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394B1 - 주방도구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주방도구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394B1
KR101825394B1 KR1020160012840A KR20160012840A KR101825394B1 KR 101825394 B1 KR101825394 B1 KR 101825394B1 KR 1020160012840 A KR1020160012840 A KR 1020160012840A KR 20160012840 A KR20160012840 A KR 20160012840A KR 101825394 B1 KR101825394 B1 KR 101825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cup
fork
cradle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926A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리플렉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플렉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플렉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3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도구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컵; 상기 컵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방도구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이 담긴 식기들이 놓여지는 테이블에, 컵과 스푼, 나이프, 포크, 스틱 등의 도구 세트가 놓여지는 면적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담긴 식기들이 놓여지는 테이블에 신비로움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주방도구어셈블리{UTENSIL ASSEMBLY}
본 발명은 주방도구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도구는 음식물을 담는 식기류와, 음식물을 뜨거나 자르는 도구류 등이 있다. 식기류는 그릇과 접시 등이 포함되고, 도구류는 스푼(spoon)(숟가락), 나이프(knife), 포크(fork), 스틱(젓가락) 등이 있다.
이러한 식기류와 도구류는 금속재료나 세라믹 재료, 목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격과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료 또는 종이 재료로 제작된다.
실내에서 회식을 하거나 야외에서 행사 또는 파티를 할 때 테이블(또는 식탁)에 음식이 담긴 식기가 배열되고 참석 인원을 고려하여 컵과 도구류가 배치된다.
그러나, 테이블에 참석 인원을 고려하여 컵과 스푼, 나이프, 포크, 스틱 등의 도구 세트를 참석 인원에 맞게 배열하게 될 경우 컵과 도구 세트가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음식이 담긴 식기들을 충분히 배열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참석 인원이 많을 경우 참석 인원에 맞게 컵과 도구 세트를 맞추어 배열할 때 도구가 빠지거나 중복되게 배열되어 참석자가 식사를 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40428호(2012. 04. 27. 공개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야외영 스푼, 나이프, 포크 및 이를 적층한 식기도구 세트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식기도구를 휴대하기 편리하나, 서로 중첩되어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이 담긴 식기들이 놓여지는 테이블에, 컵과 스푼, 나이프, 포크, 스틱 등의 도구 세트가 놓여지는 면적을 최소화시키는 주방도구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치 면적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한 주방도구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이 담긴 식기들이 놓여지는 테이블에 신비로움을 제공하는 주방도구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측이 상측보다 작은 컵; 상기 컵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방도구세트;를 포함하는 주방도구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컵은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가장자리에 절곡 연장되며 상기 바닥판부와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하단의 내측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운데 구비되어 상기 주방도구세트가 착탈되는 착탈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대의 하부는 탄성을 갖도록 내부에 개구된 공간이 구비되어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컵의 몸통부의 하단과 상단은 각각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컵의 몸통부의 하단과 상단은 각각 사각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방도구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하면부과, 상기 하면보다 크기가 작은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운데 구비되어 상기 주방도구세트가 착탈되는 착탈홀을 포함하는 주방도구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하면부와 상면부는 각각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대의 하면부와 상면부 사이 외면은 곡면이며, 상기 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홈이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방도구세트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의 양쪽에 위치하는 포크와 스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이프의 손잡이부의 중간부분에 제1,2 결합홈들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끝부분에 제3,4 결합홈들이 구비되고, 상기 포크의 손잡이부에 제1,3 결합홈들에 각각 결합되는 제1,3 결합돌기들이 구비되며, 상기 스푼의 손잡이부에 제2,4 결합홈들에 각각 결합되는 제2,4 결합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이프; 상기 나이프의 한쪽을 감싸도록 나이프에 결합되는 포크; 상기 나이프의 다른 한쪽을 감싸도록 나이프에 결합되며, 상기 포크와 함께 나이프를 감싸는 스푼을 포함하는 주방가구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나이프의 손잡이부의 중간부분에 제1,2 결합홈들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끝부분에 제3,4 결합홈들이 구비되고, 상기 포크의 손잡이부에 제1,3 결합홈들에 각각 결합되는 제1,3 결합돌기들이 구비되며, 상기 스푼의 손잡이부에 제2,4 결합홈들에 각각 결합되는 제2,4 결합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컵과, 도구인 나이프, 포크, 스푼 등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음식물이 담긴 식기들이 놓여지는 테이블에 배치시 배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회식을 하거나 야외에서 행사 또는 파티를 할 때 테이블(또는 식탁)에 음식물이 담긴 식기들을 배열하는 자리가 넓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컵과, 도구인 나이프, 포크, 스푼 등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거나, 도구인 나이프, 포크, 스푼 등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사용자들의 각 자리에 세팅시 도구의 구성요소가 빠지거나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테이블에 식기 도루를 세팅하는(설치하는) 작업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세팅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현장에서 행사나 파티를 준비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컵과, 도구인 나이프, 포크, 스푼 등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거나, 도구인 나이프, 포크, 스푼 등이 분리 가능하게 하나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테이블에 세팅(설치) 후 사용자로 하여금 신비로움을 주게되며, 또한 테이블에 입체적으로 배열되므로 테이블 위의 미적 분위기를 높여 주게 될 뿐만 아니라 풍성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거치대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주방도구세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주방도구세트의 착탈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세트가 구비된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세트가 구비된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세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는 컵(10)과, 컵(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20)와, 거치대(20)에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방도구세트(A);를 포함한다.
