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331B1 -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 Google Patents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331B1
KR101825331B1 KR1020170095353A KR20170095353A KR101825331B1 KR 101825331 B1 KR101825331 B1 KR 101825331B1 KR 1020170095353 A KR1020170095353 A KR 1020170095353A KR 20170095353 A KR20170095353 A KR 20170095353A KR 101825331 B1 KR101825331 B1 KR 10182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vehicle
auxiliary
hinge bracket
sprocke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Original Assignee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filed Critical 장진만
Priority to KR102017009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01B73/02Folding frames
    • A01B73/04Folding frames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01B69/008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automat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크롤러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재 및 작업대와, 크롤러의 주행 및 조향을 가능케 하는 조향장치를 포함하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에 있어서, 적재 및 작업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작업대; 및 적재 및 작업대에 구비되어 보조작업대를 적재 및 작업대의 양측면으로 인출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Extension type worktable having vehicle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 및 작업대의 양측면으로 보조작업대가 출입되도록 구성한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과수의 가지치기 및 과실 수확을 하기 위해서는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이용하여 작업하고, 수확한 과실은 운반차를 이용하여 운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124625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궤도타입 고소작업차량'으로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궤도타입 고소작업차량은, 궤도대차와, 이 궤도대차에 탑재되는 대차프레임과, 이 대차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접힘 내지 펼침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X자형 링크와, 이 X자형 링크의 상단에 설치된 고소작업대를 포함하는 궤도타입 고소작업차량에 있어서, 상기 궤도대차는 폭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궤도프레임과, 이들 궤도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복수의 크로스부재와, 상기 궤도프레임에 각각 장착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하는 2개의 무한궤도와, 상기 궤도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과의 접지 길이를 연장시킴효과를 얻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가변 롤링유닛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소작업차량은 X자형 링크에 의해 승강되는 고소작업대에 의해 높은 위치에 있는 과실을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고, 고소작업대의 전방부에 위치한 조작부를 통해 고소작업차량을 주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운반차는 수확한 과실을 싣고 운반하는 차량으로서, 종래의 운반차는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472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 '관리기를 이용한 운반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2에 개시된 관리기를 이용한 운반 장치는, 관리기; 상기 관리기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물체를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적재부; 및 상기 관리기와 상기 적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운반 장치는 관리기 즉 트랙터의 후방에 적재부를 연결한 형태로서, 수확한 과실이 담긴 상자가 적재되는 적재부에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로 관리기를 직접 조종하여 운반 장치를 주행함으로써 수확한 과실을 운반하게 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고소작업차량은 차체 구조의 특성상 높은 위치의 과실은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의 작업대를 리프팅시켜 간편하게 수확할 수는 있으나, 반대로 낮은 위치의 과실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작업대를 하강시켜도 하강된 작업대가 높은 지상고를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내려 도보로 이동하면서 낮은 위치의 과실을 수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1,2에 개시된 고소작업차량과 운반 차량의 조향장치는 작업자가 직접 조향장치를 조종하여 주행하는 타입으로, 차량의 주행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항상 제한된 일정한 위치에서 조향장치를 조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운전과 작업을 왔다갔다 하면서 번갈아 해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고소작업차량과 운전 차량 및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124625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47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적재 및 작업대의 양측면 하부에서 보조작업대가 출입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보조작업대에 앉은 상태로 낮은 위치의 과실을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차량의 보조작업대에 앉은 상태로 차량의 조향장치를 조종하여 차량을 주행할 수 있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은, 크롤러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재 및 작업대와, 크롤러의 주행 및 조향을 가능케 하는 조향장치를 포함하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에 있어서, 적재 및 작업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작업대; 및 적재 및 작업대에 구비되어 보조작업대를 적재 및 작업대의 양측면으로 인출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수단은, 적재 및 작업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휠; 구동스프로킷휠과 이격되어 정.역회전되게 구비되는 종동스프로킷휠; 및 구동스프로킷휠과 종동스프로킷휠에 엇갈리게 걸림되어 구비되고 그 양단부는 보조작업대의 양측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체인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보조작업대를 적재 및 작업대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보조작업대의 양측에는 체인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적재 및 작업대에는 보조작업대와 같이 이동되는 고정브라켓과 접촉되어 스위칭됨에 따라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조작업대가 출입되는 적재 및 작업대의 출입구에는 출입되는 보조작업대의 표면을 청소하는 브러쉬가 구비될 수도 있다.
