방향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방향의 홈의 안쪽으로는 상기 수직방향의 홈과 수평되는 방향으로 수평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폄홍의 말미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 홈을 통해서 삽입되는 접이식 테이블의 삽입부재의 걸이부가 걸리고,
상기 접이식 테이블은 대칭을 이루는 제1, 2분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2 분체는 하면에 제1, 2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지지판의 하측에는 제9, 10 경첩이 형성되어서 하측으로 절첩될 수 있고, 상기 제1홈에 삽입시에는 상기 제9, 10 경첩을 구부려서 폭을 줄여서 삽입하였다가 상기 길이방향의 홈의 하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삽입시에는,
상기 제1,2 분체를 펼쳐서 길이 방향의 길이를 최대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테이블을 고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
Four fixable wheel assemblies;
First to fourth leg members each including a longitudinal groove that is screwed to the prefabricated wheel member;
A longitudinal connecting member to a leg member connected to a receiving member through a nut member at an upper end of the four leg members;
An integrated support member including two longitudinal tubular members coupled with the connection member in a press-fit or a serration manner, and two vertical members vertically penetrating the tubular member; And
Wherein the tubular member is supported through a first U-shaped bend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bracket tightly coupled through the groove formed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vertical member supported by a second bent member of a bent U-shape passing through the spaced apart second bracket and forming a first receptacle through a folding action,
The two vertical members include a first supporting member including a first and a second fixing portion and connected with a first longitudinal member for connecting a first leg connecting memb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eg members, And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leg member connecting the third leg member and the second leg member in a threaded manner,
Wherein the first table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thickness shorter than a length and a width,
Central part;
And first to fourth side parts joined to the central part in a hinged manner through first to fourth hinges on four sides, the first to fourth side parts being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arts, And a second corner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face part by a hinge connection method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side face part by a side contact;
A third corner part form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ide parts and coupled to the third side part through a sixth hinge in a hinged manner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side part while contacting the side surface;
A fourth corner portion form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ide portions and coupled to the third side portion through a seventh hinge in a hinged manner and separated from the fourth side portion while contacting the side surface; And
And a fourth corner portion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ourth and one side portions and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portion through a hinge connection method through an eighth hinge and is separated from the fourth side portion while contacting the side surface, Lt; / RTI >
A first assembled bracket fixing the twelfth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A second assembly type bracket fixing the 23rd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A third assembly type bracket fixing the fourth corner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And
And a fourth assembly bracket for fixing the fourth corner portion and the fourth side portion to support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erein the longitudinal grooves are formed with a first groove having a larger diameter on the upper side and a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ntinu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roove is formed, A horizontal groove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atching jaw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eceiving port,
The hook of the insertion member of the folding table inserted through the first groove is engaged,
Wherein the folding table comprises symmetrical first and second powder,
The first and second powder coating members may hav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ninth and a hinge may be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to be folded downward. When the ninth and tenth hinges are bent and inserted in a reduced width and then inserted into the engaging jaw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table is fixed by spreading the first and second powder so tha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ximized.
(a) 고정가능한 조립식 바퀴부재(100)의 작동편을 눌러 바퀴를 정지시키는 단계(s10);
(b) 상기 바퀴부재의 상측부의 나사부를 다리부재(210, 220, 230, 240)를 연결하는 단계(s20);
(c) 상기 바퀴부재와 연결된 다리부재를 연결부재를 통해서 받침부재의 관형부재와 세레이션 또는 압입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s30);
(d) 상기 받침부재 중 수직부재의 고정부를 통해서 다리 연결부재와 길이부재를 연결하는 단계(s40);
(e) 상기 다리부재와 받침부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관형부재를 2개의 제1브래킷을 통해서 제1 테이블의 하면과 연결하고, 상기 수직부재를 제2브래킷을 통해서 제1테이블의 하면과 연결시키는 단계(s50);
(f) 상기 다리부재의 길이방향의 홈을 통해서 접이식 테이블을 걸림턱에 연결시키는 단계(s60);
(g) 상기 제1 테이블의 중앙부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 내지 4측면부를 돌려 상기 제1 내지 4측면부를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s70); 및
(h) 상기 제1 또는 제3 측면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2 모서리부, 제23모서리부, 제34 모서리부 및 제41 모서리부를 회전시켜 각각 제2 측면부 또는 제4 측면부와 결합시키고 제1 내지 4 조립브래킷으로 고정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보관 기능을 갖는 휴대용 카트의 조립방법.

