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490B1 - System for dry clean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dry clean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490B1
KR101818490B1 KR1020160064754A KR20160064754A KR101818490B1 KR 101818490 B1 KR101818490 B1 KR 101818490B1 KR 1020160064754 A KR1020160064754 A KR 1020160064754A KR 20160064754 A KR20160064754 A KR 20160064754A KR 101818490 B1 KR101818490 B1 KR 101818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gravel
main drum
uni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3680A (en
Inventor
이일화
이수형
김태호
정찬세
김용준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퓨처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퓨처리스트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6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490B1/en
Publication of KR20170133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6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4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이 개시된다.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은 회수된 자갈을 건식 세척장치(D)로 공급하는 공급장치; 공급장치로 공급된 자갈을 세척하는 건식 세척장치(D); 및 건식 세척장치(D)에서 세척 중 발생하는 미세분진을 포집하여 정화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며, 건식 세척장치(D)는, 건식 세척장치(D)의 외관을 형성하는 세척 프레임부; 세척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메인 드럼부; 메인 드럼부에 공급되는 미디어를 보관하는 미디어 보관부; 메인 드럼부로부터 사용된 미디어를 회수하는 미디어 이송부; 및 메인 드럼부 내부의 자갈에 고압의 공기와 함께 미디어를 분사하는 미디어 분사부;를 포함한다.A dry gravel wash system is disclosed. The dry gravel wash system comprises a feeder for feeding the recovered gravel to the dry scrubber (D); A dry scrubber (D) for cleaning the gravel supplied to the feeder;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and purifying fine dust generated during washing in the dry cleaning device (D), wherein the dry cleaning device (D) comprises: a cleaning frame part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dry cleaning device (D); A main drum portion supported and rotated by the cleaning frame portion; A media storage unit for storing media supplied to the main drum unit; A media transfer unit for withdrawing the used media from the main drum unit; And a media ejecting part for ejecting the medium together with the high pressure air to the gravel inside the main drum part.

Description

건식 자갈세척시스템{SYSTEM FOR DRY CLEAN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SYSTEM FOR DRY CLEANING GRAVEL US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수된 자갈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공급된 철도 도상의 자갈이 메인 드럼부를 통해 이동되면서 고압공기에 의해 운동력이 부여된 미디어가 자갈의 표면을 충격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자갈 표면이 세척되도록 하는,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vel cleaning system for recovering recovered gravel, the gravel of the supplied railway is moved through the main drum, And in this process, the gravel surface is cleaned.

도시화 및 산업화의 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건설구조물, 예를 들어 교량, 도로, 철도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노후 구조물의 해체를 위한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가 힘들 뿐만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환경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Many construction structures such as bridges, roads, railways, etc., which have arisen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become increasingly obsolete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many construction wastes a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such old structures do. When these construction wastes are directly buried, it is difficult to secure landfill sites, and the landfill costs become large, which seriously affects the environment.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2 가지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내놓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건설폐기물에 대한 재활용을 위한 처리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each country, various measures are taken to treat construction waste in terms of protection of environment and recycling of resources. In Korea, a lot of processing equipment for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is being developed.

철도의 건설 및 유지보수에는 막대한 양의 자갈이 소요되는데, 아직까지 필요한 자갈을 석산 등에서 채취하고 있어 산림 및 환경파괴의 원인이 되어 왔다. 또한, 일부 철도부지에서 열차 운행에 따른 윤활유나 누유, 폐유 등에 의해 오염된 자갈은 선로에 재사용되거나 건설용 골재로 재활용되지 못하고 규정에 따라 폐기처리 되어 왔다. 이에, 환경파괴를 상당량 줄일 수 있으면서도 세척 및 재활용되어 일반 건설용 골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자갈 세척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railroad require a huge amount of gravel, and the gravel that has been needed is still collected from the quarries and has been the cause of destruction of forests and the environment. In addition, gravels contaminated by lubricating oil, oil leaks, and waste oil due to train operation on some railway sites have not been recycled to the railway or recycled as construction aggregate, and have been disposed of according to regulations. Therefore, a gravel washing system that can be used as general aggregate for cleaning and recycling can be realized while reducing environmental damage considerably.

도상 자갈의 잔존물을 제거하기 위기 위한 종래 개발된 자갈 세척 시스템은 크게 수세척방식과 건식세척방식으로 나뉘어 진다.Conventionally developed gravel cleaning systems for removing the remnants of road gravel are divided into water washing method and dry washing method.

수세척방식은 물에 의해 자갈을 세척하는 방식으로, 수세척장비의 대부분이 분사식 세척방법을 사용한다. 이에, 수세척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분사노즐이 장착된 챔버(격실) 또는 수조를 통과시켜야 하며, 분사 후 발생하는 오수에 대한 재처리시설이 겸비되어야 한다. 또한, 수세척 후 자갈의 표면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The water washing method is a method of washing the gravel by water, and most of the water washing equipments use the spray cleaning method.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water washing operation, the chamber (compartment) or the water tank in which the injection nozzle is mounted must be passed through, and a reprocessing facility for the wastewater generated after the injection should be combined. In addition, a drying device for drying the surface of the gravel after washing with water should be separately provided.

그러나, 수세척시 발생하는 표면 잔존물은 물기가 마른 후 탈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추후 모르타르와 같은 주입재와 결합 시 강도 형성에 상당히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세척방식은 그 설비가 복잡하고 시설용량이나 용수량 등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세척효과에 비해 비경제적인 측면이 있었으며, 처리속도가 느리며, 많은 2차 오염물질을 생성되는 등 다양한 문제가 있어 실용화가 대단히 어려웠다.However, since the surface residues generated during washing with water are not detached after the water has dri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ength is very disadvantageously deteriorated when it is combined with an injection material such as mortar. In addition, the water washing method has a complicated facility, excessive facility capacity and water amount, which is uneconomical in comparison with the cleaning effect, has a slow processing speed, has a variety of problems such as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secondary pollutants, It was very difficult.

