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798B1 - Draining device for water supply - Google Patents

Draining device for water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798B1
KR101822798B1 KR1020170122437A KR20170122437A KR101822798B1 KR 101822798 B1 KR101822798 B1 KR 101822798B1 KR 1020170122437 A KR1020170122437 A KR 1020170122437A KR 20170122437 A KR20170122437 A KR 20170122437A KR 101822798 B1 KR101822798 B1 KR 101822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ight
space
wall
out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1020170122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7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7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A drainage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ccommodates water flowing in from an inlet pipe and allows the water to flow out through a first outlet pipe and a second outlet pipe, comprises: an outer wall which provides a drainage space formed at a first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a partition wall which partition the drainage space into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pipe and a second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utlet pipe; a distribution tank which is disposed at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wall, and from which water gushed out of the outlet pipe in an upside direction is branched with the water accommodated therein; a first channel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distribution tank, and allows the water branched from the distribution tank to move from the second height to the first height and to be induced toward the first outlet pipe; and a second channel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end of the distribution tank, and allows the water branched from the distribution tank to move from the first height to the first height and to be induced toward the second outlet pipe. The distribution tank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portion which is formed at a thir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formed at the second height, and provide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gushing out of the inflow pipe, a first weir portion which provides a first distribution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overflowing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toward the first channel portion, and a second weir portion which provides a second distribution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overflowing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toward the second channel portion.

Description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Draining device for water supply}[0001] Drainage device for water supply [0002]

본 발명은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용수를 수용하고, 제1 유출관 및 제2 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device for receiving water introduced from an inlet pipe and supplying water to the outside through a first outlet pipe and a second outlet pipe will be.

배수지는 물 수요가 적은 밤, 새벽시간에는 배수지에 물이 고수위까지 채워지고, 물 수요가 많은 낮 시간에는 배수지의 물이 저수위까지 떨어지는 기능을 갖는 시설물로서, 주야간 물 소비량 변동을 저류기능을 통해서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도모하기 위한 시설물이다.The reservoir is a facility where the water in the reservoir falls to the low water level at night when the water demand is low, the water is filled up to the high water level at the reservoir at the dawn time and the water demand is high during the daytime when the water demand is high. It is a facility to supply water.

배수지 설치는 유지관리 등을 고려하여 2지이상(통상 2지)으로 하며, 배수지에는 정수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시설(관로), 급수지역에 용수를 공급하는 유출관로, 물의 정체를 방지하기 위한 도류벽, 배수지의 물이 고수위 이상 유입 시 overflow 시설, 내부 청수 시 바닥 배수를 위한 드레인 시설 및 배수지 내부로 진/출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계단시설로 구성된다.The drainage facilities are provided with an inflow facility (pipeline) to supply purified water to the reservoir, an outflow channel to supply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area, It is composed of an overflow facility when the water of the tidal walls and the reservoir flows over the high water level, a drainage facility for the bottom drainage when the internal water is fresh, and a stairway facility for facilitating access to the inside of the reservoir.

배수지의 높이는 배수지 용량, 소요부지 등을 고려하여 유효높이(고수위 - 저수위)를 약 4 ~ 4.5 m 로 설치되며, 유입부의 토출부는 고수위 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수위 이상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저수위에 유입 시, 낙차가 5m 내외로 낙차로 인한 소음과 바닥 콘크리트 손상이 발생된다.The height of the reservoir should be set as 4 ~ 4.5m effective height (high-low level) considering the reservoir capacity and the required site, and the discharge part of the inlet should be installed above the high water level in order to prevent reverse flow at high water level. In case of inflow, noise level due to fall and damage of floor concrete occur to about 5m.

배수지의 유입은 송수관로에서 각지로 분기하여 각지로 유입되는데, 물의 흐름방향 등으로 지별 균등한 물배분이 되지 않아, 현장에서 유지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The inflow of the reservoir is diverted from the water pipe to various places,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water on the site because the water is not distributed equall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629호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06629

본 발명의 목적은 용수공급을 위해 배수지 공간으로 유입되는 용수를 각지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는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drainage device for water supply that can uniformly distribute water introduced into a reservoir space for supplying water.

본 발명의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는,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용수를 수용하고, 제1 유출관 및 제2 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형성되는 배수지 공간을 제공하는 외벽, 상기 배수지 공간을 상기 제1 유출관과 연통되는 제1 공간과 상기 제2 유출관과 연통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배치된 채, 상기 외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용출된 용수가 수용된 채 분기되는 분배조, 상기 분배조의 일측단에 연결된 채, 상기 분배조로부터 분기된 용수가 상기 제2 높이에서 상기 제1 높이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유출관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제1 수로부 및 상기 분배조의 타측단에 연결된 채, 상기 분배조로부터 분기된 용수가 상기 제2 높이에서 상기 제1 높이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유출관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제2 수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조는, 상기 제2 높이에 형성된 바닥면으로부터 제3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용출된 용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수로부 측으로 월류한 용수를 수용하는 제1 분배공간을 제공하는 제1 웨어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2 수로부 측으로 월류한 용수를 수용하는 제2 분배공간을 제공하는 제2 웨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for receiving water introduced from an inlet pipe and flowing out through a first outlet pipe and a second outlet pipe,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reservoir space into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pipe and a second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utlet pipe,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reservoir space into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pipe and a second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utlet pipe, A distribution tank which is disposed at a second height and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wall and in which the water eluted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inlet pipe is accommodated and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stribution tank, The first flow path portion is moved from the second height to the first height and guided to the first outlet pipe side, and a second flow path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end of the distribution tank, And a second water passage portion for allowing the reserved water to be moved from the second height to the first height and to be guided to the second outlet pipe, the dispensing nozzle being formed at a third height from a bottom surface formed at the second height A first wear portion for providing a first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that has flowed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toward the first water passage portion side, And a second ware unit for providing a second distribution space for receiving the water flowed over to the second water channel unit side.

