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135B1 -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 Google Patents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135B1
KR101844135B1 KR1020160043153A KR20160043153A KR101844135B1 KR 101844135 B1 KR101844135 B1 KR 101844135B1 KR 1020160043153 A KR1020160043153 A KR 1020160043153A KR 20160043153 A KR20160043153 A KR 20160043153A KR 101844135 B1 KR101844135 B1 KR 10184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hole
insertion hole
shoe
sectio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1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5682A (en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박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순 filed Critical 박지순
Priority to KR102016004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135B1/en
Publication of KR2017011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6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1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신발끈 결속장치는 신발에 배치되는 본체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발끈을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한다. 결속유닛은, 본체를 각각 관통하여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신발끈이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도록 신발끈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각각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신발끈의 단부가 삽입 가능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제1관통공과 겹치게 배치되는 제1삽입공; 및 신발끈의 단부가 삽입 가능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제2관통공과 겹치게 배치되는 제2삽입공;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A shoe string binding apparatus and shoe string binding kit are disclosed. The shoelace b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disposed in a shoe and a binding unit binding the shoel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ain body.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so as to have a cross sectional area smaller tha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hoelace, respectively, so that the shoelace is inserted and insert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 first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main body so that the end of the shoelace may have an insertable cross-sectional area,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overlapped with the first through-hol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body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hoelace has an insertable cross-sectional area,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overlapped with the second through-hole.

Description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trap fastening device and a shoe strap fastening kit,

본 발명은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끈을 매듭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tying device and a shoe string tying k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lace tying device and a shoelace tying kit that can be fixed without a knot.

운동화 또는 일부 구두 등의 신발은 끈을 이용하여 조 여주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특히 도보나 조깅시 착용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발끈은 신발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지그재그 방식 등으로 통과시킨 후에 최종적으로 신발의 상단부에서 매듭, 예를 들어 리봇 형태의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된다. 그러나 매듭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고, 특히 어린이에게는 쉽지 않다. 더구나, 신발을 다시 신기 위해서는 매듭을 풀고 신발을 신은 후에 다시 매듭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불편하였다. Shoes such as athletic shoes or some shoes are configured to tighten with a strap so that the user's feet do not fall easily,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fit when walking or jogging. Then, the shoelace is fixed b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hoe in a zigzag manner and finally knotting at the upper end of the shoe, for example, forming a rib-shaped knot. However, knotting is not easy, especially for children. Moreover, in order to re-wear the shoes, it is often uncomfortable to unhook the knots and re-form the knots after wearing the shoes.

이러한 종래의 매듭을 이용한 신발 조임 구조를 개선하고자, "록 레이스(LOCK LACES)"라는 상표의 장치가 고안되어 시판되고 있다(www.locklaces.com).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이스 장치(200)는 종래의 신발끈 대신 탄력성이 보다 우수한 신발끈(1)을 이용하여 신발에 형성된 구멍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통과시킨 후에, 코드 락(210)(cordlock)에 신발끈의 양측을 통과시키고, 적정 길이, 예를 들어 2 내지 3 인치를 남기고 자른 후, 양단부를 클립(220)의 내부에 넣고 닫음으로써 마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드 락(210)은 신발끈(1)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판(211)과, 판을 수용하는 케이스(212)와, 케이스(212) 내부에 배치되되 판을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판(211)의 상측부를 하방으로 누르면 판이 하방으로 움직이므로 신발끈(1)을 판의 구멍에 통과시킬 수 있으며, 판(211)의 누름을 해제되면 판이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신발끈은 케이스(212)과 판(211) 사이에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가압되며, 이에 따라 신발끈의 움직이지 않고 위치 고정된다. To improve the shoe tightening structure using such a conventional knot, a device of the trademark "LOCK LACES" is designed and marketed (www.locklaces.com). As shown in Fig. 7, after the lace device 200 is passed in a zigzag manner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shoe using a shoe strap 1 having better elasticity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shoestring, the cord lock 210 for example, 2 to 3 inches, and then both ends of the shoelace are inserted into the clip 220 and closed by closing the shoelace. The code lock 210 includes a plate 211 on which a hole through which the shoelace 1 passes, a case 212 for accommodating the plate, a spring 212 disposed inside the case 212 for elastically biasing the plate upward, (Not shown). The shoe strap 1 can be passed through the hole of the plate as the plate moves downward whe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211 is downwardly moved. When the plate 211 is released, ) And the plate 211 by a spring (not shown), there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shoelace without moving.

