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777B1 -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777B1
KR101836777B1 KR1020170125662A KR20170125662A KR101836777B1 KR 101836777 B1 KR101836777 B1 KR 101836777B1 KR 1020170125662 A KR1020170125662 A KR 1020170125662A KR 20170125662 A KR20170125662 A KR 20170125662A KR 101836777 B1 KR101836777 B1 KR 101836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rgical drape
dispenser
pai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두한
Original Assignee
전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두한 filed Critical 전두한
Priority to PCT/KR2017/01090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62926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65H2402/412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details or the parts to be hold by the user, e.g.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2Spur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1Manually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는 수술용 드레이프에 주름이나 부분적인 늘어남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인출바를 필요한 만큼 당기는 동작만으로 수술용 드레이프를 필요한 길이만큼 공급롤러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이형지가 자동으로 분리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수술용 드레이프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인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SURGICAL DRAPE DISPENSER}
본 발명은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수술부위에 수술용 드레이프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수술용 드레이프는 개복수술, 개두수술, 개흉수술과 같은 절개수술을 행할 때 환자의 절개부위에 부착시키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수술용 드레이프를 이용하는 주목적은 수술 중 절개할 부분을 펜 등으로 표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절개부의 감염을 예방하며, 절개부로부터 유출되는 혈액이나 체액 등 생물학적 오염물질이 다른 부위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수술용 드레이프는 수술이 완료된 후 절개부를 봉합하기 전 제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생물학적 오염물질이 통과되지 않는 필름 형상의 수술용 드레이프가 사용되고 있으며, 일면에 점착면을 형성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술용 드레이프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가요성과 신축성이 뛰어난 필름이므로, 점착면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하는 과정이나 환자의 수술부위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주름이 형성되거나 늘어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인원이 수술용 드레이프를 붙잡고 균일한 힘으로 환자의 수술부위에 부착시키고 있으며, 이형지를 제거할 때에도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165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고 함)에는 이형지가 일면에 부착된 접착필름의 타면에 보강필름을 추가로 부착하고, 이형지 및 보강필름에 절취선을 형성한 외과용 드레이프가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외과용 드레이프 또한 그 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작업을 행하여야 환자의 피부에 균일하게 부착할 수 있고, 이형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접착필름에 주름이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보강필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적은 인원으로도 수술용 드레이프를 환자의 수술부위에 균일하게 부착할 수 있는 방안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1650호(고안의 명칭: 외과용 드레이프, 등록일: 2010년 12월 23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술용 드레이프를 환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술용 드레이프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급롤러와, 공급롤러와 간격을 형성하며 나란히 배치된 회수롤러와, 공급롤러 및 회수롤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공급롤러와 회수롤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전동수단과, 가요성 필름의 일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점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이형지로 이루어진 수술용 드레이프와, 공급롤러 또는 회수롤러와 나란히 배치된 봉 형상의 인출바를 포함하는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여기서, 수술용 드레이프의 타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점착시트의 타면이 공급롤러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후 공급롤러의 외주면에 감기고, 수술용 드레이프의 타단부 중 점착시트는 인출바에 결합되며, 수술용 드레이프의 타단부 중 이형지의 점착면을 향하는 면의 배면은 회수롤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 및 인출바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공급롤러가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수술용 드레이프가 그 타단부로부터 공급롤러에서 풀려 나가는 동시에, 이형지는 공급롤러와 반대로 회전되는 회수롤러의 외주면에 감길 수 있다.
상술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에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연결된 견인손잡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견인손잡이에는 손잡이본체 및 일단부가 손잡이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손잡이본체와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리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연결리브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전동수단은,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의 한 쪽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기어 또는 한 쌍의 마찰차이거나,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두 쌍의 기어 또는 두 쌍의 마찰차일 수 있다.
여기서, 기어 또는 마찰차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회수롤러의 외경이 공급롤러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또는, 기어 또는 마찰차 중 공급롤러에 설치된 것의 외경이 회수롤러에 설치된 것의 외경보다 크고, 회수롤러의 외경은 공급롤러의 외경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상술한 전동수단에는,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의 어느 한 쪽 단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전동휠 또는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두 쌍의 전동휠과, 타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전동휠 중 공급롤러에 설치된 것의 외주면에 감겨 있고 일단부는 전동휠 중 회수롤러에 설치된 것의 외주면에 결합된 전동스트랩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전동스트랩이 전동휠 중 공급롤러에 설치된 것의 외주면에 감겨 있는 방향은 수술용 드레이프가 공급롤러에 감겨 있는 방향과 동일하다.
상술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에는 공급롤러가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수술용 드레이프가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공급롤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프레임 중 공급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에는 중공부와 상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중공부 내에는 권취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인출바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외주연에는 상기 인출바의 양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에는 인출바의 양단부 및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인출바의 양단부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인출바 및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다른 한 쪽에 설치된 강자성체이거나, 인출바 및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암벨크로와 다른 한 쪽에 설치된 수벨크로이거나, 인출바 및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고정돌기와 다른 한 쪽에 설치되고 고정돌기에 상응하게 형성된 고정홈이거나, 인출바 및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도포된 점착제일 수 있다.
