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259B1 - 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 Google Patents

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259B1
KR101831259B1 KR1020160000402A KR20160000402A KR101831259B1 KR 101831259 B1 KR101831259 B1 KR 101831259B1 KR 1020160000402 A KR1020160000402 A KR 1020160000402A KR 20160000402 A KR20160000402 A KR 20160000402A KR 101831259 B1 KR101831259 B1 KR 101831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whitening
whitening composition
peroxide
weight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4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1409A (en
Inventor
신승화
최다미
송주동
엄태관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259B1/en
Priority to PCT/KR2016/015357 priority patent/WO2017119660A1/en
Priority to TW106100130A priority patent/TWI682784B/en
Publication of KR2017008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과산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피틴산 또는 그것의 염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eroxide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es 0.1 to 10 wt% of phytic acid or a salt thereof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Description

안정성이 향상된 치아 미백제 조성물{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0001] 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0002]

본 발명은 치아 미백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틴산에 의해 미백 기능성 유효성분인 과산화물의 분해가 억제되고, 조성물의 pH 안정성이 향상되어 장기 보관 시에도 미백 효과를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whitening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hich is capable of suppressing the decomposition of peroxides as a whitening functional active ingredient by phytic acid and improving the pH stability of the composition, ≪ / RTI >

치아는 내부의 상아질과 치아의 보호벽이 되는 외부의 법랑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법랑질의 색은 원래 불투명 흰색 또는 황색이다. 상기 범랑질은 자연적인 공간이나 구멍이 있으며, 여기에 약간의 착색물질이나 변색제가 침투하여 치아를 변색하게 한다.The teeth consist of the inner dentin and the outer enamel that serves as a protective wall for the teeth. The color of the enamel is originally opaque white or yellow. The flank has a natural space or a hole in which a small amount of coloring matter or discoloring agent penetrates to discolor the teeth.

인간이 접촉하는 다양한 물질이 치아를 착색시키거나 치아의 미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음식물 및 담배 등은 치아의 법랑질에 축적되어 치아에 얇은 막과 같은 것을 형성시키며, 이들 착색 변질 물질이 법랑질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치아의 법랑질을 변색시킬 수 있다.A variety of human-contacting materials can color teeth or reduce tooth whitening. Particularly, food, tobacco, etc. are accumulated in the enamel of the teeth to form a thin film on the tooth, and these coloring materials can pass through the enamel. If this phenomenon is repeated, the tooth enamel can be discolored.

또한, 어떤 질병이나 환경적 요인이 치아의 변색에 또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치아의 변색이 단시간 내에 건강상의 위험을 야기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치아 미백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certain diseases or environmental factors can also affect tooth discoloration. Although the discoloration of these teeth does not cause health hazard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demand for tooth whitening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recent interest in cosmetics.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과산화물계 치아 미백제는 과산화물에서 발생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이 치아의 법랑질층과 상아질을 통해 이동하여 치아 내부에 존재하는 색소 또는 얼룩을 산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액상, 겔 형, 페이스트형, 패치형 등으로 제형화되어 사용되고 있다.The peroxide-based tooth whitening agents currently in use are known to free radicals generated from peroxides through the enamel layer and dentin of the teeth to oxidize the pigment or stain existing in the teeth, and they are known as liquid, gel, paste, Patch type or the like.

상기 페이스트형 치아 미백제는 사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사용자가 많으나 접촉 시간이 짧아 미백 효과가 미흡하고, 액상 치아 미백제는 미백 성분을 액상에 안정화시킨 제품으로 사용은 간편하나 구강 내의 침에 희석되어 미백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The paste-type tooth whitening agent is easy to use and has a low cost due to its low cost. However, since the contact time is short, the whitening effect is insufficient. The liquid tooth whitening agent is a product stabilized in a liquid phase, And the whitening effect may be lowered.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패치형 치아 미백 제품은 사용이 간편하고 효과가 페이스트형 또는 액상에 비해 뛰어나지만 보관 중 구겨지거나 접혀 제품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일부 변색된 치아를 미백하기 위해 치아 전체에 제품을 붙여야 하며, 패치 변형 공정이 부가되어 제조방법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patch type whitening product sold on the market is easy to use and has a superior effect compared to a paste or liquid, but often it is difficult to use a wrinkled or folded product during storage, and in order to whiten some discolored tee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 is stuck on the whole, and a patch deformation process is added to make the manufacturing method difficult.

