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342B1 -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342B1
KR101845342B1 KR1020160149328A KR20160149328A KR101845342B1 KR 101845342 B1 KR101845342 B1 KR 101845342B1 KR 1020160149328 A KR1020160149328 A KR 1020160149328A KR 20160149328 A KR20160149328 A KR 20160149328A KR 101845342 B1 KR101845342 B1 KR 10184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tory
hearing
level
sound
p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진
서영대
Original Assignee
(주)로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임시스템 filed Critical (주)로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4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04R25/305Self-monitoring or self-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transl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는 외부 소리를 출력 이득에 따라 증폭하여 리시버로 출력하는 보청기에 대해서 청각사의 도움 없이도 보청기 착용자가 스스로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하여 주파수별 및 입력소리크기별 출력 이득을 조절하는 한편, 주파수대역별 청취 명료도에 따라 출력 이득을 세밀하게 조절하며, 출력 이득을 얻기 위해 착용자의 청감 특성을 얻는 과정에서 뇌파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한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단계의 청감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S10), 각 청감 레벨의 소리크기를 순음별로 얻는 단계(S20), 소리크기와 청감 사이의 상관 그래프인 청취 커브를 획득하는 단계(S30), 청취 커브를 청각 정상인의 청취 커브로 보정하기 위한 보정 커브를 획득하는 단계(S40), 주파수밴드별 청취 명료도에 따라 순음별 보정 커브를 미세 조절하는 단계(S50) 및 보정 커브에 따라 보청기의 출력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S60)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HEARING AID FITTING METHOD WITH INTELLIGENT ADJUSTING AUDIO BAND}
본 발명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는 외부 소리를 출력 이득에 따라 증폭하여 리시버로 출력하는 보청기에 대해서 청각사의 도움 없이도 보청기 착용자가 스스로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하여 주파수별 및 입력소리크기별 출력 이득을 조절하는 한편, 주파수대역별 청취 명료도에 따라 출력 이득을 세밀하게 조절하며, 출력 이득을 얻기 위해 착용자의 청감 특성을 얻는 과정에서 뇌파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한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는 외부 소리를 마이크(11)를 통해 입력하고, 미리 설정한 출력 이득에 따라 신호처리부(12)로 증폭한 후, 리시버(13)로 출력시켜 청각 장애인 또는 난청인도 외부 소리를 명료하게 청음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착용자의 청음력을 테스트하여 주파수별 출력 이득을 조절하는 피팅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피팅 작업은 공개특허 제10-2009-0065749호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주파수 밴드별 기준음을 청음하게 하여 출력 이득을 얻는 방식으로 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518877호에서는 피팅 수단을 구비한 보청기가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기준음이 들리는 순간의 기준음 크기에 따라 출력 이득을 얻는 방식으로서, 각 주파수의 기준음에 대한 청음 여부만 검출한다.
그렇지만, 청각 장애인 또는 난청인의 청취 소리의 크기에 대한 청감도의 변동이 청각 정상인에 비해 선형성에서 크게 벗어나며, 주파수별로도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소리 크기에 따라 잘 들리기도 하고 잘 안들리기도 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주파수별로 출력 이득을 얻더라도 단어 또는 문장 등의 말소리를 보청기를 통해 들려줬을 시에 주파수밴드별 청취 명료도의 편차가 미세하게 발생하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또한, 주파수별 편차가 심한 청감 특성에 따라 정밀 피팅하려면, 피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길어지고, 오차도 많아지게 된다.
KR 10-2009-0065749 A 2009.05.23. KR 10-1518877 B1 2015.05.04.
따라서, 본 발명은 청각사 없이 보청기 착용자가 혼자서도 세밀하게 나눈 주파수별 및 입력소리크기별로 출력 이득을 피팅할 수 있게 하고, 피팅 시간을 단축하면서 오차도 줄이며, 주파수밴드별 청취 명료도의 편차를 미세 조절하여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피팅이 가능한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소리를 마이크(11)를 통해 입력하고, 미리 설정한 출력 이득에 따라 신호처리부(12)로 증폭한 후, 리시버(13)로 출력시켜 착용자가 청음할 수 있게 한 보청기(10)에 대해, 테스트음을 리시버(13)로 출력되게 하는 피팅 설정부(14)와, 보청기 착용자가 누르게 할 버튼과, 테스트음에 대한 착용자의 청감에 따라 상기 출력 이득을 획득하는 프로세서(21)에 의해 신호처리부(12)의 출력 이득을 설정하는 보청기 피팅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21)에서, 복수 단계의 청감 레벨을 설정하는 청감 레벨 설정 단계(S10); 피팅 설정부(14)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각 순음(pure tone)을 테스트음으로 하여 볼륨 가변하며 출력할 시에, 상기 프로세서(21)에서 청감 레벨별 음을 청음한 착용자가 버튼을 누른 시점의 테스트음 소리크기를 얻는 과정을 반복하여 각 순음별로 청감 레벨별 테스트음의 소리크기를 획득하는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 프로세서(21)에서, 테스트음 소리크기와 청감 사이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인 청취 커브(L)를 순음별로 획득하는 청취 커브 획득 단계(S30); 프로세서(21)에서, 청취 커브(L)를 청각 정상인의 청취 커브(S)로 보정하기 위한 소리크기별 출력 이득을 나타내는 그래프인 보정 커브(C)를 순음별로 획득하는 보정 커브 획득 단계(S40); 피팅 설정부(14)에서, 순음별 보정 커브에 의한 출력 이득을 신호처리부(12)에서 사용되게 설정하는 설정 단계(S6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첫번째 출력할 순음을 볼륨 가변하며 출력하는 중 청감 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를 획득할 시에 착용자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청감 레벨별로 획득한 이후, 나머지 순음에 대한 청감 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를 