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30B1 -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30B1
KR101832430B1 KR1020160112949A KR20160112949A KR101832430B1 KR 101832430 B1 KR101832430 B1 KR 101832430B1 KR 1020160112949 A KR1020160112949 A KR 1020160112949A KR 20160112949 A KR20160112949 A KR 20160112949A KR 101832430 B1 KR101832430 B1 KR 10183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external force
side wall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양석
Original Assignee
류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양석 filed Critical 류양석
Priority to KR102016011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430B1/ko
Priority to JP2019500204A priority patent/JP6707170B2/ja
Priority to CN201780054033.6A priority patent/CN109688862B/zh
Priority to PCT/KR2017/009546 priority patent/WO201804409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및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 장치{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제어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면서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토록 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나 가방 등의 피착물에서 폭을 줄이거나 넓히는 목적의 버클장치의 용도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착물에 사용되는 버클장치는 기본적으로 밴드와 버클로 이루어지며, 버클은 밴드의 양단 부를 결속하거나 또는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단 부분에 구비되어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둘레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서 입구를 축소하거나 확장 등의 목적에도 활용되며, 시계줄 등에도 사용되어 시계줄의 둘레를 착용자의 손목에 맞게 조절하는 목적에도 활용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버클은 밴드가 조여지는 방향, 즉, 순방향으로는 밴드의 당김에 의해 자유로운 슬라이드 이동이 제공되나, 밴드가 풀어지는 방향, 즉, 역방향으로는 이동이 단속되어 밴드가 풀어지지 않는 조임 상태가 유지된다.
종래의 버클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밴드가 통과하는 버클하우징, 상기 버클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밴드의 단속 여부를 조절하는 걸림수단 및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은 버클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며, 사용자가 밴드의 조임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버클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버튼을 회전시켜 이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버클은 버튼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내구성이 탁월하지 못하였으며, 부품수가 많아 조립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소형화를 구현하며, 의도하지 않은 밴드의 조임 상태의 해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및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회전 시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밴드제어부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밴드제어부와 상기 밴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은, 상기 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전방측벽과 상기 후방측벽 사이에 상기 밴드가 위치한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밴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외력에 의한 상기 변화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전방측벽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기준부 및 상기 기준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밴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준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기준부와 상기 후방측벽의 내측면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외력에 의한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외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은, 상기 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외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을 제공하는 외력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력제공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력제공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전방측커버부, 상기 전방측커버부로부터 상기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방측커버부 및 하방측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및 상기 하방측커버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전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측커버부는, 상기 전방측벽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전방측커버부와 대향하는 후방측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 여부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내면에 비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의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또는 상기 하방측커버부는, 상기 잠금부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해제상태로 상태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수용할 수는 도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타측과 상기 외력전달부의 타측과 대응되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또는 상기 하방측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상태인 상기 잠금부를 상기 잠금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잠금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위치 이동에 의한 상기 수용부로부터의 분리에 의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상기 외력전달부가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잠금부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잠금상태와 상기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후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밴드가 연결된 벨트가 연결되도록 하는 벨트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벨트연결부는, 상기 벨트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상기 밴드가 연결된 벨트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연결부는, 상기 벨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삽입홀에 상기 벨트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바디와의 접촉력에 의해 상기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홀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홀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벨트를 가압하면, 상기 벨트와 멀어지면서 상기 연결바디와의 접촉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절감되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밴드의 슬라이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이딩 조작을 손쉽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형화가 가능하여 적용 분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밴드의 조임 상태의 해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가 바디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내부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B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CC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도 23의 CC선에 따른 다른 개략단면도.
