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901B1 -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901B1
KR101831901B1 KR1020110010587A KR20110010587A KR101831901B1 KR 101831901 B1 KR101831901 B1 KR 101831901B1 KR 1020110010587 A KR1020110010587 A KR 1020110010587A KR 20110010587 A KR20110010587 A KR 20110010587A KR 101831901 B1 KR101831901 B1 KR 10183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vdf
tpe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252A (ko
Inventor
이중규
정상윤
강호천
이용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9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수지 50~100 중량%,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TPEE) 0~50 중량% 및 산화티탄(TiO2) 0~30 중량%로 이루어지는 A층; 및 PVdF 0~80 중량%, TPEE 20~100 중량% 및 TiO2 5~50 중량%로 이루어지는 B층을 포함하는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필름은 내구성,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므로 태양광 모듈의 백시트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MULTI LAYER FILM HAVING IMPROVED WEATHERABIL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백시트(back sheet)로서 유용한 내후성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의 대량소비에 따른 대기 오염, 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 등의 환경문제 및 유가 상승에 따른 에너지 문제로 인해 수소 전지, 연료 전지, 태양광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풍력 에너지 및 해양 에너지 등의 친환경적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중 태양광 에너지는 무한한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고 개발이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차세대 재생에너지로서 적합하다고 평가된다.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모듈은 옥외에서 장시간 사용되기 때문에 내구성, 내열성 및 내후성 등의 기능을 보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태양광 모듈을 보호하는 필름으로는 주로 불화비닐리덴 필름이 사용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8-85270호, 제 2002-26354호 및 제 2002-134770호에서는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필름 사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적층하거나, 또는 내후성이 증가된 PVF 대체 필름에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무기물을 첨가하여 3층 공압출함으로써 제조된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73780호에는, 태양전지 모듈의 수광면 재료로서 자외선 흡수제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및 이의 이면에 동종 필름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필름의 보호층을 가지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와 같은 접착 수지로 캡슐화(incapsulation)된 복수계의 태양전지를 가지는 태양전지 모듈이 기재되어 있다.
PVdF 수지는 용융성형이 가능하고 내식성, 내용제성 및 내자외선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옥외에 노출되는 구조물의 표면 보호용 필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표면 보호용 필름은 각종 기재의 표면에 접착 외장되어 사용되므로 장기간 사용 중 박리가 생기지 않게 접착성 및 두께 균일성이 요구된다.
PVdF 수지는 불소계 수지 이외의 타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44898호 및 소61-8350호 등에서는, 비교적 상용성이 우수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수지를 접착성 수지층으로 하여 PVdF 수지층 및 염화비닐 수지층 사이에 개재시켜 제조한 3층 압출 시트, 및 PVdF 수지층 및 접착성 수지층으로서 PMMA 수지층 사이에 PVdF 및 PMMA 혼합 수지층을 배치시킨 후 제조한 압출 시트 등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시트를 태양광 백시트로 이용하면 서로 다른 수지 특성으로 인하여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또는 상용성이 미흡하여 외관 및 두께 균일성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필름들을 대상으로 100시간 동안의 내후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신도 변화율이 급격히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 내후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태양광 모듈의 백시트로 유용한 내후성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내후성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수지 50~100 중량%,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TPEE) 0~50 중량% 및 산화티탄(TiO2) 0~30 중량%로 이루어지는 A층; 및 PVdF 0~80 중량%, TPEE 20~100 중량% 및 TiO2 5~50 중량%로 이루어지는 B층을 포함하는, 내후성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내후성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진 태양전지용 백시트(back sheet)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삭제
1)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수지 50~100 중량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TPEE) 0~50 중량부 및 산화티탄(TiO2) 0~30 중량부를 혼합 및 펠렛화한 원료 A를 제조하는 단계;
2) PVdF 0~80 중량부, TPEE 20~100 중량부 및 TiO2 5~50 중량부를 혼합 및 펠렛화한 원료 B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조된 원료 A 및 B를 피드 블록(feed block)에 투입하여 교대로 적층시키고 공압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압출된 시트를 캐스팅 롤을 통과시켜 최종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후성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후성 다층 필름은, 내구성,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물품 또는 재료의 보호, 특히 태양광전지의 백시트로 사용되는 경우 공정 및 품질 면에서 안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수지 50~100 중량%,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TPEE) 0~50 중량% 및 산화티탄(TiO2) 0~30 중량%로 이루어지는 A층; 및 PVdF 0~80 중량%, TPEE 20~100 중량% 및 TiO2 5~50 중량%로 이루어지는 B층을 포함하는, 내후성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2층 이상의 다층 필름으로, 층수에 관계 없이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주요 구성성분인 PVdF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VF2) 단량체의 단일수지(homopolymer)이거나 공중합수지(copolymer) 형태일 수 있다.
