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498B1 - 두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두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498B1
KR101838498B1 KR1020160165010A KR20160165010A KR101838498B1 KR 101838498 B1 KR101838498 B1 KR 101838498B1 KR 1020160165010 A KR1020160165010 A KR 1020160165010A KR 20160165010 A KR20160165010 A KR 20160165010A KR 101838498 B1 KR101838498 B1 KR 10183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film
weight
parts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경수
이호준
강혁모
은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6016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필름의 제조를 위한 수지 조성물은, 전체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70 내지 95중량부, 말레이 이미드(Male Imide) 단위 1 내지 15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단위 1 내지 15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분자량이 700,000~1,200,000g/mol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호 필름은, 개선된 두께 균일도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23°C, 습도 55%RH의 환경 하에서, 필름면 내 위상차값 Ro가 20nm이하의 범위에 있고, 필름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가 30nm이하이며, 온도 40°C, 90%RH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의 투습도가 150g/㎡*24h 이하로써, 위상차값 및 내습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두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 필름{Polarizer protective film with excellent thickness uniformity}
본 발명은 편광판 보호 필름,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 균일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 전력이 작고 저전압으로 동작하며, 경량이고 박형인 액정 표시 장치가,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컴퓨터용 모니터, 텔레비젼 등의 정보 표시 디바이스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표시 디바이스는, 용도에 따라서는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신뢰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용 액정 표시 장치는, 그것이 놓이는 차내의 온도나 습도가 매우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 통상의 텔레비젼이나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에 비교하면, 요구되는 온도 및 습도 조건이 엄격하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에는, 그 표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편광판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엄격한 온도 및/또는 습도 조건이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그것을 구성하는 편광판에도 높은 내구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편광판은 통상,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 필름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투명한 보호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종래부터 이 보호 필름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가 널리 이용되며, 이 보호 필름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통해 편광 필름과 접착되어 있다. 그런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보호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투습도가 높기 때문에, 고습열 환경하에서 장시간 사용했을 때에, 편광 성능이 저하되거나, 보호 필름과 편광 필름이 박리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비하여 투습도가 낮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시도되었다.
최근 LCD는 두께가 점점 슬림화 되어 가는 추세에 맞추어 박형 필름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반면, 종래의 아크릴계 보호 필름은 두께 평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박막화가 어려워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78940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61910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5-00931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박형이면서도 두께 균일도가 우수한 편광판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편광판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말레이 이미드(Male Imide) 단위,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단위를 포함하고, 전체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70 내지 95중량부, 말레이 이미드(Male Imide) 단위 1 내지 15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단위 1 내지 15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분자량이 700,000~1,2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 필름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프액을 솔벤트 캐스트법(‘유연제막법’이라고도 함)에 의해 제막한 것으로, 필름의 두께 균일도가 전폭에 대해서 1,000 이하이며, 막 두께가 10 이상 60㎛이하를 만족하는 박형의 보호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 필름은 온도 23°C, 습도 55%RH의 환경 하에서, 하기 수학식 i로 표시되는 필름면 내 위상차값 Ro가 20nm이하의 범위에 있고, 하기 수학식 ii로 표시되는 필름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가 30nm이하를 만족하고, 온도 40°C, 90%RH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의 투습도가 150g/㎡*24h 이하인 것이 특징이다.