본 발명의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상기 분배조는, 상기 유입관을 통한 용수의 용출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용출된 용수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 내의 용수의 동요(動搖)를 감소시키는 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저지부는, 상기 유입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원판 형상일 수 있다.The distributing tank of the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inlet pipe so that the water in the receiving space can be vibrated by the water eluted through the inlet pipe The stopper may be formed in a disc shap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flow pipe.

본 발명의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수로부와 대향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로부와 대향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용수는, 상기 제1 수용부를 월류하여 상기 제1 분배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2 수용부를 월류하여 상기 제2 분배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높이와 상기 제2 수용부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of the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receiving portion opposed to the first water passage portion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opposed to the second water passage por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may flow into the first distributing space and flow over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 flow into the second distributing space, and the heigh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the same.

본 발명의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상기 제1 웨어부는, 하부측에 형성되며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분배공간에 수용된 용수가 상기 제1 수로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수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웨어부는, 하부측에 형성되며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분배공간에 수용된 용수가 상기 제2 수로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수문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ware unit of the drain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gate tha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llows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first distribution space to be moved to the first channel part depending on whether it is opened or closed, The second ware unit may include a second water gate formed on the lower side to allow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distribution space to be moved to the second water channel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second ware unit is opened or closed.

본 발명의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상기 제1 수로부는, 상기 제2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바닥면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지면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계단을 형성하는 제1 계단부 및 상기 제1 계단부와 인접한 외벽과 상기 제1 계단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지면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제1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계단부를 구성하는 각 단은, 인접한 상기 제1 경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ater channel portion of the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portion forming a step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formed at the second height toward the ground surface, And a first inclin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adjacent to the first portion and the first step portion and forming an inclination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ground, ,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djacent first inclined portion.

본 발명의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상기 제1 계단부는, 상기 제2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바닥면의 일측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1 단,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상기 일정 높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2 단 및 상기 제2 단으로부터 상기 일정 높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3 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용수가 상기 제2 단으로 이동되기 위한 낙차를 감소시키며, 상기 제2 단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용수가 상기 제3 단으로 이동되기 위한 낙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first step portion of the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end formed at a certain height below the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formed at the second height, And a third end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econd end, wherein an end of the first end is formed in a round shape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bottom surface flows into the second end And the end of the second end is formed in a round shape so as to reduce the head for mov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end to the third end.

본 발명의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상기 유입관은, 제1 직경으로 형성되는 평행부 및 상기 평행부의 끝단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직경의 크기가 증가하는 직경증가부를 구비하며, 상기 평행부를 통해 이동된 용수는, 상기 직경증가부에 진입하면서 이동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The inlet pipe of the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rallel portion formed at a first diameter and a diameter increasing portion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from an end of the parallel portion, The moving speed can be reduced while entering the diameter increasing portion.

본 발명의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구획벽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수로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용수의 상기 제1 유출관으로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제1 도류벽 및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구획벽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수로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용수의 상기 제2 유출관으로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제2 도류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the first space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wall, and determines the path of the water moved to the first outlet pipe through the first channel portion A first flow-through wall and a second flow-through wall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the second flow-through wall being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wall, the second flow-through wall being for determining a travel path of the water moved through the second flow- .

본 발명의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상기 외벽은, 상기 제1 수로부의 끝단과 인접한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로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용수의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상기 모서리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도류판 및 상기 제2 수로부의 끝단과 인접한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로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용수의 상기 제2 공간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상기 모서리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도류판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er wall of the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n edge adjacent to an end of the first channel section to induce movement of the water moved through the first channel section to the first space, A first flow-through plate for preventing floating matter contained in the first channel portion from being deposited on the edge, and a second flow-through plate provided at an edge adjacent to an end of the second channel portion for guiding movement of the water moved through the second channel portion to the second space And preventing the floating matters contained in the water from being settled at the corners.

본 발명에 의하면, 용수공급을 위해 배수지 공간으로 유입되는 용수를 각지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space for supplying water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each site.

또한, 배수지 공간으로 유입된 용수는 분배조 내에서 물의 동요가 안정화 되어 각지로의 용수 배분이 일정하게 구현되도록 함과 동시에 물의 동요에 따른 소음 방지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space stabilizes the fluctuation of water in the dispensing tank, so that the water distribution to each site is constantly real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noise is prevented by fluctuation of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수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op part of 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5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channel portion of 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1, 이하 배수장치)는, 유입관(W)으로부터 유입된 용수를 수용하고, 제1 유출관(P1) 및 제2 유출관(P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장치 또는 구조물일 수 있다.1 and 2, a drain devic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ain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water introduced from an inlet pipe W and is connected to a first outlet pipe P1 and the second outflow pipe P2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배수장치(1)는 외벽(10), 구획벽(20), 분배조(30), 제1 수로부(40) 및 제2 수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age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uter wall 10, a partition wall 20, a distributing tank 30, a first water channel 40 and a second water channel 50.

