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993B1 -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993B1
KR101841993B1 KR1020160151720A KR20160151720A KR101841993B1 KR 101841993 B1 KR101841993 B1 KR 101841993B1 KR 1020160151720 A KR1020160151720 A KR 1020160151720A KR 20160151720 A KR20160151720 A KR 20160151720A KR 101841993 B1 KR101841993 B1 KR 101841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hotographing
user
image capturing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미
정상천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오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오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 아이오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16015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993B1/ko
Priority to PCT/KR2016/013190 priority patent/WO201809292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252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은,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에 각각 배치되며, RF 태깅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센싱부;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를 배경으로 영상을 촬영함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Indoor-type selfie support Camera System Baseon Internet Of Thing}
본 발명은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사용자는 사진 촬영시, 휴대용 단말기의 키를 누르거나, 스크린 상의 버튼을 터치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촬영 시, 스크린 상의 버튼을 터치할 경우, 일반적으로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하므로, 촬영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쥔 손이 흔들리거나 손의 자세가 불안해 질 수 있으며, 특히 자가촬영(셀프촬영)시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더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4576호, "셀프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상술한 셀프 카메라 촬영을 위한 방법 및 장치는 본인의 영상을 주변 환경과 함께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 형태별로 자동 촬영하기가 어렵고, 이를 가공하여 분석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가촬영을 진행할 경우, 셀카봉을 활용하더라도 좁은 범위의 배경만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촬영 스테이지를 배경으로 영상촬영을 진행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에 각각 배치되며, RF 태깅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센싱부;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를 배경으로 영상을 촬영함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서버;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센싱부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영상 촬영부는 촬영예정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정보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부는, 가촬영지원모드 및 방범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방범모드에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의 바닥면에 배치된 압력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영상의 객체인식을 토대로 촬영방향을 자동결정하며, 촬영된 방범영상을 상기 데이터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치정보,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를 모두 방문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를 모두 방문했을 경우, 미리 설정된 증강현실 게임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게임서버에 접속하여 게임을 진행할 경우, 상기 증강현실 게임서버는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 주변에 증강현실 게임 아이템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부는, 가시광선 대역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과, 적외선 대역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촬영 스테이지를 배경으로 영상촬영을 진행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은, 제한된 화각에서 원하는 영상을 얻지 못하는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으로 본인의 영상을 주변 환경과 같이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 형태별로 자동 촬영하고 네트워크 전송을 통해 이메일이나 문자로 사진을 여러 방법으로 전송하며, 본인의 요청 사진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서 향후 방문시 과거 사진자료를 추가 요청 할 수 있다. 또한 본인의 손으로 조작하여 얻기 힘든 자가촬영사진을 근거리, 중/원거리에 기 설치되어 있는 영상 촬영부(200)를 실시간 구동하여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의 배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데이터.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은, 복수의 센싱부(100)와, 영상 촬영부(200)와, 데이터 서버(300)와, 휴대용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센싱부(100), 영상 촬영부(200) 및 데이터 서버(300)는 상호간에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은 M2M(machine-to-machine)통신 또는 IoT(Internet of Things)이라고 불리는 통신 환경 내지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호 간에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센싱부(100)는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에 각각 배치되며, RF 태깅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센싱부(100)는 사진촬영을 위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센싱부(100)는 사용자가 현재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배경으로 자가촬영(selfie)을 진행할 수 있도록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고정형 단말기로 정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는 전시회, 박람회, 테마 공간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정된 사진촬영장소를 의미하며, 각각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에는 센싱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스가 설치된 박람회 또는 전시회에서 각 부스가 하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의 바닥면에는 압력센서가 배치되어 있는데, 센싱부(100)은 압력센서의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 후, 해당 정보를 영상 촬영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촬영부(200)는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계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인정보를 센싱부(100)에 입력하고, 결제를 진행할 경우, 센싱부(100)는 영상 촬영부(200)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배경으로 촬영예정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면서 사용자가 자가촬영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영상 촬영부(200)에서 촬영된 영상은 데이터 서버(300)로 전송되며, 데이터 서버(300)는 촬영된 영상을 입력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즉, 데이터 서버(300)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을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을 전송한다.
