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070B1 -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070B1
KR101831070B1 KR1020160150124A KR20160150124A KR101831070B1 KR 101831070 B1 KR101831070 B1 KR 101831070B1 KR 1020160150124 A KR1020160150124 A KR 1020160150124A KR 20160150124 A KR20160150124 A KR 20160150124A KR 101831070 B1 KR101831070 B1 KR 10183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gion
partial
virtual realit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채환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0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0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04N13/04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2Eyestrain reduction by processing stereoscopic signals or controlling stereoscop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 중에서, 상기 영상의 메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설정하는 선택 영역 설정부, 그리고 상기 메인 영상 이외에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한 이목 영상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에 상기 이목 영상이 포함된 경우, 상기 메인 영상이 출력되는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상기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한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시선 유도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IMAGE GENERATION APPARATUS FOR REDUCTION OF CYBER-SICKNES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시점 변화를 최소화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시점 변화를 유도하여 사용자의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키는 가상현실 영상 생성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이란 현실 세계를 인공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로 얻기 힘든 경험이나 환경 등을 제공하여, 인체의 오감을 자극함으로써 실제와 같이 체험하게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가상현실 기술은 360도로 펼쳐지는 영상과 음향을 통해 실제와 흡사한 가상 공간을 만들어, 3D 기술에 비해 실재감 및 감각적 몰입도가 높고,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를 활용해 가상현실에서 구현되는 상황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대표적인 가상현실(VR) 디바이스로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가 있다. 그리고 가상 현실 컨텐츠의 영역은 게임, 테마파크, 스포츠, 미디어 영상, 교육, 건설, 부동산, e-커머스, 헬스케어 등 매우 다양하다.
가상현실(VR)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상현실(VR) 관련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다양한 가상현실(VR) 컨텐츠가 생산 및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가상현실(VR) 디바이스를 오래 착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 멀미(Cybersickness)는 가상현실(VR) 기술이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가상현실(VR) 컨텐츠는 신체 움직임이 없는 상황에서 경험하는 극도로 사실적은 컨텐츠이다. 따라서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의 차이로 인하여 사이버 멀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VR)에서 반응 대기시간(latency), FOV, 광학왜곡(optical distortion), 트래킹 오류 등의 하드웨어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짧은 컷 편집, 카메라의 이동과 회전 등은 사이버 멀미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미 유발 요인들을 고려하여 가상현실(VR) 컨텐츠 영상을 제작할 경우, 사이버 멀미는 경감시킬 수 있으나, 가상현실(VR) 컨텐츠 영상의 현실감 및 재미가 반감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VR)의 현실감 및 몰입감을 해치지 않으면서,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 영상 생성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564964호, 2015년 11월 02일 공개(명칭: 가상현실 멀미를 감소시키는 전기 자극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현실의 현실감 및 몰입감을 해치지 않으면서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현실 디바이스 사용자가 느끼는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켜,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이용 시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시선 변화를 유도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를 더욱 생동감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 중에서, 상기 영상의 메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설정하는 선택 영역 설정부, 그리고 상기 메인 영상 이외에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한 이목 영상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에 상기 이목 영상이 포함된 경우, 상기 메인 영상이 출력되는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상기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한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시선 유도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영역 분할부는,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좌측 영역, 전방 영역, 우측 영역 및 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부분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 영역 설정부는, 상기 전방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영상의 메인 이벤트를 출력하는 부분 영역이고, 상기 선택 영역과 이웃한 부분 영역은 상기 메인 이벤트에 상응하는 리액션을 출력하는 부분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상호작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호작용 영역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 간의 상호작용에 상응하는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선 유도 신호 출력부는,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선 유도 신호 출력부는, 상기 청각적 신호를 바이노럴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선 유도 신호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임계각 이상의 각도에 상응하는 상기 부분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 영역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은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 중에서, 상기 영상의 메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인 영상 이외에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한 이목 영상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영상에 상기 이목 영상이 포함된 경우, 상기 메인 영상이 출력되는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상기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한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좌측 영역, 전방 영역, 우측 영역 및 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부분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방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영상의 메인 이벤트를 출력하는 부분 영역이고, 상기 선택 영역과 이웃한 부분 영역은 상기 메인 이벤트에 상응하는 리액션을 출력하는 부분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상호작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호작용 영역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 간의 상호작용에 상응하는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청각적 신호를 바이노럴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임계각 이상의 각도에 상응하는 상기 부분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의 현실감 및 몰입감을 해치지 않으면서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 디바이스 사용자가 느끼는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켜,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 이용 시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선 변화를 유도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 컨텐츠를 더욱 생동감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 영역별 출력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사운드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 영역별 출력되는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호작용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영역 분할부(110), 선택 영역 설정부(120), 시선 유도 신호 생성부(130) 및 가상현실 영상 생성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영역 분할부(110)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한다.
