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678B1 -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 Google Patents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678B1
KR101818678B1 KR1020170048198A KR20170048198A KR101818678B1 KR 101818678 B1 KR101818678 B1 KR 101818678B1 KR 1020170048198 A KR1020170048198 A KR 1020170048198A KR 20170048198 A KR20170048198 A KR 20170048198A KR 101818678 B1 KR101818678 B1 KR 101818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humidifying
module
smar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학
Original Assignee
김부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학 filed Critical 김부학
Priority to KR102017004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으로 발생된 물을 식물에게 공급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Smart flowerpot using dehumidifying water}
본 발명은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으로 발생된 물을 식물에게 공급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에 관한 것이다.
도심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주변 환경을 개선(미관 개선 및 공기 청정 등)하기 위해 식물을 화분 등에 키우는 경우가 많다.
식물의 성장에 있어서 수분의 공급은 매우 중요하나, 바쁜 일상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에게 때를 맞추어 식물에 물을 주어 식물을 기르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즉, 물 주는 시기를 놓쳐서 식물이 고사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정 시간마다 물통에 채워놓은 물을 공급하는 기술 등이 있으나, 이 역시 물통에 채워놓은 물이 없다면 식물에 물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57695]에서는 화분 식물용 자동 물공급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57695](공개일자: 2016년05월24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로 물을 공급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식물에 물을 공급해야 할 경우 제습으로 발생된 물을 식물에게 공급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안쪽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안쪽 벽면 상에 물공급구(110)가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며, 제습기능으로 생성된 물을 상기 물공급구(110)로 공급하는 제습모듈(200);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설치되며, 토양의 수분 함량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400); 및 상기 수분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된 토양의 수분 함량을 근거로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는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0)는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값 이하 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고, 설정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을 중지시키거나,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하한값 이하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고, 설정상한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제어부(900)와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8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9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부(900)가 획득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800)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상기 제어부(900)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제습모듈(200) 및 상기 물공급구(110)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상에 구비되며,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물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물통(300)과 물공급구(110) 사이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물통의 수위가 설정하한값 이하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고, 설정상한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을 중지시키되,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값 이하 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되면 상기 밸브를 열고, 설정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밸브를 닫거나,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하한값 이하 상태가 되면, 상기 밸브를 열고, 설정상한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며, 시간 또는 시간 및 수분 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는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입력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제어부(9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수분 함량에 따라 조명색을 달리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이 위치된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부(700)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이 위치된 실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부(700)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화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에 의하면, 제습모듈을 이용한 물공급이 가능함으로써,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별도로 채우지 않더라도 물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토양의 수분 함량을 근거로 제습모듈을 가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통신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IoT 환경을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모니터링, 무선제어, 자동 동작을 위한 설정 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물통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습도를 적정 수준에서 유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제습모듈의 구동과는 별개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분의 기능 뿐만 아닌 다양한 기능(시계, 알람, 온도계, 습도계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설정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설정 내용을 확인하면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광부를 구비함으로써, 조명의 역할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수분 함량에 따라 조명색을 달리함으로써, 멀리서도 토양의 수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사람의 존재 유무에 따른 조명 제어를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와 분리 결합이 가능한 화분을 구비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다양한 식물을 용이하게 바꾸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통신모듈이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물통이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디스플레이부가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에 설정입력부가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발광부가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에 인체감지센서가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에서 몸체와 화분이 분리/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의 디스플레이부가 몸체 내부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통신모듈이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물통이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디스플레이부가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설정입력부가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발광부가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인체감지센서가 부가된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에서 몸체와 화분이 분리/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의 디스플레이부가 몸체 내부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제습기능을 이용하여 물을 생성하고 생성된 물을 식물에 자동으로 급수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몸체(100), 제습모듈(200), 수분감지센서(40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안쪽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안쪽 벽면 상에 물공급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식물을 심거나 식물이 심겨진 화분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안쪽에 식물을 심거나 식물이 심겨진 화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즉, 하부에 바닥이 형성되고 측면에 벽체가 형성된다.
이때,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화분과 같이 물이 빠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안쪽 벽면 상에 물공급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구(110)는 식물에 물을 주기 위한 것으로, 흙이 담겨있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습모듈(200)는 상기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며, 제습기능으로 생성된 물을 상기 물공급구(110)로 공급한다.
상기 제습모듈(20)은 몸체(100)에 내장된다. 즉, 몸체(100)를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습모듈(200)은 상기 제습모듈(2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물이 배출되는 위치가 상기 물공급구(110)의 높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습모듈(2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물공급구(110)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습모듈(2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물이 배출되는 위치가 상기 물공급구(110)의 높이보다 낮은 곳에 위치된다면, 물을 상기 물공급구(110) 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펌프 등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습모듈(200)은 냉각사이클을 이용하여 습기의 결로에 의해 물이 생성되도록 하여 제습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흡열과 발열이 일어나는 흡열부와 발열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흡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에 의해 응축시킴으로써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수분감지센서(400)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설치되며, 토양의 수분 함량을 감지한다.
