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112B1 - 눈길이나 빙판의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눈길이나 빙판의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12B1
KR101843112B1 KR1020150025837A KR20150025837A KR101843112B1 KR 101843112 B1 KR101843112 B1 KR 101843112B1 KR 1020150025837 A KR1020150025837 A KR 1020150025837A KR 20150025837 A KR20150025837 A KR 20150025837A KR 101843112 B1 KR101843112 B1 KR 10184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view
tire
hollow squar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855A (ko
Inventor
김명원
Original Assignee
김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원 filed Critical 김명원
Priority to KR102015002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1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4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automatically attach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0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with a kinematic mechanism or gea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175Preventing, or responsive to skidding of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빙판이나 눈이 왔을 때 주행하는 차량들이 미끄럼으로부터 해소되기 위한 미끄럼 저감 장치로서 발명의 목적은 빙판이나 눈이 왔을 때 주행하는 차량들이 미끄럼으로 인해 운행이 불가하거나 또는 제동이 길어져 추돌이나 전복 등으로 인명의 사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부터 미끄럼이 저감되어 운행시 안전 운행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발명의 구성으로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첫째, 빙판이나 눈 위 직접접촉을 하게 되는 타이어와 스노우 체인이 결합되고 또한 동시에 각 지면의 상태에 따라 받게 될 다양한 요철 구조들에 대응하기 위한 쇽업쇼바가 결합된 완충 및 마찰 제고 장치
둘째, 완충 및 마찰 제고 장치가 상하 이동이 자유스럽게 이루어지기 위한 이송장치
셋째, 이송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로 하게 되는 원천 동력장치로 구성되었다.
이상과 같은 각 부문 장치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전체 미끄럼 저감장치가 되어 이 장치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간단히 장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기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발명의 효과로는 빙판이나 눈이 왔을 때 종래의 경우처럼 일일이 직접 손으로 불편하고 수고하여 스노우 체인을 걸고 풀거나 또는 스노우 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 조작을 하게 된 본 장치만으로 미끄럼을 저감시켜 불가능한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제동 길이가 길어져 각종 추돌이나 전복 사고 등으로 부터 감소시키게 되는 효과로 인해 안전 운행이 되게 된 장치 발명으로 되었다.

Description

눈길이나 빙판의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the auto snow safety device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 구성품 중 한 부문 장치로서 겨울철 특히 빙판 형성이나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 차량이 주행되어야 하는 것에서 불가항력적인 자연 현상으로부터 인위적으로 극복을 해내는 수단과 방법을 산업적 기술을 이용하여 대응하여 해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자동차를 이용하게 되는 일에서 본 장치를 자동차에 다른 장치들과 함께 구성시켜 필요시 본 장치를 가동시켜 당면하는 문제가 해결 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종래의 경우에 눈이 많이 왔거나 빙판에 주행을 하고잘 할 경우에는 스노우 체인을 감아 운행을 하거나 기타 유사한 수단을 사용하여 주행을 해왔거나 아니면 스노우 타이어 그 자체를 이용하여 운행에 사용을 해왔었다. 이를 경우 주행 중 발생되는 미끄럼으로부터 충분하게 방호를 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그나마 저감의 효과에 대해 그 수단과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기술적 수준으로 대응을 해왔다. 여기서 중요점은 그러한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고자 할 때 발생되는 일들, 즉 스노우 타이어를 사용할 경우는 체인을 감지 않기 때문에 체인을 감아 사용하는 것 보다는 편익을 추구할 수는 있으나 그 기능이 떨어지고 또한 한 철용 사용하기 위해 전천후 사계절용으로 구입해야 하는 부담을 가져야 하고 체인이나 그 유사한 기능을 가진 제품들을 사용할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체인을 구입하고 유지하는 비용부담은 해야 하나 더 중요한 점은 일일이 체인을 감았다 풀어야 하는 수고를 해야 하고 또한 잘 감아야만 하는 숙련도 필요로 하는 일이 필요하여 여성이나 노인들은 그 부담들이 결코 만족할 수 없는 일로서 부실하게 처지를 하거나 포기를 해버리는 경우들이 있게 되어 예방될 수 있는 안전사고들도 사고가 나 버리게 되는 상태로 되어져 왔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술은 물리적인 기계 장치들을 이용한 것들로서 주로 일 에너지들을 이용한 구성으로 되었다. 본 장치의 에너지 원천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 전기에너지를 일 에너지로 만들어 본 장치가 기능하는 동력원이 되게 한 것이며 전기에너지는 구동을 형성시키는 전동 모터에 공급되어 이 모터가 회전력을 만들어 이 회전력에 동력 전달장치들인 기어들이 결합되고 이기어의 보스에는 환봉 축이 결합되어 이 축이 회전력에 의해 결합된 장치에 의해 동시에 회전이 되게 되어 이 축의 일측에 결합된 다른 장치인 래크와 피니언이 상하 이송을 해주게끔 하여 이 상하 이송의 일에 의해 이 래크에 결합된 속업쇼바 장치도 동시에 상하 이송이 되어져 주게 되고 이 속업바 장치는 필요로 할 때 상하 이송에 의해 필요로 하는 위치, 즉 쇽업쇼바가 장치된 스노우용 바퀴와 그 외부에 감긴 체인이 동시에 지면에 닿아 위치되면 회전 전동은 자동으로 중지되고 고정되어져 버린 상태에서 이 지면에 닿은 바퀴는 회전을 하면서 빙판이나 눈 위에 마찰을 일으켜 적정한 접지력을 발휘하게 되어 미끄럼이 발생되는 상태에서 적정한 마찰을 형성시켜 미끄럼이 저감되어 안전 운행이 되게 되는 일련의 절차와 기술적 수단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 할 필요가 없게 되는 봄, 여름, 가을이나 눈이 안 올 때, 빙판이 아닌 곳에서 철수를 하게 되는 일도 자동으로 역순으로 원천 동력이 작동되어 원상태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이 되는 장치가 되게 되었다.
본 발명이 발명을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분야에서 언급한 문제들과 불만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하는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하였다.
첫째, 눈이 올 때나 빙판이 형성되어졌을 때 안전 운행이 될 수 있게 하는 장치가 있게 하는 일
둘째, 장치를 이용하는 일에서 수작업이 아니라 자동으로 장치를 해결 하 수 있게 하는 일로 하는 것이다.
이들을 위한 해결 과제들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다음의 3부문으로 장치 구성을 하기로 하였다.