그러나 상술한 레이스 장치(200)에서도, 장시간 걷거나 뛰는 경우, 신발끈(1)이 코드 락(210)에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게 되어 결국 신발끈(1)이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발끈을 다시 조여주거나, 코드 락(210)과 클립(220) 사이의 신발끈 부분을 다른 방식(예를 들어 상기 신발끈 부분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결속된 신발끈 사이에 넣은 방식)으로 고정해야만 하였다. 또한 코드 락(210)과 클립(220) 사이의 신발끈 부분은 일반적으로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걷거나 뛸 때에, 상하, 좌우 등으로 움직여서 신발의 발등 부분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운동화의 착용감을 저하시키고 도보나 조깅 등의 활동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lace device 200, when the user walks or runs for a long time, the shoelace 1 is not fixed to the cord lock 210 but moves, resulting in loosening of the shoelace 1. Thus, the user can either re-tighten the shoelace or adjust the shoelace portion between the cord lock 210 and the clip 220 in a different manner (e.g., by putting the shoelace string between the shoelace straps tied in a zigzag fashion) Had to be fixed. In addition, the shoelace string portion between the code lock 210 and the clip 220 is not fixed, and when the player walks or runs, the shoelace is moved up and down, left and right to impact the foot portion of the shoe, And causing jogging and other activities to be inconvenient.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833682호에는 신발끈의 결속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고가이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orean Patent No. 10-0833682 discloses a shoelace binding apparatus, but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and durability is poor.

한국 등록특허 제10-0833682호Korean Patent No. 10-0833682

시판 중인 "록 레이스(LOCK LACES)" 장치(www.locklaces.com 참조) A commercially available "LOCK LACES" device (see www.locklaces.com)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끈을 간편한 방식으로 빠른 시간 내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lace tying device and a shoelace tying kit improved in structure so that the shoe strap can be easily and quickly bound in a short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끈이 결속되기만 하면 풀려서 느슨해지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lace tying device and a shoelace tying kit improved in structure so as not to be loosened and loosened when the shoelace string is engag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끈의 양단부가 결속됨으로써 종래와 달리 불필요하게 남게 되어 활동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신발끈 부분이 원천적으로 제거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lace fastening device and a shoelace fastening device having improved structure so that shoe strap portions which are inconvenient at the time of operation can be removed originally because both ends of the shoelace strap are bound together,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조비가 절감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string binding apparatus and shoe string fastening kit improved in structure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the durability is excellent,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신발끈 결속장치는 신발에 배치되는 본체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발끈을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본체를 각각 관통하여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신발끈이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도록 상기 신발끈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각각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상기 신발끈의 단부가 삽입 가능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관통공과 겹치게 배치되는 제1삽입공; 및 상기 신발끈의 단부가 삽입 가능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관통공과 겹치게 배치되는 제2삽입공;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 shoelace b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rranged in a shoe, and a binding unit for binding a shoelac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ody,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so as to have a cross sectional area smaller tha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hoelace, so that the shoelace is inserted and insert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 first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body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hoelace has an insertable cross-sectional area,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hole being overlapped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main body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hoelace has an insertable cross-sectional area,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overlaps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여기서,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각각 직사각형상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은 각각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 및 제1삽입공은 상기 제2관통공 및 제2삽입공과 면대칭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are each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e is arranged in a plane symmetrical shape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각각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이는 상기 신발끈의 부분과 마주하는 부분이 뽀족하게 형성된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inding unit is form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binding unit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portion of the shoelace fittingly held 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portion having a sharpened por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신발끈 결속 키트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신발끈 결속장치 및 상기 신발끈 결속장치에 결속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발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hoelace string bind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as to include a shoe string t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hoelace strap bound to the shoelace string tying device and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신발끈 결속 장치는 한 켤레의 신발에 대해서 4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four shoelace binding devices are provided for one pair of shoes.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끈을 본체에 형성된 결속유닛에 간편한 방식으로 빠른 시간 내에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lace can be fastened to the binding unit formed on the body in a simple manner in a short time.