상술한 지지프레임에는 점착면의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바를 이용하여 수술용 드레이프에 균일한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수술용 드레이프에 주름이나 부분적인 늘어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바를 필요한 만큼 당기는 동작만으로 수술용 드레이프를 원하는 길이만큼 공급롤러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이형지가 자동으로 분리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바와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이형지가 제거된 수술용 드레이프가 균일하게 펼쳐지므로, 수술용 드레이프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인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의 종단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표시된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의 작동을 예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표시된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역회전방지수단을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전동수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에는 공급롤러(110), 회수롤러(120), 전동수단(130),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 드레이프(160) 및 인출바(170)가 포함된다.
공급롤러(110) 및 회수롤러(120)는 서로 간격을 형성하며 나란히 배치되며, 공급롤러(110) 및 회수롤러(12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은 공급롤러(110) 및 회수롤러(120)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는 각각 한 쌍의 회전축(141, 142, 151, 152)이 돌출 형성된다.
한편, 공급롤러(110) 및 회수롤러(120)에는 전동수단(130)이 구비되어 두 롤러(110, 1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전동수단(130)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31, 131a, 132, 132a)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전동수단으로는 마찰차(friction wheel) 또는 중간부분이 X자 형태로 교차하게 설치된 밴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기어(131, 131a, 132, 13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롤러(110) 및 회수롤러(12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공급롤러(110) 및 회수롤러(120)의 일측에 설치된 기어(131, 132) 및 타측에 설치된 기어(131a, 132a)는, 두 롤러(110, 120)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 결합되면 서로 치합된다. 따라서, 공급롤러(110) 및 회수롤러(1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전동수단(130)은 공급롤러(110) 및 회수롤러(1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전동수단(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롤러(110)와 회수롤러(120)의 양단부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으나, 공급롤러(110)와 회수롤러(120)의 일측 또는 타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전동수단(130)이 상술한 기어(131, 132, 131a, 132a)일 경우, 전동수단(130)에는 공급롤러(110)와 회수롤러(120)의 일측에 배치된 것(131, 132)만 포함되거나 타측에 배치된 것(131a, 132a)만 포함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는 앞에서 설명한 회전축(141, 142, 151, 152) 외에 가드리브(143, 153), 통공(144), 안착홈(148, 159) 및 방향표시(149)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141, 142, 151, 152)의 외주면에는 지지돌기(145, 146, 155, 156)이 형성된다.
지지돌기(145, 146, 155, 156)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이 공급롤러(110) 및 회수롤러(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이들(110, 120)이 임의로 이탈되지는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의 종단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급롤러(110)의 일단부에는 회전축(141)이 삽입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되고, 회수롤러(120)의 일단부에도 회전축(142)이 삽입되는 중공부(121)가 형성된다.
중공부(111)의 내주면에는 지지돌기(145)가 삽입되는 지지홈(113)이 형성되며, 중공부(121)의 내주면에도 지지돌기(146)가 삽입되는 지지홈(1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홈(113, 123)과 지지돌기(145, 146)의 결합에 의해 공급롤러(110)의 일단부 및 회수롤러(120)의 일단부는 각각에 결합된 회전축(141, 142)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급롤러(110)의 타단부와 회전축(151) 및 회수롤러(120)의 타단부와 회전축(152)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앞에서 설명한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이 공급롤러(110) 및 회수롤러(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구조는 하나의 예시로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가드리브(143, 153)는 기어(131, 131a, 132, 132a)에 사용자의 손이나 옷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140)의 외주연으로부터 기어(131, 131a, 132, 132a)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이다. 따라서, 가드리브(143, 153)의 돌출된 길이는 기어(131, 131a, 132, 132a)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술용 드레이프(160)에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레우레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가요성 필름의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면(162)이 형성된 점착시트(161) 및 이형지(163)가 포함된다.
수술용 드레이프(160)는 사용되기 전 공급롤러(110)에 감긴 상태로 보관되는데, 수술용 드레이프(160)의 일단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롤러(110)의 외주면에 감기기 시작한 형상을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수술용 드레이프(160)의 일단부 중 점착시트(161)의 타면이 공급롤러(110)의 외주면에 우선 배치되는데, 이때 공급롤러(110)의 외주면 중 회수롤러(120)를 향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그 다음으로 공급롤러(110)가 도 2에 W1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공급롤러(110)의 외주면에 수술용 드레이프(160)가 감기도록 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드레이프(160)는 공급롤러(110)의 외주면으로부터 감기거나 풀리기 시작하는 부분이 회수롤러(120)를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형상이 되며, 이때 수술용 드레이프(160)는 이형지(163)가 회수롤러(120)를 향하게 배치된다.
한편, 수술용 드레이프(160)의 타단부 중 점착시트(161)의 타단부에는 인출바(170)가 결합된다. 인출바(170)는 직선형 봉 형상의 부재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170a, 170b)의 반원형 단면을 갖는 봉 사이에 점착시트(161)의 타단부가 개재되도록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출바(170)는 봉 형상의 부재 외주면에 점착시트(161)가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결합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수술용 드레이프(160)에 주름이 발생되거나 부분적으로 늘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인출바(170) 또한 공급롤러(110) 또는 회수롤러(12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회전수단(190)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수단(190)에는 권취돌기(191)가 구비되며, 회전수단(190)은 통공(144)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통공(144)은 공급롤러(110)의 중공부(111)와 상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중공부(111) 내에는 권취리브(115)가 돌출 형성된다.
