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834B1 -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834B1
KR101829834B1 KR1020110035129A KR20110035129A KR101829834B1 KR 101829834 B1 KR101829834 B1 KR 101829834B1 KR 1020110035129 A KR1020110035129 A KR 1020110035129A KR 20110035129 A KR20110035129 A KR 20110035129A KR 101829834 B1 KR101829834 B1 KR 10182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device
data
signal
mobi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163A (ko
Inventor
김봉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180041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081459A/zh
Priority to EP11822030.0A priority patent/EP2612494A4/en
Priority to PCT/KR2011/003889 priority patent/WO2012030055A1/en
Priority to US13/159,026 priority patent/US8732772B2/en
Publication of KR20120021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전술한 분리형 영상 표시 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청 방해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분리형 영상 표시 기기에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의 방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시청 방해 문제를 보완하여, 사용자가 방전 직전에 시청하던 컨텐츠를 편리하고 빠르게 이용 완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디스플레이 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충방전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사 등에서 제작하는 컨텐츠(content)는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 등의 전파 전달 매체를 통해서 송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각 전달 매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인 영상 표시 기기를 통해 소정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표시 기기는 사용자의 시청을 위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영상 표시 기기로는 셋탑 박스(set-top box)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 각종 이동 단말기(핸드폰, PDA, PMP 등), 개인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는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예를 들어, 셋탑 박스 등)와 이동 디스플레이 부가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형 영상 표시 기기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의 이동이 편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나, 이동 디스플레이 부의 충전을 지속적으로 시켜줘야 한다. 그리고, 이동 디스플레이 부가 방전된 경우, 시청하는 영상의 재생이 중지되어, 사용자는 컨텐츠의 시청을 방해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의 방전시 발생할 수 있는 시청 방해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전술한 분리형 영상 표시 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청 방해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 본원 발명은 분리형 영상 표시 기기에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가 방전되어 컨텐츠의 재생이 중단된 경우, 이동 디스플레이 부의 충전 후에 중단된 시점부터 컨텐츠의 재생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테이션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 채널에 액세스 하는 단계와, AV 데이터를 요청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AV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AV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 방전 안내 신호를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테이션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 채널에 액세스 하는 단계와, AV 데이터를 요청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AV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AV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인디케이트 하는 데이터를,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 채널이 연결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AV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AV 데이터를 요청하는 컨트롤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AV 데이터를 해당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그리고 제1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후인 제3시점부터 상기 AV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제2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AV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분리형 영상 표시 기기에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의 방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시청 방해 문제를 보완하여, 사용자가 방전 직전에 시청하던 컨텐츠를 편리하고 빠르게 이용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이동 디스플레이 부와 분리된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에서 컨텐츠의 녹화기능을 수행하고 녹화된 컨텐츠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디스플레이 부로 송신하여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편리하게 녹화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일 예인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테이션 부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디스플레이 부의 일예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디스플레이 부의 다른 일예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도 3의 제어부, 도 4의 제어부 또는 도 5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플랫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영상 표시 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원격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1OSD의 일예를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상태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맵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2상태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1OSD의 일예를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상태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맵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0에 도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2상태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기(100)는 외부의 AV 신호 제공원(170)으로부터 AV(Audio/Video) 신호를 포함하는 소정 신호를 수신받는 스테이션 부(120)와 상기 스테이션 부(120)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AV 신호를 전송받아 그에 대응되는 화면에 출력하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AV 신호를 A/V 신호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AV(Audio-Video) 신호는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영상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션 부(120)는 신호 입력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입력부(111)는 외부 전자기기(113~116),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국, 및 외부의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 또는 서비스 제공자(SP: Service Provider)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AV 신호를 포함하는 소정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스테이션 부(120)는 입력받은 AV 신호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함과 아울러,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서 전송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 데이터는 스테이션 부(120) 또는 AV 신호 제공원(1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AV 신호에 따른 영상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테이션 부(120)는 전송받은 제어 데이터가 요청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AV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전자기기(113~116),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국, 및 외부의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 또는 서비스 제공자(SP: Service Provider)의 서버를 통틀어 AV 신호 제공원(170)이라 한다.
외부 전자기기(113~116)로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장치, 블루레이(Blue ray) 장치,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PC, PDA, PMP,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노트북) 등이 있으며, 소정 컨텐츠 또는 소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소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또는 재생, 또는 상영)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될 수 있다. 스테이션 부(120)는 외부 전자기기(113~116)와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부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로는 전술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 부(120)는 셋 탑 박스(STB)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 부(120)는 방송사에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인 AV 신호를 공중파, 케이블, 위성 혹은 IP 등과 같은 방송 전송 매체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스테이션 부(120)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받은 AV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스테이션 부(120)와 물리적으로 이격되며, 충방전되는 전원부를 내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전원부에서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이동 및 휴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화면 출력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140)를 통해 스테이션 부(120)에서 전송되는 AV 신호 전송받고, 상기 AV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한다.
본원에서 스테이션 부(120)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전원부가 소정 시점에서 방전되면, 방전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AV 신호를 녹화 저장하거나, 방전 시점에 대응되는 AV 신호의 영상 화면 정보를 저장한다. 스테이션 부(120)의 녹화 저장 동작은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140)는 무선으로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이 될 수 있으며, 크게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영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스테이션 부(120) 및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 각각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Fi Direct,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Wi-Fi)에 의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이 특히 "와이파이 모듈"로 호칭될 수도 있다.
Wibro, HSDPA, GPRS,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 인터넷 접속은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이동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 네트워크 중계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피투피(Peer to Peer)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모듈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중계 장치로는 대표적으로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모듈을 제외한 대부분의 모듈은 네트워크 중계 장치(예를 들어, AP)를 이용하여 스테이션 부(120)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모듈을 무선 통신 네트워크(140)로 이용하면, 네트워크 중계 장치를 구비 및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더욱 편리하게 스테이션 부(120)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간에 AV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는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40)로 Wi-Fi Direct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중계 장치(예를 들어, AP) 없이 영상 표시 기기(100) 내에 포함되는 각 구성 블록(스테이션 부(120) 및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간에 무선으로 AV 신호를 포함하는 소정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션 부(120)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액세스 포인트(AP) 없이 노드끼리 직접 통신하는 Wi-Fi Direct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무선랜을 각각 탑재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인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네트워크는 하나의 Wi-Fi Direct 망에 무선 네트워크 기기들이 인터넷 연결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와 같은 네트워크 중계 장치 없이, 직접 기기 간 통신을 바탕으로 피어투피어(Peer to Peer) 전송을 구현하는 무선 네트워크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와 같은 영상 표시 기기(10), PC(20), 이동통신 단말기 A(30)와 B(40), 게임 콘솔(50) 등 최대 8대까지의 전자기기들 간의 동시 연결을 지원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는 기존에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는데 필수 장비였던 무선 네트워크 중계 장치인 무선 공유기, 즉 액세스 포인트(AP), 없이도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는 무선랜 규격인 802.11n을 활용하여 최대 전송 속도 300Mbps, 커버리지 120m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WPA2(WiFi Protected Access 2), WPS(WiFi Positioning System)등과 같은 최신 암호화 기술도 사용할 수 있어, 통신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 무선 네트워크 기기 간의 최초 연결을 위해, IPTV(10)는 자신의 식별자 즉,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브로드캐스팅하고, PC(20)는 브로드캐스팅된 SSID를 수신하여 주변에 위치하는 모든 식별자 정보를 탐지하게 된다. 그리고 PC(20)는 탐지된 모든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함으로써, 선택된 식별자의 무선 네트워크 기기와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 무선 네트워크 기기 간의 연결 방식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도 이용된다. NFC는 무선 네트워크 기기 간의 물리적 근접으로 최초 연결을 수립하며, 교통카드, 티켓, 요금 지불 등에 사용된다.
