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010B1 - Engine mount par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Engine mount par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010B1
KR101827010B1 KR1020120112723A KR20120112723A KR101827010B1 KR 101827010 B1 KR101827010 B1 KR 101827010B1 KR 1020120112723 A KR1020120112723 A KR 1020120112723A KR 20120112723 A KR20120112723 A KR 20120112723A KR 101827010 B1 KR101827010 B1 KR 10182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ount
side member
box
apron
jo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7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6726A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2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010B1/en
Publication of KR2014004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7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5Telescopic supports, e.g. telescopic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엔진마운트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 구조 단순화, 입력점 강성 및 엔진소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이드 멤버의 단면구조를 변경하여 사이드 멤버와 에이프런 멤버를 연결하는 횡방향 멤버를 사이드 멤버 내에 삽입하면서 멤버 내에 엔진마운트를 취부할 수 있고, 또 횡방향 멤버 내에 보강재를 적용하여 충돌성능에도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체 마운트부를 구현함으로써, 구조 단순화를 통하 부품수 절감, 중량 및 원가 절감, 입력점 강성 및 소음개선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mount part of an automobile which can obtain a structure simplification, an input point rigidity and an engine noise effect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vehicle body engine mount part.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ide member so that the engine mount can be mounted in the member while inserting the transverse member connecting the side member and the apron member into the side member and applying the stiffener in the transverse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gine mount unit for an automobile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simplify the structure, reduce the weight and cost, and improve the input point rigidity and noise by implementing a new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that can cope with the problem.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Engine mount part for vehic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mount par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 엔진마운트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 구조 단순화, 입력점 강성 및 엔진소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mount portion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gine mount portion of an automobile that can obtain structure simplification, input point rigidity, and engine nois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vehicle body engine mount por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을 차체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엔진마운트는 엔진을 차체에 연결 및 지지하는 역할은 물론,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엔진으로부터 차체로 진동 및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Generally, an engine mount used to fix an automobile engine to a vehicle body serves not only to connect and support the engine to the vehicle body, but also to absorb vibrations and noise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from vibration and noise generating engines .

이러한 엔진마운트는 내부에 액실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오일 등의 유체를 충전한 유체 봉입식 마운트, 액실이 형성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통고무로 이루어진 고무 마운트 등이 있으며, 차체의 엔진마운트부에 설치되어 엔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Such an engine mount includes a fluid-sealing mount in which a liquid chamber is formed inside and a fluid such as oil is filled in the engine mount, a rubber mount which is entirely made of a rubber tube without forming a liquid chamber, In a stable manner.

보통 차체의 엔진마운트부는 사이드 멤버 상부에 샤시 엔진마운트 취부 브라켓을 2개소 배치하고, Y방향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앞단의 엔진마운트 브라켓과 에이프런 멤버까지 연결되는 횡방향 멤버를 배치하며, 또 Z방향(차체 상하방향) 강성을 확보하고 충돌성능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드 멤버 단면 내에 여러 개의 보강부재를 적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Usually, the engine mount portion of the vehicle body is provided with two chassis engine mount mounting brackets on the upper side member and a lateral member connected to the engine mount bracket and the apron member at the front end in order to secure rigidity in the Y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members are applied in the cross-section of the side member in order to secure the rigidity and to cope with the impact performance.

그러나, 이러한 엔진마운트부는 부품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고, 용접조건(4겹 이상 발생)에서도 불리하며, X방향(차체 전후방향) 및 Y방향(차체 좌우방향)에 대해 강성이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However, such an engine mount portion has a complicated structure due to a large number of parts and is disadvantageous even in a welding condition (occurring in four or more layer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igidity is extremely weak in the X direction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have.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마운트의 체결을 위한 3개의 엔진마운트 브라켓(100a,100b,100c)이 마련되고, 상기 엔진마운트 브라켓(100b)과 에이프런 멤버(110) 사이에는 횡방향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1보강부재(120)가 연결된다. 1 to 3, three engine mount brackets 100a, 100b and 100c for engaging the engine mount are provided, and the engine mount bracket 100b and the apron member 110 are connected to a first reinforcing member 120 for ensuring lateral rigidity.

