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685B1 -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 Google Patents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685B1
KR101825685B1 KR1020170097534A KR20170097534A KR101825685B1 KR 101825685 B1 KR101825685 B1 KR 101825685B1 KR 1020170097534 A KR1020170097534 A KR 1020170097534A KR 20170097534 A KR20170097534 A KR 20170097534A KR 101825685 B1 KR101825685 B1 KR 101825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ire
emergency
pow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동
Original Assignee
(주)선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선한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09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6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6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installed in an apartment hous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installed in an apartment house which can easily take action with emergency power even in a case when power supply is blocked from the outside due to a blackout, fire or the like and which marks a location of a control unit to effectively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fire or the like.

Description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이나 화재 등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상태에서도 비상전원을 통해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어부의 위치를 표시하여 화재 등의 긴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control system for a fire fighting power supply installed in a residential house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technolog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control system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controller for a fire-fighting power supply installed in a multi-family house so as to effectively respond to an emergency such as a fire.

일반적으로 빌딩 등의 건물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소방시스템이 구비된다.Generally, a building or the like is provided with a fire-fighting system for detecting and extinguishing a fire when it occurs.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프링클러 및 방화셔터 등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링클러나 방화셔터 등의 소방설비부 등으로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fire fight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ccurrence of a fire,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the alarm device or activating the sprinkler and the fire retarding shutter when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Fire-fighting equipment such as a sprinkler or a fire-retarding shutter.

그러나,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정전이나, 화재 등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상태에 쉽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ire fighting system can not easily cope with the 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due to power failure, fire or the like.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4084호에는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which partially alleviates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44084 discloses a 'fire-fighting facility control system for apartment house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은 제어부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화재 등의 긴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ire-fighting facility control system of a multi-family hous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ope with an emergency such as a fire because the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can not be easily confirmed.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49796호(2011.07.19.)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49796 (July 19, 2011) 'Fire Control System for Apartment Complex'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이나 화재 등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상태에서도 비상전원을 통해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어부의 위치를 표시하여 화재 등의 긴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capable of easily responding through an emergency power source even in a power- And to provide a fire control power controller installed in a multi-family house so as to effectively cope with an emergency such as a fir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며 신호의 근거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 및 건물내 화재상황을 감지하거나 다른 무선통신모듈에서 발신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경보음을 감지하는 경보장치(117)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8)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지부(110); 실내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110)와 근거리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며, 감지부(110)의 근거리 무선 신호에 의해 소방설비부(13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120); 외부로부터 상기 감지부(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상기 배터리(118)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150); 및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일단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달되며, 타단부에 상기 경보장치(117)가 연결되는 전원도선(151); 및 양단부가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는 한편, 그 양단부 사이에 상기 배터리(118)가 연결되는 보조전원도선(152)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18)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경보장치(117) 및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60)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60)는, 일단부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타단부와 상기 전원도선(151)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소방설비부(130)에 연결되는 비상전원도선(161); 상기 비상전원도선(161)에 연결되는 연결스위치(162); 및 상기 전원도선(151)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 감지센서(16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스위치(162)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단선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원공급 감지센서(16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스위치(162)가 접선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로 전달되도록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200)는, 내측으로 상기 제어부(120)가 수용되는 케이싱(210); 상기 케이싱(210)에 구비되는 정상램프(220); 상기 케이싱(210)에 구비되는 비상램프(230); 상기 정상램프(220)와 상기 전원도선(151)을 연결하는 제1전원연결선(240); 및 일단부가 상기 비상램프(2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스위치(162)와 상기 소방설비부(1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비상전원도선(161)에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선(250)을 포함하며, 상기 정상램프(220)는, 상기 전원도선(151)으로부터 상기 제1전원연결선(240)으로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녹색으로 점등되면서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비상램프(230)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로부터 상기 제2전원연결선(250)으로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적색으로 점등되면서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임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 대한 빠른 위치확인을 통해 상기 소방설비부(130)에 대한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a room and capable of mu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detecting a fire situation in a building or an alarm sound when receiving a fire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110 having an alarm device 117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110 and a battery 118 for supplying power; A controller 120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130 by a short range wireless signal of the sensing unit 11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ensing unit 110 installed in the room. A pow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outside to the sensing unit 110 and charging the battery 118 with power;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unit 160 that allows the power of the battery 118 to be supplied to 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unit 130 in response to an external power supply cutoff, A power line 151 to whic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line is transferred and the alarm device 117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an auxiliary power line 152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51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118 between both ends of the power line 151. The battery 118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51, The emergency power supply 160 supplies power to the alarm device 117 and the emergency power supply 160. The emergency power supply 16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power lead 152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lead 151, An emergency power lead 161 connected to the power lead 151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other end and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30 at the other end; A connection switch 162 connected to the emergency power lead 161; And a power supply detection sensor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51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one end of the power line 151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power line 152,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switch 162 to the connection unit 162 in response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power supply detection sensor 163, A power supply controller for a fire extinguishing power supply installed in a public housing for allowing a power supply of the battery (118) to be transmit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part (130) by tangent to a switch (162) (200), wherein the display unit (200) comprises: a casing (210) in which the control unit (120) is housed inward; A normal lamp 220 provided in the casing 210; An emergency lamp (230) provided in the casing (210); A first power connecting line 240 connecting the normal lamp 220 and the power line 151; And a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250 connected to the emergency power line 161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lamp 230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switch 162 and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30, The normal lamp 220 is illuminated in green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line 151 to the first power connection line 240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120, The lamp 230 is turned on in red by a power source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118 to the second power source connection line 250 in response to the interruption of external power supply, And controls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130 to be smoothly performed through quick positioning of the controller 120.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ire control system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이나 화재 등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상태에서도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어부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화재 등의 긴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an interruption of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due to power failure, fire or the like, and also to effectively respond to an emergency such as fire by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가 가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에서 전원공급부 및 비상전원공급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에서 표시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에서 표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e-fighting power controller installed in a multi-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e-fighting power controller installed in a multi-famil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ome.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unit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unit in a fire control system installed in a multi-famil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unit is provided in a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installed in a multi-uni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 a fire fighting power supply controller installed in a multi-uni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mode of disclosure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644084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644084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ater-described Literature No. 1644084 as it is, all the features of the devic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can be understood as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registered patent No. 1644084. [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644084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로 대체하며, 제어부(12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fighting facility control system of the apartment house' is replaced with the 'fire-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installed in the apartment house' among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patent No. 1644084, And the description of its operation is further included, and this part is the most important constitutional feature.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644084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devic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ll be referred to as the content of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number 1644084, and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t the rear end.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정전시 자가발전을 이용한 소방전원공급장치는 감지부(110), 제어부(120), 소방설비부(130) 및 화재통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to 2, a fire-fighting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self-power generation in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fire-fighting equipment unit 130, and a fire notification unit 140, . ≪ / RTI >