이러한 수세척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건식 세척방식이 개발되었다. 건식세척방식은 모재 표면을 공기 또는 세척용 투사재를 포함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표면잔존물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며,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의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처리설비를 갖추어야 하는 수세척방식에 비해 이송장치, 집진장치, 동력공급장치의 부착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장비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this water washing method, a dry wash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The dry cleaning method facilitates the removal of surface residues by spraying air including air or a projection material for cleaning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minimizes adherence of foreign matter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conveying device,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he power supply device can be minimized as compared with the water washing method in which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is required, thereby enabling economical equipment operation.

이와 관련하여, '철도 도상 자갈 정화장치'라는 이름으로 등록특허 10-0614612호가 개시되었다. Regarding this, Registration No. 10-0614612 is disclosed under the name of "railroad gravel purifier".

도 1a를 참조하면, 철도 도상 자갈 정화장치는 철도 도상 자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갖는 철도 도상 자갈 정화장치로, 선로 위를 주행할 수 있으며 도상 자갈을 운반할 수 있는 이송대가 장착된 대차와, 선로 상에 놓인 도상 자갈을 채취하여 이송대로 보내주는 자갈채취유닛과, 이송대에 놓은 도상 자갈에 소정 미디어를 분사하여 자갈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블라스팅유닛 및 블라스팅유닛에 의해 정화된 도상 자갈을 선로로 재살포하는 자갈부설유닛;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A, a railroad gravel purifier is a railway gravel purifier that has a function of purifying railroad gravel. The railroad gravel purifier is a railroad cargo gravel purifier capable of traveling on a railroad track and equipped with a conveyor capable of conveying gravel, A blasting unit for removing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gravel by spraying a predetermined medium on the ground gravel placed on the conveying platform, and a ballast unit for purifying the on-ground gravels by the blasting unit. And a re-sprayed gravel placement unit.

이러한 철도 도상 자갈 정화장치는, 오염된 도상 자갈을 현장에서 바로 채취하여 신속하게 정화시킨 후 바로 재살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철도 도상 자갈 정화장치는 단순히 선로 주변에 놓인 도상 자갈의 일부를 채취하여 소정 미디어를 분사하여 자갈 표면을 오염물을 제거한 후 정화된 도상 자갈을 선로로 재살포하게 됨에 따라, 처리 용량이 극히 제한적이었으며,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분사된 미디어를 재활용할 수 없어 처리속도, 세척효과 및 경제성에 있어 매우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었다.Such railway gravel purifying apparatus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collect polluted road gravel immediately from the site, quickly clean it, and then re-spray it immediately. However, in the railway gravel purge apparatus, a part of the road gravel located around the railway is simply picked up and the predetermined medium is sprayed to remove the contaminants from the surface of the gravel surface, and the purified road gravel is repulsed with the rail,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taminants could not be completely removed, and the ejected media could not be recycled, which wa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processing speed, cleaning effect, and economical efficiency.

관련하여,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라는 이름으로 등록특허 10-0453931호가 개시되었다.Regarding the 'Reclaimed aggregate cleaning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 Registration No. 10-0453931 is disclosed.

도 1b를 참조하면,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는 일측단에는 골재투입구(11) 타측단에는 골재배출구(12)가 형성된 실린더형의 투과체(10)와; 상기 실린더형의 투과체(10) 내에 장설되어 투입된 골재를 상기 골재배출구(12) 쪽으로 회전 이송하는 스크류 이송체(20)와; 상기 실린더형 투과체(10)와 접속 연통되어 상기 투과체(10) 내로 물 또는 고압의 공기를 직접 주입 분사하는 분사관(30)과; 상기 분사관(30)에 의해 주입 분사되는 물과 공기에 씻겨 나오는 토분 등을 받아 배출하는 토분배출부(40)가 구비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B, the recycled aggregate cleaning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 includes a cylindrical permeable body 10 having an aggregate inlet 11 at one end and an aggregate outlet 12 at the other end. A screw conveyer 20 rotatably conveying the agglomerates laid in the cylindrical permeable body 10 to the aggregate discharge port 12; A spray tube 30 communicating with the cylindrical permeable body 10 to directly inject water or high pressure air into the permeable body 10; And a soil emitter 40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the water sprayed by the spray tube 30 and the soil sprayed to the air.

이러한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는 실린더형 투과체에 스크류 이송체를 장설하고, 여기에 처리될 골재를 투입하여 스크류 이송체의 나선형 날개로 밀어 배출하는 과정에서 골재가 서로 부딪히게 되므로 골재에 묻어있던 미세물질들이 효과적으로 탈리되며, 탈리된 미세물질들은 고압으로 분사된 공기 또는 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씻겨지므로 재생골재를 청정하게 세척할 수 있다. In the recycled aggregate clean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a screw conveying body is set in a cylinder-shaped transmitting body, and the aggregate to be treated is poured into the screw conveying body and pushed out by the helical wing of the screw conveying body. The fine materials that have been removed effectively are removed, and the removed fine materials are effectively washed by the air or water sprayed at high pressure, so that the recycled aggregate can be cleanly cleaned.

그러나, 이러한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는, 골재의 부딪힘에 의해 미세물질을 탈리하게 되며, 분사관이 실리더형 투과체 내에 설치되어 물 또는 고압 공기를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구성이므로, 골재로부터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분사된 물이나 공기에 의해 인근 토양에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cycled aggregate cleaning apparatus for such construction waste disposes of the fine material due to the collision of the aggregate, and the jetting pipe is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permeable body to jet water or high-pressure air in all direc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can not be completely removed and secondary contamination may occur in the nearby soil due to the sprayed water or air.

