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506B1 - 정보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506B1
KR101844506B1 KR1020160046969A KR20160046969A KR101844506B1 KR 101844506 B1 KR101844506 B1 KR 101844506B1 KR 1020160046969 A KR1020160046969 A KR 1020160046969A KR 20160046969 A KR20160046969 A KR 20160046969A KR 101844506 B1 KR101844506 B1 KR 101844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nformation output
disposed
base
mo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157A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6004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50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가이드 베이스,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출 부재에 대응되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운동에 따라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운동부 및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상기 운동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출력 장치{Informa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출력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정보 출력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다양한 회로 등이 내장되어 제조의 의성이 감소하고 제어상의 불편성이 있다.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시 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안정인 구동에 곤란이 있어 정보 출력 장치의 향상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가이드 베이스,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출 부재에 대응되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운동에 따라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운동부 및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상기 운동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는 상기 가이드 돌출 부재에 끼워지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부재, 상기 본체 부재와 상기 표현 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 및 표현 부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비대칭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연결 슬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일측에 배치된 제1 중간 부재, 상기 일측과 마주보는 일 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2 중간 부재 및 상기 제2 중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코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운동부에 대응되는 관통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 부재의 관통 영역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운동부의 운동 시 일면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의 운동부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 상에 배치되고 메인 부재, 가이드 개구 영역 및 가이드 격벽을 구비하는 가이드 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개구 영역은 상기 메인 부재에 형성되고 적어도 운동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격벽은 상기 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개구 영역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부재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개구 영역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보호부는 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가이드 격벽의 일 영역에 상기 가이드 격벽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보호부 상에 배치되는 회로 부재를 더 포함할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운동부의 운동 시 일 영역과 접하도록 상기 자성 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운동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의 상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가이드 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자성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b 내지 도 9e는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자성 부재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0은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상부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정보 출력 장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정보 출력 장치의 가이드 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정보 출력 장치의 가이드 보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정보 출력 장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포함한다.
즉, 도 1에는 1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1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1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대로 한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1)은 가이드 베이스(110), 운동부(120) 및 자성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이스(110)는 베이스 부재(101) 및 가이드 돌출 부재(102)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1)는 가이드 베이스(110)의 주된 부재로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 부재(101)는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1)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돌출 부재(102)는 베이스 부재(101)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10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100)에 구비된 정보 출력 유닛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정보 출력 유닛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102)는 베이스 부재(1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이드 돌출 부재(102)와 베이스 부재(101)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고, 가이드 베이스(110)를 기준으로 이동하는 운동부(120)의 반복 운동 시에도 가이드 베이스(110), 특히 가이드 돌출 부재(102)가 손상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102)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가이드 돌출 부재(102)는 철 계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돌출 부재(102)는 자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베이스 부재(101)로부터 가이드 돌출 부재(102)가 모두 자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부재(101)로부터 가이드 돌출 부재(102)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자력이 작용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이스(110)의 베이스 부재(101) 및 가이드 돌출 부재(102)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베이스(110)의 베이스 부재(101) 및 가이드 돌출 부재(102)를 별도로 형성한 후에 접합할 수도 있다.
가이드 돌출 부재(102)의 상면, 즉 가이드 베이스(1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면은 평탄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102)의 상면, 즉 가이드 베이스(1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면은 곡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운동부(120)는 가이드 베이스(1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동부(120)는 가이드 베이스(110)의 가이드 돌출 부재(1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120)는 일 방향으로 운동하는데,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120)는 가이드 돌출 부재(102)를 기준으로 가이드 돌출 부재(102)를 따라서 가이드 돌출 부재(102)의 돌출된 방향을 따라서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운동부(120)는 구체적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들면 운동부(120)는 본체 부재(121), 표현 부재(122) 및 중간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121), 표현 부재(122) 및 중간 부재(123)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본체 부재(121), 표현 부재(122) 및 중간 부재(123)는 내구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체 부재(121), 표현 부재(122) 및 중간 부재(123)는 화학적 특성이 좋은 다양한 수지 계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121), 표현 부재(122) 및 중간 부재(123)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부재(121)는 가이드 돌출 부재(102)에 대응되어 가이드 돌출 부재(102)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 부재(121)의 내부에 내부 공간(124)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124)은 적어도 가이드 돌출 부재(10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표현 부재(122)는 본체 부재(121)의 일 방향, 즉 본체 부재(121)의 영역 중 베이스 부재(10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영역과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표현 부재(122)는 본체 부재(121)로부터 베이스 부재(10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현 부재(122)의 상면, 즉 본체 부재(121)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 영역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122)의 상면은 평탄면을 포함할수 도 있다.
본체 부재(121)와 표현 부재(122)의 사이에는 중간 부재(123)가 배치된다. 중간 부재(123)는 표현 부재(12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본체 부재(121)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123)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간 부재(123)는 원형, 다각형 기타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123)는 비대칭 형태의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운동부(120)가 가이드 돌출 부재(102)에 배치 시, 예를들면 운동부(120)의 본체 부재(12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124)에 가이드 돌출 부재(102)가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운동부(120)가 베이스 부재(101)와 가장 근접한 경우에, 가이드 돌출 부재(102)의 상면은 운동부(120)와 이격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102)의 상면과 운동부(120)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SA)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120)가 베이스 부재(101)와 가장 근접한 경우에, 가이드 돌출 부재(102)의 상면은 운동부(120)와 접촉하고, 이격 공간(SA)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선택적으로 운동부(120)의 본체 부재(121)의 하단부가 베이스 부재(101)와 접할수도 있다.
