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432B1 -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432B1
KR101825432B1 KR1020160037884A KR20160037884A KR101825432B1 KR 101825432 B1 KR101825432 B1 KR 101825432B1 KR 1020160037884 A KR1020160037884 A KR 1020160037884A KR 20160037884 A KR20160037884 A KR 20160037884A KR 101825432 B1 KR101825432 B1 KR 10182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access
information
smart devic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791A (ko
Inventor
하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to KR102016003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432B1/ko
Priority to PCT/KR2017/000301 priority patent/WO2017171211A1/ko
Priority to CN201780021693.4A priority patent/CN109075989A/zh
Priority to RU2018137845A priority patent/RU2018137845A/ru
Publication of KR2017011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32B1/ko
Priority to US16/139,525 priority patent/US2019009783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정용 보일러 등 무선통신 가능한 기기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설정을 원격 제어함에 있어서, 원격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가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에만 접속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일측면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 및 스마트기기들과 와이파이 통신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파이 인터페이스부; 상기 와이파이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스마트기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현하는 가상AP구동부; 상기 와이파이 인터페이스부에 의하여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AP스캔부;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목록을 생성하는 AP리스트생성부;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 및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METHOD FOR REMOTELY MANAGING ACCESSING ACCESS POINTS AND HOME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 보일러 등 무선통신 가능한 기기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설정을 원격 제어함에 있어서, 원격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가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에만 접속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용 가스 보일러 또는 기름 보일러 등이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원격으로 설정값이 제어되도록 하는 스마트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가정용 보일러에는 이른바 "룸 컨트롤러"로도 불리는 온도조절기가 포함되는데, 최근에는 온도조절기가 가정용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접속되어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동작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일부를 이루기도 한다.
이 때, 온도조절기가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적절히 무선통신을 위한 설정을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온도조절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AP 모드"로 변경한 후,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AP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온도조절기에 접속하여, 온도조절기가 접속하고자 하는 타 액세스 포인트(예컨대, 인터넷 가능한 가정용 무선공유기 등)에 접속할 수 있도록 SSID 및 비밀번호를 온도조절기로 전송함으로써, 온도조절기가 AP 모드로부터 다시 평시 모드로 복귀한 후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SSID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 가능한 가정용 무선공유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무선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지만 온도조절기가 무선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는 존재하지 않는 무선공유기에 관한 정보가 전송됨으로써, 온도조절기가 SSID와 비밀번호를 받은 액세스 포인트(무선공유기)에 접속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온도조절기가 무선 접속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있는데도, 그 액세스 포인트가 스마트폰으로는 접속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SSID와 비밀번호 정보를 온도조절기로 전송해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정당한 권한을 갖지 않는 자가 온도조절기에 접속을 하여 온도조절기의 설정값을 함부로 변경하는 일이 없도록 보안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의 난수 정보 및 맥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는 선행기술(한국 특허 제10-1395289호)도 존재하지만, 이 경우에도 여전히 온도조절기가 접속할 수 없는 범위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나아가, 최근에 등장하는 스마트기기 중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중 일부에서는 외부 인터넷망에 연결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에는 아예 접속을 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만약 사용자가 그러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고 있다면, "가상 AP" 모드로 동작을 하고 있지만, 외부 인터넷망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홈디바이스(2)에 스마트기기(1)가 아예 접속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원격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가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에만 접속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에 관한 요청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청에 부응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원격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가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에만 접속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 및 스마트기기들과 와이파이 통신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스마트기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현하는 가상AP구동부;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에 의하여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AP스캔부;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목록을 생성하는 AP리스트생성부;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 및 상기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 및 스마트기기들과 와이파이 통신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스마트기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현하는 가상AP구동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스마트기기들과 NFC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에 의하여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AP스캔부;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목록을 생성하는 AP리스트생성부;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 및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들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통신인터페이스부 중에서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강도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2회 이상 측정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각각의 신호강도값의 평균값의 크기 순서로 정렬하여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2회 이상 측정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각각의 신호강도값의 최대값의 크기 순서로 정렬하여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인증 서버를 이용한 인증에 사용되는 난수를 생성하는 난수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은,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연결된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연결된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스마트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NFC 수신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FC 수신모드를 실행한 후 상기 스마트기기와 NFC 프로토콜을 통한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구현하는 AP 등록모드로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된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스마트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구현하는 AP 등록모드로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AP 등록모드를 종료하고 평시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등록모드로 동작모드를 전환한 후 상기 스마트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NFC 수신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는,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는,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비밀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와이파이 연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전송되고,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는, 와이파이 연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생성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NFC 연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전송되고,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는, NFC 연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2회 이상 측정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각각의 신호강도값의 평균값의 크기 순서로 정렬하여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2회 이상 측정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각각의 신호강도값의 최대값의 크기 순서로 정렬하여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인증 서버를 이용한 인증에 사용되는 난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난수 및 고유코드를 상기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가정용 보일러 등 무선통신 가능한 기기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설정을 원격 제어함에 있어서, 원격제어 대상이 되는 기기가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에만 접속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환경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a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b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홈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홈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AP 리스트가 생성되는 절차(210)의 일례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AP 리스트가 생성되는 절차(210)의 다른 예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적용되는 환경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보일러의 실내 온도조절기를 홈디바이스(1)의 예로 들어, 홈디바이스(1)를 스마트기기(1)로 제어함으로써 홈디바이스(1)로 하여금 액세스 포인트(3)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에서, 온도조절기(1)와 홈디바이스(1)는 동일한 의미이다.