외벽(10)은 지면(G)으로부터 제1 높이(H1)로 형성되는 배수지 공간(S)을 제공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 배수지 공간(S)은 사각 형태의 밀실 구조일 수 있다.The outer wall 10 may provide a drainage space S formed at a first height H1 from the ground G and the drainage space S formed of a concrete structure may be a square shaped closed chamber structure.

구획벽(20)은, 배수지 공간(S)을 제1 유출관(P1)과 연통되는 제1 공간(S1)과 제2 유출관(P2)과 연통되는 제2 공간(S2)으로 구획한다.The partition wall 20 divides the drainage space S into a first space S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pipe P1 and a second space S2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utlet pipe P2.

분배조(30)는, 지면(G)으로부터 제2 높이(H2)에 배치된 채, 외벽(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유입관(W)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용출된 용수가 수용된 채 분기될 수 있다.The dispensing tank 3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wall 10 while being disposed at the second height H2 from the ground G and is branched while receiving the water eluted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inflow pipe W .

여기서, 제2 높이(H2)는 제1 높이(H1)보다 낮은 높이이다.Here, the second height H2 is a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H1.

유입관(W)은, 제1 직경으로 형성되는 평행부(W1) 및 평행부(W1)의 끝단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직경의 크기가 증가하는 직경증가부(W2)를 구비한다.The inlet pipe W has a parallel portion W1 formed at the first diameter and a diameter increasing portion W2 at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end of the parallel portion W1.

평행부(W1)를 통해 이동된 용수는, 직경증가부(W2)에 진입하면서 이동 속도가 감소한다. 여기서, 직경증가부(W2)는 유입관(W)의 유입구를 형성한다.The water moved through the parallel portion W1 enters the diameter increasing portion W2, and the moving speed decreases. Here, the diameter increasing portion W2 forms an inlet of the inflow pipe W.

구체적으로, 유입관(W)은 용수가 용출되는 유입구가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이 때, 유입구인 직경증가부(W2)는 용수의 용출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평행부(W1)를 통해 이동된 용수는 방사형으로 형성된 직경증가부(W2)를 이동하며, 이동단면적이 확대됨에 따른 이동 속도 감소효과를 가져온다.Specifically, the inflow pipe W is opened in an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is eluted. At this time, the diameter increase portion W2, which is an inflow port, is radially formed along the elution direction of the water. The water moved through the parallel portion W1 travels through the radially formed diameter increasing portion W2 and the moving speed reduction effect as the moving cross-sectional area is enlarged.

여기서, 유입관(W)을 통한 용수의 이동 속도 감소는 분배조(30) 내에 수용된 용수가 유입관(W)을 통해 용출된 용수에 의해 동요되는 정도를 감소시켜, 제1 수로부(40)와 제2 수로부(50)로 이동되는 용수가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된 채, 각각 제1 유출관(P1) 및 제2 유출관(P2)으로 유출되도록 한다.The reduction of the flow rate of the water through the inlet pipe W reduces the degree of fluctuation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distribution tank 30 by the water eluted through the inlet pipe W, And the water flowing to the second water channel portion 50 are distributed in the first outflow pipe P1 and the second outflow pipe P2 while being dispersed evenly.

분배조(30)는, 제2 높이(H2)에 형성된 바닥면(B)으로부터 제3 높이로 형성되어 유입관(W)으로부터 용출된 용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V)을 제공하는 수용부(31), 수용부(31)로부터 제1 수로부(40) 측으로 월류한 용수를 수용하는 제1 분배공간(D1)을 제공하는 제1 웨어부(33) 및 수용부(31)로부터 제2 수로부(50) 측으로 월류한 용수를 수용하는 제2 분배공간(D2)을 제공하는 제2 웨어부(35)를 구비한다.The dispensing tank 30 is provided at a thir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B formed at the second height H2 and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V for providing a receiving space V for receiving the water eluted from the inflow pipe W A first wear portion 33 for providing a first distribution space D1 for accommodating the water flowed from the storage portion 31 to the first water channel portion 40 side and a second storage space D1 for storing the water flow from the storage portion 31 to the second water channel portion 31, And a second ware unit 35 for providing a second distribution space D2 for receiving the water that has flowed to the side of the unit 50.

또한, 분배조(30)는 바람직하게는 평면도로 봤을 때,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관은 분배조(3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tank 30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preferably in a plan view, and the outlet pipe may be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distribution tank 30.

이하, 도 3을 참조로 분배조(3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istribution tank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1 수로부(40)는, 분배조(30)의 일측단에 연결된 채, 분배조(30)로부터 분기된 용수가 제2 높이(H2)에서 제1 높이(H1)로 이동되어 제1 유출관(P1) 측으로 유도되도록 한다.The first water channel unit 4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stribution tank 30 and the water branched from the distribution tank 30 is moved from the second height H2 to the first height H1, To be guided to the pipe P1 side.

제2 수로부(50)는, 분배조(30)의 타측단에 연결된 채, 분배조(30)로부터 분기된 용수가 제2 높이(H2)에서 제1 높이(H1)로 이동되어 제2 유출관(P2) 측으로 유도되도록 한다.The second water channel portion 5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end of the distribution tank 30 so that the water branched from the distribution tank 30 is moved from the second height H2 to the first height H1, To be guided to the pipe P2 side.