상기 감지부(110)는 화재가 발생되거나 화재 또는 질식의 위험이 있는 가스의 누출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가 발생될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112)와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감지기(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ing unit 110 senses whether a gas or a gas which may cause a fire or suffocation is leaked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120. The sensing unit 110 senses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And a gas leak detector 114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gas is leaked.

상기 화재감지기(112)로는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차동식 감지기 또는 주위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되며 바이메탈을 이용하는 정온식 감지기 및 일정농도 이상의 연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입으로 광전자소자에 접하는 광량의 변화에 의해 작동되는 광전식 감지기 또는 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파장특성을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와 적외선 파장특성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복합하여 자외선/적외선 불꽃감지기 등이 있으며, 건물의 사용 형태 등에 따라 적합한 방식의 화재감지기를 선택할 수 있다.The fire sensor 112 may be a differential type sensor that operates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becomes higher than a certain rate of increase or a temperature sensor that operates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becomes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and uses a bimetal, An ultraviolet / infrared flame detector combined with a photoelectric detector activated by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device or an ultraviolet sensor detecting ultraviolet wavelength characteristics emitted from a flame and an infrared sensor detecting infrared wavelength characteristics; A fire detector of a suitable typ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like.

상기 가스누출감지기(114)는 건물에서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 LNG나 LPG가스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인체에 치명적인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gas leakage detector 114 may be provided to detect LNG or LPG gas depending on the kind of gas used in the building or may be provided to detect toxic gas such as carbon monoxide which is fatal to the human body.

상기 감지부(110)는 재실자 감지기(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재실자 감지기(116)는 건물 내부에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거나 또는 공간 내에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사람의 재실유무를 판단하는 적외선 감지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n occupant sensor 116. The occupant sensor 116 is a component for detecting presence of a person inside the building, and may be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a body temperature of a person 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movement in a space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is present or not.

상기 감지부(110)에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120)와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Th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 component tha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120 wirelessly, not via a wire.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감지부(110) 및 제어부(120)에 공히 구비되며,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to both the sensing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20 and may be provided to enable unidirectional 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방식으로 무선통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그비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이며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무선통신방식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ZigBee system. ZigBee is one of the IEEE 802.15.4 standards support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ubiquitous computing in the wireless networking field of home or office.

상기 지그비 방식은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전력소모량이 적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Zigbee scheme has advantages of small size, low power consumption, and low cost compared with the existing technology.

물론, 본 발명의 감지부(110) 및 제어부(120)의 무선통신방식이 상기 지그비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of the sensing unit 110 and the controll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ZigBee scheme, and may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상기 감지부(110)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device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 또는 가스의 누출등 위험요인의 발생을 감지하면 이를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것과 상관없이 경보음 또는 경보광을 발생함으로써 재실자에게 경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보장치는 스피커 및 경광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alarm device alerts the occupant by generating an alarm sound or an alarm light, regardless of whether the sensing unit 110 senses the occurrence of a risk factor such as a fire or a gas leak, to the controller 120. Accordingly, the alarm device may include a speaker and a beacon.