권취리브(115)는 권취돌기(119)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수단(190)이 통공(144)으로 삽입되어 권취돌기(119)와 권취리브(115)가 치합되도록 한 다음, 도 2에 표시된 W1의 방향으로 회전수단(190)을 회전시키면 수술용 드레이프(160)가 공급롤러(110)의 외주면에 감기면서 인출바(170)가 A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수술용 드레이프(160)가 공급롤러(110)의 외주면에 충분히 감긴 후에는 회전수단(190)을 통공(144)으로부터 인출한다. 즉, 회전수단(190)은 공급롤러(110)의 외주면에 수술용 드레이프(160)를 용이하게 감기게 하기 위한 일종의 툴(tool)이다.
한편, 수술용 드레이프(160)가 공급롤러(110)의 표면에 모두 감기게 되면 인출바(170)도 공급롤러(110)의 표면에 밀착되어 인출바(170)를 잡고 인출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출바(170)의 길이(L2)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이 사이의 거리(L1)와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술용 드레이프(160)가 공급롤러(110)에 충분히 감기면 인출바(170)의 양단부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의 외주연에 각각 접하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습이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가 패키지(101)에 포장된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완성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를 포장하고 있는 패키지(101)는 감마선 멸균용 밀봉포장으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가 수술실에서 사용되므로 무균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수술용 드레이프(160)가 공급롤러(110)의 외주면에 감김에 따라 인출바(170)가 A방향으로 이동되어 인출바(170)의 양단부가 지지프레임(140, 150)에 각각 접하게 되면, 이형지(163)의 일단부 양면 중 점착면(162)을 향하는 면의 배면을 회수롤러(120)의 외주면에 접착이나 접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이형지(163)의 배면이 결합되는 부분은 회수롤러(120)의 외주면 중 공급롤러(110)를 향하는 부분에 해당되며, 결합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이 된다.
한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가 패키지(101)에 수용된 상태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나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인출바(170)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되면 공급롤러(110)에 감겨있던 수술용 드레이프(160)가 풀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완성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는 인출바(170)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의 일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 앞에서 언급했던 안착홈(148, 158)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여 인출바(170)의 양단부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안착홈(148, 158)은 인출바(170)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출바(170)의 일부분 이상이 안착홈(148, 158)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에는 인출바(170)의 양단부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으로는 도 1에 도시된 영구자석(181, 181a) 및 강자성체(182, 182a)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는 영구자석(181, 181a)이 각각 설치되고, 인출바(170)의 양단부에는 강자성체(182, 182a)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바(170)의 양단부가 지지프레임(140, 150)에 의해 지지되면 영구자석(181, 181a)의 자기력에 의해 강자성체(182, 182a)에 인력이 작용되므로, 인출바(170)의 양단부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48, 158)과 함께 영구자석(181, 181a) 및 강자성체(182, 182a)를 함께 적용하면, 인출바(170)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4에 표시된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수술실에서 환자의 피부에 수술용 드레이프(160)에 포함된 점착시트(도 1의 161 참조)를 부착하고자 할 경우, 패키지(101)를 개봉하여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를 꺼낸다.
이후, 한 사람은 양손으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을 잡고 다른 사람은 인출바(170)의 양단부를 잡은 후, 도 5에 B로 표시한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 대하여 인출바(170)가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인출바(170)의 이동에 따라 공급롤러(110)는 W2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공급롤러(110)의 외주면에 감겨있던 수술용 드레이프(160)가 풀리게 된다. 이때 회수롤러(120)는 공급롤러(110)와 반대 방향(W3)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이형지(163)는 점착시트(161)와 분리되며 회수롤러(12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그러므로, 인출바(170)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점착시트(161)와 이형지(163)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점착시트(161)는 인출바(170)에 의해 그 단부에 균일한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부분적이 구겨짐이나 늘어남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인출된다.
점착시트(161)가 환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적절한 길이까지 인출된 후에는 인출바(170)의 양단을 잡은 사람과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을 잡은 사람은 점착면(162)이 목적하는 환자의 피부 부위에 접하도록 인출바(170)와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을 이동시켜 점착시트(161)가 점착되도록 한다.
점착시트(161)가 점착된 후에는 점착시트(161)의 일측 및 타측을 가위 등의 절단도구로 절단함으로써 점착시트(161)의 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점착시트(161)를 안전하게 절단할 수 있는 안전칼 등을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 구비된 영구자석(181, 181a)의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면 사용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100)는 적은 인력으로도 수술용 드레이프(160)의 점착시트를 환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사례는 두 사람의 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한 인력의 수는 수술용 드레이프(160)의 폭에 따른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 사이의 거리(도 2의 L1)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수술용 드레이프(160)의 폭이 작을 경우에는 한 사람의 인력으로도 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언급했던 대로 인출바(170)의 길이(L2)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 사이의 거리(L1)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할 경우, 인출바(170)의 양단을 잡기가 용이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도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상의 손잡이가 설치되거나 돌출 형성되도록 하면, 수술용 드레이프(160)의 사용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현재 수술실에는 많은 전자장비가 사용되므로, 영구자석(181, 181a)의 자기력에 의해 수술실에 구비된 장비의 오동작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력이 발생되는 물질을 엄격히 제한해야 하는 장소에서는 고정수단으로 영구자석(181, 181a) 대신 다른 고정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출바(170) 및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 중 어느 한 쪽에는 암벨크로를 설치하고 다른 한 쪽에는 수벨크로를 설치하거나, 인출바(170) 및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 중 어느 한 쪽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다른 쪽에는 고정돌기에 상응하게 형성된 고정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인출바(170) 및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 중 어느 한 쪽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인출바(170)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앞에서 언급했던 방향표시(149)는 점착시트(161)에 형성된 점착면(162)의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즉, 점착시트(161)의 양면이 동일한 색상일 경우 점착시트(161)의 어느 면이 점착면(162)인지 혼동이 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 150) 중 어느 한 쪽이나 양쪽 모두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착면(162)의 방향을 표시한 방향표시(149)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에는 공급롤러(210), 회수롤러(220), 전동수단(230), 지지프레임(240, 250), 수술용 드레이프(260), 인출바(270) 및 견인손잡이(280)가 포함된다.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는 서로 간격을 형성하며 나란히 배치되며,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은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에는 각각 한 쌍의 회전축(241, 242, 251, 252)이 돌출 형성된다.