버튼 누름 없이 뇌파의 특징에 근거하여 획득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첫번째 순음을 대신하여 광대역 테스트음 또는 화이트 노이즈를 볼륨 조절하며 출력하는 중에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획득한 후, 각 순음에 대한 청감 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를 뇌파의 특징에 근거하여 획득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두어, 이후 보청기 피팅을 반복할 시에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획득하지 아니하고 저장하여 둔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순음별 및 청감 레벨별 테스트음 소리크기를 저장하여 두되, 이전 저장한 값이 있는 경우 미리 정한 망각인자(forgetting factor)를 적용하여 이전 저장한 값과 현재 획득한 값의 가중평균을 얻어 이전 저장한 값을 대체하고 상기 청취 커브 획득 단계(S30)에서 사용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각 순음을 대신하여 각 순음을 중심으로 소정 대역폭을 갖는 주파수밴드의 음을 테스트음으로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각 순음에 대해 소리를 점차 키우거나 아니면 점차 낮추는 방식으로 볼륨 조절하며 출력하고, 청감 레벨별 테스트음의 소리크기를 청취할 때마다 누를 버튼을 1개만 마련하여서, 순차적으로 얻는 청감 레벨 도달 시점의 소리크기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에서, 광대역 테스트음의 주파수밴드별 출력에 대한 착용자의 상대적 청감을 버튼으로 선택받아 순음별 보정 커브(C)의 상대적 레벨을 조절하여, 상대적 레벨을 조절한 순음별 재보정 커브(C')에 따라 상기 설정 단계(S60)를 수행하게 하는 튜닝 단계(S50); 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튜닝 단계(S50)에서, 광대역 테스트음은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말소리이고, 착용자의 상대적 청감은 주파수밴드별 말소리의 상대적 명료도로 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튜닝 단계(S50)는 명료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쪽에서 명료도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쪽으로 갈수록 보정커브(C)의 미세 조절비율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튜닝 단계(S50)는 주파수밴드별 명료도에 대해 착용자가 버튼 입력으로 순위를 매기게 하여, 순위에 따라 주파수밴드별 보정 커브의 상대적 레벨을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청각사의 도움 없이도 착용자 혼자서 자신의 청감으로 들리는 순단 누르는 버튼 조작으로 피팅할 수 있고, 미리 설정한 다단 청감 레벨의 소리크기를 각 주파수 순음에 대해 얻어 소리크기에 대해 선형적 청감을 얻게 피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감 레벨별로 나타나는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이용하여 청감 특성을 얻으므로, 보다 세밀하게 나눈 주파수별 및 청감 레벨별 청취 특성을 얻어 정밀한 피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광대역 테스트음(또는 말소리)의 주파수밴드별 소리에 대한 명료도에 따라 출력 이득을 미세 조절하여 주파수밴드별 편차도 세미하게 조절하므로, 청각 장애인 또는 난청인의 청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며 피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을 위한 보청기 피팅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순서도 중에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의 상세 순서도.
도 5는 도 3의 순서도 중에 튜닝 단계(S50)의 상세 순서도.
도 6은 사용자인터페이스(27)의 화면(a), 정상인의 청취 커브(b) 및 난청인 또는 청각 장애인의 청취 커브(c)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난청인 또는 청각 장애인으로부터 얻은 주파수 순음별 청취 커브(a) 및 각 청감레벨별 감도 커브(b)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청취 커브(a)에 보정 커브(b)를 적용하여 정상인의 청취 커브(b)를 얻을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튜닝 단계(S50)에서의 사용자인터페이스(27) 화면(a), 보정 커브(C)의 미세 조절 전후 그래프(b) 및 저주파를 강화하는 경우와 고주파를 강화하는 경우의 각각에 대해 주파수별 보정 커브(C)의 조절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c).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을 위한 보청기 피팅 시스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의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 상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의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의 상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을 위한 시스템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청기(10)는 마이크(11), 신호처리부(12) 및 리시버(13)를 구비한 일반적인 보청기에 피팅 설정부(14) 및 무선 통신부(15)를 추가 장착하여서, 예를 들어 스파트폰 또는 PC로 구성할 수 있는 피팅용 단말(20)과 협동하여 보청기 피팅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보청기 착용자는 청각사의 도움없이 혼자서도 피티용 단말(2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며 보청기 피팅을 할 수 있다.
먼저, 일반적인 구성요소인 마이크(11), 신호처리부(12) 및 리시버(13)에 대해 살펴본다.
마이크(11)는 외부 소리를 집음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12)는 마이크(11)로 집음하여 전기적 신호로 입력받는 외부 소리를 주파수 대역별로 미리 설정한 출력 이득에 따라 증폭한 후 리시버(13)로 출력한다.
리시버(13)는 예를 들어 고막을 향하게 귀에 삽입하는 스피커로 구성할 수 있고,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소리를 증폭하여 보청기(10)의 착용자가 청음할 수 있게 한다.
청각 장애인 또는 난청인의 청각은 가청주파수 대역의 모든 주파수에 대해 선형적인 청음력을 갖고 있지 아니하고, 청력의 손실 정도에 따라 주파수별 청음력 차이도 있다.
이에, 주파수 대역별로 청력 테스트를 하여 주파수 대역별 청감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에 따라 주파수 대역별 출력 이득을 산정하여 신호처리부(12)에 설정 사용하게 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주파수 순음(pure tone) 별로 음향 인지되는 입력소리 크기(들리기 시작하는 입력소리크기)를 측정하고, 그 입력소리 크기에 따라 출력 이득을 산정하는 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렇지만, 청각 장애인 또는 난청인의 청각은 입력소리 크기에 비례하는 선형적인 청감을 얻지 못하는 경향이 있고, 입력소리 크기에 대한 청감의 비선형성이 주파수 순음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도 보인다.
