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413B1 -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413B1
KR101824413B1 KR1020110087425A KR20110087425A KR101824413B1 KR 101824413 B1 KR101824413 B1 KR 101824413B1 KR 1020110087425 A KR1020110087425 A KR 1020110087425A KR 20110087425 A KR20110087425 A KR 20110087425A KR 101824413 B1 KR101824413 B1 KR 10182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saving mode
mode
portable terminal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164A (ko
Inventor
정용수
박진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413B1/ko
Priority to US13/591,769 priority patent/US9152209B2/en
Publication of KR2013002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164A/ko
Priority to US14/847,455 priority patent/US1007351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413B1/ko
Priority to US16/125,910 priority patent/US1041674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하고,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연기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에 대한 발명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어, 현대인들의 일상생활에 있어 필수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인터넷 서핑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데 휴대단말기를 이용한다.
이렇게 휴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단순한 전화기능만을 제공할 때보다 휴대단말기를 보다 자주 그리고 더 오래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는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최근의 휴대단말기는 여러 가지 방안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휴대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극대화고자 노력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안 중에서, 디밍 모드(Dimming Mode)와 락 스크린 모드(Lock Screen Mode)로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변환하는 것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디밍 모드는 미리 정해진 동안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조작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표시화면의 밝기를 낮추어 표시장치(예를 들어, LCD)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안이다. 락 스크린 모드는 디밍 모드로 진입한 후에도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조작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표시화면을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표시장치의 전력 소모를 없애는 방안이다.
전술한 디밍 모드와 락 스크린 모드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경과 여부를 토대로 진입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에 여러 가지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 중 장문의 내용이 게시된 글을 읽을 경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디밍 모드로 진입하여 표시화면의 밝기를 떨어뜨려 인터넷 서핑 이용에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발명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하고,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여부의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연기하는 과정과, 상기 여부의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카메라 모듈과, 제1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하고,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연기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디밍 모드 및 락 스크린 모드의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휴대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디밍 모드 진입시에도 종래의 디밍 모드일 때보다 전력 소모를 더욱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제1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제2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제3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태블릿(Tablet) 또는 휴대용 게임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정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25)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소리 정보로 통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25)는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디밍 모드 또는 락스크린 모드로 진입(전환)하면, 동작모도의 진입 여부를 사용자에게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키입력부(2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27)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소정의 미리 설정된 키를 입력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수동으로 디밍 모드 또는 락 스크린 모드로 전환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진입중인 제1절전모드 또는 제2절전모드가 해제(예를 들어, 정상적인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요청)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3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40)은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사용자는 이를 통해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은 빛을 집광하여 카메라센서로 전달하며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렌즈와, 영상의 촬영시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센서와,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카메라메모리와, 촬영시의 주변 상황에 따라 적절한 광량을 제공하는 플래쉬와, 카메라 모듈(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카메라센서를 통해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카메라제어부 등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유닛에 대해서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40)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어 복수의 카메라 모듈 모두가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0)와 같은 면에 위치하는 전면카메라(40a) 모듈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피사체를 감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40)은 미리 설정된 피사체를 감지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이를 통해 제1절전모드 또는 제2질전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데, 미리 설정된 피사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같은 사람의 얼굴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카메라모듈(40)은 미리 설정된 피사체 대신에 사람의 홍체를 인식하고 홍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데 이용되어, 사람의 시선이 표시부(50) 쪽을 향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40)에 의해 사람의 시선이 표시부(50)를 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제1절전모드 또는 제2절전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모듈(40)을 통해 홍체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시선이 표시부(50)를 향하는지 판단하는 기술은 종래기술에 속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절전모드인 디밍 모드 또는 제2절전모드인 락 스크린 