또한 신발끈은 결속되기만 하면 풀리지 않게 된다. Also, the shoelace can not be released if it is tied.

그리고 신발끈이 결속되면 강성부를 자를 수 있게 되므로,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게 된다. And, when the shoelace is tied, the rigid portion can be cut, so that there is no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가 신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끈 결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끈 결속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신발끈 끝의 단부 부분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신발끈 결속장치의 사시도로서, 신발끈이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oelace t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ho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lace bond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hoelace bond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d portion of the shoelace e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lace bonding apparatus of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oelace string is engaged.
7 is a schematic view of a shoelace b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가 신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끈 결속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끈 결속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lace t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sho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lace ty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1.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100)는 신발(3)에 설치되어 신발끈(1)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이다.1 to 4, a shoelace bin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hoe 3 to bind a shoelace 1.

신발끈(1)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발끈(1)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무줄과 같은 복수의 신축 가능한 부재를 피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발끈(1)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고,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신발끈(1)의 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강성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강성부(2)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실린더 형상의 투명한 커버가 신발끈의 단부에 삽입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강성부(2)는 신발끈(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신발끈(1)의 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강성부(2)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신발끈은 납작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강성부(2)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신발끈(1)보다 큰 강성을 가지고, 구부러지지 않고 그 형상을 유지한다. 강성부(2)는 신발끈(1)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신발끈(1)은 이미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판단되는바, 그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The shoelace 1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hoelace 1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by covering a plurality of expandable members such as a rubber band. As described above, the shoe strap 1 is formed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formed in a flat shape. At the end of the shoelace 1, a rigid portion 2 is formed as shown in Fig. The rigid portion 2 is a portion formed by inserting a cylinder-shaped transparent cover made of plastic into the end portion of the shoelace. The rigid portion 2 is fix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shoelace 1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end of the shoelace 1. The rigid portion 2 is formed in a cylinder shape, and the shoelace is formed in a flat rectangular shape. Further, the rigid portion 2 is made of plastic, has a greater rigidity than the shoelace 1, and does not bend and maintain its shape. The rigid portion 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hoelace 1. The shoelace 1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lready commercially available, and it is judged that the shoe strap 1 is self-evident to the ordinary artisan, and the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의 신발끈 결속장치(100)는 신발끈(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신발끈(1)을 신발(3)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속한다. 신발끈 결속장치는 신발 한 켤레에 대해 4개 필요하고, 각각 신발끈 결속장치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는바, 이하에서는 하나의 신발끈 결속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shoelace bond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oelace 1 to bind the shoe strap 1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shoelace. Four shoelace tying devices are required for one pair of shoes, and each of the shoelace tying devices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Hereinafter, one shoelace tying device will be described.

신발끈 결속장치(100)는 본체(10)와, 결속유닛(20)을 구비한다. The shoe string bind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binding unit 20.

본체(10)는 신발의 발등 부분에 배치된다. 본체(1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제조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발등이 곡면과 대응될 수 있도록 저면이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도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캐릭터가 인쇄된 스티커나 인쇄물이 부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disposed at the foot portion of the shoe. The main body 10 is made of plastic or metal and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but may be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has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foot may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sticker or printed matter printed with a character may be attach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결속유닛(20)은 신발끈(1)을 본체(10)에 결속시키는 위한 것으로서, 제1관통공(21)과 제2관통공(22),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 및 돌기부(25)를 구비한다. The binding unit 20 is for binding the shoelace 1 to the main body 10 and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21 and a second through hole 22, a first insertion hole 23, (24) and a projection (25).

