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863B1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863B1
KR101827863B1 KR1020160156021A KR20160156021A KR101827863B1 KR 101827863 B1 KR101827863 B1 KR 101827863B1 KR 1020160156021 A KR1020160156021 A KR 1020160156021A KR 20160156021 A KR20160156021 A KR 20160156021A KR 101827863 B1 KR101827863 B1 KR 10182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백희
남반석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6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은, 음성 콘텐츠에 해당되는 연속 기획물(series)에 대하여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의 음성 파일을 재생하면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시각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아래의 설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뷰(content view)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통신망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통신망을 통한 신규 서비스의 개발 및 서비스 아이템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한다. 근래 들어, 동영상, 음성, 이미지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일반화 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6885호(공개일 2008년 05월 28일)에는 영상 기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콘텐츠 제공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이 PC 환경을 거쳐 모바일 환경으로 이동하고 더 나아가 IoT(internet of things)로 진화해 감에 따라 음성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음성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존 음성 플랫폼은 소리 위주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강연이나 예술 콘텐츠 등과 같이 시각 정보가 함께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서비스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음성 플랫폼의 니즈에 맞추어 콘텐츠 이용 방식과 시각 정보가 함께 요구되는 음성 콘텐츠에 최적화 된 플랫폼 및 인터랙션 방식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음성 콘텐츠에 해당되는 연속 기획물(series)에 대하여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의 음성 파일을 재생하면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시각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은 플레이어 UI(user interface) 영역과 콘텐츠 뷰(content view)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된 이후에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상기 시각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이 시작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상기 특정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 또는 요약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플레이어 UI 영역의 최소화를 통해 상기 콘텐츠 뷰 영역을 확장하여 상기 시각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서 상기 시각 정보가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크기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음성 파일과의 동기화를 통해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에 맞춰 자동 스크롤 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어 UI 영역에는 상기 음성 파일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기능과 상기 음성 파일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타 사용자와 공유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노출된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선택에 따라 재생 중인 음성 파일의 구간 이동(seeking)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간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재생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하여 상기 시각 정보가 복수의 단락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락에 대응되는 구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속 기획물에 대한 콘텐츠 목록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에 해당 콘텐츠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에 해당 콘텐츠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에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재생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결합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은, 음성 콘텐츠에 해당되는 연속 기획물(series)에 대하여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의 음성 파일을 재생하면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시각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은 플레이어 UI(user interface) 영역과 콘텐츠 뷰(content view)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된 이후에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상기 시각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음성 콘텐츠에 해당되는 연속 기획물(series)에 대하여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의 음성 파일을 재생하면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시각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은 플레이어 UI(user interface) 영역과 콘텐츠 뷰(content view)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된 이후에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상기 시각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각 정보가 포함된 음성 콘텐츠에 최적화 된 플랫폼과 인터랙션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오디오와 함께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 뷰를 제공함으로써 들으면서 동시에 다양한 시각 자료를 확인하도록 서비스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목록 제공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콘텐츠 재생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디오를 재생하면서 다양한 시각 자료를 함께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뷰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시각 정보를 포함한 음성 콘텐츠에 최적화 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뷰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율성, 편의성,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한다.
이하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콘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콘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1(11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자 기기 1(110)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로컬 환경 혹은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 1(110)에 구현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 및 콘텐츠 재생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1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1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전자 기기 1(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1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1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프로세서(212)는 전자 기기 1(11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1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20 내지 S43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음성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목록을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음성 콘텐츠 목록을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콘텐츠는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음성 위주의 콘텐츠이며, 아울러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해당될 수 있다. 