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계속 사용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키입력부 또는 표시부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키 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발생되지 않으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1절전모드 또는 제2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절전 모드는 제어부(10)의 동작 클럭을 다운 클럭하거나 오디오 처리부(25)를 오프(off)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모드로 이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디밍 모드로의 진입으로, 제2절전모드로의 진입을 락 스크린 모드(또는 스크린 잠금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디밍모드로 진입하였을 경우에 배터리(미도시)의 전력 소모를 보다 최소화할 수 있도록, 표시부(50)의 감마값 및 대비값을 추가적으로 조절하도록 제어하며, 이는 도 5를 통해 설명될 수 있는데 후술되는 바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50)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 방식 등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패널(Panel), 구동부(Driver IC), 연성회로(FPCB; Flexible PCB), 백 라이트(Back light, 표시부가 LCD일 경우 포함됨) 등 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제어부(10) 및 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공급전압이 조절되어 표시부(50)의 밝기가 조절되는 디밍(dimm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디밍 기능은 본 발명의 표시부(50)가 LCD이면 CCFL(Cold Cathode Florescent Lamp) 또는 LED로 구성되는 백라이트에 대한 공급전원이 조절되어 제공되고, 본 발명의 표시부(50)가 OLED이면 표시부를 구성하는 픽셀 전체(또는 개별)의 밝기가 조절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소정 시간이 지나면 락(Lock) 해제 전까지는 표시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락 스크린(Lock Scree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디밍모드일 때(예를 들어, 표시부의 밝기값이 작아졌을 때),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감마값 및 대비값을 추가적으로 조절되어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0)는 디밍 모드로 진입함으로 인해 표시밝기(표시화면의 표시밝기)가 디밍 모드 진입 이전보다 어두워진 상태(예를 들어, 표시부의 밝기 속성이 작게 조절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검은색이 흰색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감마값 및 대비값이 조절(예를 들어, 작게 또는 낮게 조절)되어 왜곡된 표시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블록도에는 GPS(Ground Positioning System)모듈,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지자계 센서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들이 미도시되었으나, 이들 미도시된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구도에 필요한 배터리가 도 1의 블록도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배터리 또한 내장형 또는 탈착 가능한 형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는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휴대단말기의 운동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표시방향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근접을 감지하는데,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gyroscope)는 회전하는 휴대단말기의 역학적인 움직임을 관찰하는데, 가속도 센서와 연동되어 휴대단말기의 6축, 즉, 상하, 좌우, 전후방, x축, y축 및 z축의 회전 모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제1예시도 내지 제3예시도이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01-S202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제1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하고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카메라 모듈(40)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인터넷 브라우저)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중에,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안 입력되지 않을 경우, 종래기술의 경우 즉각 절전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키입력 또는 휴대단말기의 조작(예를 들어, 휴대단말기를 가로 또는 세로로 기울임)이 없을 경우 즉각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대신에, 카메라 모듈(40)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S203-S205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카메라 모듈(40)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절전모드로 진입(또는 전환)하는 것을 연기하도록 제어하고, 구동중인 카메라 모듈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는 구동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피사체(예를 들어, 사람의 얼굴)가 인식되는지 확인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카메라 모듈(40)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된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가 제1절전모드로 진입되는 것을 소정의 시간 동안 연기(예를 들어, 10초)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절전모드는 디밍모드에 대응되고 후술될 제2절전모드는 락 스크린 모드에 대응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디밍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을 경우 진입되고 락 스크린 모드는 디밍 모드 상태에서 다시 소정 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을 경우 진입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S203 단계에서는 카메라 모듈(40)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 것을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계속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계속 사용하고 있음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203 단계에서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면 사람의 시선이 표시부(50) 또는 휴대단말기의 본체 방향을 향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람의 시선을 확인하는 것은 사람의 홍채 및 홍채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에 의해 가능한데, 이는 종래기술에 해당함으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206-S207 단계에서, 제어부(10)는 S203 단계의 확인 결과에서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고, 구동중인 카메라 모듈(40)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는 카메라모듈(40)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즉,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절전모드는 디밍 모드에 대응되기 때문에, 제어부(10)는 S206 단계에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화면의 표시 밝기를 디밍 모드 진입 이전보다 어둡게 조절하여, 표시부(50)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제1절전모드의 진입이 진행된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즉시 구동중인 카메라 모듈(40)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40)의 구동에 따른 전력 소모 또한 최소화하도록 제어한다.
S208 단계에서, 제어부(10)는 표시부의 감마값 및 대비값을 추가적으로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S206 및 S207 단계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절전모드(즉, 디밍 모드)로 진입하고 카메라 모듈(40)의 구동이 중지되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활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절전모드에서의 배터리 소모를 보다 최소화할 수 있도록 표시부(50)의 감마값 및 대비값을 제1절전모드에 대응되게(즉, 표시부(50)에 의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조절한다.