상기 제어부(120)에 송신하는 것과 관련 없이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상황을 감지함과 즉시 재실자에게 경보가 이루어지므로, 제어부(120)에서 복잡한 제어단계를 거치는 시간이 생략되어 제실자에게 즉시 경보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경보하여 재실자가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detects a fire situation in the sensing unit 110 and alerts immediately to the occupant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sensing unit 110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20. Thus, It can be warned more quickly, an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time for the occupant to be evacuated.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화재나 가스의 누출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화재가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하며, 재실자의 대피를 도와주는 구성요소로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 물내에 수방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 및 소화가스 또는 분말을 분출하는 소화가스분출기, 화염이나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번지지 않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방화셔터, 재실자에게 화재상황을 경보하는 사이렌, 비상벨, 청각 장애자를 위한 시각경보기, 대피통로를 안내하는 비상램프, 대피를 돕는 피난사다리 및 실내의 연기 및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팬 및 가스누설을 감지했을 때 가스밸브를 차단하는 가스누설차단기 등이 있다.The fire-fighting equipment 130 is a component that suppresses fire and gas leakage quickly, prevents the fire from spreading further, and assists the evacuation of the occupant. When a fire occurs, Fire alarms, fire alarms for fire alarms, emergency alarms, visual alarms for the hearing impaired, fire alarms for fire alarms, An emergency lamp to guide the evacuation passage, an evacuation ladder to help evacuate the room, a ventilation fan to vent the room smoke and gas to the outside, and a gas leakage breaker to shut off the gas valve when the gas leakage is detected.

상기와 같은 소방설비부(130)는 상기 제어부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화재 또는 가스누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대로 건물에 설치된 소방설비부 중에 감지된 상황에 적합한 소방설비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130 is operated by a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a fire or gas leak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110, Fire fighting equipment suitable for the situation is activated.

또한,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건물에 화재상황(화재발생 또는 가스누출발생)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0)의 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소방서 및 경찰서 등의 유관기관에게 자동적으로 통보하는 자동화재속보기이다.In addition, the fire notification unit 140 may be an automation system that automatically notifies a fire department and police stations designated by a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when a fire situation (occurrence of fire or gas leakage) It is a view of religion.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화재상황을 유관기관에게 통보할 때 상기 감지부(110)로 감지한 정보들도 같이 송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e notification unit 140 may also send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10 when a fire situation is notified to the related facility.

즉, 상기 감지부(110)로 감지한 화재발생 또는 가스누출여부 및 재실자 여부등의 정보를 유관기관에게 송신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대응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That is, information such as the occurrence of a fire, the leakage of ga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sensed by the sensing unit 110 is transmitted to a related organization so that a more appropriate response is possible.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건물의 화재상황발생 및 정보를 유관기관뿐만 아니라 미리 등록된 관계인의 전화, 핸드폰 또는 PDA등으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거주자가 외출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하여도 화재발생즉시 통보받을 수 있고, 거주자가 아닌 거주자의 가족 또는 관계인에게도 즉시 통보가 가능하여 보다 빠른 대처를 가능케 할 수 있다.The fire notification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occurrence of a fire situation and information of a building to a telephone, a mobile phone, a PDA, or the like of a related person who is registered in advance as well as a related organization. Therefore, even if a fire occurs when a resident goes out, it can be notified immediately after a fire occurs, and it is possible to notify a resident's family member or a related person immediately, thereby enabling faster response.

상기에서는 상기 감지부(110)와 제어부(120)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120)와 소방설비부(130)도 필요에 따라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and the control unit 12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

상기 감지부(110)에 구비되는 무선통신모듈은 다른 감지기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sensor.

즉, 상기 감지부(110)는 건물 내의 곳곳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도 있는데, 건물 내부에 설치된 어느 한 감지부(110)에서 화재상황을 감지할 경우, 화재상황이 감지되었다는 화재감지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발신한다.That is,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11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 the building. When a sensing unit 110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senses a fire situation, And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이러한 화재감지 신호를 다른 곳에 구비된 감지부(110)이 무선통신모듈에서 수신하여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re sensing signal may be received by the sensing unit 110 provided at another loca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operate the alarm device.

따라서, 건물 내에 화재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120)를 거치지 않고도, 건물 내부에 구비된 감지기끼리 서로 직접 화재감지신호를 송수신하므로, 화재경보를 보다 빨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when a fire situation occurs in the building, since the detectors provided in the building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fire detection signals without going through the control unit 120, the fire alarm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또한, 제어부가 구비되지 않고도 화재경보를 발령할 수 있어 소규모 건물에 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fire alarm can be issued without a control unit, it can be realized at a lower cost in a small building.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가 건물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면, 실내의 거실 또는 각 방에 감지부(110)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2, an example in which a fire control system installed in a dwelling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uilding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110 in a living room or each room.

