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787B1 -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787B1
KR101830787B1 KR1020110068932A KR20110068932A KR101830787B1 KR 101830787 B1 KR101830787 B1 KR 101830787B1 KR 1020110068932 A KR1020110068932 A KR 1020110068932A KR 20110068932 A KR20110068932 A KR 20110068932A KR 101830787 B1 KR101830787 B1 KR 101830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emo data
bit stream
memo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278A (ko
Inventor
조성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8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787B1/ko
Priority to US13/547,581 priority patent/US8694509B2/en
Publication of KR2013000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33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06V30/347Sampling; Contour coding; Stroke ex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은 메모 데이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미리 저장된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 데이터의 방향, 크기에 상관없이 수기로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HAND WRITTEN MEMO DATA}
본 발명은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기로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직선 거리 및 공백 거리로 구분하여 직선 거리 및 공백 거리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여 저장하고,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정보가 미리 저장된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는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전자수첩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수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전자 펜, 터치스크린 등의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디지털 기기에 수기(hand-written) 입력이 활성화 되었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기 전반에 걸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수기를 통한 메모가 가능하다.
종래에는 기 작성된 메모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저장된 메모 각각을 열어 확인하거나, 또는 작성된 메모 중 문자로 인식되는 글자가 있는 경우 이를 통해 검색하거나 이미지로 저장하여 이미지의 패턴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메모를 검색하였으나, 이는 검색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검색 결과의 품질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수기로 작성한 메모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직선 거리 및 공백 거리로 구분하여 각각을 비트 스트림 변환하여 저장하고, 임의의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미리 저장된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은 메모 데이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미리 저장된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메모 데이터 검색 장치는 메모 데이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검색된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고, 변환된 비트 스트림을 상기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상기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검색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기로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직선 거리 및 공백 거리로 구분하여 각각을 비트 스트림 변환하여 저장하므로, 임의의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미리 저장된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 데이터의 방향, 크기에 상관없이 수기로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의 기본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문자를 직선 요소 및 공백 요소로 구분하고, 각각의 요소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검색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 검색 장치가 입력된 메모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기로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메모 데이터의 방향 또는 크기에 상관없이 검색이 가능한 것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메모 데이터는 문자, 그림, 싸인 등 직선, 곡선, 도형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element)를 통해 구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SAMSUNG" 등의 문자, 코끼리 모양의 그림, 걸 그룹의 싸인 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데이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터치는 입력 수단을 통한 입력부로의 직접 터치 또는 간접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경우, 입력 수단은 펜, 전자 펜, 손가락 등의 객체를 의미한다. 또한, 직접 터치는 입력 수단이 입력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며, 간접 터치는 입력 수단이 설정된 거리 이내로 입력부에 근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데이터는 직선, 곡선, 도형(예를 들어, 원)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메모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조합을 1차원적인 직선 거리, 및 공백 거리로 구분하여 비트 스트림 변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데이터를 동일한 방법으로 비트 스트림 변환하고, 미리 저장된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비트 스트림이 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동일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모 데이터가 문자임을 가정하고 기술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문자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그림, 싸인 등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의 기본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에서는 사용자가 문자를 작성하는 원리를 도시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입력부에 터치(1)하고 이동시킨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터치를 해제한 후, 다시 입력 수단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입력부에 터치(2)하고 직선 또는 곡선을 그리며 이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터치를 해제한 후, 다시 입력 수단을 또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입력부에 터치(3)하고 이동시킨다.
도 1a에서는 한국어 "가"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기 문자는 (1), (2), (3) 모두 세 개의 직선 요소(element)로 구성된다. 그런데, 문자 "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는 직선 요소 이외에도 공백 요소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한국어 "가"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문자의 구성 요소가 직선 요소 및 공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펜의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국어 "가"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가 있으며, 점선으로 도시되는 구간에서 글자를 쓰지 않고 이동한 구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글자를 쓰지 않고 이동한 구간을 공백 요소라고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문자를 직선 요소 및 공백 요소로 구분하고, 각각의 요소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2a는 임의의 문자를 직선 요소 및 공백 요소로 구분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는 직선 요소(1, 3, 5)와 공백 요소(2, 4)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굴곡이나 꺾임이 있는 직선 요소(1)는 도 2b의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며 일직선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을 통해 모든 직선 요소를 일직선화 하고, "가"를 구성하는 모든 직선 요소 및 공백 요소를 순차적으로 나열하면 도 2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자를 구성하는 모든 직선 요소 및 공백 요소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상태를 문자 요소 스트림이라고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 요소 스트림의 직선 요소를 직선 길이에 대응하도록 1로 비트 스트림 변환하고, 공백 요소를 공백 길이에 대응하도록 0으로 비트 스트림 변환하면 도 2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다.