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 무선 네트워크 기기 간의 연결 보안을 위해, WEP(Wired Equivalent PRivacy), WPA/WPA2(WiFi Protected Access/WiFi Protected Access2), WPS(WiFi Protected Setup) 등이 이용된다.
WEP는 요청/응답(Challenge/Response) 방식의 보안으로, 이 방식에 따라 IPTV(10)가 PC(20)의 식별자를 검색 후 접속 요청을 수행하면, PC(20)는 클리어 텍스트(Clear-Text)를 IPTV(10)로 송신하여 IPTV(10)에서 사전에 배포된 보안 키로 클리어 텍스트를 암호화한 후 PC(20)로 전송하여 보안 자격을 증명하고 연결을 수립한다. WPA/WPA2는 WEP의 보안 취약성을 개선하는 보안 방식으로, 패킷 당 키 혼합 및 패킷 위/변조 공격을 막아주는 기능이 주요 기능이다. 사용자 인증, 접근 제어, 권한 검증, 데이터 기밀, 무결성 등이 지원된다.
WPS는 WPA의 강력한 보안 기능에 대한 최초 연결 수립의 까다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WPS가 적용된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기기들은 물리적/가상의 버튼을 가지고 있으며 기기 간의 버튼 클릭으로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스테이션 부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수신부(320) 및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327)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111), 제어부(33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360), 저장부(370), 인증부(38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송 수신부(320)는, 튜너(321), 복조부(32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튜너(321)와 복조부(32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5)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신호 입력부(111)가 입력받는 모든 신호를 AV 신호라 한다.
도 3에서는, AV 신호를 출력하는 AV 신호 제공원(170)으로 소정 컨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311)의 서버,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315)가 도시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AV 신호 제공원(170)에는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국(미도시), 서비스 제공자(미도시)의 서버 등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315)로는 영상물을 저장, 재생, 또는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저장 장치(317) 및 DMB, PMP 등의 이동 단말기(319)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여기서, 영상 저장 장치(317)는 DVD 장치(미도시), HDD 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튜너(32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32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32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33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321)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32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323)는, 튜너(32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32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323)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323)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23)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32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323)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323)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23)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323)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323)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323)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33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는 외부 장치와 영상 표시 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의 전자기기(315)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는 연결된 외부의 전자기기(315)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AV 신호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33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3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미도시)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 표시 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는, 외부 전자기기(315)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330) 또는 저장부(37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5)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5)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i-Fi Direct,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5)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 표시 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 표시 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5)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5)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70)는, 제어부(33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3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37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5)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70)는, 후술하는 도 7의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저장부(37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서, 스테이션 부(120)의 전원부(도 4의 410)가 방전된 시점에 대응되는 AV 신호를 녹화 저장하거나, 방전 시점에 대응되는 AV 신호의 영상 화면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소정 방송 프로그램(예를 들어, 영화 1편)에 대응되는 AV 신호가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 신호 입력부(111)로 입력되어 실시간으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된 경우, t1 시점과 t2 시점 사이의 일 시점(t3)에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전원부(410)가 방전되었다고 하자. 전원부(410)에 충전된 전원이 모두 방전됨에 따라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t3 시점(또는 t3시점에 근접한 시점)에서 파워 오프(power off) 되며, 상기 소정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을 중단한다.
그러면, 저장부(37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서, t3 시점부터 신호 입력부(111)로 입력되는 AV 신호를 녹화 저장할 수 있다. 또는, t3 시점에서의 영상 화면 정보(예를 들어, scene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저장부(37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저장부(370)가 제어부(33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370)는 제어부(33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33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33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후술할 도 9의 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33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3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33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튜너(321) 또는 복조부(32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3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340)의 상세 구성은 이하의 도 6에서 설명한다.
제어부(330)에서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어 영상 처리된 AV 신호 또는 영상 처리되지 않은 AV 신호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360)를 통하여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33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튜너(32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 또는 영상 표시 기기(100)와 연결되는 외부 전자기기(31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321)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3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30)는, 입력받은 AV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32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370)에 저장된 영상을,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문서 파일, 및 소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전자기기(315)에 저장된 영상의 재생 명령 또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서 전송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27)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전자기기(315), 예를 들어, 영상 저장 장치(317))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AV 신호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본원에서, 제어부(330)는 전원부(410)가 소정 시점에서 방전(t3)되면, 방전 시점에 대응되는 AV 신호가 녹화 저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방전 시점에 대응되는 AV 신호의 영상 화면 정보를 저장한다. 즉, 제어부(330)는 저장부(370)를 이용하여 스테이션 부(120)가 DVR(Digital Video Recorder)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신호 입력부(111)를 통하여 입력되는 AV 신호가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국과 같이 1회성으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인 경우, AV 신호 자체를 녹화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신호 입력부(111)를 통하여 입력되는 AV 신호가 재차 전송받을 수 있는 영상 신호, 예를 들어 계속하여 연결되는 상태에 있는 영상 저장 장치(317)(예를 들어, 스테이션 부(130)와 계속적으로 연결되는 DVD 장치 등)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다시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서버에서 전송되는 영상 신호 등,인 경우, AV 신호 자체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전 시점(t3)에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화면의 정보(예를 들어, scene 정보, 또는 컨텐츠 내에서의 재생 시점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어부(330)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다시 충전되어 소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녹화 저장된 AV 신호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하여,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330)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다시 충전되어 소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방전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화면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AV 신호 제공원(예를 들어, 전술한 인터넷 서버 등)에 접속하여 저장된 영상 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AV 신호부터 입력받고, 이를 다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한다.
제어부(330)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전원부(410)가 방전되었는지 또는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서 전송되는 방전 알림 신호 또는 충전 알림 신호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방전 알림 신호 또는 충전 알림 신호는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330)의 방전 시점에서의 AV 신호 녹화 저장 및 전송 동작은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360)는 전술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140)를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36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규격을 만족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360)는 제어부(330)에서 출력되는 AV 신호(AV 신호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맞춰 변환된 신호일 수 있으며, 신호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된 AV 신호 자체일 수 있다)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한다.
인증부(380)는 스테이션 부(120)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간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 Direct)를 초기 설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서 전송받고, 상기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인증 및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스테이션 부(120)가 인증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인증 정보로는 제조시부터 부여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식별자 PIN(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 상기 PIN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증부(380)는 전송받은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연결을 인증한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디스플레이 부의 일예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전원부(41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473), 저장부(478), 제어부(4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483), 디스플레이 패널 부(490), 및 오디오 출력부(49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410)는 충 방전되는 충전 배터리로 구성되며, 이동 디스플레이 부(120)가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각 구성부로 공급한다. 즉, 전원부(4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AV 신호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AV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원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충방전되는 전원부(410)를 구비함으로써,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원하는 곳으로 편리하게 이동시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전원 공급원(예를 들어, 콘센트 단자를 포함하는 전력선)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473)는 전술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360)와 동일하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140)를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스테이션 부(120)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473)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규격을 만족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47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360)에서 전송되는 AV 신호를 수신받고, 이를 제어부(480)로 전송한다.