도 27은 도 26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9 및 도 30은 도 28의 DD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가방, 신발, 의류, 밸트 및 시계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멜빵 등에 사용되어 길이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10)는 밴드(B)와 제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밴드(B)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반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상기 밴드(B)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일종의 버클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바디부(110), 밴드제어부(120) 및 외력전달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략적으로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밴드(B)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1)과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상기 밴드(B)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S2)을 구비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공간(S3)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B)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B)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B)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B)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위치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B)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을 밴드제어부(1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밴드(B)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 상호 간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11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1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공간(S3)을 규정하는 전방측벽(112), 후방측벽(114), 상방측벽(116) 및 하방측벽(118) 중 상기 상방측벽(116)과 상기 하방측벽(11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밴드(B)의 이동 방향, 즉, 수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관통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1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142) 및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142)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력인가부(144)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접촉부(142)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외력인가부(144)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외력을 제공받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142)는 상기 외력인가부(144)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부(142)와 연동되어 이동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기준부(122) 및 상기 기준부(122)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한 상기 밴드(B)를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부(122)는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준부(1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가 밀실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기준부(122)와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119)에 의해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외력에 의한 외력전달부(1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는 탄성부(130)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탄성부(130)에 의해 삽입공간(S1) 측으로 가압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부(130)에 의한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바디부(110)의 삽입공간(S1) 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117)에 의해 상기 바디부(110)의 삽입공간(S1) 측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7)는 상기 바디부(110)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외력전달부(140)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10)는 유출공간(S2) 측에 탄성부(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유출공간(S2) 측 내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부(132), 상기 지지부(132)로부터 상기 밴드(B)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력제공부(134), 상기 지지부(132)로부터 절개된 후 제1 각도로 절곡되는 날개부(136) 및 상기 날개부(136)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각도보다 더 큰 제2 각도로 절곡되는 밀림방지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지지부(132)를 기준으로 대략 90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15)는 상기 바디부(110)가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는 상기 탄성부(130)의 날개부(13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S4)에 상기 날개부(136)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공간(S4)이 형성된 상기 제2 고정부(115)의 일면에는 밀림방지부(138)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138)는 상기 제2 고정부(115)의 일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탄성력제공부(134)가 탄성 변형되어 발생되는 유출공간(S2) 측으로의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1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에 밴드(B)가 삽입공간(S1)으로 유입되면, 상기 밴드(B)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접촉된 채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울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이동은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밴드(B)의 걸림부(B1)에 걸리게 되어 불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외력을 외력전달부(140)에 인가하여 상기 외력전달부(14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밴드(B)의 걸림부(B1)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상기 밴드(B)는 제2 방향(D2)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30)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 및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탄성부(1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S3)은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과 후방측벽(114) 사이에 상기 밴드(B)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S3)은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위치 및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가 바디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에 핀(P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상기 핀(P1)이 삽입된다.
한편,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의 상방측벽(116) 및 하방측벽(118)의 내면 중 일부가 내부공간(S3)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의 소정 영역(R)이 절개된 후,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상기 소정 영역(R)의 삽입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에 스프링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핀(P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상기 핀(P2)이 삽입된다.
밴드제어부(120')의 기준부(122')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부(124')로부터 전방측벽(112)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기준부(122'')는 변화부(122'')로부터 후방측벽(114)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방법으로 상기 밴드제어부(120', 120'')는 바디부(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핀(P1) 등에 의해 상기 바디부(110) 상에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120', 120'')는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1 고정부(117)와 접촉하는 보조부(126', 1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126', 126'')는 상기 기준부(122', 122'') 사이에서 변화부(124', 124'')로부터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제어부(120', 120'')는 상기 보조부(126', 126'')로 인해 탄성부(130)에 의한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바디부(110)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전방측벽(112) 또는 후방측벽(114)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방법으로 바디부(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와 비교할 때, 탄성부(130)가 생략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는 밴드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바디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상기 바디부(210)의 삽입공간(S1) 측의 일부가 절곡되어 내부공간(S3)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상기 바디부(210)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할 수 있는 밴드(B)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외력전달부(240)는 외력에 의한 상기 변화부(224)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2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상기 외력전달부(24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외력제공부(35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350)는 외력전달부(340)를 관통부(311) 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350)가 이동하게 되면, 외력전달부(34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35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력전달부(3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부(310)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외력전달부(340)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바디부(310)의 상방측벽(316) 및 하방측벽(318)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력제공부(35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350)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구속부(359)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력제공부(250)를 회전시켜 상기 바디부(310)와의 간섭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구속부(359)를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외력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상기 외력제공부(350)가 후방측벽(314) 측에 위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측벽 측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400)는 밴드(B)가 연결된 벨트(V)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벨트연결부(416a, 418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410)는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412), 상방측벽(416) 및 하방측벽(41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연결부(416a, 418a)는 상기 상방측벽(416) 및 상기 하방측벽(418)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후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밴드(B)가 연결된 벨트(V)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벨트연결부(416a, 418a)는 상기 벨트(V)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연결부(416a, 418a)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B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외력제공부(55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외력전달부(540)를 관통부(511) 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550)가 이동하게 되면, 외력전달부(54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00)의 전방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이하에서는 바디부(510)의 측벽에 대한 정의를 달리한다.