발명의 해결 수단의 구성 과제로서 크게 3부분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첫째, 빙판이나 눈 위 직접 접촉을 하게 되는 타이어와 스노우 체인이 결합되는 일에서 한 번의 결합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결합으로 하여 종래처럼 반복적으로 풀고 감고 하지 않아도 되게 하는 것과 또한 동시에 각 지면의 상태에 따라 받게 될 다양한 요철 구조들에 대응하기 위한 쇽업쇼바가 결합된 완충 및 마찰 제고 장치로 하는 것이며
둘째, 상기 첫째의 완충 및 마찰 제고 장치가 필요시에만 사용이 가능하게 상하 이동이 자유스럽게 이루어지기 위한 이송장치가 있게 하는 일
셋째, 상기 둘째의 이송장치가 필요시마다 순기능으로 작동되기 위하여 필요로 하게 되는 원천 동력 장치가 있게 구성 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필요로 할 때 즉석에서 자동적으로 본 미끄럼 저감장치가 기능하여 필요로 하는 목적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들의 구체적인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다음의 3부문의 장치 구성으로 되었다.
첫째, 빙판이나 눈 위 직접 접촉을 하게 되는 타이어와 이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게 되기 위해 스노우 체인이 결합되는 일에서 최초 한 번의 체인 결합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결합으로 되어 종래처럼 반복적으로 풀고 감고 하지 않아도 않게 된 것과 또한 동시에 각 지면의 상태에 따라 받게 될 다양한 지면 요철 구조들에 대응하기 위한 쇽업쇼바 장치가 결합된 완충 및 마찰 제고 장치로 된 것이며
둘째, 상기 첫째의 쇽업쇼바 장치와 타이어 및 체인이 결합된 완충 및 마찰 제고 장치가 필요시에만 사용이 가능하게 필요시 쇽업쇼바 장치가 제한된 궤도상에서 상하 이동이 자유스럽게 이루어지기 위한 이송장치가 있게 된 것
셋째, 상기 둘째의 이송장치가 필요시마다 순기능으로 작동되기 위하여 필요로 하게 되는 때에 자동으로 기능되게 원천 동력 장치가 있게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장치들은 하나의 전체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로서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본 발명 장치를 필요로 할 때 즉석에서 자동적으로 본 미끄럼 저감장치가 기능하여 필요로 하는 목적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상기의 것들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체 상기 3부문으로 된 장치들의 결합 구조와 기능, 구성품들의 형상과 작용들의 기술적 사상들로 기능하게된 것으로서
도면의 도1에서 도 38까지는 전체 및 각 부문별, 그리고 주요 개별 구성품들이 도시되었고 그 구성과 작용은 각 부문별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먼저 기본적인 전체 구성과 작용 관계는 동력 원천인 동력 모터(9)로부터 회전력을 발생시켜 이 발생된 회전력은 동력 모터 축에 결합된 모터 기어(20)에 전동이 되고 이 동력 모터 축에 결합된 모터 기어(20)에 전동된 회전력은 모터 기어(20)에 외접된 스퍼 기어(19)에 회전력이 전동되며 이 종속으로 전동을 받은 스퍼 기어(19)는 환봉의 메인 축(이하 메인 축)(8) 중간부에 결합이 되어져 이 결합으로 인해 환봉의 메인 축(8)도 함께 회전이 되고 이 메인 축(8)에는 양측으로 대칭 구조로 각 일측 마다 결합된 여러 가지 각 기어들, 즉 일방향 기어(11)(12), 피니언(18)도 동시에 회전력을 가지게 되어 회전이 되며 그중 이러한 전동을 받은 피니언(18)은 상대적 조합품인 랙(28) 위에서 회전을 하게 될 때 환봉의 메인 축(8)에는 팔로우 유닛(10)도 메인 축(8)에 끼워져 있어서 이 팔라우 유닛(10)이 차량의 트렁크(1) 내부 받침대(13)에 고정이 된 상태에서 피니언(18)은 회전만 되고 상대 조합품인 랙(28)은 고정되지 않아서 상하로 이동이 되게 되었고 또한 이 랙(28)에는 쇽업쇼바 장치들이 랙(28)에 결합된 구조로 인해 랙(28)이 상하 이동 될 때 동시에 쇽업쇼바 장치와 타어어(31)와 스노우 체인(이하 체인)(30)이 결합된 완충 및 마찰제고 장치 전체가 동시에 이동이 되게 되고 상기의 이 쇽업쇼바 장치 하부 쪽에 결합된 타이어(31)와 타이어(31)에 감된 체인(30)으로 되어진 것이 아래로 내려와 지면에 닿게 될 때에는 체인(30)이 감긴 타이어(31)가 지면에 닿아 마찰 제고를 하게 되어 빙판이나 눈 위 미끄럼 저감 현상이 발생되게 하여 안전 운행이 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전체적인 기술적 사상에서 원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모터(9)는 3상 모터로서 정회전과 역회전이 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동력 모터(이하 모터)(9)가 정회전이 되면 랙(28)이 내려오고 역회전이 되면 올라가지게 되어 미끄럼 저감장치를 사용할 경우는 내리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올려놓게 된다.
그리고 타이어(31)에 감긴 체인(30)은 최초 한 번만 감아두면 반영구적으로 계속 감긴 채 두어 필요시 마다 바로 사용이 되게 되었고 또한 랙(28)이 올라가고 내려 올 때 모터(9)가 계속 돌기 때문에 일정 필요 거리에 다다르면 랙(28)의 이동이 중지되어야 하는 것을 위해 쇽업쇼바 장치 결합 구조의 일부인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와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 구조물 외부 쪽에 장치된 보호 커버(6)(7)가 반쪽 씩 결합된 것의 한 쪽인 슬라이드 레일(22)이 결합된 보호 커버(6) 내면의 상하 부분에 리미트 스위치(21a),(21b)가 장치되어 랙(28)이 적정한 위치에 오면 각 리미트 스위치(21a)(21b)에 닿아 동력 전원이 차단되어 랙(28)이 상하 이동이 중지되게 되었다. 이 때 탄력이 붙어 있거나 자중과 더불어 중력에 의해 올라가던 랙(28)이 아래로 내려와 질 수 있는 것으로부터 즉각적으로 그렇게 되지 않게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가 있게 되어 상기 메인 축(8) 일측에 결합된 일방향 기어(11)(12)에 스톱바(37)가 장치되어 동력 신호에 따라 즉석에서 기능되어 회전되는 메인 축(8)에 결합된 일방향 기어(11)(12)를 잡아주게 되어 탄력도 중력도 동시에 정지되게 되었다.