한편, 철도 도상의 자갈은 오염도가 위치 및 열차의 속도에 따라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일반선보다는 고속선이 오염도가 높지 않다. 하지만, 종래의 골재 세척장치들은 오염도와 관계없이 모든 도상 자갈들을 동일한 세척 장치 혹은 시스템에 의해 세척함으로써, 경제성이 매우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gravels on the railroad roads vary in pollution degree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the speed of the train. Generally, high-speed lines are not polluted more than general line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ggregate cleaning apparatuses, irregardless of the degree of pollution, all the on-road gravels are cleaned by the same cleaning apparatus or system, resulting in a problem that economical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이에, 오염도가 높은 일반선 및 기타 고오염 자갈과 오염도가 높지 않은 고속선 및 저오염 자갈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세척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경제성 및 장비활용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 Therefore, it has become necessary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equipment usability by applying different cleaning systems to high-pollution gravels and high-pollution gravels with high pollution level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철도 도상 자갈의 오염도에 따라, 오염도가 높은 일반선 및 기타 자갈에 대하여는 전처리 모듈을 통하여 1차 처리를 한 후 세척 처리 모듈을 이용하고, 오염도가 높지 않은 고속선 및 저오염 자갈은 전처리 모듈의 공정을 제외하고 세척처리 모듈만을 이용하게 하여, 세척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module for a general line and other gravel having a high degree of pol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that maximizes the cleaning efficiency and increases the economical efficiency by using only the cleaning treatment module except for the process of the pre-treatment modu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슬롯 형상의 분리홀을 포함하여 미디어와 자갈의 분리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용이하게 자갈의 섞임현상을 유도할 수 있으며, 미디어 이송장치인 스크류 컨베이어 시스템 및 미디어 회수장치인 사이클론에 의해 미디어의 회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media and gravel from each other by providing a slot-shaped separation hole to easily induce mixing of gravel, To provide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ecovery of media by an in-cyclon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은 회수된 자갈을 건식 세척장치(D)로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 공급된 자갈을 세척하는 건식 세척장치(D); 및 상기 건식 세척장치(D)에서 세척 중 발생하는 미세분진을 포집하여 정화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식 세척장치(D)는, 상기 건식 세척장치(D)의 외관을 형성하는 세척 프레임부; 상기 세척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메인 드럼부; 상기 메인 드럼부에 공급되는 미디어를 보관하는 미디어 보관부; 상기 메인 드럼부로부터 사용된 미디어를 회수하는 미디어 이송부; 및 상기 메인 드럼부 내부의 자갈에 고압의 공기와 함께 미디어를 분사하는 미디어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식 세척장치(D)는, 상기 미디어 이송부에 의해 회수된 미디어로부터 미세분진을 분리하는 싸이클론부;를 포함하되, 상기 싸이클론부는 미디어 이송부에 의해 회수된 미디어를 미디어 회수관에 의해 싸이클론 본체로 이송하게 되며, 미디어 회수관는 미디어 회수관 결합부에 의해 싸이클론 본체와 연결되며, 싸이클론 본체에 의해 분리된 미세분진은 싸이클론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에 의해 집진장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부는, 메인 드럼부 및 투입된 자갈의 하중을 지지하는 세척 프레임; 상기 세척 프레임의 하부의 전,후,좌,우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드럼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드럼 가이드; 및 상기 드럼 가이드의 사이에 형성되어 메인 동력부에 의해 메인 드럼부의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구동부; 및 외부충격에 건식 세척장치(D)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세척 프레임의 상부에 반원형 형태로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여 상기 미디어 이송부는, 상기 세척 프레임부에 고정되되,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며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드럼부로부터 토출되는 미디어를 수집하는 상기 제1 미디어 회수 가이드; 및 상기 메인 드럼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미디어 회수 가이드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디어를 상기 싸이클론부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메인 드럼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드럼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드럼부로부터 토출되는 미디어를 수집하는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 상기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집된 미디어를 제3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다수의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메인 드럼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드럼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미디어를 상기 싸이클론부로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ly device for supplying recovered gravel to a dry scrubber (D); A dry scrubber (D) for cleaning the feed gravel supplied;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and purifying fine dust generated during washing in the dry cleaning device (D), wherein the dry cleaning device (D) comprises a cleaning frame part; A main drum por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cleaning frame portion; A media storage unit for storing media supplied to the main drum unit; A media transfer unit for withdrawing the used media from the main drum unit; And a media ejection unit for ejecting the medium together with high-pressure air to the gravel inside the main drum unit,
The dry cleaning apparatus (D) includes a cyclone section for separating fine dust from the medium recovered by the medium transport section, wherein the cyclone section separates the medium recovered by the medium transport section into a cyclone So that the fine dust separated by the cyclone body is mov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by the air discharging uni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yclone body. And the cleaning frame part includes a cleaning frame for supporting a load of the main drum part and the loaded gravel; A drum guide formed at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frame to guide rotation of the main drum; And a main driving unit formed between the drum guides and providing rotational power of the main drum unit by the main power unit; And a cover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on the top of the cleaning frame so as to protect the dry cleaning device (D) against an external impact, wherein the media transporting part is fixed to the cleaning frame part, The first media recovery guide collecting media ejected from the main drum unit; And a first conveyo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drum portion to convey the medium discharged from the first media recovery guide to the cyclone portion; A second media recovery guid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drum and formed in a concave shape perpendicular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rum to collect media discharged from the main drum; A plurality of second conveyor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edia recovery guide to transport the collected media to a third conveyor; And a third conveyor which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drum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rum and transfers the medium transferred from the second conveyor to the cyclone portion.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자갈의 오염정도에 따라 차별화된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세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자갈은 전처리 모듈을 적용하여 세척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오염도가 낮은 자갈은 전처리 모듈을 거치지 않아 공정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leaning efficiency by applying a proces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gravel, and the gravel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contamination can be cleaned more smoothly by applying the pretreatment module, The gravel does not go through the preprocessing module, which can drastically reduce the process cost and reduce the processing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형 건식 세척장치를 사용하므로, 자갈이 자체적으로 부딪히게 되어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미디어 분사부가 오실레이팅 노즐을 적용하여 투사면적을 넓혀 세척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타공홀 및 믹싱바를 통해 자갈이 효과적으로 섞이게 하여 세척효과를 추가적으로 높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um-type dry cleaning apparatus is used, the gravel can bump itself to enhance the cleaning effect, and the media injection area can be enlarged by applying the oscillating nozzle, Pebbles can be effectively mixed through the perforation holes and the mixing bars to further enhance the cleaning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 회수 가이드 및 컨베이어를 적용함으로써 미디어가 버려지지 않고 모두 회수되도록 하며, 회수된 미디어는 싸이클론부에 의해 미세분진을 걸러냄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성이 제고되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media recovery guide and the conveyor, the media can be recovered without being discarded, and the recovered media can be reused by filtering the fine dust by the cyclone part,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단계에서 미세분진이 발생할 경우 발생된 미세분진을 모두 집진장치에 포집하여 정화함으로써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건식 세척장치를 이용하므로 오염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device collects and purifies fine dust generated when fine dusts are generated in each step, there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lso prevents contaminated water from being discharged by using a dry cleaning device .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철도 도상 자갈 정화장치의 세부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전처리 모듈과 세척처리 모듈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전처리 모듈에서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전처리 모듈에서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전처리 모듈에서 이송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자갈 흡입부와 건식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건식 세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건식 세척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미디어 분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메인 드럼의 발췌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투사재 회수 사이클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미디어 이송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미디어 이송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A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 railway gravel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ecycled aggregate clean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S. 2A and 2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pretreatment module and a cleaning treatment module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rting apparatus in a pre-treatment module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3b is a pictorial view of a drying device in a pretreatment module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pictorial view of a conveyor conveyor in a pretreatment module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hotographic view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gravel suction unit and a dry cleaning apparatus.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y cleaning apparatus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dry cleaning apparatus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dia ejection unit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D is an excerpted sectional view of the main drum of the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yclone recovery material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dia transfer unit of the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C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dia transfer unit of the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전처리 모듈과 세척처리 모듈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S. 2A and 2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pretreatment module and a cleaning treatment module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은 세척처리 모듈만을 수행하거나 전처림 모듈 및 세척처리 모듈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dry gravel wash system may perform only the cleaning process module or may perform the pre-treatment module and the cleaning process module together.

