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898B1 - 표시패널 - Google Patents

표시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898B1
KR101826898B1 KR1020110050312A KR20110050312A KR101826898B1 KR 101826898 B1 KR101826898 B1 KR 101826898B1 KR 1020110050312 A KR1020110050312 A KR 1020110050312A KR 20110050312 A KR20110050312 A KR 20110050312A KR 101826898 B1 KR101826898 B1 KR 10182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ad
pad
contact electrode
contact hole
signal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854A (ko
Inventor
김성규
정재모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898B1/ko
Priority to US13/345,842 priority patent/US8982112B2/en
Publication of KR2012013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81Via in pad; Pad over filled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9Redundant conductors or connections, i.e. more than one current path between two poi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가 구비된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비표시영역에 구비되며 적어도 제1 입력패드, 제2 입력패드 및 출력패드를 포함하는 연결배선, 및 상기 연결배선 상에 구비된 절연층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입력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컨택홀, 상기 제2 입력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컨택홀 및 상기 제1 컨택홀과 상기 제2 컨택홀 사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컨택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컨택홀에 각각 구비된 제1 컨택 전극, 제2 컨택 전극, 및 더미 컨택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패널{DISPLAY PANEL}
본 발명은 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인가된 신호를 제공하는 가요성 회로기판과 베이스 기판의 결합력이 향상된 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가 구비된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을 구비한다. 또한, 화소들마다 화소전극 및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화소전압을 스위칭한다.
상기 구동전압을 비롯하여 다수의 신호는 상기 베이스 기판과 별개로 구성된 시스템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신호들을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베이스 기판에 전달하기 위해 가요성 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은 이방 도전성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의 결합력은 약하다.
본 발명은 가요성 회로기판과 베이스 기판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된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가 구비된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비표시영역에 구비되며 적어도 제1 입력패드, 제2 입력패드 및 출력패드를 포함하는 연결배선, 및 상기 연결배선 상에 구비된 절연층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입력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컨택홀, 상기 제2 입력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컨택홀 및 상기 제1 컨택홀과 상기 제2 컨택홀 사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컨택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절연층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입력패드와 연결된 제1 컨택 전극, 상기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입력패드와 연결된 제2 컨택 전극, 및 상기 제3 컨택홀에 구비된 더미 컨택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컨택홀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을 일부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패드와 상기 제2 입력패드 사이에 구비된 더미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더미패드는 상기 제1 입력패드 및 상기 제2 입력패드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컨택홀은 상기 더미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고, 상기 더미 컨택 전극은 상기 더미패드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컨택 전극, 상기 제2 컨택 전극, 및 상기 더미 컨택 전극은 상기 절연층 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외부에서 인가된 신호를 제공하는 가요성 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은 가요성 기판 및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구비된 다수의 신호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과 상기 절연층은 이방 도전성 접착층에 의해 결합되고, 이방 도전성 접착층은 상기 신호배선들 중 일부와 상기 제1 컨택 전극 및 상기 제2 컨택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 컨택 전극 및 상기 제2 컨택 전극은 동일한 구동전압을 수신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배선과 동일한 평면에 구비된 다수의 제1 신호라인, 상기 제1 신호라인들과 절연되게 교차하는 다수의 제2 신호라인 및 상기 화소들 각각에 구비된 다수의 화소전극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표시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신호라인들에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구동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1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을 따라 표시패널에 포함된 베이스 기판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Ⅰ-Ⅰ'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도 2의 Ⅰ-Ⅰ'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도 1의 A1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Ⅲ-Ⅲ'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A2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Ⅳ-Ⅳ'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1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Ⅰ-Ⅰ'을 따라 표시패널에 포함된 베이스 기판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Ⅰ-Ⅰ' 및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PX)가 구비된 표시영역(AR) 및 상기 표시영역(AR)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AR)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100)을 구비한다. 상기 표시영역(AR)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상기 비표시영역(NR)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상기 베이스 기판(100)은 유리기판, 실리콘 기판, 또는 필름기판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AR)에는 다수의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1 신호라인들과 절연되게 교차하는 다수의 제2 신호라인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신호라인들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라인들(DL)로 정의되며, 상기 제2 신호라인들은 게이트 라인들(GL)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화소들(PX)은 각각 화소 전극(PE)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 화소들(PX)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하나의 화소를 예로서 상세히 설명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상기 화소(PX)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화소전압을 스위칭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전극, 액티브층, 소오스 전극,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에 형성된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중에서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분기되고,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실버 계열의 금속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기판(100) 상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커버하도록 질화규소(SiNx), 산화 규소 등으로 이루어진 제1 절연막(도 3의 110 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막 상에는 수소화 비정질 규소(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또는 다결정 규소(polycrystalline silicon) 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액티브층이 형성된다. 상기 액티브층 상에는 상기 액티브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소오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절연막 상에는 상기 데이터 라인(DE)이 형성된다. 상기 소오스 전극은 상기 데이터 라인(DL)에서 분기된다.