표시부(50)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은 여러가지 색상이 표시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검은색이 표시될 때보다 흰색이 표시될 때가 배터리를 보다 많이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디밍 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부(50)의 표시밝기(표시화면의 표시밝기)가 디밍 모드 진입 이전보다 어두워진 상태(예를 들어, 표시부의 밝기 속성이 작게 조절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검은색이 흰색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표시되도록 왜곡되게 표시화면이 표시되도록 감마값 및 대비값을 조절(예를 들어, 작게 또는 낮게 조절)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것이 일반적인 표시부(50)의 속성일 경우, 제1절전모드에 진입하여 표시부(50)의 밝기값 속성이 낮아지고, 추가적으로 표시부(50)의 감마값 및 대비값 속성 또한 낮게 조절되면, 표시부(5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속성을 가지게 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0)의 표시 속성이 변경되면, 표시부(50)는 도 5의 (a)의 표시 속성을 가질 때 보다 전력을 덜 소모하게 된다.
S209-S210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제1절전모드 진입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가 제2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제1절전모드로 진입한 후에도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2절전모드(즉, 락 스크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락 스크린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표시부(50)의 구동은 중지되며, 추후 사용자가 다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키 조작을 할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김 상태에 있는 스크린에 대해 소정의 입력(예를 들어, 슬라이드 터치 입력)이 입력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2)

  1.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설정된 제1 설정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하고,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한 후,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휴대단말기로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2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절전모드는 락 스크린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락 스크린 모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크린이 잠긴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락 스크린 모드에서 상기 잠긴 상태로 전환된 스크린은 특정 입력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연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 연기 또는 상기 제1절전모드 진입 이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구동을 중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전모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표시화면의 밝기가 상기 제1절전모드 진입 이전보다 어두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표시화면의 감마값 및 대비값을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에 대응되게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스크린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상기 특정 입력은 슬라이드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7.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와,
    카메라 모듈과,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설정된 제1 설정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하고,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한 후 제2 설정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으면 제2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절전모드는 락 스크린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락 스크린 모드는 상기 표시부의 스크린이 잠긴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락 스크린 모드에서 상기 잠긴 상태로 전환된 스크린은 특정 입력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연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 연기 또는 상기 제1절전모드 진입 이후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전모드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표시 밝기가 상기 제1절전모드 진입 이전보다 어두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면 상기 표시부의 감마값 및 대비값을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에 대응되게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락 스크린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상기 특정 입력은 슬라이드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110087425A 2011-08-30 2011-08-30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2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425A KR101824413B1 (ko) 2011-08-30 2011-08-30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3/591,769 US9152209B2 (en) 2011-08-30 2012-08-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US14/847,455 US10073510B2 (en) 2011-08-30 2015-09-08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US16/125,910 US10416748B2 (en) 2011-08-30 2018-09-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425A KR101824413B1 (ko) 2011-08-30 2011-08-30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375A Division KR101913632B1 (ko) 2018-01-25 2018-01-25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164A KR20130024164A (ko) 2013-03-08
KR101824413B1 true KR101824413B1 (ko) 2018-02-02

Family

ID=4774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425A KR101824413B1 (ko) 2011-08-30 2011-08-30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9152209B2 (ko)
KR (1) KR101824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9671B2 (en) * 2002-10-01 2016-11-08 Andrew H B Zhou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pplication, wearable application, transactional messaging, calling, digital multimedia capture and payment transactions
KR101824413B1 (ko) * 2011-08-30 2018-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RU2523040C2 (ru) * 2012-10-02 2014-07-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Регулировка яркости экрана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50113454A1 (en) * 2013-10-21 2015-04-23 Motorola Mobility Llc Delivery of Contextual Data to a Computing Device Using Eye Tracking Technology