여기서, 선형성의 의미는 청각 정상인의 청감 특성을 의미하며, 실제로는 물리적 소리크기에 대한 청감의 정도(또는 loudness)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고, 청각 정상인이라도 개인별로 다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주파수 순음별 입력소리 크기와 청감의 상관성을 획득하여 입력소리 크기에 대해 선형적 청감을 얻게 한다.
본 발명은 추가된 기능에 의하면 단어 또는 문장을 예로 들 수 있는 말소리의 주파수 대역별 청취 명료도의 차이에 따라 미세 조정함으로써 보청기를 착용하여 사용할 시에도 말소리를 명료하게 들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추가된 기능에 의하면 청력 테스트를 수행할 시에 순음 간의 주파수 차이를 매우 좁게 나누고 청감 레벨 간의 간격도 매우 좁게 나누더라도 보청기 착용자가 일일이 청감을 결정하지 아니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보청기(10)에 장착한 피팅 설정부(14) 및 무선통신부(15)와, 피팅용 단말(20)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5)는 상기 피팅용 단말(20)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구성요소이며, 피팅용 단말(20)과의 전기 통신적 연결을 위한 구성요소라는 점에서 유선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팅 설정부(14)는 상기 무선통신부(15)를 통해 연결된 피팅용 단말(20)과 협동하여 신호처리부(12)의 출력 이득을 설정하며, 구체적으로는 테스트음을 리시버(13)로 출력되게 하는 기능 및 피팅용 단말(20)에서 획득한 출력 이득을 신호처리부(12)에서 사용할 있게 설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테스트음은 서로 다른 주파수의 순음과, 복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광대역 테스트음과, 광대역 테스트음의 주파수밴드별 음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주파수 순음을 대신하여 각 순음을 중심으로 소정 대역폭을 갖는 주파수밴드의 음을 테스트음으로 하여도 좋다.
광대역 테스트음은 예를 들어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말소리하여 말소리의 변별력을 주파수 대역별로 정하는 데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피팅 설정부(14)는 피팅용 단말(20)에서 지시하는 주파수의 순음을 테스트음으로 하여 신호처리부(12)에 의해 리시버(13)로 출력되게 하되, 시간 경과에 따라 볼륨을 가변하며 출력하고, 피팅용 단말(20)에서 광대역 테스트음의 출력을 지시하면 광대역 테스트음을 대역별 필터로 필터링하여 얻는 주파수밴드별 소리로 순차 출력되게 한다. 여기서, 볼륨 가변은 소리를 점차 키우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피팅용 단말(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26),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사용자인터페이스(27),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21)를 구비한 스마트폰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서(21)에서 실행시킬 어플리케이션은 복수 단계의 청감 레벨을 설정하는 레벨 설정부(22), 서로 다른 주파수의 순음을 테스트음으로 지정하여 순서에 따라 각 순음을 소리크기를 조절하며 출력하도록 피팅 설정부(14)에 지시한 이후 사용자인터페이스(27)를 통해 입력받는 착용자의 청감에 따라 청감 레벨별 테스트음의 소리크기를 획득하고, 소리크기와 청감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인 청취 커브를 각 순음별로 획득하는 청감 획득부(23), 획득한 청취 커브를 청각 정상인의 청취 커브와의 차이만큼 보정하기 위한 소리크기별 출력 이득을 나타내는 그래프인 보정 커브를 각 순음별로 획득하는 이득 획득부(24), 및 광대역 테스트음(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말소리)의 주파수밴드별 출력을 피팅 설정부(14)에 지시한 이후 사용자인터페이스(27)를 통해 입력되는 주파스밴드별 착용자의 청감(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명료도)에 근거하여 각 순음별 보정 커브의 상대적 레벨을 조절하고 조절한 순음별 보정 커브를 피팅 설정부(14)에 전달하여 신호처리부(12)에서 사용할 출력 이득으로 설정하게 하는 튜닝부(25)를 프로세서(21)에 기능 블록으로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서, 상기 레벨 설정부(22)의 청감 레벨은 예를 들어 "들리기 시작하는 레벨", "듣기에 적당한 크기의 레벨", "듣기에 불편한 정도의 레벨" 등으로 할 수 있고, 사전에 지정한 기본 레벨로 하거나 또는 착용자가 각 레벨을 지정하게 하여도 좋다.
물론, 테스트음으로 사용한 각 순음의 주파수 및 광대역 테스트음에 대한 각 출력 주파수밴드는 피팅 설정부(14)와 프로세서(21) 사이에 사전 약속되어 있어야 하고, 보청기 착용자가 상기 레벨 설정부(22)의 청감 레벨로 소리를 청취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27)로 알리는 순간에 그 소리크기는 보청기(10)에서 알려오거나 또는 점차 소리크기를 키우는 볼륨 조절 방식을 사전에 약속하여서, 청감 레벨별 소리크기를 알 수 있어야 한다.
이하, 프로세서(21)가 레벨 설정부(22), 청감 획득부(23) 및 이득 획득부(24) 및 튜팅부(25)를 순차 동작시키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상기 피팅 설정부(14)와 협동하며 동작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전체 순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청기 피팅 방법은 청감 레벨 설정 단계(S10),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 청취 커브 획득 단계(S30), 보정 커브 획득 단계(S40), 튜닝 단계(S50) 및 설정 단계(S60)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청감 레벨 설정 단계(S10)는 프로세서(21)에서 복수 단계의 청감 레벨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들리기 시작하는 레벨" 인 청감 레벨0, "듣기에 적당한 크기의 레벨"인 청감 레벨1, 및 "듣기에 불편한 정도의 레벨" 인 청감 레벨2의 3단계로 할 수 있으나 레벨을 이보다 더 세분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감 레벨0와 청감 레벨1 사이에 "조용하게 들을 수 있는 레벨"을 두고, 다른 예로서, 청감 레벨1과 청감레벨2 사이에 음악을 크게 트는 것처럼 "큰 소리로 들을 수 있는 레벨"을 둘 수 있다.