상기 과산화물이 치아 미백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은 알려져 있으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아 미백제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고, 장기 보관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아 미백제에는 철(Ⅲ) 이온을 비롯한 다량의 금속 이온을 불순물로서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금속 이온은 과산화물을 분해시키는 촉매로 작용하기 때문에 보관, 유통 시 과산화물이 신속히 분해되어 제품 내 가스 발생으로 인해 용기가 팽창되거나, 제형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Although it is known that the peroxide is excellent in tooth whitening effect, there is a problem that compatibility with a commonly used tooth whitening agent is poor and stability of long-term storage is deteriorated. In addition, commonly used tooth whitening agents contain a large amount of metal ions including iron (III) ions as impurities. These metal ions act as catalysts for decomposing peroxides, so that peroxides are quickly decomposed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iner is swollen due to the generation of gas, and the formulation is separated.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미백 기능성 유효성분인 과산화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한 치아 미백제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70232호 등에서 제시되었으나, 이는 단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에 과산화물의 안정성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tooth whitening agent using a substance capable of stabilizing peroxide as an effective whitening ingredient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0232, etc.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stability of peroxide can be secured in the long term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 중 조성물 내의 타 성분에 의해 방출되는 금속 이온에 의한 과산화물의 분해와 조성물의 불필요한 pH 변화를 억제하여, 장기 보관 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미백 효과를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suppressing decomposition of peroxides by metal ions released by other components in a composition during storage and unnecessary pH change of the composition, And to provide a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hich is excellent in stability and can continuously exhibit a whitening effe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과산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피틴산 또는 그것의 염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eroxide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es 0.1 to 10 wt% of phytic acid or a salt thereof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의 함량이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of peroxide may be from 0.5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이 과산화수소, 과탄산염, 과붕산염, 과산화요소, 과인산피로인산나트륨, 과산화칼슘, 과산화바륨, 과산화마그네슘, 및 과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roxid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peroxide, percarbonate, perborate, peroxide, superphosphate sodium pyrophosphate, calcium peroxide, barium peroxide, magnesium peroxide, and potassium peroxi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킬레이트제 1 내지 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1 to 10% by weight of a chelat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과 그것의 염, 소듐 스테네이트(sodium stannate), 포타슘 스테네이트(potassium stannate), 및 피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helating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 and its salts, sodium stannate, potassium stannate, and pyrophosphate. It may be more than one selec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pH 조절제 1 내지 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1 to 10% by weight of a pH adjusting ag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가 제2 인산나트륨, 제3 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수산화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구연산, 및 구연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 adjust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phosphate, tribasic sodium phosphate, sodium carbonate, sodium bicarbonate,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potassium carbonate, ammonium hydroxide, triethanolamine, tris (hydroxymethyl) Citric acid, and sodium citrat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점착성 고분자 5 내지 8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5 to 80% by weight of a sticking polym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프로필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olyacrylic acid, polyvinyl alcohol, polyvinyl pyrrolidone, carboxymethyl cellulose, carboxyethyl cellulose, and carboxypropyl cellulose It may be more than one selec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가 12 내지 120의 K 값을 가지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scous polymer may be polyvinylpyrrolidone having a K value of 12 to 1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1 to 10% by weight of a surfacta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에틸시트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rfacta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glycerin, triethyl citrate, and polysorb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제 조성물은, 피틴산에 의해 미백 기능성 유효성분인 과산화물의 분해와 조성물의 불필요한 pH 변화가 억제되어, 장기 보관 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미백 효과를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decomposition of peroxides as a whitening functional active ingredient and the unnecessary pH change of the composition by phytic acid, and is excellent in stability during long-term storage and can continuously exhibit whitening effec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pH 안정성 평가 결과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과산화물 안정성 평가 결과를 도식화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pH stability of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peroxide stability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과산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피틴산 또는 그것의 염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eroxide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es 0.1 to 10 wt% of phytic acid or a salt thereof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유효성분"은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성분 중 직접적인 미백 기능성을 가지는 성분을 의미한다. 즉, 상기 과산화물에서 발생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이 치아의 법랑질과 상아질을 통해 이동하여 치아 내부에 존재하는 색소 또는 얼룩을 산화시킴으로써 변색된 치아에 대한 미백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ctive ingredient" means a component that has direct whitening functionality among the ingredients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That is, a free radical generated from the peroxide may move through enamel and dentin of a tooth to oxidize a pigment or a stain existing in the tooth, thereby achieving a whitening effect on discolored teeth.