한편,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에는 전동수단(230)이 구비되어 공급롤러(210)와 회수롤러(2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전동수단(230)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롤러(210)와 회수롤러(220)의 양단에 설치된 두 쌍의 기어(231, 231a, 232, 232a)가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동수단(230)은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의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기어(231, 232)만으로 이루어지거나, 타측에 설치된 한 쌍의 기어(231a, 232a)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의 일측에 설치된 기어(231, 232) 및 타측에 설치된 기어(231a, 232a)는, 두 롤러(210, 220)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에 결합되면 서로 치합된다. 따라서,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에는 앞에서 설명한 회전축(241, 242, 251, 252) 외에 가드리브(243, 253) 및 통공(244, 245)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롤러(210)에는 회전축(241, 251)이 삽입되는 중공부(211)가 형성되고, 회수롤러(220)에도 회전축(242, 252)이 삽입되는 중공부(221)가 형성된다. 중공부(211, 221)의 내경은 회전축(241, 242, 251, 252)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에 대하여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이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구조는 하나의 예시로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의 양단에 회전축이 각각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이 회전축들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도록 하는 축공들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가드리브(243, 253)는 앞에서 설명한 가드리브(143, 153)과 구성과 작용효과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수술용 드레이프(260)에는 앞에서 설명한 수술용 드레이프(160)와 같이 가요성 필름의 일면에 점착면(262)이 형성된 점착시트(261) 및 이형지(263)가 포함된다. 여기서 점착면(262)은 점착시트(261)의 일면에 인체용 점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점착시트(261)에 적용되는 인체용 점착제에는 수술부위의 감염을 방지하고 소독효과를 갖도록 하는 등 위생적인 효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요오드(iodine), 아크리놀(acrinol), 은나노입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술용 드레이프(260)는 사용되기 전 공급롤러(210)에 감긴 상태로 보관되는데,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일측이 공급롤러(210)의 외주면에 감겨 있는 형상을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일단부 중 점착시트(261)의 타면이 공급롤러(210)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후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타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공급롤러(210)에 감기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드레이프(260)는 공급롤러(210)의 외주면으로부터 감기거나 풀리기 시작하는 부분이 회수롤러(220)를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도록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타측이 공급롤러(210)와 회수롤러(22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 내에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타단부는 점착시트(261)와 이형지(263)가 분리되도록 하고, 이들 중 점착시트(261)의 타단부에는 인출바(270)가 결합된다.
인출바(270)는 직선형 봉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반원형 단면을 갖는 봉(271, 27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들(271, 272) 사이에 점착시트(261)의 타단부가 개재되도록 한 후 이들(271, 272)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인출바(270)에 점착시트(261)의 타단부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출바(270)는 봉 형상의 부재 외주면에 점착시트(261)가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결합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수술용 드레이프(260)에 주름이 발생되거나 부분적으로 늘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인출바(270) 또한 공급롤러(210) 또는 회수롤러(22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인출바(270)의 길이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전의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는 인출바(270)의 양단부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의 외주연에 각각 접하면서 안착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습이 될 수 있다.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타단부 중 점착시트(261)와 분리된 이형지(263)는 도 7에 C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회수롤러(22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때 이형지(263)의 일면, 즉 점착면(262)을 향하는 방향의 배면이 회수롤러(220)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하며, 이형지(263)와 회수롤러(220)의 외주면은 접착이나 접합 등의 방법으로 서로 고정 결합된다.
견인손잡이(280)는 손잡이본체(281), 한 쌍의 연결리브(282, 283) 및 한 쌍의 연결돌기(284, 28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본체(28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리브(282, 283)의 일단부는 손잡이본체(281)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연결리브(282, 283)의 타단부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연결리브(282, 283)의 타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돌기(284, 285)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이 한 쌍의 연결돌기(284, 285)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에 각각 형성된 통공(245, 한 쪽은 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된다.
참고로, 지지프레임(240)에는 회전축(241)을 관통하는 형상의 통공(244)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통공(244)은 공급롤러(210)의 중공부(211)와 상통되며, 통공(244)을 통하여 중공부(211) 내로 공급롤러(2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툴(도 2의 190 참조)을 삽입함으로써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공급롤러(210)의 표면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프레임(240)에는 회전축(242)을 관통하는 형상의 통공(245)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지지프레임(240)의 경량화를 위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프레임(250)에도 상술한 통공(244, 245)과 동일하게 통공이 형성된다.