CN103885566B (zh) * 2014-03-07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的电源控制方法和显示装置
JP6514437B2 (ja) * 2014-03-24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9513686B2 (en) * 2014-06-11 2016-12-06 Lenovo (Singapore) Pte. Ltd. Context based power saving
US20160048198A1 (en) * 2014-08-13 2016-02-18 Nvidia Corporation State changing device
US10515284B2 (en) 2014-09-30 2019-12-24 Qualcomm Incorporated Single-processor computer vision hardware control and application execution
US9554100B2 (en) 2014-09-30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Low-power always-on face detection, tracking, recognition and/or analysis using events-based vision sensor
US20170132466A1 (en) 2014-09-30 2017-05-11 Qualcomm Incorporated Low-power iris scan initialization
US9940533B2 (en) 2014-09-30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Scanning window for isolating pixel values in hardware for computer vision operations
US9749530B2 (en) * 2014-10-06 2017-08-29 Canon Kabushiki Kaisha Interchangeable lens operable in reduced power modes,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US20160125815A1 (en) * 2014-11-04 2016-05-05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brightness
CN104679240B (zh) * 2015-01-26 2018-01-1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的方法
CN104679217A (zh) * 2015-01-26 2015-06-0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KR20160099397A (ko) * 2015-02-12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한된 실행 환경에서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60286136A1 (en) * 2015-03-25 2016-09-29 Engineering Nto Moo Vang Dual Camera Device for Hunting
US10230896B2 (en) * 2015-04-03 2019-03-12 Canon Kabushiki Kaisha Accessory for camera and storage medium storing display control program
KR101700199B1 (ko) * 2015-05-12 2017-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458812B2 (en) * 2015-10-30 2019-10-29 Invensense, Inc. Sensor output configuration
CN106055196B (zh) * 2016-05-25 2019-08-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启动应用程序的方法及移动终端
EP3499852B1 (en) * 2016-09-09 2021-03-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US10984235B2 (en) 2016-12-16 2021-04-20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data generation for iris-related detection and authentication
US10614332B2 (en) 2016-12-16 2020-04-07 Qualcomm Incorportaed Light source modulation for iris size adjustment
JP6952463B2 (ja) * 2016-12-20 2021-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DK201870350A1 (en) 2018-05-07 2019-1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Using Augmented Reality
US10785413B2 (en) 2018-09-29 2020-09-2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epth-based annotation
TWI739041B (zh) * 2018-10-31 2021-09-1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以及其控制方法
CN110138957A (zh) * 2019-03-28 2019-08-16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拍照录像处理方法及其处理***、电子设备
CN110262652A (zh) * 2019-05-31 2019-09-2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锁屏方法
GB2585917B (en) * 2019-07-24 2022-02-09 Yoto Ltd An interactive apparatus
US11003308B1 (en) 2020-02-03 2021-05-11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nnotating, measuring, and modeling environments
US11727650B2 (en) 2020-03-17 2023-08-15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manipulating virtual objects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CN111741164B (zh) * 2020-06-17 2021-03-2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声音模式切换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615595B2 (en) 2020-09-24 2023-03-28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US11941764B2 (en) 2021-04-18 2024-03-26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ding effects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2650A (ja) * 2008-04-09 2009-10-29 Nec Saitama Ltd 情報端末の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1209B1 (en) 1998-03-09 2002-06-0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a computer security and/or screen saver mode
US6665805B1 (en) 1999-12-27 2003-12-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monitoring of user presence to prolong a portable computer battery operation time
US20070078552A1 (en) 2006-01-13 2007-04-05 Outland Research, Llc Gaze-based power conservation for portable media players
KR20020093426A (ko) 2001-06-08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린 세이버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잠금기능 설정방법
KR20040026560A (ko) 2002-09-25 2004-03-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일정시간 경과후 잠금기능 구현방법 및 이를 구현한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110284A (ko) 2003-06-18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인식을 이용한 휴대폰의 잠금 제어방법
US7963652B2 (en) 2003-11-14 2011-06-21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on-free eye tracking
JP4197322B2 (ja) * 2004-01-21 2008-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液晶モニター,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表示方法
GB2410359A (en) 2004-01-23 2005-07-27 Sony Uk Ltd Display
US7400878B2 (en) 2004-02-26 2008-07-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puting device with environment aware features