상기 수분감지센서(400)는 토양의 수분 함량을 감지하는 센서로, 봉 형태의 센서나 스틱 형태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분감지센서(400)는 화분과 같은 토양이 담긴 용기에 매립하여 토양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전극을 형성하고, 두 개의 전극은 토양의 수분함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전류의 세기가 변하게 되는 원리로 수분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토양의 수분함량이 많으면 저항값이 낮아지며 전류가 잘 흐르게 되고, 수분함량이 적으면 저항값이 높아지며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다.
제어부(900)는 상기 수분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된 토양의 수분 함량을 근거로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900)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해야 할 상황을 판단하여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킨다.
이때, 상기 일정 조건은 식물에 수분을 공급해야 할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900)는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값 이하 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고, 설정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즉, 설정값 1 개와 설정값 이하로 떨어진 상태의 지속시간을 근거로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하한값 이하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고, 설정상한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설정값 2 개(설정하한값 및 설정상한값)를 이용하여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식물에 수분을 공급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제어부(900)와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8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9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부(900)가 획득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800)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상기 제어부(900)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800)은 IoT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900)가 획득 가능한 정보(시간, 온도, 습도, 수분 함량, 제습모듈 가동 여부, 제습모듈 가동 시간 등)를 통신모듈(800)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등)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정보를 제어부(900)가 통신모듈(800)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보내주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명령(제습모듈(200) 가동 등)을 제어부(900)가 수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자동제어를 위한 설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세팅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모든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제습모듈(200) 및 상기 물공급구(110)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상에 구비되며,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물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300)은 상기 제습모듈(200)에 의해 발생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위해서는 적절한 습도를 유지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습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측정된 습도를 근거로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킬 수 있다.
즉, 식물에 수분을 공급해야할 상황은 아니나, 습도가 높아 제습이 필요할 경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킬 수 있고, 제습기능으로 발생된 물을 물통(300)에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통(300)은 상기 물통(300)의 물이 배출되는 위치가 상기 물공급구(110)의 높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물통(3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물공급구(110)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물통(300)과 물공급구(110) 사이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물통의 수위가 설정하한값 이하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고, 설정상한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을 중지시키되,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값 이하 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되면 상기 밸브를 열고, 설정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밸브를 닫거나,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하한값 이하 상태가 되면, 상기 밸브를 열고, 설정상한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제습모듈(200)의 구동과 무관하게, 물통(300)에 물이 충분하다면 식물에 물을 공급해야 할 상황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물통(30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양)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하며, 수위센서 또는 무게센서(로드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며, 시간 또는 시간 및 수분 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표시해 주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 시간만 표시되도록 하거나, 시간과 수분 함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간과 수분 함량 뿐만 아니고, 상기 제어부(9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는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입력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입력부(600)는 시간 설정, 알람 설정, 자동제어를 위한 설정 등을 디스플레이부(500)를 보고 확인하면서 사용자가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관적으로 설정 내용을 확인하면서 설정을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제어부(9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수분 함량에 따라 조명색을 달리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함량이 부족할 경우 주황색 계열의 조명이 켜지도록 하고, 수분함량 충분한 경우 푸른색계열의 조명이 켜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멀리서도 발광부(700)의 색을 보면서 토양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환경미화를 위한 조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이 위치된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부(700)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이 위치된 실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부(700)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조명은 환경미화를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식물의 광합성에도 영향이 있다.
따라서, 사람이 있을 때는 식물이 광합성을 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여 쾌적한 대기 환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발광부(700)를 점등하고, 사람이 없을 때는 낮에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밤에는 산소를 흡수하도록 발광부(700)를 소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이 있고 없고를 판단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IoT 환경이 형성된 상황에서는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센서 또는 출입카운터센서 등을 이용하여, 들어온 사람의 수와 나간 사람의 수를 근거로 판단할 수도 있으며, 방범을 위해 설치된 동작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제어부(900)와 연결되며,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9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인체감지센서(950)를 통해 실내에 사람이 있고 없고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몸체(100)에 식물을 직접 심거어 가꾸는 것도 가능하나 흙과 물 등이 직접 몸체(100)에 닿아 기스 등의 파손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식물을 용이하게 바꾸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화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화분(150)에 식물을 심고, 상기 화분(150)을 상기 몸체(100)에 넣어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디스플레이부(500)가 몸체(100)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되, 외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깔끔한 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서 식물의 상부위치에 아무것도 없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상기 몸체(100)는 식물을 심거나 식물이 심겨진 화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 상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100)는 타원(계란)형으로 형성되고, 중단 일부와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하부에 형성된 공간이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으로 사용된다.