제1관통공(21)과 제2관통공(22)은 각각 본체(10)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관통공(21)과 제2관통공(22)에는 각각 신발끈(1)이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인다. 즉 제1관통공(21)과 제2관통공(22)은 그 단면적이 삽입되는 신발끈의 단면적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신발끈(1)은 제1관통공(21) 및 제2관통공(22) 각각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쉽게 빠지지 않는다. 제1관통공(21)과 제2관통공(2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are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main body 10 without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hoelace 1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respectively,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That is,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are formed so that their cross-sectional area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hoelace string to be inserted. Therefore, the shoelace 1 is not easily released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through-hole 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through-hole 22, respectively.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in this embodiment, they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은 각각 본체(10)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은 그 일부분이 각각 제1관통공(21) 및 제2관통공(22)에 각각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은 신발끈의 단부, 특히 신발끈의 강성부(2)가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단면적으로 가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의 크기는 신발끈의 강성부(2)의 단면적과 대략 동일한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삽입공(24) 및 제1삽입공(23)은 강성부(2) 뿐만 아니라 신발끈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신발끈은 어려움 없이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insertion hole 23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4 are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main body 10 and not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insertion hole 23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4 are arranged such that a part thereof overlaps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respectively. The first insertion hole 23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4 ar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such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hoelace, particularly the rigid portion 2 of the shoelace, is inserted and allowed to pass through.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first insertion hole 23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4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sectional area of the rigid portion 2 of the shoelace. Also, the second insertion hole 24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23 are formed to be large enough to accommodate not only the rigid portion 2 but also the shoelace, so that the shoelace can be inserted without difficulty.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삽입공(23)과 제2삽입공(24)은 각각 곡면 형상, 특히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삽입공(23)과 제1관통공(21)은 서로 대응되고, 제2삽입공(24)과 제2관통공(22)과 서로 대응되며, 이들 쌍은 면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삽입공(23)은 그 일측 부분과 타측 부분이 각각 제1관통공(21)의 양측에 대해 돌출되게 겹쳐진다. 제2삽입공(24) 역시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관통공(22)과 겹쳐지게 배치된다.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sertion hole 23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4 are each formed in a curved shape, particularly a circular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sertion hole 23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se pairs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plane symmetry have. In addition,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hole (23) overlap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irst through hole (21). The second insertion hole 24 is also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22 in the same manner.

돌기부(25)는 본체(10)에서 돌출 형성된 부분으로서, 그 상부가 뽀족한 첨탑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기부(25)는 제1관통공(21)과 제2관통공(22) 사이에 한 쌍이 배치된다. 돌기부(25)의 상부, 즉 뽀족한 첨탑 형상은 제1관통공(21)과 제2관통공(22)을 통과하여 끼워지는 신발끈(1)과 접촉하여 신발끈을 압박한다. 이와 같이 신발끈(1) 부분이 돌기부(25)의 뽀족한 첨탑 형상에 의해 압박되므로 신발끈(1)이 풀어지는 현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The protrusion 25 is a protruded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formed into a sharp spiral shape. A pair of the protrusions 2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s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22. [ An upper portion of the projection 25, that is, a sharp spiral shape, contacts the shoelace 1 which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and presses the shoelac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rtion of the shoelace string 1 is pressed by the sharp spiral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25, the phenomenon that the shoelace string 1 is released is more effectively prevented.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신발끈 결속장치(100)를 이용하여 신발끈(1)을 고정하는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fixing the shoelace 1 using the shoe-string binding apparatus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강성부(2)가 양단부에만 형성된 신발끈(1)을 준비한 후에, 신발끈(1)을 신발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통과시키고, 사용자가 자신의 발 크기에 맞게 적절하게 당긴다. 다음으로 두 개의 결속장치(100)를 준비하고, 신발끈(1)의 각 단부의 강성부(2)를 제1삽입공(23) 및 제2삽입공(24)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결속장치(100)에 고정시키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After the rigid portion 2 is prepared at both ends only, the shoelace 1 is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hoe in a staggered manner so that the user pulls the shoelace 1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oot of the user. Next, the two binding apparatuses 100 are prepared, and the rigid portion 2 of each end of the shoelace 1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23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4, ), The process of which is as follows.

