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227B1 - 경추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경추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227B1
KR101823227B1 KR1020160025931A KR20160025931A KR101823227B1 KR 101823227 B1 KR101823227 B1 KR 101823227B1 KR 1020160025931 A KR1020160025931 A KR 1020160025931A KR 20160025931 A KR20160025931 A KR 20160025931A KR 101823227 B1 KR101823227 B1 KR 10182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member
adjusting unit
wearer
angle adjusting
upp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314A (ko
Inventor
안범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2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2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재; 상기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재; 상기 상부 받침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부재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 상기 상부 받침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받침부재를 상기 하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시키는 높이조절유닛;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 및 상기 높이조절유닛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추 보조장치{A cervical brace}
본 발명은 경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추는 척추에서 흉추 윗부분으로 머리를 지지하는 일곱마디의 경추골로 구성되어 있다.
경추골은 흉추상부에서 앞쪽으로 약간 휘어지게 만곡되어 있어서 서서 있거나, 특히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근무할 때 머리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으로서, 잘못된 자세 및 생활습관 그리고 운동부족 등으로 경추골이 정상위치에서 변위하거나 이탈되면서 각 경추골 사이의 추간연골을 압박하여 통증과 함께 신경계통으로 연결된 다른 신체부분까지 파생되는 나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변형이 된 경추를 교정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한의원에서는 지압, 안마, 침, 뜸 등으로 치료하였고, 병원에서는 물리치료, 견인치료 (Traction)와 함께 척추조정요법(Chiropractic), 튜나요법 등으로 치료하였으나, 치료환자를 관찰한 결과 한방치료 및 척추조정요법, 튜나요법은 주로 경추의 굳어진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경추의 횡돌기를 교정시키는 정도이고, 견인치료는 흉추에서 경추로 이어지는 일곱마디의 기본적인 경추골의 만곡진 정상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직선상으로만 견인함으로 인해 통증만 유발시키고, 변위, 이탈진 경추골이 정상위치로 교정되지못하여 계속 재발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인체부위 중 경추(頸椎)는 척추의 상단 부위, 인체의 경부(頸部)에 있는 추골을 의미하는 것으로, 7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지고 요추(腰椎)와 흉추(胸椎)와는 달리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기존 경추 질환으로는 경추부염좌, 경추추간판 탈출증, 경추골절, 경추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척추종양 등이 있으며, 이중 흔한 질환은 경추부염좌 및 경추추간판 탈출증이다.
그 경추부염좌(頸椎部捻挫; whiplash injury)는 경추를 지지해주는 주위의 근육이나 인대 등이 비정상적으로 긴장 또는 이완되어 있거나 경추부가 외력에 의하여 과신전 혹은 과굴곡되거나, 비틀림 또는 축으로 압박될 때 목근육과 경추 주위를 싸고 있는 근육, 인대등이 늘어나거나 찢어져 붓고 아픈 증세를 갖는 것이다.
또한, 경추추간판 탈출증(頸椎椎間坂脫出症; ruptured cervacal disk)은 일명 목디스크 라고도 지칭되며,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이다.
경추추간판 탈출증은 외상 또는 만성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퇴행성으로 발생되거나, 일상생활에서 부적절한 자세로 장시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할 경우, 급성으로 발생될 수 있다.
위의 경우에 해당되는 목 근육의 경직이나 이완 현상은 물리적 자극을 전달하는 물리 치료수단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추에 이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물리치료시를 제외한 일상생활 중에서도 경추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종래의 경추 교정기나 경추 보호대의 경우에는 단순히 목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목의 움직임만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한국 공개특허 제10-2003-0097470호(2003. 12. 3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경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재; 상기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재; 상기 상부 받침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부재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 상기 상부 받침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받침부재를 상기 하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시키는 높이조절유닛;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 및 상기 높이조절유닛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추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선형구동부재; 및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일 면에서 상기 선형구동부재로 연장 형성되는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선형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몸체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승 및 하강 높이를 알려주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몸체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부재; 상기 몸체의 외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딩하며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구동부재에 의해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선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경사진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부에는 상기 착용자에게 재활운동을 알리는 알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부에는 상기 높이조절유닛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구동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높이조절유닛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턱을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재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 및 각도조절유닛이 구비되고, 높이조절유닛 및 각도조절유닛은 구동 모터에 의해 각각 구동됨으로써,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상부 받침부재의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유닛 및 각도조절유닛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어됨으로써, 상부 받침부재의 높이와 각도 조절이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에 구비되는 높이조절유닛 및 각도조절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에 구비되는 선형구동부재의 일 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선형구동부재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b는 선형구동부재의 일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에 구비되는 선형구동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높이조절유닛에 의해 높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각조도절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각도조절유닛의 구동에 의해 경추 보조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의 제어부와 휴대용 단말기가 무선통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보조장치(10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부 받침부재(110), 하부 지지부재(120), 후방 지지부재(130), 높이조절유닛(140), 각도조절유닛(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받침부재(110)는 착용자의 턱 부분을 아래쪽에서 받쳐주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턱부분을 위쪽으로 가압하면서 받쳐줌에 따라 착용자의 목, 즉 경추가 바로 세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받침부재(110)는 착용자의 턱선 및 그 아래쪽의 윤곽에 맞게 굴곡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착용시 착용자의 턱부분 전체 구간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부재(110)의 일 측 각각에는 상기 제어부(160)가 구비되는 몸체(17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한 구성 및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120)는 경추 보조장치(100)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착용자 목주변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앞쪽과 양쪽 어깨부분 및 어깨 뒤쪽 일부까지 연장형성되어 신체의 굴곡에 맞게 덮혀지는 형태의 굴곡형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지지부재(120)는 착용시 목 주변의 둘레에 밀착되는 형태로 놓여지며 경추 보조장치(100) 전체를 지지한다.