이때, 영역 분할부(110)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좌측 영역, 전방 영역, 우측 영역 및 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 영역 설정부(120)는 복수의 부분 영역들 중에서, 영상의 메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설정한다.
이때, 선택 영역 설정부(120)는 전방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 영역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상응하는 부분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 영역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시선이 다른 부분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해당 부분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시선이 선택 영역에서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선택 영역 설정부(120)는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선 유도 신호 생성부(130)는 메인 영상 이외에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한 이목 영상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시선 유도 신호 생성부(130)는 가상현실 영상 제작자로부터 이목 영상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하여 이목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에 이목 영상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시선 유도 신호 생성부(130)는 메인 영상이 출력되는 선택 영역에서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한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시선 유도 신호는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시선 유도 신호 생성부(130)는 청각적 신호를 바이노럴 사운드로 출력하기 위한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선 유도 신호 생성부(130)는 사용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임계각 이상의 각도에 상응하는 부분 영역에서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상현실 영상 생성부(140)는 복수의 부분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영상 및 생성된 시선 유도 신호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한다.
가상현실 영상 생성부(140)가 생성한 가상현실 영상은 분할된 복수의 부분 영역들 각각에서 출력되는 부분 영상이 매핑되어 있으며, 시선 유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분할한다(S210).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좌측 영역, 전방 영역, 우측 영역 및 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한다.
이때,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가 분할한 부분 영역들은 후술할 도 3 및 도 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메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설정한다(S220).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분할된 복수의 부분 영역들 중에서, 영상의 메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설정한다. 이때,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메인 영상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부분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 메인 영상은 영상 중에서 주 사건이 벌어지는 부분 화면을 의미한다. 메인 영상은 가상현실 영상 제작자로부터 설정받은 것이거나,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메인 영상을 출력할 선택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선택 영역을 위주로 메인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빈번한 고개 움직임 또는 시선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개를 돌려 다른 영역을 쳐다보거나 시선을 이동할 경우, 사이버 멀미로 인한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HMD를 착용한 사용자가 빠르게 고개를 돌릴 경우, 물리적으로 조금씩 슬라이딩되며 어지러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고개 움직임 및 시선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메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선택 영역을 위주로 메인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영상에 이목 영상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영상에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는 이목 영상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목 영상은 메인 영상 이외에, 영상 컨텐츠의 흐름 상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는 영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가상현실 영상 제작자로부터 이목 영상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거나,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영상을 분석하여 이목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영상에 이목 영상이 포함된 경우,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한다(S240).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메인 영상이 출력되는 선택 영역에서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한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시선 유도 신호는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시선 유도 신호가 선택 영역에서 이목 영상에 상응하는 부분 영역으로의 시선을 유도하는 신호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시선 위치를 추출하고, 현재의 시선 위치에서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의 시선 이동을 유도하는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가상현실 영상을 감상하는 사용자들은 처음에는 가상현실 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각도를 살펴본다. 그러나 가상현실 영상의 중후반부로 갈수록 사용자들은 제한적으로 좌우 영역을 보고, 후방 영역은 거의 보지 않는다. 즉, 사용자들은 전방을 중심으로 약 110도 각도의 영상을 위주로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한다.
가상현실 영상은 사용자가 시선을 이동하며 다양한 각도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능동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러나 고개 움직임이나 시선 이동에 따라 사용자가 보지 못하고 지나가는 영역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의 무게에 따른 불편함으로 인하여 고개 움직임이 제한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영상이 화면의 후방 영역에는 지하철 차량을 부수며 쫓아오는 괴물이 있고, 화면의 전방 영역에는 괴물로부터 도망치는 사람들이 있는 장면이 10초간 포함된 영상이라 가정한다.
일반적인 2D 영상인 경우, 짧은 컷 편집을 이용하여 괴물과 사람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도록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가상현실 영상은 같은 공간 상에서 짧은 컷 편집을 통해 시점을 변화시킬 경우, 사용자가 공간의 왜곡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시점 변화 없이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한 경우, 사용자들의 대부분은 영상이 플레이되는 10초간 도망치는 사람들만 보거나, 쫓아오는 괴물만 보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시야 반대편의 상황은 놓치게 된다.