한편, 도 1에서, 홈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커버리지(A)는 홈디바이스가 와이파이를 통하여 타 기기에 접속할 수 있는 물리적인 범위를 의미한다.
홈디바이스(1)는 커버리지(A)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3,4)를 스캔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3,4)가 어느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커버리지(A) 내에 위치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5)의 경우에는 홈디바이스의 입장에서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로 취급된다.
홈디바이스(2)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들(3,4)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기기(1)로 제공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3)에 관한 SSID 및 비밀번호 정보 또한 NFC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2)로부터 제공받는다.
한편, 홈디바이스(1)는 와이파이 통신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작하는 액세스포인트(이하 "가상 AP")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홈디바이스(1)의 메뉴 버튼을 이용하여 간단히 평상시 모드로부터 가상 AP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홈디바이스(1)는 NFC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기기(2) 접속이 실패한 경우이거나 NFC 통신을 이용하지 않고 스마트기기(2)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상 AP 모드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프로토콜로 스마트기기(2)에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홈디바이스(1)가 가상 AP 모드로 전환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기기(1)를 이용하여 홈디바이스(1)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홈디바이스의 인터넷 접속 관리를 위하여 설치된 모바일앱을 이용하여 홈디바이스(1)로부터 그 홈디바이스(1)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들(3,4)에 관한 정보(예컨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SSID 목록, 나아가 SSID별 신호 강도)을 수신하고, 목록 중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액세스 포인트(3)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3)가 접속을 위하여 비밀번호를 요하는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스마트폰의 모바일앱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3)에 관한 SSID 및 비밀번호는 홈디바이스(1)로 다시 전달되고, 홈디바이스(1)는 이 SSID 및 비밀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3)에 접속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에 접속 성공한 홈디바이스(1)는 외부 인터넷에 연결되어 홈디바이스(1)의 기능에 관여하는 외부의 서버(4)와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홈디바이스(1)가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들(3,4) 중에서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홈디바이스(1)를 접속하는 스마트기기(1)의 커버리지에는 속하나, 홈디바이스(1)의 커버리지(A)에는 속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예컨대 액세스 포인트(5))에 잘못 접속 시도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NFC망을 이용하여 홈디바이스(2)와 스마트기기(1) 간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가상 AP 모드로 통신을 하는 경우에 비하여 장점이 있다.
예컨대 최근에 등장하는 스마트기기 중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가 탑재된 스마트기기 중 일부에서는 외부 인터넷망에 연결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에는 아예 접속을 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만약 사용자가 그러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고 있다면, "가상 AP" 모드로 동작을 하고 있지만, 외부 인터넷망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홈디바이스(2)에 스마트기기(1)가 접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홈디바이스(2)가 가상 AP 모드로 전환된 후 스마트기기(1)와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기기(1) 및 홈디바이스(2)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NFC 통신이 활성화(activation)되도록 하고, 와이파이 통신 대신 NFC 통신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3) 접속을 위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성공적으로 액세스 포인트(3)에 연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환경에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이루어지는 흐름을 스마트기기(1), 홈디바이스(2) 및 액세스 포인트(3)의 관점에서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홈디바이스(2)의 메뉴 버튼 등을 이용하여 홈디바이스(2)의 상태를 "AP 등록모드"로 전환한다(110). 이 상태에서 홈디바이스(2)는 인터넷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 가능 여부와 무관하게) 어떠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로서, 타 액세스 포인트로 연결상태를 변경하고자 하는 상태인 경우일 수도 있다. 한편, NFC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1)가 홈디바이스(2)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메뉴 버튼을 별도로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홈디바이스(2)가 NFC 수신모드로 전환됨으로써 AP 등록모드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는 홈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앱", 이하 같다)을 구동하고(100), 홈디바이스에 접속한다(102).