PVdF가 공중합수지일 경우에는, 50중량% 이상의 VF2, 및 VF2와 공중합이 가능한 다른 공단량체가 공중합된 수지가 바람직하다,
공중합될 수 있는 공단량체로서는, 불소화된 단량체가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불화비닐 트리플루오로에틸렌(VF3);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1,2-디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PMVE), 퍼플루오로(에틸비닐)에테르(PEVE) 및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PPVE) 등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1,3-디옥솔); 및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PD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트리플루오로에틸렌(VF3)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인 것이 바람직하다.
PVdF는, 압출 및 사출 성형에 적합하기 위해서, 전단속도 100s-1 및 230℃의 조건으로 모세관 유량계에 의해 측정한 점도가 100 내지 2,500 Pa·s인 것이 바람직하며, 500 내지 2,000 Pa·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VdF의 MFI (용융유동지수)는 2.16 kg의 하중 하에서 230℃에서 측정하였을 때, 1 내지 11g/10분일 수 있으며, 1 내지 9g/10분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다른 주요 구성성분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TPEE)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및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와 압출 가공 온도가 유사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가 가장 바람직하다.
TPEE는 선상 고분자로서 펠렛(pellet) 형태의 성형재료로 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이 가능하고, 성형성이 우수하며 뛰어난 내열성, 내열 노화성, 내피로성, 내충격성, 내후성 및 내약품성 등의 물성을 갖는다.
TPEE의 MFI(용융유동지수)는 2.16 kg의 하중 하에서 230℃에서 측정하였을 때, 5 내지 14 g/10분일 수 있으며, 14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또 다른 주요 구성성분인 TiO2는 빛의 투과율, 반사율, 색상등의 광학적 특성의 조절과, 마찰계수, 표면조도 및 미세한 촉감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iO2는 컴파운딩 방식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균 입경은 0.1 내지 0.7 ㎛인 것이 좋고, 특히 0.2 내지 0.4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TiO2 입자의 크기가 0.1 ㎛ 미만인 경우에는 광학특성과 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고, 0.7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학 특성과 필름의 표면조도가 저하되거나 필름 표면에서 피쉬 아이(fish eye: 필름 표면에 작은 구멍 등이 생기는 현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TiO2 입자는 필름의 A층에 대해서는 0 내지 20 중량%, 필름의 B층에 대해서는 30 내지 50 중량%로, 전체 다층 필름에 대해서는 각각 5 내지 50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TiO2 입자의 함량이 전체 다층 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차광 및 반사율 효과가 개선되지 않으며 분산성이 떨어져 필름 성형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수지 50~100 중량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TPEE) 0~50 중량부 및 산화티탄(TiO2) 0~30 중량부를 혼합 및 펠렛화한 원료 A를 제조하는 단계; 2) PVdF 0~80 중량부, TPEE 20~100 중량부 및 TiO2 0~50 중량부를 혼합 및 펠렛화한 원료 B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조된 원료 A 및 B를 피드 블록(feed block)에 투입하여 교대로 적층시키고 공압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압출된 시트를 캐스팅 롤을 통과시켜 최종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후성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원료 A 및 B의 구성 성분들은 이축 혼련기에서 200 내지 26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40℃에서 블렌딩 또는 컴파운딩하여 펠렛화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원료 A 및 B는 1:1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1:3의 층비가 되도록 2대의 압출기에 첨가하여 200 내지 26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10℃에서 용융시키고, 피드 블록에 투입하여 교대로 적층시킨 후 공압출한다. 