즉, 입력된 문자는 0과 1의 비트 스트림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여 저장하고,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도 동일한 원리로 비트 스트림 변환한다. 그러면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정보가 미리 저장된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메모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검색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 검색 장치는 무선 통신부(310), 저장부(320), 터치스크린부(330),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10)는 메로 검색 장치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3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3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340)로 출력하고, 제어부(3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310)는 메모 검색 장치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등인 경우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이다. 메모 검색 장치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부(310)는 생략 가능하다.
저장부(320)는 메모 검색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메모 검색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메모 검색 장치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메모 검색 장치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메모 검색 장치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20)는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 인덱스 DB는 입력된 메모 및 상기 메모에 대응하는 비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고, 변환된 비트 스트림을 상기 메도 인덱스 DB에서 검색하여 본래의 메모 데이터를 검색한다. 상기 메모 인덱스 DB의 구성 예시가 하기의 표 1에서 도시된다. 하기의 표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 인덱스 DB는 메모 데이터 필드와, 인덱스 필드를 포함한다.
메모 데이터 인덱스(비트 스트림)
SAMSUNG 111100011001100...
I am happy... 111100110011000...
We have a meeting... 1111111000101011...
-
-
-
-
-
-
터치스크린부(330)는 입력부(331) 및 표시부(332)를 포함한다. 입력부(331)는 터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란 직접 터치 및 간접 터치를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직접 터치는 입력 수단이 입력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며, 간접 터치는 입력 수단이 설정된 거리 이내로 입력부에 근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31)가 터치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3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34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입력부(33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340)로 전송한다.
제어부(340)는 입력부(331)를 통해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고, 변환된 비트 스트림을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상기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321)에서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고, 표시부(332)를 통해 검색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40)는 데이터 변환부(341)와 검색부(3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341)는 상기 입력되는 메모 데이터가 직선 요소인 경우 상기 직선 요소를 직선 길이에 대응하도록 비트 스트림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341)는 상기 입력되는 메모 데이터가 공백 요소인 경우 상기 공백 요소를 공백 길이에 대응하도록 비트 스트림 변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선 길이 변환 시, 데이터 변환부(341)는 제1 터치 발생 및 상기 제1 터치 발생 이후 제1 터치 해제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터치가 발생한 위치 및 제1 터치 해제가 발생한 위치를 이용하여 터치의 이동 경로를 확인한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341)는 이동 경로를 직선화하하고,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직선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341)는 상기 직선 길이에 대응하도록 비트 스트림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공백 길이 변환 시, 데이터 변환부(341)는 제1 터치 해제 발생 및 상기 제1 터치 해제 발생 이후 제2 터치 발생을 감지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341)는 상기 제1 터치 해제가 발생한 위치 및 상기 제2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이용하여 공백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341)는 상기 공백 거리에 대응하도록 비트 스트림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341)는 상기 제1 터치 해제 발생 후 후속하여 터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변환된 비트 스트림을 상기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검색부(342)는 상기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상기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 검색 장치가 입력된 메모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에서는 메모 검색 장치가 입력된 메모를 저장하는 동작 원리 및 순서에 따라 두 가지 실시예를 예시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메모 저장 과정이 반드시 상기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동작 원리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저장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a에서는 터치 및 터치 해제가 발생한 시점에 따라, 제1 터치, 제1 터치 해제, 제2 터치, 제2 터치 해제로 구분하여 기술하지만, 이는 제n 터치, 제n 터치 해제, 제n+1 터치, 제n+1 터치 해제 등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선 요소는 제1 터치 및, 상기 제1 터치에 후속하여 발생하는 제1 터치 해제에 의해 발생한다. 그리고 공백 요소는 제1 터치 해제 및 상기 제1 터치 해제에 후속하여 발생하는 제2 터치에 의해 발생한다. 이후, 상기 직선 요소는 직선 길이에 대응하도록 비트 스트림 변환되고, 공백 요소는 공백 길이에 대응하도록 비트 스트림 변환된다.
우선, 제어부(340)는 S405 단계에서 메모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을 감지한다. 여기서 메모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메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것으로 메모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410 단계에서, 제1 터치가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터치가 개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40)는 S415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을 대기한다.
