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521B1 -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521B1
KR101840521B1 KR1020150159153A KR20150159153A KR101840521B1 KR 101840521 B1 KR101840521 B1 KR 101840521B1 KR 1020150159153 A KR1020150159153 A KR 1020150159153A KR 20150159153 A KR20150159153 A KR 20150159153A KR 101840521 B1 KR101840521 B1 KR 10184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ing
cooling water
valve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852A (ko
Inventor
김기열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521B1/ko
Priority to US15/335,068 priority patent/US10371470B2/en
Priority to JP2016211693A priority patent/JP6322258B2/ja
Priority to EP16198083.4A priority patent/EP3168563B1/en
Publication of KR20170055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1/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는 내부 영역에 다수개의 단위 튜브가 구비된 콘덴서 유닛; 상기 콘덴서 유닛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콘덴서 유닛의 입구쪽에 위치된 이물질 제거 유닛; 상기 콘덴서 유닛을 경유한 냉각수에 포함된 다수개의 세정 볼과 냉각수를 분류하기 위해 구비된 스트레이너 유닛; 및 상기 스트레이너 유닛을 경유한 다수개의 세정 볼이 수집되는 볼 수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볼 수집 유닛은 일단이 상기 스트레이너 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상부로 연장된 제1 이송관의 연장된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제1 밸브; 상기 제1 밸브와 이격되어 상기 제1 밸브를 경유한 세정 볼을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관에 설치된 펌프 유닛;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펌프 유닛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밸브의 전환 상태에 따라 상기 세정 볼을 수집하는 수집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Condenser tube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수개의 세정 볼을 이용하여 열 교환기 내부에 적층되는 이물질을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 볼이 수집되는 볼 수집 유닛을 통해 세정 볼의 흐름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 또는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열 교환기 또는 콘덴서와 같은 구성품이 설치되고, 상기 열 교환기 또는 콘덴서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가 중공 상태로 형성된 파이프 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 유닛은 냉각을 위해 냉각수가 공급되는데, 상기 파이프 유닛은 각종 이물질이 내부에 적층될 수 있으며 공급된 냉각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콘덴서 튜브 클리닝 시스템(Condenser tube cleaning system)을 통해 공급된 다수개의 세정 볼(Cleaning Ball)을 이용하여 상기 콘덴서 내부에 적층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콘덴서의 열교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콘덴서 튜브 클리닝 시스템은 콘덴서를 경유한 다수개의 볼이 스트레이너를 경유하여 상기 콘덴서 튜브 클리닝 시스템의 전단에 위치된 이물질 제거부로 공급되는데,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냉각수에 다수개의 세정 볼을 공급하여 상기 파이프 유닛 내부에 적층된 이물질 또는 물때와 같은 찌꺼기를 청소하고 상기 콘덴서에서 상기 스트레이너로 이동된다.
상기 스트레이너에서는 냉각수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배출되고 다수개의 세정 볼은 상기 이물질 제거부로 재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콘덴서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다수개의 세정 볼이 단순히 특정 시간 단위로 콘덴서로 공급되는 방식 이었으나, 상기 콘덴서에 다량의 이물질이 적층되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다수개의 세정 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미국등록특허 4,904,397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발전소에 구비된 열 교환기 또는 콘덴서 유닛에 적층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세정 볼의 순환과 회수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영역에 다수개의 단위 튜브가 구비된 콘덴서 유닛; 상기 콘덴서 유닛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콘덴서 유닛의 입구쪽에 위치된 이물질 제거 유닛; 상기 콘덴서 유닛을 경유한 냉각수에 포함된 다수개의 세정 볼과 냉각수를 분류하기 위해 구비된 스트레이너 유닛; 및 상기 스트레이너 유닛을 경유한 다수개의 세정 볼이 수집되는 볼 수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볼 수집 유닛은 일단이 상기 스트레이너 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상부로 연장된 제1 이송관의 연장된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제1 밸브; 상기 제1 밸브와 이격되어 상기 제1 밸브를 경유한 세정 볼을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관에 설치된 펌프 유닛;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펌프 유닛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밸브의 전환 상태에 따라 상기 세정 볼을 수집하는 수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관은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상부로 연장된 타단의 길이 방향에서 각각 이격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상부를 향해 개구된 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1 이송관의 타단 내측 중앙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된 분리판을 매개로 일측에 개구된 제1 유출구; 상기 분리판의 타측에 개구된 제2 유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밸브는 3-Way 밸브가 사용되고, 상기 제1 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집 유닛의 외측 상부에 연결된 제1 공급관; 상기 수집 유닛의 외측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 유닛의 전단에서 상기 제1 이송관에 연결된 제2 공급관이 구비된다.