홈디바이스(2)에 스마트기기(1)가 접속되면, 홈디바이스(20)는 접속 가능 AP 리스트를 생성하고(120), 생성된 리스트를 스마트기기(1)로 전송한다(122).
이 때, 홈디바이스(2)와 스마트기기(1)는 NFC 통신과 와이파이 가상 AP 모드 중 어느 것으로 연결되더라도 무방하다. 연결의 방식은 스마트기기(1)의 앱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마트기기(1)는 홈디바이스(2)로부터 수신한 리스트 중에서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3)를 선택하고(130),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3)를 특정하는 정보(예컨대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홈디바이스(2)로 회신한다(132). 만약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별도의 비밀번호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기기(1)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SSID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132). 또는 만약 스마트기기(1)에 액세스 포인트(3)에 관한 비밀번호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면,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SSID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132).
홈디바이스(2)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3)에 접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SSID, 비밀번호 등)를 수신한 뒤, AP 등록모드를 종료하고(140), 선택되 액세스 포인트(3)에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142). 액세스 포인트(3)는 원래 홈디바이스(2)의 커버리지(A)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접속을 위하여 필요한 SSID 및 비밀번호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홈디바이스(2)와 액세스 포인트(3) 간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150).
이와 함께, 스마트기기(1)의 홈디바이스 제어 앱에서도 AP 등록모드가 종료된다(144).
도 3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홈디바이스(2)가 AP 등록모드로 전환되기 전의 평상 동작 모드에서도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를 생성한다는 것이다(120).
이 경우, 이미 접속 가능한 AP 리스트가 생성되어 있으므로, 스마트기기(1)가 홈디바이스에 접속하는 단계(102) 이후에 신속하게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122).
도 4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의 실시예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정당한 사용자만이 홈디바이스(2)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서버(4)를 통한 인증 절차가 더 수행된다는 점이다.
도 1 및 도 4의 서버(4)는, 홈디바이스(2)의 인증 및 회원등록을 수행하고, 사용자원격제어기로부터의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서버(4)는 다수의 홈디바이스에 대한 홈디바이스별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고유코드는 홈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널리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홈디바이스마다 서로 다르게 지정되는 일련번호(serial number)나 홈디바이스마다 서로 다르게 지정되는 바코드 번호(barcode number), 무선통신모듈마다 서로 다르게 지정되는 맥어드레스(MAC address) 중의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다.
홈디바이스(2)가 자체적으로 난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난수 및 홈디바이스(2)의 고유코드, 예컨대 맥어드레스(MAC Address)를 스마트기기(1)를 경유하여 서버(4)로 전송하면, 서버(4)는 난수 및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서버(4)의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홈디바이스(2)의 난수 및 고유코드와 비교하여, 스마트기기(1)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 권한을 가지고 있는 홈디바이스인지 여부에 관한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로서는 사용자 아이디(ID) 및 사용자 패스워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홈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164)에서 홈디바이스(2)의 난수 및 고유코드와 함께 서버(4)로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1)가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서버에 인증 요청을 하고(166), 홈디바이스 인증에 성공하면(164), 홈디바이스(20)는 접속 가능 AP 리스트를 생성하고(120), 생성된 리스트를 스마트기기(1)로 전송한다(122).
스마트기기(1)는 홈디바이스(2)로부터 수신한 리스트 중에서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3)를 선택하고(130),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3)를 특정하는 정보(예컨대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홈디바이스(2)로 회신한다(132). 만약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별도의 비밀번호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기기(1)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SSID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132). 또는 만약 스마트기기(1)에 액세스 포인트(3)에 관한 비밀번호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면,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SSID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132).