중간 부재(123)의 적어도 일면에는 완충 패턴 또는 완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간 부재(123)의 상면, 즉 베이스 부재(101)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완충 패턴 또는 완충층을 형성하여 상부의 부재들과의 충돌 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중간 부재(123)의 하면에 완충 패턴 또는 완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완충 패턴은 하나 이상의 돌기 패턴으로서 중간 부재(12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별도의 패턴 형성 시 완충 특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들면 수지 계열 재질을 포함할수도 있다.
완충층을 형성시 상기 완충 특성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운동부(120)의 주변에, 구체적으로 본체 부재(121)의 주변에 코일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15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15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15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102)가 금속 재질, 예를들면 철로 형성될 경우 코일부(150)의 주변의 자기장의 세기는 더 세질 수 있다.
자성 부재(130)는 운동부(120)의 적어도 일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 부재(130)는 가이드 베이스(110)의 베이스 부재(101)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돌출 부재(10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성 부재(130)는 운동부(120)의 본체 부재(121)의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성 부재(130)는 본체 부재(121) 및 코일부(150)와 이격될 수 있다.
자성 부재(130)는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131)을 구비할 수 있고, 관통 영역(131)은 가이드 돌출 부재(102)에 대응되고, 운동부(120)와 대응될 수 있다. 자성 부재(13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130)는 상면과 하면이 상이한 극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130) 상에 상부 플레이트(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40)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141)를 가지고, 개구부(141)는 운동부(120)의 본체 부재(1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개구부(141)는 본체 부재(121)와 이격될 수 있고, 추가로 코일부(150)와 이격될 수도 있다.
상부 플레이트(14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철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4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이스(110)의 베이스 부재(101) 및 가이드 돌출 부재(102)가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부 플레이트(140)가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운동부(120)의 주변의 자력은 발산, 특히 운동부(120)의 상부 방향으로 발산하지 않고, 운동부(120)의 주변, 특히 코일부(150)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베이스(110)의 베이스 부재(101) 및 가이드 돌출 부재(102)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40)를 따라서 자기력이 작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140)의 상면은 운동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중간 부재(123)와 접할 수 있고, 예를들면, 운동부(120)가 운동 시 베이스 부재(101)와 가장 근접한 때에 중간 부재(123)의 면 중 베이스 부재(101)를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부 플레이트(14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140)는 운동부(120)가 베이스 부재(101)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이를 지지하여 운동부(120)의 안정적 운동 및 정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부 플레이트(140)의 상면은 운동부(120)의 중간 부재(123)와 접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운동부(120)가 운동 시 베이스 부재(101)와 가장 근접한 때에 중간 부재(123)의 면 중 베이스 부재(101)를 향하는 면이 상부 플레이트(140)와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예를들면 본체 부재(121)의 하면이 베이스 부재(101)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본체 부재(121)의 하면과 베이스 부재(101)의 접촉 시 접촉 면적을 늘려 충격을 완화하도록 본체 부재(121)의 하면에 중간 부재(123)와 유사한 형태의 넓은 플레이트 형태의 단부가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140)의 개구부(141)는 자성 부재(130)의 관통 영역(131)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 부재(190)가 운동부(1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190)는 커버홀(191)을 포함할 수 있고, 운동부(120)의 이동 시 표현 부재(122)가 커버홀(191)을 통하여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도 3a는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커버 부재(19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b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코일부(150)에 전압이 인가되어 코일부(150)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부(15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자기장으로 인하여 코일부(150)가 감겨있는 운동부(120)는 주변의 자성 부재(130)의 극성에 따라 운동할 수 있고, 특히 가이드 돌출 부재(102)를 따라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코일부(150) 주변에 발생한 자기장으로 인하여 운동부(120)는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 방향, 즉 베이스 부재(1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운동 거리(h1)는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15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코일부(150)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여 운동부(120)는 도 3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 방향, 즉 베이스 부재(10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전술한 정보 출력 장치(100)의 운동부(120)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운동부(120')는 본체 부재(121'), 표현 부재(122'), 중간 부재(123') 및 연결 슬릿(125')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121'), 표현 부재(122'), 중간 부재(123')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본체 부재(121'), 표현 부재(122'), 중간 부재(123')는 내구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체 부재(121'), 표현 부재(122'), 중간 부재(123')는 화학적 특성이 좋은 다양한 수지 계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 부재(121'), 표현 부재(122'), 중간 부재(123')는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부재(121')는 가이드 돌출 부재(102)에 대응되어 가이드 돌출 부재(102)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 부재(121')의 내부에 내부 공간(124')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124')은 적어도 가이드 돌출 부재(10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표현 부재(122')는 본체 부재(121')의 일 방향, 즉 본체 부재(121')의 영역 중 베이스 부재(10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영역과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표현 부재(122')는 본체 부재(121')로부터 베이스 부재(10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 부재(121')와 표현 부재(122')의 사이에는 중간 부재(123')가 배치된다. 