상기 감지부(110)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112) 또는 재실자의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자 감지기(116)일 수 있다.The sensing unit 110 may be a fire sensor 112 for detecting a fire or an occupant sensor 116 for sensing whether a person is in the room.

그리고, 주방이나 보일러실 등 가스의 누출이 염려되는 곳에는 가스누출여부를 감지하는 가스누출감지기(114)가 구비될 수 있다.A gas leakage detector 114 may be provided at a place where gas leakage is likely to occur, such as in a kitchen or a boiler room.

상기 제어부(120)는 거실이나 현관 등 조작이 편리한 곳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120 is provided at a convenient place such as a living room or a door.

이때, 상기 제어부(120)와 감지부(110)는 서로 무선통신으로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유선으로 통신하는 방식에 비하여 설치가 자유로우며, 화재 또는 가스의 누출을 가장 잘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Since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sensing unit 1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sensing unit 110 are freely installed compared with a method of wirelessly communicating, and can freely install in a place where fire or gas leakage can be best detected. have.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작동되는 소방설비부(130)가 설치된다. 본 형태의 설명에서는 상기 소방설비부(130)로서 스프링클러(132)가 적용된 예를 제시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화셔터 및 제연팬 등 다른 소방설비가 추가될 수 있다.Also, a fire fighting equipment 130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20 is installed.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sprinkler 132 is applied as the fire-fighting equipment 130 is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fire-fighting equipment such as a fire-fighting shutter and a ventilation fan may be added.

상기 스프링클러(132)는 각 거실 및 방에 소방수를 분무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수도에 직결되어 소방수를 공급받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sprinkler 132 is provided to spray fire water into each living room and room, and can be supplied directly to the water supply to receive fire water.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의 신호에 의해 화재상황을 유관기관에게 통보하는 화재통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A fire notifica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to notify the fire department of the fire situation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0. [

상기 화재통보부(140)는 상기 제어부(120)가 설치된 장소에 같이 설치될 수 있다.The fire notification unit 140 may be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control unit 120 is installed.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상기 감지부(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배터리(118)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to the sensing unit 110, and charges the battery 118.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일단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달되며 타단부에 상기 경보장치(117)가 연결되는 전원도선(151) 및 상기 전원도선(151)에 상기 배터리(118)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하는 보조전원도선(152)을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150 includes a power supply line 151 through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one end and the alarm device 117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the battery 118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51 in parallel And an auxiliary power lead wire 152 for connecting the auxiliary power lead wires.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평상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감지부(110)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재나, 정전시 등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로부터 상기 경보장치(117)로의 전원공급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unit 150 allow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b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sensing unit 110 while allow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18 to be discharged from the battery 118 So that power supply to the alarm device 117 can be performed quickly.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은 양단부가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면서 그 양단부 사이에 상기 배터리(118)가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oth ends of the auxiliary power lead wire 152 are connected to the power lead wire 151 and the battery 118 is connected between both end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lows from one end of the auxiliary power lead wire 152 to the other end.

상기 배터리(118)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전원도선(151)을 통해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을 통과함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진다.The battery 118 is charged as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power lead 152 through the power lead 151.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상기 감지부(110)가 상기 화재감지기(112), 상기 가스감지기(1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화재감지기(112)나, 상기 가스감지기(114)로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When the sensing unit 11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e sensor 112 and the gas sensor 114,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include the fire sensor 112, the gas sensor 114,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power can be supplied.

이때에는, 상기 전원도선(151)은 타단부가 복수로 분기되면서 상기 경보장치(117)와 함께 상기 화재감지기(112)나, 상기 가스감지기(114)에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wer line 151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detector 112 or the gas detector 114 together with the alarm device 117 while the other end is branched.

이는, 평상시 외부로부터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으면서 상기 감지부(110)의 원활한 작동을 통한 공동주택의 감지상태를 확고히 하는 동시에 화재나, 정전 등으로 인한 비상상태 즉,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그 감지상태가 공백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etection state of the apartment house through the smooth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110 while receiving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outside normally, and at the same time, in an emergency state due to fire, So that the sensing state of the battery 118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out power supply.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평상시는 물론,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시에도 상기 배터리(118)를 통한 원활한 전원공급을 통해 상기 경보장치(117)가 화재 또는 가스의 누출 등 위험요인의 발생을 감지하여 경보음 또는 경보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재실자에게 경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factor such as a fire or a gas leak through the alarm device 117 through smooth power supply through the battery 118, even when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from the outside By generating an alarm sound or an alarm light, alarm can be given to the occupan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power supply unit 160 that allows the power of the battery 118 to be supplied to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130 in response to an external power cutoff.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60)는 일단부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타단부와 상기 전원도선(151)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그 전원도선(15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소방설비부(130)에 연결되는 비상전원도선(161), 상기 비상전원도선(161)에 연결되는 연결스위치(162) 및 상기 전원도선(151)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 감지센서(163)를 포함한다.The emergency power supply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51 so that one end thereof is position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power line 152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line 151, A connection switch 162 connected to the emergency power line 161 and a connection switch 162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power line 151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power line 152, And a power supply detection sensor 163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51 for detecting a power supply cutoff state from the outside.