이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의 구성은 다이어프램과 솔레노이드(36)로 구성되어 다이어프램인 리턴용 코일 스프링(이하 코일 스프링)(35)과 솔레노이드(36)의 전기력으로 기능되게 되었고 그리고 또한 장기적 본 미끄럼 저감장치가 사용 되지 않을 경우에는 랙(28)에 결합된 쇽업쇼바 장치 구성품인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와 그 내부 중공 부분에 끼워진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 결합 구조부에 동시에 폭 방향을 관통하는 구조로 잠금 로커(16)가 끼어져 안전하고 견고하게 전체 미끄럼 저감 장치가 차량에 고정이 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장치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모터(9) 기동 조작만 해주면 자동적으로 설치와 제거가 되게 되었다.
다음은 각 부문별 장치의 구체적인 결합 구조와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치 부문의 것으로서 빙판이나 눈 위 직접 접촉을 하게 되는 타이어(31)와 이 타이어(31)가 미끄러지지 않게 되기 위해 체인(30)이 결합되는 일에서 최초 한 번의 결합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결합으로 되어 종래처럼 반복적으로 풀고 감고 하지 않아도 되게 된 것과 또한 동시에 각 지면의 상태에 따라 받게 될 다양한 지면 상태 요철 구조들에 대응하기 위한 쇽업쇼바 장치가 결합된 완충 및 마찰 제고 장치로 된 것으로서
완충 및 마찰 제고 장치의 구성으로서는 상하부 구조로 되었고 이것에서 상부 구조는 쇽업쇼바 장치로 되었고 하부는 타이어(31)와 타이어 브래킷(32), 베어링(40)과 베어링 하우징(41), 타이어 축(33), 타이어 축용 너트(34b)와 와샤(34a), 체인(30), 브래킷용 보울트(34)와 와샤(34a)로 결합되었다.
먼저 하부 구조는 마찰 제고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중공식 타이어(31)에 중공부분에는 베어링 하우징(41)이 결합되었고 또한 이 베어링하우징(41)에는 베어링(40)이 내장되었으며 그리고 이 베어링(40)의 중공 부분에는 환봉으로 된 타이어 축(이하 타이어 축)(33)이 결합되어 이 타이어 축(33)은 중간부에 결합되는 타이어(31)와 베어링(40), 베어링 하우징(41)은 회전하게 하고 양측 외곽부에는 타이어 브래킷(32)이 결합되어 이 결합된 타이어 브래킷(32)은 그 상면에 쇽업쇼바 장치의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 하면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었다.
이러한 상기 타이어 브래킷(32)은 그 구조가 타이어(31) 지름 면 쪽 양측 외부 쪽에 위치 될 수 있게 디귿형 판 모양으로 되어 타이어 축(33)은 타이어 브래킷(32)이 디귿형의 구조로 말미암아 두 판 면이 공간 사이가 만들어졌고 일부가 개구된 구조로 말미암아 개구된 쪽으로 넣어지고 이 디귿형 두 판면의 개구 쪽인 하부 쪽에 타이어 축(33)이 결합되어 타이어(31)는 돌고 반대쪽은 상부 쪽이 되어 이 상부 쪽의 상면에는 상부 쪽에 쇽업쇼바 장치의 일부인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의 하면과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었다.
이리하여 타이어(31)는 차량이 운행되는 방향 쪽으로만 정회전, 역회전이 되게 되었고 또한 타이어(31) 외부 표면에는 체인(30)이 감겼고 그리고 또 타이어(31)는 가벼운 지표면 상태에 따른 외력 작용인 스탠딩 정도의 것에 대해 지면 상태에 따라 신축으로 작용 되게 되었고 그 범위를 넘어서는 돌출 구조에 의한 변화는 상부 구조인 쇽업쇼바 장치에서 완충 장치를 통하여 완충이 되게 되었다.
이러한 완충을 위해서는 상기 상부 구조인 쇽업쇼바 장치로서 타이어 브래킷(32)의 상부 쪽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그 구조는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와 그 내부 중공 부분에 끼워져 결합된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이 결합되어 이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 중공 부분 내에서만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이 상하 이동만 되게 되고 회전은 되지 않게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와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모두 중공식 사각 봉으로 되었다.
상기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은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 길이 보다 더 길어 돌출되게 된 하부 쪽에는 외부 둘레에 코일 스프링(27)이 장치되어 타이어(31)에서 받게 되는 각종 지면의 구조에 따른 돌출 외력을 이 코일 스프링(27)이 받아 완충을 시키되 그 코일 스프링(27)의 완충력과 완충 수용의 행정거리의 영역을 넘어설 경우는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 그 자체가 랙(28)에 결합된 구조에 의해 본 발명 장치인 미끄럼 저감 장치 전체는 차량에 결합된 장치로 말미암아 차량 자체가 상하 이동의 변화가 되게 되었다.
또한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 중공 부분에 끼워진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이 중력에 의해 하부 쪽으로 빠져 나가지지 않게 되기 위해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의 상면에는 사각형 구조 수평 판으로 된 걸이판(29a)이 수평으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 단면 보다 더 큰 구조로 말미암아 중공식 사삭봉 실린더(25) 상면에 걸쳐지어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이 빠져 지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의 4면 중 두 면에는 각기 다른 개별 구성품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한면 쪽에는 랙(28)이 결합되었고 반대편 면에는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 서포트(24)가 결합 되었다. 이들은 모두 수직방향으로 밀착 결합 되었으며 이로 인해 랙(28)이 상하로 움직이면 모두가 일체 구조로서 동시에 함께 상하로 이동이 되게 되었고 이 결합에서 랙(28)에는 이송 장치인 메인 축(8) 최양측부 일측에 결합된 피니언(18)과 결합되어 메인 축(8)이 회전하면 피니언(18)이 회전하게 되고 이 피니언(18)의 회전으로 인해 피니언(18)은 메인 축(8)에 고정이 되어졌기 때문에 상대 조합 구성품인 랙(28)만이 상하로 이동이 되게 되었다.