게다가, 조향장치는, 차량의 전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종하는 힌지브라켓; 힌지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한편 이의 회전에 의해 차량의 주행 모드가 수동 모드 또는 리모컨 모드로 선택되는 링크부; 및 링크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힌지브라켓에는 링크부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 되면서 차량의 주행 모드를 수동 모드 또는 리모컨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스위치가 구비되고, 힌지브라켓과 링크부 사이에는 회전된 링크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스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에 따르면, 적재 및 작업대의 양측면 하부에서 보조작업대가 적재 및 작업대와 평행하게 인출됨으로써 작업자가 보조작업대에 앉은 상태로 낮은 위치의 과실을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보조작업대에 앉은 상태로 차량의 조향장치를 무선으로 조종하여 한자리에 앉아서 과실을 수확하면서 차량을 주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행동반경이 최소화되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작업대가 인출된 상태의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작업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작업대의 인출수단을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 구성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작업대의 인출시 고정브라켓과 리미트스위치 간의 접촉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에 구성되는 조향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의 리모컨 모드 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의 수동 모드 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의 힌지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과, 이에 구성되는 보조작업대와 조향장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궤도 타입의 양 크롤러(110)와, 양 크롤러(110)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재 및 작업대(120)와, 적재 및 작업대(120)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양 크롤러(110)를 각각 구동시키는 각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장되는 하우징(130)과, 하우징(130)에 구비되는 조향장치(200)를 포함한다.
양 크롤러(110)는 각 구동모터에 의해 각기 구동됨으로써 차량(100)의 선회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양 크롤러(110)는 회전수와 회전속도가 각기 달리 제어됨에 따라 차량(100)을 좌회전 또는 우회전으로 선회시킬 수 있게 된다.
적재 및 작업대(120)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로 이용되는 한편 수확한 과실을 적재하는 적재함으로도 이용되는 공간으로, 양 크롤러(110)의 상부에서 크로스링크(X자형 링크)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고, 그 상면 테두리부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한 안전난간(12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적재 및 작업대(120)의 양측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보조작업대(140)가 출입되게 구비되고, 이와 같은 보조작업대(140)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하우징(130)은 그 내부 양측에 양 크롤러(110)를 별개로 각각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각각 구비되고, 각 구동모터에는 감속기가 연결되어 구비됨으로써 고속회전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각 크롤러(110)에 감속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모터는 후술될 엔코더(250)와 연동되어 컨트롤러에 의해 양 크롤러(110)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를 각기 다르게 구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컨트롤러는 차량(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적재 및 작업대(120)에는 보조작업대(140)가 더 구비되고, 보조작업대(140)는 적재 및 작업대(120)의 외측으로 인출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작업대(140)는 적재 및 작업대(120)의 바닥면보다 낮은 높이로 인출되게 구비되어, 작업자가 보조작업대(140)에 앉은 상태로 낮은 위치의 과실을 수확할 수 있는 저상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보조작업대(140)는 적재 및 작업대(120)의 하부에서 적재 및 작업대(120)를 받쳐 지지하는 프레임(124)에 구비되어 적재 및 작업대(120)의 양측면으로 출입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적재 및 작업대(120)의 양측면에는 보조작업대(140)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22)가 각각 형성되고, 출입구(122)의 내주면에는 적재 및 작업대(120)에서 출입되는 보조작업대(140)를 청소할 수 있는 브러쉬(123)가 구비된다.
