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121B1 -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 - Google Patents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121B1
KR101836121B1 KR1020170099683A KR20170099683A KR101836121B1 KR 101836121 B1 KR101836121 B1 KR 101836121B1 KR 1020170099683 A KR1020170099683 A KR 1020170099683A KR 20170099683 A KR20170099683 A KR 20170099683A KR 101836121 B1 KR101836121 B1 KR 10183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main body
wall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풍우
Original Assignee
(주)경문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문기술단 filed Critical (주)경문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09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는, 건물의 벽체(10)와 상기 벽체(10)와 연결되는 천정(20) 내부에서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 공간(a)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a)에 소화기(50)가 수용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기(5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트레이 부(500)와; 상기 건물의 실내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400)와;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벽체(10) 및 상기 천정(20)의 다수 위치에서의 온도값들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들(300); 및 상기 화재 감지부(400)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르는 화재 신호를 전달 받으면, 측정된 상기 온도값들 중 낮은 온도값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이동부(200)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이동시키고, 상기 트레이 부(400)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화재 관리부(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AUTOMATIC DISCHARGE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기와 연동되어, 건물 내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람이 모인 위치로 벽체 및 천정의 내부에서 소화장치를 이동시켜 해당 사람이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화 장치를 건물 내 공간에 노출시키도록 하여 피난시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에 관한 것이다.
화재발생시 초기진화를 위하여 소방관련법령에 준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에 대하여 소화설비, 자동화재 탐지설비, 경보설비, 비상조명설비, 비상방송설비 등을 시설해야 한다.
소화용수를 소화호스에 공급하는 옥내 소화전과 속보셋은 25m이내의 간격으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옥내소화전은 외함, 발신조, 표시등, 경종(지구경종), 소화전 기동확인 등으로 구성되어 화재수신기, 소방펌프 제어함과 연동되도록 결선 시공하며, 속보셋의 내부는 외함, 발신조, 표시등, 경종(지구경종) 등으로 구성되어 화재수신기와 연동되도록 결선 시공되어 있어 화재감지 및 소화활동을 할 수 있다.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단계에서 운반하여 냉각 또는 공기차단을 하는 소화제를 분사하여 불을 끌 수 있는 기구로서, 건물의 각층마다 설치하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설치거리가 소형소화기의 경우에는 20m이내, 대형소화기의 경우에는 30m이내가 되도록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가연성물질이 없는 작업장의 경우에는 작업장의 실정에 맞게 설치거리를 완화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지하의 경우에는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거나 사람의 접근이 쉬운 장소에 한하여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정 소방대상물의 각층이 2곳 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에는 상기 규정에 따라 각 층마다 설치하는 것 외에 바닥면적이 33㎡이상으로 구획된 각 거실(사람이 거주하는 실내)에도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건물에 시설되는 소방시설 중 소화기의 설치는 노출 및 매립 등 2가지의 경우로 시설하고 있다.
노출설치는 규정에 따라 접근이 쉬운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나, 실내 공간 확보와 보행 등의 불편으로 인해 구석진 곳에 설치하고 있어 화재 초기 진화에 어려움이 있고, 매립설치는 화재 등 비상시 위치 확인을 할 수 없고 개폐문을 개방하여 꺼내는 시간이 소요되어 화재 초기 진화 대처에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건물벽체 및 내부구조물에 매립형 조립통을 고정설치하고 매립한 후 전면커버 및 아크릴 도어를 조립한 소화기 보관용 본체케이스를 조립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태양, 조명등에 의하여 태양전지판으로 충전하고, 화재감지기를 내장하여 LED램프로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고, 특허문헌 2는 단순히 소화기의 위치만 표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기와 연동되어, 건물 내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람이 모인 위치로 벽체 및 천정의 내부에서 소화장치를 이동시켜 해당 사람이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화 장치를 건물 내 공간에 노출시키도록 하여 피난시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화장치의 내부에 소화기가 구비되지 않고 비어 있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소화 장치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 수도관과 연결되는 분사관을 즉시 개방하도록 하고, 분사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을 소화장치의 외부로 돌출되어 물을 건물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피난시 소화기가 구비되지 않음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는, 건물의 벽체와 상기 벽체와 연결되는 천정 내부에서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소화기가 수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기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트레이 부와; 상기 건물의 실내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의 다수 위치에서의 온도값들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들; 및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르는 화재 신호를 전달 받으면, 측정된 상기 온도값들 중 낮은 온도값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트레이 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화재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경로를 따르는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에는, 회전식 도어가 설치되어, 돌출되는 상기 트레이 부에 밀려 개방된다.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은, 돔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다.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 내부에는, 상기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에는, 상기 본체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센서들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온도 센서들의 위치 정보는, 상기 화재 관리부에 기설정된다.