상기 연결스위치(162)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오프 상태 즉, 단선상태를 유지한다.The connection switch 162 maintains an off state, that is, a disconnection state, normally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이때의, 상기 소방설비부(130)는 외부의 다른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e fighting equipment 130 receives power from another external power source.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원공급 감지센서(16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스위치(162)가 접선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20 tangles the connection switch 162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power supply detection sensor 163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118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e fighting equipment unit 130.

이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에서 상기 소방설비부(130)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for the purpose of enabling the fire fighting equipment unit 130 to operate smoothly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is cut off.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60)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타단부와 상기 전원도선(151)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그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는 비상전원선(164), 상기 비상전원선(164)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비상경보장치(165) 및 상기 비상전원선(164)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비상스위치(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power supply unit 160 has both ends and is connected to an emergency power supply line 151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51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position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line 152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supply line 151, An emergency alarm device 165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mergency power line 164 and an emergency switch 166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mergency power line 164.

상기 비상스위치(166)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오프 상태 즉, 단선상태를 유지한다.The emergency switch 166 maintains an off state, that is, a disconnection state, normally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비상경보장치(165)는 경보음 또는 경보광을 발생하는 스피커나 경광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동주택의 입주자나, 화재시 재실자 등에게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알린다.The emergency alarm device 165 may be a speaker or a warning light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or an alarm light, and informs a resident of the apartment or a resident of the apartment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is cut off.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원공급 감지센서(16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스위치(162)가 접선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비상경보장치(165)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20 tangles the emergency switch 162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power supply detection sensor 163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118 can be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alarm device 165 .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는 정전이나, 화재 등으로 인한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에 따라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e-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installed in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respond to the 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due to power failure, fire, or the like.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200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120 is further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상기 표시부(200)는 공동주택에 입주하는 입주자나 관리자가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등의 긴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play unit 200 can easi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control unit 120 by a tenant or an administrator residing in the apartment, thereby effectively coping with an emergency such as a fire.

이를 위해, 상기 표시부(200)는 내측으로 상기 제어부(120)가 수용되는 케이싱(210), 상기 케이싱(210)에 구비되는 정상램프(220), 상기 케이싱(210)에 구비되는 비상램프(230), 상기 정상램프(220)와 상기 전원도선(151)을 연결하는 제1전원연결선(240) 및 일단부가 상기 비상램프(2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스위치(162)와 상기 소방설비부(1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비상전원도선(161)에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선(250)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200 includes a casing 210 in which the control unit 120 is accommodated, a normal lamp 220 provided in the casing 210, an emergency lamp 230 provided in the casing 210, A first power connecting line 240 connecting the normal lamp 220 to the power line 151 and a second power connecting line 240 connecting one end to the emergency lamp 23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witch 162, And a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250 connected to the emergency power line 161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wer line 130 and the second power line.

상기 케이싱(210)은 거실이나 현관 등의 실내 벽체에 설치되면서 내측으로 수용되는 상기 제어부(120)를 안정적으로 보호한다.The casing 210 stably protects the control unit 120, which is received in the inside, while being installed in an indoor wall such as a living room or a door.

상기 케이싱(210)은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11)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에 대한 제어와 함께 점검이 가능하다.The casing 210 can be provided with a door 2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casing 210.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sing 210 can be controlled together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211.

상기 도어(211)는 투명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어부(120)에 대한 육안으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oor 211 may be made transparent so that the controller 120 can be visually confirmed.

상기 정상램프(220) 및 상기 비상램프(230)는 상기 케이싱(2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rmal lamp 220 and the emergency lamp 230 are preferab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asing 210.

상기 정상램프(220)는 상기 전원도선(151)으로부터 상기 제1전원연결선(240)으로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녹색으로 점등되면서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표시한다.The normal lamp 220 is illuminated in green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line 151 to the first power line 240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120.

이에 따라, 공동주택의 입주나 관리자 등은 평상시 상기 제어부(120)에 대한 위치를 인지하며 생활할 수 있음으로써 화재 등의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ccupant of the apartment house, the manager, etc. can normally live in the position perceiv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unit 120,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cope with an emergency such as a fire.

상기 비상램프(230)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로부터 상기 제2전원연결선(250)으로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적색으로 점등되면서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임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 대한 빠른 위치확인을 통해 상기 소방설비부(130)에 대한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emergency lamp 230 is turned on in r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battery 118 to the second power source connection line 250 in response to an external power supply cutoff, Meanwhile, the control unit 120 is controlled to be smoothly controlled through quick positioning.