가상현실 영상의 정면 및 후면에 이야기 진행의 주체가 동시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고개를 돌려가며 가상현실 영상을 감상하지 않을 경우 이야기의 중요한 장면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야기 진행의 주체를 놓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시각적 신호 형태의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살표, 지시 마크, 텍스트 등의 시선 유도 신호를 보고 시선 유도 신호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시선을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청각적 신호 형태의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선 유도 신호가 출력되는 방향으로 시선을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청각적 신호 형태의 시선 유도 신호를 바이노럴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바이노럴 사운드(Binaural sound)는 사람이 두 개의 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3차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바이노럴 사운드는 헤드폰이나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소리 주파수를 변화시켜 음원이 실제 공간 속에서 들리도록 구현하는 것으로, 특정 음상(sound image)의 방향감과 거리감, 공간감 등을 사용자로 하여금 그 곳에 있는 것처럼 재현할 수 있다.
양안차를 고려해 2개의 렌즈로 촬영하여 입체 화면을 구현하는 기술과 같이, 바이노럴 사운드는 더미 헤드(Dummy Head)를 이용하여 녹음되며, 이를 통하여 입체감 있는 사운드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입체감 있는 사운드로 시선 유도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선 유도 신호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시선을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재설정한다(S250).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영상에 이목 영상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어, 이목 영상에 상응하는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한 경우, 해당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이동된 사용자의 시선에 상응하는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 이동을 최소화하여 사이버 멀미를 경감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부분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영상 및 시선 유도 신호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한다(S260).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분할된 부분 영역에 매핑된 영상 및 생성된 시선 유도 신호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 영상을 생성한다. 설명의 편의상, S240 단계의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및 S260 단계의 가상 현실 영상을 별개의 과정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S260 단계를 생략하고, 생성된 시선 유도 신호를 가상현실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영상과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영상은 가상현실 영상 제작자가 능동적으로 관찰자의 시점을 지정하기 힘들며, 사용자 스스로 시점을 자유롭게 변화시키며 가상현실 영상 컨텐츠를 이용해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어느 영역에 시점을 두고 컨텐츠를 이용할지 스스로 정하기 힘들며, 360도의 영상 중에서 어느 각도에서 중요한 객체가 등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힘들다.
따라서,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점의 위치를 편안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사용자는 영상과 함께 출력되는 시선 유도 신호를 인지하고, 시선 유도 신호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거나 시선을 이동하며 가상현실 영상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빈도가 매우 적은 후방 영역에 가상현실 영상 컨텐츠의 흐름 상 중요한 객체가 등장하는 경우, 사용자가 후방 영역을 바라보도록 유도하는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후방에 위치하는 객체를 놓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300)을 복수의 부분 영역들(310 내지 340)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300)을 좌측 영역(310), 전방 영역(320), 우측 영역(330) 및 후방 영역(340)으로 분할 할 수 있다.
좌측 영역(310)은 사용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좌측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부분 영역이다. 그리고 전방 영역(320)은 사용자의 시선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부분 영역으로,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전방 영역(320)을 영상의 메인 영상을 출력하는 선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영역(330)은 사용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우측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부분 영역이며, 후방 영역(340)은 사용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후방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부분이다. 이때, 후방 영역(340)은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난 범위이며, 사용자가 후방 영역(340)에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시선의 이동을 필요로 한다.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복수의 부분 영역들(310 내지 340) 중에서, 사용자의 시선을 기반으로 전방 영역(320)을 선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선택 영역으로 설정된 전방 영역(320)에 영상의 메인 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메인 영상은 360도 영상 중에서 주 사건이 벌어지는 부분 화면을 의미한다. 메인 영상은 가상현실 영상 제작자로부터 설정받은 것이거나,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가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한 것일 수 있으며,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가 메인 영상을 설정받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선택 영역으로 설정된 전방 영역(320)에 메인 영상이 출력되도록 매핑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고개를 돌리거나 시선을 이동하는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잦은 시점 변화에 따른 사이버 멀미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개를 돌려 다른 영역을 쳐다보거나 시선을 이동할 경우, 사이버 멀미로 인한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HMD를 착용한 사용자가 빠르게 고개를 돌릴 경우, 물리적으로 조금씩 슬라이딩되며 어지러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폭발을 쳐다보는 경관과 여주인공이 영상에 포함된 경우,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폭발하는 장면 및 경관과 여주인공이 포함된 장면을 메인 영상으로 선택하고, 메인 영상이 전방 영역(320)에 출력되도록 전방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거대한 다리에 관한 장면이 선택 영역 이외의 부분 영역들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폭발이 발생한 장소가 거대한 다리 아래의 공터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영상이 폭발에서 나타낸 괴물이 점점 거대해지고, 괴물이 다리를 부수고 사람들을 위협하며, 여주인공이 괴물에게 다가가는 영상인 경우,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괴물이 포함된 화면이 선택 영역으로 설정된 전방 영역(320) 상에 출력되도록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영상의 메인 영상이 설정된 선택 영역 상에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고개를 돌리거나 시선을 이동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편안하게 가상현실 영상을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 영역별 출력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대부분의 가상현실 영상은 1인칭 시점을 사용한다. 