일례로, 음성 콘텐츠는 복수의 에피소드(episode)로 이루어진 연속 기획물(series)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강연 콘텐츠, 문화예술 콘텐츠, 백과 사전 등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는 연속 기획물로 만들어진 음성 콘텐츠의 에피소드 목록을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음성 콘텐츠라 함은 서버(150)에 구축된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 콘텐츠 중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정기 구독 혹은 임시 구독을 신청한 콘텐츠, 혹은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일회성 선택으로 재생을 요청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는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에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는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에 해당 콘텐츠의 썸네일(thumbnail)을 표시할 수 있다. 썸네일이 없는 콘텐츠의 경우 해당 항목에 디폴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는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에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재생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다운로드가 완료된 상태, 다운로드 진행 중인 상태, 다운로드 대기 중인 상태, 현재 재생 중인 상태, 전체 구간 재생이 완료된 상태, 전체 구간 중 일부 구간의 재생 이력이 있는 상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는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에 해당 콘텐츠의 썸네일과 상태 정보를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는 각 콘텐츠 항목의 썸네일 상에 상태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목록 제공부(310)는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을 썸네일과 상태 정보를 결합하여 콘텐츠의 종합적인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콘텐츠 재생 제어부(320)는 콘텐츠 목록에서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콘텐츠의 음성 파일을 전자 기기 1(110)의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에는 재생 중인 음성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화면은 플레이어 UI(user interface)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어 UI 영역에는 재생 중인 음성 콘텐츠의 제목이나 출처, 전체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하는 요약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특히, 플레이어 UI 영역에는 음성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버튼, 예를 들어 재생 버튼, 일시정지 버튼, 앞으로 이동 버튼, 뒤로 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어 UI 영역에는 음성 콘텐츠의 재생 위치나 재생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가 포함될 수 있다. 플레이어 UI 영역에는 프로그래스 바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구간의 시작과 끝을 선택하여 선택 구간을 재생하기 위한 구간 듣기 기능, 선택 구간을 타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구간 공유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콘텐츠 재생 화면은 재생 중인 음성 콘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 시각 정보를 노출하기 위한 콘텐츠 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제어부(320)는 음성 콘텐츠의 재생이 시작된 초기에는 콘텐츠 뷰 영역에 해당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예컨대, 썸네일 이미지 등)를 표시하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제스처에 대응하여 콘텐츠 뷰 영역에 시각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초기 상태는 콘텐츠 뷰 영역에 대표 이미지를 대신하여 재생 중인 음성 콘텐츠의 제목이나 출처, 전체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하는 요약 정보가 표시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 콘텐츠의 재생과 동시에 콘텐츠 뷰 영역과 플레이어 UI 영역을 포함한 콘텐츠 재생 화면이 제공되는데, 초기에는 콘텐츠 뷰 영역에 해당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나 요약 정보만을 표시하고 있다가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스크롤(scroll) 제스처가 입력되면 음성 콘텐츠에 포함된 시각 정보를 콘텐츠 뷰 영역에 노출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제어부(320)는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콘텐츠 재생 화면에서 플레이어 UI 영역을 최소화 하는 한편 콘텐츠 뷰 영역을 최대화 하여 시각 정보를 노출하기 위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시각 정보는 콘텐츠 뷰 영역에서 사용자의 스크롤 제스처에 대응되는 크기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는 음성 파일과의 동기화를 통해 콘텐츠 재생 위치에 맞춰 자동 스크롤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레이어 UI 영역의 최소화는 음성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버튼 중 최소 버튼만을 노출하는 방식, 음성 콘텐츠의 요약 정보가 노출된 영역을 숨김 처리하는 방식, 혹은 영역 자체나 해당 영역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요소(예컨대, 글자, 기능 버튼 등)의 크기를 줄이는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재생 제어부(320)는 콘텐츠 뷰 영역에 노출된 시각 정보에 대한 선택에 따라 재생 중인 음성 콘텐츠의 구간 이동(seeking)을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제어부(320)는 시각 정보가 여러 개의 단락으로 구성된 경우 단락 별로 재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 스크롤을 통한 화면 이동 중 특정 단락의 재생 버튼이 선택되면 음성 콘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선택된 단락에 대응되는 구간으로 이동하여 해당 구간부터 음성을 재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 재생 제어부(320)는 음성 파일을 재생하다가 사용자가 콘텐츠 뷰 영역을 통해 선택한 특정 단락의 구간으로 이동하여 해당 내용부터 음성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정기 구독 콘텐츠를 음성 콘텐츠의 일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6은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목록 제공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목록 제공 화면(500)은 사용자가 구독 중인 정기 구독 콘텐츠의 에피소드 목록(510)이 포함될 수 있다. 에피소드 목록(510)의 각 항목에는 해당 에피소드의 제목, 전체 재생 시간, 등록일 등을 포함하는 요약 정보와 함께, 에피소드 썸네일(501)이 표시될 수 있다. 에피소드 썸네일(501)은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사전 설정되거나, 혹은 에피소드 내용에 포함된 이미지 중에서 임의 결정될 수 있다. 썸네일이 없는 에피소드의 경우 에피소드 목록(510)의 해당 항목에 디폴트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에피소드 목록(510)의 각 항목에 해당 에피소드의 다운로드 또는 재생과 관련된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일례로 에피소드 썸네일에 상태 정보를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태 정보 별로 해당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요소가 구분되어 정의될 수 있으며, 에피소드 썸네일 상에 해당 에피소드의 상태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 요소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요소는 에피소드의 다운로드나 재생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 완료된 에피소드를 나타내는 다운로드 완료 아이콘(602), 다운로드 진행 중인 에피소드를 나타내는 다운로드 진행 아이콘(603), 다운로드 대기 상태의 에피소드를 나타내는 다운로드 대기 아이콘(604), 현재 재생 중인 에피소드를 나타내는 재생 진행 아이콘(605), 전체 구간 재생이 완료된 이력의 에피소드를 나타내는 재생 완료 아이콘(606), 전체 구간 중 일부 구간의 재생 이력이 있는 에피소드를 나타내는 재생 중단 아이콘(60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디스플레이 요소를 통해 에피소드의 구체적인 상태, 즉, 다운로드 상태, 재생 상태, 재생 이력 등은 물론, 다운로드 진행률, 재생 진행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독 중인 음성 콘텐츠의 에피소드 목록에서 에피소드 별 상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 재생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콘텐츠 목록 제공 화면(500)의 에피소드 목록(510)에서 특정 에피소드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에피소드의 음성 파일이 재생되고, 이때 멀티미디어 콘텐츠 뷰의 일례로서 도 7에 도시한 콘텐츠 재생 화면(700)이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화면(70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뷰 영역(710)과 플레이어 UI 영역(720)이 포함될 수 있다.