즉, 상기 비상램프(230)는 상기 전원공급 감지센서(16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스위치(162)가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의 의해 접선되면서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에 의해 점등된다.That is, the emergency lamp 230 is turned on by the power of the battery 118 while the connection switch 162 is tangent to the emergency lamp 2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ower supply detection sensor 163 do.

이에 따라, 공동주택의 입주나 관리자 등은 상기 비상경보장치(165)에 의한 비상경보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임을 인지한 후, 상기 비상램프(230)의 점등에 따른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소방설비부(130)에 대한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ccupant of the apartment house, the manager or the like recognizes that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is blocked through the emergency alarm by the emergency alarm device 165, and then, after the emergency lamp 230 is turned 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120 and smoothly control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130.

또한, 상기 비상경보장치(165)에 의한 비상경보를 인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비상램프(230)의 점등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임을 인지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소방설비부(130)에 대한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emergency alarm device 165 is not aware of the emergency alarm, the control unit 120 recognizes that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is blocked through the lighting of the emergency lamp 230, So that the control of the fire fighting equipment 130 can be smoothly performed.

상기 표시부(200)는 상기 정상램프(220) 및 상기 비상램프(230)의 빛이 전방으로 반사되도록 하기 위한 반사판(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or 260 for reflecting light of the normal lamp 220 and the emergency lamp 230 forward.

상기 반사판(260)은 상기 정상램프(220) 및 상기 비상램프(230)의 후방에 배치되면서 상기 정상램프(220)나 상기 비상램프(230)의 빛이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한다.The reflector 260 is disposed behind the normal lamp 220 and the emergency lamp 230 so that light from the normal lamp 220 or the emergency lamp 230 can be reflected forward.

이에 따라, 공동주택에 입주하는 입주자나 관리자 등은 상기 정상램프(220)나 상기 비상램프(230)의 점등에 따른 빛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빠르게 인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ly, the occupant or manager residing in the apartment can easily recognize the light of the normal lamp 220 or the emergency lamp 230 by the naked eye, thereby quickl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120 Of course.

상기 반사판(260)은 하부가 상기 케이싱(210)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케이싱(2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portion of the reflection plate 260 is vertically mov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210, and the length of the reflector 260 protruding upward from the casing 210 is variably adjusted.

예를 들면, 상기 케이싱(210)은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반사판(260)의 하부가 인입되는 가이드공(212)이 형성된다.For example, the casing 210 has a guide hole 212 through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reflection plate 260 is inserted.

상기 표시부(200)는 상기 가이드공(212)을 이루는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반사판(260)을 압착 고정하는 고정링(270)을 더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200 further includes a fixing ring 270 provided around the guide hole 212 for pressing and fixing the reflection plate 260.

상기 반사판(260)은 인위적인 가압에 의한 상,하 방향으로의 당김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싱(210)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한편, 가압해제에 따라 상기 고정링(270)의 압착에 의해 위치조절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length of the reflector 260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210 is variably adjusted by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by pulling upward and downward by artificial pressurization, (Not shown).

상기 반사판(260)은 하부에 상기 가이드공(21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승강방지돌기(261)가 구비된다.The reflection plate 260 is provided at its lower portion with a lift preventing protrusion 261 for preventing the guide plate 2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212.

상기 반사판(260)은 상,하단부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강방지돌기(262)가 구비되면서 일정지점에서 하강이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flection plate 260 is stopped at a certain point while the downward protrusions 262 are protruded outwar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상기 반사판(260)은 상부가 전방으로 라운딩되면서 상기 정상램프(220)나 상기 비상램프(230)의 빛이 전방으로 하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ion plate 260 is rounded forward so that the light of the normal lamp 220 or the emergency lamp 230 is directed downward forward.

이에 따라, 상기 정상램프(220)나 상기 비상램프(230)의 빛이 전방으로 반사되는 정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gree of forward light reflection of the normal lamp 220 and the emergency lamp 23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이는, 평상시 상기 정상램프(220)의 빛에 의한 생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한편, 상기 비상램프(230)의 점등에 따른 빛의 확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living by the light of the normal lamp 220 at normal times and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light can be smoothly recognized due to the lighting of the emergency lamp 230. [

이로 인해, 상기 표시부(200)는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화재 등의 긴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unit 200 can display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120, thereby effectively coping with an emergency such as a fire.