제1 수로부(40)와 제2 수로부(50)는 분배조(30)로부터 월류된 용수가 각각 제1 유출관(P1) 및 제2 유출관(P2)으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분배조(30)의 유지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channel section 40 and the second channel section 50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distribution tank 30 is moved to the first outlet pipe P1 and the second outlet pipe P2, Thereby providing a user's moving path for maintenance of the distribution tank 3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배수장치(1) 내의 출입구가 형성된 외벽(10)으로부터, 제2 높이(H2)에 위치한 분배조(30)로 이동하기 위한 일종의 계단 또는 경사면이 필요하며, 이 때 본 발명의 제1 수로부(40)와 제2 수로부(50)는 사용자의 지면(G)으로부터 제2 높이(H2)로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user needs a kind of step or slope for moving from the outer wall 10 formed with the entrance in the drainage apparatus 1 to the dispensing tank 30 located at the second height H2. In this case, The first channel portion 40 and the second channel portion 50 provide a passage for movement from the user's ground G to the second height H2.

한편, 본 발명의 배수장치(1)는 제1 도류벽(60) 및 제2 도류벽(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ainag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low-through wall 60 and a second flow-through wall 70.

제1 도류벽(60)은, 제1 공간(S1)에 배치되되, 구획벽(2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수로부(40)를 통해 이동된 용수의 제1 유출관(P1)으로의 이동 경로를 결정한다.The first flow-through wall 60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wall 20. The first flow-through wall 60 includes a first outflow pipe P1 of the water moved through the first water passage 40, Lt; / RTI >

구체적으로, 제1 도류벽(60)은 일측은 제1 수로부(40)와 연결된 채, 배수장치(1)를 형성하는 외벽(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은 외벽(10)의 길이방향을 결정하는 일 외벽(10)에 연결되지 않은 채, 제1 공간(S1) 상에 배치된다.Specifically, one side of the first flow-through wall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channel 40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er wall 10 forming the drainage device 1, and the other side is a length of the outer wall 10 Is disposed on the first space S1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outer wall 10 to determine the direction.

이에 따라, 제1 수로부(40)를 통해 이동된 용수가 제1 도류벽(60)을 따라 우회하여 제1 유출관(P1)으로 이동된다. 이는 제1 수로부(40)를 통해 이동된 용수가 직선 경로를 따라 제1 유출관(P1)으로 이동됨에 따른 용수의 요동 및 와류를 방지하여 제1 공간(S1) 상에 체류 중인 용수의 제1 유출관(P1)으로의 안정적인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moved through the first channel section 40 is bypassed along the first flow-through wall 60 and is moved to the first outlet pipe P1. This prevents swinging and vortexing of the water as the water moved through the first water channel 40 is moved to the first outflow pipe P1 along the straight path so that the water of the water 1 can lead to a stable movement to the outflow pipe P1.

또한, 제2 도류벽(70)은, 제2 공간(S2)에 배치되되, 구획벽(2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수로부(50)를 통해 이동된 용수의 제2 유출관(P2)으로의 이동 경로를 결정한다.The second cryogenic wall 70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S2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wall 20 and is connected to a second outlet pipe P2.

이에 따라, 제2 수로부(50)를 통해 이동된 용수가 제2 도류벽(70)을 따라 우회하여 제2 유출관(P2)으로 이동된다. 이는 제2 수로부(50)를 통해 이동된 용수가 직선 경로를 따라 제2 유출관(P2)으로 이동됨에 따른 용수의 요동 및 와류를 방지하여 제2 공간(S2) 상에 체류 중인 용수의 제2 유출관(P2)으로의 안정적인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moved through the second channel portion 50 bypasses along the second flow-through wall 70 and is moved to the second outlet pipe P2. This prevents swinging and vortexing of the water as the water moved through the second water channel 50 is moved to the second outflow pipe P2 along the straight path so that the water in the second space S2, 2 can lead to stable movement to the outflow pipe (P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장치(1)의 외벽(10)은 제1 도류판(11) 및 제2 도류판(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outer wall 10 of the drainage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hrottle plate 11 and a second throttle plate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도류판(11)은, 제1 수로부(40)의 끝단과 인접한 모서리에 설치되어 제1 수로부(40)를 통해 이동된 용수의 제1 공간(S1)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모서리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throttle plate 11 is provided at an edge adjacent to the end of the first water channel 40 to induce the movement of the water moved through the first water channel 40 to the first space S1 Prevents floats contained in the water from depositing on the corners.

제1 도류판(11)은 외벽(10)에 의해 형성된 각 진 모서리에 의한 용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에 배치되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일종의 플레이트 일 수 있다.The first throttle plate 11 may be a flat plate or a curved plate disposed at the corner for smooth flow of water by angled corners formed by the outer wall 10.

또한, 제2 도류판(12)은, 제2 수로부(50)의 끝단과 인접한 모서리에 설치되어 제2 수로부(50)를 통해 이동된 용수의 제2 공간(S2)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모서리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cond throttle plate 12 is provided at an edge adjacent to the end of the second water channel 50 to guide the water moved through the second water channel 50 to the second space S2 While preventing the floating matters contained in the water from precipitating at the corners.