상기 공압출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공압출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 각 층은 압출기의 용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층간 비율을 조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압출된 시트는 정전인가 1 내지 10 kv 조건, 바람직하게는 5 kv에서 캐스팅 롤을 통과시킴으로써 균일한 두께 및 표면을 갖는 본 발명의 내후성 다층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후성 다층 필름은, A층 및 B층의 각각의 두께가 30 nm 내지 5 μm이고, 전체 두께가 20 μm 내지 100 μ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길이방향(MD) 및 폭방향(TD)의 인장강도가 각각 3.8 kgf/㎟ 이상이고 신도가 각각 350% 이상이고 150℃ 및 30분 조건의 열처리에 대한 길이방향(MD) 및 폭방향(TD)의 열수축률이 각각 2.0% 이하이며 2atm, 120℃, 100% 상대습도 및 75시간의 조건의 내압시험(PCT, Pressure Cooker Test)에 대한 황색지수(△YI, Yellow Index)의 변화율이 25% 이하이고 550㎚의 파장에서의 반사율이 8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내후성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진 태양전지용 백시트(back sheet)를 제공한다. 상기 내후성 다층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구성, 내후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물품 또는 재료의 보호, 특히 태양광 전지의 백시트로 사용되는 경우 공정 및 품질 면에서 안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후성 다층 필름의 제조>
다음과 같은 각각의 원료 성분을 준비하였다.
1)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VdF): MFI 9g/10분(ASTM D1238, 230℃, 2.16kg하중), 솔베이사 PVDF Chip
2)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TPEE): MFI 14g/10분(ASTM D1238, 230℃, 2.16kg하중), LG화학사 TPEE Chip
3) TiO2: 입도 230㎚, 헌쯔만사
실시예 1
PVdF 수지를 단독으로 한 원료를 A층으로 압출하고, TPEE/TiO2 = 50/50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B층으로 압출하였다.
PVdF A층과 TPEE/TiO2 B층의 중량비가 1:3이 되도록 하여 스크류 경 130mm, 스크류 L/D 32의 압출기 2대에서 210℃의 온도로 용융하였다. 이어, 피드 블록 공압출법으로 다이폭 2800 mm의 T-다이를 이용하여 30 ㎛ 두께의 45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PVdF/TPEE = 90/10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에서 블렌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A층으로 압출하고, TPEE/TiO2 = 50/50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 ℃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B층으로 압출하였다.
PVdF/TPEE A층과 TPEE/TiO2 B층의 각 층간 중량비가 1:3이 되도록 하여 스크류 경 130mm, 스크류 L/D 32의 압출기 2대에서 210℃의 온도로 용융하였다. 이어, 피드 블록 공압출법으로 다이폭 2800 mm의 T-다이를 이용하여 30 ㎛ 두께의 45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PVdF/TPEE = 80/20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에서 블렌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A층으로 압출하고, TPEE/TiO2 = 50/50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 ℃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B층으로 압출하였다.
PVdF/TPEE A층과 TPEE/TiO2 B층의 각 층간 중량비가 1:3이 되도록 하여 스크류 경 130mm, 스크류 L/D 32의 압출기 2대에서 210℃의 온도로 용융하였다. 이어, 피드 블록 공압출법으로 다이폭 2800 mm의 T-다이를 이용하여 30 ㎛ 두께의 45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PVdF/TPEE/TiO2 = 90/5/5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A층으로 압출하고, PVdF/TPEE/TiO2 = 10/45/45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B층으로 압출하였다.
PVdF/TPEE/TiO2 A층과 PVdF/TPEE/TiO2 B층의 각 층간 중량비가 1:3이 되도록 하여 스크류 경 130mm, 스크류 L/D 32의 압출기 2대에서 210℃의 온도로 용융하였다. 이어, 피드 블록 공압출법으로 다이폭 2800 mm의 T-다이를 이용하여 30 ㎛ 두께의 45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PVdF/TPEE/TiO2 = 80/10/10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A층으로 압출하고, PVdF/TPEE/TiO2 = 20/40/40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B층으로 압출하였다.