상술한 연결돌기(284)는 지지프레임(240)의 통공(244, 245)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연결돌기(285) 또한 지지프레임(250)에 형성된 통공(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손잡이(280)는 지지프레임(240, 2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리브(282, 283)에 의해 손잡이본체(281) 및 지지프레임(240, 25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본체(281)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견인손잡이(280)를 이루는 손잡이본체(281), 연결리브(282, 283) 및 연결돌기(284, 28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연결돌기(284, 285)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견인손잡이(280)를 탄성 변형시킨 후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에 결합되도록 하면,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은 그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지 않도록 견인손잡이(28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견인손잡이(280)에 의해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이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의 지지프레임(240, 250)에 형성된 회전축(241, 242, 251, 252)에는 앞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100)의 회전축(141, 142, 151, 152)에 형성된 바와 같은 지지돌기(145, 146, 155, 156)가 없이도 지지프레임(240, 25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00)는 일 실시예(100)에 비하여 제조가 간편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조 상의 편의 또는 사용자가 더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 견인손잡이(28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손잡이(280)의 전체적인 형상이 아치형이나 반원형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견인손잡이(280)의 중간부분에는 연결리브(282, 283)와 반대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달리, 연결돌기(284, 285)가 형성되지 않고 연결리브(282, 283)가 지지프레임(240, 25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본체(281)를 잡고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 전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가 패키지(201)에 포장된 모습이 예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실시예(200)의 작동상태가 예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8에 표시된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완성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를 포장하고 있는 패키지(201)는 감마선 멸균용 밀봉포장으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가 수술실에서 사용되므로 무균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수술실(도시되지 않음)에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패키지(201)를 절개하여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를 꺼낸 다음, 한 사람의 작업자 또는 복수의 작업자가 견인손잡이(280) 및 인출바(270)를 각각 잡고 이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가하여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공급롤러(210)로부터 풀려 나가도록 함으로써 점착시트(261)가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술실에서 환자의 피부에 수술용 드레이프(260)에 포함된 점착시트(261)를 부착하고자 할 경우, 패키지(201)를 개봉하여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를 꺼낸다.
이후, 인출바(270)와 견인손잡이(280)를 각각 잡고 지지프레임(240, 250)과 인출바(27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로부터 점착시트(261)가 인출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손잡이(281)는 D로 표시한 방향으로 당기고 인출바(270)는 E로 표시한 방향으로 당기면 이 견인력에 의해 공급롤러(210)가 지지프레임(240, 250)에 대하여 W4로 표시한 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급롤러(210)의 외주면에 감겨있던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풀리게 된다.
이때 회수롤러(220)는 전동수단(230)에 포함된 기어(231a, 232a)에 의해 공급롤러(210)와 반대 방향(W5)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이형지(263)는 점착시트(261)와 분리되는 동시에 회수롤러(22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그러므로, 인출바(270)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점착시트(261)와 이형지(263)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점착시트(261)는 인출바(270)에 의해 그 단부에 균일한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부분적이 구겨짐이나 늘어남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인출된다.
점착시트(261)가 본 실시예(200)로부터 환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적절한 길이까지 인출된 후에는 점착면(262)이 목적하는 환자의 피부 부위를 향하도록 인출바(270) 및 견인손잡이(280)를 이동시켜 점착시트(261)의 점착면(262)이 환자의 피부에 점착되도록 한다.
점착시트(261)가 점착된 후에는 점착시트(261)의 일측 및 타측을 가위 등의 절단도구로 절단함으로써 점착시트(261)의 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200)는 적은 인력으로도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점착시트를 환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특히 환자의 피부에 부착될 점착시트(261)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견인손잡이(28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인출바(270)를 잡은 상태로 본 실시예(200)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수술용 드레이프(260) 부착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참고로, D로 표시된 방향 및 E로 표시된 방향은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다른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견인손잡이(280)가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 2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에는 견인력이 작용되는 방향에 따라 견인손잡이(280)가 지지프레임(240, 250)에 대하여 회동되므로, D로 표시된 방향 및 E로 표시된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한편, 공급롤러(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풀려 나오는 선속도(LV1) 및 회수롤러(220)의 외주면에 이형지(263)가 감겨 들어가는 선속도(LV2)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 차이에 의해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인출길이가 길어질수록 회수롤러(220)에 이형지가 감기는 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다.
즉,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두께와 이형지(263)의 두께에는 점착시트(261)의 두께만큼의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공급롤러(210)의 회전속도와 회수롤러(220)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고 두 롤러의 직경(R1, R2)이 동일할 경우, 공급롤러(210)로부터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풀려 나오는 길이와 회수롤러(220)에 이형지(263)가 감겨 들어가는 길이 사이에 차이가 발생된다.
그리고, 공급롤러(210)에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감겨 있는 양에 따라 그 차이는 더욱 커진다.
또한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공급롤러(210)로부터 풀려 나오면서 공급롤러(260)에 감겨 있는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양은 점차 감소되지만, 회수롤러(220)에 이형지(263)가 감겨 들어가는 양은 점차 증가된다.
이에 따라 두 선속도(LV1, LV2)의 차이는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본 실시예(200)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그 결과로 회수롤러(220)에 이형지(263)가 감겨 들어가는 상태 또한 지속적으로 변화된다.