이때, 상기 제1보강부재(120)의 상단부는 에이프런 멤버(110)와 옵셋 연결되고, 하단부는 엔진마운트 브라켓(100b)과 CO2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20 is offset-connected to the apron member 110, and the lower end is joined to the engine mount bracket 100b by CO2 welding.

그리고, 상하방향 강성을 위해 엔진마운트 브라켓(100b,100c)의 하부에 제2보강부재(130) 및 제3보강부재(140)가 사이드 멤버(160)에 내장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정면/측면 충돌성능 대응을 위해 사이드 멤버(160)의 단면 내에 제4보강부재(170)가 설치된다.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130 and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140 are installed in the side member 16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ngine mount brackets 100b and 100c for the vertical rigidity. A fourth reinforcing member 170 is provid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ide member 160 for the purpose of coping with the impact performance.

여기서, 미설명 부호 180은 휠하우스 패널을 나타낸다. Here, reference numeral 180 denotes a wheel house pane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엔진마운트부에서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보강부재(120)가 에이프런 멤버(110)와 옵셋 구조로 연결되는 동시에 엔진마운트 브라켓(100b)과 플랜지 끝단 CO2 접합으로 인해 Y방향(횡방향) 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고,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보강부재(120)가 엔진마운트 브라켓(100b)의 측벽에 단순 CO2 용접으로 인해 X방향 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2,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apron member 110 in an offset manner and the flange-end CO2 bonding with the engine mount bracket 100b causes the Y-direction (Lateral direction) rigidity is weak. As shown in FIG. 3,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120 has a weak point in the X direction rigidity due to the simple CO2 welding on the side wall of the engine mount bracket 100b.

그리고, 강성 및 충돌 보강을 위해 사이드 멤버(160) 및 에이프런 멤버(110)와 같은 주요 멤버 이외에 총 7개 파트의 복잡한 구성으로 용접조건이 불리하고, X방향 및 Y방향 강성 취약으로 인한 부밍 및 화인노이즈 성능이 불리한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main members such as the side member 160 and the apron member 110 for stiffness and collision reinforcement, welding conditions are disadvantageous in a total of seven parts in a complicated configuration, and booming and fainting due to weakness in the X- The noise performance is disadvantageous.

이와 같이, 기존 차체 엔진마운트부 구조는 X방향 및 Y방향 입력점 강성이 취약하여 진동레벨이 높으며, 전달계의 특성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각종 소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Thus, the existing body engine mount structure has a low vibration level in the X and Y directions because of its low input stiffness, and resonates in the characteristic frequency band of the transmission system and causes various noises.

최근 들어 엔진 보기류의 고차수 성분과 공진점이 일치하여 일반 고객이 불쾌감을 느끼는 화인노이즈가 발생되는 등 차체 엔진마운트부의 근본적 구조개선이 필요해지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need to improve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engine mounting portion of the vehicle body, such as the generation of fine noise, which is discomfort of the general customer, due to the matching of the high-order water component of the engine view with the resonance point.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이드 멤버의 단면구조를 변경하여 사이드 멤버와 에이프런 멤버를 연결하는 횡방향 멤버를 사이드 멤버 내에 삽입하면서 멤버 내에 엔진마운트를 취부할 수 있고, 또 횡방향 멤버 내에 보강재를 적용하여 충돌성능에도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체 마운트부를 구현함으로써, 구조 단순화를 통하 부품수 절감, 중량 및 원가 절감, 입력점 강성 및 소음개선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orcycle which can mount an engine mount in a member while inserting a transverse member for connecting a side member and an apron member into a side memb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simplify the structure, reduce the weight and cost, and improve the input point stiffness and noise by implementing the new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mount that can cope with the impact performance by applying the stiffener in the transverse memb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gine mount portion of an automobi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ngine mount portion of the automobil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엔진마운트부는 윗쪽의 경사부와 아래쪽의 박스부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차체 종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윗쪽의 에이프런 멤버와 아래쪽의 사이드 멤버 사이에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경사부의 상단은 에이프런 멤버의 에이프런 멤버 인너에 플랜지를 통해 접합되는 동시에 박스부의 하단은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사이드 멤버의 사이드 멤버 인너 바닥에 플랜지를 통해 접합되며, 엔진마운트의 설치를 위하여 경사부의 한쪽 측면과 박스부의 윗면에 각각 마련되는 평면부를 가지는 엔진마운트 멤버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engine mount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inclined portion and the lower box por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pron member and the lower side member dispos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lower end of the box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side member and joined to the side member inner floor of the side member through a flang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portion And an engine mount member having a flat surface portion provided on the engine mount member.