상기 수집 유닛에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집 유닛의 내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스크린 망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망의 측면과 상기 수집 유닛의 측면에는 동일 선상에 개구되어 다수개의 세정 볼이 상기 펌프 유닛으로 이송되도록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공급관에는 상기 제1 이송관과 연결된 연결 부위에 위치되고 상기 세정 볼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수집 유닛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류 방지 트랩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을 경유하여 상기 콘덴서 유닛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과 냉각수량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냉각수의 압력 또는 상기 냉각수량에 따라 상기 세정 볼의 공급 시기와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의 압력이 증가할 경우 상기 콘덴서 유닛의 단위 튜브 내부에 이물질이 적층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볼 수집 유닛에 저장된 다수개의 세정 볼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으로 공급되도록 펌프 유닛을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량이 증가될 경우 상기 세정 볼의 공급 주기가 증가되도록 상기 펌프 유닛의 분당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세정 볼에 대한 순환과 공급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콘덴서 유닛의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수개의 세정 볼을 이물질 제거 유닛으로 공급할 때 시간 차이를 두고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어 세정 볼에 대한 공급 안전성 향상을 통해 특정 위치에만 집중적으로 세정 볼이 낙하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계된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에 구비된 역류 방지 트랩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출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에 의해 세정 볼이 회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계된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는 내부 영역에 다수개의 단위 튜브(110)가 구비된 콘덴서 유닛(100)과, 상기 콘덴서 유닛(10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콘덴서 유닛(100)의 입구쪽에 위치된 이물질 제거 유닛(200)과, 상기 콘덴서 유닛(100)을 경유한 냉각수에 포함된 다수개의 세정 볼(2)과 냉각수를 분류하기 위해 구비된 스트레이너 유닛(300) 및 상기 스트레이너 유닛(300)을 경유한 다수개의 세정 볼(2)이 수집되는 볼 수집 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콘덴서 유닛(100)은 내부 영역에 축 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단위 튜브(110)가 구비되고, 상기 단위 튜브(110)를 따라 다량의 냉각수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냉각수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다시 설명하면, 상기 냉각수는 이물질 제거 유닛(200)에서 상기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 된 이후에 상기 콘덴서 유닛(100)으로 후술할 세정 볼(2)과 함께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는 단위 튜브(110)를 경유하여 스트레이너 유닛(300)에서 냉각수는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세정 볼(2)은 후술할 제1 이송관(402)을 통해 볼 수집 유닛(400)으로 수집된다.
상기 볼 수집 유닛(400)은 하루를 기준으로 모두 3번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의 상부로 공급되어 상기 콘덴서 유닛(100)에 대한 세정을 실시하도록 작동되는데, 일 예로 2시간 동안 상기 콘덴서 유닛(100)에 대한 세정을 위해 세정 볼이 순환되고, 6시간 동안은 볼 수집 유닛(400)에 상기 세정 볼이 수집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볼 수집 유닛(400)은 총 8시간 주기로 하루 3번 세정 볼(2)이 순환과 수집이 반복되면서 단위 튜브(110)에 적층된 이물질에 대한 제거를 도모한다.
이물질 제거 유닛(200)은 냉각수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해 메쉬 형태의 철망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단위 튜브(110)로 이동될 수 있는 이물질을 최소화 한다.