상기 과산화물의 함량은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5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필요한 수준의 미백 효과를 구현할 수 없고, 50중량% 초과이면 치아 표면이 부식되거나 구강 점막이 손상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eroxide may be 0.5 to 50 wt%, preferably 3 to 3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peroxide is less than 0.5% by weight, a whitening effect of a required level can not be achieved. If the content of the peroxide is more than 50% by weight, the tooth surface may be corroded or the oral mucosa may be damaged.

상기 과산화물이 과산화수소, 과탄산염, 과붕산염, 과산화요소, 과인산피로인산나트륨, 과산화칼슘, 과산화바륨, 과산화마그네슘, 및 과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eroxid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peroxide, percarbonate, perborate, peroxide, peroxyacid, sodium pyrophosphate, calcium peroxide, barium peroxide, magnesium peroxide, and potassium perox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이 피틴산(phytic acid) 또는 그것의 염(이하, '피틴산'으로 통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틴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인산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미오이노시톨 헥사포스페이트(myoinsitol hexaphosphate)라고도 하며, 쌀, 밀, 보리, 옥수수와 같은 곡류, 콩류, 과실의 외피에서 추출된 천연 항산화제이다. 주로 인,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구리와 같은 금속 이온과 결합된 염(phytate)으로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include phytic acid or a salt thereof (hereinafter, referred to as 'phytic acid'). The phytic acid is a kind of organic phosphoric aci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is also called myoinsitol hexaphosphate. It is a natural antioxidant extracted from the crust of grains, legumes and fruits such as rice, wheat, barley and corn. It can be present as a phytate mainly bound to metal ions such as phosphorus, calcium, magnesium, zinc, iron, and copper.

사용 가능한 상기 피틴산의 염으로는, 모노소듐파이테이트(monosodium phytate), 다이소듐파이테이트(disodium phytate) 등의 소듐파이테이트, 모노포타슘파이테이트(monopotassium phytate), 다이포타슘파이테이트(dipotassium phytate) 등의 포타슘파이테이트, 칼슘파이테이트(calcium phytat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salts of phytic acid which can be used include sodium phytate such as monosodium phytate and disodium phytate, monopotassium phytate, dipotassium phytate and the like Potassium phytate, calcium phytate,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화학식 1>&Lt; Formula 1 >

Figure 112016000311286-pat00001
Figure 112016000311286-pat00001

상기 피틴산은 금속 이온에 결합하여 착화합물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금속 이온이 그 외 성분과 접촉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작용(side effect)을 방지하는, 이른바 "금속 봉쇄 효과"를 가진다.The phytic acid has so-called "metal containment effect" which binds to metal ions to form complexes, thereby preventing various side effects that may occur as the metal ions come into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s.

상기 치아 미백제는 철(Ⅲ) 이온을 비롯한 다량의 금속 이온을 불순물로서 함유하며 이러한 금속 이온은 과산화물을 분해시키는 촉매로 작용하기 때문에 보관, 유통 시 과산화물이 신속히 분해되어 미백 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기 어렵고, 제품 내 가스 발생으로 인해 용기가 팽창되거나, 제형이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The tooth whitening agent contains a large amount of metal ions including iron (III) ions as impurities. Since such metal ions act as a catalyst for decomposing peroxides, peroxides are rapidly decomposed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iner is swollen due to the generation of gas in the product, or the formulation is separated.