만약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공급롤러(210)로부터 풀려 나오는 속도보다 회수롤러(220)에 이형지(263)가 감겨 들어가는 속도가 현저하게 느린 경우에는, 이형지(263)가 회수롤러(220)에 느슨하게 감기게 되므로, 점착시트(261)로부터 이형지(263)가 분리되는 지점이 점차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견인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럴 경우 본 실시예(200)로부터 필요한 길이만큼 수술용 드레이프(260)를 인출했을 때 점착시트(261)의 일부분에는 아직 이형지(263)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추가적인 인출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급롤러(210)의 외경(R1), 회수롤러(220)의 외경(R2), 기어(231a, 232a) 사이의 기어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롤러(210, 220)의 외경(R1, R2)이 동일하고 기어(231a, 232a)의 형상도 동일할 경우, 공급롤러(210)의 외경(R1)보다 회수롤러(220)의 외경(R2)이 더 크도록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기어(231a, 232a)의 형상이 동일할 경우 공급롤러(210)와 회수롤러(220)는 방향은 반대이지만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된다.
두 롤러(210, 220)가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될 경우,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수 회 감겨 있는 상태인 공급롤러(210)로부터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풀려 나가는 선속도(LV1)는 회수롤러(220)에 이형지(263)가 감겨 들어가기 시작하는 선속도(LV2)보다 작다.
이 선속도들(LV1, LV2)의 차이를 감안하여 회수롤러(220)의 외경(R2)이 공급롤러(210)의 외경(R1)보다 크도록 형성하면, 두 선속도(LV1, LV2)가 유사해지므로 회수롤러(220)에 이형지(263)가 감기는 상태가 균일해질 수 있다.
만약, 두 롤러(210, 220)의 외경(R1, R2)이 동일하다면, 기어(231a, 232a) 사이의 기어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롤러(210)에 설치된 기어(231a)의 외경이 회수롤러(220)에 설치된 기어(232a)의 외경보다 클 경우, 즉 기어(231a)의 이빨 수가 기어(232a)의 이빨 수보다 많을 경우, 공급롤러(210)보다 회수롤러(220)의 회전속도가 증가되어 두 선속도들(LV1, LV2)의 차이가 감소되므로, 회수롤러(220)에 이형지(263)가 감겨 들어가는 상태가 개선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어(231a, 232a) 대신 마찰차가 사용된 경우에도 공급롤러(210)에 설치된 마찰차의 직경이 회수롤러(220)에 설치된 마찰차의 직경보다 크도록 하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어(231a, 232a)의 이빨 수는 정수이므로, 이들의 차이에 따른 선속도(LV1, LV2)의 미세조정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상술한 내용을 조합하여 기어(231a, 232a)와 마찰차(도시되지 않음) 중 공급롤러(210)에 설치된 것의 외경이 회수롤러(220)에 설치된 것의 외경보다 크도록 하는 동시에 회수롤러(220)의 외경(R2)이 공급롤러(210)의 외경(R1)보다 크거나 같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는 본 실시예(200)에 적용되는 전동수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동수단의 다른 예에는 공급롤러(310)의 단부에 설치된 전동휠(331), 회수롤러(320)의 단부에 설치된 전동휠(332) 및 전동스트랩(337)이 포함된다.
공급롤러(310)에는 지지프레임(240)의 회전축(241)에 상응하는 중공부(311)가 형성되며, 회수롤러(320)에도 지지프레임(240)의 회전축(242)에 상응하는 중공부(321)가 형성된다.
여기서, 공급롤러(310) 및 회수롤러(320)는 설명의 편의상 부호만 상이할 뿐 앞에서 설명한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급롤러(310) 및 회수롤러(320)에는 앞에서 설명한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공급롤러(210) 및 회수롤러(220)에 결합된 바와 동일하게 결합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공급롤러(310)에 설치된 전동휠(331)의 외주면에는 전동스트랩(337)의 타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감겨 있고, 전동스트랩(337)의 타단부는 회수롤러(320)에 설치된 전동휠(332)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때 전동휠(331)이 전동스트랩(337)의 외주면에 감겨 있는 방향은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공급롤러(310)에 감겨 있는 방향과 동일하다. 그리고 전동스트랩(337)의 타단부가 전동휠(332)에 부착된 방향은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중 이형지(263)의 타단부가 회수롤러(320)에 결합된 방향과 동일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공급롤러(310) 및 회수롤러(320)가 지지프레임(2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공급롤러(310)로부터 풀려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급롤러(310)에 설치된 전동휠(331)은 W6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회수롤러(320)에 설치된 전동휠(332)은 공급롤러(310)에 설치된 전동휠(331)과 반대방향인 W7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전동스트랩(337)이 감겨 있는 상태의 전동휠(331)의 외각과 전동스트랩(337)이 감겨 들어가기 시작하는 상태의 전동휠(332)의 외각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이들 사이에 전동스트랩(337)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급롤러(310)에 설치된 전동휠(331)의 회전중심(O3) 및 회수롤러(320)에 설치된 전동휠(332)의 회전중심(O4) 사이의 거리(DO)가, 전동휠(331)에 감겨 있는 전동스트랩(337)의 두께까지 포함한 외경(R3)의 절반과 전동휠(332)에 감겨 있는 전동스트랩(337)의 두께까지 포함한 외경(R4)의 절반과 같거나 다소 작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공급롤러(310)에 감겨 있던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풀려 나가면 전동휠(331)은 W6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전동휠(332)은 W7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수롤러(320)가 공급롤러(310)와 반대로 회전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롤러(310)에 감겨 있던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풀려 나가는 동시에 회수롤러(320)에 이형지(263)가 감겨 들어가는 과정에서, 공급롤러(310)로부터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풀려 나오는 속도에 비하여 회수롤러(320)로 이형지(263)가 감겨 들어가는 속도는 점차 증가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휠(331)이 W6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전동스트랩(337)은 전동휠(331)의 외주면으로부터 W7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전동휠(332)의 외주면으로 이동되어 감기게 된다.