영상 촬영부(200)는 각각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전시장 건물의 천장 부위에 복수의 영상 촬영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영상 촬영부는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담당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영상 촬영부(200)는 천장 부위에 설치된 조명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영상 촬영부(200)는 촬영영역의 밝기를 판단한 후, 천장 부위에 설치된 조명의 밝기, 조명의 조사각도 등을 제어하여 촬영영역의 밝기를 자동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200)는 영상객체인식을 통해 촬영영역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의 신체가 모두 촬영될 수 있도록 자동 이동할 수 있다. 즉 영상 촬영부(200)가 전시장 건물의 천장 부위에 설치될 때, 복수의 영상 촬영부가 각각 자동 이동할 수 있는 이동용 레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상 촬영부는 이동용 구동부가 장착되어 이동용 레일을 따라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센싱부(10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촬영부(200)의 촬영방향 및 줌 배율이 조절되며, 이러한 촬영예정영상은 실시간으로 센싱부(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휴대용 단말기(400)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자가촬영사진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영상 촬영부(200)는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배경으로 영상을 촬영하는데, 센싱부(1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에서 영상은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모두 포함하므로, 영상 촬영부(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동영상 및 정지영상(사진)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영상 촬영부(200)가 하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촬영방향 및 줌 배율을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영상 촬영부(200)가 미리 할당된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각각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 촬영부(200)는 PTZ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는데, PTZ 카메라는 모터를 이용하여 좌우/상하 회전(PAN), 방향기울기(TILT), 줌(ZOOM)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통칭한다. 따라서 센싱부(100)의 제어에 의해 PTZ 카메라를 특정 각도 및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200)는 야간 식별을 위한 감성 엘이디(LED)를 장착하고 야간 자가 촬영이 가능하도록 보조 투광등을 설치하되, 서치헤드라이트를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로 비추어 영상 획득을 용이하게 한다.
영상 촬영부(200)는 기본적으로 메가픽셀급 이상의 해상도를 지닌 카메라를 선정하고 근,중,원거리 형태로 나누어 구분하고, 카메라는 IP네트워크 카메라 또는 DSLR 디지털 카메라(줌 렌즈 장착형)를 사용하며, 사진취득 방법을 여러장의 사진을 거리별로 자동 촬영하는 줌 렌즈 구동 방법과 전체배경이 나오는 고해상도의 한 장의 사진을 취득하여 촬영된 사진을 자동으로 화면 비중을 늘려서 여러 거리별 사진이 나올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운영한다.
또한 영상 촬영부(200)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영상 촬영부(200)가 구비될 경우, 각 영상 촬영부가 데이터를 서로 무선중계함으로써, 센싱부(100), 휴대용 단말기(400) 및 데이터 서버(300)와의 데이터 교환 한계거리를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적으로, 영상 촬영부(200)에는 90도 각도 차이로 마이크가 배치되어 총 4개의 마이크가 각 방향에서의 소리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마이크 사이에는 격벽이 설치되어 소리의 진원지를 파악하는데 보조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이크는 지향성 마이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향성 마이크가 구비될 경우, 영상 촬영부(200)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이동방향을 미리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부(200)가 제1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1) 및 제2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2) 두 스테이지(STAGE)의 촬영을 담당할 경우,
영상 촬영부(200)는 사용자가 제1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1)에서 제2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2)로 이동하는 할 때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고, 그 이동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촬영부(200)는 미리 설정된 음성을 감지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5초 후 촬영"이라고 말할 경우, 영상 촬영부(200)는 사용자의 음성방향을 추적하여 촬영방향을 결정하며, "5초 후 촬영"이라는 음성을 인지한 후 음성을 인지한 시점으로부터 5초 이후에 영상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200)는 "5초 동안 동영상촬영", "5초 후 1초 간격으로 5번 정지영상촬영"의 음성명령을 인지한 후, 그 음성명령에 따라 영상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5초 동안 동영상촬영", "5초 후 1초 간격으로 5번 정지영상촬영" 등의 음성명령은 센싱부(100)를 통해 인지되어 영상 촬영부(200)로 전달되고, 영상 촬영부(200)는 음성의 방향만을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데이터 서버(300)는 영상 촬영부(2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영상 데이터는 전자앨범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에서 자가촬영을 진행한 후, 자신이 미리 입력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으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 받을 수 있다.