따라서, 상기 엔진마운트부는 에이프런 멤버와 사이드 멤버, 그리고 2개의 부품, 즉 엔진마운트 멤버 및 사이드 멤버 레인포스로 구성되므로서, 부품수를 축소할 수 있어 구조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는 한편, 엔진마운트 멤버와 사이드 멤버 간의 박스-박스 연결 구조로 횡방향 강성과 상하방향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since the engine mount portion is composed of the apron member, the side member, and the two parts, that is, the engine mount member and the side member rainforce,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box-box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ide member and the side member, the transverse rigidity and the up-and-down rigidity can be ensured.

여기서, 상기 박스부가 사이드 멤버의 사이드 멤버 아우터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그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의 박스부 관통부위 벽체 3면에는 사이드 멤버 아우터에 있는 플랜지가 접합되므로서, 엔진마운트부의 종방향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ox portion passes through the side member out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vertically and enters the inside thereof. At this time, the flange in the side member outer portion is joined to the three side surfaces of the box portion penetration portion wall, .

그리고, 상기 엔진마운트부는 종방향 강성 확보 및 앞단에서 오는 충돌에너지 흡수를 위하여 박스부의 내측에서 사이드 멤버 아우터의 플랜지가 접합되어 있는 부위를 따라 수평 배치되면서 박스부 벽체 내면에 접합되는 사이드 멤버 레인포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ngine mount portion is horizontally disposed along a portion where the flange of the side member outer portion is joined to the inner side of the box portion to secure longitudinal rigidity and absorb impact energy from the front end, .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 engine mount portion of the automobil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엔진마운트부의 구조 변경을 통해 주요 멤버(사이드 멤버, 에이프런 멤버) 이외에 2개 부품만을 구성하여 기존 대비 5개의 부품수를 축소할 수 있다. First,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ngine mou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by five, by constructing only two parts in addition to the main members (side members and apron members).

둘째, 에이프런 멤버와 사이드 멤버 간 박스-박스 연결구조를 통해 횡방향(Y방향) 글로벌 및 입력점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Second, the lateral (Y direction) global and input point stiffness can be improved through the box-box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apron member and the side member.

셋째, 사이드 멤버 인너/아웃터의 기본단면 변경을 통한 보강재 삽입구조 및 전/후 방향 연결구조의 적용을 통한 종방향(X방향) 글로벌 및 입력점 강성을 개선할 수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ongitudinal (X direction) global and input point stiffnes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tiffener insertion structure and the forward / backward connection structure by changing the basic cross section of the side member inner / outer.