따라서 전동휠(331)에 감겨 있는 전동스트랩(337)의 두께까지 포함한 외경은 R3로부터 도 15에 표시된 R5와 같이 감소되는 반면, 전동휠(332)에 감겨 있는 전동스트랩(337)의 두께까지 포함한 외경은 도 14에 표시된 R4로부터 도 15에 표시된 R6와 같이 증가된다.
이때 전동휠(331)의 회전중심(O3)과 전동휠(332)의 회전중심(O4) 사이의 거리(DO)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공급롤러(310)로부터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풀려 나감에 따라 회수롤러(320)에 이형지(263)가 감겨 들어가는 속도 및 공급롤러(310)로부터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상대적으로 풀려 나가는 속도 사이의 변화는,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휠(331, 332) 사이에서 전동스트랩(337)이 이동되어 감김에 따라 최소화 될 수 있다.
즉, 두 구동휠(331, 332)과 전동스트랩(337) 사이의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공급롤러(310)로부터 풀려 나가는 과정에서 이형지(263)가 회수롤러(320)의 외주면에 감겨 들어가기 시작하는 위치의 변화가 최소화 되어, 이형지(263)가 공급롤러(310)에 균일한 상태로 감길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전동스트랩(337)의 두께는 수술용 드레이프(260)의 두께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동스트랩(337)은 가요성은 갖는 반면, 인장력에 의한 신축성이나 압력에 의한 압축성은 낮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재로는 인테리어용 장판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합성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200)에는 역회전방지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역회전방지수단은 공급롤러(210)가 지지프레임(240, 250)에 대하여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200)를 이용하여 수술용 드레이프(26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점착시트(261)의 길이까지 한 번에 인출하지 못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필요한 점착시트(261)의 길이까지 수술용 드레이프(260)를 인출하는 동안 수 회 인출이 정지되었다가 다시 인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술용 드레이프(26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가해지거나, 인장력의 크기가 변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롤러(210)가 미세하게 역회전되는 경우에는 점착면(262)의 일부분에 이형지(263)의 점착 및 분리가 반복될 수 있으며, 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점착시트(261)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역회전방지수단을 이용하여 공급롤러(210)가 인장력의 작용에 상관없이 역회전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역회전방지수단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250)의 회전축(251)이 돌출 형성된 면에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진 돌기를 형성하고, 여기에 접하는 기어(231a)의 상응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회전축(251)의 표면에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진 돌기를 형성하고 공급롤러(210)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본 실시예(200)에 적용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역회전방지수단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역회전방지수단에는 걸림편(290)과 걸림휠(239)이 포함된다.
걸림휠(239)은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직면이 형성된 치형을 갖는 치차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231a)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걸림편(290)은 지지프레임(250) 중 기어(231a)를 향하는 면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291)와, 걸림휠(239)의 치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걸림돌기(293)와, 결합부(291) 및 걸림돌기(293)를 연결하며 결합부(291)에 대하여 걸림돌기(293)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넥(29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중공부(211)에 회전축(251)이 삽입되어 공급롤러(210)와 지지프레임(250)이 결합되면, 도 12에 공급롤러(210)가 W4로 표시한 방향, 즉 공급롤러(210)로부터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탄성넥(292)이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휠(239)이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롤러(210)가 W4로 표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려 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걸림휠(239)의 치형에 의해 걸림돌기(293)가 걸림휠(239)에 체결되어 회전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공급롤러(210)는 W4로 표시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200)는 역회전방지수단에 의해 수술용 드레이프(260)가 공급롤러(210)로부터 풀려나갈 수는 있으나, 공급롤러(210)로 다시 감기지 않게 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의 '나란함'은 기하학적이거나 수학적인 '나란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오차 및 조립오차 등 각종 오차를 감안한 '나란함'을 의미함을 밝힌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200: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110, 210: 공급롤러
111, 121, 211, 221, 311, 321: 중공부
120, 220: 회수롤러
130, 230: 전동수단
140, 150, 240, 250: 지지프레임
141, 142, 151, 152, 241, 242, 251, 252: 회전축
143, 153, 243, 253: 가드리브
144, 145, 244, 245: 통공 160, 260: 드레이프
161, 261: 점착시트 162, 262: 점착면
163, 263: 이형지 170, 270: 인출바
280: 견인손잡이 290: 걸림편

Claims (15)

  1.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와 간격을 형성하며 나란히 배치된 회수롤러;
    상기 공급롤러 및 상기 회수롤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회수롤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전동수단;
    가요성 필름의 일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상기 점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이형지로 이루어진 수술용 드레이프; 및
    상기 공급롤러 또는 상기 회수롤러와 나란히 배치된 봉 형상의 인출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술용 드레이프의 일단부 중 점착시트의 타면이 상기 공급롤러의 외주면 중 상기 회수롤러를 향하는 부분에 배치된 후 상기 수술용 드레이프의 타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공급롤러의 외주면에 감기고,
    상기 수술용 드레이프의 타단부 중 상기 점착시트는 상기 인출바에 결합되며,
    상기 수술용 드레이프의 타단부 중 상기 이형지의 상기 점착면을 향하는 면의 배면은 상기 회수롤러의 외주면 중 상기 공급롤러를 향하는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인출바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공급롤러가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술용 드레이프가 상기 공급롤러에서 풀려 나가는 동시에, 상기 이형지는 상기 공급롤러와 반대로 회전되는 상기 회수롤러의 외주면에 감기는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연결된 견인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손잡이에는,