한편, 센싱부(1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400)로부터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 등과 같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100)와 휴대용 단말기(400)는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단순히 휴대용 단말기(400)를 센싱부(100)에 태깅하는 방식을 통해 개인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센싱부(100)에 휴대용 단말기(400)를 태깅할 경우, 사진촬영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사진촬영 애플리케이션을 휴대용 단말기(400)에 설치할 경우, 사용자는 센싱부(100)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400)에 설치된 사진촬영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부(200)를 일정시간동안 제어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400)는 촬영예정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고, 특정시점에 촬영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영상 촬영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400)의 사진촬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금액을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부(100)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400)로부터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경우, 센싱부(100) 또는 영상 촬영부(200)는 촬영예정영상을 실시간으로 휴대용 단말기(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센싱부(100), 영상 촬영부(200), 데이터 서버(300) 및 휴대용 단말기(400)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선통신방식은 고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랜 방식 또는, 3G 및 LTE 방식 등과 같은 광대역 무선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의 배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싱부(100)는 RF 태깅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한다. 즉, 영상 촬영부(200)는 각각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휴대용 단말기(400) 또는 센싱부(10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촬영부(200)의 촬영방향 및 줌 배율이 조절되며, 이러한 촬영예정영상은 실시간으로 센싱부(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휴대용 단말기(400)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자가촬영사진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영상 촬영부(200)는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배경으로 영상을 촬영하는데, 센싱부(1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에서 영상은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모두 포함하므로, 영상 촬영부(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동영상 및 정지영상(사진)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영상 촬영부(200)가 하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촬영방향 및 줌 배율을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영상 촬영부(200)가 미리 할당된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각각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설치된 복수의 영상 촬영부(200)는 제1 내지 제4 스테이지(STAGE)의 영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센싱부(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영역을 촬영하도록 동작한다.
영상 촬영부(200)는 PTZ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는데, PTZ 카메라는 모터를 이용하여 좌우/상하 회전(PAN), 방향기울기(TILT), 줌(ZOOM)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통칭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센싱부(100)은 PTZ 카메라를 특정 각도 및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데이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촬영부(200)는 PTZ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는데, PTZ 카메라는 모터를 이용하여 좌우/상하 회전(PAN), 방향기울기(TILT), 줌(ZOOM)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통칭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센싱부(100)는 PTZ 카메라를 특정 각도 및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200)는 줌(ZOOM) 조정을 통해 사용자를 확대하여 촬영하거나, 영상을 고화질로 촬영한 후 영상의 특정 부분을 확대한 후 최종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촬영되는 자가촬영 이용자의 화면 비율을 전체 사진에서 소, 중, 대 형태로 확대 또는 축소하면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는 배경이 가장 보이게 촬영된 사진이고, 중은 배경 및 인물을 모두 고려하여 촬영된 사진이고, 대는 인물 위주의 사진으로 정의된다.
이때, 영상 촬영부(200)에서 최종 영상을 센싱부(100) 또는 휴대용 단말기(400)에 전송할 경우, 최종 영상에 시간, 특정그림 또는 특정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서버(300)는 위치정보,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모두 방문했는지를 판단하고,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를 모두 방문했을 경우, 미리 설정된 증강현실 게임서버로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가 증강현실 게임서버에 접속하여 게임을 진행할 경우, 증강현실 게임서버는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 주변에 증강현실 게임 아이템을 배치하도록 연동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서버(300)는 사용자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각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의 방문시간과,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한 후, 해당 정보를 증강현실 게임서버에 전송한다. 증강현실 게임서버는 데이터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동선 정보 등을 토대로 증강현실 게임 아이템의 배치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영상 촬영부(200)는 자가촬영지원모드 및 방범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데, 자가촬영지원모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가촬영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드이다.
관리자는 센싱부(100)을 제어하여 방범모드로 전환하거나,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범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가촬영지원모드 및 방범모드가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방범모드에서 영상 촬영부(200)는,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의 바닥면에 배치된 압력센서의 감지데이터 또는 영상의 객체인식을 토대로 촬영방향을 자동결정하며, 촬영된 방범영상을 데이터 서버(300)로 실시간 전송한다.
즉, 영상 촬영부(200)는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된 영역을 상하좌우 회전하면서 촬영하는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의 바닥면에 배치된 압력센서의 감지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즉 침입자가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에 접근한 경우, 해당 영역을 집중적으로 촬영한다.
또한, 영상 촬영부(200)는 촬영된 영상을 객체인식하고 있다가, 사람 등과 같이 침입자가 인식될 경우, 해당 객체를 계속해서 촬영하도록 동작한다.