이러한 브러쉬(123)는 작업자가 앉는 보조작업대(140)의 상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출입구(122)의 내주면 상부에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조작업대(140)가 출입구(122)를 통해 적재 및 작업대(120)에서 출입될 때마다 그 표면이 브러쉬(123)와 접촉되어 청소됨으로써 작업 후 적재 및 작업대(120) 내부로 인입되는 보조작업대(140) 상의 이물질이 깨끗하게 제거되고, 이로 인해 적재 및 작업대(120) 내부로 이물질의 침투를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보조작업대(14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보조작업대(140)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조작업대(140)는 적재 및 작업대(120)의 출입구(122)를 통해 출입될 수 있도록 통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보조작업대(140)의 하면에는 프레임(141)이 설치되어 보조작업대(140)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조작업대(14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전,후 양측부에 다수의 롤러(144)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롤러(144)에 대응한 적재 및 작업대(120)의 프레임(124)에는 상하 한쌍의 가이드레일(145)이 양측으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롤러(144)와 가이드레일(145)의 견고한 가이드구조를 위해, 롤러(144)는 그 중앙부에 "∧"자 홈이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가이드레일(145)은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롤러(144)와 가이드레일(145)이 돌기와 홈의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보조작업대(140)가 적재 및 작업대(120)에서 안정적인 가이드되어 이동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조작업대(140)는 구동수단에 의해 적재 및 작업대(120)에서 전동으로 이동되어 출입되되, 구동수단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적재 및 작업대(12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150)와, 고정플레이트(15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151)와, 구동모터(151)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휠(152)과, 구동스프로킷휠(152)과 이격되어 정.역회전되게 구비되는 종동스프로킷휠(153)과, 구동스프로킷휠(152)과 종동스프로킷휠(153)에 S자 형태로 엇갈리게 감김되어 구비되고 그 양단부는 보조작업대(140)의 양측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체인(154)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체인(154)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보조작업대(140)를 적재 및 작업대(12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으로 인출시키게 된다.
고정플레이트(150)는 양 가이드레일(145)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재 및 작업대(120)의 프레임(124)에 길게 설치되어 구비되고, 고정플레이트(150)의 하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50)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151)가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스프로킷휠(152)은 고정플레이트(150)의 상면에서 구동모터(151)에 의해 직접 정.역회전 구동되고, 종동스프로킷휠(153)은 구동스프로킷휠(152)과 이격된 고정플레이트(150)의 타측 상면에서 구동스프로킷휠(152)과 체인(154)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된다.
이때, 체인(154)은 구동스프로킷휠(152)과 종동스프로킷휠(153)에 S자 형태로 엇갈리게 감김됨으로써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장력이 유지된 체인(154)은 구동스프로킷휠(152)의 회전시 이에 대한 응답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이동된다.
또한, 체인(154)은 그 양단부가 양 가이드레일(145)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조작업대(140)의 프레임(141) 양측에 각각 연결되되, 보조작업대(140)의 프레임(141) 양측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브라켓(142)(143)이 각각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142)(143)에는 체인(154)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스프로킷휠(152)에 의한 체인(154)의 이동시는 체인(154)의 양단부가 결합 고정된 고정브라켓(142)(143)을 통해 체인(154)의 이동방향으로 보조작업대(140)가 신속하게 이동된다.
게다가, 고정플레이트(150)의 상면 양측에는 보조작업대(140)와 같이 이동되는 고정브라켓(142)(143)과 접촉되어 스위칭 됨에 따라 구동모터(151)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155)(156)가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리미트스위치(155)(156)는 스위칭 온됨에 따라 구동모터(151)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적재 및 작업대(120)로부터 인출되는 보조작업대(140)의 인출량이 제한하게 된다.
한편, 리미트스위치(155)(156)에는 해당 고정브라켓(142)(143)과 접촉되어 스위칭되는 탄력적인 스위치레버(155a)(156a)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바, 이러한 스위칭 동작시 스위치레버(155a)(156a)의 꺽임 등과 같은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레버(155a)(156a)와 접촉되는 고정브라켓(142)(143)의 일측에 경사면(142a)(143a)을 형성하여, 스위칭 동작시 스위치레버(155a)(156a)가 도 6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이동되어 오는 고정브라켓(142)(143)의 경사면(142a)(143a)에 자연스럽게 접촉되어 눌리게 됨으로써 리미트스위치(155)(156)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향장치(200)는 하우징(130)의 상면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조향장치(200)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0)의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종하는 힌지브라켓(230)과, 힌지브라켓(23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한편 이의 회전에 의해 차량(100)의 주행 모드가 수동 모드 또는 리모컨 모드로 선택되는 링크부(220)와, 링크부(22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차량(100)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레버(211)가 구비되어 있는 핸들부(210)를 포함한다.