이에 대해, 상기 피틴산은 상기 금속 이온을 흡착하여 상기 금속 이온을 실질적으로 실활시킬(inactivating) 수 있다. 즉, 상기 과산화물이 상기 금속 이온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간의 반응에 의한 상기 과산화물의 분해를 지연 또는 억제시키고 조성물의 pH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과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contrast, the phytic acid may adsorb the metal ion to substantially inactivate the metal ion. That is, the chemical stability and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peroxide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metal ion, delaying or suppressing the decomposition of the peroxide by the reaction between them, and stabilizing the pH of the composition .

상기 피틴산의 함량은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피틴산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금속 봉쇄 효과가 미약하고, 10중량% 초과이면 상기 과산화물의 활성이 과도하게 저하되어 필요한 수준의 미백 효과를 구현할 수 없다.The content of phytic acid may be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phytic acid is less than 0.1 wt%, the effect of metal blocking is small. If the content of phytic acid is more than 10 wt%, the activity of the peroxide is excessively lowered, so that whitening effect can not be achieved.

한편,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에 존재하는 금속 이온의 종류에 따라 상기 피틴산과의 친화도(affinity)가 상대적으로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피틴산이 모든 종류의 금속 이온에 대한 금속 봉쇄 효과를 가질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ffinity of the phytic acid to the phytic acid may vary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metal ion present in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the phytic acid can not have a metal blocking effect on all kinds of metal ions.

따라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이 상기 피틴산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제를 더 포함하여 상기 피틴산에 의해 봉쇄되지 않은 금속 이온을 추가로 흡착, 봉쇄시킬 수 있고, 상기 킬레이트제의 함량은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안정화 효과가 미약하고, 10중량% 초과이면 사용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Thus,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helating agent other than the phytic acid to further adsorb and contain the unbound metal ions by the phytic acid, and the content of the chelating agent may be a total amoun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And may be from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chelating agent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effect of stabilization is insufficient.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by weight, ease of use may be deteriorated.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과 그것의 염, 소듐 스테네이트(sodium stannate), 포타슘 스테네이트(potassium stannate), 및 피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소듐 스테네이트, 피로포스페이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소듐 스테네이트, 및 피로포스페이트가 조합된 것일 수 있다.The chelat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 and salts thereof, sodium stannate, potassium stannate, and pyrophosphate, Preferably, it may be at least one of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sodium stannate and pyrophosphate, more preferably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sodium stannate, and pyrophosphate may be combined.

특히, 상기 피로포스페이트는 피틴산과 그 외 킬레이트제의 금속 봉쇄 효과뿐만 아니라 타르 제거 효과도 가지므로, 치석 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로포스페이트는 Na4P2O7, K4P2O7, Na2H2P2O7, 및 K2H2P2O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K2H2P2O7, Na2H2P2O7,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particular, the pyrophosphate has a tar blocking effect as well as a metal blocking effect of phytic acid and other chelating agents, and thus can be used for preventing tartaration. The pyrophosphat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 4 P 2 O 7 , K 4 P 2 O 7 , Na 2 H 2 P 2 O 7 , and K 2 H 2 P 2 O 7 , K 2 H 2 P 2 O 7 , Na 2 H 2 P 2 O 7 ,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이 pH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장기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피틴산에 의해 상기 조성물에 부여된 보관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의 함량은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 adjusting agent. The pH adjusting agent is intended to improve the long-term storage stability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and the storage stability imparted to the composition by the phytic acid can be further improved. The content of the pH adjusting agent may be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상기 pH 조절제가 제2 인산나트륨, 제3 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수산화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구연산, 및 구연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산수소나트륨, 구연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rein the pH adjust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phosphate, tribasic sodium phosphate, sod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potassium carbonate, ammonium hydroxide, triethanolamine, tris (hydroxymethyl) aminomethane, citric acid and sodium citrate , Preferably sodium hydrogencarbonate, sodium citrate,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이 점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치아 표면에 코팅되어 필름을 형성하거나 상기 치아 미백제를 겔 형으로 제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sticky polymer. The adhesive polymer may be coated on the tooth surface to form a film, or may be used to form the tooth whitening agent into a gel.