중간 부재(123')는 표현 부재(12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본체 부재(121')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123')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간 부재(123')는 원형, 다각형 기타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 부재(123')는 비대칭 형태의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로서 중간 부재(123')는 제1 중간 부재(123a') 및 제2 중간 부재(123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중간 부재(123a')는 표현 부재(122')를 중심으로 일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중간 부재(123b')는 표현 부재(122')를 중심으로 제1 중간 부재(123a')가 배치되는 일 측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중간 부재(123a')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예를들면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원호와 유사한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제2 중간 부재(123b')는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와 유사한 제거 영역(123c')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중간 부재(123')는 2개의 제2 중간 부재(123b')를 구비하고, 2개의 제2 중간 부재(123b')의 사이에 제거 영역(123c')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슬릿(125')은 제거 영역(123c')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슬릿(125')을 통하여 본체 부재(12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124')이 제거 영역(123c')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내부 공간(124')의 공기가 연결 슬릿(125')을 통하여 제거 영역(123c')방향으로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특히 운동부(120')가 가이드 돌출 부재(102)를 따라 이동 시 내부 공간(124')에 공기가 압축될 경우 공기의 저항으로 운동부(120')의 이동에 저항이 발생할 수 있는데 내부 공간(124')의 공기가 연결 슬릿(125')을 통하여 제거 영역(123c')방향으로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으므로 운동부(120')가 받는 저항을 감소하여 운동부(120')의 운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운동부(120')가 가이드 돌출 부재(102)에 배치 시, 예를들면 운동부(120')의 본체 부재(12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124')에 가이드 돌출 부재(102)가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운동부(120')가 베이스 부재(101)와 가장 근접한 경우에, 가이드 돌출 부재(102)의 상면은 운동부(120')와 이격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102)의 상면과 운동부(120')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SA)이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이격 공간(SA)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운동부(120')의 주변에, 구체적으로 본체 부재(121')의 주변에 코일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15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15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15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유닛의 운동부는 가이드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가이드 돌출 부재를 기준으로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에 구비된 표현 부재가 이동하여 표현 부재를 통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정보 출력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유닛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 부재의 돌출을 촉각을 통한 감지함에 따른 촉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고, 특히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의 돌출을 시각을 통한 감지함에 따른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재의 단부에 색상을 형성 또는 광을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운동부의 효과적인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플레이트를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운동부 주변의 자기력이 상부로 발산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하고 운동부 주변, 예를들면 코일부에 집중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운동부가 제1 중간 부재 및 제2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제2 중간 부재들 사이의 제거 영역과 본체 부재의 내부 공간의 사이에 연결 슬릿을 형성하여 내부 공간의 공기를 원활하게 유출하여 운동부의 이동 시 공기 저항을 감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가이드 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a는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자성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 내지 도 9e는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자성 부재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0은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상부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의 정보 출력 유닛(IU1)을 포함한다.
즉, 도 6에는 2개의 정보 출력 유닛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2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2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대로 두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유닛(IU1, IU2)은 각각 가이드 베이스(210), 운동부(220) 및 자성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이스(210)는 베이스 부재(201) 및 가이드 돌출 부재(202)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01)는 가이드 베이스(210)의 주된 부재로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베이스 부재(201)는 두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에 모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부재(201)에 대한 기타 다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의 베이스 부재(101)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 돌출 부재(202)는 베이스 부재(201)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20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200)에 구비된 두 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돌출 부재(202)에 대한 기타 다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의 가이드 돌출 부재(102)와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운동부(220)는 가이드 베이스(2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동부(220)는 가이드 베이스(210)의 가이드 돌출 부재(2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220)는 일 방향으로 운동하는데,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220)는 가이드 돌출 부재(202)를 기준으로 가이드 돌출 부재(202)를 따라서 가이드 돌출 부재(202)의 돌출된 방향을 따라서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운동부(220)는 구체적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들면 운동부(220)는 본체 부재(221), 표현 부재(222) 및 중간 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부(220)는 전술한 실시예의 운동부(120)와 동일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220)는 전술한 변형예의 운동부(120')와 동일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운동부(220)에 대한 기타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각각의 운동부(220)의 주변에, 구체적으로 각각의 본체 부재(221)의 주변에 코일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25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25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25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성 부재(230)는 운동부(220)의 적어도 일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 부재(230)는 가이드 베이스(210)의 베이스 부재(201)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돌출 부재(20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성 부재(230)는 도시된 2개의 가이드 돌출 부재(20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성 부재(230)는 운동부(220)의 본체 부재(221)의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성 부재(230)는 본체 부재(221) 및 코일부(250)와 이격될 수 있다.
자성 부재(230)는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231)을 구비할 수 있고, 관통 영역(231)은 2개의 가이드 돌출 부재(202)에 대응되고, 운동부(220)와 대응될 수 있다.