상기 트레이 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소화기의 외주를 그립하는 그립 부재와, 상기 그립 부재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그립 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소화기의 외주에는 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 부재에는 전자석이 설치된다.
상기 전자석은 전류 제공기로부터 전류 제공 여부에 따라, 상기 자화되어, 상기 금속층에 자력을 통해 부착된다.
상기 화재 관리부는,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르는 화재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트레이 부를 외부로 돌출 시킨 이후,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전류 제공을 중지한다.
특히,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에는, 상기 실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사람의 위치 정보를, 상기 화재 관리부를 전송하는 인체 감지 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화재 관리부는, 상기 온도 센서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온도값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람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트레이 부를 외부로 돌출시킨다.
수도관과 유연성 관을 통해 연결되어, 물을 공급 받아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가 설치된다.
상기 소화수 분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다단으로 돌출되는 분사기와, 상기 분사기를 통해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는 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화재 관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소화기가 수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르는 화재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소화수 분사부를 구동시킨다.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소화기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화재 제어부로 전송하는 근접 센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기와 연동되어, 건물 내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람이 모인 위치로 벽체 및 천정의 내부에서 소화장치를 이동시켜 해당 사람이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화 장치를 건물 내 공간에 노출시키도록 하여 피난시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장치의 내부에 소화기가 구비되지 않고 비어 있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소화 장치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 수도관과 연결되는 분사관을 즉시 개방하도록 하고, 분사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을 소화장치의 외부로 돌출되어 물을 건물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피난시 소화기가 구비되지 않음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의 내부에 소화기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화기가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에 소화기가 없는 경우, 소화수 분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의 내부에 소화기가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화기가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는, 건물의 벽체(10)와 상기 벽체(10)와 연결되는 천정(20) 내부에서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 공간(a)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a)에 소화기(50)가 수용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기(5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트레이 부(500)와; 상기 건물의 실내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400)와;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벽체(10) 및 상기 천정(20)의 다수 위치에서의 온도값들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들(300); 및 상기 화재 감지부(400)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르는 화재 신호를 전달 받으면, 측정된 상기 온도값들 중 낮은 온도값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이동부(200)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이동시키고, 상기 트레이 부(500)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화재 관리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경로를 따르는 상기 벽체(10) 및 상기 천정(20)에는, 회전식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돌출되는 상기 트레이 부(500)에 밀려 개방된다.
상기 벽체(10) 및 상기 천정(20)은 실내에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벽체(10) 및 상기 천정(20)은, 돔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다.
상기 벽체(10) 및 상기 천정(20) 내부에는, 상기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30)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30)에는, 상기 본체부(100)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레일(3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본체부(100)를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21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센서들(300)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벽체(10) 및 상기 천정(20)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온도 센서들(300)의 위치 정보는, 상기 화재 관리부(600)에 기설정된다.
상기 트레이 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에 설치되는 이동 레일(510)과, 상기 이동 레일(510)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소화기(50)의 외주를 그립하는 그립 부재(520)와, 상기 그립 부재(520)를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그립 부재(520)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5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그립 부재(520)는, 소화기(50)의 외주를 그립하는 클립(521)과, 상기 소화기(50)가 안착되며, 이동 레일(510)을 따라 이동되는 하단 레일(522)과, 상기 하단 레일(522)과 상기 클립(521)을 고정하는 연결대(523)를 갖는다.
상기 이동 모터(530)는 하단 레일(522)을 이동시켜 소화기(50)를 본체부(100)의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소화기(50)의 외주에는 금속층(51)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 부재(520)에는 전자석(521a)이 설치된다.
상기 전자석(521a)은 전류 제공기(540)로부터 전류 제공 여부에 따라, 상기 자화되어, 상기 금속층(51)에 자력을 통해 부착된다.
상기 화재 관리부(600)는, 상기 화재 감지부(400)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르는 화재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트레이 부(500)를 외부로 돌출 시킨 이후,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전류 제공기(540)를 사용하여 전류 제공을 중지한다.
특히, 상기 벽체(10) 및 상기 천정(20)에는, 상기 실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사람의 위치 정보를, 상기 화재 관리부(600)를 전송하는 인체 감지 센서(700)가 설치된다.