상기 점착성 고분자의 함량은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점착성 고분자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미백 성분 층의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 시술 시 적용성이 저하될 수 있고, 80중량% 초과이면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adhesive polymer may be 5 to 80% by weight, preferably 5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viscous polymer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whitening component layer may be excessively low, which may result in deterioration in application. If the content of the viscous polymer is more than 80% by weight, the viscosity may excessively increase and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상기 점착성 고분자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프로필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일 수 있다.The adhesive poly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acrylic acid, polyvinyl alcohol, polyvinyl pyrrolidone, carboxymethyl cellulose, carboxyethyl cellulose, and carboxypropyl cellulose, Preferably polyvinyl pyrrolidone.

특히,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의 K 값이 12 내지 12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일 수 있다. K 값은 분자량(중합도)에 비례하는 값으로서,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고 K 값도 증가하게 된다. K 값에 대해서는 미국 약전에 기술되어 있고, 물리화학적 성질에 관해서는 미국 약전 및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를 참고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K value of the polyvinylpyrrolidone may be 12 to 120, preferably 80 to 100, and more preferably 90. The K value is proportional to the molecular weight (degree of polymerization). As the molecular weight increases, the viscosity increases and the K value increases. K values are described in the US Pharmacopoeia,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can be found in the US Pharmacopoeia and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의 K 값이 12 미만이면 점착성이 낮아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K 값이 120 초과이면 미백 기능성 유효성분인 과산화물이 원활히 방출될 수 없다.If the K value of the polyvinylpyrrolidone is less than 12, the adhesive property may be low and inconvenience may be caused in use. If the K value is more than 120, peroxide as a whitening functional active ingredient can not be released smoothly.

상기 점착성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00 내지 4,000,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2,000,000일 수 있다. 상기 점착성 고분자의 분자량이 100,000 미만이면 통상적인 사용량에서 도포에 적합한 점도에 도달하기 어렵고, 4,000,000 초과이면 저농도에서도 점도가 높아 적용이 어렵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adhesive polymer may be 100,000 to 4,000,000, and preferably 100,000 to 2,000,000. If the molecular weight of the viscous polymer is less than 100,000, it is difficult to reach a viscosity suitable for application at a usual use amount. If the molecular weight exceeds 4,000,000, the viscous polymer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of its high viscosity even at low concentration.

또한,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사용 시 이물감을 유발할 수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surfactant, and the content of the surfactant may be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surfactant is less than 1% by weight, flexibility may be lowered to cause a foreign body feeling.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by weight, stability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에틸시트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urfacta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glycerin, triethyl citrate, and polysorbate, preferably polyethylene glycol or glycerin, more preferably glycerin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치아우식증 억제제, 잇몸질환 개선제, 감미제, 지각과민 예방제, 향료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dditives such as a dental caries inhibitor, a periodontal disease improver, a sweetener, a crust inhibitor, a fragranc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상기 치아우식증 억제제는 불화나트륨, 불화칼슘, 일불소인산나트륨 등일 수 있고, 상기 잇몸질환 개선제는 죽염, 초산토코페롤, 비타민 D, 알란토인클로로하이드록시알루미늄, 트리클로산, 자일리톨, 칼슘글리세롤포스페이트, 아미노카프론산,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일 수 있으며, 상기 감미제는 소르비톨, 만니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사카린 등일 수 있고, 상기 지각과민 예방제는 질산칼륨, 플루오르화주석, 모노플루오르인산나트륨, 염화불소, 규불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등일 수 있으며, 상기 향료는 멘톨, 페퍼민트오일, L-멘톨, 계피산 등일 수 있다.The dentifrice inhibitor may be sodium fluoride, calcium fluoride, sodium fluorophosphate and the like. The gum disease improvement agent may be selected from bamboo salt, tocopherol acetate, vitamin D, allantoin chlorohydroxy aluminum, triclosan, xylitol, calcium glycerol phosphate, aminocaproic acid, Monofluorophosphate and the like, and the sweetener may be sorbitol, mannitol, aspartame, stevioside, saccharin and the like, and the perceptual sensitizer may be potassium nitrate, tin fluoride, sodium monofluorophosphate, fluoride chloride, sodium gluconate, calcium hydroxide Etc., and the perfume can be menthol, peppermint oil, L-menthol, cinnamic acid, and the like.