철도 도상의 자갈은 오염도가 위치 및 열차의 속도에 따라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일반선보다는 고속선이 오염도가 높지 않다. 전처리 모듈(Pre-treatment module)은 일반선 및 오염도가 심각한 수준의 자갈을 대상으로 전처리를 함으로써 오염도를 떨어뜨리는 장비이며, 세척처리 모듈(cleaning treatment module)은 전처리 모듈에서 처리된 자갈이나 고속선 등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자갈에 대하여 표면세척을 수행하는 장비이다.Gravels on railroad tracks vary in pollution degree depending on location and train speed. Generally, high-speed lines are not polluted more than general lines. The pre-treatment module is a device that reduces the pollution level by pretreating the general line and the gravel with a serious pollution level. The cleaning treatment module is a device for treating pollution such as gravel or high- Is a device that performs surface cleaning on relatively low gravel.

본원발명은 오염도가 높은 일반선의 자갈에 대하여는 전처리 모듈을 통하여 1차 처리를 하며 그 외에 오염도가 높지 않은 고속선 및 저오염 자갈은 전처리 모듈의 공정을 제외하고 세척 처리 모듈만을 이용하여 자갈을 처리함으로써, 경제성 및 장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gravels of a general line having a high degree of contamination are subjected to a primary treatment through a pre-treatment module. In addition, a high-speed line and a low-contamination gravel having a low contamination level are treated with only a cleaning treatment module, Economical efficiency and equipment usability can be improved.

한편, 도 2a에서는 전처리 모듈에서 호퍼(hopper), 건조장치를 포함하고, 세척처리 모듈에서 선별장치, 건식 세척장치, 집진장치(400)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2b와 같이 전처리 모듈에서 선별장치(100), 건조장치(200), 이송 컨베이어(C)를 포함할 수 있고, 세척처리 모듈에서 건식 세척장치(D) 및 집진장치(400);를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FIG. 2A, the pretreatment module includes a hopper and a drying device, and includes a sorting device, a dry cleaning devic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400 in the cleaning process module. However, as shown in FIG. 2B, the pre-processing module may include the sorting device 100, the drying device 200, and the conveying conveyor C, and the dry cleaning device D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400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nclude.

즉, 선별장치는 전처리 모듈에서 포함될 수도 있고, 세척처리 모듈에서 포함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선별장치가 전처리 모듈에 포함되도록 하였다.That is, the sorting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pre-processing module or may be included in the cleaning processing module, bu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ing device is included in the pre-processing modu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전처리 모듈과 세척처리 모듈][Pretreatment module and cleaning treatment module of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은 전처리 모듈로서 선별장치(100), 건조장치(200) 및 이송 컨베이어(C)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B, the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rting device 100, a drying device 200, and a conveying conveyor C as a pretreatment module.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전처리 모듈에서 선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rter in a pretreatment module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선별장치(100)는 자갈이 투입된 호퍼(미도시)로부터 이송된 자갈의 입도 선별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것이다. 선별장치(100)는 스크린 망(110), 스크린 박스(120), 댐핑 스프링(130), 댐핑부(14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한다.The sorting apparatus 100 is for sorting the gravels and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hopper (not shown) into which the gravel is introduced. The screen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creen net 110, a screen box 120, a damping spring 130, a damping unit 140, and a support unit 150.

선별장치의 상부에는 호퍼(미도시)가 위치하도록 하며, 호퍼는 연속적인 작업을 위하여 장착되어 굴삭기와 같은 투입장치에 의한 투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A hopper (not shown)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orting device, and the hopper is mounted for continuous operation so that the fee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an input device such as an excavator.