이러한 복수 단계의 청감 레벨은 보청기(10) 착용자가 선택하거나 아니면 사전에 미리 지정하여 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설정한 각각의 청감 레벨로 착용자 귀에 들리는 소리크기(즉 리시버로 출력되는 소리크기)를 서로 다른 주파수의 순음별로 획득하는 단계로서, 프로세서(21)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각 순음(pure tone)을 테스트음으로 하여 볼륨 가변하며 출력하도록 피팅 설정부(14)에 지시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볼륨 가변되는 각 순음을 착용자가 청취할 수 있게 하는 동안, 착용자의 청감에 따라 상기 청감 레벨로 들리는 테스트음의 소리크기를 각 청감 레벨의 단계별로 또한 각 순음별로 획득한다.
도 4에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에 따르면,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서로 다른 주파수 순음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순음 출력동작을 반복 수행하되(S21, S24, S25), 각각의 주파수 순음을 출력할 시에는 점차 볼륨을 키우게 하고(S22), 점차 볼륨이 커짐에 따라 각 단계의 청감 레벨에 도달할 시의 소리크기를 획득한다(S23).
도 6(a)에 도시한 사용자인터페이스(27)의 화면을 참조하며 설명하자면, 서로 다른 주파수 순음(1)을 미리 정한 순서에 따라 화면에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선택하게 하고, 보청기 착용자가 누를 수 있는 청감 레벨별 버튼(2)을 사용자인터페이스(27)에 구현한 상태에서, 각각의 순음에 대해 점차 볼륨을 키우며 출력되게 하는 중에, 착용자가 자신의 청감에 따라 해당되는 청감 레벨의 소리를 듣는 순간 대응되는 버튼(2)을 누르게 한다. 이와 같이 버튼(2)이 눌린 시점에 출력된 순음의 소리크기를 획득하는 과정을 각 단계의 청감레벨마다 반복 수행함으로써, 각 순음에 대해서 청감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한 순음별 및 청감레벨별 테스트음 소리크기에 대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여 두어서, 이후 보청기 피팅을 다시 할 시에는 미리 정한 망각인자(forgetting factor)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이전 저장한 값과 현재 획득한 값에 적용하여 가중평균 값을 얻고, 이때 얻은 가중평균 값을 저장하여 이전 저장된 값을 대체하는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다음 단계인 청취 커브 획득 단계(S30)에서 사용되게 넘겨준다(S26).
청력은 매일 5~10db 정도 변할 수 있으나, 청각 정상인은 이러한 청력 변화를 체감적으로 크게 느끼지 아니한다.
그렇지만, 청각 장애인 또는 난청인은 매일 아침 청력의 변화를 체감적으로 크게 느끼게 되어서, 매일 아침 보청기 피팅을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매일 아침 보청기 피팅을 하면 획득하는 순음별 및 청감레벨별 테스트음 소리크기의 일별 편차도 크게 발생하므로, 이러한 일별 편차에 따른 급격한 변화를 줄여주는 것이 좋다.
이에, 순음별 및 청감레벨별 테스트음 소리크기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하면, 획득한 데이터를 최초 저장하고, 이후 보청기 피팅을 할 시에는 이전 저장한 순음별 및 청감레벨별 테스트음 소리크기가 있으므로, 아래의 수학식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전 저장한 값과 현재 획득한 값의 가중평균을 얻어 사용한다.
Figure 112016109873492-pat00001
수학식 1에서, 인덱스 n은 주파수 순음의 순번이고, 인덱스 l은 청감레벨의 순번이다. 그리고,
Figure 112016109873492-pat00002
은 n 주파수 순음 및 l 청감레벨 테스트음 소리크기의 이전 저장값이고,
Figure 112016109873492-pat00003
은 n 주파수 순음 및 l 청감레벨 테스트음 소리크기의 현재 획득한 값이고,
Figure 112016109873492-pat00004
은 망각인자 β에 따라 가중하여 얻는 n 주파수 순음 및 l 청감레벨 테스트음 소리크기의 가중평균 값이다.
상기 청취 커브 획득 단계(S30)는 프로세서(21)에서 획득한 청감 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에 근거하여 소리크기와 청감 사이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인 청취 커브(L, S)를 순음별로 획득한다.
이때 획득하는 청취 커브(L, S)는 도 6(b, c)에 도시한 청각 정상인 청취 커브(S)와 청각 장애인(또는 난청인) 청취 커브(L)에서 볼 수 있듯이 차이가 난다. 청각 정상인 청취 커브(S)는 고막으로 입력되는 소리 크기의 증가에 따라 체감하는 청감 레벨도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그래프로 나타나지만, 청각 장애인 청취 커브(L)는 선형적인 그래프로 나타나지 않는다. 즉, 청각 정상인과 청각 장애인은 동일 청감레벨로 들리는 소리 크기가 다르게 된다.
물론, 청감은 주관적으로 판단되는 것이어서 청각 정상인 사이에도 편차가 있고, 각 순음에 대해 정확하게 비례하는 그래프로 얻어지지 아니하고, 주파수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지만, 청각 장애인의 그래프와 비교하면 선형성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벗어나게 된다.
즉, 도 7(a)에 도시한 주파수별 청각 장애인 청취 커브(L-1, L-2, L-3)를 살펴보면, 주파수에 따라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계의 청감 레벨에 대해 획득하는 입력 소리크기도 주파수별 편차가 심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청각 장애인의 청취 커브(L : L-1, L-2, L-3)는 서로 다른 주파수 순음별로 각각 얻는 것이다.