한편, 제1 터치가 개시된 경우, 제어부(340)는 S42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 터치가 해제 되었는지 판단한다. 제1 터치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 즉, 터치가 진행되어 드래그(drag)되는 상태인 경우, 제어부(340)는 S425 단계에서 터치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다.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것은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직선 거리를 계산하기 위함이다.
만약, 제1 터치가 해제된 경우, 제어부(340)는 S430 단계로 진행하여 제1 터치 발생 위치 및 제1 터치 해제 위치 사이의 이동 경로를 직선화하고, 상기 직선에 대한 직선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435 단계에서, 상기 직선 거리에 대응하는 비트 스트림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40)는 직선 요소에 대응하는 직선 길이는 1로 비트 스트림화할 수 있다. 그리고 직선 길이에 따라 비트 스트림화된 1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cm의 직선 거리가 10개의 1로 비트 스트림화 된 경우, 5cm의 직선 거리는 5개의 1로 비트 스트림화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S440 단계로 진행하여, 제2 터치가 개시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제2 터치가 개시되지 않은 경우라면 이는 메모 작성이 완료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340)는 S465 단계로 진행하여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메모 인덱스 DB에 저장한다.
한편, 제어부(340)는 S440 단계에서 제1 터치 해제에 후속하여 제2 터치가 발생한 경우, S445 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340)는 제1 터치 종료 위치와 제2 터치 시작 위치에 기반하여 공백 거리를 계산한다.
직선 거리 계산 및 공백 거리 계산 차이점에 대해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40)는 직선 거리 계산 시, 제1 터치 시작 위치로부터 제1 터치 해제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이동 경로를 직선화하여 직선 거리를 계산한다. 반면, 제어부(340)는 공백 거리 계산 시, 제1 터치 종료 위치에서 제2 터치 시작 위치를 이용하여 일직선상의 거리를 계산한다.
제어부(340)는 S450 단계에서, 공백 거리에 대응하는 비트 스트림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40)는 공백 요소에 대응하는 공백 길이는 0으로 비트 스트림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공백 길이에 따라 비트 스트림화된 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5cm의 공백 길이가 15개의 0으로 비트 스트림화 된 경우, 7cm의 공백 길이는 7개의 0으로 비트 스트림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455 단계에서, 제2 터치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터치가 해제 되지 않은 경우, 즉, 터치가 진행되어 드래그(drag)되는 상태인 경우, 제어부(340)는 S460 단계에서 터치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다.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것은 이후,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직선 거리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만약, 제2 터치가 해제된 경우라면 제어부(340)는 S430 단계로 진행하여 직선 거리를 계산하는 등 이하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도 4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 데이터 입력 시, 직선 요소와 공백 요소로 구분하고 메모 작성 완료 시까지 직선 길이 및 공백 길이에 대응하는 비트 스트림화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저장한다. 이후에, 상기 저장 결과를 이용하여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 저장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340)는 S471 단계에서, 메모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473 단계에서, 터치가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시작이 개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40)는 S475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발생을 대기한다.
반면, 터치 시작이 개시된 경우, 제어부(340)는 S476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발생한 터치가 메모 관련 어플리케이션 구동 후 최초로 발생한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판단하는 이유는, 현재 발생한 터치가 최초 발생한 터치가 아닌 경우에 공백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서이다.
최초 발생한 터치가 아닌 경우, 제어부(340)는 S478 단계로 진행하여, 이전 터치 해제 위치로부터 현재의 터치 시작 위치 사이의 공백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480 단계에서 공백 거리에 대응하는 비트 스트림화를 수행하고 그 결과 값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482 단계로 진행하여, 공백 거리에 대한 비트 스트림화를 수행한 후 또는 발생한 터치가 최초 터치인 경우,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여기서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것은 메모 데이터를 입력하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484 단계에서, 터치가 해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가 해제된 경우가 아니라면, 제어부(340)는 S482 단계로 복귀하여 이동 경로를 계속하여 표시한다. 반면, 터치가 해제된 경우, 제어부(340)는 S486 단계로 진행하여 이동 경로를 직선화하고 직선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488 단계에서, 직선 거리에 대응하는 비트 스트림화를 수행하고 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490 단계에서, 터치가 다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가 다시 발생한 경우에는 현재 입력된 메모 데이터 이외의 메모 데이터가 신규 입력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340)는 S476 단계로 복귀하여 그 이하의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터치가 다시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340)는 S492 단계로 진행하여 메모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 시 메모 저장 과정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기로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340)는 S510 단계에서, 메모 검색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됨을 감지한다. 여기서 메모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메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것으로 메모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520 단계에서, 입력부를 통해 검색할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340)는 S530 단계로 진행하여 검색 데이터 입력을 대기한다.