자성 부재(23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자성 부재(230)의 관통 영역(231)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1개의 관통 영역(231)에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에 대응되는 2개의 가이드 돌출 부재(202), 2개의 운동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자성 부재(230)의 관통 영역(231)에 하나의 가이드 돌출 부재(202)가 대응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자성 부재(230)가 구비되고, 복수의 자성 부재(230)의 각각이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각 자성 부재(230)의 관통 영역(231)에 하나의 가이드 돌출 부재(202)가 대응되도록 하거나, 복수, 예를들면 2개의 가이드 돌출 부재(202)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자성 부재(230)가 서로 인접하도록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 자성 부재(230)에는 각각 하나의 가이드 돌출 부재(202)와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 영역(231)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복수의 자성 부재(230)가 서로 인접하도록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 자성 부재(230)에는 각각 복수의 가이드 돌출 부재(202)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231)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도 9B 내지 도 9E는 도 6의 정보 출력 장치의 자성 부재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들로서 자성 부재(230)의 형태 및 배열에 대한 다양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개수 및 형태의 자성 부재(230) 및 관통 영역(231)가 가능하고, 그 배열도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230)는 상면과 하면이 상이한 극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230) 상에 상부 플레이트(2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40)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241)를 가지고, 개구부(241)는 운동부(220)의 본체 부재(2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24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에 대응되도록 2개의 개구부(241)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각의 개구부(241)는 본체 부재(221)와 이격될 수 있고, 추가로 코일부(250)와 이격될 수도 있다.
상부 플레이트(24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철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4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40)의 상면은 운동부(220)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중간 부재(223)와 접할 수 있고, 특히, 운동부(220)가 운동 시 베이스 부재(201)와 가장 근접한 때에 중간 부재(223)의 면 중 베이스 부재(201)를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부 플레이트(24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240)는 운동부(220)가 베이스 부재(201)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이를 지지하여 운동부(220)의 안정적 운동 및 정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부 플레이트(240)의 상면은 운동부(220)의 중간 부재(223)와 접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운동부(220)가 운동 시 베이스 부재(201)와 가장 근접한 때에 중간 부재(223)의 면 중 베이스 부재(201)를 향하는 면이 상부 플레이트(240)와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예를들면 본체 부재(221)의 하면이 베이스 부재(201)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본체 부재(221)의 하면과 베이스 부재(201)의 접촉 시 접촉 면적을 늘려 충격을 완화하도록 본체 부재(221)의 하면에 중간 부재(223)와 유사한 형태의 넓은 플레이트 형태의 단부가 연장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 부재(미도시)가 운동부(2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20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유닛의 운동부는 가이드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가이드 돌출 부재를 기준으로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에 구비된 표현 부재가 이동하여 표현 부재를 통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정보 출력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유닛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 부재의 돌출을 촉각을 통한 감지함에 따른 촉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고, 특히 점자 출력 형태의 정보 출력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부재의 돌출을 시각을 통한 감지함에 따른 시각 감지형 정보 출력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재의 단부에 색상을 형성 또는 광을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는 복수의 가이드 돌출 부재 및 본체 부재에 대응되는 관통 영역을 구비하여, 복수의 운동부 및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출 부재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자성 부재의 제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운동부의 효과적인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플레이트를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운동부 주변의 자기력을 상부로 발산하는 것을 감소하고 운동부 주변, 예를들면 코일부에 집중하도록 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운동부가 제1 중간 부재 및 제2 중간 부재를 구비하고, 제2 중간 부재들 사이의 제거 영역과 본체 부재의 내부 공간의 사이에 연결 슬릿을 형성하여 내부 공간의 공기를 원활하게 유출하여 운동부의 이동 시 공기 저항을 감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정보 출력 장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정보 출력 장치의 가이드 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보호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의 정보 출력 유닛군(IUG1, IUG2)을 포함한다.
즉, 도 11에는 2개의 정보 출력 유닛군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3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정보 출력 유닛군(IUG1)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IU3, IU4, IU5, IU6)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1에는 일 정보 출력 유닛군(IUG1)이 여섯 개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 정보 출력 유닛군(IUG1)은 다양한 개수, 예를들면 2개 이상의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3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정보 출력 유닛군은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정보 출력 유닛군(IUG1)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장치(30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IUG1, IUG2)에 대응하는 가이드 보호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회로 부재(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유닛(IU1, IU4)은 각각 가이드 베이스(310), 운동부(320) 및 자성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이스(310)는 베이스 부재(301) 및 가이드 돌출 부재(302)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01)는 가이드 베이스(310)의 주된 부재로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베이스 부재(301)는 도 14에 개시된 대로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에 포함된 정보 출력 유닛들에 모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부재(301)에 대한 기타 다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의 베이스 부재(101)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 돌출 부재(302)는 베이스 부재(301)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30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300)에 구비된 두 개의 정보 출력 유닛군(IUG1, IUG2)의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들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돌출 부재(302)에 대한 기타 다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의 가이드 돌출 부재(102)와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운동부(320)는 가이드 베이스(3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동부(320)는 가이드 베이스(310)의 가이드 돌출 부재(30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320)는 일 방향으로 운동하는데,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320)는 가이드 돌출 부재(302)를 기준으로 가이드 돌출 부재(302)를 따라서 가이드 돌출 부재(302)의 돌출된 방향을 따라서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운동부(320)는 구체적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들면 운동부(320)는 본체 부재(321), 표현 부재(322) 및 중간 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부(320)는 전술한 실시예의 운동부(120)와 동일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320)는 전술한 변형예의 운동부(120')와 동일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운동부(320)에 대한 기타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각각의 운동부(320)의 주변에, 구체적으로 각각의 본체 부재(321)의 주변에 코일부(350)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35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35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350)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성 부재(330)는 운동부(320)의 적어도 일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 부재(330)는 가이드 베이스(310)의 베이스 부재(301)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돌출 부재(302)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성 부재(330)는 운동부(320)의 본체 부재(321)의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성 부재(330)는 본체 부재(321) 및 코일부(350)와 이격될 수 있다.