스트레이너 유닛(300)은 상기 콘덴서 유닛(100)을 경유한 다수개의 세정 볼(2)과 냉각수를 공급 받아 상기 세정 볼(2)은 볼 수집 유닛(400)으로 이동되고, 상기 냉각수는 상기 스트레이너 유닛(300)의 하측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스트레이너 유닛(300)은 다수개의 세정 볼(2)이 볼 수집 유닛(400)으로 이동되도록 하측에 제1 이송관(402)이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볼 수집 유닛(400)은 제1 이송관(402)의 일단이 상기 스트레이너 유닛(3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의 상부로 연장된 제1 이송관(402)의 연장된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제1 밸브(410)와, 상기 제1 밸브(410)와 이격되어 상기 제1 밸브(410)를 경유한 세정 볼(2)을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관(402)에 설치된 펌프 유닛(420)과, 상기 제1 밸브(410)와 상기 펌프 유닛(4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밸브(410)의 전환 상태에 따라 상기 세정 볼(2)을 수집하는 수집 유닛(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밸브(410)는 3-Way 밸브가 사용되는데, 3-Way 밸브는 제어부(50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다수개의 세정 볼(2)을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3-Way 밸브의 방향을 세정 볼(2)이 펌프 유닛(420)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다수개의 세정 볼(2)은 펌프 유닛(420)의 펌핑력에 의해 이물질 제거 유닛(200)의 상부로 이동되어 하측 방향으로 낙하되고, 콘덴서 유닛(100)에 구비된 다수개의 단위 튜브(110)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제어부(500)는 콘덴서 유닛(100)에 대한 세정이 완료되고 수집을 위해 상기 세정 볼(2)이 수집 유닛(430)으로 유도되도록 제어하는데, 상기 펌프 유닛(420)의 작동은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이물질 제거 유닛(200)으로 세정 볼(2)의 공급은 중단시키고, 제1 밸브(410)의 방향을 수집 유닛(430)이 위치된 제1 공급관(404)으로 유도하여 다수개의 세정 볼(2)을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1 밸브(410)에 3-Way 밸브가 사용될 경우 콘덴서 유닛(100)에 대한 세정이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다수개의 세정 볼(2)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 콘덴서 유닛(100)의 내부에 적층되는 이물질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펌프 유닛(420)은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 상태가 제어되는데, 1대 또는 복수 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분당 회전수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경우 상기 콘덴서 유닛(100)으로 공급되는 세정 볼(2)의 공급량이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다수개의 세정 볼(2)이 콘덴서 유닛(100)으로 공급되야 될 경우 펌프 유닛(420)의 분당 회전수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특별한 이상 유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된 분단 회전수로 상기 펌프 유닛(42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수집 유닛(430)은 제1 밸브(4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집 유닛(430)의 외측 상부에 제1 공급관(404)이 연결되고, 상기 수집 유닛(430)의 외측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 유닛(420)의 전단에서 상기 제1 이송관(402)에 제2 공급관(406)이 구비된다.
제1 공급관(404)은 수집 유닛(430)으로 다수개의 세정 볼(2)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관(406)은 상기 수집 유닛(430)에 저장된 세정 볼(2)을 펌프 유닛(420)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수집 유닛(430)은 상기 제1 밸브(410)와 상기 펌프 유닛(4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밸브(410)의 전환 상태에 따라 상기 세정 볼(2)을 수집하기 위해 구비되는데,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크린 망(432)이 구비된다.
스크린 망(432)은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해 매쉬(mesh) 구조를 갖는 철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집 유닛(430)의 내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며, 상기 스크린 망(432)의 측면과 상기 수집 유닛(430)의 측면에는 동일 선상에 개구되어 다수개의 세정 볼(2)이 상기 펌프 유닛(420)으로 이송되도록 개구된 개구부(432a, 430a)가 형성된다.