한편, 각 순음별 청각 장애인의 청취 커브(L : L-1, L-2, L-3)는 미리 정한 청감 레벨별로 얻는 입력 소리크기에 근거하여 얻으므로, 청감 레벨 간의 각 구간을 보간법으로 추정하거나 또는 선형적으로 잇되 청감 레벨 근처를 부드러운 곡선으로 추정하는 등의 방식을 채용한다. 물론, 청감 레벨을 세분화할수록 착용자의 청력에 근접한 청취 커브를 얻을 것이다.
상기 보정 커브 획득 단계(S40)는 청취 커브(L)를 청각 정상인의 청취 커브(S)로 보정하기 위한 소리크기별 출력 이득(증폭도)을 나타내는 그래프인 보정 커브(C)를 순음별로 획득한다.
즉, 보정 커브(C)는 마이크(11)로 집음되는 입력소리크기와 리시버(13)로 출력시킬 출력소리크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각 입력소리크기별 출력 이득(증폭도)을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며 설명하면, 도 8(a)처럼 어느 한 순음에 대한 청취 커브(L)을 얻는 경우, 도 8(c)에 예시한 그 순음에 대한 청각 정상인 청취 커브(S)와의 차이에 따라, 청각 정상인 청취 커브(S)의 청감 특성을 얻기 위해 필요한 각 입력소리크기별 출력 이득을 보여주는 보정 커브(C)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정상인 청취 커브(S)는 사용할 주파수 순음별로 미리 설정하여 둠으로써, 상기 보정 커브 획득 단계(S40)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상기 튜닝 단계(S50)는 광대역 테스트음을 들려줄 시에 나타날 수 있는 주파수별 편차에 따라 주파수 순음별 보정 커브(C)를 세밀하게 조절하는 단계이다.
도 5에 도시한 상세 순서도에 따르면, 프로세서(21)는 순음별로 보정 커브(C)를 얻은 이후, 광대역 테스음의 출력을 피팅 설정부(14)에 지시하여서, 광대역 테스트음(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말소리)을 서로 다른 대역을 갖는 복수의 필터(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저역통과필터 및 고역통과필터)로 필터링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얻은 후 반복 루프(S51, S53, S54)에 따라 각 주파수 대역의 테스트음을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하고(S52), 동시에, 보청기 착용자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상대적 청감(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주파수 대역별 말소리의 상대적 명료도)을 선택받는다(S55).
그리고, 프로세서(21)는 주파수 대역별 청감에 따라 각 주파수 대역에 속한 순음별 보정 커브(C)의 레벨을 조절한다.
보정 커브의 레벨 조절은 입력소리크기별 출력이득을 각각 동일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도 8(b)의 좌표 상에서 그래프를 상향 또는 하향 레벨 조절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화면을 참조하며 설명하면, 단어 또는 문장으로 이루어지는 말소리(3)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말소리(3)를 특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나눈 저주파대역 말소리와 고주파대역 말소리를 생성한 후 순차 출력되게 하고, 착용자가 어느 대역의 말소리가 명료하게 들리는 지를 버튼(5)으로 선택하게 한다.
그런 다음, 버튼(5)에 의한 선택에 따라 저음쪽을 강화할 것인지 아니면 고음쪽을 강화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결정한 대역에 속한 각 순음에 대한 청취 커브를 미세하게 상향 조절한다.
도 9(b)는 어느 한 순음의 보정 커브(C)에 대해 레벨 상향 조절한 이후 얻게 되는 재보정 커브(C')를 보여준다. 이에 따르면, 출력이득이 전반적으로 상향 조절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대적 명료도에 따라 미세 조절비율을 착용자가 수동으로 정하게 할 버튼(4)을 마련하여서, 착용자의 청각에 맞게 청취 커브를 레벨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 주파수 순음별 보정커브(C)의 조절비율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명료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쪽에서 명료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 좋다.
즉, 저주파 소리의 명료도가 고주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면 고주파 순음에서 저주파 순음으로 갈수록 각 순음의 보정커브(C)에 대한 상향 조절비율을 점진적으로 크게 하고, 고주파 소리의 명료도가 저주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면 저주파 순음에서 고주파 순음으로 갈수록 각 순음의 보정커브(C)에 대한 상향 조절비율을 점직적으로 크게 한다.
여기서, 주파수 대역별 말소리의 상대적 명료도는 보청기 착용자가 순위를 매기는 방식으로 할 수 있지만, 명료도는 착용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어서, 객관적 통계 방식으로 명료도에 대한 순위를 정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소리에 대한 정답과 오답을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출력하여 들리는 말소리를 고르게 하는 단어 테스트 과정을 반복하여 정답을 맞춘 회수가 많을수록 명료도를 높게 평가하는 방식으로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취'의 말소리를 주파수 대역별로 들려주고, '편취'와 유사하게 들릴 수 있는 단어를 선다형으로 나열한 '(1)펀치 (2)핀치 (3)뺀찌 (4)편취 (5)번지'를 화면에 출력하여 고르게 하는 단어 테스트 과정을 서로 다른 여러 단어에 대해 반복함으로써, 정답 비율 또는 오답 비율에 따라 명료도의 순위를 매기는 것이다.
한편, 출력하는 각 대역의 말소리에 대해서 저음 소리와 고음 소리 중에 어느 소리가 상대적으로 명료하게 들리지 않는 지를 선택하게 하고, 이때 선택된 소리를 강화하되 동일 대역에 속한 순음별 청취 커브 사이에도 차별을 주며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대역별 말소리에 대한 상대적 청취 명료도에 따라 상대적 레벨 조절한 순음별 재보정 커브(C')를 얻은 프로세서(21)는 순음별 재보정 커브(C')에 의한 출력 이득을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마이크(10)의 피팅 설정부(14)에 전달하여 신호처리부(12)에서 사용되게 설정하는 설정 단계(S60)를 수행한다.