제2 도류판(12)은, 제1 도류판(11)과 동일한 구성 및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2 도류판(12)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도류판(11)에 관한 상세한 설명으로 갈음한다.Since the second throttle plate 12 is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nd shape as the first throttle plate 11,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throttle plate 12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throttle plate 11 d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op part of 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장치(1)의 분배조(30)는 유입관(W)을 통한 용수의 용출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유입관(W)을 통해 용출된 용수에 의한 수용공간(V) 내의 용수의 동요(動搖)를 감소시키는 저지부(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3, the dispensing tank 30 of the drain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dissolution of the water through the inlet pipe W, (37) for reducing the fluctuation of the water in the accommodation space (V) by the eluted water.

저지부(37)는, 유입관(W)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저지부(37)는 유입관(W)의 직경의 1.5배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관(W)으로부터 용출된 용수는 저지부(37)에 의해 용출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The stopper portion 37 may be in the shape of a disk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flow pipe W. The blocking portion 37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1.5 times the diameter of the inlet pipe W. [ The flow rate of the water eluted from the inflow pipe (W) in the elution direction can be reduced by the stopper (37).

유입관(W)으로부터 용출된 용수는 일차적으로 유입관(W)의 유입구인 직경증가부(W2)를 통과하면서 용출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감소하며, 이차적으로 저지부(37)에 의해 용출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감소되어 The water eluted from the inflow pipe W is primarily passed through the diameter increasing portion W2 which is an inflow port of the inflow pipe W and the moving speed in the elution direction is decreased. Lt; RTI ID = 0.0 >

또한, 저지부(37)는 유입관(W)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재에 의해 유입관(W)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저지부(37)가 분배조(30)를 구성하는 일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유입관(W)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the stopper portion 37 may be disposed above the inflow pipe W by 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inflow pipe W. Or the stopper portion 37 may b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a side wall constituting the distribution tank 30 and to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flow pipe W. [

여기서, 유입관(W)을 통한 용수의 이동 속도 감소는 분배조(30) 내에 수용된 용수가 유입관(W)을 통해 용출된 용수에 의해 동요되는 정도를 감소시켜, 제1 수로부(40)와 제2 수로부(50)로 이동되는 용수가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된 채, 각각 제1 유출관(P1) 및 제2 유출관(P2)으로 유출되도록 한다.The reduction of the flow rate of the water through the inlet pipe W reduces the degree of fluctuation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distribution tank 30 by the water eluted through the inlet pipe W, And the water flowing to the second water channel portion 50 are distributed in the first outflow pipe P1 and the second outflow pipe P2 while being dispersed evenly.

수용부(31)는, 제1 수로부(40)와 대향하는 제1 수용부(311) 및 제2 수로부(50)와 대향하는 제2 수용부(312)를 구비한다.The accommodating portion 31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11 opposed to the first channel portion 40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12 opposed to the second channel portion 50. [

수용공간(V)에 수용된 용수는, 제1 수용부(311)를 월류하여 제1 분배공간(D1)으로 유입되고, 또한 제2 수용부(312)를 월류하여 제2 분배공간(D2)으로 유입된다.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V flows into the first distribution space D1 through the first storage unit 311 and flows over the second storage unit 312 to the second distribution space D2 ≪ / RTI >

여기서, 제1 수용부(311)의 높이와 제2 수용부(312)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Here, the heigh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11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12 may be the same.

제1 수용부(311)는, 수용공간(V)과 제1 분배공간(D1)을 구획하는 일종의 차단벽이다.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11 is a kind of blocking wall for partitioning the accommodation space V and the first distribution space D1.

제1 수용부(311)의 수용공간(V)과 대면하는 제1 측면의 높이는, 제1 수용부(311)의 제1 분배공간(D1)과 대향하는 제2 측면의 높이와 상이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side facing the accommodation space V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11 may be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11 facing the first distribution space D1 .

구체적으로, 제1 수용부(311)의 상측면은 제1 분배공간(D1)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1 측면의 높이가 제2 측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1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distribution space D1 so that the height of the first side surfac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side surface.

이에 따라, 수용공간(V)에 수용된 용수가 제1 수용부(311)를 월류하여 제1 분배공간(D1)으로 이동되는 경우, 용수의 낙차를 줄여 제1 분배공간(D1)에 수용된 용수의 동요(動搖)를 줄임과 동시에 낙차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V is moved to the first distribution space D1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1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ad of the wa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and reduce the fluctuation.

또한, 제2 수용부(312)는, 수용공간(V)과 제2 분배공간(D2)을 구획하는 일종의 차단벽이다.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12 is a kind of blocking wall that divides the accommodation space V and the second distribution space D2.

제2 수용부(312)의 수용공간(V)과 대면하는 제3 측면의 높이는, 제2 수용부(312)의 제2 분배공간(D2)과 대향하는 제4 측면의 높이와 상이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third side facing the receiving space V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12 may be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fourth side opposing the second distributing space D2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12 .

구체적으로, 제2 수용부(312)의 상측면은 제2 분배공간(D2)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제3 측면의 높이가 제4 측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1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cond distribution space D2, and the height of the third side surface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ourth side surface.

이에 따라, 수용공간(V)에 수용된 용수가 제2 수용부(312)를 월류하여 제2 분배공간(D2)으로 이동되는 경우, 용수의 낙차를 줄여 제2 분배공간(D2)에 수용된 용수의 동요(動搖)를 줄임과 동시에 낙차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V is moved to the second dispensing space D2 over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1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ad of the water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dispensing space D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and reduce the fluctuation.