상기 반대편에 결합된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 서포트(이하 실린더 서포트)(24)는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와 같은 구조물로서 길이만 달라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 보다 더 길고 이 더 긴 구조는 이 실린더 서포트(24) 일면 하부 쪽에 슬라이드 유닛(23)이 보울트(23a) 의해 결합되어 랙(28)과 함께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 위치에서 쇽업쇼바 장치 전체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함이며 상기 실린더 서포트(24) 그 하부 쪽 일측에 슬라이드 유닛(이하 유닛)(23)이 결합된 이 유닛(23)은 랙(28)의 상하 이동만으로는 부드럽지 못하고 또한 상하 흔들림 등으로 상하 이동이 부자연스러울 수 있는 것으로부터 견고하게 밀착되어 부드럽게 이송이 가능하게 유닛(23)의 조합품인 이송장치의 슬라이드 레일(22)을 통해 상하 이송이 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잠금장치로서 상기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와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의 중공 부분을 관통하게 되는 구조로서 원형의 관통 구멍(25a)이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와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의 하부 쪽에 랙(28)과 슬라이드 유닛(22)이 결합되지 않은 두 면으로 동시 동일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졌고 이 관통된 원형 구멍(25a)은 본 미끄럼 저감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랙(28)이 최대한 위로 올라갔을 때 이 관통된 원형 구멍(25a)의 위치도 올라간 상태가 될 때 슬라이드 레일(22)이 결합된 외부 보호커버(6)에도 동일한 위치에 관통된 원형 구멍(6e)이 형성된 곳에서 아이볼트로 생긴 잠금 로커(16)가 끼워져 보호커버(6)와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이 동시에 끼워져 걸쳐져서 중력에 의함과 고속 주행시 진동에 의해 내려와 질 수 있는 것이 방지되게 되었다. 이러한 잠금 로커(16)의 끝 부분에는 너비 너트(17)가 체결되어 끼워진 전체가 견고하게 고정이 되게 되어 본 발명의 미끄럼 저감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계절 장기간 동안 일상의 과속이나 고르지 않는 지면을 주행을 하더라도 잠금 로커(18)가 견고하게 잡아 주어 안전운행이 되게 되었다
둘째 장치 부문으로서 이것은 이송장치이며 이것에는 슬라이드 레일(22)과 상하 리미트 스위치(21a)(21b), 메인 축(8)과 메인 축(8)에 결합된 피니언(18)과 일방향 기어(11)(12), 동력을 전동 받기 위한 스퍼 기어(19)와 순간 제동을 위한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상기 이송장치의 구체적인 부분별 결합 구조로서 메인 축(8)은 긴 환봉으로 되어 각 기어나 팔로우 유닛(10)이 결합되는 위치 부분 이외에는 지름이 작게 단이진 구조로 형성되어 기어나 팔로우 유닛(10)을 조립으로 결합하고자 할 때 신속하게 이동이 되어져 주기 위한 구조로 되었다. 그리고 중간부에는 동력 모터(9)의 모터 축에 결합된 모터 기어(20)로부터 회전력을 전동받기 위한 스퍼 기어(19)가 끼워져 결합 되었고 메인 축(8)의 양측 끝부 쪽 일측에는 대칭 구조로 내부 쪽에는 두 개의 일방향 기어(11)(12)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끼워져 결합되었으며 최외곽부 쪽에는 피니언(18)이 끼워져 결합되었다.
이것에서 양측의 내부 쪽에 결합된 두 개의 일방향 기어(11)(12)는 일방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되어 정회전과 역회전시에 어느 일방향으로 선택될 때에 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끼워진 구조로 된 구조에 의해 각각에게 스톱바(37)가 동시에 기어 이빨 사이에 끼워져 결합이 되게 될 때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든지 간에 각각에게 회전이 급정지가 되게 제동이 되게 되었다.
이러한 제동의 상태는 메인 축(8)에 배치된 위치가 대칭 구조로 말미암아 두 측에서 균형적으로 동시 제동이 되게 되었고 또한 두 일방향 기어 (11)(12)사이 메인 축(8)에는 중공식 환봉으로 된 단 칼라(43)가 끼워져 결합되었고 또한 최외곽부 피니언(18)과 외부 쪽 일방향 기어(11) 사이에도 장 칼라(42)가 메인축(8)에 끼워져 각 기어가 좌우로 이동이 되지 않게 항상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되었다. 상기 두 단,장 칼라(43)(42)의 구조는 중공식 환봉 구조로 되어 중공 부분에 메인 축(8)이 끼워질 수 있게 되었고 두 일방향 기어(11)(12)는 메인 축(8)의 원주면 일측에 축선을 따라 형성된 키이 홈 자리에 키이(44)가 끼워져 두 일방향 기어(11)(12)의 중공 보스(11d)의 중공 부분 내면부(11a) 일측에도 키이 홈(11b)이 형성되어 상기 키이(44)는 반반씩 메인 축(8)과 두 일방향 기어(11)(12)를 동시에 물리게 하여 동시 회전이 될 수 있게 결합 되었다.
그리고 두 일방향 기어(11)(12)의 중공 보스(11d) 외부 원주면 일측의 키이 자리부에는 키이(44)를 고정하여 주기 위한 볼트 구멍(11c)이 형성되어 이곳에 키이 고정용 볼트(44a)(44b)가 끼워져 결합되었다.
그리고 메인 축(8)의 두 일방향 기어(11)(12)의 위치보다 더 내부 쪽 위치 일측에는 팔로우 유닛(10)이 결합되어 이것도 양측으로 대칭구조로 되었고 이 팔로우 유닛(10)은 그 바닥면이 되는 하부 쪽에 받침대(13)가 밀착 결합이 되어져 이 받침대(13) 상면부 일측에 팔로우 유닛(10)과 동시에 다른 일측에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가 함께 동시에 결합이 되었다. 이러한 결합은 최종 이 받침대(13)의 하면부가 차량의 트렁크(1)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어 전체 장치가 차량에 견고하게 고정이 되게 되었다.
상기 받침대(13)의 구조는 육면체 중공식 미음형 구조로 되어 하면 중간부에는 일부가 폭방향 전체로 절개가 되었고 절개 되지 않은 하면(13a) 일측에는 차량 트렁크(1)에 결합이 되기 위한 볼트 구멍(13b)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곳에는 와샤(13e)와 볼트(13d)가 끼워져 차량 트렁크(1)의 바닥면을 통과하여 너트(13f)와 와샤(13e)에 의해 받침대(13)가 견고하게 고정 되었다. 상면부에는 일측에 팔로우 유닛(10)이 볼트(10e)와 와샤(10b)와 너트(10d)에 의해 고정이 되었고 그 일측의 다른 곳 일측에는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가 두개의 니은형 브래킷(14)(15)의 수평판(14a)(15a) 부분이 1조로 되어 볼트(39)와 와샤(39a)에 의해 결합되었다.