힌지브라켓(230)은 그 바닥면에 회전축(231)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이 회전축(231)은 하우징(130)의 상면을 관통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하우징(130) 내부에 위치되는 회전축(231)의 하부에는 회전축(231)과 같이 회전되는 회전캠(240)이 고정되어 구비되고, 회전캠(240)에는 회전된 회전캠(240) 및 힌지브라켓(23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241)가 구비된다.
즉, 탄성부재(241)는 인장 코일스프링으로서, 그 일단부는 회전캠(24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우징(130) 내측에 결합되어, 회전된 회전캠(2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41)가 압축된 상태가 되면 회전캠(240)은 최초 설치된 원위치로 위치된 상태가 되고, 탄성부재(241)가 인장된 상태가 되면 회전캠(24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전된 회전캠(240)은 이를 회전시킨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241)에 의해서 자동으로 역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되고, 회전캠(240)의 원위치는 후술될 핸들부(210) 및 링크부(220)가 하우징(130)의 정중앙으로 위치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전캠(240)에는 회전캠(240)과 연동되어 회전캠(240)의 회전량 및 회전각도를 읽어내는 엔코더(250)가 구비된다.
이 엔코더(250)는 하우징(130)의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엔코더(250)에는 회전바(25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회전바(251)와 회전캠(240)에는 연결링크(260)의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캠(240)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바(251)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엔코더(250)에서는 회전캠(240)과 연동되는 회전바(251)의 회전량과 회전각도를 통해 회전캠(240)의 회전상태를 읽어내게 된다.
그리고, 힌지브라켓(230)의 하면 양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걸림돌기(232)(233)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하우징(130)의 상면에는 힌지브라켓(230)의 회전시 양 걸림돌기(232)(233)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걸림됨으로써 힌지브라켓(2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270)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톱퍼(270)와 각 걸림돌기(232)(233) 간에 이루는 각도에 따라 차량(100)의 선회각도가 결정된다.
또한, 힌지브라켓(230)의 내측에는 힌지브라켓(230)에서 회전되는 링크부(220)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 되면서 차량(100)의 주행 모드를 수동 모드 또는 리모컨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스위치(280)가 구비된다.
제어스위치(280)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에서와 같이 링크부(220)가 힌지브라켓(230)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면 링크부(220)의 단부가 제어스위치(280)를 접점 온시켜 차량(100)의 주행이 리모컨에 의해서만 작동되는 리모컨 모드로 전환되고, 도 9에서와 같이 링크부(220)가 힌지브라켓(230)에서 전방으로 회전되면 링크부(220)의 단부가 제어스위치(280)에서 이탈되어 제어스위치(280)의 접점을 오프시켜 차량(100)의 주행이 핸들부(210)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만 작동되는 수동 모드로 전환된다.
물론, 차량(100)의 주행 모드는 전술한 제어스위치(280)의 실시예와 반대로 작동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이러한 제어스위치(280)의 접점 상태에 따른 차량(100)의 주행 모드는 차량(100)에 구성되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힌지브라켓(230)과 링크부(220) 사이에는 회전된 링크부(220)를 원위치 즉 힌지브라켓(230)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복귀수단은 다양한 형태의 탄성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오랜 사용에도 항상 일정한 작동력이 발휘되는 가스스프링(290)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스스프링(290)은 실린더(291)의 일단부가 링크부(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린더(291)의 타단부에서 출입되는 피스톤로드(292)는 힌지브라켓(2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스스프링(290)의 원상태는 도 8에서와 같이 실린더(291)에서 피스톤로드(292)가 인출되어 신장된 상태로서 링크부(220)가 힌지브라켓(230)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가 되고, 가스스프링(290)이 작동된 상태는 도 9에서와 같이 실린더(291)에 피스톤로드(292)가 인입되어 압축된 상태로서 링크부(220)가 힌지브라켓(230)의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가 된다.