이때, 상기 액티브층과 상기 소오스 전극 사이, 상기 액티브층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에는 실리사이드(silicide) 또는 n형 불순물(n type dopant)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n+ 수소화 비정질 규소(n+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등의 물질로 만들어진 오믹 콘택층(Ohmic contact layer)이 섬형, 선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개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절연막 상에는 상기 소오스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및 노출된 상기 액티브층을 커버하는 제2 절연막(도 3의 120 참조)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절연막은 질화규소 또는 산화규소로 이루어진 무기물, 평탄화 특성이 우수하며 감광성(photosensitivity)을 가지는 유기물 또는 플라스마 화학 기상 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deposition, PECVD)으로 형성되는 a-Si:C:O, a-Si:O:F 등의 저유전율 절연물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절연막은 유기막의 우수한 특성을 살리면서도 노출된 상기 액티브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하부 무기막과 상부 유기막의 이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막에는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콘택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절연막 상에는 상기 화소(PX)에 대응하여 상기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화소 전극(PE)이 형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 도전체 또는 알루미늄 등의 반사성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 절연막 상에는 평탄화막(도 3의 130참조)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콘택홀은 상기 평탄화막까지 관통하며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평탄화막 상에 형성된다.
상기 표시패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비표시영역(NAR)에 구비되고, 적어도 2개의 입력패드 및 하나의 출력패드(OPD)를 포함하는 제1 연결배선(CCL1)을 포함한다. 도 2에는 제1 입력패드(IPD1), 제2 입력패드(IPD2)를 포함하는 제1 연결배선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입력패드의 개수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비표시영역(NAR)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배선(CCL1)과 나란하며, 하나의 입력패드(IPD')와 출력패드(OPD')를 구비한 제2 연결배선들(CCL2)이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배선(CCL1)의 상기 제1 입력패드(IPD1) 및 제2 입력패드(IPD2)는 가요성 회로기판(FPC)를 통해 시스템 제어장치(SDA)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입력패드(IPD1) 및 제2 입력패드(IPD2)는 동일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신호는 공통전압, 구동전압일 수 있다. 상기 구동전압은 접지전압 또는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전원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배선(CCL1)의 상기 출력패드(OPD)는 구동회로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회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영역(NAR)에 구비된 데이터 구동회로(DDC)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상기 제2 연결배선(CCL2)을 통해 인가된 데이터 제어신호등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에 데이터 구동신호을 제공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입력패드(IPD1) 및 제2 입력패드(IPD2)가 공통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력패드(OPD)는 공통전압 배선(미도시)에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100)과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FPC)의 결합관계를 좀더 상세히 검토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연결배선(CCL1) 상에는 절연층(IL)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연결배선(CCL1)이 상술한 데이터 라인(DL)과 동일평면에 구비되는 경우, 즉, 제1 절연막(110) 상에 상기 제1 연결배선(CCL1)이 구비되면 상기 절연층(IL)은 제2 절연막(120) 및 평탄화막(13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IL)은 상기 제1 입력패드(IPD1)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컨택홀(CH1), 