제어부(480)는 전송된 AV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8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473)를 통하여 전송되는 AV 신호를 수신받고, AV 신호가 디스플레이 포맷 변환된 신호가 아닌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부(49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포맷에 맞춰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어부(480)는 전원부(410)의 전원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전원부(41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 한계값 이하로 방전되면 방전 알림 신호를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방전 한계 값이란, 전원부(410)에 충전된 전원의 양이 일정값 이하로 떨어져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구동될 수 없게 되는 전원부(410)의 전원 충전량을 뜻한다. 방전 한계 값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또는 전원부(410)의 제품 사양 또는 모델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410)의 전원 충전량에 따라서 제공할 수 있는 전압의 크기가 0V에 가까운 값인 a V(Volt) 이하이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파워 오프된다고 하자. 이때, 방전 한계값은 a V 에서 소정 오프셋만큼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아직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파워 오프될 정도로 방전되지 않았으나 빠른 시간(예를 들어, 수십초) 이내에 파워 오프될 정도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파워 오프 되기 직전의 전원 충전량을 방전 한계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남은 전원 충전량을 이용하여 방전 알림 신호가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480)는 전원부(410)의 전원 충전량이 방전 한계값 이하로 방전되면,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방전 알림 신호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방전 알림 신호에 따라서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LED 모듈, 알람 부저 등의 알림 구동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 등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전원부(410)가 방전되어, 파워 오프될 것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제어부(480)는 전원부(410)가 방전된 후 충전되어, 전원부(410)에 충전된 전원량이 충전 한계값 이상으로 충전되면 충전 알림 신호를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80)는 전원부(410)의 충전이 완료되면(즉, 전원부(410)가 충전할 수 있는 최대 전원량까지 충전되면) 충전 알림 신호를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충전 한계 값이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구동되어 소정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부(410)의 최소 전원 충전량을 뜻한다. 즉, 전원부(410)가 충전 한계값 이상으로 충전되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구동할 수 있을 정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전원부(410)의 전원 충전량이 상기 충전 한계값 이상으로 충전되거나, 충전이 완료되면,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충전 알림 신호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 등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전원부(410)가 충전되어, 다시 구동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480)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이하의 도 5에서 설명할 경우와 같이 튜너(51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경우, 제어부(480)는, 튜너(5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밖에 제어부(480)의 동작 및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제어부(330)와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80)에서 입력받은 AV 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부(49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80)의 상세 동작은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저장부(478)는 전송된 AV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그밖에 저장부(478)의 동작 및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저장부(370)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패널 부(490)는, 제어부(480)에서 처리된 AV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 또는 OSD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49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 부(49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49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49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483)는 도 3에서 설명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350)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483)를 통해 제어부(48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480)에 입력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디스플레이 부의 다른 일예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도 4에 도시된 이동 디스플레이 부와 유사하나, 전원 모니터링 부(515), 튜너(510) 및 복조부(52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부(5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505), 오디오 처리부(560), 비디오 처리부(57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부(490)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5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입력부(505)의 구성은 도 3의 신호 입력부(111)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신호 입력부(505)를 구비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영상 신호를 수신받고, 자체적은 수신받은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전원 모니터링 부(515)는 전원부(410)에 충전되있는 전원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충전된 전원량이 전술한 방전 한계값 이하로 감소하는지, 또는 충전 한계값 이상으로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모니터링 부(515)는 전원부(410)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를 제어부(48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모니터링 부(515)는 소정 주기 간격으로 전원부(410)의 전원량을 측정 및 비교하고, 이를 소정 주기 간격으로 제어부(4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모니터링 부(515)는 전원부(41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량이 방전 한계값 이하로 감소한 경우, 또는 충전 한계값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또는 전원부(410)가 완전히 충전된 경우에만, 전술한 판단결과들을 제어부(48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어부(480)는 전원 모니터링 부(515)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결과에 근거하여, 전술한 방전 알림 신호 또는 충전 알림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사용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알림 구동 부(미도시)(예를 들어, LED 램프, 또는 알람 부저 등)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480)는 전원부(41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량이 방전 한계값 이하로 감소한 경우, 또는 충전 한계값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에 사용자가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알림 신호가 상기 알림 구동 부(미도시)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신호 입력부(505) 또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부(473)로부터 입력되는 AV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의 구성은 이하의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오디오 처리부(560)를 제어부(4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495)가 출력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인코딩하여 제어부(480) 또는 저장부(478)로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처리부(570)를 제어부(48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 부(490)가 출력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터치 스크린(585)은 디스플레이 패널(583)과 결합되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583) 상의 소정 지점이 터치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587) 및 감지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589)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583)은 LCD, PDP,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587)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물리량(저항 또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입력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다. 이어서, 터치 감지부(587)는 감지된 입력 이벤트의 물리량을 신호 처리부(589)로 전송한다.
여기서, 입력 이벤트는 사용자의 조작인 터치 동작 등이 터치 스크린(585)에 입력된 것이다. 신호 처리부(589)는 입력 이벤트에 따른 물리량의 변화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부(589)는 물리량의 변화로 발생한 입력 이벤트가 터치 이벤트인지 드래그 이벤트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589)는 터치 감지부(587)에 의해 센싱된 입력 이벤트의 발생 좌표를 측정하여 제어부(480)로 출력한다.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 터치 스크린(585)이 포함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585)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 없이도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소정 명령을 직접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더욱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80)는 터치 스크린(585) 상의 입력 이벤트를 판단하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473)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78)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동작 프로그램 및 터치 스크린(585)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제어부, 도 4의 제어부 또는 도 5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30, 480)는, AV 신호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디스플레이하는 포맷에 맞춰 변환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하여 역다중화부(31), 영상 처리부(32), 믹서(3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6), 포맷터(37) 및 OSD 생성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AV 신호에 따른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는, 영상 디코더(33), 및 스케일러(34)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3)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4)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패널(583)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3)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8)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83)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8)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는, OSD 생성부(38)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32)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7)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6)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 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7)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6)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패널(583)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플랫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플랫폼은, 분리형 플랫폼으로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플랫폼(7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705)이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OS 커널(OS Kernel)(710)은,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7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705)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700)은, OS 커널(710) 상의 드라이버(Driver)(720), 미들웨어(Middleware)(73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7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705)은, OS 커널(710) 상의 라이브러리(Library)(735), 프레임워크(Framework)(74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 (755)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710)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핵심으로써, 영상 표시 기기(100)의 구동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 영상 표시 기기(100)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S 커널(710)은, 파워 매니지먼트(power management) 등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OS 커널(7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이파이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파워 관리자(Power management), 바인더 드라이버(Binder Driver), 메모리 드라이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 커널(7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OS 커널(710) 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로서,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character device driver)와, 블럭 장치 드라이버(block device), 및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network device di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블럭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위 크기 만큼을 보관할 버퍼가 필요할 수 있으며,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는, 기본 데이터 단위 즉 캐릭터 단위로 전송하므로 버퍼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OS 커널(710)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710)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드라이버(720)는, OS 커널(710)과 미들웨어(730) 사이에 위치하며, 미들웨어(730)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층(750)의 동작을 위해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72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의 마이컴(micom), 디스플레이 모듈, 그래픽 처리 유닛(GPU),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HDMI, SDEC(System Decoder 또는 역다중화부), VDEC(Video Decoder), ADEC(Audio Decod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의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OS 커널(7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720)는, 원격 제어 장치(200), 특히 후술하는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720)외에, OS 커널(710) 또는 미들웨어(730) 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미들웨어(730)는, OS 커널(710)과 애플리케이션층(750)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지원, 및 체계가 다른 업무와 상호 연동이 가능해진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700) 내의 미들웨어(730)의 예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미들웨어가 있을 수 있으며,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들웨어(7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750), 즉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700) 내의 애플리케이션(750)층은,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 내의 다양한 메뉴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7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7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750)을 이용하여, 방송 영상 시청 중 원격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700) 내의 애플리케이션층(750)은,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애플리케이션, 핫키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705) 내의 라이브러리(735)는, OS 커널(710)과 프레임워크(740)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워크(740)의 기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735)는,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c library), 비디오(video) 포맷과 오디오(audio) 포맷 등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735)는, C 또는 C++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740)를 통해 개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라이브러리(735)는, 코어 자바 라이브러리(core java library)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을 구비하는 런타임(runtime)(7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런타임(737)은, 라이브러리(735)와 함께 프레임워크(740)의 기본을 형성한다.
가상 머신(VM)은, 복수의 인스턴스, 즉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755) 내의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 가상 머신(VM)이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인스턴스 사이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를 위해, OS 커널(410) 내의 바인더(Binder) 드라이버(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 드라이버와 런타임(737)은,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C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줄 수 있다.