상기 후방 지지부재(130)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받쳐주는 것으로서, 앞쪽의 상부 받침부재(110)와 함께 짝을 이루어 착용자의 목 부분 둘레 전체를 균형 있도록 잡아줄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유닛(140)은 경추 보조장치(100)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부 지지부재(120)와 상부 받침부재(11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높이조절유닛(140)은 도 2에서와 같이 상하이동부재(141) 및 선형구동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14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이동부재(141)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하부 지지부재(120)의 일 면에서 몸체(17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하이동부재(141)의 일단은 몸체(170)에 대응하는 하부 지지부재(120)의 일 면에 고정되며, 상하이동부재(141)의 타단은 몸체(170)에 내장되는 선형구동부재(142)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141)의 외주면에는 상부 받침부재(110)의 상승 및 하강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143)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눈금(143)은 상하이동부재(141)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형구동부재(142)는 몸체(170)에 내장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141)의 상부측과 결합되어 상하이동부재(14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구동부재(142)는 웜기어와 모터일 수 있으며, 또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즉, 상기 선형구동부재(142)는 케이스 내부에 웜기어와 모터 또는 리니어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구동부재(142)의 케이스 내부에 웜기어(144)와 모터(145)가 구비되는 경우, 웜기어(144)는 제1기어(144a)와 제2기어(144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144a)의 중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141)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어 결합된다.
이때, 관통홀의 내주면 및 상하이동부재(141)의 상부측은 서로 맞물리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어(144b)는 상기 제1기어(144a)와 맞물리도록 제1기어(144a)와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2기어(144b)는 모터(145)의 회전축(147)과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높이조절유닛(140)의 간략한 작동 방법을 살펴보면, 도 3에서와 같이, 제2기어(144b)가 모터(145)의 구동으로 회전축(147)에 의해 A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기어(144a)는 제2기어(144b)의 회전에 의하여 B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기어(144a)의 관통홀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 상하이동부재(141)는 제1기어(144a)의 관통홀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 상태므로, 제1기어(144a)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141)는 관통홀의 나사산을 따라 상승된다. 이에 선형구동부재(142)가 내장되는 몸체(170)가 상승하게 되고, 몸체(170)의 상승에 의하여 상부 받침부재(110)가 상기 하부 지지부재(120)에 대하여 상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부재(141)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기어(144b)의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하이동부재(141)가 하강되고 이에 따라 상부 받침부재(110)가 하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선형구동부재(142')의 케이스 내부에 리니어 모터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선형구동부재(142')는 복수 개의 자석(144') 및 코일(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자석은 통 형상으로 내측 중심에 상하이동부재(141')가 관통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의 자석(144')은 상기 상하이동부재(141')의 둘레에 장착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자석(144')은 자속의 방향이 상하이동부재(141')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스러스트 자석(144a')과, 자속의 방향이 상하이동부재(141')의 지름 방향 인 래디얼 자석(144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러스트 자석(144a')과 래디얼 자석(144b')은 서로 교번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코일(145')은 케이스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리니어 모터는 코일(145')에 전류를 통과시키면, 코일(145') 주위에 전기장이 발생하고, 코일(145')의 전기장에 의해 자석에서 자속이 발생한다. 이때, 스러스트 자석(144a') 자속과 래디얼 자석(144b')의 자속은 상하이동부재(141')와 평행한 방향으로 추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추력은 상하이동부재(14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170)가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상기 하부 지지부재(120)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재(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형구동부재(142, 142')는 도 3와 같은 웜기어와 모터 구조 또는 도 4와 같은 리니어 모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141, 141')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이에 따라 상부 받침부재(110)가 하부 지지부재(120)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유닛(140)에 의하여 상부 받침부재(110)가 하부 지지부재(120)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상부 받침부재(110)의 위치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춰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경추 보조장치(100)의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부 받침부재(110)와 하부 지지부재(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 전 또는 후,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부 받침부재(110)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추 보조장치(110)의 착용감을 한 층 더 높일 수 있다.