또한 상기의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의 구조와 기능은 두 개의 스톱바(37)가 두 개의 일방 기어(11)(12)마다 각각 제동해주기 위해 2개가 1조로 되었고 이 스톱바(37)의 구조는 환봉에 일측 끝부에는 암나사로 되어 너트(37b)가 체결이 될 수 있게 되었고 다른 일측 끝부 쪽의 내부 쪽 일측에는 축선을 같이 하는 일체형의 구조로 전체 환봉 지름보다 큰 환봉(37a)으로 되었고 그 외곽부 쪽에는 장궁형 구조로 상하 수평면으로 된 판(37b) 구조로 되어 이 부분이 일방향 기어(11)(12)의 각 기어 이빨과 기어 이빨 사이에 들어가 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두 수평 면을 이루게 되는 판 부분의 최끝부에서 내부쪽으로는 일부가 경사진 각으로 되어 일방 기어(11)(12) 구조 상태의 구조에 상대적으로 끼움에 적합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각 두 개의 스톱바(37)는 상기 니은형으로 된 브래킷(14)(15)이 2개 1조가 되어 스톱바(37)를 수평 구조로 장치하게 되었는데 이 각 니은형 브래킷(14)(15)의 수직면 두 곳에는 일정거리가 떨어진 일측에 두 개의 관통된 원형 구멍(14c)(15c)이 2개 1조의 니은 형으로 된 브래킷(14)(15)의 동일한 자리에 관통된 원형 구멍(14c)(15c)으로 형성된 곳에 끼워져 각각 하나씩 결합되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니은형으로 된 브래킷(14)(15) 상호 간은 둘이 일정거리가 떨어진 곳에 배치되어 위치되어 결합되었다.
상기 두 개의 스톱바(37)가 끼워진 구조는 니은형으로 된 브래킷(이하 니은형 브래킷)(14)(15)에 끼워져 결합된 것 중 일방향 기어(11)(12)쪽에 가깝게 위치한 니은형 브래킷(15)과 반대쪽인 먼 쪽에 위치한 니은형 브래킷(14)으로 일정거리가 덜어진 구조로 되어 각각의 수직면에 형성된 2개의 원형 구멍(14c)(15c) 속에 각각 끼워져 수평으로 전후진 이동이 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것에서 스톱바(37)의 한 쪽 끝부에는 두 개의 너트 (37b)와 한 개의 와샤(37a)가 스톱바(37)에 체결되는 것이 일방향 기어(11)(12) 쪽에서 멀리 떨어진 니은형 브래킷(14)의 외부 쪽에 위치되어 결합되었다. 이상과 같은 스톱바(37)의 큰 환봉 구조와 끝부 너트 체결 구조는
상기 일방향 기어(11)(12) 기준 가까운 쪽인 니은형 브래킷(15)에서 스톱바(37)가 솔레노이드(36)에 의해 수평 이동으로 밀려 나와 다이어프램인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제동을 하여 주기 위해 다시 전진 할 때 더 이상 전진이 되지 않게 통제를 하여 주는 동시에 스톱바(37)가 각각의 니은형 브래킷(14)(15)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었다.
특히 두 개의 너트(37b)로 체결된 것은 차량은 항상 주행을 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하나의 경우 풀려 버릴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 구조로 되었다.
이러한 두 개의 스톱바(37)는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가 되었고 그 사이에는 솔레노이드(36)가 먼 쪽 니은형 브래킷(14)에 장치되어 전기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36)는 환봉 축이 수평으로 전후 이동이 되게 되어 이때 이 솔레노이드(36)가 두 개의 스톱바(37)를 동시에 후진을 시켜 주게 하는 기능을 하나 이를 위해서는 두 개의 스톱바(37)를 동시에 이동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있어야만 하는데 그것이 연결판(38)이며 이 연결판(38)의 구조는 육면체 얇은 판으로 되어 중간부에는 관통된 원형 구멍(38a)이 형성되어 이곳으로는 솔레노이드 환봉 축 끝부가 끼워져 너트(3b)와 와샤(36a)에 의해 결합이 되어 솔레노이드(36)가 전후진 할 때 결합된 연결판(38)도 동시에 전후진 하게 되었고 이 중간부 원형 구멍(38a)을 중심으로 좌우측 일측에는 일정 거리가 떨어진 위치인 스톱바(37)가 장치된 위치에 스톱바(37)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면(37b) 구조부가 결합되기 위한 구조로서 스톱바(37)의 수평 면(37b)과 일치하는 관통된 절개구멍(38b)이 형성되어 이곳에 두 개의 각 스톱바(37)의 수평면(37b)이 가 끼워져 결합되어 솔레노이드(36)가 전후진 하면 결합된 두 개의 스톱바(37)도 동시에 전후진으로 이동이 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서 솔레노이드(36)는 전기 신호를 받으면 일방향으로 후진만 하고 반대의 경우는 솔레노이드(36) 자체 내부에 내장된 리턴 스프링에 의해 전진이 되게 하기는 하나 그 강도도 약해 별도로 다이어프램 장치가 필요해져 두 개의 스톱바(37) 환봉에는 환봉 원주면 둘레에 코일 스프링(35)이 결합되어 리턴 기능을 강하게 도와주게 되었다. 이 다이어프램인 코일 스프링(35)은 각 스봅바(37)에 끼워진 위치가 두 개의 각 니은형 브래킷(14)(15)이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사이에 위치되었다. 그리고 니은형 브래킷(14)(15)의 각 수평판(14a)(15a)부분에는 하부 쪽에 팔로우 유닛(10)과 함께 동시에 받침대(13) 상면에 고정이 되기 위해 관통된 원형 구멍(14d)(15d)이 형성되어 그 곳에는 볼트(39)와 와샤(39a)가 끼워져 받침대(13)와 니은형 각 브래킷(14)(15)이 견고하게 고정 되었다.