한편, 라이브러리(735)와 런타임(737)은, 레가시 시스템의 미들웨어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705) 내의 프레임워크(740)는, 애플리케이션층(7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740)는, 어떤 애플리케이션과도 호환 가능하며, 컴포넌트의 재사용, 이동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740)는, 지원 프로그램,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와 관련한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공유 정보를 요약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740)는,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74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755)은, 영상 표시 기기(100) 내에서 구동되어 표시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달력(calendar), 지도(map), 브라우저(browser)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코어 애플리케이션(Cor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750)은,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층(755)은, 영상 표시 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7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7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7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일정관리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플랫폼은,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OS 커널(OS kernel)(760), 드라이버(770), 미들웨어(Middleware)(780), 프레임워크(Framework)(785), 및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7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b)의 플랫폼은, 도 7의 (a)와 비교하여, 도 7의 (a)의 라이브러리(735)가 생략된 것과, 애플리케이션층(790)이 통합 레이어로 구비되는 것이 차이가 있다. 그 외, 드라이버(770), 프레임워크(785)는, 도 7의 (a)에 동일 대응한다.
한편, 도 7의 (a)의 라이브러리(735)가, 미들웨어(780)에 병합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미들웨어(780)는, 레가시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 또는 ACAP의 미들웨어,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는, 물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타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층(790)은, 레가시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메뉴 관련 애플리케이션,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예약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메일, SMS, 달력, 지도,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790)은, 영상 표시 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790)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790)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7의 (a) 및 도 7의 (b)의 플랫폼은 영상표시기기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7의 (a) 및 도 7의 (b)의 플랫폼은, 상술한 저장부(370)(또는, 저장부(478)) 또는 제어부(330)(또는 제어부(480)),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저장 또는 탑재(loading)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의 (a)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130)는 AV 신호 제공원(170)에서 입력되는 AV 신호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140)를 통하여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905).
또한, AV 신호의 전송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와 스테이션 부(120) 간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 Direct)를 초기 설정하기 위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인증 정보(인증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 정보, PIN 정보 등)를 전송할 수 있다(S901). 인증 정보로는 제조시부터 부여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식별자 PIN(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 상기 PIN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 Direc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전송받을 수도 있다.
스테이션 부(120)의 인증부(380)는 전송받은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연결을 인증할 수 있다(S902).
그에 따라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와 스테이션(120)간에 소정 무선 통신 규격(예를 들어, Wi-Fi Direct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설정된다(S903).
즉, S901 내지 S903 단계를 통하여,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와 스테이션 부(120)간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연결 및 설정을 초기 1회에 수행함으로써, 후속하여 별도의 설정 없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와 스테이션 부(120)가 상호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스테이션 부(120)로 소정 동작 또는 명령의 수행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S904).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 또는 터치 스크린(585)의 조작을 통하여 소정 명령에 대응되는 키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 또는 터치 스크린(585)을 이용하여,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지상파 방송(예를 들어, CH7)에서 전송되는 프로그램의 시청을 요청하면(즉, CH7로의 채널 전환을 요청하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제어부(480)는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스테이션 부(120)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부(360)로 전송한다.
그러면,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요청받은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AV 신호가 AV 신호 제공원(170)으로부터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입력받은 AV 신호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한다(S905). 예를 들어,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지상파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신호들 중 CH7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선국하여, CH7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방송 신호인 AV 신호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한다.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전송받은 AV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즉, CH7에서 전송되는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906).
또한, 사용자 등이 원격 제어 장치(200) 등을 조작하여, AV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등은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하여 CH7에서 CH9로 채널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120)의 제어부(480)는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CH7에서 CH9로 채널 전환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한다(S907).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S907 단계에서 전송받은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영상의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 또는 AV 신호 제공원(17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908). 예를 들어,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CH7에서 CH9로 채널 전환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고, 그에 따라서, 지상파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신호들 중 CH9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선국하여, CH9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채널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S908 단계에서의 제어 동작 수행의 결과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S909). 전술한 예의 경우,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CH9로 채널 전환 중입니다.', 또는 'CH9로 채널 전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등의 결과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제어부(480)는 S909 단계에서 전송받은 결과 리포트에 근거하여, 상기 결과 리포트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OSD(On Screen Display)가 디스플레이 화면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예의 경우,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CH9로 채널 전환 중입니다.', 또는 'CH9로 채널 전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등의 OSD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전원부(41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 한계값 이하로 방전되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파워 오프된다(S910).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제어부(480)는 전원부(41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 한계값이되면(또는, 방전 한계값 근처의 값이 되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파워 오프되기 이전에, 전술한 방전 알림 신호를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한다(미도시).
또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제어부(480)는 전원부(410)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 한계값이 되면(또는, 방전 한계값 근처의 값이 되면), 전원부(410)의 방전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OSD가 디스플레이 패널 부(49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테이션 부(120)는 방전 알림 신호에 근거하여 전원부(410)가 방전되는 시점으부터 AV 신호 제공원(170)으로부터 전송되는 AV 신호를 녹화 저장하거나, 방전 시점에 대응되는 AV 신호의 영상 화면 정보를 저장한다(S911). 여기서, 방전 시점이란, 전원부(410)의 방전으로 인하여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전송받은 AV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못한 시점을 뜻한다. 또한, 방전 시점은 방전 알림 신호가 전송된 시점 또는 방전 알림 신호가 전송된 시점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방전 알림 신호가 전송된 시점에서 소정 시간 이후의 시점에서 전술한 녹화 저장 또는 영상 화면 정보의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품 사양에 따라서, 방전 알림 신호가 전송된 후에서 수초에서 수십초까지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구동될 수 있으므로, 방전 알림 신호가 전송된 후 약 10초 이후의 시점부터 녹화 저장을 수행하여도 무관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AV 신호 제공원(170)에서 t1 시간부터 소정 컨텐츠에 대응되는 AV 신호를 입력하였고, t1 시간 이후의 상기 t3시간(방전 시점)에서 전원부(410)가 방전되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파워 오프되었다면,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t3 시간부터 입력되는 AV 신호가 저장부(370)에 녹화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녹화 저장은, AV 신호 제공원(170)에서 출력하는 소정 컨텐츠가 종료되는 시점, 또는 전원부(410)가 충전 한계값 이상으로 충전되거나 충전이 완료된 시점까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 부(120)로부터 충전 알림 신호를 전송받는 시점까지 또는 소정 컨텐츠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녹화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30)는 신호 입력부(111)를 통하여 입력되는 AV 신호가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국과 같이 1회성으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인 경우, AV 신호 자체를 녹화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신호 입력부(111)를 통하여 입력되는 AV 신호가 재차 전송받을 수 있는 영상 신호인 경우, AV 신호 자체를 저장하지 않고, 방전 시점(t3)에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화면의 정보(예를 들어, scene 정보, 또는 재생 시점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재차 전송받을 수 있는 AV 신호의 예로는 계속하여 스테이션 부(120)와 연결되어 있는 영상 저장 장치(317)(예를 들어, 스테이션 부(130)와 계속적으로 연결되는 DVD 장치 등)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언제든지 다시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서버에서 전송되는 영상 신호 등이 있다.
도 8의 (c) 및 도 9의 S912 단계를 참조하면, 방전 시점 이후에 전원부(410)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충전 한계값 이상으로 충전되면,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S911 단계에서 녹화 저장된 상기 AV 신호 또는 상기 영상 화면 정보가 상기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912).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의 제어부(480)에서 전송되는 충전 알림 신호에 근거하여, 전원부(410)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충전 한계값 이상으로 충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다시 충전되어 소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녹화 저장된 AV 신호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하여,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330)는 방전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화면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AV 신호 제공원(예를 들어, 전술한 인터넷 서버 등)에 접속하여 저장된 영상 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AV 신호부터 전송받고, 이를 다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한다.