자성 부재(330)는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331)을 구비할 수 있고, 관통 영역(331)은 각 정보 출력 유닛군(IUG1, IUG2)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정보 출력 장치(300)에 구비된 자성 부재(330)는 2개의 관통 영역(331)을 구비하고, 2개의 관통 영역(331)은 각각 정보 출력 유닛군(IUG1), 정보 출력 유닛군(IUG2)에 대응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유닛군(IUG1)을 예를들어 설명하면 자성 부재(330)는 정보 출력 유닛군(IUG1)의 6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IU3, IU4, IU5, IU6)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의 관통 영역(33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통 영역(331)은 6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IU3, IU4, IU5, IU6)에 대응된 6개의 가이드 돌출 부재(302)에 대응되고, 6개의 운동부(320)와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자성 부재(330)의 관통 영역(331)에 하나의 가이드 돌출 부재(302)가 대응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자성 부재(330)가 구비되고, 복수의 자성 부재(330)의 각각이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각 자성 부재(330)의 관통 영역(331)에 하나의 가이드 돌출 부재(302)가 대응되도록 하거나, 복수, 예를들면 2개의 가이드 돌출 부재(302)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성 부재(33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영구 자석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330)는 상면과 하면이 상이한 극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330) 상에 상부 플레이트(3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40)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341)를 가지고, 개구부(341)는 운동부(320)의 본체 부재(3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34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IUG1, IUG2)에 구비된 각각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개구부(341)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정보 출력 유닛군(IUG1)에 구비된 6개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IU3, IU4, IU5, IU6)에 대응된 6개의 개구부(341)를구비하고, 정보 출력 유닛군(IUG2)에 구비된 6개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된 6개의 개구부(34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340)의 개구부 하나에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이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각각의 개구부(341)는 본체 부재(321)와 이격될 수 있고, 추가로 코일부(350)와 이격될 수도 있다.
상부 플레이트(34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철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4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40)의 상면은 운동부(320)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중간 부재(323)와 접할 수 있고, 특히, 운동부(320)가 운동 시 베이스 부재(301)와 가장 근접한 때에 중간 부재(323)의 면 중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부 플레이트(34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340)는 운동부(320)가 베이스 부재(301)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이를 지지하여 운동부(320)의 안정적 운동 및 정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부 플레이트(340)의 상면은 운동부(320)의 중간 부재(323)와 접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운동부(320)가 운동 시 베이스 부재(301)와 가장 근접한 때에 중간 부재(323)의 면 중 베이스 부재(301)를 향하는 면이 상부 플레이트(340)와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예를들면 본체 부재(321)의 하면이 베이스 부재(301)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본체 부재(321)의 하면과 베이스 부재(301)의 접촉 시 접촉 면적을 늘려 충격을 완화하도록 본체 부재(321)의 하면에 중간 부재(323)와 유사한 형태의 넓은 플레이트 형태의 단부가 연장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30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IUG1, IUG2)에 대응하는 가이드 보호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보호부(360)는 메인 부재(361), 가이드 개구 영역(362) 및 가이드 격벽(363)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보호부(360)는 전술한 상부 플레이트(3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 일체로 형성될수도 있다.
메인 부재(361)는 가이드 보호부(360)의 본체를 이루는 부재로서,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부재(361)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들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부재(361)는 정보 출력 장치(300)에 전체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인 부재(361)는 하부의 부재들, 예를들면 자성 부재(330), 상부 플레이트(340)등을 보호할 수 있다.
가이드 보호부(360)의 가이드 개구 영역(362)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의 가이드 개구 영역(362)은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의 가이드 개구 영역(362)은 일 정보 출력 유닛군(IUG1)에 대응되고,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IU3, IU4, IU5, IU6)에 대응될 수 있다.