이때, 방범모드에서 객체인식을 통해 침입자를 판단할 때, 영상 촬영부(200)가 관리자 또는 순찰자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순찰자가 미리 정해진 특정 제스처를 미리 설정된 장소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진행할 경우, 영상 촬영부(200)는 해당 순찰자는 허가된 사람으로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순찰자가 특정 색상의 옷을 착용할 경우, 영상 촬영부(200)는 해당 색상의 옷을 착용한 사람은 허가된 사람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요일별 시간대별로 허가된 색상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순찰자가 특정 QR 코드 또는 마크가 인쇄된 옷 또는 부착물을 부착하고 있을 경우, 영상 촬영부(200)는 해당 코드 또는 마크를 인식한 후, 인식된 값에 따라 허가된 사람으로 인식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영상 촬영부(200)에서 객체 인식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순찰자의 옷에 부착되는 QR 코드 또는 마크는 특정 적외선 파장을 반사하는 적외선 반사도료가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200)는 적외선 투과파장을 조절하는 분광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영상 촬영부(200)에 분광필터가 장착됨으로써, 적외선 반사도료가 코팅된 코드 및 마크의 식별이 보다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투과파장을 조절하는 분광필터가 장착되어 적외선 파장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가시광선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짝을 이뤄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카메라가 각 실내촬영 스테이지(STAGE)마다 할당되고, 순찰자의 옷에 부착된 QR 코드 또는 마크에 특정 적외선 파장을 반사하는 적외선 반사도료가 코팅된 경우, 영상 촬영부(200) 또는 데이터 서버(300)는 적외선 영역의 촬영영상과 가시광선 영역의 촬영영상을 상호 비교하여 보다 정확하게 객체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 촬영부(200)에 분광필터가 장착됨으로써, 적외선 반사도료가 코팅된 코드 및 마크의 식별이 보다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순찰자가 적외선 반사도료가 코팅된 순찰복 또는 손에 적외선 반사도료가 코팅된 장갑을 착용하고 있을 경우, 영상 촬영부(200)는 순찰자의 동작인식까지도 보다 원활하게 수행 할 수 있다.
즉, 영상 촬영부(200)는 가시광선 대역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과, 적외선 대역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촬영부(200)는 허가된 순찰자라 할지라도, 순찰 도중에 특정 물건을 추가로 소지한 것으로 객체인식 될 경우, 해당 상황을 주의상황으로 인지한 후 데이터 서버(300)로 전송한다. 즉, 순찰자의 행동까지 감시함으로써 보안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은,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촬영 스테이지를 배경으로 영상촬영을 진행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1)은, 제한된 화각에서 원하는 영상을 얻지 못하는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으로 본인의 영상을 주변 환경과 같이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 형태별로 자동 촬영하고 네트워크 전송을 통해 이메일이나 문자로 사진을 여러 방법으로 전송하며, 본인의 요청 사진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서 향후 방문시 과거 사진자료를 추가 요청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현재의 장소에서 과거에 촬영한 사진을 요청한 경우, 해당 사진이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인의 손으로 조작하여 얻기 힘든 자가촬영사진을 근거리, 중/원거리에 기 설치되어 있는 영상 촬영부(200)를 실시간 구동하여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센싱부
200 : 영상 촬영부
300 : 데이터 서버
400 : 휴대용 단말기

Claims (8)

  1.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에 각각 배치되며, RF 태깅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센싱부;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를 배경으로 영상을 촬영함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복수의 영상 촬영부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서로 무선중계하면서 상기 데이터 서버와 데이터 교환을 진행하며, 각 영상 촬영부는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실내촬영 스테이지에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소리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과정을 자동으로 촬영하고,
    각 영상 촬영부는 촬영지연시간, 촬영주기 및 촬영횟수를 포함하는 음성명령을 인지하여 영상촬영을 진행하며,
    각 영상 촬영부는 자가촬영지원모드 및 방범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함에 있어서, 상기 방범모드에서 순찰자가 특정 QR 코드 또는 마크가 인쇄된 옷 또는 부착물을 부착하고 있을 경우, 상기 영상 촬영부는 QR 코드 또는 마크를 인식한 후, 인식된 값에 따라 허가된 사람으로 인식하고,
    QR 코드 또는 마크에 특정 적외선 파장을 반사하는 적외선 반사도료가 코팅되어 있을 경우, 각 영상 촬영부는 적외선 투과파장을 조절하는 분광필터가 더 장착됨으로써, 적외선 반사도료가 코팅된 QR 코드 및 마크의 식별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영상 촬영부는 촬영예정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자가촬영지원모드 및 방범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방범모드에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의 바닥면에 배치된 압력센서의 감지데이터 및 영상의 객체인식을 토대로 촬영방향을 자동결정하며, 촬영된 방범영상을 상기 데이터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자가촬영지원모드 및 방범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가촬영지원모드 및 방범모드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위치정보,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를 모두 방문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를 모두 방문했을 경우, 미리 설정된 증강현실 게임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게임서버에 접속하여 게임을 진행할 경우, 상기 증강현실 게임서버는 상기 복수의 실내촬영 스테이지 주변에 증강현실 게임 아이템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가시광선 대역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과, 