이때, 상부 받침부재(110)의 각도는 각도조절유닛(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유닛(1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재(151) 및 각도조절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재(151)는 몸체(170)에 내장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재(152)를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구동부재(151)는 통상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구동부재(151)의 일 단에는 회전구동부재(151)의 회전력을 상기 각도조절부재(152)로 전달하는 회전축(1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152)는 상기 상부 받침부재(110)와 마주하는 몸체(170)의 일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부재(152)는 회전구동부재(151)와 연결되는 회전축(153)에 의해 상기 몸체(170)의 외측 일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재(152)는 회전축(15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구동부재(151)가 구동하면, 상기 각도조절부재(152)는 도 7에서와 같이,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선(L)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회전각(θ)을 가지고 경사지도록 움직인다.
그리고, 회전각으로 경사진 각도조절부재(152)는 상부 받침부재(11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54)에 슬라이딩되며 고정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때, 상기 각도조절부재(152)는 상기 고정부재(154)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각도조절부재(152)가 설치되는 몸체(170)의 일면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54)는 각도조절부재(15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홈(15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55)은 각도조절부재(152)와 동일하게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재(152)와 가이드홈(155)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170)의 일면에 접하는 각도조절부재(152)의 일 측이 상기 가이드홈(155)의 개구과 맞물려지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몸체(170)가 상부 받침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추 보조장치(100)의 상부 받침부재(110)의 각도 조절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착용자는 각도조절부재(152)를 고정부재(154)의 가이드홈(155)에 가고정될 수 있다. 이때, 회전구동부재(151)를 구동시키면, 각도조절부재(152)는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선(L)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도 7 참조).
마지막으로 착용자는 각도조절부재(152)를 회전시킨 후, 일정한 회전 각도로 경사진 각도조절부재(152)를 고정부재(154)의 가이드홈(155)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각도조절부재(152)가 고정부재(154)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54)의 초기 상태는 수평면(L)과 수평으로 상부 받침부재(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54)의 가이드 홈(155)에 삽입되는 각도조절부재(152)가 수평면(L)에서 경사진 상태로 가이드 홈(155)에 고정됨으로, 몸체(170)는 각도조절부재(152)의 회전각(θ)만큼 기울어진다(도 8 참조).
아울러, 몸체(170)는 회전각(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부재(154)의 가이드 홈(155)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부 받침부재(110)도 각도조절부재(152)의 회전각(θ)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받침부재(110)의 위치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춰질 수 있으므로, 경추 보조장치(100)의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된 구성을 갖는 상기 높이조절유닛(140)의 구동 및 각도조절유닛(150)의 구동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몸체(170)에 내장될 수 있으며, 몸체(170) 외부에 설치되는 구동 버튼(171)에 의하여 높이조절유닛(140)을 구동하거나, 각도조절유닛(150)을 구동하거나, 높이조절유닛(140) 및 각도조절유닛(150)의 구동을 멈출 수 있다.
여기서, 몸체(17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상기 높이조절유닛(140) 및 각도조절유닛(150)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킬지 상기 제어부(160) 측으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구동버튼(171)이 구비된다.