호퍼로 자갈이 경사진 선별장치(100)로 이송되게 된다. 선별장치(100)의 설치각도는 수준면에서 설치 각도를 30도 이상으로 유지하여 선별 및 이송속도를 중진시키도록 한다. The gravel is conveyed to the inclined sorter 100 by the hopper.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orting apparatus 100 is set to be higher than 30 degrees in terms of the level, so that the sorting and conveying speeds are enhanced.

선별장치(100)는 도상 자갈의 입도(22.4mm~63mm)를 선별하기 위하여 최소 입도인 22.4mm보다 작은 망구조와 최대 입도인 63mm보다 큰 스크린 망(110)을 다층 또는 중복해서 구성한다. 즉, 상부의 스크린 망(110)은 원형타공망으로 형성하여 입도 63mm의 자갈을 선별하고, 최하부의 스크린 망(110)은 격자형태의 다공망을 형성하여 22.4mm 이하를 선별하도록 한다.The screening apparatus 100 has a network structure smaller than the minimum particle size of 22.4 mm and a screen network 110 having a maximum particle size of 63 mm or more in order to select the particle size (22.4 mm to 63 mm) of the graphite gravel. That is, the upper screen net 110 is formed as a circular perforated mesh to select gravels having a particle size of 63 mm, and the lowermost screen net 110 forms a grid-like porous network to select 22.4 mm or less.

선별장치(100)는 다층으로 구성하여 입도가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으로 선별하되, 자갈의 중량과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자갈을 선별하게 된다. The screening apparatus 100 is construct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gravels are sorted by the weight of the gravel and the mechanical vibration.

스크린 박스(120)는 다양한 입도를 선별하기 위하여 필터 형태로 설치된 스크린 층을 의미한다.The screen box 120 refers to a screen layer installed in the form of a filter to select various particle sizes.

댐핑부(140)는 스크린 망(110)의 측단 및 지지부(150)의 상단에 고정되어, 스크린 망(110)에 상하 진동을 부여하는 것이다. 스크린 망(110)은 상하로 배열되며, 댐핑 스프링(130)에 의해 상하진폭이 증대되도록 하게 된다. The damping unit 140 is fixed to a side end of the screen net 110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ing unit 150 to give a vertical vibration to the screen net 110. [ The screen net 110 is arranged vertically and the damping spring 130 increases the vertical amplitude.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100)는 자중 및 진폭에 따라 자갈을 선별하게 되며, 선별망의 각도에 따라 선별 속도가 증가되어 본 발명과 같은 건설용 골재의 선별에 최적화된다.Accordingly, the scree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pebbles according to their weight and amplitude, and the screening speed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screening net to optimize the selection of the construction aggregat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전처리 모듈에서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Figure 3b is a pictorial view of a drying device in a pretreatment module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건조장치(200)는 선별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자갈을 건조하는 것이다. The drying apparatus 200 dries gravel discharged from the sorter 100.

상기 건조장치(200)는, 직접적인 분사로 자갈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는 열풍생성부(210), 선별장치(100)로부터 이송된 자갈을 상기 열풍생성부(210)에 의해 건조하는 건조부(220) 및 상기 건조부(220)에 의해 건조된 자갈을 상기 건식 세척장치(D)로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C)로 배출하는 배출부(230)를 포함한다.The drying apparatus 200 includes a hot air generating unit 210 for removing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gravel by direct injection, a drying unit 220 for drying the gravel conveyed from the sorter 100 by the hot air generating unit 210, And a discharge unit 230 for discharging the gravel dried by the drying unit 220 to a conveying conveyor C for conveying the gravel to the dry cleaning apparatus D.

열풍생성부(210)는 팬 타입의 전기히터식 열풍 건조장치로서 가용온도 범위에서 섭씨 150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건조부(220) 내에서 열풍 분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히터식 건조장치(200)를 예시하였으나, 가스연소식 건조장치를 채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hot air generating unit 210 is a fan type electric heater type hot air drying apparatus, and maintains a temperature of 150 degrees Celsius in an available temperature range. Thus, hot air can be sprayed in the drying unit 2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heater type drying apparatus 200 is exemplifi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a gas combustion type drying apparatus.

건조부(220)에서는 공급된 자갈을 원형망 형태의 드럼 내부에서 1차적으로 자갈끼리 부딪치면서 자갈 표면의 먼지와 수분을 털어내는 작업을 수행하며, 2차적으로 자갈끼리 부딪치면서 자갈의 깨짐 및 쪼개짐에 의한 자갈 조각 등을 걸러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drying unit 220, the supplied gravel collides with the gravel between the gravels in the circular network drum, and dust and moisture are removed from the gravel surface. Secondly, the gravel collapses and crack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work of filtering out a piece of gravel or the like caused by the gravel.

배출부(230)는 건조된 자갈을 이송 컨베이어(C)에 의해 건식 세척장치(D)로 배출하여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건조부(220)에서 발생한 자갈 표면의 먼지와 수분을 집진장치(400)로 이송하도록 한다.The discharge unit 230 discharges the dried gravel to the dry cleaning apparatus D by the conveying conveyor C and transfers the dust and moisture from the gravel surface generated by the drying unit 220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400).

건식 세척장치(D)는 이송 컨베이어(C)로부터 공급된 자갈을 세척하는 것이다. 건식 세척장치(D)에 대하여는 추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ry cleaning apparatus D is to clean the gravel supplied from the conveying conveyor C. [ The dry cleaning device 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전처리 모듈에서 이송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3C is a pictorial view of a conveyor conveyor in a pretreatment module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송 컨베이어(C)는 세척용 자갈을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 컨베이어(C)는 고무재질로써 내마모성을 겸비하여 자갈 이송시 자갈 하중을 충분히 견디면서도 자갈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벨트 중앙부위에 방향성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ing conveyor (C) is for conveying the gravel for washing. The conveying conveyor (C)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brasion resistance, and can include a directional protrusion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lt in order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gravel while sufficiently supporting the gravel load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gravel.