S912는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S912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충전 알림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녹화 저장된 AV 신호를 디스플레이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OSD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OSD 출력에 따라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가 전술한 녹화 저장된 AV 신호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인 경우, S912 단계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전술한 S904 또는 S907 단계에서의 제어 데이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또는 터치 스크린(585)의 터치 등에 의하여 발생되며, 그에 따라 발생한 제어 데이터는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 및 상세 구성은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의 영상 표시 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483))와 RF 통신규격 또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소정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IR 통신 모듈 또는 RF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480)로 전송된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480)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스테이션 부(12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350)로 전송한다. 전송된 제어 데이터는 스테이션 부(120)의 동작 제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로는 다수개의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식 리모컨, 소프트 키들을 출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리모컨, 움직임에 대응하여 동작되는 움직임 리모컨(또는 공간 리모컨)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도 10의 (a)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부(490))에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10의 (b)), 앞뒤(도 10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10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 표시 기기(100)로 전송된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내의 선택 영역이 줌 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 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 인 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도 10의 원격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는 영상 표시 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스테이션 부(120)와 소정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 영상 표시 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 영상 표시 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 영상 표시 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 표시 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한 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 제어 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 제어 장치(200)가 영상 표시 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과 영상 표시 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 제어 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 표시 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S1201, S1202, S1203, S1204, S1205 및 S1206, 및 S1207 단계는 각각 도 9에서 상술한 S901, S902, S903, S904, 및 S905, 및 S906 단계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서는, 도 9의 S904 단계의 제어 데이터가 TV 시청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도 9에 비하여, S1209, S1210, S1212, S1213, 및 S1214 단계의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40)는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가 가능한 설정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테이션 부(120) 또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140)의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스테이션 부(120)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간의 AV 신호 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전술한 경우 AV 신호 송수신 불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시청 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을 도시하였다.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120)는 스테이션 부(120) 또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 Direct)의 설정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9). Wi-Fi Direct 네트워크의 경우, 기기 간 설정 지역의 범위가 120 미터 이내이므로, 스테이션 부(120)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서로 120 미터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1209의 판단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전송하는 피드백 신호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와 스테이션 부(120)는 상호간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피드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출력하는 피드백 신호를 스테이션 부(120)가 전송받음으로써, 스테이션 부(120)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스테이션 부(120)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상기 설정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S1209 단계의 판단에 따라서, 설정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면,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120)는 설정 지역을 이탈한 시점부터 AV 신호 제공원(170)에서 입력되는 AV 신호를 녹화저장하거나, 상기 이탈 시점에서의 AV 신호의 영상 화면 정보를 저장한다(S1210).
상기 S1210 단계의 동작은 S911 단계의 동작과 유사 대응되며, S1210 단계의 이탈 시점은 S911 단계의 방전 시점과 유사 대응된다. S1210 단계의 녹화 저장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범위를 벗어난 스테이션 부(120) 또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범위 이내로 재진입한 시점 또는 해당 컨텐츠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수행될 수 있다.
스테이션 부(120) 또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지역을 이탈하면, 스테이션 부(120)와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간에 AV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AV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탈 시점부터 AV 신호를 녹화저장하고, 후속하는 S1212 단계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지역으로 재진입하면 녹화저장된 AV 신호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지역 이탈에 따라 발생하는 시청 방해로, 시청하지 못한 나머지 컨텐츠를 계속하여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209 단계의 판단에 따라서, 설정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면, 설정 지역 이탈을 알리는 신호(예를 들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신호)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또는 스테이션 부(120)가 자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S1209 단계의 이탈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계속하여,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설정 지역을 이탈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또는 스테이션 부(120)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설정 지역 내로 재진입하였는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S1212). 예를 들어, S1212 단계의 판단은 전술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S1212 단계의 판단 결과, 설정 지역을 이탈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또는 스테이션 부(120)가 설정 지역 안으로 복귀하면, 스테이션 부(120)는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 간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재연결한다(S1213). 구체적으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재연결을 위한 접속 노드 정보를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하고, 스테이션 부(120)는 상기 접속 노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재연결한다. 예를 들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이전에 위치하던 원위치로 복귀되면, 이전에 저장하고 있던 접속 노드 정보를 그대로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계속하여, 스테이션 부(120)의 제어부(330)는 S1210 단계에서 녹화저장된 AV 신호 또는 저장된 영상 화면 정보에 근거하여 AV 신호 제공원(170)으로부터 재입력 받은 AV 신호를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로 전송한다(S1214). S1214 단계는 S912 단계와 동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전술한 S904 또는 S907 단계에서 전송하는 제어 데이터가 검색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검색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스테이션 부(120)는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되는 AV 신호를 전송(S905)하고,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검색 범위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스테이션 부(120)에 저장된 데이터, 스테이션 부(120)와 연결된 AV 신호 제공원(170)(예를 들어, 전자기기(315))에 저장된 데이터,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스테이션 부(120) 또는 전자기기(315)가 접근하거나 입력받을 수 있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전술한 검색 범위에 포함되는 데이터들 중 소정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TV의 스테이션 부(120)를 검색하기 위한 키(1311), 인터넷 검색 키, PC 검색 키, 및 이용가능한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 목록(1312)을 포함하며, 검색 키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가 터치 스크린(585)을 포함할 경우,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통하여 소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App2)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이동 디스플레이 부(130)는 선택된 소정 어플리케이션(App2)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 또는 소정 어플리케이션(App2)과 관련된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스테이션 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스테이션 부(120)는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13에서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14 내지 도 25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특히, 도 14 내지 도 19는 제2실시예에 대한 도면들이고, 도 20 내지 도 24는 제3실시예에 대한 도면들이고, 그리고 도 25는 제4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물론, 당해 명세서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예들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도 1 내지 도 13에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후술할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를 보충적으로 해석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전원이 오프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AV 데이터를 출력하는 솔루션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도 14를 해석할 수도 있다.
우선, 도 14에 도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예컨대, 전술하여 설명한 모바일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에 대응하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는 예컨대, 전술하여 설명한 스테이션부(Station Part)에 대응한다. 나아가, 당해 명세서에서 서술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AV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모든 종류의 기기에 해당한다. 물론,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기존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피처폰 중 어느 하나로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가 AV 데이터를 저장하는 특정 조건(condition)을 선택하는 3가지 모드를 출력한다(S1401). 이를 제1OSD 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도 15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도 14에서는 전술한 S1401 단계가 최초 스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S1404 단계 직후에 전술한 S1401 단계가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와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기 위한 컨트롤 데이터를 전송한다(S1402).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3.0, 블루투스 4.0 등에 해당하며, 전술한 통신 프로토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S1402 단계에서 전송되는 컨트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인증 정보(인증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URL 정보, PIN 정보, 상기 PIN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ID 정보 등)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는, 전송 받은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연결 여부를 인증하고(S1403),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와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간 통신 인터페이스 연결이 완료된다(S1404). 따라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로부터 여러 포맷의 AV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가 있는 상태로 셋업된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특정 AV 데이터를 요청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에 전송한다(S1405). 상기 S1405 단계에서 요청하는 특정 AV 데이터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특정 채널의 AV 데이터 등에 해당한다.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는, 예컨대 방송국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 AV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에게 전송한다(S1406). 다만, 상기 S1406 단계를 수행하기 앞서,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Wi-Fi 통신 규격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으로 인코딩 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에서 디코딩 및 출력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선행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로부터 전달받은 AV 데이터를 출력한다(S1407). 한편, 상기 S1407 단계를 수행하기 앞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팅 하는 프로세스를 선행하도록 설계된다. 즉,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별도의 인코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파워 상태를 인디케이트 하는 데이터를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에게 전송하도록 설계된다(S1408). 한편, 상기 S1408 단계는, 기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초, 5초 등등) 마다 전송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 전원 상태인 경우(예를 들어, 총 배터리 용량을 기준으로 10% 잔여량이 남은 경우, 5% 잔여량이 남은 경우 등등)에 한하여 전송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로부터 파워 상태를 보고 받은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로 전송하고 있는 특정 AV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계된다(S1409). 상기 S1409 단계에 대해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2가지 실시예로 나누어 구현할 수가 있다. 첫번째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파워 상태를 인디케이트 하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 마다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기준값(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이 10% 또는 5% 이하 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특정 AV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가 배터리 상태가 임계값 이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반면, 두번째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특정 컨디션에 해당하는 경우(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이 10% 또는 5% 이하 등)에 한하여, 방전 상태를 가이드 하는 데이터를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는, 특정 AV 데이터를 바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전원이 오프 상태로 변경된 경우를 가정하겠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유저는 더 이상 S1406 단계에서 전송되는 AV 데이터를 시청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구(예를 들어, 파워 어댑터 등)가 연결된 경우,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전원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된다(S1410). 이 때,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제2OSD를 디스플레이 하여(S1411), 파워 오프 시점부터 전송이 끊겼던 AV 데이터를 상기 유저가 다시 시청할 수 있는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는, 파워 오프 시점부터 전송이 끊겼던 AV 데이터를 요청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에 전송한다(S1412). 또한,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1450)는, 상기 S1409 단계에서 AV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특정 시점부터 녹화된 AV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S1413).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1OSD의 일예를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전원 오프를 대비한 3가지 모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는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S1401 단계에서 출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다른 스텝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는,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AV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는 파워 오프 상태에 이른 경우를 해결하기 위한 메뉴(1510) 화면을 출력한다.