상기 제2 입력패드(IPD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컨택홀(CH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컨택홀(CH1)과 상기 제2 컨택홀(CH2) 사이에 구비된 제3 컨택홀(CH3)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컨택홀(CH1), 제2 컨택홀(CH2), 및 제3 컨택홀(CH3)는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도 2에서 상기 제1 컨택홀(CH1) 및 상기 제2 컨택홀(CH2)은 각각 4개씩 도시되고, 상기 제3 컨택홀(CH3)은 2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3 컨택홀(CH3)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3 컨택홀(CH3)의 깊이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3 컨택홀(CH3)은 상기 제1 절연막(110) 또는 상기 제2 절연막(120)을 노출시키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컨택홀(CH1, CH2)에는 각각 제1 컨택 전극(CE1) 및 제2 컨택 전극(CE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컨택홀(CH3)에는 더미 컨택 전극(DCE)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컨택 전극(CE1), 상기 제2 컨택 전극(CE2), 및 상기 더미 컨택 전극(DCE)은 인듐-주석 산화물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검토하면, 상기 제1 컨택 전극(CE1)은 상기 절연층(IL)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컨택홀(CH1)을 통해 상기 제1 입력패드(IPD1)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컨택 전극(CE2)은 상기 절연층(IL)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컨택홀(CH2)을 통해 상기 제2 입력패드(IPD2)와 연결된다. 상기 더미 컨택 전극(DCE)은 상기 절연층(IR)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컨택홀(CH3)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컨택 전극(CE1) 및 제2 컨택 전극(CE2)은 가요성 회로기판(FPC)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제1 입력패드(IPD1) 및 상기 제2 입력패드(IPD2)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더미 컨택 전극(DCE)은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FPC)과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FPC)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요성 기판(F-Sub) 및 상기 가요성 기판(F-Sub)의 일면에 구비된 다수의 신호배선(F-CL)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배선들(F-CL) 각각은 일단에 접속 패드(F-CP)을 구비한다.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FPC)과 상기 베이스 기판(100)은 이방 도전성 접착층(ACL)에 의해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에 구비된 절연층의 상면과 상기 신호배선들(F-CL)의 일단에 구비된 접속 패드(F-CP) 사이에 이방 도전성 접착층(ACL)이 개재된다.
상기 이방 도전성 접착층(ACL)은 절연성 접착제(acl-2)와 상기 절연성 접착제(acl-2)에 분산된 도전성 입자(acl-1)를 포함한다. 외압에 의해 상기 이방 도전성 접착층(ACL)이 가압되면, 상기 도전성 입자(acl-1)는 상기 신호배선(F-CL)의 접속 패드(F-CP)와 상기 제1 컨택 전극(CE1)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신호배선(F-CL)의 접속 패드(F-CP)와 상기 제1 컨택 전극(CE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기 신호배선(F-CL)의 접속 패드(F-CP)와 상기 제2 컨택 전극(CE2) 역시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절연성 접착제(acl-2)는 상기 가요성 기판(F-Sub)의 상기 접속 패드(F-CP)가 형성된 영역과 상기 절연층(IL)의 상기 제1 컨택 전극(CE1), 상기 제2 컨택 전극(CE2), 및 상기 더미 컨택 전극(DCE)이 형성된 영역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더미 컨택 전극(DCE)과 상기 절연성 접착제(acl-2)의 결합력은 상기 절연층(IL)의 표면과 상기 절연성 접착제(acl-2)의 결합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상기 더미 컨택 전극(DCE)을 구비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FPC)과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도 2의 Ⅰ-Ⅰ'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컨택 전극(CE1), 상기 제2 컨택 전극(CE2), 및 상기 더미 컨택 전극(DCE)은 상기 절연층(IL) 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절연층(IL)의 표면 상에서 상기 전극들(CE1, CE2, DCE)이 이루는 면적이 증가하고, 상기 절연성 접착제(acl-2)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결합력은 증가한다.