또한, 상기 성분들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휘발성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과 물이 각각 1 : 1 내지 1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As a solvent for dissolving the above components, a mixed solvent of at least one volatile organic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and butanol and water may be used. Preferably, ethanol and water are used at a ratio of 1: 1 to 10 Mixed solvents mixed in a volume ratio can be us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실시예Example 1~4 1-4

증류수와 에탄올로 이루어진 혼합 용매에 과산화수소, 피틴산, 탄산수소나트륨, 구연산나트륨,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글리세린을 용해시킨 후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첨가하여 1시간 이상 교반함으로써 겔 타입의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fter dissolving hydrogen peroxide, phytic acid, sodium hydrogencarbonate, sodium citrate, sodium pyrophosphate and glycerin in a mixed solvent of distilled water and ethanol, polyvinylpyrrolidone is added and stirred for 1 hour or more to prepare a gel typ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Respectively.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피틴산 대신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겔 타입의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gel-typ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xample, except that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was used instead of phytic aci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피틴산 대신 소듐 스테네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겔 타입의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gel-typ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xample except that sodium stannate was used instead of phytic aci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피틴산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겔 타입의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gel-typ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xample except that phytic acid was omitt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피틴산의 함량을 증가시킨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겔 타입의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gel-typ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xample, except that the content of phytic acid was increased.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기재된 수치의 단위는 중량%이다.The compositions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Unless otherwise stated, units of recited values are percent by weight.

성분ingredient AA BB CC DD EE FF GG HH II JJ KK 실시예 1Example 1 2020 1010 00 00 55 33 33 33 4141 1010 55 실시예 2Example 2 2020 1010 00 00 33 33 33 33 4343 1010 55 실시예 3Example 3 2020 1010 00 00 1010 33 33 33 3636 1010 55 실시예 4Example 4 2020 1010 00 00 1One 33 33 33 4545 1010 5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020 1010 55 00 00 33 33 33 4141 1010 5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020 1010 00 55 00 33 33 33 4141 1010 5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020 1010 00 00 00 33 33 33 4646 1010 55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2020 1010 00 00 1515 33 33 33 3131 1010 55 -A: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 pyrrolidone, K 90)
-B: 과산화수소
-C: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
-D: 소듐 스테네이트 (sodium stannate)
-E: 피틴산 (phytic acid)
-F: 탄산수소나트륨 (sodium hydrogen carbonate)
-G: 구연산나트륨 (sodium citrate)
-H: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sodium acid pyrophosphate, Na2H2P2O7)
-I: 물
-J: 에탄올
-K: 글리세린
-A: Polyvinyl pyrrolidone (K 90)
-B: hydrogen peroxide
-C: 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
-D: sodium stannate
-E: phytic acid
-F: sodium hydrogen carbonate &lt; RTI ID = 0.0 &gt;
-G: sodium citrate
-H: Sodium acid pyrophosphate (Na 2 H 2 P 2 O 7 )
-I: Water
-J: Ethanol
-K: glyceri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pH 안정성 평가 1: Evaluation of pH stability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15ml syringe에 충진한 후 파라필름을 이용하여 1차 실링하였고, 파우치를 이용하여 2차 실링하였다. 실링이 완료된 치아 미백제 조성물은 항온 항습기(고온, 40℃)에서 보관하여 12주 동안 주기적으로 pH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packed in a 15 ml syringe, firstly sealed using a parafilm, and then secondarily sealed using a pouch. The sealant-finishe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as stored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high temperature, 40 ° C.), and the change in pH was measured periodically for 12 week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1을 참고하면, 일정 량의 피틴산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실시예 1, 2)이 이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pH 변화가 적어 pH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1,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Examples 1 and 2) containing a certain amount of phytic acid showed less pH change and excellent pH stability tha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hich did not contain the same.