강성부(2)를 제2삽입공(24)에 삽입하여 신발끈(1)이 제2관통공(22)에 끼워지도록 한 후에, 다시 그 삽입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강성부(2)를 제1삽입공(23)에 삽입하여 당김으로써 신발끈(1)이 제1관통공(21)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강성부(2)를 삽입하면, 그 과정에서 신발끈(1)이 제1관통공(21) 및 제2관통공(22)의 내측면에 각각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게 되므로, 신발끈(1)은 빠지지 않고 결속장치(100)에 위치 고정된다. 또한 돌기부(25)는 뽀족하게 형성되어 제1관통공(21) 및 제2관통공(22) 사이의 신발끈 부분에 고정되어 신발끈을 누를 수 밖에 없게 되어 신발끈(1)은 더욱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발끈(1)이 제1관통공(21) 및 제2관통공(22)이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므로 그 단면이 납작하게 변형되어 끼워지고, 나아가 돌기부(25) 역시 신발끈(1)을 누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rigid portion 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24 so that the shoelace 1 is fitt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22 and then the rigid portion 2 is inserted agai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The shoe strap 1 is inserted into the hole 23 and pulled so that the shoe strap 1 is fit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21. [ When the rigid portion 2 is inserted in this manner, the shoelace 1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hole 22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1) is fixed to the binding apparatus 100 without being pulled out. The protruding portion 25 is formed in a pointed manner and is fixed to the shoelace portion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so that the shoelace 1 is forced to be pressed, Position is fixed. 4, the shoe strap 1 is fitted with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by interference fit, so that its end face is flatly deformed and fitted, and furthermore, the protrusion 25 ) Is also holding the shoelace (1).

이와 같이 신발끈(1)을 결속장치(100)에 고정된 후, 신발끈(1)의 강성부(2)를 절단하여, 결속장치(100)가 보일 뿐 강성부(2)가 결속장치(100) 밖으로 나와 보이지 않게 하여 마감 처리를 깨긋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발끈(1)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종래와는 달리 도보나 조깅시에 운동화의 발등 부분에 부딪혀서 충격을 가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After the shoe strap 1 is fixed to the binding apparatus 100 and the rigid portion 2 of the shoelace string 1 is cut so that the rigid portion 2 is visible only to the binding apparatus 100, You can leave it out so it does not look clean. Therefore,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shoelace 1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ereby preventing a shock from being struck against the foot of the shoe during walking or jogging.

또한 강성부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강성부(2) 역시 동일 방법으로 결속장치(100)에 고정할 수 있고, 그 강성부(2)를 또한 절단할 수도 있다. Also, the rigid portion 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igid portion can be fixed to the binding apparatus 100 in the same manner, and the rigid portion 2 can also be cut.

이와 같이 하나의 신발(1)에 대해 2개의 결속장치(100)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고정할 수 있고, 그 모습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oelace can be fixed to one shoe 1 by using the two binding apparatuses 100, and its appearance i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끈(1)을 제1삽입공(23) 및 제2삽입공(22)에 삽입시켜 당기면 신발끈(1)이 제1관통공(21) 및 제2관통공(22)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져서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신발끈을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나 노약자라도 종래와 달리 매듭을 짓지 않고 쉽게 결속할 수 있게 된다. 한번 결속하면 다시 결속할 필요없이 벗고 신을 수 있다. 또한 도보나 조깅시에도 한번 조여진 신발끈(1)은 느슨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shoelace 1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 when the shoelace 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23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2 and pulled, So that the shoelace can be effectively fasten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s a result, even young children and elderly people can easily bind without knotting unlike the conventional ones. Once you bind, you can wear off without having to bond again. Also, the shoelace 1 fastened once even when walking or jogging is not loosened.