한편, 제1 웨어부(33)는 하부측에 형성되며 개폐 여부에 따라 제1 분배공간(D1)에 수용된 용수가 제1 수로부(4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수문(331)을 구비한다.The first ware unit 33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and includes a first water gate 331 for allowing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first distribution space D1 to be moved to the first water channel 40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ware unit 33 is opened or closed .

제1 수문(331)은 제1 수로부(40)와 대향하는 제1 웨어부(33)의 관통된 일 영역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성요소로서, 배수장치(1)의 상측에 배치된 전동 도르래에 의해 승강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water gate 331 is a component that opens or closes a penetrated region of the first wear portion 33 that faces the first water channel portion 40. The first water gate 331 is an electric pulley As shown in FIG.

제2 웨어부(35)는, 하부측에 형성되며 개폐 여부에 따라 제2 분배공간(D2)에 수용된 용수가 제2 수로부(5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수문(351)을 구비한다.The second ware unit 35 includes a second water gate 351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dapted to move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distribution space D2 to the second water channel 50 depending on whether the second ware unit 35 is opened or closed.

제2 수문(351)은 제2 수로부(50)와 대향하는 제2 웨어부(35)의 관통된 일 영역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성요소로서, 배수장치(1)의 상측에 배치된 전동 도르래에 의해 승강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second water gate 351 is a component that opens or closes a penetrated region of the second ware unit 35 facing the second water channel 50, As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의 수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S. 4 and 5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channel portion of a drainage device for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장치(1)의 제1 수로부(40)는 제1 계단부(411) 및 제1 경사부(413)를 구비할 수 있다.4 and 5, the first channel portion 40 of the drain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tep portion 411 and a first inclined portion 413 have.

제1 계단부(411)는, 제2 높이(H2)로 형성되는 바닥면(B)의 일측단으로부터 지면(G)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계단을 형성한다.The first stepped portion 411 forms a step downward from the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B formed by the second height H2 toward the ground G. [

제1 경사부(413)는, 제1 계단부(411)와 인접한 외벽(10)과 제1 계단부(411) 사이에 형성되되, 바닥면(B)의 일측단으로부터 지면(G)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한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413 is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10 and the first step portion 411 adjacent to the first step portion 411 and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B toward the ground G Thereby forming an inclin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여기서, 제1 계단부(411)를 구성하는 각 단은, 인접한 제1 경사부(413)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Here, each end constituting the first step portion 411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djacent first inclined portion 413.

제1 웨어부(33)의 제1 수문(331)을 통해 제1 수로부(40)로 이동된 용수는 제1 계단부(411)를 통해 하측 방향인 제1 공간(S1)으로 이동된다.The water moved to the first water channel 40 through the first water gate 331 of the first ware unit 33 is moved to the first space S1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first step 411. [

이 때, 제1 계단부(411)의 제1 경사부(413)를 향해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인해, 제1 계단부(411)를 통해 이동되는 용수는 제1 경사부(413)로 위치 이동이 유도된다. At this time, due to the downward inclined shape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413 of the first step 411, the water to be moved through the first stepped portion 411 is moved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413 .

참고적으로, 제1 계단부(411)를 구성하는 각 단은 일정 높이의 낙차를 제공하므로, 각 단을 이동함에 따라 이동되는 용수는 낙차에 따른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용수의 제1 계단부(411)를 통한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계단부(411)가 제1 경사부(413)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용수의 제1 경사부(413)로의 이동을 유도한다.For reference, since each stage constituting the first step 411 provides a drop of a predetermined height, the water that moves as each stage moves can generate noise due to dropping. In order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water through the first step portion 411, the first step portion 411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inclined portion 413, (413).

제1 경사부(413)를 이동하는 용수는 제1 경사부(413)가 제공하는 경사면을 따라 제2 높이(H2)에서 지면(G)으로 이동된다.The water that moves alo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413 is moved from the second height H2 to the ground G along the inclined surface provided by the first inclined portion 413.

정리하면, 유출관으로부터 용출된 용수는 분배조(30)의 수용공간(V)에 수용된 채, 제1 수로부(40)를 월류하여 제1 분배공간(D1)을 이동된다.In summary, the water eluted from the outflow pip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V of the dispensing tank 30, and is moved over the first water channel 40 to flow through the first dispensing space D1.

제1 분배공간(D1)에 수용된 용수는 제1 웨어부(33)의 제1 수문(331)이 개방됨에 따라, 제1 계단부(411) 및 제1 경사부(413)로 이동된다. 이 때, 제1 계단부(411)를 이동하는 용수는 제1 계단부(411)를 통해 제1 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경사부(413)를 따라 제1 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first distribution space D1 is moved to the first step 411 and the first inclined part 413 as the first water gate 331 of the first wear part 33 is opene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step 411 may be moved to the first space S1 through the first step 411 or may be moved along the first slope 413 to the first space S1 S1).

또한, 제2 수로부(50)는, 제2 계단부 및 제2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water channel portion 50 may include a second step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제2 분배공간(D2)에 수용된 용수는 제2 웨어부(35)의 제2 수문(351)이 개방됨에 따라, 제2 계단부 및 제2 경사부로 이동된다. 이 때, 제2 계단부를 이동하는 용수는 제2 계단부를 통해 제2 공간(S2)으로 이동될 수 잇으며 또는, 제2 경사부를 따라 제2 공간(S2)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distribution space D2 is moved to the second step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s the second water gate 351 of the second wear portion 35 is opened. At this time, the water moving through the second step can be moved to the second space S2 through the second step or can be moved to the second space S2 along the second inclined part.