적외선 대역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촬영영역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위치를 자동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1020160151720A 2016-11-15 2016-11-15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10184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720A KR101841993B1 (ko) 2016-11-15 2016-11-15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PCT/KR2016/013190 WO2018092929A1 (ko) 2016-11-15 2016-11-16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720A KR101841993B1 (ko) 2016-11-15 2016-11-15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993B1 true KR101841993B1 (ko) 2018-03-26

Family

ID=6191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720A KR101841993B1 (ko) 2016-11-15 2016-11-15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1993B1 (ko)
WO (1) WO20180929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6748A (zh) * 2019-11-22 2020-04-21 四川新网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大头照场景增强识别方法及装置
CN112788229A (zh) * 2019-11-11 2021-05-11 株式会社数据价值 基于物联网的室内型自拍支援摄像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5802A (zh) * 2018-07-05 2018-12-07 郑州工程技术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监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5516A (ja) * 2002-06-07 2004-01-15 Chuo Electronics Co Ltd 動画像の自動追尾撮影方法および自動追尾撮影装置
JP2008167250A (ja) * 2006-12-28 2008-07-17 Lahaina Co Ltd 遠隔カメラ撮影画像閲覧システム
KR100909338B1 (ko) * 2002-09-13 2009-07-24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단말을 이용한 원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067A (ko) * 2006-05-24 2007-11-28 김용제 휴대용 입체 카메라
KR20090126232A (ko) * 2009-11-18 2009-12-08 한진철 전 방향 관찰을 위한 효율적 감시 카메라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923177B1 (ko) * 2012-04-04 2019-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반의 증강 현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5516A (ja) * 2002-06-07 2004-01-15 Chuo Electronics Co Ltd 動画像の自動追尾撮影方法および自動追尾撮影装置
KR100909338B1 (ko) * 2002-09-13 2009-07-24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단말을 이용한 원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JP2008167250A (ja) * 2006-12-28 2008-07-17 Lahaina Co Ltd 遠隔カメラ撮影画像閲覧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8229A (zh) * 2019-11-11 2021-05-11 株式会社数据价值 基于物联网的室内型自拍支援摄像头***
CN111046748A (zh) * 2019-11-22 2020-04-21 四川新网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大头照场景增强识别方法及装置
CN111046748B (zh) * 2019-11-22 2023-06-09 四川新网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大头照场景增强识别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2929A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0335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9094597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20150116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objects
KR101839456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외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101841993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US20120307080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117706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image capture with automatic subject selection
WO2012124230A1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222932A1 (en) Video recording by tracking wearable devices
KR20160024848A (ko) 이미지를 이용한 리모컨 프로그래밍
KR20200048414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20160002330A (ko) 카메라 제어 장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078270B1 (ko) 증강현실 기능이 적용된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US10999495B1 (en) Internet of things-based indoor selfie-supporting camera system
KR100689287B1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강사추적카메라시스템
CN107431846B (zh) 基于多个摄像机的图像传输方法、设备和***
KR20190023213A (ko) Ar스티커를 이용한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101672268B1 (ko) 전시공간 제어 시스템 및 전시공간 제어방법
JP2019522824A (ja) ポートレート写真システムを備えるフィッティングルー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74535B2 (ja) 操作装置、追尾システム、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788229A (zh) 基于物联网的室内型自拍支援摄像头***
JP2006345114A (ja) 撮影領域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7356293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078286B1 (ko) 전자 지리정보를 활용한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20190023208A (ko) 전자 e-맵을 이용한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