넷째, 사이드 멤버 단면 내에 보강재(엔진마운트 멤버)를 삽입하고, 엔진마운트 멤버 내측에 사이드 멤버 아우터 패널과 일직선상의 충돌 보강재(사이드 멤버 레인포스) 적용을 통한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Fourth, a stiffener (engine mount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side member section, and the impact energ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collision stiffener (side member rain force) in a straight line with the side member outer panel can be absorbed inside the engine mount member.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수 축소를 통한 구조 단순화 및 원가/중량을 절감하면서 기존 대비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cost / weigh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greatly improving th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 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D-D 선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gine mount portion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gine mount portion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gine mount portion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5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4 to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gine mount portion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엔진마운트부는 엔진의 탑재를 위한 엔진마운트가 설치되는 곳으로서, 에이프런 멤버(12)와 사이드 멤버(13)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에 조성되며, 특히 에이프런 멤버(12) 및 사이드 멤버(13) 이외에 2개의 부품만으로 이루어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As shown in Figs. 4 to 7, the engine mount is provided in an area in which an engine mount for mounting an engine is installed, in which an apron member 12 and a side member 13 are provided, It is formed of only two parts in addition to the member 12 and the side member 13, which makes it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이를 위하여, 윗쪽과 아래쪽에서 각각 차체 종방향(X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에이프런 멤버(12)와 사이드 멤버(13)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에이프런 멤버(12)와 사이드 멤버(13) 사이에는 차체 횡방향(Y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걸쳐지는 형태의 엔진마운트 멤버(16)가 연결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엔진마운트 멤버(16)상에 엔진마운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이곳에 엔진이 탑재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an apron member 12 and a side member 13, which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re provided, and between the apron member 12 and the side member 13 An engine mount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engine mount member 16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ngine mount member 16 is connected to the engine mount member 16 in the form of a side-by- The engine can be mounted.

그리고,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16)의 저부에는 이와 나란한 경사진 자세로 차체 횡방향을 따라 휠하우스 패널(19)이 배치되며, 이때의 휠하우스 패널(19)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에이프런 멤버(12)측과 사이드 멤버(13)측에 각각 연결된다. At the bottom of the engine mount member 16, a wheel house panel 19 is disposed along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a tilted postu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heel house panel 19 are connected to aprons 12 And the side members 13, respectively.

즉, 상기 휠하우스 패널(19)은 에이프런 멤버(12)의 에이프런 멤버 인너(12a)와 사이드 멤버(13)의 사이드 멤버 인너(13a)에 그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접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at is, the wheel house panel 19 is installed in such a structure that the apron member 12a of the apron member 12 and the side member 13a of the side member 13 are join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respectively.

상기 에이프런 멤버(12)는 사각 박스형태의 단면을 이루면서 조합되는 에이프런 멤버 이너(12a)와 에이프런 멤버 아우터(12b)로 구성되고, 차체 종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apron member 12 is composed of an apron member inner 12a and an apron member outer member 12b which are combined in a rectangular box-shaped cross section and are arranged in a structu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그리고, 상기 사이드 멤버(13)는 아래쪽으로 위치되는 사이드 멤버 인너(13a)와 이 사이드 멤버 인너(13a)의 상부에 덮혀지는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사이드 멤버 인너(13a)와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의 조합을 통해 사각 박스형태의 단면을 갖게 된다. The side member 13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side member inner 13a positioned downward and a side member outer 13b cov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member inner 13a, And the side member outer 13b, as shown in Fig.

특히, 판 형태로 이루어진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에는 대략 사각형의 개구부(18)가 형성되며, 이때의 개구부(18)를 통해 후술하는 엔진마운트 멤버(16)의 박스부(11)가 사이드 멤버(13)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opening 18 is formed in the plate-shaped side member outer portion 13b. The box portion 11 of the engine mount member 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13).

그리고, 상기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에 있는 개구부(18)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의 플랜지(14c)가 형성되고, 이때의 플랜지(14c)는 박스부(11)의 벽체에 접합될 수 있게 된다. A flange 14c perpendicular to the edge is formed in the opening 18 in the side member outer 13b so that the flange 14c can be joined to the wall of the box portion 11 .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16)는 실질적으로 엔진마운트가 설치되는 곳으로서, 이곳에는 약 3곳 정도의 엔진마운트 설치자리 구비된다. The engine mount member 16 is substantially provided with an engine mount. The engine mount member 16 has about three engine mounts.