컵(10)은 유체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다. 컵(10)의 하측이 상측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컵(10)의 일예로, 컵(10)은 바닥판부(11)와, 바닥판부(11)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되며 바닥판부(11)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12)를 포함한다. 컵(10)의 바닥판부(11)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몸통부(12)는 원통체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보다 작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컵(10)의 몸통부(12)의 하단과 상단은 각각 원형이다. 즉, 원뿔 형상의 뾰족한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되, 외주면이 곡면인 형상이다.
컵(10)의 다른 예로, 컵(10)의 바닥판부(11)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몸통부(12)는 사각통체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의 크기가 상부의 크기보다 작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컵(10)의 몸통부(12)의 하단과 상단은 각각 사각형이다. 즉, 사각뿔 형상의 뾰족한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되, 측면들이 각각 곡면인 형상이다.
컵(1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컵(10)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20)는 컵(10)의 몸통부(12)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컵(10)의 몸통부(12)의 하단의 내측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하면부(21)와, 하면부(2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상면부(22)와, 상면부(22)의 가운데 구비되어 주방도구세트(A)가 착탈되는 착탈홀(23)을 포함한다. 컵(10)의 몸통부(12)가 원통체일 경우 거치대(20)의 하면부(21)와 상면부(22)는 각각 원형이며, 원형 하면부(21)는 균일한 두께와 폭을 갖는 환형판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컵(10)의 몸통부(12)가 사각통체일 경우 거치대(20)의 하면부(21)와 상면부(22)는 각각 사각형이다. 착탈홀(23)은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탈홀(23)은 거치대(2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거치대의 하면부(21)와 상면부(22)는 사각형 이외에도 삼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거치대(20)의 하부는 탄성력을 갖도록 설정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거치대(20)의 하면에 개구된 공간(24)이 구비되어 거치대(20)의 하부가 원통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거치대(20)의 하부가 원통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두께를 갖게 될 경우 거치대의 하면부(21)의 환형판 부분 외주면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탄성력을 가지면서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거치대(20)를 컵(10)의 내부에 착탈시 착탈이 원활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20)의 하면부(21)와 상면부(22) 사이 외면은 곡면이며, 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홈(25)이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20)의 외면에 직선홈(25)들이 구비되면 유체가 묻을 경우 쉽게 아래로 흐르게 될 뿐만 아니라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거치대(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컵과 거치대는 일체로 형성되어 한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일체화된 컵과 거치대는 주방도구세트를 설치하는 기능과, 유체를 담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주방도구세트(A)의 일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방도구세트(A)는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이프(30)의 한쪽에 포크(40)가 위치하고 나이프(30)의 다른 한쪽에 포크(40)와 함께 나이프(30)를 감싸는 스푼(50)이 위치한다. 나이프(30)는 손잡이부(31)와 손잡이부(31)에 연결된 칼날부(32)를 포함한다. 포크(40)는 손잡이부(41)와 손잡이부(41)에 연결된 다수 개의 발부(42)를 포함한다. 스푼(50)은 손잡이부(51)와 손잡이부(51)에 연결되어 내부에 홈이 구비된 물체담는부(52)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40)는 나이프(30)의 한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푼(50)은 나이프(30)의 다른 한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나이프(30)의 손잡이부(31)의 중간부분에 제1,2 결합홈(33)(34)들이 구비되고, 손잡이부(31)의 끝부분에 제3,4 결합홈(35)(36)들이 구비된다. 제1,2 결합홈(33)(34)들은 동일 위치에 위치하되, 서로 반대쪽으로 형성된다. 제3,4 결합홈(35)(36)들 또한 동일 위치에 위치하되, 서로 반대편으로 형성된다. 포크(40)의 손잡이부(41)에 제1,3 결합홈(33)(34)들에 각각 결합되는 제1,3 결합돌기(43)(44)들이 구비된다. 포크(40)의 제1 결합돌기(43)는 손잡이부(41)의 중간부분에 위치되고 제3 결합돌기(44)는 손잡이부(41)의 끝부분에 구비된다. 스푼(50)의 손잡이부(51)에 제2,4 결합홈(35)(36)들에 각각 결합되는 제2,4 결합돌기(53)(54)들이 구비된다. 스푼(50)의 제2 결합돌기(53)는 손잡이부(51)의 중간부분에 구비되고 제4 결합돌기(54)는 손잡이부(51)의 끝부분에 구비된다. 포크(40)가 나이프(30)에 결합시 포크(40)가 나이프(30)의 한쪽을 감싸면서 포크(40)의 제1,3 결합돌기(43)(44)가 나이프(30)의 제1,3 결합홈(33)(35)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푼(50)이 나이프(30)에 결합시 스푼(50)이 나이프(30)의 다른 한쪽을 감싸면서 스푼(50)의 제2,4 결합돌기(53)(54)가 나이프(30)의 제2,4 결합홈(34)(36)에 결합된다. 나이프(30)의 손잡이부(31) 끝부분에 제3,4 결합홈(35)(36)이 구비되고 포크(40)의 손잡이부(41) 끝부분과 스푼(50)의 손잡이부(51) 끝부분에 제3,4 결합돌기(44)(54)가 구비되어 나이프(30)에 포크(40)와 스푼(50)이 결합시 손잡이부(31)(41)(51)의 끝 부분이 서로 밀착되어 거치대(20)의 착탈홀(23)에 삽입시 쉽게 삽입된다. 사용시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을 각각 분리하여 사용한다.