그런데, 가능하면 청각 장애인의 청음력에 정확하게 맞춰 피팅하려면 피팅을 위해 사용하는 순음 간의 주파수 차이를 가능하면 작게 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순음 간의 주파수 차이를 작게 하는 만큼 주파수 순음의 수도 많아져 피팅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보청기 착용자의 입장에서 매우 번거롭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뇌파 측정기(30)를 더욱 포함한 피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한 상기 청감 레벨별로 나타나는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1회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청감 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를 얻을 시에는 청감 레벨별 순음의 청취 순간을 뇌파의 특징적 변화 시점으로 자동 감지하여서, 보청기 착용자가 도 6(a)에 도시한 사용자인터페이스(27)를 통해 별도 입력하지 아니하여도 되게 한다.
도 10에 도시한 피팅 시스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을 위한 피팅 시스템은 피팅 작업을 수행할 시에 뇌파를 측정할 뇌파 측정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의 뇌파 측정기(30)는 검출한 뇌파를 피팅용 단말(20)에 실시간 전송하기 위해 무선통신부(15)를 구비하며, 피팅용 단말(20)은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를 수행할 시에 뇌파 측정기(30)와 협동하여 도 11의 순서도에 따라 수행한다.
도 11에 도시한 순서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의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하여(S21), 저장되어 있지 아니하면 순차 출력할 서로 다른 주파수 순음 중 첫번째 순번의 순음을 출력하는 중에 청감 레벨별 소리크기를 획득하는 동작과 병행하여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도 획득하는 뇌파 특징 획득단계(S22-1, S22-2, S22-3, S22-4, S22-5)를 수행한 후 두번째 순번부터 청감레벨별 소리크기 획득 단계(S24, S25, S26, S27, S28)를 수행하고,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첫번째 순번부터 청감레벨별 소리크기 획득 단계(S24, S25, S26, S27, S28)를 수행한다.
상기 뇌파 특징 획득단계(S22-1, S22-2, S22-3, S22-4, S22-5)는 첫번째 순번의 순음을 출력하려고 할 시에(S22-1) 뇌파 측정기(30)와의 통신을 개통 유지하여 뇌파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첫번재 순번의 순음을 데트스음으로 하여 볼륨 조절하며 출력하는 중에(S22-2) 청감 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를 착용자의 청감에 따라 누른 버튼의 누른 시점으로 획득할 때마다(S22-3) 착용자의 뇌파로부터 특징적 변화를 획득하고 저장한다(S22-4). 그리고, 청감레벨별 소리크기 획득 단계(S24, S25, S26, S27, S28)를 수행한 초기 순번을 두번째 순번으로 지정한다(S22-5).
이에, 청감 레벨별 소리크기의 첫번째 순음을 청취할 때에 착용자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청감 레벨별로 얻을 수 있다.
물론, 첫번째 순음에 대해 청감 레벨별 소리크기도 얻는다.
이때, 얻은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여 둠으로서, 이후 보청기 피팅을 반복할 시에는 뇌파 특징 획득단계(S22-1, S22-2, S22-3, S22-4, S22-5)를 수행하기 아니하고, 저장하여 둔 데이터를 사용하여 첫번째 순번부터 청감레벨별 소리크기 획득 단계(S24, S25, S26, S27, S28)를 수행하게 한다.
상기 청감레벨별 소리크기 획득 단계(S24, S25, S26, S27, S28)는 순번에 따라 순음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반복 루프(S26, S27)를 수행하고, 각각의 순음을 시간 경과에 따라 출력크기가 가변하도록 볼륨 조절하며 출력하는 중에(S24) 각 청감 레벨의 소리크기가 출력되는 시점을 뇌파 측정기(30)로부터 수신받는 뇌파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데이터베이화한 뇌파의 특징적 변화가 나타나는 시점으로 알아내고 이 시점에 출력된 소리크기를 획득한다(S25).
그리고,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순음별 및 청감 레벨별 테스트음 소리크기를 저장하여 두되, 이전 저장한 값이 있는 경우 미리 정한 망각인자(forgetting factor)를 적용하여 이전 저장한 값과 현재 획득한 값의 가중평균을 얻어 이전 저장된 값을 대체하고 상기 청취 커브 획득 단계(S30)에서 사용되게 한다.
이에, 보청기 착용자가 미리 설정한 청감 레벨의 소리를 청취하는 순간마가 일일이 버튼을 누르는 수고를 하지 않더라도, 프로세서(21)에 의해서 청감 레벨별 소리크기를 얻을 수 있다. 즉, 첫번째 순음을 출력하는 중에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각 청감 레벨의 소리를 청취하는 시점을 버튼 누름으로 알리고, 두번째 순음부터는 버튼 누름 없이 편히 쉬고 있으면 자동으로 알아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청각 장애인 또는 난청인은 일반적으로 매일 또는 시간 경과에 따하 변동하는 청력에 따라 피팅을 자주하여 좋은 데, 본 발명에 따르면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1회 얻어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이후 반복 피팅하는 데 활용하게 한다.
이에,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피팅할 때마다 매번 획득하지 아니하여도 되어서, 번거로움에 의해 피팅 작업을 건너뛰는 일이 있었던 종래 피팅 방법에 비해 매번 피팅이 필요한 시점에 청력에 맞춰 손쉽게 피팅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변형된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 상세 순서도로서,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얻을 시에 첫번째 순음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대신에, 광대역 소리 또는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테스트음으로 사용한다. 물론, 화이드 노이즈는 프로그램적으로 생성 가능한 유사 화이트 노이즈로 할 수 있다.