이를 위하여,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16)는 경사진 자세를 가지면서 윗쪽을 향해 연장 위치되는 "ㄷ"자형 단면의 경사부(10)와, 바깥쪽과 아래쪽이 터져 있는 사각의 박스형태를 이루는 박스부(11)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engine mount member 16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10 having a " C "-shaped section extending in an inclined posture and a box-shaped box- (11).

이러한 엔진마운트 멤버(16)는 윗쪽의 에이프런 멤버(12)와 아래쪽의 사이드 멤버(13) 사이에서 차체 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경사부(10)의 상단은 에이프런 멤버(12)측에, 박스부(11)의 하단은 사이드 멤버(13)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engine mount member 16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vehicle body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pron member 12 and the lower side member 13. In this state, The lower end of the box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13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box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13 side.

즉, 상기 경사부(10)의 상단은 플랜지(14a)를 이용하여 에이프런 멤버(12)의 에이프런 멤버 인너(12a)에 접합되고, 상기 박스부(11)의 하단은 플랜지(14b)를 이용하여 사이드 멤버(13)의 사이드 멤버 인너(13a) 바닥에 접합된다.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0 is joined to the apron member inner 12a of the apron member 12 using the flange 14a, and the lower end of the box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apron member 12a using the flange 14b And joined to the bottom of the side member inner member 13a of the side member 13. [

그리고, 상기 경사부(10)의 저면부는 휠하우스 패널(12)의 윗면에는 밀착되면서 그 플랜지 부분을 통해 접합되므로서, 이때의 경사부(10) 역시 박스형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The sloped portion 10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heel house panel 12 through the flange portion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heel house panel 12, so that the sloped portion 10 can also have a box-shaped sectional structure.

특히,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16)의 박스부(11)는 그 아래쪽 일부가 사이드 멤버(13)의 내부에 위치되어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사이드 멤버(13)와 함께 박스-박스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박스-박스 구조를 통해 횡방향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the box portion 11 of the engine mount member 16 can be formed in a box-box structure together with the side member 13 whose lower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side member 13 to be box-shaped Consequently, the rigidity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be ensured through such a box-box structure.

이를 위하여, 상기 박스부(11)의 하단부는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8)를 통해 사이드 멤버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렇게 수직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박스부(11)의 하단이 사이드 멤버 인너(13a)의 바닥면에 접합되므로서, 상기 박스부(11)는 그 하단부분이 사이드 멤버(13)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사이드 멤버(13)와 박스-박스 구조, 즉 수직 및 수평의 2개의 박스 구조가 서로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The lower end of the box part 11 enters the inside of the side member through the opening 18 formed in the side member outer 13b, The box member 11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member 13a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x member 11 is positioned inside the side member 13 so that the side member 13 and the box-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ructure in which two horizontal box structures overlap each other.

또한,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16)의 박스부(11)는 사이드 멤버(13)의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와도 긴밀한 결착관계를 갖게 된다. In addition, the box portion 11 of the engine mount member 16 has a tight fitting relationship with the side member outer portion 13b of the side member 13 as well.

즉, 상기 박스부(11)의 경우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의 개구부(18)를 통해 사이드 멤버(13)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의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를 관통하는 박스부(11)의 벽체 3면에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에 있는 플랜지(14c)가 접합된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box part 11, it enters into the inside of the side member 13 through the opening part 18 of the side member outer part 13b, and the box part 11 And the flange 14c of the side member outer 13b is joined to the three walls of the side member outer 13b.

따라서, 엔진마운트 멤버(16)의 박스부(11)가 그 벽체를 통해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와 연결되므로서, 종방향 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box portion 11 of the engine mount member 16 is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outer portion 13b via the wall, so that longitudinal rigidity can be ensur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 강성 확보와 더불어 앞단에서 오는 충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이드 멤버 레인포스(17)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member reel force 17 is provided as means for effectively securing longitudinal rigidity and impact energy from the front end.