그리고 메인 축(8)의 양측 최외곽부 쪽 피니언(18)이 결합된 곳에는 피니언(18)이 메인 축(8)에서 빠지지 않도록 너트(41)와 와샤(41a)로 체결이 되었고 이 피니언(18)은 쇽업쇼바 장치인 랙(28)에 결합되어 랙(28)과 결합된 쇽업쇼바 장치 전체를 상하 이송을 하게 해 주게 되었으며 이 쇽업쇼바 장치 외부 쪽에는 디귿형 관 구조 보호 커버(6)(7)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내부 공간부에 쇽업쇼바 장치가 보호되게 되었고 이 보호 커버(6)(7)는 양분이 되게 되는 두 개의 것이 개구된 구조부가 맞대어 하나의 전체 중공식 사각 통으로 결합이 되고 각 디귿형 구조의 개구 구조부 반대편 면 외부 쪽에는 중심부에 수직으로 리브(6a)(7a)가 형성되어 이 보호커버(6)(7)가 차량의 트렁크(1) 바닥면에 고정이 될 때 견고하게 고정이 잘 되게 되었으며 동시에 주행중 지면에 쌓인 눈 위로 지나갈 때 혹 많이 쌍인 눈이 위로 올라와 보호 커버(6)(7)에 부딪혀 흩어질 때 받게 되는 강도로부터 더 강하게 고정 대응이 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한 쪽 보호커버인 랙(28) 위치 반대쪽인 보호 커버(6)의 개구 반대 방향 내면 부에는 쇽업쇼바 장치가 상하 이동이 될 때 보다 부드럽고 견고하게 상하 이동이 되기 위해 슬라이드 레일(22)이 보울트(22a)와 와샤(22b)에 의해 결합이 되어져 이 슬라이드 레일(22)에는 슬라이드 유닛(23)이 조합으로 결합이 된 장치로서 결합되어 이 유닛(23)은 속업쇼바 장치의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 서포트 (24)일면 하부 쪽에 보울트(23a)로 고정 결합이 되어 랙(28)과 피니언(18)에 의해 쇽업쇼바 장치 전체가 상하 이동이 될 때 유닛(23)이 슬라이드 레일(22)을 따라 부드럽고 정확하게 이송을 도와주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6)의 상부쪽 일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 전체로 관통된 원형 구멍(6e)이 뚫려져 이곳으로는 잠금 로커(16)가 끼워지게 되었고 이 원형 구멍(6e)의 크기와 위치는 내부 쪽에 결합된 쇽업쇼바 장치인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와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에도 형성된 원형 구멍(25a) 그곳에 일치하게 되어져 본 발명의 미끄럼 저감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장기간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치가 하부 쪽으로 떨어지지 않게 고정시켜 주는 구조로 되었다. 이때 사용하게 되는 잠금 로커(16)의 구조는 두 부분 구조로 되어 먼저 환봉의 구조부에는 끝부 일측에 수나사로 되어 이곳에는 나비너트(17)가 체결이 되게 되었고 반대편 끝부 머리 부분에는 중공식 원형 구멍으로 된 고리(16a) 구조로 되어 손가락으로 취급이 편리하기 위한 기능과 동시에 이 중공 부분에는 작은 걸이용 체인이 결합되어 다른 곳에 걸어 두게 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미끄럼 저감 장치를 사용할 겨울의 경우는 잠금 로커(16)를 빼내어 다른 곳에 걸어 두었다가 사용하지 않게 되는 봄, 여름, 가을 장기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을 하여 끼울 수 있게 하기 위함일 때 분실이 되지 않게 걸이용 체인이 결합되게 된 것이다.
마지막 셋째 부문 장치의 것으로서 동력 장치 부분이며 이 부분의 구성은 동력 모터(9)와 모터 축에 결합된 모터 기어(19), 그리고 솔레노이드(36)와 리미트 스위치(21a)(21b)에 전기 신호와 전기 동력을 공급해 주기 위한 전기선으로 구성되어져 이 전체는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스위치 조작만으로 자동으로 조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의 동력 장치는 전체를 자동으로 스위치 조작만으로 조작이 될 수 있게 하는 원천 동력을 형성시켜 전달해 주기 위한 장치로서 동력 모터(9)는 회전력을 만들어 내고 솔레노이드(36)와 리미트 스위치(21a)(21b)에는 전기선이 연결되어 각각의 기능이 수행되게 되었다. 원천 전기는 동력 모터(9)에 신호를 주어 이송이 시작되면 이송중 어느 시점에 랙(28)이 리미트 스위치(21a)(21b)에 전기 신호를 주어 이 전기신호를 다시 신호를 받게 되는 동력 모터(9)는 이송하게 하던 회전을 중단하게 되고 동시에 중단되는 신호를 솔레노이드(36)에게도 알려 주어 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36)는 즉석에서 스톱바(37)를 전후 이동을 해주어 일방향 기어(11)(12)에 제동이 되게 해주게 되어 이로 인한 메인 축(8)은 회전이 중지되면서 피니언(18)도 동시에 정지되어 랙(28)의 이동도 즉시 정지가 되게 되는 구조로 되었다. 그리하여 리미트 스위치(21a)(21b)는 정지 되어야 할 시점을 알게 하여 솔레노이드(36)가 작동되고 있던 것을 중지 시키면 다이어프램인 코일 스프링(35)의 장력이 스톱바(37)를 전진시켜 일방향 기어(11)(12)의 기어 이빨 사이에 끼워지면서 즉시 제동이 되게 되어 올라갔을 때에 중력에 의한 상태에서는 랙(28)과 피니언(18)이 제동되어져 더 이상 내려오지 않게 되고 랙(28)이 다 내려왔을 때에는 타이어(31)가 지면에 닿았기 때문에 아무리 중력이 작용해도 더 이상 내려가지 않지만 랙(28)이 다 올라갔을 경우는 중력이 작용하게 되면 지면 쪽으로 랙(28)이 다시 내려 갈수도 있게 되는 일에 대해 스톱바(37)가 메인 축(8) 양측에서 일방기어(11)(12)를 잡아주어 랙(28)이 내려가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상태는 겨울에는 자주 눈이 오거나 빙판이 되기 때문에 자주 사용을 하면서도 속도는 빨리 내지 못하기 때문에 스톱바(37) 기능만으로 사용을 하고 봄, 여름, 가을 장기간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는 속도도 빠르고 진동도 많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스톱바(37) 더불어 잠금 로커(16)를 동시에 사용하여 견고하게 안전 운행이 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차량 트렁크(1) 내부로 장치가 돌출이 되는 일부분에는 커버가 덮이게 하고 그 나머지 부분에는 짐을 실을 수 있게 되며 트렁크(1)의 외부 쪽 차량 뒤쪽에는 범퍼가 결합이 되게 되어 본 장치는 범퍼 내부쪽에 위치되어 주행시 외관상 보이지도 않게 되고 또한 바람의 저항도 받지 않게 차량 뒷바퀴(5) 뒤쪽과 비상 타이어(3) 저장소(2) 주변에서 장치되게 되었다. 그리고 또한 운행되는 지역 조건에 따라 타이어의 개수를 더블 구조로 배열 장치를 하여 저감 효과를 배가 시킬 수도 있고 특히 쇽업쇼바 장치는 기존 차량과 같이 유압식, 가스식, 스프링 장력식 등이 있으나 선택의 문제로서 합리적인 기능대비 가격이 문제로서 실린더만 결합하는 구조로 보완 변경하면 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안전 운행의 기여, 편리한 안전 처지의 기능에 있는 것으로서 그 특장점은 본 미끄럼 저감 장치가 기능하는 구조와 효과는 자동으로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 자동의 조작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간단한 버턴 조작만 해주면 장치의 모든 필요 동작들이 전기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돌발이든 예상이든 주행 요건의 도로 상태가 빙판이나 눈 위 쌓인 곳에 주행을 해야 하는 일에서 주행 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인 미끄럼으로 인한 전복이나 추돌 사고들로 부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종래의 경우 기술적 수단은 스노우 타이어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타이어에 체인을 감든지 또는 유사 수단을 사용하여 운행을 해야만 하였고 그렇지 아니면 아예 주행 자체를 중단하는 길 밖에 없었다. 이럴 경우 주행이 불가피 한 경우는 위험을 감수하고도 해야 할 때 주로 체인이나 유사 수단을 타이어에 감아 운행을 하게 되며 이때에는 운전자가 직접 필요로 하는 타이어에 체인이나 유사수단을 휴대하여 그것을 가지고 감아 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 그리고 부실 할 수 있는 위험부담을 가져야만 하였다. 그리고 또한 빙판 지역을 벗어나거나 눈이 녹았을 때에는 감은 것을 다시 풀어야 하고 또 다시 그런 상황이 오면 다시 감고 풀고 해야 하는 일들을 반복해야만 했는데 이에 대해 본 발명은 그러한 모든 것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해 짐으로 인해 종래와 같은 그러한 각종 문제들을 다 해소하게 되는 효과로 되었다.