가이드 격벽(363)은 가이드 개구 영역(362)의 주변에 형성되고 메인 부재(361)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격벽(363)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IU3, IU4, IU5, IU6)의 각각의 운동부(3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가이드 격벽(363)을 통하여 운동부(320)는 가이드 격벽(363)을 벗어나지 않고, 가이드 격벽(363)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320)가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의 운동부(120')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운동부(320)는 본체 부재(321), 표현 부재(322), 중간 부재(323) 및 연결 슬릿(325)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부재(323)는 제1 중간 부재(323a) 및 제2 중간 부재(323b)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중간 부재(323b)는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와 유사한 제거 영역(323c)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중간 부재(323)는 2개의 제2 중간 부재(323b)를구비하고, 2개의 제2 중간 부재(323b)의 사이에 제거 영역(323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간 부재(323b)의 단부를 가이드 격벽(363)에 대응하도록 길게 연장하거나, 적어도 운동부(320)가 표현 부재(322)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 제2 중간 부재(323b)가 가이드 격벽(363)에 의하여 가로막힐 수 있을 정도로 제2 중간 부재(323b)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운동부(320)의 운동의 원활성을 위하여 제2 중간 부재(323b)의 단부가 가이드 격벽(363)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가이드 격벽(363) 및 운동부(320)의 구성, 특히 중간 부재(323)의 구성을 통하여 운동부(320)가 가이드 돌출 부재(302)를 기준으로 상하 운동 시 운동부(320)가 표현 부재(322)를 중심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동부(320)의 비정상적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코일부(350)의 변형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보호부(360)는 홈부(364)를 구비할 수 있다. 홈부(364)는 가이드 격벽(363)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가이드 격벽(363)의 높이보다 낮은 형태로 형성되고, 예를들면 가이드 격벽(363)의 일 영역이 제거된 것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홈부(364)는 운동부(320)의 연결 슬릿(325)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부(364)는 운동부(320)의 중간 부재(323)의 제거 영역(323c)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슬릿(325)을 통하여 본체 부재(32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324)이 제거 영역(323c)과 연결될 수 있고, 내부 공간(324)의 공기가 연결 슬릿(325)을 통하여 제거 영역(323c)방향으로 용이하게 유출되고, 이러한 유출된 공기는 홈부(364)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된다.
운동부(320)가 가이드 돌출 부재(302)를 따라 이동 시 내부 공간(324)에 공기가 압축될 경우 공기의 저항으로 운동부(320)의 이동에 저항이 발생할 수 있는데 내부 공간(324)의 공기가 연결 슬릿(325)을 통하여 제거 영역(323c)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홈부(364)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으므로 운동부(320)가 받는 저항을 감소하여 운동부(320)의 운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홈부(364)는 각 정보 출력 유닛들의 운동부(320)에 대응하는 코일부(350)의 코일 가닥, 예를들면 2개의 코일 가닥이 인출되는 영역이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320)의 상하 운동시에도 코일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코일의 파손 또는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홈부(364)로 코일부(350)의 코일 가닥이 인출 시 고정할 수 있도록 홈부(364)의 상면에 부착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코일부(350)의 코일 가닥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320)의 운동 시 코일부(350)의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보호부(360)는 가이드 격벽(363)의 상면에 돌출 패턴(3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보호부(360)상에 기타 별도의 부재를 설치 시 돌출 패턴(365)을 통하여 가이드 보호부(360)상에 배치할 부재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보호부(36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보호부(360)는 내구성이 우수한 다양한 수지 계열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가이드 보호부(360)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300)는 회로 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 부재(370)는 가이드 보호부(360)상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가이드 보호부(360)의 메인 부재(361)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부재(370)은 가이드 보호부(360)의 가이드 격벽(363)을 덮지 않도록 가이드 격벽(363)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로 부재(370)은 회로 부재는 회로 기판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회로 부재(370)은 인쇄 회로 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종류의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부재이를 통하여 회로 부재(370)은 회로 부재정보 출력 장치(300)의 제어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 생성 또는 전달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군을 포함하고,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군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 즉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군에 대응되도록 자성 부재의 관통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보호부를 포함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가이드 격벽은 운동부의 비정상적 운동, 예를들면 표현 부재를 중심축으로 한 회전을 감소 또는 방지하여 운동부의 정밀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회로 부재를 가이드 보호부 상에 배치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기능의 확대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정보 출력 장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400)는 하나 이상의의 정보 출력 유닛군(IUG1, IUG2, IUG3, IUG4)을 포함한다.