홈디바이스(2)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3)에 접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SSID, 비밀번호 등)를 수신한 뒤, AP 등록모드를 종료하고(140), 선택되 액세스 포인트(3)에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142). 액세스 포인트(3)는 원래 홈디바이스(2)의 커버리지(A)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접속을 위하여 필요한 SSID 및 비밀번호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홈디바이스(2)와 액세스 포인트(3) 간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150).
도 5a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앞서 도 1에서, 스마트기기(1)가 NFC 접속 또는 와이파이 접속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홈디바이스(2)에 접속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도 5는 이에 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1)의 홈디바이스 제어 앱이 구동되면(100), 스마트기기(1)가 AP 등록모드로 전환된(110) 홈디바이스(2)에 와이파이 접속을 시도한다(101).
만약 접속이 성공하면 이후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홈디바이스(2)에 접속하여, (102), 액세스 포인트의 선택에 관한 이후 절차가 이루어지는 것은 도 2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만약 접속이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는(103), 스마트기기(1)는 홈디바이스(2)와의 NFC 통신을 활성화한다(104). 이 경우, 이후 수행되는 모든 절차(120,122,130,132,140,142,144,150)는 도 2에서와 동일하나, 여기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122, 132)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가 아닌 NFC 방식이라는 점만이 다르다.
한편, 스마트기기(1)가 홈디바이스(2)에 와이파이 통신을 시도하는 절차와 NFC 통신을 시도하는 절차는 순서를 바꾸어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b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b에서는 스마트기기(1)의 홈디바이스 제어 앱이 구동되면(100), 스마트기기(1)가 홈디바이스(2)에 NFC 접속을 시도한다(101a). 홈디바이스(2)는 NFC 수신모드에 진입함으로써 AP 등록모드로 전환되고(110), 만약 접속이 성공하면 이후 NFC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홈디바이스(2)에 접속한다(102a).
그러나, 만약 접속이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는(103a), 스마트기기(1)는 홈디바이스(2)에 와이파이 접속을 시도한다(104a).
도 6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수행되는 홈디바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수행되는 홈디바이스(2)는, 제어부(20), 와이파이 인터페이스부(21), 가상AP구동부(22), NFC 인터페이스부(23), AP스캔부(24), AP리스트생성부(25) 및 메모리부(26)를 포함한다.
제어부(20)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와이파이 인터페이스부(21)는 타 액세스 포인트 및 스마트기기들과 와이파이 통신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가상AP구동부(22)는 스마트기기들이 와이파이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홈디바이스(2)에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홈디바이스(2)에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구현한다. 가상AP구동부(22)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도 6의 가상AP구동부(22)를 하드웨어적인 액세스 포인트로 구현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AP스캔부(24)는 홈디바이스(2)가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SSID, 신호강도 및 보안방식을 포함한다.
AP리스트생성부(25)는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목록을 생성한다.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을 무작위로 나열되도록 생성할 수도 있지만, 도 7 이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의 정렬 원칙을 설정하고 그 원칙에 따라 나열되도록 생성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26)는 홈디바이스(2)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26)는 홈디바이스(2)의 고유코드를 저장한다.
한편, 홈디바이스(2)의 인증을 위하여 고유코드 및 난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홈디바이스(2)는 난수생성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난수생성부(27)는 홈디바이스(2)의 인증에 사용되는 난수를 생성한다. 난수생성부(27)에서 생성된 난수는 메모리부(26)에 저장될 수 있다. 생성된 난수가 고유코드와 함께 스마트기기(1)를 경유하여 서버(4)로 전송됨은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은 홈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 스캔 단계(200),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생성 단계(210),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전송 단계(220) 및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230)를 포함한다.
홈디바이스(2)는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 스캔 단계를 수행한다(200). 수집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SSID, 신호강도 및 보안방식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홈디바이스(2)는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목록을 생성한다(210).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을 무작위로 나열되도록 생성할 수도 있지만, 액세스 포인트의 정렬 원칙을 설정하고 그 원칙에 따라 나열되도록 생성할 수도 있다.
홈디바이스(2)는 생성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홈디바이스(2)에 와이파이 또는 NFC를 통하여 연결된 스마트기기(1)에 전송한다.
이후,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가 스마트기기(1)에서 선택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3)에 관한 SSID 및 비밀번호 정보가 스마트기기(1)로부터 전송되면, 홈디바이스(2)는 SSID 및 비밀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3)에 접속한다.