한편, 검색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340)는 입력된 검색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한다. 비트 스트림 변환하는 과정은 도 4의 S410 단계 내지 S460 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550 단계에서,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메모 인덱스 DB에서 검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40)는 변환된 비트 스트림과 동일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변환된 비스 스트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메모 인덱스 DB에서 검색한다. 변환된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이유는 메모 데이터의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A"를 비트스트림 변환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상기 "A"를 제1 크기로 작성하여 비트 스트림 변환하면 "1111000011110011" 인 경우, 상기 "A"를 제2 크기(상기 제2 크기는 제1 크기의 절반이라고 가정한다)로 작성하여 비트 스트림 변환하면 "11001101"이다. 그러면, 상기 두 개의 비트 스트림이 의미하는 바는 "A"로 동일하다. 따라서, 직선 거리 및 공백 거리에 대한 비트 스트림의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데이터는 모두 동일한 의미의 메모 데이터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이유에 의해, 제어부(340)는 변환된 비스 스트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메모 인덱스 DB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S560 단계에서,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메모 인덱스 DB에서 검색되는 경우, S570 단계에서 검색된 메모 데이터를 표시한다. 반면, 검색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 제어부(340)는 S580 단계에서, 검색된 데이터 없음으로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국가의 언어 또는 그림의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한국어 "삼성전자", 도 6b는 영어 "samsung", 도 6c는 "samsung"에 대한 한자, 도 6d는 임의의 그림을 의미하며, 각각의 메모 데이터를 직선 요소와 공백 요소로 구분하고, 각각의 요소를 비트 스트림 변환한 예시를 도시한다.
상기 변환된 비스 스트림은 메모 인덱스 DB에 저장된다.
각각의 메모 데이터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스트림 변환된다는 것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메모 데이터의 방향 또는 크기에 상관없이 검색이 가능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메모 데이터 "가"(710)를 검색한다고 가정해 보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모 데이터를 직선 거리 및 공백 거리고 구분하고 각각을 비트 스트림 변환하여 저장하므로, "가"(720)와 같이 작성된 메모 데이터의 방향에 상관없이, "가"(710)와 "가"(720)는 모두 동일한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성 방향에 상관없이 메모 데이터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모 데이터 검색 시, 메모 인덱스 DB에서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메모 데이터의 직선 거리 및 공백 거리에 대한 비트 스트림의 비율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 데이터의 크기에 상관없이 메모 데이터 검색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기로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직선 거리 및 공백 거리로 구분하여 각각을 비트 스트림 변환하여 저장하므로, 임의의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미리 저장된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310 : 무선통신부
320 : 저장부 321 : 메모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330 : 터치스크린부 331 : 입력부
332 : 표시부
340 : 제어부
341 : 데이터 변환부 340 : 검색부

Claims (16)

  1. 전자 장치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메모 데이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부를 통해,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변환된 비트 스트림을 상기 전자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상기 제어부를 통해,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를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 데이터가 직선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직선 요소를 상기 직선 요소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비트 스트림의 제1 요소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 데이터가 공백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공백 요소를 상기 공백 요소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비트 스트림의 제2 요소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의 제1 요소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1 터치 발생 및 상기 제1 터치 발생 이후 상기 제1 터치 해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1 터치가 발생한 위치 및 제1 터치 해제가 발생한 위치를 이용하여 터치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이동 경로를 직선화하하고,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직선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직선 길이에 대응하도록 비트 스트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의 제2 요소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1 터치 해제 발생 및 상기 제1 터치 해제 발생 이후 제2 터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1 터치 해제가 발생한 위치 및 상기 제2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이용하여 공백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공백 거리에 대응하도록 비트 스트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해제 발생 후 후속하여 터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변환된 비트 스트림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변환된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의 제1 요소에 포함된 각 비트는 1을 비트 값으로 포함하고,
    상기 비트 스트림의 제2 요소에 포함된 각 비트는 0을 비트 값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데이터는,