한편, 링크부(220)는 그 내부가 빈 중공관으로 형성되어, 가스스프링(290)의 실린더(291)가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고, 핸들부(210)에는 차량(100)의 주행과, 적재 및 작업대(120)의 승강작동을 조종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각종 스위치는 차량(100)을 정주행 또는 역주행시킬 수 있는 주행레버(211)와, 비상시 차량(100)의 주행을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주행정지버튼(214)과, 경적을 울리는 크락션버튼(215)과, 적재 및 작업대(120)를 리프팅시키는 리프팅버튼(212)과, 적재 및 작업대(120)의 좌우 양측으로 출입되는 보조작업대(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인출버튼(213) 등을 포함한다.
특히, 주행레버(211)는 핸들부(2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양 크롤러(110)를 각각 구동시키는 양 구동모터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핸들부(210)에 구비된 양 주행레버(21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해당 구동모터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게다가, 비상시 작동시키는 주행정지버튼(214)을 핸들부(210)의 단부에 구비함으로써 핸들부(210)를 잡고 차량(100)을 주행시키는 작업자가 비상시 주행정지버튼(214)을 신속하게 누를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리프팅버튼(212)과 인출버튼(213)은 작업에 관련된 버튼이므로, 핸들부(2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 조작의 편리함을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면으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리모컨 모드에서 사용되는 리모컨에는 핸들부(210)에 구비되는 각종 스위치가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리모컨은 유선으로도 구비될 수 있지만, 무선으로 구비되는 것이 사용상 더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과실의 수확시는 작업자가 적재 및 작업대(120)에 탑승한 채로 리모컨을 조작하여 적재 및 작업대(120)를 상승시켜 높은 위치에 있는 과실을 수확할 수 있고, 적재 및 작업대(120)를 하강시켜 낮은 위치에 있는 과실을 수확할 수도 있다.
이때, 작업자는 리모컨의 인출버튼을 조작하여 보조작업대(140)를 적재 및 작업대(120)의 일측면으로 인출시키고, 인출된 보조작업대(140)는 적재 및 작업대(120)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상고를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보조작업대(140)에 앉아 탑승한 채로 낮은 위치의 과실을 간편하게 수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보조작업대(140)에 그 양단부가 결합 고정된 체인(154)이 구동스프로킷휠(152)과 종동스프로킷휠(153)에 S자 형태로 엇갈리게 감김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151)가 구동스프로킷휠(15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체인(154)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보조작업대(140)는 도 6의 (a) 또는 (c)에서와 같이, 적재 및 작업대(12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인출되는 보조작업대(140)는 리모컨 조작을 통해 인출되는 보조작업대(140)를 정지시킬 수도 있지만, 체인(154)이 고정된 고정브라켓(142)(143)의 경사면(142a)(143a)이 보조작업대(140)와 같이 이동되면서 해당 리미트스위치(155)(156)의 스위치레버(155a)(156a)를 눌러 스위칭시키고, 리미트스위치(155)(156)의 스위칭 온(on)과 연동하여 구동모터(151)가 정지되어 보조작업대(140)가 정지됨으로써 보조작업대(140)의 과도한 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보조작업대(140)가 적재 및 작업대(120)의 출입구(122)를 통해 인출되는 과정에서 출입구(122)의 내주면에 구비된 브러쉬(123)에 의해 그 표면이 청소되고, 작업 후 적재 및 작업대(120)의 출입구(122) 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브러쉬(123)에 의해 이물질이 적재 및 작업대(120)의 내부로 침투됨을 방지할 수 있어, 보조작업대(14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인출된 보조작업대(140)에 앉아 탑승한 상태로 작업하면서 리모컨을 통해 차량(100)을 주행시킬 수 있으므로 과실 수확작업이 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적재 및 작업대(120)의 전방에 구비된 조향장치(200)의 핸들부(210)가 도 8에서와 같이, 힌지브라켓(230)의 상부로 수직하게 세워지면, 제어스위치(280)가 접점 온된 상태로서 차량(100)의 주행이 리모컨에 의해서만 작동되는 리모컨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핸들부(210)가 도 9에서와 같이, 힌지브라켓(230)의 전방으로 회전되면, 제어스위치(280)의 접점이 오프된 상태로서 차량(100)의 주행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작동되는 수동 모드로 전환된다.