그리고 강성부(2)를 자르더라도 신발끈(1)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므로 신발끈(1)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불필요한 부분이 남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도보나 조깅시에 운동화의 발등 부분에 부딪혀서 충격을 가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는 조깅이나 도보시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Even if the rigid portion 2 is cut, the shoelace 1 is fixed firmly, so that the shoelace 1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so that an unnecessary portion is not left. Therefore, unlike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a user hits a foot portion of a sneaker during walking or jogging to apply a shock, and the user does not feel a great inconvenience when jogging or walking.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sibilities are obvious.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돌기부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돌기부의 개수는 적절하게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otrusion is inclu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 may not be provided. Also, the number of protrusions can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1...신발끈 2...강성부
3...신발 10...본체
20...결속유닛 21...제1관통공
22...제2관통공 23...제1삽입공
24...제2삽입공 25...돌기부
100...신발끈 결속장치 200...종래 레이스장치
210...코드 락 211...판
212...케이스 220...클립
1 ... shoelace 2 ... rigid portion
3 ... shoe 10 ... body
20 ... binding unit 21 ... first through hole
22 ... second through hole 23 ... first insertion hole
24 ... second insertion hole 25 ... protrusion
100 ... shoelace string binding device 200 ... conventional lace device
210 ... code lock 211 ... edition
212 ... case 220 ... clip

Claims (4)

신발의 신발끈 구멍에 위치하는 본체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발끈을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본체를 각각 관통하여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신발끈이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도록 상기 신발끈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각각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상기 신발끈의 단부가 삽입 가능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관통공과 겹치게 배치되는 제1삽입공;
상기 신발끈의 단부가 삽입 가능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관통공과 겹치게 배치되는 제2삽입공; 및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신발끈의 부분과 마주하는 부분이 첨탑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And a binding unit for binding a shoe strap capable of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main body,
The binding unit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main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cross sectional area smaller tha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hoelace,
A first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body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hoelace has an insertable cross-sectional area,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hole being overlapped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 second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body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shoelace has an insertable cross-sectional area,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being overlapped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nd a protrud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having a portion facing the portion of the shoelac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각각 직사각형상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은 각각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 및 제1삽입공은 상기 제2관통공 및 제2삽입공과 면대칭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are each formed in a curved shape,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are disposed in a plane symmetrical relation 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 및
상기 신발끈 결속장치에 결속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발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 키트.
A shoelac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nd a shoelace strap fastened to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and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160043153A 2016-04-08 2016-04-08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KR1018441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53A KR101844135B1 (en) 2016-04-08 2016-04-08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53A KR101844135B1 (en) 2016-04-08 2016-04-08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82A KR20170115682A (en) 2017-10-18
KR101844135B1 true KR101844135B1 (en) 2018-03-30

Family

ID=6029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153A KR101844135B1 (en) 2016-04-08 2016-04-08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1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501A (en) 2020-07-23 2022-02-04 장정운 Shoes accesso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799A (en) 2017-11-23 2019-05-31 박찬혁 shoestring binder
EP4181726B1 (en) * 2020-07-17 2024-04-24 NIKE Innovate C.V. Easy lac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382Y1 (en) 2008-11-28 2009-05-11 박정주 A Footwear string connecting fix to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382Y1 (en) 2008-11-28 2009-05-11 박정주 A Footwear string connecting fix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501A (en) 2020-07-23 2022-02-04 장정운 Shoes access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682A (en)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073B1 (en) Shoelace tightening structure
KR101506676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and method for mounting thereof
US20100287791A1 (en) Shoelace Locker and Shoe with the Same
KR101844135B1 (en)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US20160058128A1 (en) Shoe Lace Securing Device
US20170280827A1 (en) Adjustable Shoelace Fastener and Method of Use
JP2006527001A (en) Shoelace binding device
US20130117976A1 (en)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10010138B1 (en) Shoe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s
US20080271299A1 (en) Magnetic shoe lace
US11122859B2 (en) Bouncing shoe-holder
US20080168680A1 (en) Tap shoe with multiple fastening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e that provides the look and feel of a laced and elastically retained shoe
US5722132A (en) Locking device for receiving and removable, retaining therein a stretchable lace
KR101509923B1 (en)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US20060042056A1 (en) Shoelace tightening device
KR101315194B1 (en) Device for tightening up a shoelace
KR200273526Y1 (en) Apparatus for binding a shoes string
JP3153197U (en) Athletic shoes
KR200451160Y1 (en) Device for preventing untying of shoelace knot
KR200474869Y1 (en) 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US201501283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nd tightening laces
KR101582511B1 (en) A shoes and a method for tying the shoestring
JP3229122U (en) Athletic shoes
KR200474036Y1 (en) 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KR20110007917U (en) Fixing device of shoestrings kn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