도 8은 홈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의 실시예가 도 7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홈디바이스(2)가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210) 후에,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240)가 더 추가된다는 점이다.
이처럼 홈디바이스(2)는 일단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메모리부(26)에 저장한 뒤,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요청에 따라 스마트기기(1)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 밖의 단계에 대한 설명은 중복적이므로 생략한다.
도 9은 AP 리스트가 생성되는 절차(210)의 일례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액세스 포인트별 신호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강도가 시간에 따라 다소 변동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홈디바이스(2)는 액세스 포인트 스캔 단계를 소정의 회수(N회: N은 1 또는 2 이상의 정수)만큼 반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201).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 스캔이 이루어질 때마다, 스캔된 액세스 포인트별로 신호강도(RSSI값)를 저장하는 단계가 N회만큼 수행된다(212).
N회의 액세스 포인트 스캔 및 RSSI값 저장 단계가 완료되면, 액세스포인트별로 측정된 RSSI값의 평균값이 계산된다(214).
이후, 평균값의 순서로 정렬하여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가 생성된다(215).
이와 같이 하면,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 그 중 신호강도가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홈디바이스(2)가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통신의 품질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AP 리스트가 생성되는 절차(210)의 다른 예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와 도 10의 차이점은, 도 9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강도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생성하는 반면, 도 10에서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강도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생성한다는 점이다.
홈디바이스(2)에서 N회만큼 액세스 포인트 스캔이 이루어지는 것은 도 9에서와 동일하다(201).
또한, 액세스 포인트 스캔이 이루어질 때마다, 스캔된 액세스 포인트별로 신호강도(RSSI값)를 저장하는 단계가 N회만큼 수행된다(212).
N회의 액세스 포인트 스캔 및 RSSI값 저장 단계가 완료되면, 액세스포인트별로 측정된 RSSI값의 최대값이 선정된다(214).
이후, 최대값의 순서로 액세스 포인트가 정렬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가 생성된다(215).
도 10에 의하더라도,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 그 중 신호강도가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홈디바이스(2)가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통신의 품질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 . . . . 스마트기기
2 . . . . . . 홈디바이스
3 . . . . . . 액세스포인트
4 . . . . . . 서버
20 . . . . . . 제어부
21 . . . . . . 와이파이 인터페이스부
22 . . . . . . 가상AP구동부
23 . . . . . . NFC 인터페이스부
24 . . . . . . AP스캔부
25 . . . . . . AP리스트생성부
26 . . . . . . 메모리부
27 . . . . . . 난수생성부

Claims (20)

  1. 액세스 포인트 및 스마트기기들과 와이파이 통신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
    외부 인터넷망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스마트기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현하는 가상AP구동부;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에 의하여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AP스캔부;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목록을 생성하는 AP리스트생성부;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 및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2. 액세스 포인트 및 스마트기기들과 와이파이 통신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
    외부 인터넷망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스마트기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구현하는 가상AP구동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스마트기기들과 NFC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에 의하여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AP스캔부;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목록을 생성하는 AP리스트생성부;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 및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들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통신인터페이스부 중에서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SSID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강도값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2회 이상 측정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각각의 신호강도값의 평균값의 크기 순서로 정렬하여 생성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2회 이상 측정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각각의 신호강도값의 최대값의 크기 순서로 정렬하여 생성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의 인증 서버를 이용한 인증에 사용되는 난수를 생성하는 난수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8. 접속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의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외부 인터넷망에 연결되지 않고, 스마트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구현하는 AP 등록모드로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생성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연결된 상기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SSID를 포함하는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스마트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스마트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NFC 수신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NFC 수신모드를 실행한 후 상기 스마트기기와 NFC 프로토콜을 통한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구현하는 AP 등록모드로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AP 등록모드를 종료하고 평시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P 등록모드로 동작모드를 전환한 후 상기 스마트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NFC 수신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14. 삭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는,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비밀번호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와이파이 연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전송되고,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는, 와이파이 연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NFC 연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전송되고, 상기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는, NFC 연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2회 이상 측정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각각의 신호강도값의 평균값의 크기 순서로 정렬하여 생성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2회 이상 측정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각각의 신호강도값의 최대값의 크기 순서로 정렬하여 생성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20. 제8항에 있어서,