상기 사이드 멤버 레인포스(17)는 4변 가장자리에 플랜지 부분을 가지는 사각의 판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박스부(11)의 내측 소정의 위치, 즉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의 플랜지(14c)가 접합되어 있는 부위에 상응하는 위치에 수평자세로 배치되면서 그 플랜지 부분을 통해 박스부 벽체 내면에 접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side member rake force 17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flange portions at the edges of four sides and a predetermined inner position of the box portion 11, that is, a flange 14c of the side member outer 13b, And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x part wall through the flange part.

여기서, 상기 사이드 멤버 레인포스(17)는 박스부(11)의 내측 단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도록 하고, 또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member reed force 17 has a cross sectional area that is the same as the inner cross sectional area of the box portion 11, and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ide member outer portion 13b.

이에 따라,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박스부(11)의 벽체를 사이에 두고 사이드 멤버 아우터(13b)의 플랜지(14c)와 사이드 멤버 레인포스(17)의 플랜지 부분이 중첩되면서 접합되므로서, 차체 전면에서 오는 충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등 종방향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7, since the flange 14c of the side member outer 13b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side member rain force 17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ith the wall of the box portion 11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longitudinal rigidity such that the collision energy from the front can be effectively absorbed.

그리고,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16)에는 엔진마운트 설치를 위한 3곳 정도의 설치자리가 마련된다. The engine mount member 16 is provided with three mounting holes for mounting the engine mount.

즉, 엔진마운트 멤버(16)에 있는 경사부(10)의 한쪽 측면에는 1개의 엔진마운트를 설치할 수 있는 평면부(15a)가 마련되고, 박스부(11)의 윗면에는 2개의 엔진마운트를 설치할 수 있는 평면부(15b)가 마련된다. That is, a planar portion 15a on which one engine mount can be mounted is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10 in the engine mount member 16, and two engine mount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portion 11 A flat portion 15b is provided.

이때, 상기 박스부(11)에 마련되는 평면부(15b)에는 앞뒤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즉 종방향을 따라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2개의 엔진마운트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wo engine mounts can be installed on the plane portion 15b of the box portion 11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엔진마운트를 설치할 수 있는 자리는 윗쪽의 평면부(15a)에 1곳, 아래쪽의 평면부(15b)에 2곳 등 모두 3곳에 엔진마운트 설치 자리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seat for installing the engine mount can be provided with three places for installing the engine mount, such as one on the upper flat portion 15a and two on the lower flat portion 15b.

다른 예로서, 상기 엔진마운트 설치 자리는 윗쪽의 경사부(10) 상면에 1곳, 아래쪽의 평면부(15b)에 2곳 등 모두 3곳에 엔진마운트 설치 자리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the engine mount mounting seat can be provided with three engine mounting seats, o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inclined portion 10 and two on the lower flat surface portion 15b.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엔진마운트부는 에이프런 멤버 및 사이드 멤버, 그리고 엔진마운트 멤버와 사이드 멤버 레인포스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게 되고, 또 엔진마운트를 체결하기 위한 포인트는 경사부에 1곳, 박스부에 2곳 등 엔진마운트 멤버상에 일체 구성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ngine moun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up of the apron member, the side member, the engine mount member, and the side member rainforce, so that the overall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point for tightening the engine mount is one And two on the engine mount member such as the box portion.

따라서,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의 경우 에이프런 멤버에 접합되는 동시에 사이드 멤버 단면 내 바닥까지 연결되면서 박스-박스 연결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횡방향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가 사이드 멤버 인너 바닥까지 연결되므로, 상하방향 강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engine mount member, since the engine mount member is joined to the apron member and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ide member cross-section to form a box-box connection structure, lateral rigidity can be ensured and the engine mount member can be secured to the side member inner floor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vertical rigidity.

또,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가 사이드 멤버 아우터와 벽체 연결됨과 더불어 엔진마운트 멤버의 내측에 사이드 멤버 레인포스가 보강되므로서, 종방향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앞단에서 오는 충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ngine mount member is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outer wall and the side member rain force is reinforced inside the engine mount member, longitudinal rigidity can be ensured and impact energy from the front end can be effectively absorbed .