도1은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전체 결합 구성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전체결합 구성품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이다
도3은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전체 결합 구성품이 차량 트렁크에 장치된 트렁크 내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4는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전체 결합 구성품이 차량 트렁크에 장치된 트렁크 외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5는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전체 결합 구성품 중 동력 장치를 제외한 쇽업쇼바 장치와 이송장치 만을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이다
도6은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전체 결합 구성품 중 일부인 이송장치 중 메인 축과 메인 축에 결합된 기어들로만 된 부분 결합을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이다.
도7은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전체 결합 구성품 중 일부인 이송장치 중 메인 축과 메인 축에 결합된 기어들로만 된 부분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이송장치의 메인 축 외부 쪽 각 일측에 대칭 구조로 결합되는 팔로우 유닛과 베어링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9는 이송장치 중 슬라이드 레일과 유닛이 외부 쪽 보호 커버의 반쪽인 내부에 결합 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10은 이송장치 중 슬라이드 레일과 유닛 등을 외부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의 반쪽씩이 결합된 전체 보호 커버 결합을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11은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전체 결합 구성품 중 일부인 쇽업쇼바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12는 이송장치 중 팔라우 유닛과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가 동시에 결합된 고정대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이다.
도13은 이송장치 중 팔라우 유닛과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가 동시에 결합된 고정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4는 이송장치 중 일부로서 일방기어의 제동을 위한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이다.
도15는 이송장치 중 일부로서 일방기어의 제동을 위한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6은 동력 원천을 형성시켜 주는 모터와 구동 기어가 결합된 동력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17은 이송장치의 일부인 팔로우 유닛과 다이어프램 장치를 안착시켜 고정하여 주는 개별 구성품인 받침대의 정면도, 평면,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18은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미끄럼 저감 장치를 사용 하지 않게 될 때 보호커버에 쇽업쇼바 장치를 고정하여 주는 개별 구성품인 아이볼트(고정용 록커)의 정면도, 평면,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19는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미끄럼 저감 장치를 사용 하지 않게 될 때 보호커버에 쇽업쇼바 장치를 고정하여 주는 개별 구성품인 아이볼트(고정용 록커)를 체결하여 주는 나비너트의 정면도, 평면,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20은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쇽업쇼바 장치의 상하 이송을 직접 시켜 주는 매개체인 개별 구성품인 랙의 정면도, 평면,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21은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동력의 회전력을 전달시켜 주는 개별 구성품인 메인 축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이다.
도22는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동력의 회전력을 전달시켜 주는 개별 구성품인 메인 축의 사시도이다.
도23은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쇽업쇼바 장치를 외부에서 보호해주기 위한 개별 구성품인 보호 커버의 한 쪽인 랙 쪽 보호 커버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24는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쇽업쇼바 장치를 외부에서 보호해주기 위한 개별 구성품인 보호 커버의 한 쪽인 슬라이드 레일 쪽 보호 커버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25는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를 지지 해주기 위한 개별 구성품인 브래킷의 한 쪽인 일방기어 쪽 브래킷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26은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를 지지 해주기 위한 개별 구성품인 브래킷의 한 쪽인 일방기어 쪽의 반대쪽 브래킷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27은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 중 2개의 스톱바를 동시에 이송이 되게 고정시켜 주는 개별 구성품인 연결판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28은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 중 개별 구성품인 스톱바의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29는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개별 구성품인 일방 기어의 정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30은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개별 구성품인 스퍼 기어의 정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31은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개별 구성품인 모터 기어의 정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32는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개별 구성품인 피니언의 정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33은 전체 구성품 장치를 실제 차량에 장치할 경우 차량의 일부인 트렁크 구조 부분만을 도시한 정면도, 평면도, 우측면도이다.
도34는 전체 구성품 장치를 실제 차량에 장치할 경우 차량의 일부인 트렁크 구조 부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5는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개별 구성품인 단 칼라의 정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36은 이송장치의 일부로서 개별 구성품인 장 칼라(또는 슬리브)의 정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37은 쇽업쇼바 장치의 일부로서 개별 구성품인 코일 스프링의 정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도38은 스톱바 다이어프램 장치의 개별 구성품인 코일 스프링의 정면도, 우측면도, 사시도이다.
.