    외부의 인증 서버를 이용한 인증에 사용되는 난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난수 및 고유코드를 상기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KR1020160037884A 2016-03-29 2016-03-29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KR10182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884A KR101825432B1 (ko) 2016-03-29 2016-03-29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PCT/KR2017/000301 WO2017171211A1 (ko) 2016-03-29 2017-01-10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CN201780021693.4A CN109075989A (zh) 2016-03-29 2017-01-10 无线访问节点连接远程管理方法以及实现无线访问节点连接远程管理方法的家庭设备
RU2018137845A RU2018137845A (ru) 2016-03-29 2017-01-10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к точке доступа и домашне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котором осуществляется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к точке доступа
US16/139,525 US20190097830A1 (en) 2016-03-29 2018-09-24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connection to access point, and home device in which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connection to access point is implemen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884A KR101825432B1 (ko) 2016-03-29 2016-03-29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91A KR20170111791A (ko) 2017-10-12
KR101825432B1 true KR101825432B1 (ko) 2018-03-22

Family

ID=5996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884A KR101825432B1 (ko) 2016-03-29 2016-03-29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097830A1 (ko)
KR (1) KR101825432B1 (ko)
CN (1) CN109075989A (ko)
RU (1) RU2018137845A (ko)
WO (1) WO20171712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281A (ko) * 2018-11-08 2020-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5123A (zh) * 2020-04-30 2020-09-01 广东科徕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配网的方法、设备、存储介质
KR102575571B1 (ko) * 2020-12-02 2023-09-07 (주)쿠첸 다중 채널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20220386223A1 (en) * 2021-05-28 2022-12-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5845A1 (en) * 2003-02-28 2004-09-23 Microsoft Corporation Access point to access point range extension
KR100534611B1 (ko) * 2003-06-04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30055501A (ko) * 2011-11-18 2013-05-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세스 포인트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1844211B1 (ko) * 2011-12-28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CN103200567A (zh) * 2012-01-05 2013-07-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WiFi接入的方法和***
CN103428799B (zh) * 2012-05-16 2016-04-13 海尔集团公司 Wifi网络模块配置方法
JP6250922B2 (ja) * 2012-09-18 2017-12-20 株式会社アイ・オー・データ機器 無線接続システム
CN103916297A (zh) * 2013-01-06 2014-07-09 海尔集团公司 物联网家电、***、无线智能终端及数据传输和配置方法
KR102090797B1 (ko) * 2013-12-20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게이트웨이 장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에서 마스터 게이트웨이 결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281A (ko) * 2018-11-08 2020-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KR102137422B1 (ko) * 2018-11-08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97830A1 (en) 2019-03-28
RU2018137845A (ru) 2020-04-29
CN109075989A (zh) 2018-12-21
RU2018137845A3 (ko) 2020-04-29
WO2017171211A1 (ko) 2017-10-05
KR20170111791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4526B2 (en) Network setup for limited user interface devices
EP3896916B1 (en) Network distribution method for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825432B1 (ko)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원격 관리방법이 구현된 홈디바이스
CN105453671B (zh) 在无线通信***中注册无线设备的方法和装置
US9769245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a domestic appliance and a user terminal, a domestic appliance, and a system comprising a domestic appliance and a user terminal
RU2513677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пособ связи для него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EP3051745B1 (en) Security management method and security management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US20210235516A1 (en) Network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177932B2 (en) Method for connecting a domestic appliance to a wireless home network, computer program product,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domestic appliance
CN109862605A (zh) 一种用于终端设备的连网方法及设备
CN112230554B (zh) 联动控制方法及***、终端、计算机装置和存储介质
KR101465522B1 (ko)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실행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34678A1 (en) Configuration of wireless devices
KR20210026834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CN111818528B (zh) 无线局域网的连接方法、装置、存储介质及无线接入设备
CN112188488A (zh) 一种配网方法、装置及***
CN110830336A (zh) 一种智能家居的WiFi设备管理的方法及装置
CN112152887A (zh) 家电设备的配网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114992B1 (ko) 무선 통신 장비 및 무선 통신 장비의 메쉬 네트워크 구성 방법
KR1022149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CN10591541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设备
JP2017514410A (ja) 判別方法および対応する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および記憶媒体
CN104853352A (zh) 一种接入认证方法及装置
CN105828274A (zh) 一种终端的连接方法、第一终端及第二终端
JP6270491B2 (ja) 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