이송 컨베이어(C)는 자갈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U자형 혹은 V자형의 구동롤러(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C)는 본 발명과 같은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veying conveyor C may be equipped with a U-shaped or V-shaped driving roller (not shown) to facilitate conveyance of the gravel. The conveying conveyor C is a general techniqu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집진장치(400)는 건식 세척장치(D)나 건조장치(200)에서 발생하는 미세분진을 정화하는 장치로써, 탈거된 이물질을 압축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400 is a device for purifying fine dust generated in the dry washing apparatus D or the drying apparatus 200 and compresses and discharges foreign matter that has been removed.

집진장치(400)는 포집장치(미도시)와 배출장치(미도시)로 구성되며, 포집만(Filter)에 포집된 미세분진은 분리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집진장치(400)의 종류로는 Bag Filter, Dust Collector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Bag Filter(410)를 병렬식으로 배열하여 집진효율을 높이도록 배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400 is composed of a collecting device (not shown) and a discharging device (not shown), and the fine dust collected in the collecting filter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g filters 410 are arranged in parallel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건식 세척장치(D)][Dry cleaning apparatus (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자갈 흡입부와 건식세척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a dry gravel wash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vel suction unit and a dry washing apparatus of the dry gravel wash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면의 간단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처리 모듈과 세척처리 모듈을 모두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세척처리 모듈만을 의미하는 것이나, 건식 세척장치(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Device D is commonly appli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embodiments.

공급장치(310)는 회수된 자갈을 건식 세척장치(D)로 공급하는 것이다. 즉, 전처리 모듈과 세척처리 모듈을 모두 수행할 경우 건조장치(200)에서 건조된 자갈이 건식 세척장치(D)로 공급되므로 공급장치(310)가 불필요하나, 세척처리 모듈만을 수행할 경우에는 오염도가 덜한 자갈을 건식 세척장치(D)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장치(310)가 필요하게 됨을 알 수 있다.The feeder 310 feeds the recovered gravel to the dry scrubber D. That is, when both the pre-processing module and the cleaning processing module are performed, the gravel dried in the drying device 200 is supplied to the dry cleaning device D, so that the supply device 310 is unnecessary.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supply device 310 is required to smoothly supply the gravel less dust to the dry scrubber D.

공급장치(310)는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에 의해 자갈을 투입 및 저장하는 자갈저장부(311)와 자갈저장부(311)로부터 배출되는 자갈을 상기 건식 세척장치(D)로 공급하는 자갈 이송 가이드(313), 투입된 자갈의 이동을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315) 및 공급장치(31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19)를 포함한다.The feeder 310 includes a gravel storage 311 for loading and storing gravel by an inle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gravel transporting guide 311 for supplying gravel discharged from the gravel storage 311 to the dry cleaner D 313, a vibration motor 315 for generating vibrations to move the loaded gravel, and a support frame 319 for supporting the supply device 310.

자갈 저장부(311)로 투입된 자갈은 자갈저장부(311)의 하부에 장착된 진동모터(315)의 진동 및 자갈 이송 가이드(313)의 경사에 의해 이동하게 되며, 진동모터(315)에 의한 진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자갈 저장부(311)는 다수 개의 고정 스프링(317)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The gravel that has entered the gravel storage 311 is moved by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315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gravel storage 311 and the inclination of the gravel conveyance guide 313, The gravel storage part 311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fixing springs 317 for smooth vibration.

또한, 미도시하였지만 에어실린더를 자갈 저장부(311)의 하부에 장착하여 투입되는 자갈이 막힐 경우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여 충격을 가하여 자갈이 원활하게 건식 세척장치(D)로 투입되게 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when the air cylinder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gravel storage unit 311 and the gravel to be charged is clogged, the gravel can be smoothly applied to the dry cleaning apparatus D by applying an impact using an air cylinder.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건식 세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건식 세척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미디어 분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메인 드럼의 발췌단면도이다.FIG.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a ejection unit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D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a main drum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건식 세척장치(D)는 세척 프레임부(320), 메인 드럼부(330), 미디어 보관부(340), 미디어 이송부(350), 미디어 분사부(360), 덮개(370) 및 싸이클론부(380)를 포함한다.4 to 6, the dry cleaning apparatus D includes a cleaning frame unit 320, a main drum unit 330, a media storage unit 340, a media transfer unit 350, a media ejection unit 360, A cover 370 and a cyclone portion 380.

세척 프레임부(320)는 건식 세척장치(D)의 외관을 형성하며, 메인 드럼부(330)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cleaning frame part 32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dry cleaning device D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main drum part 330. [

세척 프레임부(320)는 세척 프레임(321), 드럼 가이드(323), 메인 동력부(324) 및 메인 구동부(325)를 포함한다.The cleaning frame section 320 includes a cleaning frame 321, a drum guide 323, a main power section 324, and a main drive section 325.

세척 프레임(321)은 메인 드럼부(330), 메인 드럼부(330)에 투입된 자갈 및 미디어 이송부(35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세척 프레임(321)은 메인 드럼부(33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세척 프레임(321)의 상부에는 덮개(370)가 형성되어 예상치 못한 외부충격에 건식 세척장치(D)를 보호하도록 형성된다.The cleaning frame 321 is form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gravel and the media transferring unit 350 introduced into the main drum unit 330 and the main drum unit 330. The cleaning frame 32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main drum 330 and the cover 370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cleaning frame 321 to protect the dry cleaning device D against an unexpected external impact. .

세척 프레임(321)의 하부는 2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층은 메인 드럼부(330)를 지지하며, 하층 중앙에는 미디어 이송부(350)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ower part of the cleaning frame 321 may be formed of two layers, and the upper layer may support the main drum part 330 and the media transfer part 350 may be formed at the lower layer.