<수학식 i>
Ro=(nx-ny)×d
<수학식 ii>
Rth={(nx+ny)/2-nz}×d
(상기 수학식 중, nx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는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nz는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d는 필름의 막 두께(nm)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 필름은 박형이면서도 두께 균일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보호 필름의 내습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투습컵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박막의 두께 균일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보호 필름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지 조성물의 평균 분자량이 700,000~1,200,000g/mol의 범위로,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솔벤트 캐스트법에 의한 필름 제막 시, 저흡습성이고, 우수한 광학 성능을 가지며, 박막이면서도 두께 균일성이 현저히 개선된 보호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말레이 이미드(Male Imide) 단위,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두께 균일도가 전폭에 대해서 1,000이하이고, 막 두께가 10 이상 60㎛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두께 균일도가 전폭에 대해서 1,000을 초과할 경우, 두께 균일성 면에서 편광판의 보호필름으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아니하다. 보호 필름의 두께가 10㎛미만일 경우 충분한 위상차 특성을 발현하지 못하고, 보호 필름의 두께가 60㎛ 초과할 경우 박형의 편광판에 사용하기 부적당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 각각의 단량체 단위들이 반복 단위 형태로 포함되는 공중합체 수지로, 상기 각각의 단위 성분들이 반복 단위 형태로 포함된 3원 공중합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광학 특성, 투명성, 상용성, 가공성 및 생산성을 고려할 때,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95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우수한 위상차 특성 및 광학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함량이, 70중량부 미만일 경우 보호 필름의 광학적 성능이 나빠지게 되고, 9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보호 필름의 두께 균일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말레이 이미드 단위는 적절한 위상차 값을 부여하는 역할과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메틸 아크릴레이트 간의 상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말레이 이미드 단위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말레이 이미드 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 원하는 위상차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바람직한 두께 균일성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특히 광학적 성능 및 두께 균일성 개선 관점에서 분자량이 700,000~1,200,000g/mol의 범위이다. 수지 조성물의 분자량이 700,000 미만이면, 필름의 두께 균일성의 개선이 불충분해지고, 1,200,000을 초과하게 되면 수지 조성물의 필름으로서의 성형 가공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크릴 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도프 제조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말레이 이미드 단량체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공중합체 수지 용액을 제조한다. 이들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제조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현탁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혹은 용액 중합 등의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공중합체 수지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솔벤트 캐스트법에 의해 편광판 보호 필름을 제조하고 있다. 솔벤트 캐스트법은, 캐스팅 용매 중에 아크릴 공중합체를 용해시켜 수득되는 용액(도프)을 지지체 상에 캐스팅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도프의 제조는 캐스팅 용매에 상기 제조된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용액 및 보조첨가제를 혼합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상기 캐스팅 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MC),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스팅 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 경우,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혼합비는 80 : 20 내지 95 : 5의 범위 이내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용매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보호 필름의 제조에서는 보조첨가제들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도프)에는, 각 제조공정에서 용도에 따른 각종 보조첨가제, 예를 들면, 자외선 방지제, 미립자, 적외선 흡수제, 박리제 등의 보조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의 구체적인 종류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필름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를 첨가하는 시기는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결정한다. 도프 조제의 마지막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제막공정
본 발명의 솔벤트 캐스트법은, 폴리머 용액(도프)을 가압다이의 노즐로부터 금속 지지체 상에 유연하여 소정 시간 방치시켜, 반건조 상태의 필름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반건조상태의 필름을 금속 지지체로부터 박리하고, 건조시스템으로 이행하여 건조를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용제를 제거한다. 그리고, 건조상태로 된 필름에 대하여 1축 연신공정 또는 2축 연신공정을 실시한다. 이 연신공정의 실시에 의하여 보호 필름의 막 균일성 및 위상차값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다이에서 압출된 시이트상의 캐스팅 원액을 이송하면서, 캐스팅 원액에 존재하는 용매를 증발시켜, 아크릴계 보호 필름으로 제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체 또는 그의 표면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표면을 경면 마무리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체로서는 스테인레스 스틸 벨트 등의 금속 벨트(steel belt)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금속 지지체의 표면 온도는 30~35℃의 온도이며, 온도가 높을수록 캐스팅 원액에 존재하는 용매의 증발을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지만, 지나치게 높으면 캐스팅 원액이 발포되거나 평면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하는 용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 내지 75℃ 가 바람직하고, 5 내지 45℃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로는 평면상 컨베이어 벨트 형태의 금속 지지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에 도포된 캐스팅 원액은 필름으로 성형되기 충분한 시간 및 거리 동안 지지체와 함께 이동한 다음, 지지체로부터 박리(Peel off)된다. 상기 필름을 박리시키는 박리 롤러는 지지체 상의 필름을 지지체 외부로 안내하여, 지지체로부터 박리(Peel-off)시키는 통상의 안내(guide) 롤러이다.
박리 후, 클립으로 웹의 양단부를 클립하여 반송하는 텐더 연신 장치 또는 웹을 건조 장치 내에 복수 배치한 롤에 교대로 통과시켜 반송하는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웹을 건조한다. 건조 수단은 웹의 양면에 열풍을 불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바람 대신에 마이크로 웹을 대어 가열하는 수단도 있다. 너무 급격한 건조는 완성된 필름의 평면성을 손상시키기 쉽다. 고온에 의한 건조는 잔류 용매가 8질량부 이하 정도부터 행하는 것이 좋다.
텐더 연신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텐더의 좌우 파지 수단에 의해 필름의 파지 길이를 좌우에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조작은 다단계로 분할하여 실시하여도 되고, 유연 방향, 폭 방향으로 이축 연신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축 연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동시 이축 연신을 행하여도 되고, 단계적으로 실시하여도 된다.