상기 화재 관리부(600)는, 상기 온도 센서들(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온도값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람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상기 본체부(100)를 이동시키고, 상기 트레이 부(500)를 외부로 돌출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에 소화기가 없는 경우, 소화수 분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수도관(미도시)과 유연성 관(811)을 통해 연결되어, 물을 공급 받아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800)가 설치된다.
상기 소화수 분사부(8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다단으로 돌출되는 분사기(810)와, 상기 분사기(810)를 통해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는 펌프(820)를 구비한다.
상기 화재 관리부(6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상기 소화기(50)가 수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르는 화재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소화수 분사부(800)를 구동시킨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소화기(5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화재 관리부(600)로 전송하는 근접 센서(110)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기와 연동되어, 건물 내 사람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람이 모인 위치로 벽체 및 천정의 내부에서 소화장치를 이동시켜 해당 사람이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화 장치를 건물 내 공간에 노출시키도록 하여 피난시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장치의 내부에 소화기가 구비되지 않고 비어 있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소화 장치의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 수도관과 연결되는 분사관을 즉시 개방하도록 하고, 분사관의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을 소화장치의 외부로 돌출되어 물을 건물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피난시 소화기가 구비되지 않음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부
200 : 이동부
500 : 트레이 부
400 : 화재 감지부
300 : 온도 센서들
600 : 화재 관리부

Claims (3)

  1. 건물의 벽체와 상기 벽체와 연결되는 천정 내부에서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소화기가 수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기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트레이 부;
    상기 건물의 실내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의 다수 위치에서의 온도값들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들; 및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르는 화재 신호를 전달 받으면, 측정된 상기 온도값들 중 낮은 온도값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트레이 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화재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경로를 따르는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에는, 회전식 도어가 설치되어, 돌출되는 상기 트레이 부에 밀려 개방되되,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은, 돔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며,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 내부에는, 상기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본체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들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벽체 및 상기 천정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온도 센서들의 위치 정보는, 상기 화재 관리부에 기설정되고,
    상기 트레이 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소화기의 외주를 그립하는 그립 부재와,
    상기 그립 부재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그립 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소화기의 외주에는 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 부재에는 전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은 전류 제공기로부터 전류 제공 여부에 따라, 자화되어, 상기 금속층에 자력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화재 관리부는,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르는 화재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트레이 부를 외부로 돌출 시킨 이후, 설정된 시간 이후 상기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전류 제공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
  2. 삭제
  3. 삭제
KR1020170099683A 2017-08-07 2017-08-07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 KR101836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683A KR101836121B1 (ko) 2017-08-07 2017-08-07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683A KR101836121B1 (ko) 2017-08-07 2017-08-07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121B1 true KR101836121B1 (ko) 2018-04-19

Family

ID=6208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683A KR101836121B1 (ko) 2017-08-07 2017-08-07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1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3775B2 (ja) * 2008-07-25 2013-01-23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器具搬送装置
KR101584776B1 (ko) * 2015-04-29 2016-01-12 정혜진 화재수신기와 연동되어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기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3775B2 (ja) * 2008-07-25 2013-01-23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器具搬送装置
KR101584776B1 (ko) * 2015-04-29 2016-01-12 정혜진 화재수신기와 연동되어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117B1 (ko) 공동주택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792766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CN108434628B (zh) 无人机械车库移动式消防***及方法
JP3131703B2 (ja) 床埋め込み型屋内消火栓
KR101845009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101584776B1 (ko) 화재수신기와 연동되어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기함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1772023B1 (ko)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KR101730002B1 (ko) 소방용 완강기 설치구조
KR101810153B1 (ko) 궤도형 스프링클러와 분사형 피난경로 표시 로봇을 이용한 피난 관제 통신 시스템
JP2016214558A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
JP5123775B2 (ja) 消火器具搬送装置
KR102156833B1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통신 단자함
KR20170107728A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101836121B1 (ko)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자동 입출 매립형 소화설비
CN107982835B (zh) 一种自动搜索定位可移动全氟己酮灭火***
KR1021468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KR101658710B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KR101824868B1 (ko)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200466854Y1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102160459B1 (ko) 건축물과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활용한 소방안전 장치
KR20170063357A (ko) 다목적 안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10046568A (ko) 모듈화된 자동 소화장치
JP2016097151A (ja) 消火器及び火災通報システム
JP2020121163A (ja) トンネル内消火栓装置及びその配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