PVdF/TPEE/TiO2 A층과 PVdF/TPEE/TiO2 B층의 각 층간 중량비가 1:3이 되도록 하여 스크류 경 130mm, 스크류 L/D 32의 압출기 2대에서 210℃의 온도로 용융하였다. 이어, 피드 블록 공압출법으로 다이폭 2800 mm의 T-다이를 이용하여 30 ㎛ 두께의 45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PVdF/TPEE/TiO2 = 70/15/15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A층으로 압출하고, PVdF/TPEE/TiO2 = 30/35/35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B층으로 압출하였다.
PVdF/TPEE/TiO2 A층과 PVdF/TPEE/TiO2 B층의 각 층간 중량비가 1:3이 되도록 하여 스크류 경 130mm, 스크류 L/D 32의 압출기 2대에서 210℃의 온도로 용융하였다. 이어, 피드 블록 공압출법으로 다이폭 2800 mm의 T-다이를 이용하여 30 ㎛ 두께의 45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PVdF/TPEE/TiO2 = 60/20/20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A층으로 압출하고, PVdF/TPEE/TiO2 = 40/30/30 함량으로 이축 혼련기에서 240℃의 온도에서 컴파운딩하여 펠렛화한 원료를 B층으로 압출하였다.
PVdF/TPEE/TiO2 A층과 PVdF/TPEE/TiO2 B층의 각 층간 중량비가 1:3이 되도록 하여 스크류 경 130mm, 스크류 L/D 32의 압출기 2대에서 210℃의 온도로 용융하였다. 이어, 피드 블록 공압출법으로 다이폭 2800 mm의 T-다이를 이용하여 30 ㎛ 두께의 45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A층과 B층의 중량비가 1:5가 되도록 하여 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30 ㎛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A층과 B층의 중량비가 1:5가 되도록 하여 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30 ㎛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에서 A층과 B층의 중량비가 1:5가 되도록 하여 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30 ㎛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4에서 A층과 B층의 중량비가 1:5가 되도록 하여 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30 ㎛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5에서 A층과 B층의 중량비가 1:5가 되도록 하여 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30 ㎛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6에서 A층과 B층의 중량비가 1:5가 되도록 하여 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30 ㎛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7에서 A층과 B층의 중량비가 1:5가 되도록 하여 공압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30 ㎛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7 에서 제조한 내후성 필름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인장 강도
ASTM D882에 의거하여 길이방향(MD)과 폭방향(TD)에 대한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2) 신도
ASTM D882에 의거하여 길이방향(MD)과 폭방향(TD)에 대한 신도를 측정하였다.
3) 열수축율
150℃에서 30분간 열처리 후의 길이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4) 황색지수 변화율(△YI)
내압시험(PCT, Pressure Cooker Test, 2atm, 120℃, 상대습도 100% 및 75시간) 전후의 황색지수(ΔYI, Yellow Index) 변화율을 다음의 식에 의해 얻었다:
ΔYI(%) = (PCT 후 YI - PCT 전 YI / PCT 전 YI) x 100
5) 반사율
색차계(UltraScanTM Pro, HunterLab사)를 이용하여 파장 550㎚의 광원으로 측정하였다.