이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 모드를 안내하는 리스트(1520)가 출력된다. 상기 리스트(1520)에 포함된 제1옵션은 자동 저장 모드에 대응하고, 제2옵션은 컨펌 후 저장 모드에 대응하고, 그리고 제3옵션은 해제 모드에 대응한다.
전술한 제1옵션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전원이 방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전송 중이던 AV 데이터를 스테이션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으로 설계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때에도 2가지 실시예로 나누어 구현할 수가 있다. 첫번째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파워 상태를 인디케이트 하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 마다 스테이션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반면, 두번째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특정 컨디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방전 상태를 가이드 하는 데이터를 스테이션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전술한 제2옵션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전원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에 이른 경우, 전송 중이던 AV 데이터를 스테이션 디바이스에서 저장하도록 설정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특히, 상기 제2옵션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전술한 제3옵션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전원 변화에 상관없이, 전송 중이던 AV 데이터를 무조건 저장하지 않도록 설정된 기능이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유저는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원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상태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출력되는 OSD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AV 데이터(예를 들어, 라이브 방송 프로그램)를 디코딩 하여 출력한다.
나아가,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기설정된 임계치 값(예를 들어, 총 배터리 용량과 대비하여 잔여 전원이 10% 이하 또는 5% 이하인 경우 등)에 이른 경우, 제2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청 중이던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이 때,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아닌 스테이션 디바이스의 메모리에서 저장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설계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하여 설명한 2가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스테이션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상기 2가지 데이터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파워 상태를 인디케이트 하는 데이터 또는 방전 상태를 가이드 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그리고, 더 많은 시간이 경과한 경우,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은 오프 상태로 방전된다. 한편,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다시 온 상태로 변경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맵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녹화 구간을 결정하는 솔루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가 특정 임계치 값에 이른 경우,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전송 중이던 AV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다만, 이와 같이 설계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3가지 사항들이 명확하게 정의될 필요가 있다.
첫째,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위험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현재 전원이 100% 충전된 경우와 대비하여, 특정 비율(예컨대 10%, 5%, 3% 등)이하인 경우,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위험한 상태로 가정할 수 있다. 즉, 이 때 스테이션 디바이스의 자동 저장 프로세스가 시작될 필요가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비율로 위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고, 또는 현재 출력 중인 AV 데이터가 플레잉 되는 시간에 따라 감소된 전원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전원의 위험 상태를 추정할 수도 있다.
둘째,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위험 상태인 경우,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어느 시점부터 해당 AV 데이터를 저장할지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위험 상태임을 보고 받은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보고 받은 시점부터 전송 중인 AV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멀티태스킹을 수행(예를 들어,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한다면, 급격히 전원의 충전 상태가 나빠질 리스크가 있음을 고려한 설계이나,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10% 남은 경우, 이를 보고 받은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그 시점부터 현재 방송 프로그램(이벤트)을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도 17에서는, 상기 시점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이벤트)가 1.5 시간 경과한 시점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물론, 전술한 수치들은 일예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셋째,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가 어느 시점까지 해당 AV 데이터를 저장할지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해당 AV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타트 타임(start time)을 설명하였으며, 도 18에서는 해당 AV데이터의 저장을 종료하는 엔트 타임(end time)을 설명하겠다.
도 18에 도시된 EIT에서, table_id 필드는 EIT 를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할당된 고유 테이블 식별자(ID)를 표시한다. 즉, 상기 table_id 필드는 수신되는 섹션(section)이 속해 있는 테이블이 EIT 라는 것을 알려 주는 값을 나타낸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1의 값으로 셋팅될 수 있고, section_length 필드 다음에는 일반적인 MPEG-2 섹션 신택스를 따름을 의미한다. private_indicator 필드는 일예로 '1'을 할당한다. section_length 필드는 상기 section_length 필드 이후부터 이 섹션의 끝까지, 섹션의 나머지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source_id 필드는 섹션 내에서 기술된 이벤트들을 전송하는 가상 채널의 source_id 를 표시한다. version_number 필드는 EIT-i 의 버전값을 나타낸다. 상기 version_number 필드는 EIT-i의 내용이 변경되었을 때 1 증가시킨 후 32호 나눈 나머지 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는 전송된 테이블이 항상 적용 가능함을 표시하며, 1로 셋팅될 수 있다. section_number 필드는 해당 섹션의 번호를 표시한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완전한 EIT의 마지막 섹션 번호를 표시한다.
protocol_version 필드는 최초 0값으로 셋팅되고, 프로토콜이 변경되면 0이 아닌 다른 값으로 셋팅된다. num_events_in_section 필드는 해당 EIT 섹션 내에 존재하는 이벤트의 개수를 표시한다. 만약, num_events_in_section 필드 값이 0인 경우, 해당 섹션 내에 정의된 이벤트가 없음을 표시한다.
상기 num_events_in_section 필드 다음에는, 상기 섹션에 포함되는 이벤트의 개수만큼 반복되는 이벤트 루프(event loop)가 존재한다. 상기 이벤트 루프는, event_id 필드, start_time 필드, ETM_location 필드, length_in_seconds 필드, title_length 필드 및 title_tex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루프는 각 이벤트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descriptor_length 필드와 descriptor()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vent_id 필드는 이벤트 루프 내 해당 이벤트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이 식별 번호는 이벤트 ETM_id 의 일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start_time 필드는 이벤트의 시작 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ETM_location 필드는 extended text message (ETM)의 존재와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length_in_seconds 필드는 이벤트의 지속 시간을 초 단위로 표시한다.
상기 title_length 필드는 다음에 오는 title_text()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만약, 상기 title_length 필드값이 0이면, 해당 이벤트에 타이틀이 없음을 의미한다.
상기 title_text() 필드는 다중 문자열 구조의 이벤트 제목(event title)을 표시한다.