즉, 도 16에는 4개의 정보 출력 유닛군이 도시되어 있으나, 정보 출력 장치(4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한 개, 두 개, 세 개 또는 다섯 개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정보 출력 유닛군(IUG1)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IU3, IU4, IU5, IU6)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6에는 일 정보 출력 유닛군(IUG1)이 여섯 개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 정보 출력 유닛군(IUG1)은 다양한 개수, 예를들면 2개 이상의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용도, 적용 제품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400)는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정보 출력 유닛군은 다양한 개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6에 도시된 정보 출력 유닛군(IUG1)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400)는 전술한 도 11의 정보 출력 장치(300)와 비교할 때, 지지부(480)가 더 포함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 베이스(미도시)는 베이스 부재(미도시) 및 가이드 돌출 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미도시)는 가이드 베이스(미도시)의 주된 부재로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베이스 부재(미도시)에 대한 기타 다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 돌출 부재(미도시)는 베이스 부재(미도시)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돌출 부재(미도시)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보 출력 장치(400)에 구비된 네 개의 정보 출력 유닛군(IUG1, IUG2, IUG3, IUG4)의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들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돌출 부재(미도시)에 대한 기타 다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운동부(420)는 가이드 베이스(미도시)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동부(420)는 가이드 베이스(미도시)의 가이드 돌출 부재(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는 본체 부재(421), 표현 부재(422) 및 중간 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부(420)는 전술한 실시예의 운동부(120)와 동일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420)는 전술한 변형예의 운동부(120')와 동일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운동부(420)에 대한 기타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각각의 운동부(420)의 주변에, 구체적으로 각각의 본체 부재(421)의 주변에 코일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미도시)에는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일부(미도시)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부(미도시)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성 부재(미도시)는 운동부(420)의 적어도 일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성 부재(미도시)는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고, 관통 영역(미도시)은 각 정보 출력 유닛군(IUG1, IUG2, IUG3, IUG4)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성 부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자성 부재(미도시) 상에 상부 플레이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미도시)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미도시)를 가지고, 개구부(미도시)는 운동부(420)의 본체 부재(미도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미도시)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에 구비된 각각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개구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기타 상부 플레이트의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부 플레이트(44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440)의 상면은 운동부(420)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중간 부재(423)와 접할 수 있고, 특히, 운동부(420)가 운동 시 베이스 부재(401)와 가장 근접한 때에 중간 부재(423)의 면 중 베이스 부재(401)를 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부 플레이트(44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 플레이트(440)는 운동부(420)가 베이스 부재(401)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이를 지지하여 운동부(420)의 안정적 운동 및 정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부 플레이트(440)의 상면은 운동부(420)의 중간 부재(423)와 접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운동부(420)가 운동 시 베이스 부재(401)와 가장 근접한 때에 중간 부재(423)의 면 중 베이스 부재(401)를 향하는 면이 상부 플레이트(440)와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예를들면 본체 부재(421)의 하면이 베이스 부재(401)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본체 부재(421)의 하면과 베이스 부재(401)의 접촉 시 접촉 면적을 늘려 충격을 완화하도록 본체 부재(421)의 하면에 중간 부재(423)와 유사한 형태의 넓은 플레이트 형태의 단부가 연장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400)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IUG1, IUG2, IUG3, IUG4)에 대응하는 가이드 보호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보호부(460)는 메인 부재(461), 가이드 개구 영역(462) 및 가이드 격벽(46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부재(461)는 가이드 보호부(460)의 본체를 이루는 부재로서,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 영역(462)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의 가이드 개구 영역(462)은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의 가이드 개구 영역(462)은 일 정보 출력 유닛군(IUG1)에 대응되고,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IU1, IU2, IU3, IU4, IU5, IU6)에 대응될 수 있다.
가이드 격벽(463)은 가이드 개구 영역(462)의 주변에 형성되고 메인 부재(461)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보호부(460)는 홈부(464)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보호부(46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회로 부재(470)을 가이드 보호부(460)상에 배치할 수 있고, 회로 부재(470)은 전술한 실시예의 회로 부재(37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480)는 운동부(420)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480)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481a, 481b)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부재(481a, 481b)는 운동부(420)의 운동 시, 적어도 일정 시점에 운동부의 중간 부재(423)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운동부(420)가 운동 시 상부로 올라갈 경우, 구체적인 예로서 최고점에 도달할 경우 지지 부재(481a, 481b)는 중간 부재(423)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부재(481a, 481b)는 중간 부재(423)의 상면과 접하면서 운동부(420)가 비정상적으로 운동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481a, 481b)는 중간 부재(423)의 상면과 접하면서 운동부(420)가 상부로 올라온 후에 하부로 하강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420)의 하부로의 운동 시 필요한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 부재(481a, 481b)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이러한 지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 부재(481a, 481b)는 유연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수지 계열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481a, 481b)의 형태를 제어, 예를들면 굵기가 얇은 판 또는 봉의 형태로 형성하여 이러한 탄성 또는 유연성을 갖게 할수도 있다. 지지 부재(481a, 481b)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지지 부재(481a, 481b)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부(420)가 최저점에 있을 때부터 중간 부재(423)의 상면과 접할 수 있고, 운동부(420)가 운동 시 지지 부재(481a, 481b)는 중간 부재(423)의 상면과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480)는 정보 출력 유닛군별로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정보 출력 유닛군별로 형성된 지지부(480)를 연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480)는 가이드 보호부(460)상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가이드 보호부(460)의 가이드 격벽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보호부(460)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 15에 도시한 가이드 보호부(360)와 동일 또는 이를 유사 적용가능하므로 도 15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480)는 복수의 지지 부재(481a, 481b)를 구비하고, 지지 부재(481a, 481b)의 각각은 하나의 운동부(420)에 대응되고 표현 부재(422)의 양측에 대응되고, 중간 부재(423)의 제2 중간 부재(423b)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지지 부재(481a, 481b)는 제1 중간 부재(423a)에 대응될 수도 있다.