Claims (4)

  1. 자동 미끄럼 저감 장치의 일부문 장치인 완충 및 마찰제고 장치로서 자동 미끄럼 저감 장치에 있어서 완충 및 마찰제고 장치는 상하부 장치로 되어 마찰제고 장치인 하부 장치는 타이어(31)와 그 원통 외면부에는 체인(30)이 감겼고 타이어(31)의 지름면 양측에는 타이어 브래킷(32)이 타이어 축(33)에 결합되었으며 완충 장치인 상부 장치의 쇽업쇼바 장치는 수직으로 세워진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에 그 내부 중공 부분에는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 길이보다 더 긴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이 끼워졌고 동시에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 상면에는 사각형의 수평판 걸이판(29a)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었으며 더 긴 부분의 하부쪽 중공식 사각봉 피스턴(26)의 외부 일부에는 코일 스프링(27)이 결합되었고 하면은 하부쪽 상기 타이어 브래킷(32) 상면과 일체형으로 결합되었으며 상기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의 측면 4면 중 마주보는 2면인 외부면 중 일측면에는 실린더 서포트(24)의 측면 4면중 외부 일면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었고 상기 실린더 서포트(24)의 측면 4면중 마주보는 다른 일면 일측 하부쪽에는 유닛(23)이 결합되었으며 상기 중공식 사각봉 실린더(25)의 외부 실린더 서포트(24)가 결합된 면에 마주보는 다른 외부 일면에는 랙(28)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완충 및 마찰 제고 장치를 포함한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2. 자동 미끄럼 저감 장치의 일부문 장치인 이송 장치 및 동력 장치로서 자동 미끄럼 저감 장치에 있어서 이송 장치 및 동력 장치는 수평으로 놓인 긴 환봉의 메인 축(8) 그 중간부에는 스퍼 기어(19)가 결합되었고 양측 끝부 쪽에는 대칭 구조로 최외곽부 일측에 피니언(18)이 결합되었으며 스퍼기어(19)와 피니언(18) 사이 그 내부 쪽에는 2개의 일방향 기어(11)(12)가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되었고 더 내부 쪽에는 팔로우 유닛(10)이 결합되었고 팔로우 유닛(10)의 하면부에는 받침대(13)가 결합되었으며 상기 피니언(18)은 청구항 1에서의 랙(28)에 상대적 조합으로 결합되었고 또한 상기 스퍼 기어(19)에는 그 하부에 동력 모터(9)가 위치되어 동력 모터(9)의 축에는 모터 기어(20)가 결합되어 이 모터 기어(20)는 스퍼 기어(19)에 외접된 구조를 가지는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외부에서 내부에 내장되는 완충 및 마찰 제고 장치를 보호하는 밀폐면 디귿형 구조 보호커버(6)(7)로서 2개의 디귿형 구조의 개구부가 반반씩 맞대어져 중공식 사각봉 구조로 되었고 상기 한쪽 디귿형 구조 보호 커버(6) 개구부의 반대쪽 내면에는 슬라이드 레일(22)이 결합되어 상기 유닛(23)과 조합되게 되었고 그 내면 최상하부 일측에는 리미트 스위치(21a)(21b)가 결합되었으며 슬라이드 레일(22)이 결합되지 않는 폭 방향 두 면에는 관통된 원형 구멍(6e)이 형성되어 이곳에 잠금 로커(16)가 끼워져 결합된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3) 상면부에 결합된 장치로서 그 구조가 두 개의 니은형 브래킷(14)(15)이 일정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었고 상기 두 니은형 브래킷(14)(15)의 수직면 일측 두 곳에는 관통된 원형 구멍(14c)(15c)이 형성되어 그곳에는 수평으로 환봉으로 된 스톱바(37)가 끼워져 결합되었고 이 두 개의 스톱바의 간격 그 사이에 일측 니은형 브래킷(14)에는 솔레노이드(36)가 장착되었으며 이 솔레노이드(36) 환봉 축 끝부쪽 일측에는 얇은 육면체 연결판(38)이 결합되었고 이 연결판은 동시에 이 연결판(38)의 양쪽 끝부쪽에 상기 스톱바(37)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면(37b)에 결합되었으며 또한 상기 두 니은형 브래킷(14)(15)에 결합된 스톱바(37) 환봉 외면부에는 코일 스프링(35)이 끼워져 결합된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KR1020150025837A 2015-02-23 2015-02-23 눈길이나 빙판의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KR101843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837A KR101843112B1 (ko) 2015-02-23 2015-02-23 눈길이나 빙판의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837A KR101843112B1 (ko) 2015-02-23 2015-02-23 눈길이나 빙판의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855A KR20160102855A (ko) 2016-08-31
KR101843112B1 true KR101843112B1 (ko) 2018-05-14

Family

ID=5687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837A KR101843112B1 (ko) 2015-02-23 2015-02-23 눈길이나 빙판의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0485B2 (ja) 1990-05-23 1997-07-16 有限会社 戸谷建設工業 自動車の車輪のスリップ防止装置
KR200331980Y1 (ko) 2003-06-27 2003-11-03 이강인 보조바퀴가 설치된 오토바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0485B2 (ja) 1990-05-23 1997-07-16 有限会社 戸谷建設工業 自動車の車輪のスリップ防止装置
KR200331980Y1 (ko) 2003-06-27 2003-11-03 이강인 보조바퀴가 설치된 오토바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855A (ko)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4022A (en) Ladder apparatus and method for large mobile equipment
KR101475206B1 (ko) 트롤리
DE202010008600U1 (de) Hilfsfahrantrieb
CN103100158B (zh) 压杆锁紧结构
CN111252703B (zh) 一种减震叉车
CN103273911B (zh) 缠轴网式汽车紧急制动装置及汽车
KR101843112B1 (ko) 눈길이나 빙판의 자동 미끄럼 저감장치
US3797681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winch on a trailer
US2113056A (en) Automobile and bus quick-stopping safety device
US3721356A (en) Vehicle towing device
CN201338595Y (zh) 汽车应急制动装置
DE3432043A1 (de) Hub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medizinische transport- und/oder uebungsgeraete
DE202012101614U1 (de) PKW-Ladevorrichtung zum Ein- und Ausladen eines Kleinfahrzeugs sowie Kleinfahrzeug
KR102349950B1 (ko) 풀링와이어 안내수단이 구비된 트랙터 일체형 지중케이블 견인장치
CN206107214U (zh) 机动车驻车防前、后溜自动垫轮器
CN203228766U (zh) 载运客、货车应急制动***
CN106427948A (zh) 机动车驻车防前、后溜自动垫轮器
KR101670614B1 (ko)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CN107839575B (zh) 一种货车自卸设备
US3154205A (en) Vehicle escorting apparatus
US1355690A (en) Automobile-hoist
US2706569A (en) Attachment for controlling relative raising and lowering of hand trucks
CN201214430Y (zh) 速度控制型自动防跑矿车
CN220905149U (zh) 一种翻转防护结构及翻转驾驶室
CN211001630U (zh) 一种道路施工防撞缓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