110 : 감지부 118 : 배터리
120 : 제어부 130 : 소방설비부
132 : 스프링클러 140 : 화재통보부
150 : 전원공급부 160 : 비상전원공급부
200 : 표시부 210 : 케이싱
211 : 도어 212 : 가이드공
220 : 정상램프 230 : 비상램프
240 : 제1전원연결선 250 : 제2전원연결선
260 : 반사판 261 : 승강방지돌기
262 : 하강방지돌기
110: sensing unit 118: battery
120: control unit 130:
132: sprinkler 140: fire notification section
150: Power supply unit 160: Emergency power supply unit
200: display unit 210: casing
211: door 212: guide ball
220: normal lamp 230: emergency lamp
240: first power connecting line 250: second power connecting line
260 Reflector 261 Lift protrusion
262: Fall prevention projection

Claims (1)

실내에 설치되며 신호의 근거리 상호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 및 건물내 화재상황을 감지하거나 다른 무선통신모듈에서 발신한 화재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경보음을 감지하는 경보장치(117)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8)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지부(110);
실내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110)와 근거리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며, 감지부(110)의 근거리 무선 신호에 의해 소방설비부(13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120);
외부로부터 상기 감지부(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상기 배터리(118)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150); 및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일단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달되며, 타단부에 상기 경보장치(117)가 연결되는 전원도선(151); 및
양단부가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는 한편, 그 양단부 사이에 상기 배터리(118)가 연결되는 보조전원도선(152)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18)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라 상기 경보장치(117) 및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60)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60)는,
일단부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타단부와 상기 전원도선(151)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소방설비부(130)에 연결되는 비상전원도선(161);
상기 비상전원도선(161)에 연결되는 연결스위치(162); 및
상기 전원도선(151)의 일단부와 상기 보조전원도선(152)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원도선(151)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 감지센서(16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스위치(162)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평상시에는 단선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원공급 감지센서(16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스위치(162)가 접선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118)의 전원이 상기 소방설비부(130)로 전달되도록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200)는,
내측으로 상기 제어부(120)가 수용되며, 도어(211)가 구비되는 케이싱(210);
상기 케이싱(210)에 구비되는 정상램프(220);
상기 케이싱(210)에 구비되는 비상램프(230);
상기 정상램프(220)와 상기 전원도선(151)을 연결하는 제1전원연결선(240);
일단부가 상기 비상램프(2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스위치(162)와 상기 소방설비부(1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비상전원도선(161)에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선(250); 및
상기 정상램프(220) 및 상기 비상램프(230)의 후방에 배치되면서 상기 정상램프(220)나 상기 비상램프(230)의 빛이 전방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판(26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211)는,
투명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어부(120)에 대한 육안으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정상램프(220)는,
상기 전원도선(151)으로부터 상기 제1전원연결선(240)으로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녹색으로 점등되면서 상기 제어부(120)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비상램프(230)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상기 전원공급 감지센서(16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스위치(162)가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의 의해 접선되면서 상기 배터리(118)로부터 상기 제2전원연결선(250)으로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적색으로 점등되면서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임을 표시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 대한 빠른 위치확인을 통해 상기 소방설비부(130)에 대한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케이싱(210)은,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반사판(260)의 하부가 인입되는 가이드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200)는,
상기 가이드공(212)을 이루는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반사판(260)을 압착 고정하는 고정링(2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260)은,
상부가 전방으로 라운딩되면서 상기 정상램프(220)나 상기 비상램프(230)의 빛이 전방 하측을 향하도록 하며, 인위적인 가압에 의한 상,하 방향으로의 당김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싱(210)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한편, 가압해제에 따라 상기 고정링(270)의 압착에 의해 위치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되, 하부에 상기 가이드공(21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승강방지돌기(261)가 구비되고, 상,하단부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강방지돌기(262)가 구비되면서 일정지점에서 하강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a room and capable of mu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n alarm device 117 for detecting an alarm sound when a fire situation in a building is detected or a fire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received,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110 having a battery 118;
A controller 120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130 by a short range wireless signal of the sensing unit 11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ensing unit 110 installed in the room.
A power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outside to the sensing unit 110 and charging the battery 118 with power; And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unit (160) for allowing the power of the battery (118) to be supplied to the fire fighting equipment unit (130)
The power supply unit 150,
A power lead 151 to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one end and to which the alarm device 117 is connected at the other end; And
And an auxiliary power lead wire (152)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ower lead wire (151) and having the battery (118) connected between both ends thereof,
The battery (118)
Supplies power to the alarm device (117) and the emergency power supply (160) according to the interruption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The emergency power supply unit 160,
An emergency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51 so that one end thereof is position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power line 152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line 1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e- Conductor 161;
A connection switch 162 connected to the emergency power lead 161; And
A power supply detection sensor 163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51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one end of the power line 151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power line 152, ),
The connection switch (162)
The power supply is normally maintained in a disconnected state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120)
A power supply controller 170 installed in a housing for allowing the power of the battery 118 to be transmitted to the fire-fighting equipment 130 by tangenti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switch 162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power- In this case,
And a display unit (200)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120)
The display unit 200 displays,
A casing 210 in which the control unit 120 is accommodated and a door 211 is provided;
A normal lamp 220 provided in the casing 210;
An emergency lamp (230) provided in the casing (210);
A first power connecting line 240 connecting the normal lamp 220 and the power line 151;
A second power connection line 250 connected to the emergency power line 161 such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lamp 230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switch 162 and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30; And
And a reflector 260 disposed behind the normal lamp 220 and the emergency lamp 230 to reflect the light of the normal lamp 220 and the emergency lamp 230 forward,
The door (211)
Transparent, so that the control unit 120 can be visually confirmed,
The normal lamp (220)
A green light is illuminat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line 151 to the first power line 240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120,
The emergency lamp (230)
The connection switch 162 is til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power supply detection sensor 163 in response to the 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120 is turned on in red by a power sourc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50 to indicate that the power source from the outside is cut off, And,
The casing (210)
And a guide hole 212 through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reflection plate 260 is inserted is formed,
The display unit 200 displays,
Further comprising a fixing ring (270) provided around the guide hole (212) for pressing and fixing the reflection plate (260)
The reflector 260 may be formed,
The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lamp 2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emergency lamp 230 are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lights of the normal lamp 220 and the emergency lamp 230 are directed downward and are lifted up and down by artificial pressurization, While the position of the fixing ring 270 is adjusted by pressing the pressing ring 270 in accordance with the releasing of the pressing force, And a lowering protrusion (262) protruding outwar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is provided to stop the lowering protrusion (261) at a certain point. Device.
KR1020170097534A 2017-08-01 2017-08-01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KR1018256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34A KR101825685B1 (en) 2017-08-01 2017-08-01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34A KR101825685B1 (en) 2017-08-01 2017-08-01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685B1 true KR101825685B1 (en) 2018-02-05