드럼 가이드(323)는 세척 프레임(321)의 하부의 전,후,좌,우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드럼부(330)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한다. 즉, 드럼 가이드(323)는 메인 드럼부(330)의 길이 방향의 전,후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되, 메인 드럼부(330)가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메인 드럼부(330)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한 쌍씩 형성되도록 한다. 4 개의 드럼 가이드(323)로 형성되는 사각형의 하부에는 미디어 이송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drum guide 323 is formed a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frame 321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main drum 330. That is, the drum guide 32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rum 330, and the drum guide 323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rum 330, So that one pair is formed vertically. A media transferring part 350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 quadrangle formed by the four drum guides 323.

드럼 가이드(323)는 메인 드럼(331)의 외주면에 형성된 드럼 벨트(333)의 양단이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미도시된 체결장치에 의해 세척 프레임(321)에 고정되어 드럼 벨트(333)를 회전하도록 형성된다.The drum guide 323 is formed to support both ends of a drum belt 33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drum 331 and is fixed to the cleaning frame 321 by a coupling device .

메인 구동부(325)는 드럼 가이드(323)의 사이에 형성되어 메인 동력부(324)에 의해 메인 드럼부(330)의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메인 구동부(325)는 타이밍벨트 가이드로서 역시 미도시된 체결장치에 의해 세척 프레임(321)에 고정되어 메인 드럼(3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타이밍 벨트(335)와 결합하여 메인 드럼(331)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The main drive part 325 is formed between the drum guides 323 and provid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ain drum part 330 by the main power part 324. The main driving part 325 is fixed to the cleaning frame 321 by a clamping device not shown in the figure as a timing belt guide to engage with a timing belt 33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drum 331 to rotate the main drum 331 .

메인 드럼부(330)는 세척 프레임부(32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자갈을 세척하는 것이다.The main drum part 330 is supported by the cleaning frame part 320 and is rotated to clean the gravel.

메인 드럼부(330)는 메인 드럼(331), 구획 벨트(332), 드럼 벨트(333), 타이밍 벨트(335), 나선형 날개(337), 믹싱바(338) 및 타공홀(339)를 포함한다.The main drum portion 330 includes a main drum 331, a dividing belt 332, a drum belt 333, a timing belt 335, a spiral blade 337, a mixing bar 338 and a perforation hole 339 do.

메인 드럼(33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자갈의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다. 메인 드럼(331)은 높은 토크로 회전하는 것으로, 투입된 자갈이 미디어 분사부(360)에 의해 세척되면서 회전에 의해 섞이도록 한다.The main drum 3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let and outlet ports for gravel are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he main drum 331 rotates at a high torque so that the loaded gravel is washed by the media jetting unit 360 and mixed by rotation.

메인 드럼(331)은 메인 드럼(3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세척 프레임부(320)의 드럼 가이드(323)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드럼 벨트(333)와 메인 드럼(3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세척 프레임부(320)의 메인 구동부(325)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타이밍 벨트(335)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The main drum 331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drum 331 and includes a drum belt 333 form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drum guide 323 of the cleaning frame part 320 is formed, And may be rotated by a timing belt 335 form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main driving part 325 of the cleaning frame part 320 is formed.

즉, 메인 드럼(331)은 타이밍 벨트(335)와 메인 구동부(325)와의 마찰력으로 회전하며, 드럼 가이드(323)에 의해 가이드 되어 높은 토크에 의하여도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ain drum 331 rotates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timing belt 335 and the main driving unit 325, and is guided by the drum guide 323, so that the main drum 331 can be stably rotated by the high torque.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드럼부(330)는, 메인 드럼(331)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드럼 벨트(333)와 상기 타이밍 벨트(335)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구획 벨트(332)를 포함할 수 있다.6A and 6B, the main drum 33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drum 33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drum belt 33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drum belt 333 and the timing belt 335 And may include a separation belt 332.

구획 벨트(332)는 메인 드럼(331)을 길이방향으로 용접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 벨트(332)의 사이의 메인 드럼(331)에는 다수의 타공홀(339)이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belt 332 may be formed to weld the main drum 3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339 may be formed in the main drum 331 between the partition belts 332.

도 6d를 참조하면, 타공홀(339)은 메인 드럼(331)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타공홀(339)에 의해 자갈의 단부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자갈이 서로 용이하게 섞여 자갈끼리 부딪히면서 자갈표면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6D, the perforation hole 339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drum 331, and the end of the gravel is rotated by the perforation hole 339 so that the gravels are easily mix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gravel surface.

또한 타공홀(339)을 통해 자갈을 세척한 미디어가 메인 드럼(33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배출된 미디어는 미디어 이송부(350)로 이동하게 된다.The gravel-washed media is discharged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339 to the outside of the main drum 331, and the discharged medium moves to the media transfer unit 350.

또한, 타공홀(339)의 일부에는 믹싱바(338)가 결합되어 자갈이 보다 용이하게 섞이도록 하여 세척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a mixing bar 338 is coupled to a part of the perforation hole 339, so that the gravel is more easily mixed, thereby enhancing the cleaning efficiency.

나선형 날개(337)는 메인 드럼(331)의 내주면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이에 나선형 날개(337)에 의해 자갈이 메인 드럼(331)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송되도록 하게 되며, 메인 드럼(331)의 회전에 연동되어 나선형 날개(337) 역시 회전하여, 자갈끼리 부딪히도록 하여 세척효과를 더욱 높이면서도 자갈 세척 처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spiral wings 337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drum 331 in a spiral shape. The spiral wing 337 causes the gravel to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main drum 331. The spiral wing 337 is also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drum 331 so that the gravel collides against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gravel washing treatment capacity while increasing the cleaning effect.

도 6c를 참조하면, 미디어 분사부(360)는 메인 드럼부(330) 내부에 형성되어 투입된 자갈에 고압의 공기와 함께 미디어를 분사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6C, the media ejection unit 360 is formed inside the main drum unit 330 and ejects the media together with the high-pressure air to the loaded gravel.