물성 강도(Kgf/mm2) 신도(%) 열수축률(%) △YI 반사율(%)
MD TD MD TD MD TD
실시예 1 4.5 4.5 350 350 0.1 0 25 82
실시예 2 4.4 4.5 360 370 0.5 0 23 83
실시예 3 4.2 4.2 400 420 1.2 1.0 20 83
실시예 4 4.4 4.4 370 350 1.0 0 22 81
실시예 5 4.0 4.1 450 455 1.0 1.0 20 83
실시예 6 3.9 4.0 460 470 1.5 1.0 17 82
실시예 7 3.8 4.0 480 500 2.0 1.5 15 82
비교예 1 4.2 4.3 500 500 0.5 0.5 24 78
비교예 2 4.1 4.2 510 520 1.0 0.5 22 79
비교예 3 4.1 4.1 550 565 1.4 1.5 19 79
비교예 4 4.1 3.9 525 520 1.5 1.0 21 77
비교예 5 3.7 3.6 580 580 1.3 1.3 20 79
비교예 6 3.6 3.5 600 590 1.5 1.5 17 78
비교예 7 3.5 3.5 620 630 2.6 2.0 14 78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TPEE를 사용한 본 발명의 필름은 강도, 신도, 열수축률, 황색지수변화율 및 반사율과 같은 물성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1)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수지 50~100 중량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TPEE) 0~50 중량부 및 산화티탄(TiO2) 0~30 중량부를 혼합 및 펠렛화한 원료 A를 제조하는 단계;
    2) PVdF 0~80 중량부, TPEE 20~100 중량부 및 TiO2 5~50 중량부를 혼합 및 펠렛화한 원료 B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조된 원료 A 및 B를 피드 블록(feed block)에 투입하여 교대로 적층시키고 공압출하여, 원료 A로 이루어진 A층 및 원료 B로 이루어진 B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공압출된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공압출된 시트를 캐스팅 롤을 통과시켜 최종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3)에서 원료 A 및 B가 1:1 내지 1:4의 중량비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공압출된 시트를 정전인가 1 내지 10 kv 조건에서 캐스팅 롤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층 및 B층이 각각 30 nm 내지 5 μ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후성 다층 필름의 전체 두께가 20 μm 내지 1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10010587A 2011-02-07 2011-02-07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1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587A KR101831901B1 (ko) 2011-02-07 2011-02-07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587A KR101831901B1 (ko) 2011-02-07 2011-02-07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646A Division KR101889082B1 (ko) 2017-12-11 2017-12-11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252A KR20120090252A (ko) 2012-08-17
KR101831901B1 true KR101831901B1 (ko) 2018-02-27

Family

ID=4688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587A KR101831901B1 (ko) 2011-02-07 2011-02-07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84A1 (ko) * 2018-06-20 2019-12-26 에스케이씨에코솔루션즈(주) 라미네이트 강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시트
KR102174324B1 (ko) 2018-06-20 2020-11-04 에스케이씨에코솔루션즈(주) 라미네이트 강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5694A (ja) * 2005-07-22 2007-02-08 Daikin Ind Ltd 太陽電池のバックシート
JP2009541556A (ja) * 2006-06-26 2009-11-26 ソルヴェイ(ソシエテ アノニム) 接着特性を有するポリマー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5694A (ja) * 2005-07-22 2007-02-08 Daikin Ind Ltd 太陽電池のバックシート
JP2009541556A (ja) * 2006-06-26 2009-11-26 ソルヴェイ(ソシエテ アノニム) 接着特性を有するポリマー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252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5235B (zh) 一种太阳能电池背板
JP5571582B2 (ja) 太陽電池用3層フィルム
JP5871922B2 (ja) 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樹脂フィルム、多層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並び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48266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
JP5641081B2 (ja) ポリクロロトリフルオロエチレン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
US7270870B2 (en) Multi-layer polymer film
KR102174324B1 (ko) 라미네이트 강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시트
JP603581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5099059A1 (ja) 多層シート、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889082B1 (ko)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1901B1 (ko) 내후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7552B1 (ko) 단층 PVdF 연신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백시트
KR101399422B1 (ko) 단층 PVdF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5850B1 (ko) 단층 PVdF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189517A1 (en) Multi-layer fluororesin film, extrusion method thereof and solar module using the same
KR101762337B1 (ko) 폴리머 필름, 태양 전지 패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JP201616750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バックシート用フッ化ビニリデン重合体組成物、樹脂フィルム、積層体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バックシート
KR101658184B1 (ko) 폴리머 필름, 태양 전지 패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WO2017006695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封止材一体型裏面保護シート
KR101521614B1 (ko) 내용매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유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필름
WO2016143549A1 (ja) フッ化ビニリデン重合体組成物、重合体フィルム、積層体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
KR20170009292A (ko) 이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659701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封止材一体型裏面保護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711224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におけるラミネート温度決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