한편, 나이프(30)에 제1,2 결합홈(33)(34)들 또는 제3,4 결합홈(35)(36)들만이 구비되고, 포크(40)와 스푼(50)에도 각각 한 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주방도구세트(A)는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 중 두 개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주방도구세트(A)는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 이외에 다른 도구가 추가되거나 교체될 수도 있다. 또한, 주방도구세트는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식탁에 위치시 주방도구세트(A)를 구성하는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을 합치거나 서로 결합한 다음 주방도구세트(A)를 거치대(20)의 착탈홀(23)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주방도구세트(A)가 결합된 거치대(20)를 컵(10)의 내부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어셈블리를 식탁위에 놓는다. 사용시 주방도구세트(A)가 결합된 거치대(20)를 컵(10)으로부터 분리시켜 거치대(20)를 식탁위에 놓고 컵(10)을 사용한다. 또한, 주방도구세트(A)를 사용시 주방도구세트(A)를 분리하고 분리된 나이프(30), 스푼(50), 포크(40)를 사용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세트가 구비된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세트가 구비된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는 거치대(20)와, 거치대(20)에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방도구세트(A);를 포함하며, 거치대(20)는 하면부(21)과, 하면보다 크기가 작은 상면부(22)와, 상면부(22)의 가운데 구비되어 주방도구세트(A)가 착탈되는 착탈홀(23)을 포함한다.
거치대(20)의 하면부(21)와 상면부(22)는 각각 원형이다. 하면부(21)가 원형인 경우 균일한 두께와 폭을 갖는 환형판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거치대(20)의 하면부(21)와 상면부(22)는 각각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착탈홀(23)은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탈홀(23)은 거치대(2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거치대(20)의 하면부(21)와 상면부(22) 사이 외면은 곡면이며, 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홈(25)이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20)의 외면에 직선홈(25)들이 구비되면 유체가 묻을 경우 쉽게 아래로 흐르게 될 뿐만 아니라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한편, 거치대(20)의 하부 내부는 개구된 공간이 구비되어 거치대(20)의 하부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주방도구세트(A)는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이프(30)의 한쪽에 포크(40)가 위치하고 나이프(30)의 다른 한쪽에 포크(40)와 함께 나이프(30)를 감싸는 스푼(50)이 위치한다.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의 각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은 착탈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주방도구세트(A)는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 중 두 개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주방도구세트(A)는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 이외에 다른 도구가 추가되거나 교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식탁에 위치시 주방도구세트를 구성하는 나이프(30), 포크(40), 스푼(50)을 합치거나 서로 결합한 다음 주방도구세트(A)를 거치대(20)의 착탈홀(23)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어셈블리를 식탁위에 놓는다. 사용시 주방도구세트(A)를 분리하고 분리된 나이프(30), 스푼(50), 포크(40)를 사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세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세트의 일실시예는, 나이프(30); 나이프(30)의 한쪽을 감싸도록 나이프(30)에 결합되는 포크(40); 나이프(30)의 다른 한쪽을 감싸도록 나이프(30)에 결합되며, 포크(40)와 함께 나이프(30)를 감싸는 스푼(50)을 포함한다. 나이프(30)는 손잡이부(31)와 손잡이부(31)에 연결된 칼날부(32)를 포함한다. 포크(40)는 손잡이부(41)와 손잡이부(41)에 연결된 다수 개의 발부(42)를 포함한다. 스푼(50)은 손잡이부(51)와 손잡이부(51)에 연결되어 내부에 홈이 구비된 물체담는부(52)를 포함한다. 나이프(30)의 손잡이부(31)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포크(40)의 손잡이부(41)와 스푼(50)의 손잡이부(51)는 나이프(30)의 손잡이부(31)를 감싸도록 각각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포크(40)는 나이프(30)의 한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푼(50)은 나이프(30)의 다른 한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나이프(30)와 포크(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와, 나이프(30)와 스푼(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나이프(30)와 포크(40), 그리고 나이프(30)와 스푼(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와 같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도구어셈블리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컵과, 도구인 나이프, 포크, 스푼 등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음식물이 담긴 식기들이 놓여지는 테이블에 배치시 