    손잡이본체 및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본체와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리브가 더 포함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은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회수롤러의 한 쪽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기어 또는 한 쌍의 마찰차이거나,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회수롤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두 쌍의 기어 또는 두 쌍의 마찰차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또는 상기 마찰차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회수롤러의 외경이 상기 공급롤러의 외경보다 큰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또는 상기 마찰차 중 상기 공급롤러에 설치된 것의 외경이 상기 회수롤러에 설치된 것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회수롤러의 외경은 공급롤러의 외경과 같거나 큰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에는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회수롤러의 어느 한 쪽 단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전동휠 또는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회수롤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두 쌍의 전동휠과,
    타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전동휠 중 상기 공급롤러에 설치된 것의 외주면에 감겨 있고 일단부는 상기 전동휠 중 상기 회수롤러에 설치된 것의 외주면에 결합된 전동스트랩이 포함되고,
    상기 전동스트랩이 상기 전동휠 중 상기 공급롤러에 설치된 것의 외주면에 감겨 있는 방향은 상기 수술용 드레이프가 상기 공급롤러에 감겨 있는 방향과 동일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수술용 드레이프가 풀려 나가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역회전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중 상기 공급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에는 상기 중공부와 상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 내에는 권취리브가 돌출 형성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바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외주연에는 상기 인출바의 양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각각 형성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바의 양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바의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인출바 및 상기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다른 한 쪽에 설치된 강자성체이거나, 상기 인출바 및 상기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암벨크로와 다른 한 쪽에 설치된 수벨크로이거나, 상기 인출바 및 상기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고정돌기와 다른 한 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상응하게 형성된 고정홈이거나, 상기 인출바 및 상기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도포된 점착제인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점착면의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표시가 형성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KR1020170125662A 2016-09-29 2017-09-28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KR101836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0900 WO2018062926A2 (ko) 2016-09-29 2017-09-29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5628 2016-09-29
KR1020160125628 2016-09-29
KR1020160154717 2016-11-21
KR20160154717 2016-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777B1 true KR101836777B1 (ko) 2018-03-08

Family

ID=6172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662A KR101836777B1 (ko) 2016-09-29 2017-09-28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6777B1 (ko)
WO (1) WO201806292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5660A (zh) * 2020-12-29 2021-03-26 安庆市康明纳包装有限公司 医疗用品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9758A (ja) 1998-03-31 2002-04-02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手術用ドレープ材料のロール用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3722845B2 (ja) 1997-06-09 2005-11-30 カイフォ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膨張可能本体を用いて折れた骨または罹病した骨を治療するシステム
JP2008100099A (ja) 1996-10-11 2008-05-01 3M Co 手術ドレープを排出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0451650Y1 (ko) 2009-01-16 2011-01-05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외과용 드레이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8381A (en) * 1990-08-24 1992-06-02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Tape dispenser and method
US7409953B2 (en) * 2003-12-16 2008-08-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rgical drape having an expandable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099A (ja) 1996-10-11 2008-05-01 3M Co 手術ドレープを排出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3722845B2 (ja) 1997-06-09 2005-11-30 カイフォ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膨張可能本体を用いて折れた骨または罹病した骨を治療するシステム
JP2002509758A (ja) 1998-03-31 2002-04-02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手術用ドレープ材料のロール用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451650Y1 (ko) 2009-01-16 2011-01-05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외과용 드레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5660A (zh) * 2020-12-29 2021-03-26 安庆市康明纳包装有限公司 医疗用品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926A3 (ko) 2018-08-09
WO2018062926A2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12319A (ja) 細長い柔軟な医療器具の挿入のためのロボットおよび関連する付属品
JP4080536B2 (ja) ライナーのない手術ドレープ
US20100228205A1 (en) Devices and methods to apply alternating level of reduced pressure to tissue
JP2015142761A (ja) 損傷組織の処置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836777B1 (ko)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AU2010337975B2 (en) A pack of oral care items
JP2008104853A (ja) 吸収性物品における伸縮部形成方法及びその形成装置
JPH09492A (ja) 内視鏡用処置具挿抜装置
AU2008261908A1 (en) Mesh dispenser
WO2008032420A1 (fr) Bobine de fil, unité de bobine de fil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l'unité de bobine de fil
JP6980248B2 (ja) 医療デバイス収納体
EP1615585B1 (en) Oral hygiene apparatuses
JP2018075257A (ja) 止血器具
US10478357B2 (en) Bandage and medical fabrics dispensers
JP2022089173A (ja) テーピングテープ用ホルダー
JP6389510B2 (ja) 止血器具
IL288934B2 (en) A tool for disposable antiseptic wipes
CN206910556U (zh) 一种留置针输液固定装置
JP3840592B2 (ja) 医療用包帯製品・医療用包帯製品の製造方法及び包帯具システム
JP2007119212A (ja) 包帯等の巻取り装置
JP2013153891A (ja) 医療用挿管固定具
CN112478861A (zh) 医疗用带卷收装置
JP2007126425A (ja) 貼付剤
JP2003070916A (ja) シート状湿布の貼付器
JP4712500B2 (ja) ストッキング補修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