즉, 광대역 테스트음 또는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볼륨 조절하여 출력하는 중에(S22-1) 청감 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를 청취하는 각각의 시점을 착용자의 버틈 누름으로 알려줄 때마다(S22-2) 착용자의 뇌파로부터 특징적 변화를 획득하고 저장하여 둔다(S22-3).
이후는 첫번째 순번의 순음부터 시작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순음을 순차 출력하는 반복 루프(S23, S26, S27)를 수행하고, 각 순음을 볼륨 조절하며 출력하는 중에(S24)에 뇌파의 특징적 변화에 따라 청감 레벨별 소리크기를 획득하며(S26), 획득한 순음별 및 청감 레벨별 테스트음 소리크기를 저장하여 두되, 이전 저장한 값이 있는 경우 미리 정한 망각인자(forgetting factor)를 적용하여 이전 저장한 값과 현재 획득한 값의 가중평균을 얻어 이전 저장된 값을 대체하고 상기 청취 커브 획득 단계(S30)에서 사용되게 한다.
이와 같이 1회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1회 획득하여 저장하여 둠으로써, 이후 보청기 피팅할 시에는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얻는 과정을 수행하지 아니하고도 순음별 및 청감레벨별 테스트음 소리크기를 얻는 과정을 바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광대역 소리 또는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사용하여 청감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획득함으로써, 다른 주파수 순음과 청감의 편차가 있는 어느 하나의 특정 순음을 이용하여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얻는 경우보다 정확한 청감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 설명에서는 피팅용 단말(20)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피팅용 단말(20)에 구현된 프로세서(21)를 보청기(10)에 내장하고,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위한 버튼을 보청기(10)에 장착함으로써, 피팅용 단말(20)을 사용하지 아니하게 하여도 좋다.
다른 한편으로, 청감 레벨의 소리를 청취하는 순간에 누르는 버튼은 1개만 마련하고, 각 순음에 대해 소리를 점차 키워가며 출력하거나 아니면 소리를 점차 낮춰가며 추력하여서, 가장 낮은 단계부터 가장 높은 단계의 청감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도달하게 하거나 아니면 가장 높은 단계부터 가장 낮은 단계의 청감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도달하게 함으로써, 각 청감 레벨에 도달할 때만 그 버튼을 누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나의 버튼 사용은 복수 버튼을 사용할 시의 발생하는 오입력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눈을 감고도 조작할 수 있게 하며, 특히, 뇌파를 이용하는 경우 청취 이외의 다른 감각으로 느끼는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뇌파의 변화를 최소화하여서,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더욱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보청기
11 : 마이크 12 : 신호처리부 13 : 리시버
14 : 피팅 설정부 15 : 무선통신부
20 : 피팅용 단말
21 : 프로세서 22 : 레벨 설정부
23 : 청감 획득부 24 : 이득 획득부
25 : 튜닝부 26 : 무선통신부
27 : 사용자인터페이스
30 : 뇌파 측정기
S : 청각 정상인 청취 커브
L : 청각 장애인(또는 난청인) 청취 커브
C : 보정 커브
C' : 말소리 명료도에 따라 레벨 조절한 재보정 커브

Claims (11)

  1. 외부 소리를 마이크(11)를 통해 입력하고, 미리 설정한 출력 이득에 따라 신호처리부(12)로 증폭한 후, 리시버(13)로 출력시켜 착용자가 청음할 수 있게 한 보청기(10)에 대해, 테스트음을 리시버(13)로 출력되게 하는 피팅 설정부(14)와, 보청기 착용자가 누르게 할 버튼과, 테스트음에 대한 착용자의 청감에 따라 상기 출력 이득을 획득하는 프로세서(21)에 의해 신호처리부(12)의 출력 이득을 설정하는 보청기 피팅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21)에서, 복수 단계의 청감 레벨을 설정하는 청감 레벨 설정 단계(S10);
    피팅 설정부(14)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각 순음(pure tone)을 테스트음으로 하여 볼륨 가변하며 출력할 시에, 상기 프로세서(21)에서 청감 레벨별 음을 청음한 착용자가 버튼을 누른 시점의 테스트음 소리크기를 얻는 과정을 반복하여 각 순음별로 청감 레벨별 테스트음의 소리크기를 획득하는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
    프로세서(21)에서, 테스트음 소리크기와 청감 사이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인 청취 커브(L)를 순음별로 획득하는 청취 커브 획득 단계(S30);
    프로세서(21)에서, 청취 커브(L)를 청각 정상인의 청취 커브(S)로 보정하기 위한 소리크기별 출력 이득을 나타내는 그래프인 보정 커브(C)를 순음별로 획득하는 보정 커브 획득 단계(S40);
    피팅 설정부(14)에서, 순음별 보정 커브에 의한 출력 이득을 신호처리부(12)에서 사용되게 설정하는 설정 단계(S60);
    를 포함하되,
    프로세서(21)에서, 광대역 테스트음의 주파수밴드별 출력에 대한 착용자의 상대적 청감을 버튼으로 선택받아 순음별 보정 커브(C)의 상대적 레벨을 조절하여, 상대적 레벨을 조절한 순음별 재보정 커브(C')에 따라 상기 설정 단계(S60)를 수행하게 하는 튜닝 단계(S50);
    를 더욱 포함하는 보청기 피팅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첫번째 출력할 순음을 볼륨 가변하며 출력하는 중 청감 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를 획득할 시에 착용자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청감 레벨별로 획득한 이후,
    나머지 순음에 대한 청감 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를 버튼 누름 없이 뇌파의 특징에 근거하여 획득하는 보청기 피팅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첫번째 순음을 대신하여 광대역 테스트음 또는 화이트 노이즈를 볼륨 조절하며 출력하는 중에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획득한 후,
    각 순음에 대한 청감 레벨별 순음의 소리크기를 뇌파의 특징에 근거하여 획득하는 보청기 피팅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두어, 이후 보청기 피팅을 반복할 시에 청감 레벨별 뇌파의 특징적 변화를 획득하지 아니하고 저장하여 둔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보청기 피팅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순음별 및 청감 레벨별 테스트음 소리크기를 저장하여 두되, 이전 저장한 값이 있는 경우 미리 정한 망각인자(forgetting factor)를 적용하여 이전 저장한 값과 현재 획득한 값의 가중평균을 얻어 이전 저장한 값을 대체하고 상기 청취 커브 획득 단계(S30)에서 사용되게 하는 보청기 피팅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각 순음을 대신하여 각 순음을 중심으로 소정 대역폭을 갖는 주파수밴드의 음을 테스트음으로 할 수 있는 보청기 피팅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감 특성 획득 단계(S20)는 각 순음에 대해 소리를 점차 키우거나 아니면 점차 낮추는 방식으로 볼륨 조절하며 출력하고, 청감 레벨별 테스트음의 소리크기를 청취할 때마다 누를 버튼을 1개만 마련하여서, 순차적으로 얻는 청감 레벨 도달 시점의 소리크기를 획득하는 보청기 피팅 방법.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에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단계(S50)에서, 광대역 테스트음은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말소리이고, 착용자의 상대적 청감은 주파수밴드별 말소리의 상대적 명료도로 하는 보청기 피팅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단계(S50)는 명료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쪽에서 명료도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쪽으로 갈수록 보정커브(C)의 미세 조절비율을 크게 하는 보청기 피팅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단계(S50)는 주파수밴드별 명료도에 대해 착용자가 버튼 입력으로 순위를 매기게 하여, 순위에 따라 주파수밴드별 보정 커브의 상대적 레벨을 조절하는 보청기 피팅 방법.