Family

ID=6122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534A KR101825685B1 (en) 2017-08-01 2017-08-01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68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56B1 (en) * 2018-02-23 2018-07-20 (주)서영티이씨 Fire fighting safety power supply device in case of architecture fire
KR101926746B1 (en) * 2018-05-24 2018-12-07 주식회사 건창기술단 Fire fighting safety system using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facility of apartment house
KR101925876B1 (en) * 2018-04-03 2018-12-07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KR102051867B1 (en) * 2019-04-25 2019-12-05 (주) 더베스트이앤씨 System for managing safety of fighting
KR102212753B1 (en) * 2020-06-08 2021-02-05 (주)조은엔지니어링 Safety power supply device of architecture interion electricity
KR102305175B1 (en) 2021-03-02 2021-09-27 임영묵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installed in a community building
KR102432758B1 (en) * 2021-07-19 2022-08-18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Firefighting and fire monitoring system for apartment hous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796B1 (en) * 2008-08-11 2011-07-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Fire f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796B1 (en) * 2008-08-11 2011-07-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Fire f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56B1 (en) * 2018-02-23 2018-07-20 (주)서영티이씨 Fire fighting safety power supply device in case of architecture fire
KR101925876B1 (en) * 2018-04-03 2018-12-07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KR101926746B1 (en) * 2018-05-24 2018-12-07 주식회사 건창기술단 Fire fighting safety system using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facility of apartment house
KR102051867B1 (en) * 2019-04-25 2019-12-05 (주) 더베스트이앤씨 System for managing safety of fighting
KR102212753B1 (en) * 2020-06-08 2021-02-05 (주)조은엔지니어링 Safety power supply device of architecture interion electricity
KR102305175B1 (en) 2021-03-02 2021-09-27 임영묵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installed in a community building
KR102432758B1 (en) * 2021-07-19 2022-08-18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Firefighting and fire monitoring system for apartment hou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685B1 (en)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KR101926746B1 (en) Fire fighting safety system using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facility of apartment house
KR101049796B1 (en) Fire f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644084B1 (en) Fire fighting facility control system of apartment house
KR101796308B1 (en) Fire fighting power supply device for black out of apartment house
KR101803806B1 (en) Social securi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ing for combing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security accident prevention
KR102212753B1 (en) Safety power supply device of architecture interion electricity
KR101943368B1 (en) Fire fighting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communication facility of apartment house
KR102035764B1 (en)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JP2007227105A (en) Earthquake detection illumination device
KR101807263B1 (en) fire-prevention system type indoor space fusioning
KR101663786B1 (en) Fire fighting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KR101880756B1 (en) Fire fighting safety power supply device in case of architecture fire
KR101950743B1 (en) Control method of emergency lighting system in case of fire in apartment house
KR102153935B1 (en) Fire fighting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apartment house
KR101750933B1 (en) Firefighting sensing and firehouse auto report system of apartment house
KR101900203B1 (en) Fire detector and intelligent automatic fire dect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379362B1 (en) Control apparatus with apartment house
CN207319415U (en) A kind of long-range gas monitoring early warning system of Internet of Things based on STM32 platforms
KR101925876B1 (en) Fire fighting power controller device with apartment house
JP2011060280A (en) Plc corresponding automatic earthquake reporting system
JP2012027881A (en) Plc automatic danger notification system
KR101807261B1 (en) firefighting sensor having warning function display and fire-prevention system having the same
JP639957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fire and fire alarm system
KR101950745B1 (en) Control method of emergency lighting system of apartment in case of f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