상기 descriptor_length 필드는 다음에 오는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상기 start_time 필드 및 상기 length_in_seconds 필드를 이용하여, 현재 이벤트(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간을 계산할 수가 있다.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현재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이벤트(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각까지만 저장 프로세스를 지속하도록 설계한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2상태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다시 온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출력되는 OSD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하여 설명한 도 16이 선행하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우선, 도 14의 S141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AV 데이터를 출력하다가 전원이 오프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다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된 경우,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전원 상태가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나아가,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오프로 비정상 중단되었던 AV 데이터의 이어 보기를 선택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물론, 상기 도 19의 (b)를 옵션으로 설계하고, 도 19의 (a)에서 도 19의 (c)로 바로 넘어 가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만약, 도 19의 (b)에서 유저가 이어 보기를 선택한 경우,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기저장된 AV 데이터를 수신할 수가 있다. 이 때,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오프로 비정상 중단된 시점부터의 AV 데이터가 출력된다.
따라서, 도 14 내지 도 19에서 전술하여 설명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유저는, 전원 공급 상태와 관계없이 자신이 시청 중이던 AV 데이터를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저는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AV 데이터의 자동 저장 모드 및 자동 저장 시점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 가능하므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유저에게 보다 커스터마이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여, 통신 가능 지역을 이탈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AV 데이터를 출력하는 솔루션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도 20을 해석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가능 지역이라 함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와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간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역을 의미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20에 도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예컨대, 전술하여 설명한 모바일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에 대응하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는 예컨대, 전술하여 설명한 스테이션부(Station Part)에 대응한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가 AV 데이터를 저장하는 특정 조건(condition)을 선택하는 3가지 모드를 출력한다(S2001). 이를 제1OSD 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도 21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도 20에서는 전술한 S2001 단계가 최초 스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S2004 단계 직후에 전술한 S2001 단계가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와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기 위한 컨트롤 데이터를 전송한다(S2002).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블루투스 3.0, 블루투스 4.0 등에 해당하며, 전술한 통신 프로토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S2002 단계에서 전송되는 컨트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인증 정보(인증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URL 정보, PIN 정보, 상기 PIN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ID 정보 등)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는, 전송 받은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연결 여부를 인증하고(S2003),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와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간 통신 인터페이스 연결이 완료된다(S2004). 따라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로부터 여러 포맷의 AV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가 있는 상태로 셋업된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특정 AV 데이터를 요청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에 전송한다(S2005). 상기 S2005 단계에서 요청하는 특정 AV 데이터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특정 채널의 AV 데이터 등에 해당한다.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는, 예컨대 방송국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 AV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다(S2006). 다만, 상기 S2006 단계를 수행하기 앞서,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Wi-Fi 통신 규격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으로 인코딩 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에서 디코딩 및 출력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선행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로부터 전달받은 AV 데이터를 출력한다(S2007). 한편, 상기 S2007 단계를 수행하기 앞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팅 하는 프로세스를 선행하도록 설계된다. 즉,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별도의 인코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통신 연결 상태를 보고하는 피드백 신호를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S2008). 상기 S2008 단계에서 사용되는 피드백 신호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는 상기 S2008 단계에서의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009),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가 통신 가능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추정할 수가 있다.
이 때,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로 전송하고 있던 특정 AV 데이터를 메모리 저장하도록 설계된다(S2010). 한편, 전술한 S2009 단계 및 S2010 단계에 대해서는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통신 지역을 이탈하였던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가 다시 통신 지역으로 복귀한 경우(S2011),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이탈 시점부터 놓친 AV 데이터를 더 이상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제2OSD를 디스플레이 하여(S2012), 통신 지역 이탈 시점부터 전송이 끊겼던 AV 데이터를 상기 유저가 다시 시청할 수 있는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는, 통신 지역 이탈 시점부터 전송이 끊겼던 AV 데이터를 요청하는 컨트롤 데이터를,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에 전송한다(S2013). 또한,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050)는, 상기 S2010 단계에서 AV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특정 시점부터 녹화된 AV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0)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S2014).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1OSD의 일예를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통신 지역 이탈을 대비한 3가지 모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은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S2001 단계에서 출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20에 도시된 다른 스텝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0)는,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AV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는 통신 지역 이탈 상태에 이른 경우를 해결하기 위한 메뉴(2110) 화면을 출력한다.
이 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 모드를 안내하는 리스트(2120)가 출력된다. 상기 리스트(2120)에 포함된 제1옵션은 자동 저장 모드에 대응하고, 제2옵션은 해제 모드에 대응하고, 그리고 제3옵션은 TV 실행 모드에 대응한다.
전술한 제1옵션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0)가 통신 지역 이탈 상태로 전환된 경우, 전송 중이던 AV 데이터를 무조건 저장하는 기능으로 설계된다. 또한, 전술한 제2옵션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0)의 통신 지역 이탈 여부와 상관없이, 전송 중이던 AV 데이터를 무조건 저장하지 않도록 설정된 기능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3옵션은, 예를 들어 전원 충전이 필요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0)를 대체하여 다른 제3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원 충전이 필요 없는 TV 등)에 전송 중이던 AV 데이터를 연속하여 출력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0)의 유저는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원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상태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 지역에서 통신 불가 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출력되는 OSD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AV 데이터(예를 들어, 라이브 방송 프로그램)를 디코딩 하여 출력한다.
나아가, 통신 오류, 데이터 오류 또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 변경 등으로 인하여,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통신이 끊긴 경우,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지역을 이탈하였음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한편,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다시 통신 가능 지역으로 복귀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2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맵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통신 지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녹화 구간을 결정하는 솔루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통신 지역을 일정 시간 이상 이탈한 경우,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전송 중이던 AV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다만, 이와 같이 설계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3가지 사항들이 명확하게 정의될 필요가 있다.
첫째,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통신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도 20의 S2008 단계에서 설명한 피드백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예컨대, 10초, 30초, 1분 등) 수신되지 않은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 지역에서 이탈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즉, 이 때 스테이션 디바이스의 자동 저장 프로세스가 시작될 필요가 있다.
둘째,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통신 지역을 이탈한 경우,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어느 시점부터 해당 AV 데이터를 저장할지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 지역에 위치하지 않음을 인지한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인지한 시점부터 전송 중인 AV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피드백 신호가 연속하여 10초 이상 수신하지 못한 경우,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10초가 경과하는 시점부터 현재 방송 프로그램(이벤트)을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도 23에서는, 상기 시점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이벤트)가 0.7 시간 경과한 시점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물론, 전술한 수치들은 일예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셋째,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가 어느 시점까지 해당 AV 데이터를 저장할지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한 바,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24는 도 20에 도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2상태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4를 참조하여,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 지역을 이탈하였다가 다시 복귀하는 과정에서 출력되는 OSD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하여 설명한 도 22가 선행하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우선, 도 20의 S2011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AV 데이터를 출력하다가 통신 가능 지역을 이탈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다시 상기 지역에 복귀한 경우,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해당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였음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물론, 다른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가능 지역 이탈로 비정상 중단되었던 AV 데이터의 이어 보기를 선택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물론, 상기 도 24의 (b)를 옵션으로 설계하고, 도 24의 (a)에서 도 24의 (c)로 바로 넘어 가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만약, 도 24의 (b)에서 유저가 이어 보기를 선택한 경우,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기저장된 AV 데이터를 수신할 수가 있다. 이 때, 도 2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가능 지역을 이탈한 시점(또는 일정 시간 딜레이된 시점)부터의 AV 데이터가 출력된다.
따라서, 도 20 내지 도 24에서 전술하여 설명한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유저는, 통신 가능 지역을 일시적으로 이탈하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자신이 시청 중이던 AV 데이터를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저는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AV 데이터의 자동 저장 모드 및 자동 저장 시점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 가능하므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유저에게 보다 커스터마이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테이션 디바이스 및 TV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특정 컨디션에 따라 저장된 AV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다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반면, 도 25에서는 다른 제3디바이스에서 이를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어, 도 21에서 제3옵션을 선택한 경우이며, 도 20에 도시된 단계들 중에서 S2001 내지 S2010 단계까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도 25를 이해할 수가 있다.