수집 유닛(430)은 상부에 개패 가능한 커버가 구비되므로 점검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가 오픈시켜 스크린 망(432)에 대한 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개구부(432a, 430a)는 동일 선상에 개구 되므로 콘덴서 유닛(100)으로 이송이 필요할 경우 펌프 유닛(420)의 펌핑력에 의해 제2 공급관(406)과 상기 펌프 유닛(420)을 경유하여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참고로 상기 제1 이송관(402)에는 세정 볼(2)의 개수를 카운팅 할 수 있는 카운팅 유닛(600)이 구비되고, 상기 카운팅 유닛(600)은 제어부(500)로 세정 볼(2)의 개수 정보를 전송하여 현재 볼 수집 유닛(400)으로 이동된 데이터가 연산된다.
제1 이송관(402)은 이물질 제거 유닛(200)을 향해 타단이 연장되는데, 이 경우 연장된 단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의 상부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고, 유출구(402a)가 단독으로 개구되어 세정 볼(2)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의 하측으로 낙하되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을 경유한 냉각수와 함께 콘덴서 유닛(100)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 볼(2)이 단위 튜브(110)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콘덴서 유닛(100)의 효율이 향상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역류 방지 트랩(600)은 제2 공급관(406)과 제1 이송관(402)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데. 상기 세정 볼(2)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수집 유닛(43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역류 방지 트랩(600)은 상기 제2 공급관(406)에서 제1 이송관(402)을 향해 일 방향으로만 오픈 되므로, 상기 세정 볼(2)이 수집 유닛(430)에서 펌프 유닛(420)으로 이동되는 경우 일 방향으로만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세정 볼(2)이 미 공급되거나 역류되지 않아 공급 안전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세정 볼(2)이 제2 공급관(406)에서 제1 이송관(402)을 향해 일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세정 볼(2)을 이용한 콘덴서 유닛(100)에 대한 세정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펌프 유닛(420)이 작동 도중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다수개의 세정 볼(2)이 수집 유닛(430)으로 역류되지 않고 기 설정된 이동 방향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제1 이송관(402)은 타단에 유출구(402a)가 단독으로 형성되거나 아래와 같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이송관(402)에 형성된 유출구(402a)는 전술한 바와 다르게 제1 이송관(402)의 타단 내측 중앙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된 분리판(402b)을 매개로 일측에 개구된 제1 유출구(402aa)와, 상기 분리판(402b)의 타측에 개구된 제2 유출구(402a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송관(402)은 단부가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의 중앙이 아닌 도면 기준으로 좌측 가장자리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유출구(402ab)가 이물질 제거 유닛(200)의 하측을 바라보며 개구되고, 제1 유출구(402aa)는 도면 기준으로 우측 가장자리에서 이물질 제거 유닛(200)의 하측을 바라보며 개구된다.
이와 같이 제1 유출구(402aa)와 제2 유출구(402ab)가 각각 서로 간에 이격된 위치에 개구될 경우 세정 볼(2)은 상기 제1,2 유출구(402aa, 402ab)를 통해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낙하되므로 다수개의 세정 볼이 이물질 제거 유닛(200)의 특정 위치에만 낙하되지 않고 복수개의 위치에서 낙하되므로 다수개의 단위 튜브(110)를 향해 이동될 경우 골고루 분산되어 상기 단위 튜브(110)에 적층된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위 튜브(110)의 특정 위치에 적층된 이물질만 제거하지 않고 모든 위치에 배치된 단위 튜브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분리판(402b)은 제1 이송관(402)의 타단 중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이송관(402)의 중앙에 위치된다. 상기 분리판(402b)은 제1 유출구(402aa)와 제2 유출구(402ab)를 향해 이동되는 세정 볼(2)을 상기 제1 유출구(402aa)와 제2 유출구(402ab)를 향해 각각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유출구(402aa) 또는 제2 유출구(402ab) 중의 어느 하나로 다수개의 세정 볼(2)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판(402b)은 제1 이송관(402)의 타단(제2 유출구 위치)에서 제1 유출구(402aa)가 형성된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유출구(402aa)와 제2 유출구(402ab)는 상기 분리판(402b)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므로, 거리에 따라 세정 볼(2)이 상기 제1 유출구(402aa)와 제2 유출구(402ab)로 공급되는 시간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으로 낙하되는 세정 볼(2)의 낙하 속도가 상이해지고 콘덴서 유닛(100)으로 이동되는 이동 속도 차이로 인해 서로 간에 충돌되는 현상이 최소화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세정 볼(2)은 이동에 따른 이동 궤적이 서로 간에 겹치지 않고 확산될 수 있어 다수개의 단위 튜브(110)를 향해 보다 안정적으로 콘덴서 유닛(100)의 내부에서 이동 및 세정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세정 효율 향상과 이를 통해 콘덴서 유닛(100)의 전체적인 효율이 동시에 향상된다.