특히, 수동 모드로 차량(100)이 주행되는 상태에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핸들부(210)가 좌우로 회전되어 차량(100)이 선회되고, 회전되는 핸들부(210)는 힌지브라켓(230)과 같이 회전되며, 핸들부(210)를 회전시킨 외력을 제거하면 회전된 힌지브라켓(23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핸들부(210)를 하우징(130)의 정중앙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즉, 도 11 또는 도 12에서와 같이, 핸들부(21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키면, 링크부(220)를 통해 힌지브라켓(230)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고, 힌지브라켓(23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241)는 인장되며, 엔코더(250)의 회전바(251)는 연결링크(260)를 통해 회전캠(240)과 연동되어 같은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
이에, 엔코더(250)에서는 회전되는 회전바(251)를 통해 핸들부(210)의 회전량과 회전각도를 읽어낼 수 있고, 엔코더(250)에서 인가되는 핸들부(210)의 회전량과 회전각도에 따라 컨트롤러가 양 크롤러(11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핸들부(210)의 회전각도만큼 양 크롤러(110)의 주행속도에 차이를 주어 차량(100)이 선회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핸들부(210)를 잡은 상태에서 핸들부(210)를 회전시킨 외력을 제거하면, 핸들부(210) 및 힌지브라켓(230), 회전캠(240)은 인장되었던 탄성부재(241)의 압축력에 의해 역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되고, 복귀된 핸들부(210)는 하우징(130)(또는 적재 및 작업대(120))의 정중앙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후, 잡고 있던 핸들부(210)를 놓으면, 핸들부(210)는 가스스프링(290)의 신장에 의해 힌지브라켓(230) 상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구비되고, 세워지는 링크부(220)에 의해 제어스위치(280)의 접점이 온되어 차량(100)의 주행 모드가 수동 모드에서 리모컨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핸들부(210)가 힌지브라켓(230) 상에 수직하게 세워진 리모컨 모드에서는 핸들부(210) 및 힌지브라켓(230), 회전캠(240)은 외력을 가해도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100)의 주행이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는 적재 및 작업대(120)에 탑승한 채로 과실을 수확하면서 자리 이동없이 그 자리에서 리모컨 조작을 통해 간편하게 차량(100)을 주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차량 110 : 크롤러
120 : 적재 및 작업대 121 : 안전난간
122 : 출입구 123 : 브러쉬
124 : 프레임 130 : 하우징
140 : 보조작업대 141 : 프레임
142,143 : 고정브라켓 142a,143a : 경사면
144 : 롤러 145 : 가이드레일
150 : 고정플레이트 151 : 구동모터
152 : 구동스프로킷휠 153 : 종동스프로킷휠
154 : 체인 155,156 : 리미트스위치
155a,156a : 스위치레버 200 : 조향장치
210 : 핸들부 211 : 주행레버
212 : 리프팅버튼 213 : 인출버튼
214 : 주행정지버튼 215 : 크락션버튼
220 : 링크부 230 : 힌지브라켓
231 : 회전축 232,233 : 걸림돌기
240 : 회전캠 241 : 탄성부재
250 : 엔코더 251 : 회전바
260 : 연결링크 270 : 스톱퍼
280 : 제어스위치 290 : 가스스프링
291 : 실린더 292 : 피스톤로드

Claims (6)

  1. 크롤러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재 및 작업대와, 크롤러의 주행 및 조향을 가능케 하는 조향장치를 포함하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에 있어서,
    적재 및 작업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작업대; 및
    적재 및 작업대에 구비되어 보조작업대를 적재 및 작업대의 양측면으로 인출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구동수단은, 적재 및 작업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휠;
    구동스프로킷휠과 이격되어 정.역회전되게 구비되는 종동스프로킷휠; 및
    구동스프로킷휠과 종동스프로킷휠에 엇갈리게 걸림되어 구비되고 그 양단부는 보조작업대의 양측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며,
    구동모터에 의해 체인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보조작업대를 적재 및 작업대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으로 인출시키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조작업대의 양측에는 체인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적재 및 작업대에는 보조작업대와 같이 이동되는 고정브라켓과 접촉되어 스위칭됨에 따라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조작업대가 출입되는 적재 및 작업대의 출입구에는 출입되는 보조작업대의 표면을 청소하는 브러쉬가 구비되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조향장치는, 차량의 전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종하는 힌지브라켓;