(a) stopping the wheel by pressing the operating piece of the fixable wheel assembly 100 (s10);
(b) connecting the leg portions (210, 220, 230, 240)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member (s20);
(c) connecting a leg member connected to the wheel member to the tubular member of the supporting member through a connecting member by serration or indentation (s30);
(d) connecting the leg connecting member and the longitudinal member through the fixing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among the supporting members (s40);
(e) connecting the tubular memb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able through the two first brackets in a state where the leg member and the receiving member are connected, and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able through the second bracket (S50);
(f) connecting the folding table to the engaging jaw through the longitudinal groove of the leg member (s60);
(g) turning the first to fourth side portions hing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table to vertically set the first to fourth side portions (s70); And
(h) a twelfth corner portion, a twenty-third corner portion, a thirty-fourth corner portion, and a thirty-first corner portion which are hinged to the first or third side surface portion are rotated to couple with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or the fourth side surface portion, 4. The method of assembling a portable cart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s80) of securing with an assembly bracket.

KR1020170060075A 2017-05-15 2017-05-15 Portable cart having goods storage utility and assemblying method of the same KR1018457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075A KR101845726B1 (en) 2017-05-15 2017-05-15 Portable cart having goods storage utility and assembly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075A KR101845726B1 (en) 2017-05-15 2017-05-15 Portable cart having goods storage utility and assembly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726B1 true KR101845726B1 (en) 2018-05-18

Family

ID=6245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075A KR101845726B1 (en) 2017-05-15 2017-05-15 Portable cart having goods storage utility and assembly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7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108B1 (en) 2019-11-01 2020-09-07 최경애 Folding type moving cart
KR20220033101A (en) * 2020-09-09 2022-03-16 장성훈 Book Ca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6737A (en) 2003-12-25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riable capacity type transporting cart
JP3823067B2 (en) 2002-05-22 2006-09-20 中日産業株式会社 Carry ca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3067B2 (en) 2002-05-22 2006-09-20 中日産業株式会社 Carry cart
JP2005186737A (en) 2003-12-25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riable capacity type transporting car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108B1 (en) 2019-11-01 2020-09-07 최경애 Folding type moving cart
KR20220033101A (en) * 2020-09-09 2022-03-16 장성훈 Book Cart
KR102385487B1 (en) * 2020-09-09 2022-04-12 장성훈 Book C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1076B1 (en) Self-contained dolly assembly
US10806246B1 (en) Retainers and foldable table having same
EP2661990B1 (en) Vertically-elevating sliding foldable frame
US6443481B1 (en) Collapsible movable cart
US20070101910A1 (en) Table and bench set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US9220338B2 (en) Foldable table mechanism
KR101845726B1 (en) Portable cart having goods storage utility and assemblying method of the same
US5036777A (en) Portable folding ironing board
KR20080003634U (en) Folding structure of the folding table
CA2363989C (en) Collapsible cart with shelf
JP7212178B2 (en) foldable four wheel hand cart
KR102153108B1 (en) Folding type moving cart
US20100224107A1 (en) Table having folding legs
CN216293323U (en) Telescopic folding table
KR20110008104U (en) apparatus prevent free fall of leg drop for fumiture
KR101451976B1 (en) Cart for multi-purpose with folding type
US20040255829A1 (en) Portable folding table
US6986722B2 (en) Compact collapsible tennis table
KR102371405B1 (en) Folding boxed cart
KR101161855B1 (en) Folding type shopping cart
US20050127721A1 (en) Foldable seat
KR20160003566U (en) Camping table
US20230270217A1 (en) Carrier also usable as wagon
KR200497581Y1 (en) Foldable Box Type Outdoor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