한편, 상기 제1 기판(100) 상에 상기 제1 컨택 전극들이(CE1)이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컨택 전극들(CE1)도 상기 절연층(IL) 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택 전극들(CE2) 역시 상기 절연층(IL) 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도 1의 A1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Ⅲ-Ⅲ'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 기판(100)은 상기 제1 입력패드(IPD1)와 상기 제2 입력패드(IPD2) 사이에 구비된 더미패드(DPD)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더미패드(DPD)는 상기 제1 입력패드(IPD1) 및 상기 제2 입력패드(IPD2)와 동일 평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입력패드(IPD1) 및 상기 제2 입력패드(IPD2)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3 컨택홀(CH3')은 상기 더미패드(DPD)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다. 또한, 상기 더미 컨택 전극(DPE')은 상기 더미패드(DPD)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더미 컨택 전극(DPE')과 상기 더미패드(DPD)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더미 컨택 전극(DPE')과 상기 절연층(IL) 또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이 접촉하는 부분보다 세게 결합된다. 그에 따라 상기 더미 컨택 전극(DPE')은 상기 제3 컨택홀(CH3')에 견고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더미패드(DPD)가 동일한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제1 입력패드(IPD1)와 상기 제2 입력패드(IPD2)에 연결되면 상기 더미 컨택 전극(DPE')은 상기 상기 제1 컨택 전극(CE1)와 상기 제2 컨택 전극(CE2)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FPC)과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얼라인이 비틀어진 경우, 상기 더미 컨택 전극(DPE')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더미패드(DPD)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FPC)과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얼라인이 비틀어진 경우라도 상기 신호를 상기 제1 연결배선(CCL1)의 출력패드(OPD)에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A2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Ⅳ-Ⅳ'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을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PX)가 구비된 표시영역(AR) 및 상기 표시영역(AR)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AR)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100)을 구비한다.
상기 표시영역(AR)에는 다수의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1 신호라인들과 절연되게 교차하는 다수의 제2 신호라인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신호라인들은 도 1에 도시된 게이트 라인들(GL)로 설명하며, 상기 제2 신호라인들은 데이터 라인들(DL)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비표시영역(NAR)에 구비되고, 제1 입력패드(IPD1), 제2 입력패드(IPD2) 및 출력패드(OPD)를 포함하는 제1 연결배선(CCL1)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비표시영역(NAR)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배선(CCL1)과 나란하며 하나의 입력패드(IPD')와 출력패드(OPD')를 구비한 제2 연결배선들(CC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은 제1 연결배선(CCL1) 상에 구비된 절연층(IL')을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연결배선(CCL1)이 게이트 라인(GL)과 동일평면에 구비된 경우, 즉, 베이스 기판(100)의 표면상에 상기 제1 연결배선(CCL1)이 구비된 경우 상기 절연층(IL')은 제1 절연막(110), 제2 절연막(120) 및 평탄화막(130)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IL')은 제1 컨택홀(CH1), 제2 컨택홀(CH2), 및 상기 제1 컨택홀(CH1)과 상기 제2 컨택홀(CH2) 사이에 구비된 제3 컨택홀(CH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컨택홀(CH1, CH2)에는 각각 제1 컨택 전극(CE1) 및 제2 컨택 전극(CE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컨택홀(CH3)에는 더미 컨택 전극(DCE)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컨택 전극(CE1) 및 제2 컨택 전극(CE2)은 가요성 회로기판을 통해 시스템 제어장치(SDA)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연결배선(CCL1)의 상기 제1 입력패드(IPD1) 및 제2 입력패드(IPD2)에 전달한다.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은 가요성 기판에 칩 형태의 데이터 구동회로(DDC)를 실장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역시 가요성 기판 및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구비된 다수의 신호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신호배선 중 일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DDC)에 연결되어 데이터 구동신호를 데이터 라인들(DL)에 제공한다.