한편, 제1 계단부(411)는 제2 높이(H2)로 형성되는 바닥면(B)의 일측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1 단(411a), 제1 단(411a)으로부터 일정 높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2 단(411b) 및 제2 단(411b)으로부터 일정 높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3 단(411c)을 구비한다.The first step 411 includes a first end 411a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elow the first end 411a of the bottom surface B formed at the second height H2, And a third end 411c formed below the second end 411b and the second end 411b.

제1 계단부(411)를 형성하는 제1 단(411a)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바닥면(B)으로부터 유입된 용수가 제2 단(411b)으로 이동되기 위한 낙차를 감소시킨다.The end of the first end 411a forming the first step 411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to reduce the dropping of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bottom surface B to the second end 411b.

또한, 제2 단(411b)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제1 단(411a)으로부터 유입된 용수가 제3 단(411c)으로 이동되기 위한 낙차를 감소시킨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second stage 411b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so that the drop of water flowing from the first stage 411a to the third stage 411c is reduced.

또한, 제3 단(411c)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제2 단(411b)으로부터 유입된 용수가 지면(G)으로 이동되기 위한 낙차를 감소시킨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third stage 411c is rounded so as to reduce the dropping force for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second stage 411b to the ground G to move.

여기서, 제1 계단부(411)가 구비하는 제1 단(411a), 제2 단(411b) 및 제3 단(411c)은 본 발명의 제1 계단부(411)를 설명하기 위한 단의 개수로서, 본 발명의 배수장치(1)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제1 계단부(411)를 형성하는 각 단의 개수는 상이해질 수 있다.The first end 411a, the second end 411b and the third end 411c of the first step 411 correspond to the number of steps for describing the first step 4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respective stages forming the first step 411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space in which the drainag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제2 계단부는 제1 계단부(411)와 동일한 구성 및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2 계단부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계단부(411)에 관한 상세한 설명으로 갈음한다.Since the second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nd shape as the first stepped portion 411,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stepped portion is replaced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stepped portion 411 described abov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
G: 지면
B: 바닥면
W: 유입관
S: 배수지 공간
P1: 제1 유출관
P2: 제2 유출관
10: 외벽
20: 구획벽
30: 분배조
40: 제1 수로부
50: 제2 수로부
60: 제1 도류벽
70: 제2 도류벽
1: Drain for water supply
G: Ground
B: bottom surface
W: Inflow pipe
S: Reservoir space
P1: 1st outflow pipe
P2: Second outflow pipe
10: outer wall
20: compartment wall
30: Distribution tank
40: first channel section
50: second channel section
60: first flow wall
70: second flow wall