에피소드의 음성 파일 재생이 시작되고 콘텐츠 재생 화면(700)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는 콘텐츠 뷰 영역(710)에 썸네일 이미지와 같은 대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때 플레이어 UI 영역(720)에는 재생 중인 에피소드의 제목이나 출처, 전체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하는 요약 정보(721), 에피소드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버튼(재생 버튼, 일시정지 버튼, 앞으로 이동 버튼, 뒤로 이동 버튼 등)(722), 에피소드의 재생 위치나 재생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래스 바(723) 등이 노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콘텐츠 재생 화면(700) 또는 콘텐츠 뷰 영역(710)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 예컨대 스크롤 제스처(80)가 입력되는 경우 재생 중인 에피소드 내용과 관련된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의 시각 정보가 콘텐츠 뷰 영역(710)에 노출된다. 콘텐츠 뷰 영역(710)에서의 시각 정보는 사용자의 스크롤 제스처(80)에 대응되는 크기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는 음성 파일의 재생 위치에 맞춰 자동 스크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콘텐츠 재생 화면(700) 또는 콘텐츠 뷰 영역(710)에 대해 스크롤 제스처(80)가 입력될 때 콘텐츠 재생 화면(700)에서 플레이어 UI 영역(720)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플레이어 UI 영역(720)을 줄인 만큼 콘텐츠 뷰 영역(710)을 확장하여 에피소드의 시각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롤 제스처(80)가 입력되는 시점에 초기 상태에 플레이어 UI 영역(720)에 노출된 요약 정보(721)를 생략함으로써 플레이어 UI 영역(720)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에피소드의 음성 파일을 들으면서 콘텐츠 재생 화면(700)의 콘텐츠 뷰 영역(710)을 통해 해당 에피소드 관련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 다양한 시각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콘텐츠 재생 화면(700)의 콘텐츠 뷰 영역(710)에 노출된 시각 정보에 대한 선택에 따라 재생 중인 에피소드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뷰 영역(710)에 노출된 시각 정보가 여러 개의 단락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각 단락 별로 재생 버튼(90)이 포함되어 노출될 수 있다. 콘텐츠 뷰 영역(710)에 노출된 시각 정보에서 재생 버튼(90)을 이용한 단락 선택이 가능하고, 이때 선택된 단락에 대응되는 구간으로 이동하여 해당 구간부터 음성을 재생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에피소드의 음성 파일을 듣다가 콘텐츠 뷰 영역(710) 상에서 시각 정보의 특정 단락을 선택하는 것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재생 구간 이동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각 정보가 포함된 음성 콘텐츠에 최적화 된 플랫폼과 인터랙션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오디오와 함께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 뷰를 제공함으로써 들으면서 동시에 다양한 시각 자료를 확인하도록 서비스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음성 콘텐츠에 해당되는 연속 기획물(series)에 대한 콘텐츠 목록을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목록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의 음성 파일을 재생하면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시각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목록을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에 해당 콘텐츠의 썸네일을 표시하고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재생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결합하여 표시하고,
    상기 상태 정보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요소가 구분되어 정의되고 상기 썸네일 상에 해당 콘텐츠의 상태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 요소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은 플레이어 UI(user interface) 영역과 콘텐츠 뷰(content view)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된 이후에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상기 시각 정보가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이 시작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상기 특정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 또는 요약 정보가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플레이어 UI 영역의 최소화를 통해 상기 콘텐츠 뷰 영역을 확장하여 상기 시각 정보를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서 상기 시각 정보가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크기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음성 파일과의 동기화를 통해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에 맞춰 자동 스크롤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 UI 영역에는 상기 음성 파일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기능과 상기 음성 파일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타 사용자와 공유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노출된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선택에 따라 재생 중인 음성 파일의 구간 이동(seeking)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재생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하여 상기 시각 정보가 복수의 단락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락에 대응되는 구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컴퓨터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결합되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은,
    음성 콘텐츠에 해당되는 연속 기획물(series)에 대한 콘텐츠 목록을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목록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의 음성 파일을 재생하면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시각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은 플레이어 UI(user interface) 영역과 콘텐츠 뷰(content view)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된 이후에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상기 시각 정보가 노출되고,
    상기 콘텐츠 목록을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에 해당 콘텐츠의 썸네일을 표시하고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재생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결합하여 표시하고,