    힌지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한편 이의 회전에 의해 차량의 주행 모드가 수동 모드 또는 리모컨 모드로 선택되는 링크부; 및
    링크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6. 청구항 5에 있어서,
    힌지브라켓에는 링크부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 되면서 차량의 주행 모드를 수동 모드 또는 리모컨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스위치가 구비되고,
    힌지브라켓과 링크부 사이에는 회전된 링크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스스프링이 구비되는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KR1020170095353A 2017-07-27 2017-07-27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KR10182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353A KR101825331B1 (ko) 2017-07-27 2017-07-27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353A KR101825331B1 (ko) 2017-07-27 2017-07-27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331B1 true KR101825331B1 (ko) 2018-02-02

Family

ID=6122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353A KR101825331B1 (ko) 2017-07-27 2017-07-27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6278A (ko) 2022-12-29 2024-07-08 장진만 농업용 작업차량
KR20240106304A (ko) 2022-12-29 2024-07-08 장진만 확장형 작업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299Y1 (ko) 2006-07-28 2007-01-16 권상현 농업용 다용도 운반차
KR101487844B1 (ko) * 2012-11-28 2015-01-29 주식회사 세웅 리프트타입 고소작업장치
KR101527437B1 (ko) 2014-11-19 2015-06-11 주호 김 농업용 운반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299Y1 (ko) 2006-07-28 2007-01-16 권상현 농업용 다용도 운반차
KR101487844B1 (ko) * 2012-11-28 2015-01-29 주식회사 세웅 리프트타입 고소작업장치
KR101527437B1 (ko) 2014-11-19 2015-06-11 주호 김 농업용 운반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6278A (ko) 2022-12-29 2024-07-08 장진만 농업용 작업차량
KR20240106304A (ko) 2022-12-29 2024-07-08 장진만 확장형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302499T2 (de) Kompakter Lufthubwagen mit einer vertikal bewegbaren Plattform
JP4301213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US20160165832A1 (en) Self-propelled stall cleaning apparatus
KR101825331B1 (ko) 확장형 작업대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US20140182070A1 (en) Self-propelled stall cleaning apparatus
DE2853778A1 (de) Antriebsvorrichtung fuer einen mobilen foerderkarren
US4053070A (en) Retrieving vehicle
KR101353295B1 (ko) 농업용 고소작업차
KR101791823B1 (ko) 조향장치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CA2594696A1 (en) A hand truck
CN113942803B (zh) 一种伸缩式移动站台车
JPH0899701A (ja) 三段式スライドフォーク
DE69623089T2 (de) Bewegliche Hebevorrichtung
US2696164A (en) Truck for handling spring assemblies
CN114348081B (zh) 一种带有防破损功能的货物搬运车
KR101782500B1 (ko)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CN217397466U (zh) 一种具有自动开合后箱的垃圾车
AU2005204976B2 (en) A hand truck
CN117885837A (zh) 一种agv物料的自动循环搬运设备
KR100229269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적재물 승하강 장치
DE386050C (de) Fahrbarer Elektromotor mit Regelvorrichtung und Kabeltrommel
JPS5893631A (ja) 重量物運搬車の自動歩み装置
ITVR20090088A1 (it) Carro particolarmente adatto per la raccolta ed il trasporto di cassoni per prodotti ortofrutticoli
DE2239806A1 (de) Ladeeinrichtung fuer lastkraftwagen
JP5164035B2 (ja) 歩行型動力運搬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