이 경우 단계적이란, 연신 방향이 다른 연신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일 방향의 연신을 다단계로 분할하고, 또한 다른 방향의 연신을 그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동시 2축 연신에는 일 방향으로 연신하고, 다른 한쪽을 장력을 완화하여 수축시키는 경우도 포함된다. 동시 2축 연신의 바람직한 연신 배율은 폭 방향, 길이 방향 모두 1.01배 내지 2.0배의 범위에서 취할 수 있다.
텐더를 행하는 경우의 웹의 잔류 용매량은, 텐더 개시시에 20 내지 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웹의 잔류 용매량이 10질량부 이하로 될 때까지 텐더에 걸어서 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이다.
텐더를 행하는 경우의 건조온도는 50 내지 150°C가 바람직하고, 90 내지 140°C가 더욱 바람직하며, 110 내지 130°C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웹 중의 잔류 용매량이 3질량부 이하로 되고 나면 보호 필름으로서 권취기에 의해 권취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 때 잔류 용매량을 0.5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권취 방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권취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 필름은 온도 23°C, 습도 55%RH의 환경 하에서, 하기 수학식 i로 표시되는 필름면 내 위상차값 Ro가 20nm이하의 범위에 있고, 온도 23°C, 습도 55%RH의 환경 하에서, 하기 수학식 ii로 표시되는 필름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가 30nm이하를 만족하여, 우수한 위상차값을 가진다.
<수학식 i>
Ro=(nx-ny)×d
<수학식 ii>
Rth={(nx+ny)/2-nz}×d
(상기 수학식 중, nx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는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nz는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d는 필름의 막 두께(nm)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 보호 필름은 온도 40°C, 90%RH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의 투습도가 150g/㎡*24h 이하로써 우수한 내습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82중량부, 말레이 이미드 단량체 8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중량부를 중합용매인(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 9:1 혼합 용매)에 혼합하였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 용액 20.0중량부, 실리카(SiO2) 1.5중량부 및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을 9:1(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78.5중량부를 혼합하여 실리카를 포함하는 희석 아크릴 중합체 용액(주도프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주도프액 100질량부와 미립자 첨가액 5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도프를 제조하였다. 이 때 도프의 조성은 메틸렌 클로라이드 64.17중량부, 메탄올 7.13중량부, 아크릴 중합체 27.94중량부, 자외선 흡수제인 Tinvuin 928(BASF사 제조) 0.72중량부, 실리카 0.04중량부이다.
이후 상기 도프액을 인라인 믹서로 충분히 혼합하고, 이어서 벨트 유연 장치를 이용하여 폭 600mm의 스테인레스 밴드 지지체에 균일하게 유연하였다. 스테인레스 밴드 지지체 상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스테인레스 밴드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였다. 이어서 텐더로 웹 양단부를 파지하고, 130°C 온도 환경에서 TD 방향의 연신 배율이 1.5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연신 후, 그 폭을 유지한 상태로 몇 초간 유지하고, 폭 방향의 장력을 완화시킨 후, 폭 방향 이완을 하고, 또한 90°C로 설정된 건조 구간에서 35분간 반송시켜 건조를 행하여 폭 600mm, 또한 단부에 폭 10mm, 높이 8㎛의 널링을 갖는 막 두께 30㎛의 아크릴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작하되, 필름의 두께가 60㎛가 되도록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솔벤트 캐스트 법에 의해 TAC 필름을 제작하되, 도프액의 조성은, 메틸렌 클로라이드 72.63중량부, 메탄올 8.07중량부, TAC Flake 16.99중량부, TPP 가소제 1.93중량부, 자외선 흡수제인 Tinvuin 928(BASF사 제조) 0.35중량부, 실리카 0.03중량부이고, 필름의 두께는 30㎛이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작하되, 필름의 두께가 60㎛가 되도록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메타크릴산 메틸 단량체 96중량부와 아크릴산 메틸 단량체 4중량부를 공중합시켜 아크릴계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로서 내층이 아크릴산 부틸을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스티렌 및 소량의 메타클릴산 아릴을 이용해 중합시며 연질의 탄성체, 외층이 메타크릴산 메틸에 소량의 아크릴산 에틸을 이용해 중합시킨 경질의 중합체로 구성되는 2층 구조의 탄성체 입자로서, 탄성체의 수평균 입자 지름이 75nm의 것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아크릴계 수지 펠렛과 상기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를 7:3 비율로 슈퍼 믹서로 혼합하고, 이를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펠렛으로 제작하였다. 이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65mmφ 1축 압출기에 투입해, 설정 온도 275°C의 T형 다이를 통해 압출해, 45°C로 온도 설정한 경면을 가지는 2개의 폴리싱 롤에 필름의 양면을 끼워넣어 냉각해, 두께 30㎛의 아크릴 용융 압출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작하되, 필름의 두께가 60㎛가 되도록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필름들에 대해서 AxoScan(OPMF-1, Axometrics社) 광학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23 ℃, 55 %RH의 환경하에 파장 590 nm에서 위상차값 Ro와 Rth를 측정하였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투습컵(Model:KP-M6680)을 이용하여 투습도를 측정 하였다.