감지 센서(440)는 이물질 제거 유닛(200)을 경유하여 상기 콘덴서 유닛(10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과 냉각수량을 감지하는데, 일 예로 압력 센서(미도시)와 유량 센서(미도시)가 사용된다.
상기 압력 센서와 유량 센서는 이물질 제거 유닛(200)을 기준으로 하측과 상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냉각수가 이물질 제거 유닛(200)을 통과하기 전과 후의 압력과 유량을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전송된 냉각수의 압력 또는 상기 냉각수량에 따라 상기 세정 볼(2)의 공급 시기와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상기 냉각수의 압력이 증가할 경우 상기 콘덴서 유닛(100)의 단위 튜브(110) 내부에 이물질이 적층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볼 수집 유닛(400)에 저장된 다수개의 세정 볼(2)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으로 공급되도록 펌프 유닛을 온(On) 시킨다.
이 경우 역류 방지 트랩(600)이 순간적으로 제2 공급관(406)에서 제1 이송관(402) 방향으로 오픈되고, 다수개의 세정 볼(2)이 펌프 유닛(420)의 펌핑력 에 의해 상기 펌프 유닛(420)을 향해 이동된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 유닛(200)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유출구를 통해 낙하되어 콘덴서 유닛(100)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20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량이 증가될 경우 상기 세정 볼(2)의 공급 주기가 증가되도록 상기 펌프 유닛(420)의 분당 회전수를 증가시키는데, 이 경우 증가된 냉각수량과 비례하여 세정 볼(2)이 공급될 수 있어 콘덴서 유닛(100)에 적층된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에 의해 냉각수량의 변동에 따른 세정 볼(2)의 비례 공급 제어를 실시할 수 있어 다양한 변수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콘덴서 유닛(100)에 대한 세정이 모두 완료된 후에는 다수개의 세정 볼(2)이 모두 수집 유닛(430)으로 수집되도록 제1 밸브(410)의 방향을 제어하고 펌프 유닛(420)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세정 볼(2)은 제1 공급관(404)을 경유하여 수집 유닛(430)의 내부 영역을 향해 모두 안정적으로 이동되므로 수집에 따른 세정 볼(2)의 훼손이 방지되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콘덴서 유닛
110 : 단위 튜브
20 : 이물질 제거 유닛
300 : 스트레이너 유닛
400 : 볼 수집 유닛
402 : 제1 이송관
410 : 제1 밸브
420 : 펌프유닛
430 : 수집 유닛

Claims (8)

  1. 내부 영역에 다수개의 단위 튜브가 구비된 콘덴서 유닛;
    상기 콘덴서 유닛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콘덴서 유닛의 입구쪽에 위치된 이물질 제거 유닛;
    상기 콘덴서 유닛을 경유한 냉각수에 포함된 다수개의 세정 볼과 냉각수를 분류하기 위해 구비된 스트레이너 유닛; 및
    상기 스트레이너 유닛을 경유한 다수개의 세정 볼이 수집되는 볼 수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볼 수집 유닛은,
    일단이 상기 스트레이너 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상부로 연장된 제1 이송관의 연장된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제1 밸브;
    상기 제1 밸브와 이격되어 상기 제1 밸브를 경유한 세정 볼을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관에 설치된 펌프 유닛;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펌프 유닛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밸브의 전환 상태에 따라 상기 세정 볼을 수집하는 수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관은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상부로 연장된 타단의 길이 방향에서 각각 이격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의 상부를 향해 개구된 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1 이송관의 타단 내측 중앙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된 분리판을 매개로 일측에 개구된 제1 유출구; 상기 분리판의 타측에 개구된 제2 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 볼이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출구로 공급되는 시간차가 발생하도록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출구는 상기 분리판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3-Way 밸브가 사용되고, 상기 제1 밸브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집 유닛의 외측 상부에 연결된 제1 공급관;
    상기 수집 유닛의 외측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펌프 유닛의 전단에서 상기 제1 이송관에 연결된 제2 공급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유닛에는,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집 유닛의 내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스크린 망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망의 측면과 상기 수집 유닛의 측면에는 동일 선상에 개구되어 다수개의 세정 볼이 상기 펌프 유닛으로 이송되도록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관에는,