반면에 일부의 신호배선은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SDA)에서 인가된 신호를 상기 베이스 기판(100)에 구비된 상기 제1 연결배선(CCL1) 또는 제2 연결배선(CCL2)에 직접 전달한다. 상기 제1 연결배선이 수신하는 신호는 공통전압, 구동전압일 수 있다. 상기 구동전압은 접지전압 또는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전원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배선(CCL1)의 상기 출력패드(OPD)는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영역(NAR)에 구비된 게이트 구동회로(GDC)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상기 제1 연결배선(CCL1)을 통해 전원전압 및 접지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연결배선(CCL2)을 통해 인가된 게이트 제어신호등을 수신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기판 110: 제1 절연막
120: 제2 절연막 130: 평탄화막
AR: 표시영역 NAR: 비표시영역
SDA: 시스템 구동장치 DDC: 데이터 구동회로
GDC: 데이터 구동회로 CCL1: 제1 연결배선
IPD1: 제1 입력패드 IPD2: 제2 입력패드
OPD: 출력패드 FPC: 가요성 회로기판
CH1, CH2, CH3: 제1, 제2, 제3 컨택홀
CE1, CE2: 제1, 제2 컨택 전극 DED: 더미 컨택 전극

Claims (14)

  1. 다수의 화소가 구비된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비표시영역에 구비되고, 각각이 적어도 라인부, 제1 입력패드, 제2 입력패드 및 출력패드를 포함하는 연결배선;
    상기 연결배선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입력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컨택홀, 상기 제2 입력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컨택홀 및 상기 제1 컨택홀과 상기 제2 컨택홀 사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컨택홀을 포함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입력패드와 연결된 제1 컨택 전극;
    상기 절연층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입력패드와 연결된 제2 컨택 전극; 및
    상기 절연층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3 컨택홀에 구비된 더미 컨택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부는,
    상기 제1 입력 패드와 연결되는 제1 부분;
    상기 제2 입력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인접한 제2 부분; 및
    상기 출력 패드와 연결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부분들은 서로 연결되어 Y자 형상을 갖는 표시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택홀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패드와 상기 제2 입력패드 사이에 구비된 더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드는 상기 제1 입력패드 및 상기 제2 입력패드와 일체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택홀은 상기 더미패드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컨택 전극은 상기 더미패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 전극, 상기 제2 컨택 전극, 및 상기 더미 컨택 전극은 상기 절연층 상에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8. 제1 항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 및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구비된 다수의 신호배선을 포함하는 가요성 회로기판; 및
    상기 가요성 회로기판과 상기 절연층을 결합하고, 상기 신호배선들 중 일부와 상기 제1 컨택 전극 및 상기 제2 컨택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이방 도전성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패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 도전성 접착층은 절연성 접착제 및 상기 절연성 접착제에 분산된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 전극 및 상기 제2 컨택 전극은 동일한 구동전압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배선과 동일한 평면에 구비된 다수의 제1 신호라인, 상기 제1 신호라인들과 절연되게 교차하는 다수의 제2 신호라인 및 상기 화소들 각각에 구비된 다수의 화소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신호라인들에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구동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제1 신호라인들에 데이터 구동신호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제1 신호라인들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KR1020110050312A 2011-05-26 2011-05-26 표시패널 KR10182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312A KR101826898B1 (ko) 2011-05-26 2011-05-26 표시패널
US13/345,842 US8982112B2 (en) 2011-05-26 2012-01-09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312A KR101826898B1 (ko) 2011-05-26 2011-05-26 표시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854A KR20120131854A (ko) 2012-12-05
KR101826898B1 true KR101826898B1 (ko) 2018-03-23

Family

ID=4721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312A KR101826898B1 (ko) 2011-05-26 2011-05-26 표시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82112B2 (ko)
KR (1) KR101826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87B1 (ko) * 2012-09-18 2014-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513380B (zh) * 2012-10-12 2015-12-11 Au Optronics Corp 電子組件
JP5840598B2 (ja) 2012-12-17 2016-01-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50181702A1 (en) * 2013-03-05 2015-06-25 Eastman Kodak Company Micro-wire connection pad
KR102005426B1 (ko) 2013-05-09 2019-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의 접합 방법, 패널 및 연성회로기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TWI471573B (zh) * 2013-07-04 2015-02-0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及其電路板模組