    수기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모 데이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검색된 메모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고, 변환된 비트 스트림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메모 데이터 검색 요청 시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메모 데이터가 직선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직선 요소를 상기 직선 요소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비트 스트림의 제1 요소로 변환하고, 상기 메모 데이터가 공백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공백 요소를 상기 공백 요소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비트 스트림의 제2 요소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터치 발생 및 상기 제1 터치 발생 이후 상기 제1 터치 해제를 감지하고, 상기 제1 터치가 발생한 위치 및 제1 터치 해제가 발생한 위치를 이용하여 터치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며, 상기 이동 경로를 직선화하고,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직선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직선 길이에 대응하도록 비트 스트림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해제 발생 및 상기 제1 터치 해제 발생 이후 제2 터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제1 터치 해제가 발생한 위치 및 상기 제2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이용하여 공백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공백 거리에 대응하도록 비트 스트림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해제 발생 후 후속하여 터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변환된 비트 스트림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요청된 메모 데이터를 비트 스트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비트 스트림에 상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스트림의 제1 요소에 포함된 각 비트는 1을 비트 값으로 포함하고,
    상기 비트 스트림의 제2 요소에 포함된 각 비트는 0을 비트 값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데이터는,
    수기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10068932A 2011-07-12 2011-07-12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830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932A KR101830787B1 (ko) 2011-07-12 2011-07-12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US13/547,581 US8694509B2 (en) 2011-07-12 2012-07-12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for handwritten memo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932A KR101830787B1 (ko) 2011-07-12 2011-07-12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278A KR20130008278A (ko) 2013-01-22
KR101830787B1 true KR101830787B1 (ko) 2018-02-21

Family

ID=4751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932A KR101830787B1 (ko) 2011-07-12 2011-07-12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94509B2 (ko)
KR (1) KR101830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24B1 (ko) * 2012-02-01 2016-11-09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비디오 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554169B (zh) * 2014-11-04 2019-12-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Oid配置、解析方法、ors客户端、oid节点及其数据库
CN110045844B (zh) * 2019-04-15 2022-12-30 南京孜博汇信息科技有限公司 位置编码表单数据处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762B1 (en) 1995-11-22 2001-11-13 Fujitsu Limited Document creating apparatus creates free format document from handwritten data converting into normalized size
US20050222848A1 (en) 2001-10-15 2005-10-06 Napper Jonathan L Digital ink database searching using handwriting feature synthesi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8164A (en) * 1994-01-21 1999-03-02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leaved segmental method for handwriting recognition
JP4214164B2 (ja) 1995-11-22 2009-01-28 富士通株式会社 文書作成装置及び記憶媒体
US6011873A (en) * 1998-04-29 2000-01-04 Penw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ssless compression of signature data
KR100587540B1 (ko) * 2004-02-14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잉크 질의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019019B1 (ko) 2009-04-14 2011-03-04 한국과학기술원 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메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762B1 (en) 1995-11-22 2001-11-13 Fujitsu Limited Document creating apparatus creates free format document from handwritten data converting into normalized size
US20050222848A1 (en) 2001-10-15 2005-10-06 Napper Jonathan L Digital ink database searching using handwriting feature syn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18870A1 (en) 2013-01-17
KR20130008278A (ko) 2013-01-22
US8694509B2 (en)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5950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terminal
KR102056175B1 (ko)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단말장치
EP2736235B1 (en) Mobile terminal and data provision method thereof
US8908973B2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interface
US91105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memo layer and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244611B2 (en) Performing actions on a computing device using a contextual keyboard
US20090251338A1 (en) Ink Tags In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US201400199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by handwriting image recognition
US20090021494A1 (en) Multi-modal smartpen computing system
US20090267923A1 (en) Digital Bookclip
US201303213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20160139691A1 (en) Electronic-Scribed Input
EP2575009A2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CN104050219A (zh) 用于管理会话消息的方法和设备
US20100033766A1 (en) Managing Objects With Varying And Repeated Printed Positioning Information
US10049114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125212B1 (ko) 전자 필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4583927A (zh) 用户终端中的用户接口装置以及用于支持该用户接口装置的方法
KR20140146785A (ko) 오디오 및 텍스트 간의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830787B1 (ko) 수기로 작성된 메모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2073024B1 (ko)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편집장치 및 방법
KR102138277B1 (ko) 영상 인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EP2806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 data in electronic device
JP2014089645A (ja) 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並びに電子機器
CN115129218A (zh) 基于书写轨迹进行内容显示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