    상기 상태 정보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요소가 구분되어 정의되고 상기 썸네일 상에 해당 콘텐츠의 상태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 요소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2. 컴퓨터로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음성 콘텐츠에 해당되는 연속 기획물(series)에 대한 콘텐츠 목록을 전자 기기의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콘텐츠 목록 제공부; 및
    상기 콘텐츠 목록에서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콘텐츠의 음성 파일을 재생하면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 재생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와 관련된 시각 정보를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 화면은 플레이어 UI(user interface) 영역과 콘텐츠 뷰(content view)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된 이후에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상기 시각 정보가 노출되고,
    상기 콘텐츠 목록 제공부는,
    상기 콘텐츠 목록의 각 항목에 해당 콘텐츠의 썸네일을 표시하고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재생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결합하여 표시하고,
    상기 상태 정보 각각에 대하여 해당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요소가 구분되어 정의되고 상기 썸네일 상에 해당 콘텐츠의 상태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 요소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부는,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이 시작되고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상기 특정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 또는 요약 정보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플레이어 UI 영역의 최소화를 통해 상기 콘텐츠 뷰 영역을 확장하여 상기 시각 정보를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서 상기 시각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크기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음성 파일과의 동기화를 통해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에 맞춰 자동 스크롤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 UI 영역에는 상기 음성 파일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기능과 상기 음성 파일의 일부 구간을 선택하여 타 사용자와 공유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뷰 영역에 노출된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선택에 따라 재생 중인 음성 파일의 구간 이동(seeking)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제어부는,
    재생 중인 음성 파일에 대하여 상기 시각 정보가 복수의 단락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락에 대응되는 구간으로 이동하여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156021A 2016-11-22 2016-11-22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27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021A KR101827863B1 (ko) 2016-11-22 2016-11-22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021A KR101827863B1 (ko) 2016-11-22 2016-11-22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863B1 true KR101827863B1 (ko) 2018-02-12

Family

ID=6122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021A KR101827863B1 (ko) 2016-11-22 2016-11-22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418A1 (ko) * 2021-03-11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구간 이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156B1 (ko) * 2004-12-0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156B1 (ko) * 2004-12-0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418A1 (ko) * 2021-03-11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구간 이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6717B2 (ja) 動画内のコメント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9905741B (zh) 用于对呈现的内容提供上下文功能的***和方法
US10673916B1 (en) Executing applications in remotely emulated computing devices
Nebeling et al. XDBrowser: user-defined cross-device web page designs
US20100313136A1 (en) Menu scre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nu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US10979374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sharing information in chatroom using application added to platform in messenger
JP2017073136A (ja) 通信セッションでメッセージの機能を拡張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4124052A1 (en) Video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582506B2 (en) Conversion of declarative statements into a rich interactive narrative
US11343468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ommunication using video call bot
JP2021108451A (ja) 映像とコメントを同時に消費する経験を提供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343463B2 (en) Video script generation, presentation and video recording with flexible overwriting
KR102470651B1 (ko) 새로운 사용자 경험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4002120A1 (zh) 媒体内容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82786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413266B2 (ja) ストリーミングコンテンツリアルタイム共有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3392260B (zh) 界面显示控制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JP4869894B2 (ja) コンテンツ表示方法、コンテンツ表示装置、および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KR102244130B1 (ko) 영화 검색에서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18705B1 (ko)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56859A (ko) 동영상 콘텐츠의 미리보기 동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KR102493345B1 (ko)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
JP7260637B2 (ja) 小説リプレイ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
WO2015154306A1 (en) Expandable application representation, milestones, and storylines
KR102252053B1 (ko) 듀얼 스크린에서의 컨텐츠 중복을 배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