즉, 바디부(510)는 내부공간(S3)을 규정하는 전방측벽(512), 후방측벽(514), 상방측벽(516) 및 하방측벽(518)을 구비할 수 있으며, 관통부(511)는 상기 상방측벽(516) 및 상기 하방측벽(518)에 밴드(B)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력제공부(550)는 나사 체결 방식 등을 통해 상기 외력전달부(5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540)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후방측벽(514)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거나, 후방측벽(514)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상기 상방측벽(516) 및 상기 하방측벽(518)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측벽(514)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전방측커버부(552), 상기 전방측커버부(552)로부터 상기 상방측벽(516) 및 상기 하방측벽(518)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방측커버부(554) 및 하방측커버부(55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540)는 상기 상방측커버부(554) 및 상기 하방측커버부(556)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측커버부(552)는 전방측벽(512)의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00)에 밴드(B)가 삽입공간(S1)으로 유입되면, 상기 밴드(B)는 상기 밴드제어부(520)와 접촉된 채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울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이동은 상기 밴드제어부(520)가 밴드(B)의 걸림부(B1)에 걸리게 되어 불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외력을 외력제공부(550)에 인가하여 상기 외력전달부(54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550) 및 상기 외력전달부(54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상기 밴드제어부(52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밴드(B)의 걸림부(B1)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상기 밴드(B)는 제2 방향(D2)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530)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밴드제어부(520), 상기 외력전달부(540) 및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상기 탄성부(5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S3)은 바디부(510)의 전방측벽(512)과 후방측벽(514) 사이에 상기 밴드(B)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520)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S3)은 상기 외력전달부(540)의 위치 및 상기 밴드제어부(52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에서 바디부(510)의 전방측벽(512)이 제거된 구조일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에서 외력제공부(550)의 후방측커버부(558)가 추가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전방측커버부(552)와 대향하는 후방측커버부(558)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바디부(51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는 가방, 신발, 의류, 밸트 및 시계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밸트의 버클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밴드(B)가 연결된 벨트(V)를 제어 장치의 바디부에 연결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필요하며, 구체적으로, 연결고리(360) 및 벨트연결부(370)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360)는 대략 C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벨트연결부(370)는 연결바디(372) 및 가압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372)는 밴드(B)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H1)을 구비할 수 있으며, 후방측은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74)는 상기 삽입홀(H1)로 벨트(V)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바디(37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바디(372)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측벽(373)에 의해 후방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74)는 나사(K) 등이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홀(H2)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H1)로 벨트(V)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374)가 상기 연결바디(372)에 삽입되면, 상기 나사(K) 등에 의해 상기 벨트(V)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삽입홀(H2)에 상기 벨트(V)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374)가 상기 연결바디(372)에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374)의 단차지게 형성되는 측벽(375)은 상기 연결바디(372)의 측벽(373)과 접촉되고, 이러한 접촉에 의한 접촉력에 의해 상기 벨트(V)의 이탈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K)가 상기 나사홀(H2)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벨트(V)를 가압하면 할수록, 상기 가압부(374)는 상기 벨트(V)와 멀어지면서 측벽(375)과 상기 연결바디(372)의 측벽(373)의 접촉력은 증가되어 상기 벨트(V)의 이탈은 발생되지 않는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CC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2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6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잠금부(67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670)는 외력제공부(650) 및 외력전달부(640)의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일종의 시건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670)는 바디부(610)의 상방측벽(616) 및 하방측벽(618)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위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670)는 외력전달부(64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외력전달부(640)가 위치 이동되는 경로, 즉, 관통부(611)를 규정하는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640)가 상기 관통부(6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도 24에 도시된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670)는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관통부(611)를 규정하는 내면에 비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640)가 상기 관통부(6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도 25에 도시된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위치 이동 방향은 상방측벽(616)으로부터 하방측벽(618)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일측과 대응되는 외력제공부(650)의 상방측커버부(654) 또는 하방측커버부(656)는 상기 잠금부(670)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해제상태로 상태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67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인 도피부(65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650)의 상방측커버부(654)로부터 돌출된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을 누르게 되면, 상기 외력전달부(640)는 상방측벽(616)으로부터 하방측벽(618)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되며, 이로 인해, 잠금부(670)는 관통부(611)를 규정하는 내면으로부터 상기 하방측커버부(656)의 도피부(657)로 이동되게 된다.