10 : 경사부 11 : 박스부
12 : 에이프런 멤버 12a : 에이프런 멤버 인너
12b : 에이프런 멤버 아우터 13 : 사이드 멤버
13a : 사이드 멤버 인너 13b : 사이드 멤버 아우터
14a,14b,14c : 플랜지 15a,15b : 평면부
16 : 엔진마운트 멤버 17 : 사이드 멤버 레인포스
18 : 개구부 19 : 휠하우스 패널
10: slope part 11: box part
12: apron member 12a: apron member inner
12b: apron member outer 13: side member
13a: Side member inner 13b: Side member outer
14a, 14b, 14c: flanges 15a, 15b:
16: engine mount member 17: side member rain force
18: opening 19: wheel house panel

Claims (4)

윗쪽의 경사부와 아래쪽의 박스부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차체 종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윗쪽의 에이프런 멤버와 아래쪽의 사이드 멤버 사이에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엔진마운트의 설치를 위하여 경사부의 한쪽 측면과 박스부의 윗면에 각각 마련되는 평면부를 가지는 엔진마운트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의 경사부의 상단은 에이프런 멤버의 에이프런 멤버 인너에 플랜지를 통해 접합되고, 박스부의 하단은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사이드 멤버의 사이드 멤버 인너 바닥에 플랜지를 통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
The upper mounting member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inclined portion and the lower box portion and is dispos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pron member and the lower side member dispos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n engine mount member having a flat surface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portion,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of the engine mount member is joined to the apron member inner of the apron member through a flange and the lower end of the box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side member and is joined to the side member inner bottom of the side member through a flange The engine mount part of the ca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마운트 멤버의 박스부는 사이드 멤버의 사이드 멤버 아우터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그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의 관통부위 벽체 3면에는 사이드 멤버 아우터에 있는 플랜지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x portion of the engine mount member vertically penetrates the side member outer side of the side member and enters the inside thereof, and a flange in the side member outer portion is joined to three sides of the through- par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의 내측에서 사이드 멤버 아우터의 플랜지가 접합되어 있는 부위를 따라 수평 배치되면서 박스부 벽체 내면에 접합되는 사이드 멤버 레인포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Further comprising a side member reinforcement that is horizontally disposed along a portion where the flange of the side member outer is joined at the inside of the box portion and joined to the inside surface of the box portion wall.
KR1020120112723A 2012-10-11 2012-10-11 Engine mount part for vehicle KR101827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23A KR101827010B1 (en) 2012-10-11 2012-10-11 Engine mount par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23A KR101827010B1 (en) 2012-10-11 2012-10-11 Engine mount par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726A KR20140046726A (en) 2014-04-21
KR101827010B1 true KR101827010B1 (en) 2018-02-07

Family

ID=5065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723A KR101827010B1 (en) 2012-10-11 2012-10-11 Engine mount par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0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1071B (en) * 2021-06-30 2023-03-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Engine compartment boundary beam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726A (en)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6450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799736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1755711B1 (en) Shock absober mounting portion structure of vehicle
KR101371466B1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JP2018075878A (en) Vehicle lower structure
KR101354374B1 (en) Bolting structure of sub frame
JP582142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1660392B1 (en) Work vehicle with cabin
US6830289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JP6035730B2 (en) Vehicle floor panel damping structure
KR20130005378A (en) Structure of subframe for vehicle
JP2008100533A (en) Cowl top structure of automobile
JP2017114259A (en) Vehicle body structure
JP6544635B2 (en) Vehicle side structure
KR101856240B1 (en) Shock absorber housing and fixing structure thereof
KR101882496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floor panel
KR101827010B1 (en) Engine mount part for vehicle
JP5622045B2 (en) Powertrain support device
JP5556479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CN112109810A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JP4427077B2 (en) Front body structure
KR100320856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ar wheel housing of vehicle
KR20060071799A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a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for vehicle
JP2023142205A (en) Fuel tank arrangement structure of vehicle
KR101304882B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engine mounting par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