마지막으로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폭방향에서의 두께 균일성을 측정하여 표 1과 같이, 필름의 두께, 투습도, 위상차 값을 나타내었다.
Resin 필름두께
(㎛)
투습도
(g/㎡*24hr)
Ro/Rth
(nm)
두께균일성
(표준편차)
실시예1 아크릴1 30 95 2/3 0.812
실시예2 아크릴1 60 50 3/5 0.552
비교예1 TAC 30 620 1/24 0.417
비교예2 TAC 60 450 3/52 0.334
비교예3 아크릴2 30 130 0/5 1.411
비교예4 아크릴2 60 65 2/7 0.915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작된 편광판 보호 필름은 박형인 상태에서도 위상차, 투습도 및 두께 균일성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TAC 보호 필름은 두께 균일성이나 위상차는 좋은 특성을 가지나 투습도가 높아 수분에 취약하고, 용융 압출 아크릴 필름은 박형화가 되면 두께 균일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말레이 이미드(Male Imide) 단위,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은, 전체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70 내지 95중량부, 말레이 이미드(Male Imide) 단위 1 내지 15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단위 1 내지 15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 균일도가 전폭에 대해서 1,000 이하인 편광판 보호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의 막 두께가 10 이상 60㎛이하인 편광판 보호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분자량이 700,000~1,2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 필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온도 23°C, 습도 55%RH의 환경 하에서, 하기 수학식 i로 표시되는 필름면 내 위상차값 Ro가 20nm이하의 범위에 있고, 하기 수학식 ii로 표시되는 필름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가 30n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보호 필름.
    <수학식 i>
    Ro=(nx-ny)×d
    <수학식 ii>
    Rth={(nx+ny)/2-nz}×d
    (상기 수학식 중, nx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는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nz는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d는 필름의 막 두께(nm)를 각각 나타낸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온도 40°C, 90%RH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의 투습도가 150g/㎡*24h 이하인 편광판 보호 필름.
KR1020160165010A 2016-12-06 2016-12-06 두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 필름 KR10183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010A KR101838498B1 (ko) 2016-12-06 2016-12-06 두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010A KR101838498B1 (ko) 2016-12-06 2016-12-06 두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498B1 true KR101838498B1 (ko) 2018-03-15

Family

ID=6165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010A KR101838498B1 (ko) 2016-12-06 2016-12-06 두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4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8655A (ja) * 2012-01-18 2013-08-01 Lg Chem Ltd 光学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それを含む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4012782A (ja) * 2012-07-05 2014-01-23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クリル系熱可塑性樹脂、及びその成形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8655A (ja) * 2012-01-18 2013-08-01 Lg Chem Ltd 光学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それを含む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4012782A (ja) * 2012-07-05 2014-01-23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クリル系熱可塑性樹脂、及びその成形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667B1 (ko) 내가열(耐加熱) 내백화(耐白化) 필름
JP2011126955A (ja) 光学フィルム
KR20180079490A (ko) Ips lcd 패널
KR101838498B1 (ko) 두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 필름
KR101838494B1 (ko) 수분에 강한 패널
KR101857577B1 (ko) 저헤이즈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방법
KR20190027016A (ko) 아크릴 필름
KR101838493B1 (ko) 저투습 편광판
KR101894811B1 (ko) 코팅 아크릴 필름
KR101928860B1 (ko) 아크릴 필름
KR101894813B1 (ko) 내가열(耐加熱) 내백화(耐白化) 필름
KR20190027012A (ko) 아크릴 필름
KR101894812B1 (ko)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80079615A (ko) 내응력(耐應力) 내백화(耐白化) 필름
KR101936702B1 (ko) 코팅 아크릴 필름
KR101936672B1 (ko) 내가열(耐加熱) 내백화(耐白化) 필름
KR20180079616A (ko) 내응력(耐應力) 내백화(耐白化) 필름
KR101838495B1 (ko) 수분에 강한 패널
KR101928871B1 (ko) Ips lcd 패널
KR102088823B1 (ko) 편광판
KR101956614B1 (ko) 아크릴 필름
KR101898519B1 (ko) Ips lcd 패널
KR101968989B1 (ko) Ips lcd 패널
KR20180079612A (ko) 내응력(耐應力) 내백화(耐白化) 필름
KR101838496B1 (ko) 저투습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