도 20에서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500)가 통신 가능 지역을 이탈하였음을 인지한 스테이션 디바이스(2550)는, 전송 중이던 AV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2010).
이 때, 도 20과 달리, 도 25에 설계된 제4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550)는 전송 중이던 AV 데이터를 프로세싱 하여(S2570),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TV(2570)에 직접 전송한다(S2571). 그리고, 상기 TV(2570)는, 상기 스테이션 디바이스(2550)로부터 수신한 AV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출력하도록 설계된다(S2572).
이와 같이 설계한다면,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500)가 통신 가능 지역으로 다시 복귀할 수 없는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파워 오프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TV(2570)는, 이전에 설명한 도 10 또는 도 1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션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제3디바이스인 TV를 보다 용이하게 컨트롤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나아가, 전술하여 설명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과,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 컨트롤러, 그리고 메모리 등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 채널이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AV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AV 데이터를 요청하는 컨트롤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AV 데이터를 해당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1이벤트가 발생한 시점 이후인 제3시점부터 상기 AV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1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터리 용량이 특정 임계치 이하에 해당(예를 들어, 5% 이하 충전된 상태 등)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 용량이 특정 임계치 이하에 해당함을 인디케이트 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AV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한다. 상기 제2이벤트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터리 용량이 특정 임계치 이상에 해당(예를 들어, 10% 이상 충전된 상태 등)하거나, 상기 배터리 용량이 특정 임계치 이상에 해당함을 인디케이트 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또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상태임을 안내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등을 의미한다.
한편,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 14에 적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도 14의 S1409 단계 이후에 S1410 내지 S1413 단계를 구현하지 않고, 도 25의 S2570 내지 S2572 단계로 대체하여 설계한다. 따라서, 스테이션 디바이스로부터 AV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터리가 방전 상태에 이른 경우,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충전하지 않고 제3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TV)를 이용하여 보다 빠른 시간에 AV 데이터를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영상 표시 기기
120: 스테이션 부
130: 이동 디스플레이 부
140: 무선 통신 네트워크
170: AV 신호 제공원

Claims (17)

  1.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TV와 다중 통신 가능한 스테이션 디바이스에 있어서,
    메모리;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 채널이 연결되고, 상기 TV와 특정 조건일 때 통신 연결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적어도 하나의 AV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AV 데이터를 요청하는 컨트롤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AV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처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고,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1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AV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고,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2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AV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되고,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3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메모리에 상기 AV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 없이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AV 데이터를 상기 TV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된 후에 제2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AV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 채널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튜너 또는 서버로부터 인터넷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 통신 채널이 연결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데 실패한 경우를, 상기 제1이벤트가 발생한 케이스로 결정하고, 상기 제1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상기 데이터 통신 채널이 연결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데 성공한 경우를, 상기 제2이벤트가 발생한 케이스로 결정하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방전 안내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상기 제1이벤트가 발생한 케이스로 결정하고,
    상기 제1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충전 안내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상기 제2이벤트가 발생한 케이스로 결정하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안내 신호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터리의 최대 충전량과 모니터링된 잔여량의 상대값이 기설정된 제1 임계치에 대응하는 경우, 생성되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안내 신호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여량이 기 설정된 제2 임계치에 대응하는 경우, 생성되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10035129A 2010-08-31 2011-04-15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KR101829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800419306A CN103081459A (zh) 2010-08-31 2011-05-27 图像显示装置及其图像显示方法
EP11822030.0A EP2612494A4 (en) 2010-08-31 2011-05-27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PCT/KR2011/003889 WO2012030055A1 (en) 2010-08-31 2011-05-27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3/159,026 US8732772B2 (en) 2010-08-31 2011-06-13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10 2010-08-31
KR20100084610 2010-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163A KR20120021163A (ko) 2012-03-08
KR101829834B1 true KR101829834B1 (ko) 2018-03-29

Family

ID=4612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129A KR101829834B1 (ko) 2010-08-31 2011-04-15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32772B2 (ko)
EP (1) EP2612494A4 (ko)
KR (1) KR101829834B1 (ko)
CN (1) CN103081459A (ko)
WO (1) WO2012030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921B2 (en) * 2010-03-02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in remote display mode
TWI442664B (zh) * 2011-08-19 2014-06-21 Primax Electronics Ltd 無線電腦周邊裝置之無線充電方法
US9307495B2 (en) * 2011-09-12 2016-04-05 Apple Inc. Monitoring a battery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984576B1 (ko) * 2012-06-28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컨트롤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4017812A1 (ko) * 2012-07-24 201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장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89001B1 (ko) * 2012-12-05 2020-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상태에 따른 컨텐츠 수신 장치 및 방법
JP5902079B2 (ja) 2012-12-07 2016-04-1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端末装置
EP2746874A3 (en) * 2012-12-19 2017-11-08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aving power generation function,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having power generation func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power gener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power generation function
CN103279781A (zh) * 2013-06-21 2013-09-04 长春市万易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gprs和rfid技术的移动式终端机
CN107836107A (zh) * 2015-07-08 2018-03-23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装置、信息处理***、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JP6646991B2 (ja) * 2015-10-01 2020-02-14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9429036A (zh) * 2017-09-01 2019-03-05 齐心 一种视频监控传输的反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5702A (ja) * 2003-12-09 2005-06-30 Canon Inc 放送受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1272B2 (en) * 2000-12-18 2005-05-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rgonomic system for control of devices through portable wireless terminals
KR100724833B1 (ko) * 2001-09-04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잔여 용량에 따른 데이터 저장방법
EP1398947A3 (en) * 2002-09-13 2007-08-01 Sharp Kabushiki Kaisha Broadcast program recording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82412B1 (ko) * 2003-11-13 2006-05-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방전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WO2006052027A1 (ja) * 2004-11-12 2006-05-18 Nec Corporation 移動端末、移動端末によるtv番組録画システム及びtv番組録画プログラム
US20070214484A1 (en) * 2006-03-13 2007-09-13 Carolyn Taylor Digital video broadcast transition method and device
KR100834061B1 (ko) * 2006-12-2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방송 콘텐츠 녹화 방법
US8078688B2 (en) * 2006-12-29 2011-12-13 Prodea Systems, Inc. File sharing through multi-services gateway device at user premises
KR101456002B1 (ko) * 2007-06-26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8086677B2 (en) * 2007-07-27 2011-12-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formation exchange in wireless servers
US8352550B2 (en) * 2007-07-27 2013-01-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912006B2 (en) 2007-08-24 2011-03-2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209733B2 (en) * 2008-05-28 2012-06-26 Broadcom Corporation Edge device that enables efficient delivery of video to handheld device
JP5058918B2 (ja) * 2008-08-28 2012-10-24 京セラ株式会社 番組表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5702A (ja) * 2003-12-09 2005-06-30 Canon Inc 放送受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81459A (zh) 2013-05-01
WO2012030055A1 (en) 2012-03-08
EP2612494A4 (en) 2014-04-30
US8732772B2 (en) 2014-05-20
EP2612494A1 (en) 2013-07-10
US20120054790A1 (en) 2012-03-01
KR20120021163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3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KR10169973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81640B1 (ko) 원격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20150172743A1 (en) Remote operation system and terminal device
CN108886632B (zh) 数字装置以及在所述数字装置中处理数据的方法
EP2843959B1 (en) Remote control for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WO2015098376A1 (ja) 放送受信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US11930245B2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KR101698856B1 (ko)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KR10198215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62477A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JP6612805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キャッシュ制御方法
JP6302062B2 (ja) 電子機器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18243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
JP6312513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方法
KR10182839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1746851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1875610B1 (ko) 복수개의 채널 상태를 가이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20140065984A (ko) 디지털 시스템, 디지털 기기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20150044733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JP6121882B2 (ja) 放送受信装置
KR20160020726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50070834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134871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