    상기 제1 이송관과 연결된 연결 부위에 위치되고 상기 세정 볼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수집 유닛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류 방지 트랩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을 경유하여 상기 콘덴서 유닛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과 냉각수량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냉각수의 압력 또는 상기 냉각수량에 따라 상기 세정 볼의 공급 시기와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의 압력이 증가할 경우 상기 콘덴서 유닛의 단위 튜브 내부에 이물질이 적층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볼 수집 유닛에 저장된 다수개의 세정 볼이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으로 공급되도록 펌프 유닛을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량이 증가될 경우 상기 세정 볼의 공급 주기가 증가되도록 상기 펌프 유닛의 분당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KR1020150159153A 2015-11-12 2015-11-12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KR10184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153A KR101840521B1 (ko) 2015-11-12 2015-11-12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US15/335,068 US10371470B2 (en) 2015-11-12 2016-10-26 Condenser tube cleaning apparatus
JP2016211693A JP6322258B2 (ja) 2015-11-12 2016-10-28 コンデンサチューブクリーニング装置
EP16198083.4A EP3168563B1 (en) 2015-11-12 2016-11-10 Condenser tube clea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153A KR101840521B1 (ko) 2015-11-12 2015-11-12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52A KR20170055852A (ko) 2017-05-22
KR101840521B1 true KR101840521B1 (ko) 2018-03-20

Family

ID=5905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153A KR101840521B1 (ko) 2015-11-12 2015-11-12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5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6066B2 (ja) * 1990-04-27 1999-03-31 昭和ゴム株式会社 管式熱交換器用の洗浄体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6066B2 (ja) * 1990-04-27 1999-03-31 昭和ゴム株式会社 管式熱交換器用の洗浄体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52A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2258B2 (ja) コンデンサチューブ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0017823A (ja)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
JP2010236819A (ja) 熱交換器伝熱管洗浄装置
TWI517904B (zh) 多旋風器式收集器
CN106929965B (zh) 用于纺织机的吸气***和包括所述吸气***的纺织机
KR101470837B1 (ko) 수분배출구조를 갖는 원심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퓨리파이어 시스템
CN210814220U (zh) 水幕除尘设备的网带式清洁***
KR101840521B1 (ko)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TWI613004B (zh) 冷卻劑再生裝置及冷卻劑再生方法
KR101935017B1 (ko) 골프공 세척 장치
KR101687879B1 (ko) 세정 볼 분리장치
KR101603743B1 (ko)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WO2016159848A1 (en) A filtration system for separating gas borne impurities
CN107178830A (zh) 一种自动除湿机
KR20180032247A (ko) 세척볼을 이용한 복수기 튜브 세척 시스템
KR101561529B1 (ko)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KR102069994B1 (ko) 선택집진이 가능한 여과시스템
JP6547302B2 (ja) クーラントゴミ回収装置
KR20170055851A (ko) 콘덴서 튜브 클리닝 장치
SE515713C2 (sv) Sätt för avskiljning av fasta partiklar från vätska i en diskmaskin
KR20160110792A (ko) 복수기 튜브 세척 시스템에 설치되는 세척볼 분류장치
KR101788816B1 (ko) 미세칩 건조 및 절삭유 회수장치
JP2014033987A (ja) 不純物除去・回収装置
JP7515978B2 (ja) クーラント浄化装置
WO2017214598A1 (en) Air and particle separ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