이때에는, 식물이 심겨진 화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 상부에 형성된 몸체(100)의 하부에 물공급구(110)가 형성되고, 식물이 심겨진 화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 상부에 형성된 몸체(100)의 내부에 제습모듈(20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물공급구(110)로부터 식물을 심겨진 위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튜브, 스틱 등을 물공급구(11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식물을 심겨진 위치에 물이 정확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튜브의 경우 튜브 내부로 물이 이동될 수 있으며, 스틱의 경우 표면장력에 의해 물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튜브 또는 스틱 등은 물공급구(110)로부터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몸체
150: 화분
200: 제습모듈
300: 물통
400: 수분감지센서
500: 디스플레이부
600: 설정입력부
700: 발광부
800: 통신모듈
900: 제어부
950: 인체감지센서

Claims (10)

  1. 안쪽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안쪽 벽면 상에 흙이 담겨있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물공급구(110)가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며, 제습기능으로 생성된 물을 상기 물공급구(110)로 공급하는 제습모듈(200);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설치되며, 토양의 수분 함량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400);
    상기 수분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된 토양의 수분 함량을 근거로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는 제어부(900); 및
    상기 제어부(9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수분 함량에 따라 조명색을 달리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700); 를 포함하며,
    화분(150)이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화분(150)은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습모듈(200)은
    상기 제습모듈(20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물이 배출되는 위치가 상기 물공급구(110)의 높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이 위치된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부(700)를 점등시키고,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이 위치된 실내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부(700)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900)는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값 이하 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고, 설정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을 중지시키거나,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하한값 이하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고, 설정상한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제어부(900)와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80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9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부(900)가 획득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800)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상기 제어부(900)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제습모듈(200) 및 상기 물공급구(110)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상에 구비되며,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물통(300);
    을 더 포함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물통(300)과 물공급구(110) 사이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물통의 수위가 설정하한값 이하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고, 설정상한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을 중지시키되,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값 이하 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되면 상기 밸브를 열고, 설정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밸브를 닫거나,
    토양의 수분 함량이 설정하한값 이하 상태가 되면, 상기 밸브를 열고, 설정상한값 이상 상태가 되면 상기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며, 시간 또는 시간 및 수분 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
    를 더 포함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제습모듈(200)을 가동시키는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입력부(600);
    를 더 포함하는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48198A 2017-04-14 2017-04-14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KR101818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98A KR101818678B1 (ko) 2017-04-14 2017-04-14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98A KR101818678B1 (ko) 2017-04-14 2017-04-14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678B1 true KR101818678B1 (ko) 2018-01-15

Family

ID=6100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198A KR101818678B1 (ko) 2017-04-14 2017-04-14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6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951A (ko) *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다단식 식물재배장치
KR102128920B1 (ko) * 2019-05-08 2020-07-01 이동희 화분 온·습도 측정장치
US10750686B2 (en) * 2018-12-13 2020-08-25 Declan Evan Zhou Atmospherically watered plan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951A (ko) *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다단식 식물재배장치
KR102175140B1 (ko) * 2018-11-06 2020-11-05 대한민국 다단식 식물재배장치
US10750686B2 (en) * 2018-12-13 2020-08-25 Declan Evan Zhou Atmospherically watered planter
KR102128920B1 (ko) * 2019-05-08 2020-07-01 이동희 화분 온·습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678B1 (ko) 제습수를 활용한 스마트 화분
US8894741B2 (en) Water, light and airflow control system and configuration for a plant air purifier
JP5705229B2 (ja) 改良された匂いセンサ機能を有する空気処理剤分配装置
ES2284850T3 (es) Ambientador automatico con intervalo de dispensacion dinamicamente variable.
KR101296848B1 (ko) 다용도 살균 소독기
CN205856047U (zh) 利用紫外线发光二极管的杀菌器
AU2007320984B2 (en) Device for evaporating a volatile liquid
CN103430789B (zh) 智能调节的植物栽种装置
US20180228100A1 (en) Potted Plant System
JP5868860B2 (ja) 改良された匂いセンサ機能を有する空気処理剤分配装置
US20130205662A1 (en) Self-contained automatic plant water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677675B1 (ko) 수분이 자동 보충되는 관상용 화분
KR100694421B1 (ko) 수족관의 제어 방법
ES2809730T3 (es) Dispositivo eléctrico para distribuir sustancias volátiles
JP2012528580A (ja) 植物用ボックス
ES2285007T3 (es) Invernadero de tamaño reducido con un entorno interno controlado.
KR101911363B1 (ko)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US8448380B1 (en) Wicknet
WO2017045200A1 (zh) 智能盆栽装置
KR20160095424A (ko) 다육식물 재배장치
TWI671490B (zh) 植物用插燈及包括複數該植物用插燈之植物用插燈組
KR20110029463A (ko) 향 분사 화분
KR101402830B1 (ko) 화분
KR100732911B1 (ko) 화분 관상 장치
ES2967594T3 (es) Kit de control para un sistema de rie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