KR102157762B1 (ko) * 2014-01-10 2020-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427360B2 (ja) * 2014-08-22 2018-11-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9999136B2 (en) * 2014-12-15 2018-06-12 Ge Embedded Electronics Oy Method for fabrication of an electronic module and electronic module
KR102422035B1 (ko) 2015-12-01 2022-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72209B1 (ko) * 2015-12-03 2022-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765103B1 (ko) * 2015-12-18 2017-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93532B1 (ko) * 2016-06-03 2023-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방성 도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53032B1 (ko) 2016-07-21 2018-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6773389A (zh) * 2016-12-30 2017-05-31 惠科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面板、显示面板与***电路的连接结构
CN117355180A (zh) 2017-03-14 2024-01-0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435975B1 (ko) 2017-08-18 2022-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459441B (zh) * 2018-04-12 2021-04-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8762562B (zh) * 2018-05-25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触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0740570A (zh) * 2018-07-20 2020-01-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线路板、灯条、光源和显示装置
CN111653604B (zh) * 2020-06-22 2023-01-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电路板和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3578A1 (en) 2003-06-24 2004-12-30 Lee Yong-Soo Ink-jet printhead
US20050003497A1 (en) 2003-05-26 2005-01-06 Kiyohiko Nishi Method for producing cadaverine dicarboxylate
JP2009047877A (ja) 2007-08-20 2009-03-05 Epson Imaging Devices Corp チップオングラス型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実装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2235A1 (fr) * 1996-02-29 1997-09-04 Citizen Watch Co., Ltd. Structure d'electrodes de dispositif a cristaux liquides
JP3139549B2 (ja) 1999-01-29 2001-03-05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20000065437A (ko) 1999-04-03 2000-11-15 윤종용 깊이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콘택구조 형성방법
JP3558595B2 (ja) * 2000-12-22 2004-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半導体チップ群及び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
KR100943730B1 (ko) * 2003-06-27 2010-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씨오지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49496B1 (ko) * 2003-06-30 2010-03-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5062582A (ja) * 2003-08-18 2005-03-10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3497A1 (en) 2003-05-26 2005-01-06 Kiyohiko Nishi Method for producing cadaverine dicarboxylate
US20040263578A1 (en) 2003-06-24 2004-12-30 Lee Yong-Soo Ink-jet printhead
JP2009047877A (ja) 2007-08-20 2009-03-05 Epson Imaging Devices Corp チップオングラス型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実装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82112B2 (en) 2015-03-17
US20120299888A1 (en) 2012-11-29
KR20120131854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898B1 (ko) 표시패널
CN105390526B (zh) 集成了内嵌式触摸面板的柔性有机发光显示设备
KR102133452B1 (ko) 표시 장치
CN102053415B (zh) 水平电场液晶显示设备
US11051405B2 (en) Flexible display
US10186526B2 (en) Display panel
US9153599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CN103904097A (zh) 包括触摸面板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10551700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backlight assembly
US11380235B2 (en) Pixel array substrate with narrow peripheral area and narrow bezel design of display panel
KR20100086838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74816B1 (ko) 표시 장치
KR10265466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115912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61445A (ko) 표시장치
KR101119184B1 (ko) 어레이 기판,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0147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US7123251B2 (en) Image display device
CN100378560C (zh) 有源矩阵基板及其制造方法
CN108845465B (zh) 显示面板扇出走线结构及其制作方法
US20150177542A1 (en) Display apparatus
KR20190103550A (ko) 표시 장치,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430951B1 (ko) 표시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표시장치용 편광 필름
KR20200083021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00007612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