배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회식을 하거나 야외에서 행사 또는 파티를 할 때 테이블(또는 식탁)에 음식물이 담긴 식기들을 배열하는 자리가 넓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컵과, 도구인 나이프, 포크, 스푼 등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거나, 도구인 나이프, 포크, 스푼 등이 하나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사용자들의 각 자리에 세팅시 도구의 구성요소가 빠지거나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테이블에 식기 도루를 세팅하는(설치하는) 작업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세팅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현장에서 행사나 파티를 준비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컵과, 도구인 나이프, 포크, 스푼 등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거나, 도구인 나이프, 포크, 스푼 등이 분리 가능하게 하나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테이블에 세팅(설치) 후 사용자로 하여금 신비로움을 주게되며, 또한 테이블에 입체적으로 배열되므로 테이블 위의 미적 분위기를 높여 주게 될 뿐만 아니라 풍성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10; 컵 20; 거치대
30; 나이프 40; 포크
50; 스푼 A; 주방도구세트

Claims (3)

  1. 컵;
    상기 컵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방도구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컵은 원형의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가장자리에 절곡 연장되며 상기 바닥판부와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하단의 내측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와 두께와 폭을 갖는 환형판 부분을 포함하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가운데 구비되어 상기 주방도구세트가 착탈되는 착탈홀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의 하면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 탄성력을 가지면서 변형되도록 상기 거치대의 하면부 하면에 개구된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가 상기 컵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의 하면부의 환형판 부분의 외주면이 상기 컵의 몸통부의 하단 내주면에 접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도구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도구세트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의 양쪽에 위치하는 포크와 스푼을 포함하는 주방도구어셈블리.
  3. 삭제
KR1020160012840A 2016-02-02 2016-02-02 주방도구어셈블리 KR10182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840A KR101825394B1 (ko) 2016-02-02 2016-02-02 주방도구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840A KR101825394B1 (ko) 2016-02-02 2016-02-02 주방도구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926A KR20170091926A (ko) 2017-08-10
KR101825394B1 true KR101825394B1 (ko) 2018-02-06

Family

ID=5965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840A KR101825394B1 (ko) 2016-02-02 2016-02-02 주방도구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3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194Y1 (ko) * 1997-05-22 2000-03-02 최병석 수저통
KR101311373B1 (ko) * 2012-09-17 2013-09-25 이승호 결합형 조리및식사도구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194Y1 (ko) * 1997-05-22 2000-03-02 최병석 수저통
KR101311373B1 (ko) * 2012-09-17 2013-09-25 이승호 결합형 조리및식사도구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926A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79616S1 (en) Combined silverware and utensil holder with strainer
USD575996S1 (en) Kitchen utensil holder
USD527229S1 (en) Large cutlery tray
USD899224S1 (en) Suction cup with handle and base
USD587970S1 (en) Children's dining set
USD502358S1 (en) Kitchen blender/processor
USD925996S1 (en) Combined spoon/knife and spork utensil assembly
USD910386S1 (en) Spoon shaped eating utensil with spork portion
USD909821S1 (en) Spoon shaped eating utensil with spork portion
US8418971B2 (en) Utensil holding kit
USD530986S1 (en) Cutlery set
USD530987S1 (en) Fork
USD509991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USD504797S1 (en) Handle for barbeque utensils
KR101825394B1 (ko) 주방도구어셈블리
USD487214S1 (en) Ergonomic disposable plate handle
US6109583A (en) Tabletop having transparent surface and non scratch feet
USD991736S1 (en) Blender
TWM512360U (zh) 防滑食物容器之組合結構
USD1015082S1 (en) Utensil rest with lid holder
USD503875S1 (en) Handheld kitchen cutting appliance
USD528874S1 (en) Set of kitchen utensils on a support
US20110303679A1 (en) Drip dish
USD507159S1 (en) Salad grater
KR101245417B1 (ko) 다용도 수세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