그러나, 카메라의 움직임에 대한 제약이 많은 경우 3인칭 시점으로 연출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3인칭 시점으로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할 경우, 도 4와 같이 공간이 구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200)를 중심으로 전방 영역은 메인 이벤트 출력 영역(410)으로, 메인 영상인 메인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은 리액션 출력 영역(420)으로, 사건이나 인물에 따른 객체들의 반응(react)이 일어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리액션 출력 영역(420)은 메인 이벤트의 반작용(react)을 출력함으로써, 메인 이벤트 출력 영역(410)에 상응하는 상황의 체험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리액션 출력 영역(42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7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메인 이벤트 출력 영역(410) 중에서, 사용자(200)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상호작용 영역(415)은 사용자와 영상에 포함된 객체간 상호작용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한다. 상호작용 영역(415)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8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노럴 사운드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병사의 오른쪽에서 장교가 손으로 지시하며 말하는 장면이다. 이때, 사용자의 시선이 병사의 시선에 상응하는 방향인 경우,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가 병사의 우측에 위치한 장교쪽으로 시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이노럴 사운드로 장교의 목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장교의 목소리는 청각적 신호의 시선 유도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벙커 위로 폭탄이 떨어지는 장면이다. 이때, 포탄이 벙커의 왼쪽 위에서 오른쪽으로 떨어지는 경우,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포탄의 포격 소리를 포탄의 진행 방향에 상응하도록 바이노럴 사운드로 출력함으로써,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 영역별 출력되는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괴물이 빛에 둘러 쌓이면서 UFO로 이동해 올라가는 상황의 장면이다. 도 7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은 좌측 영역(Left)(710), 전방 영역(Center)(720), 우측 영역(Right)(730) 및 후방 영역(Back)(740)으로 구분된다.
전방 영역(720)에는 메인 이벤트인 괴물이 빛에 둘러 쌓이면서 UFO로 이동해 올라가는 장면이 출력되고, 좌측 영역(710)에는 괴물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출력되며, 우측 영역(730)은 괴물이 부순 건축물들이 출력된다. 즉, 좌측 영역(710) 및 우측 영역(730)은 전방 영역(720)의 메인 이벤트에 대한 리액션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방 영역(720)은 도 4의 메인 이벤트 출력 영역(410)에 상응하고, 좌측 영역(710) 및 우측 영역(730)은 도 4의 리액션 출력 영역(420)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100)는 이야기 전개를 이끌어가는 메인 이벤트를 전방 영역(720)에 배치하고, 메인 이벤트에 대한 리액션을 좌측 영역(710) 및 우측 영역(730)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험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호작용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거인이 화살을 쏘는 궁수를 거머쥐려는 장면이다. 이 장면에서 거인은 전방 영역(820)에 배치되고, 궁수를 거머쥐려는 거인의 오른손은 좌측 영역(810)에 배치되며, 거인의 오른손 일부는 후방 영역(84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궁수는 후방 영역(840)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거인이 자신을 거머쥐려는 듯한 느낌을 받도록 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영역(820)에 배치된 거인은, 사용자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상호작용 영역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영상에 포함된 객체인 거인과 상호작용하는 느낌을 받도록 연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9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900)은 버스(9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10), 메모리(930), 사용자 입력 장치(940), 사용자 출력 장치(950) 및 스토리지(9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900)은 네트워크(9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930)나 스토리지(9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930) 및 스토리지(9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931)이나 RAM(9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태양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110: 영역 분할부 120: 선택 영역 설정부
130: 시선 유도 신호 출력부 200: 사용자
300: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 310: 좌측 영역
320: 전방 영역 330: 우측 영역
340: 후방 영역 410: 메인 이벤트 출력 영역
415: 상호작용 영역 420: 리액션 출력 영역
900: 컴퓨터 시스템 910: 프로세서
920: 버스 930: 메모리
931: 롬 932: 램
940: 사용자 입력 장치 950: 사용자 출력 장치
960: 스토리지 9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980: 네트워크

Claims (20)

  1.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들 중에서, 상기 영상의 메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설정하는 선택 영역 설정부,
    상기 메인 영상 이외에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는 이목 영상이 상기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에 상기 이목 영상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목 영상에 상응하는 부분 영역이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임계각 이상의 각도에 위치하는 부분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임계각 이상의 각도에 위치하는 부분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상기 메인 영상이 출력되는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시선 유도 신호 생성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영상 및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가상현실 영상 생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목 영상은,
    사전에 설정된 것이거나,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분할부는,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좌측 영역, 전방 영역, 우측 영역 및 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부분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 설정부는,
    상기 전방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영상의 메인 이벤트를 출력하는 부분 영역이고, 상기 선택 영역과 이웃한 부분 영역은 상기 메인 이벤트에 상응하는 리액션을 출력하는 부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상호작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 영역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 간의 상호작용에 상응하는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 유도 신호 생성부는,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인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 유도 신호 생성부는,