이때, 사용자가 구동버튼(171)을 누르면 제어부(160)는 높이조절유닛(140)의 구동을 명령하는 신호인지 각도조절유닛(150)의 구동을 명령하는 신호인지를 판별한 후 높이조절유닛(140) 또는 각도조절유닛(150) 중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유닛(140) 및 각도조절유닛(150)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른 예로써, 상기 제어부(160)는 도 9에서와 같이 외부 전자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높이조절유닛(140) 및 각도조절유닛(150)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180)은 공지의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 모듈(180)은 외부기기, 일례로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기기(1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높이조절유닛(140) 및 각도조절유닛(150)을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즉, 착용자는 휴대기기(10)와 제어부(170)를 무선통신 모듈(180)을 통하여 무선 연결시키며, 착용자가 높이조절유닛(140) 및 각도조절유닛(150) 중 하나를 구동하도록 휴대기기(10)를 작동하면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어부(170) 측으로 구동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휴대기기(10) 측에서 송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높이조절유닛(140) 및 각도조절유닛(150) 중 하나를 구동함으로써, 경추 보조장치(100)가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기기(10)에는 경추 보조장치(100)의 높이조절유닛(140) 및 각도조절유닛(150)을 무선 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70)의 내부에는 상기 높이조절유닛(140)의 선형구동부재(142)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150)의 회전구동부재(151)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70)의 외부에는 착용자에게 재활 운동을 알려주는 알림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갖는 높이조절유닛 및 각도조절유닛은 상부 받침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의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높이조절유닛 및 각도조절유닛은 상부 받침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의 양 측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추 보조장치는 착용자의 턱을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재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 및 각도조절유닛이 구비되고, 높이조절유닛 및 각도조절유닛은 구동 모터에 의해 각각 구동됨으로써,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상부 받침부재의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유닛 및 각도조절유닛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어함으로써, 상부 받침부재의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편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경추 보조장치 110: 상부 받침부재
120 : 하부 지지부재 130 : 후방 지지부재
140 : 높이조절유닛 141, 141' : 상하이동부재
142, 142' : 선형구동부재 150 : 각도조절유닛
151 : 회전구동부재 152 : 각도조절부재
160 : 제어부 170 : 몸체
171 : 구동 버튼 180 : 무선통신모듈

Claims (12)

  1. 착용자의 턱부위를 감싸듯이 받쳐주는 상부 받침부재;
    상기 착용자의 목주변 어깨부위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재;
    상기 상부 받침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부재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재;
    상기 상부 받침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받침부재를 상기 하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시키는 높이조절유닛;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 및
    상기 높이조절유닛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추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경추 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선형구동부재; 및
    상기 하부 지지부재의 일 면에서 상기 선형구동부재로 연장 형성되는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선형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몸체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경추 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승 및 하강 높이를 알려주는 눈금이 표시되는 경추 보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몸체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경추 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부재;
    상기 몸체의 외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슬라이딩하며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구동부재에 의해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선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경사진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착용자의 턱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경추 보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경추 보조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부에는 상기 착용자에게 재활운동을 알리는 알림부가 구비되는 경추 보조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는 경추 보조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부에는 상기 높이조절유닛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구동버튼이 구비되는 경추 보조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높이조절유닛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설치되는 경추 보조장치.
KR1020160025931A 2016-03-03 2016-03-03 경추 보조장치 KR10182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31A KR101823227B1 (ko) 2016-03-03 2016-03-03 경추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31A KR101823227B1 (ko) 2016-03-03 2016-03-03 경추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14A KR20170103314A (ko) 2017-09-13
KR101823227B1 true KR101823227B1 (ko) 2018-01-29

Family

ID=5996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931A KR101823227B1 (ko) 2016-03-03 2016-03-03 경추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52B1 (ko) * 2021-05-12 2022-03-18 황재호 경추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5302B (zh) * 2018-03-09 2024-03-22 无锡市人民医院 一种急诊外科颈部固定装置
KR102192633B1 (ko) * 2018-11-01 2020-12-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교정기
CN109793604A (zh) * 2019-01-16 2019-05-24 六安市智奇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多功能颈椎预防康复矫正器
CN110478097B (zh) * 2019-05-16 2024-04-26 广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广州呼吸中心) 一种颈部前倾前屈位托扶固定装置
KR102079343B1 (ko) * 2019-11-11 2020-02-19 양정재 거북목 교정기
KR102079341B1 (ko) * 2019-11-11 2020-02-19 양정재 거북목 교정기
KR102179998B1 (ko) * 2020-07-07 2020-11-17 (주)퓨어플랜 거북목 교정기
KR20230140737A (ko) 2022-03-30 2023-10-10 천영호 소음저감구조를 갖는 경추자동조절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52B1 (ko) * 2021-05-12 2022-03-18 황재호 경추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14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227B1 (ko) 경추 보조장치
KR101101361B1 (ko) 다기능 척추 교정 치료기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CN107334572B (zh) 一种颈椎牵引装置
US200902040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Neck Tension or Neck Injury
CN113230084B (zh) 康健装置及其***
KR101633910B1 (ko) 경추 보조장치
KR101715519B1 (ko) 경부 교정 장치
KR20170137349A (ko)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US20150245967A1 (en) Head relaxing pillow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20120060799A (ko) 척추교정기
EP2896393A1 (en) Head relaxing pillow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CN208145091U (zh) 一种脊柱侧弯矫正装置
KR101706586B1 (ko)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KR102480106B1 (ko) 경추용 마사지장치
EP3305263B1 (en) Integrated bed for oriental medicine therapy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20020048882A (ko) 마사지베개
KR20210132831A (ko) 경추의 견인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
KR102537483B1 (ko) 경추용 마사지장치
KR101486952B1 (ko) 물리치료기
KR20180059305A (ko) 개인 맞춤형 척추 교정치료기
CN107997866B (zh) 康健装置及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