Claims (9)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용수를 수용하고, 제1 유출관 및 제2 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형성되는 배수지 공간을 제공하는 외벽;
상기 배수지 공간을 상기 제1 유출관과 연통되는 제1 공간과 상기 제2 유출관과 연통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배치된 채, 상기 외벽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용출된 용수가 수용된 채 분기되는 분배조;
상기 분배조의 일측단에 연결된 채, 상기 분배조로부터 분기된 용수가 상기 제2 높이에서 상기 제1 높이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유출관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제1 수로부; 및
상기 분배조의 타측단에 연결된 채, 상기 분배조로부터 분기된 용수가 상기 제2 높이에서 상기 제1 높이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유출관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제2 수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조는,
상기 제2 높이에 형성된 바닥면으로부터 제3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용출된 용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수로부 측으로 월류한 용수를 수용하는 제1 분배공간을 제공하는 제1 웨어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2 수로부 측으로 월류한 용수를 수용하는 제2 분배공간을 제공하는 제2 웨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배조는,
상기 유입관을 통한 용수의 용출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용출된 용수에 의한 상기 수용공간 내의 용수의 동요(動搖)를 감소시키는 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저지부는, 상기 유입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원판 형상이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수로부와 대향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로부와 대향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용수는, 상기 제1 수용부를 월류하여 상기 제1 분배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2 수용부를 월류하여 상기 제2 분배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높이와 상기 제2 수용부의 높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1 웨어부는,
하부측에 형성되며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분배공간에 수용된 용수가 상기 제1 수로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수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웨어부는,
하부측에 형성되며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분배공간에 수용된 용수가 상기 제2 수로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수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로부는,
상기 제2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바닥면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지면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계단을 형성하는 제1 계단부 및 상기 제1 계단부와 인접한 외벽과 상기 제1 계단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지면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제1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계단부를 구성하는 각 단은,
인접한 상기 제1 경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
1. A drainage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for receiving water introduced from an inlet pipe and allowing the water to flow out through a first outlet pipe and a second outlet pipe,
An outer wall providing a reservoir space formed at a first height from the ground;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reservoir space into a first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pipe and a second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utlet pipe;
A dispensing tank disposed at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and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wall and branched while accommodating the water eluted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inflow pipe;
A first channel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stribution tank and adapted to allow the water branched from the distribution tank to move from the second height to the first height and to be directed toward the first outlet pipe; And
And a second water channel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tribution tank and adapted to allow the water diverted from the distribution tank to move from the second height to the first height and to be guided to the second outlet pipe side,
Wherein the dispensing vessel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 third height from a bottom surface formed at the second height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water eluted from the inflow pipe, And a second wear part for providing a second distribu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that has flowed from the accommodation part toward the second water passage part side,
Wherein the dispensing vessel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a direction of elution of the water through the inflow pipe and reducing the fluctuation of the water in the accommodating space by the water eluted through the inflow pipe,
Wherein the blocking portion is in the shape of a disk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flow pipe,
The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opposed to the first water passage por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pposed to the second water passage portion,
Wherei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flows into the first distributing space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flows into the second distributing space throug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he height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he first wear unit includes:
And a first water gate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water passage and adapted to mov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first distribution space to the first water passage part depending on whether the water passage is opened or closed,
Wherein the second wear unit comprises:
And a second water gate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dapted to mov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distribution space to the second water channel part depending on whether the water channel is opened or closed,
Wherein the first water channel unit comprises:
A first step formed at the second height to form a step downward from the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ground, an outer wall adjacent to the first step, and the first step, And a first inclined portion which forms an inclination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ground,
Wherein each of the stages constituting the first step portion comprises:
Wherein the first inclined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djacent first inclined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단부는,
상기 제2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바닥면의 일측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1 단,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상기 일정 높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2 단 및 상기 제2 단으로부터 상기 일정 높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3 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용수가 상기 제2 단으로 이동되기 위한 낙차를 감소시키며,
상기 제2 단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용수가 상기 제3 단으로 이동되기 위한 낙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comprises:
A first end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elow the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formed at the second height, a second end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elow the first end, and a second end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elow the first end, And a third end to be formed,
Wherein an end of the first end
The bottom of which is rounded to reduce the drop of water flowing from the bottom to the second end,
And the end of the second stage
And is configured to be rounded so as to reduce dropping of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end to the third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제1 직경으로 형성되는 평행부 및 상기 평행부의 끝단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직경의 크기가 증가하는 직경증가부를 구비하며,
상기 평행부를 통해 이동된 용수는, 상기 직경증가부에 진입하면서 이동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pipe has a parallel portion formed at a first diameter and a diameter increasing portion at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an end of the parallel portion,
And the water moved through the parallel portion is reduced in moving speed while entering the diameter increas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구획벽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수로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용수의 상기 제1 유출관으로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제1 도류벽; 및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구획벽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수로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용수의 상기 제2 유출관으로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제2 도류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first flow-through wall disposed in the first space, the first flow-through wall being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wall, the first flow-through wall determining a travel path of the water moved through the first water path portion to the first outlet pipe; And
And a second flow-through wall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the second flow-through wall being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wall, the second flow-through wall determining a travel path of the water moved through the second water channel to the second outlet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for the supply of wa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상기 제1 수로부의 끝단과 인접한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로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용수의 상기 제1 공간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상기 모서리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도류판 및 상기 제2 수로부의 끝단과 인접한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로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용수의 상기 제2 공간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상기 모서리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도류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공급을 위한 배수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er wall
A water channel provided at an edge adjacent to an end of the first channel section for guiding movement of the water moved through the first channel section to the first space and for preventing floats contained in the water from being settled at the edge; The first water passage portion and the second water passage portion to induce the movement of the water moved through the second water passage portion to the second space while the float contained in the water is settled at the edge And a second flow-regulating plate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water.
KR1020170122437A 2017-09-22 2017-09-22 Draining device for water supply KR1018227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437A KR101822798B1 (en) 2017-09-22 2017-09-22 Draining device for wat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437A KR101822798B1 (en) 2017-09-22 2017-09-22 Draining device for water supp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798B1 true KR101822798B1 (en) 2018-01-29

Family

ID=6102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437A KR101822798B1 (en) 2017-09-22 2017-09-22 Draining device for water supp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79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883A (en) * 2000-04-21 2001-10-31 Morimatsu Research Institution Co Ltd Water supply apparatus of tank
JP2007056482A (en) * 2005-08-23 2007-03-08 Sayama Seisakusho:Kk Water supply equipm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water tan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883A (en) * 2000-04-21 2001-10-31 Morimatsu Research Institution Co Ltd Water supply apparatus of tank
JP2007056482A (en) * 2005-08-23 2007-03-08 Sayama Seisakusho:Kk Water supply equipm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water tan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1114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from a fluid stream
US20110278212A1 (en) Sediment and detention basin drainage system and method
US20080011372A1 (en) Pump Station, and Device to be Used in Same
US9708807B2 (en) Water transfer device for underground water collection and storage chambers
EP3712338A1 (en) Flush toilet
US10150063B2 (en) Hydrodynamic separator
US10052570B2 (en) Settling basin insert
KR101822798B1 (en) Draining device for water supply
US4789487A (en) Septic tank with integral direct distribution system
US99092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liquid from other substances
KR1013650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gas and liquid during backwash in filter underdrain flumes using dual separation
US11939759B2 (en) Sewage system
JP7072776B2 (en) Separator
JP4504832B2 (en) Rainwater runoff control system
KR102082142B1 (en) Eco-friendly dam for river
CN106013392B (en) Runoff purification system and runoff purification method
KR102003120B1 (en) A Sand Reduction System From Water Getting Underground Water
CN110485520B (en) Storage tank
JP6620047B2 (en) Drainage station and drainage method
JPH09215456A (en) Flushing apparatus for animal rack
CN108951773A (en) A kind of toilet Homofloor drainage system
JP6170391B2 (en) Sewage drainage system and sewage heat utilization system
CN213836936U (en) Intercepting well
RU1808048C (en) Regulating vessel
CA2953931C (en) Settling basin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