복수의 지지 부재(481a, 481b)는 가이드 보호부(460)의 가이드 격벽 상에 배치 시 홈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홈부를 통한 공기 유출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드 보호부(460)는 돌출 패턴(465)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 패턴(465)의 측면에 복수의 지지 부재(481a, 481b)의 적어도 하나가 대응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접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패턴(465)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복수의 지지 부재(481a, 481b)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운동부(420)에 대응한 지지 부재(481b), 이와 인접한 다른 운동부(420)에 대응하는 지지 부재(481a)가 돌출 패턴(465)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 부재(481a, 481b)가 이에 대응되는 하나의 운동부(42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운동부(420)의 운동을 정밀하고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출력 장치(400)는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군을 포함하고,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군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 즉 하나의 정보 출력 유닛군에 대응되도록 자성 부재의 관통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보호부를 포함하여 운동부의 운동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가이드 격벽은 운동부의 비정상적 운동, 예를들면 표현 부재를 중심축으로 한 회전을 감소 또는 방지하여 운동부의 정밀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회로 부재를 가이드 보호부 상에 배치하여 정보 출력 장치의 기능의 확대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400)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하나의 운동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부의 비정상적 운동, 예를들면 원하는 최고점보다 비정상적으로 높이 운동, 표현 부재를 회전축으로 한 회전 운동, 흔들림 등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운동부의 정밀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정보 출력 장치
110, 210, 310: 가이드 베이스
120, 120', 220, 320, 420: 운동부
130, 230, 330: 자성 부재
140, 240, 340: 상부 플레이트
150, 250, 350: 코일부
360, 460: 가이드 보호부
480: 지지부

Claims (19)

  1.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가이드 베이스;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출 부재에 대응되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운동에 따라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운동부; 및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상기 운동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자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는 상기 가이드 돌출 부재에 끼워지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부재, 상기 본체 부재와 상기 표현 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일측에 배치된 제1 중간 부재, 상기 일측과 마주보는 일 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2 중간 부재 및 상기 제2 중간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거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비대칭의 평면 형태를 갖는 정보 출력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연결 슬릿을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코일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운동부에 대응되는 관통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 부재의 관통 영역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정보 출력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운동부의 운동 시 일면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의 운동부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정보 출력 장치.
  12.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가이드 베이스;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출 부재에 대응되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운동에 따라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운동부; 및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상기 운동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자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 부재 상에 배치되고 메인 부재, 가이드 개구 영역 및 가이드 격벽을 구비하는 가이드 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개구 영역은 상기 메인 부재에 형성되고 적어도 운동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격벽은 상기 운동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개구 영역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부재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갖는 정보 출력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개구 영역은 복수의 정보 출력 유닛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정보 출력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보호부는 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가이드 격벽의 일 영역에 상기 가이드 격벽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를 갖는 정보 출력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보호부 상에 배치되는 회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16.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가이드 베이스;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출 부재에 대응되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고, 상기 운동에 따라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운동부; 및
    상기 가이드 베이스 상에 상기 운동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자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운동부의 운동 시 일 영역과 접하도록 상기 자성 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운동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정보 출력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정보 출력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유닛의 상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KR1020160046969A 2016-04-18 2016-04-18 정보 출력 장치 KR101844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69A KR101844506B1 (ko) 2016-04-18 2016-04-18 정보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69A KR101844506B1 (ko) 2016-04-18 2016-04-18 정보 출력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708A Division KR20180033490A (ko) 2018-03-26 2018-03-26 정보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57A KR20170119157A (ko) 2017-10-26
KR101844506B1 true KR101844506B1 (ko) 2018-05-18

Family

ID=6030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969A KR101844506B1 (ko) 2016-04-18 2016-04-18 정보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07B1 (ko) * 2018-05-24 2021-05-03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1117B2 (ja) * 1997-05-20 2005-06-15 三明電機株式会社 自己保持型ソレノイド
JP2007511399A (ja) * 2003-10-21 2007-05-10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車輌内装置用にユーザ音声プロファイルを選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250942A (ja) * 2012-06-04 2013-12-12 Aisin Aw Co Ltd 入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1117B2 (ja) * 1997-05-20 2005-06-15 三明電機株式会社 自己保持型ソレノイド
JP2007511399A (ja) * 2003-10-21 2007-05-10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車輌内装置用にユーザ音声プロファイルを選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3250942A (ja) * 2012-06-04 2013-12-12 Aisin Aw Co Ltd 入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57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92653B (zh) 信息输出装置
KR101746151B1 (ko) 정보 출력 장치
US9048718B2 (en) Linear vibrator having pole plate positioned in weight thereof
US9059625B2 (en) Linear vibration device having spring
CN113395375B (zh) 振动发生装置及具有该振动发生装置的电子设备
US10367402B2 (en) Vibration motor
US20170070132A1 (en) Linear Vibrator
US11025149B2 (en) Linear vibration motor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33490A (ko) 정보 출력 장치
KR101378891B1 (ko) 터치 모션 스위치
US10381908B2 (en) Vibration motor
US10637339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844506B1 (ko) 정보 출력 장치
JP2013541282A (ja) 電気力学的アクチュエータ
KR20170125761A (ko) 정보 출력 장치
US20190073923A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1949450B1 (ko) 정보 출력 장치
KR20170089827A (ko) 정보 출력 장치
JP6846722B2 (ja) 平面モータ
KR101763395B1 (ko) 정보 출력 장치
KR20170035464A (ko) 선형 진동자
JP5856469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スピーカ
US10396644B2 (en) Vibration motor
KR100908033B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102429908B1 (ko) 정보 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