특히, 비교예 3과 실시예 1에 대한 12주 동안의 pH 변화를 비교해보면, 비교예 1의 경우 약 1.2 증가한 반면에,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약 0.3 증가하여 pH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In particular, when comparing the pH changes of Comparative Example 3 and Example 1 for 12 weeks, it was confirmed that the pH stability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increased by about 1.2 while that of Example 1 was increased by about 0.3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과산화수소  2: hydrogen peroxide 잔존률Remaining rate 평가 evaluation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치아 미백제 조성물을 15ml syringe에 충진한 후 파라필름을 이용하여 1차 실링하였고, 파우치를 이용하여 2차 실링하였다. 실링이 완료된 치아 미백제 조성물은 항온 항습기(고온, 40℃)에서 보관하여 12주 동안 주기적으로 과산화수소의 잔존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packed in a 15 ml syringe, firstly sealed using a parafilm, and then secondarily sealed using a pouch. The sealant-finishe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as stored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high temperature, 40 ° C), and the change in the amount of hydrogen peroxide was measured periodically for 12 week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2을 참고하면, 일정 량의 피틴산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실시예 1, 2)이 이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과산화수소의 분해량이 적어 조성물에 함유된 미백 기능성 유효성분인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2, the teeth whitening compositions (Examples 1 and 2) containing a certain amount of phytic acid showed a smaller amount of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tha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hich contained no whitening functional active ingredient Was superior to the others.

특히, 비교예 3과 실시예 1에 대한 12주 동안의 과산화수소 잔존률 변화를 비교해보면, 비교예 1의 경우 약 60%의 과산화수소가 분해된 반면에,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약 2%의 과산화수소가 분해된 것에 불과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조성물에 첨가된 피틴산이 조성물 중의 금속 이온을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그에 따른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지연, 차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Particularly, when comparing the hydrogen peroxide residual ratio changes for 12 weeks for Comparative Example 3 and Example 1, about 60% of hydrogen peroxide was decomposed in Comparative Example 1, whereas about 2% of hydrogen peroxide And this result is analyzed because the phytic acid added to the composition effectively adsorbed the metal ion in the composition and delayed and prevented the decomposition of the hydrogen peroxide thereb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과산화물, 피틴산 또는 그것의 염, 피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 pH 조절제, 점착성 고분자,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틴산 또는 그것의 염의 함량이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5중량%이고,
상기 피틴산 또는 그것의 염, 및 상기 피로포스페이트의 총 함량이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내지 8중량%이고,
상기 피로포스페이트에 대한 상기 피틴산 또는 그것의 염의 중량비가 1 내지 5/3이고,
상기 점착성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00 내지 4,000,000이고,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12 내지 120의 K 값을 가지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고,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은 겔 형이고,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 및 소듐 스테네이트(sodium stannate)를 포함하지 않는, 치아 미백제 조성물.
A tooth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peroxide, phytic acid or a salt thereof, pyrophosphate, a pH adjusting agent, a sticking polymer, and a surfactant,
Wherein the content of phytic acid or its salt is from 3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herein the total content of pyrophosphate or salt thereof and the pyrophosphate is from 6 to 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herein the weight ratio of phytic acid or its salt to the pyrophosphate is 1 to 5/3,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adhesive polymer is 100,000 to 4,000,000,
The adhesive polymer is polyvinylpyrrolidone having a K value of 12 to 120,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is in a gel form,
Wherein sai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does not comprise 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 and sodium stann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의 함량이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0중량%인 치아 미백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peroxide is 0.5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이 과산화수소, 과탄산염, 과붕산염, 과산화요소, 과인산피로인산나트륨, 과산화칼슘, 과산화바륨, 과산화마그네슘, 및 과산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치아 미백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oxid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peroxide, percarbonate, perborate, peroxide, superphosphate sodium pyrophosphate, calcium peroxide, barium peroxide, magnesium peroxide, and potassium perox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의 함량이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인 치아 미백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pH adjusting agent is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가 제2 인산나트륨, 제3 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수산화암모늄,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구연산, 및 구연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치아 미백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H adjust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phosphate, tribasic sodium phosphate, sodium bicarbonate, sodium bicarbonate,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potassium carbonate, ammonium hydroxide, triethanolamine, tris (hydroxymethyl) aminomethane, citric acid and sodium citrate Wherein said at least on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중량%인 치아 미백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viscous polymer is 5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치아 미백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인 치아 미백제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surfactant is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oth whitening com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에틸시트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치아 미백제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urfacta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glycerin, triethyl citrate, and polysorbate.
KR1020160000402A 2016-01-04 2016-01-04 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KR101831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02A KR101831259B1 (en) 2016-01-04 2016-01-04 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PCT/KR2016/015357 WO2017119660A1 (en) 2016-01-04 2016-12-28 Tooth whiten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TW106100130A TWI682784B (en) 2016-01-04 2017-01-04 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02A KR101831259B1 (en) 2016-01-04 2016-01-04 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09A KR20170081409A (en) 2017-07-12
KR101831259B1 true KR101831259B1 (en) 2018-02-23