    상기 청각적 신호를 바이너럴 사운드로 출력하기 위한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11.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에 있어서,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 중에서, 상기 영상의 메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인 영상 이외에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는 이목 영상이 상기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 상기 이목 영상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목 영상에 상응하는 부분 영역이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임계각 이상의 각도에 위치하는 부분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계각 이상의 각도에 위치하는 부분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상기 메인 영상이 출력되는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영상 및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이목 영상은,
    사전에 설정된 것이거나,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좌측 영역, 전방 영역, 우측 영역 및 후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부분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방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영상의 메인 이벤트를 출력하는 부분 영역이고, 상기 선택 영역과 이웃한 부분 영역은 상기 메인 이벤트에 상응하는 리액션을 출력하는 부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상호작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 영역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영상에 포함된 객체 간의 상호작용에 상응하는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인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청각적 신호를 바이너럴 사운드로 출력하기 위한 상기 시선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선택 영역에서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이목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방법.
KR1020160150124A 2016-11-11 2016-11-11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83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124A KR101831070B1 (ko) 2016-11-11 2016-11-11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124A KR101831070B1 (ko) 2016-11-11 2016-11-11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070B1 true KR101831070B1 (ko) 2018-02-22

Family

ID=6138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124A KR101831070B1 (ko) 2016-11-11 2016-11-11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0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310B1 (ko) 2018-04-04 2019-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r 콘텐츠의 멀미도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86059A (ko)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원이멀스 Vr 체험 공간에서 사용자의 불편감을 해소하기 위한 vr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188335B1 (ko) 2020-06-26 2020-12-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설계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5436A (ja) * 2008-12-16 2010-07-01 Brother Ind Ltd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WO2013088486A1 (ja) * 2011-12-12 2013-06-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6082466A (ja) * 2014-10-20 2016-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5436A (ja) * 2008-12-16 2010-07-01 Brother Ind Ltd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WO2013088486A1 (ja) * 2011-12-12 2013-06-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6082466A (ja) * 2014-10-20 2016-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310B1 (ko) 2018-04-04 2019-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r 콘텐츠의 멀미도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86059A (ko)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원이멀스 Vr 체험 공간에서 사용자의 불편감을 해소하기 위한 vr 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188335B1 (ko) 2020-06-26 2020-12-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멀미 저감을 위한 vr 컨텐츠 설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882B2 (en) Cinematic mastering for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US10657727B2 (en) Production and packaging of entertainment data for virtual reality
US9852549B2 (en) Image processing
CN109478345B (zh) 模拟***、处理方法及信息存储介质
KR100809479B1 (ko) 혼합 현실 환경을 위한 얼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30467A1 (en) APPARATUS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HEAD, AND METHODS
JP7177054B2 (ja) ユーザ頭部回転ガイド付き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101831070B1 (ko)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가상현실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Peterson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Definitions
KR101988244B1 (ko) 사용자의 시선 변화에 따른 가상현실 사운드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6275891B1 (ja) 仮想空間を介して通信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JP7349256B2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情報提示方法
CN104777620A (zh) 虚拟现实3d场景用的景深识别光学装置及其成像方法
EP3346375B1 (en) Program, recording medium, content provi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JP6794390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821640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85385B2 (ja) 画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画像配信方法
Kasahara et al. Jackin head: An immersive human-human telepresence system
KR20180122869A (ko) 3차원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JP7403256B2 (ja) 映像提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Sammartino Integrated Virtual Reality Game Interaction: The Archery Game
WO202210244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生成方法
KR102131614B1 (ko) 대체현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3885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rtificial reality commentary
US20190325649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picture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