결국, 이 상태에서 외력제공부(650) 및 외력전달부(640)는 밴드(B)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을 누르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외력전달부(640)는 하방측벽(618)으로부터 상방측벽(616)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는 탄성스프링의 일종인 복귀부(E)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복귀부(E)는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과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과 대응되는 상방측커버부(654) 또는 하방측커버부(65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상태인 상기 잠금부(670)를 상기 잠금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26은 도 23의 CC선에 따른 다른 개략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잠금부(670')는 도 24 및 도 25와는 달리, 일부가 절개된 환형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관통부(611)도 상기 잠금부(670')와 대응되는 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611)는 원형 형상과 함께 외력전달부(640')의 직선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원형 형상인 부분보다 작지만 다소 길게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670')는 일부가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어 외력전달부(640')의 하측으로부터 끼워져 상기 외력전달부(64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9 및 도 30은 도 28의 DD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7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잠금부(77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770)는 외력제공부(750) 및 외력전달부(740)의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일종의 시건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770)는 바디부(710)의 상방측벽(716) 및 하방측벽(718)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740)의 위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710)의 상방측벽(716) 및 하방측벽(718)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잠금부(77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 또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7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70)는 상기 수용부(713)에 수용되어 상기 외력전달부(740)가 상기 관통부(7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위치 이동에 의한 상기 수용부(713)로부터의 분리에 의해 상기 관통부(711) 내에서 상기 외력전달부(740)가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70)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잠금상태와 상기 해제상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거나,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해제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외력이 상기 잠금부(770)에 제공되면, 외력제공부(750) 및 외력전달부(740)는 밴드(B)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잠금부(770)는 탄성스프링의 일종인 복귀부(E)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잠금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밴드 조절 장치
100: 제어 장치
110: 바디부
120: 밴드제어부
130: 탄성부
140: 외력전달부

Claims (34)

  1.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밴드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리는지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및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기준부 및 상기 기준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밴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변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직선 운동 시 상기 변화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밴드제어부와 상기 밴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측벽 및 상기 후방측벽은,
    각각 상기 밴드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상기 밴드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 측에 형성되는 측벽이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은,
    상기 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전방측벽과 상기 후방측벽 사이에 상기 밴드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되는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는 상기 전방측벽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와 상기 전방측벽의 내측면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한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외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측벽은,
    상기 밴드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상기 밴드의 일측면 측에 형성된 측벽이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은,
    상기 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외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을 제공하는 외력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력제공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전방측커버부, 상기 전방측커버부로부터 상기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방측커버부 및 하방측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및 상기 하방측커버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전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측커버부는,
    상기 전방측벽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전방측커버부와 대향하는 후방측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 여부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내면에 비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의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또는 상기 하방측커버부는,
    상기 잠금부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해제상태로 상태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수용할 수는 도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의 타측과 상기 외력전달부의 타측과 대응되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또는 상기 하방측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상태인 상기 잠금부를 상기 잠금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잠금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위치 이동에 의한 상기 수용부로부터의 분리에 의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상기 외력전달부가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잠금상태와 상기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측벽은,
    상기 밴드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상기 밴드의 일측면 측에 형성된 측벽이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후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밴드가 연결된 벨트가 연결되도록 하는 벨트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연결부는,
    상기 벨트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연결된 벨트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연결부는,
    상기 벨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삽입홀에 상기 벨트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바디와의 접촉력에 의해 상기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홀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홀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벨트를 가압하면, 상기 벨트와 멀어지면서 상기 연결바디와의 접촉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KR1020160112949A 2016-09-02 2016-09-02 제어 장치 KR101832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49A KR101832430B1 (ko) 2016-09-02 2016-09-02 제어 장치
JP2019500204A JP6707170B2 (ja) 2016-09-02 2017-08-31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CN201780054033.6A CN109688862B (zh) 2016-09-02 2017-08-31 卡条、控制装置以及卡条调节装置
PCT/KR2017/009546 WO2018044095A1 (ko) 2016-09-02 2017-08-31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49A KR101832430B1 (ko) 2016-09-02 2016-09-02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430B1 true KR101832430B1 (ko) 2018-02-26

Family

ID=6153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949A KR101832430B1 (ko) 2016-09-02 2016-09-02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4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44Y1 (ko) * 2002-07-22 2002-10-25 김명희 벨트용 버클
KR101274672B1 (ko) * 2013-02-21 2013-06-17 류양석 버클
JP5840566B2 (ja) 2012-05-25 2016-01-06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44Y1 (ko) * 2002-07-22 2002-10-25 김명희 벨트용 버클
JP5840566B2 (ja) 2012-05-25 2016-01-06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KR101274672B1 (ko) * 2013-02-21 2013-06-17 류양석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117B1 (en) Buckle
US7257865B2 (en) Holder for cord fasteners
KR100895229B1 (ko) 벨트의 자동 잠금 및 조정 고정용 버클
US5906031A (en) Rotating and locking clip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10042909A (ko) 버클 부착 밴드 및 그 버클
US6560830B1 (en) Structure of a plug-in fastening device
EP3810525B1 (en) Strap adjustment system
US20180125171A1 (en) Harness Fastening System
US11889901B2 (en) Closure device having closure parts which are able to be placed against one another
US9101183B2 (en) Buckle system and mounting bracket
CN111432682A (zh) 工具带
KR101832430B1 (ko) 제어 장치
US20160374436A1 (en) Buckle having easy separation operation
US6654989B2 (en) Synthetic resin attachment for clothes and belongings
JP6707170B2 (ja)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KR101847448B1 (ko) 버클
US11832690B2 (en) Snap and lock
US6830166B1 (en) Strap retention system and uses therefor
US10263364B1 (en) Pull-type tripp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
KR20190082036A (ko) 버클
US20080052879A1 (en) Retention mechanism for a wearable terminal
KR101847447B1 (ko) 버클
KR101850763B1 (ko)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KR101906058B1 (ko) 지퍼 슬라이더
JP2014073221A (ja) ロック機構付きスライドアジャ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