Family

ID=5927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402A KR101831259B1 (en) 2016-01-04 2016-01-04 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31259B1 (en)
TW (1) TWI682784B (en)
WO (1) WO201711966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106B1 (en) 2017-06-27 2018-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Decoration elemen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CN112877152B (en) * 2021-02-06 2022-05-06 濮阳宏业环保技术研究院有限公司 Coated sodium percarbonat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14773668B (en) * 2022-03-18 2022-09-30 上海工程技术大学 Degradable PBAT polymer regenerated from waste PBT, and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1425A (en) * 2006-03-29 2009-09-0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Oral care compositions that provide enhanced whitening and stain prevention
KR101154935B1 (en) * 2005-05-12 2012-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Liquid-crystal type tooth white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4230A (en) * 2010-04-21 2014-04-30 迪斯卡斯牙科有限责任公司 Method of simultaneously cleaning and whitening teeth
KR101493508B1 (en) * 2013-02-18 2015-02-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ooth bleaching composition
CN103142324A (en) * 2013-02-21 2013-06-12 沃康生技股份有限公司 Tooth cover die and tooth whitening method thereof
JP6263007B2 (en) * 2013-11-26 2018-01-17 花王株式会社 Tooth whitening ag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935B1 (en) * 2005-05-12 2012-06-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Liquid-crystal type tooth whitener
JP2009531425A (en) * 2006-03-29 2009-09-0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Oral care compositions that provide enhanced whitening and stain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2784B (en) 2020-01-21
KR20170081409A (en) 2017-07-12
TW201725030A (en) 2017-07-16
WO2017119660A1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80544A (en) Stabilized peroxide gel containing fluoride
KR101831259B1 (en) Tooth white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KR101800841B1 (en) Toothpaste composition for using pumping type container
JP5765934B2 (en) Oral composition
KR100877981B1 (en) Toothpaste composition for tooth whitening
WO2018066341A1 (en) Or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suppressing discoloration of formulation and liquid separation thereof
JP3978605B2 (en) Oral product and method for stably blending vitamin E or its derivative in oral product
JP2004161719A (en) Alcohol-free liquid composition for oral cavity application
JP2000256153A (en) Oral composition
JP4656299B2 (en) Dentifric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discoloration of ε-aminocaproic acid and / or tranexamic acid-containing dentifrice composition
CN111315344A (en) Whi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stability thereof
KR102199880B1 (en) Exothermic composition for oral use
CN114867455B (en) Oral composition
JP2002255772A (en) Base for composition for oral cavity and composition for oral cavity
JP2000256152A (en) Oral composition
JPS6043322B2 (en) Oral composition
KR102315453B1 (en) Pumping type toothpaste composition improved in elongation property and hardening property
KR20190061919A (en) Composition for Tooth whitening
KR20190011049A (en) Composition for Teeth Whitening
KR102044938B1 (en) Toothpaste composition for using pumping type container
KR101998594B1 (en) Toothpaste composition for using pumping type container
KR102206158B1 (en) Pumping type toothpaste composition improved in elongation property and hardening property
KR101945392B1 (en) Toothpaste composition for using pumping type container
JP3376010B2 (en) Toothpaste composition
JPH06271438A (en) Composition for oral ca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