US7091471B2 (en) 2004-03-15 2006-08-15 Agilent Technologies, Inc. Using eye detection for providing control and power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s
US20050289363A1 (en) 2004-06-28 2005-12-29 Tsirkel Aaron 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realtime power management
KR20060044206A (ko)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91969A (ko) 2005-02-16 200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표시부 밝기 제어방법
US8463307B1 (en) 2005-11-28 2013-06-11 Sprint Spectrum L.P. Method of request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segmented signaling messages
US7657849B2 (en)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DE102005063159B4 (de) * 2005-12-30 2009-05-07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Matrixanzeigen
US8340365B2 (en) 2006-11-20 2012-12-25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Using image recognition for controlling display lighting
JP2008209610A (ja) 2007-02-26 2008-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機器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CN101295472B (zh) * 2007-04-24 2010-10-0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高动态对比度的处理装置和处理方法
US20080303443A1 (en) 2007-06-08 2008-12-11 Tektronix, Inc. Position lock trigger
JP4835525B2 (ja) * 2007-07-04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02155B2 (en) * 2007-07-09 2014-12-02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159551B2 (en) 2007-09-26 2012-04-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automatic control to keep display turned on and method
EP2096624A1 (en) 2008-02-28 2009-09-02 Mobinnova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tomatically controlling back light unit thereof and method for the same
US8913991B2 (en) 2008-08-15 2014-12-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ser identification in cell phones based on skin contact
US20100079508A1 (en) 2008-09-30 2010-04-01 Andrew Hodge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KR20100053144A (ko) 2008-11-12 2010-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 제어 방법
CN101859467B (zh) 2009-04-11 2013-06-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JP5299866B2 (ja) 2009-05-19 2013-09-25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5397081B2 (ja) * 2009-08-12 2014-01-22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110103643A1 (en) * 2009-11-02 2011-05-05 Kenneth Edward Salsman Imaging system with integrated image preprocessing capabilities
JP5546225B2 (ja) * 2009-12-07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2111494A (zh) * 2009-12-29 2011-06-29 朴俊玟 基于皮肤接触的电子设备模式切换装置和方法
US20110205148A1 (en) * 2010-02-24 2011-08-25 Corriveau Philip J Facial Tracking Electronic Reader
KR101642725B1 (ko) 2010-04-14 2016-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TWI413896B (zh) * 2010-04-21 2013-11-01 Elitegroup Computer Sys Co Ltd Energy saving methods for electronic devices
EP2618626B1 (en) * 2010-09-13 2018-05-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9229489B2 (en) * 2011-05-03 2016-01-05 Facebook, Inc. Adjusting mobile device state based on user intentions and/or identity
US9886567B2 (en) 2011-06-24 2018-02-06 Facebook, Inc. Display dynamic contents on locked screens
KR101824413B1 (ko) * 2011-08-30 2018-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2650A (ja) * 2008-04-09 2009-10-29 Nec Saitama Ltd 情報端末の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73510B2 (en) 2018-09-11
US20150378421A1 (en) 2015-12-31
KR20130024164A (ko) 2013-03-08
US20190004586A1 (en) 2019-01-03
US9152209B2 (en) 2015-10-06
US10416748B2 (en) 2019-09-17
US20130055001A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413B1 (ko)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025380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CN109981839B (zh) 一种具有柔性屏幕的电子设备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199436B1 (ko) 단말기 제어 방법 및 단말기
KR102305578B1 (ko) 단말의 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WO2018137197A1 (zh) 一种降低电子设备功耗的方法及装置
US11323619B2 (en) Method of controlling camera and terminal
CN111819533B (zh) 一种触发电子设备执行功能的方法及电子设备
US2009020712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tomatically controlling back light unit thereof and method for the same
CN112740152B (zh) 手写笔检测方法、***及相关装置
KR101411809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CN105469775A (zh) 一种调节显示屏亮度的方法及终端设备
JP2008219659A (ja) 携帯型電子機器
CN113448482A (zh) 触控屏的滑动响应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WO2017113326A1 (zh) 显示屏背光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10738972A (zh) 用于墨水屏的页面刷新方法及装置
KR20150041943A (ko) 카메라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KR20130093962A (ko) 휴대 단말기등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안면 인식을 이용한 소비 전력 저감 방법 및 장치
EP2075994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utomatic switching between two modes of operation
KR101913632B1 (ko)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029940A1 (zh) 触摸屏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4375027A (zh) 降低功耗的方法和装置
CN116700585B (zh) 熄屏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7397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EP4064004A1 (en) Screen wakeup method, screen wake-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