KR1020160149328A 2016-11-10 2016-11-10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 KR101845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28A KR101845342B1 (ko) 2016-11-10 2016-11-10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328A KR101845342B1 (ko) 2016-11-10 2016-11-10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342B1 true KR101845342B1 (ko) 2018-04-04

Family

ID=6197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328A KR101845342B1 (ko) 2016-11-10 2016-11-10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3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2317A (zh) * 2018-12-29 2020-07-17 大北欧听力公司 基于脑电图(eeg)信号的具有自我调节能力的助听器
CN113630706A (zh) * 2021-09-15 2021-11-09 深圳市博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助听装置的自主校正方法及***
CN113827227A (zh) * 2021-08-10 2021-12-24 北京塞宾科技有限公司 听力测试信号生成方法、听力测试方法、存储介质及设备
WO2022162475A1 (en) * 2021-01-28 2022-08-04 Cochlear Limited Adaptive loudness scal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877B1 (ko) * 2014-02-14 2015-05-12 주식회사 닥터메드 셀프 피팅형 보청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877B1 (ko) * 2014-02-14 2015-05-12 주식회사 닥터메드 셀프 피팅형 보청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2317A (zh) * 2018-12-29 2020-07-17 大北欧听力公司 基于脑电图(eeg)信号的具有自我调节能力的助听器
CN111432317B (zh) * 2018-12-29 2024-04-26 大北欧听力公司 基于脑电图(eeg)信号的具有自我调节能力的助听器
WO2022162475A1 (en) * 2021-01-28 2022-08-04 Cochlear Limited Adaptive loudness scaling
CN113827227A (zh) * 2021-08-10 2021-12-24 北京塞宾科技有限公司 听力测试信号生成方法、听力测试方法、存储介质及设备
CN113827227B (zh) * 2021-08-10 2024-04-02 北京塞宾科技有限公司 听力测试信号生成方法、听力测试方法、存储介质及设备
CN113630706A (zh) * 2021-09-15 2021-11-09 深圳市博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助听装置的自主校正方法及***
CN113630706B (zh) * 2021-09-15 2024-01-02 深圳市博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助听装置的自主校正方法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32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audio perception
US7190795B2 (en) Hearing adjustment appliance for electronic audio equipment
US7564979B2 (en) Listener specific audio reproduction system
US20090285406A1 (en) Method of fit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o a hearing impaired user
US7933419B2 (en) In-situ-fitted hearing device
US6913578B2 (en) Method for customizing audio systems for hearing impaired
US20020076072A1 (en) Software implemented loudness normalization for a digital hearing aid
EP25661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tting of a hearing device
KR101845342B1 (ko) 지능형 오디오 밴드 조절 보청기 피팅 방법
US10341790B2 (en) Self-fitting of a hearing device
EP1617705A2 (en) In-situ-fitted hearing device
CA2940768A1 (en) A method of fitting a hearing aid system and a hearing aid fitting system
US11607155B2 (en) Method to estimate hearing impairment compensation function
CN113938795B (zh) 调节耳机音量的方法、装置、耳机及存储介质
Munro et al. Clinical verification of hearing aid performance
CN115175076A (zh) 音频信号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278062A1 (en) In-situ hearing assessment and customized fitting of hearing devices
US201702513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figuration of a user specific auditory system
KR100632236B1 (ko) 보청기의 증폭도 맞춤 방법
EP4090241B1 (en) A method of estimating a hearing loss, a hearing loss estimation system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JPH11225398A (ja) ラウドネス調整方法および補聴器
KR20210065214A (ko) 보청기 증폭 조절방법
WO2021249611A1 (en) A control device for performing an acoustic calibration of an audio device
Nelson Coupling FM systems to high-technology digital hearing aids
Karmelich The effects on speech discrimination scores and the effects on Quality Judgement Questionnaire scores in hearing-impaired subjects when a BT4 hearing aid is programmed using the Audiogram Plus prescription compared to the LGOB prescri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