미디어는 건식 투사재로서 금속성 투사재, 광물성 투사재, 유리비드, 플라스틱 투사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디어는 자갈과 고속으로 부딪히면서 자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The media may be formed of a metallic projection material, a mineral projection material, a glass bead, a plastic projection material, or the like as a dry projecting material. The medium is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gravel surface while hitting the gravel at high speed.

자갈의 세척을 위한 투사재로는 자갈과 비중이 비슷하여 분사시 자갈의 표면 잔존물 제거에 최적화되는 금강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a projection material for cleaning the gravel, it may be formed as a gauze which is similar to the gravel and has a specific gravity so as to be optimized for removing surface residues of the gravel at the time of inj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미디어 분사부(360)는 분사 노즐(36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363)과 상기 에어 공급관(363)의 일측에 형성되어 미디어를 공급하는 미디어 공급관(365)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dia spraying unit 360 may include an air supply pipe 363 for supplying high pressure air to the spray nozzle 361 and a media supply pipe 365 for supplying the medium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supply pipe 363. [ have.

미디어 분사부는 미디어와 압축공기를 사전에 혼합하여 직접 분사하는 방식인 직압식과 미디어와 압축공기를 별도로 이송하여 분사직전에 혼합하여 분사하는 흡입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edia ejection unit may be formed of a direct pressure type, which is a method of directly mixing media and compressed air, and a suction type, in which media and compressed air are separately transported and mixed immediately before ejection.

직압식은 자갈에 고착된 오염물의 제거와 내마모성이 높은 금속성 소재의 표면처리 등에 사용되며, 흡입식은 점착도가 낮은 자갈의 표면 세척에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 공급관(363)과 미디어 공급관(365)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흡입식으로 미디어 분사부(360)를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Direct pressure type is used for removal of contaminants adhered to gravel and for surface treatment of highly abrasive metallic material. Inhalation type is mainly used for surface cleaning of gravel with low adhes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ejection unit 360 is formed by separately forming the air supply pipe 363 and the media supply pipe 36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분사 노즐(361)은 오실레이팅 노즐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미디어의 투사면적을 넓혀 자갈의 세척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The injection nozzle 361 applies an oscillating nozzle, thereby widening the projected area of the medium to further increase the cleaning effect of the gravel.

미디어 분사부(360)는 고정 프레임(367)에 의해 세척 프레임(321)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회전하는 메인 드럼부(330)와의 저촉을 피하면서도 자갈에 미디어를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The media ejection unit 360 is fixed to the cleaning frame 321 by a fixing frame 367 so that media can be easily ejected onto the gravel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rotating main drum 330.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투사재 회수 사이클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미디어 이송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식 자갈세척시스템의 미디어 이송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jectile recovery cyclone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dia transfer part of a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C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dia transfer unit of the dry gravel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미디어 보관부(340)는 메인 드럼부(330)의 일측에 형성되어 미디어 분사부(360)에 공급할 미디어를 보관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7A, the media storage unit 34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drum unit 330 to store the media to be supplied to the media ejection unit 360.

미디어 분사부(360)는 미디어 공급관(365)과 연결되어 미디어 분사부(360)에 미디어를 공급한다.The media ejection unit 360 is connected to the media supply pipe 365 to supply the media to the media ejection unit 360.

미디어 보관부(340)의 상측에는 싸이클론부(380)가 형성된다.A cyclone unit 380 is formed above the media storage unit 340.

싸이클론부(380)는 미디어 이송부(350)에 의해 회수된 미디어로부터 미세분진을 분리하여 미세분진은 집진장치(400)로 이송하며, 미세분진이 분리된 미디어는 미디어 보관부(340)로 이송하게 된다.The cyclone unit 380 separates the fine dust from the medium collected by the medium transfer unit 350 and transfers the fine dust to the dust collector 400. The separated fine dust is transferred to the media storage unit 340 .

즉, 싸이클론부(380)는 미디어 이송부(350)에 의해 회수된 미디어를 미디어 회수관(382)에 의해 싸이클론 본체(381)로 이송하게 되며, 이 경우 미디어 회수관(382)는 미디어 회수관 결합부(383)에 의해 싸이클론 본체(381)와 연결된다. 또한, 싸이클론 본체(381)에 의해 분리된 미세분진은 싸이클론 본체(381)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385)에 의해 미세분진이 포함된 공기는 집진장치(400)로 이동되게 된다.That is, the cyclone unit 380 transports the media recovered by the media transport unit 350 to the cyclone body 381 by the media recovery pipe 382, And is connected to the cyclone main body 381 by the pipe joint portion 383. The fine dust separated by the cyclone body 381 is mov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400 by the air discharging unit 385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clone body 381.

미디어 이송부(350)는 메인 드럼부(330)로부터 배출된 미디어를 회수하여 싸이클론부(380)로 이송하는 것이다.The media transferring unit 350 recovers the media discharged from the main drum unit 330 and transfers the collected media to the cyclone unit 380.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이송부(350)는 제1 컨베이어(351) 및 제1 미디어 회수 가이드(35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B, the media transport unit 3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veyor 351 and a first media recovery guide 353.

제1 컨베이어(351)는 일반 컨베이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드럼부(3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 미디어 회수 가이드(353)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디어를 싸이클론부(380)로 이송하는 것이다.The first conveyor 351 may be formed as a general conveyor and transports the medium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drum 330 to the cyclone unit 380 through the first media recovery guide 353.

제1 미디어 회수 가이드(353)는 세척 프레임부(320)에 고정되되,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며 호형으로 형성되어 메인 드럼부(350)로부터 토출되는 미디어를 수집하는 것이다. 여기서, 호형이란 메인 드럼(331)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되, 하부로 갈수록 점차 세척 프레임(321)의 중심부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The first media recovery guide 353 is fixed to the cleaning frame part 320 and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formed in an arc shape to collect the media discharged from the main drum part 350. Here, the arc shape refers 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drum 331, and a shape gradually curved toward the center of the cleaning frame 321 toward the bottom.

이에, 타공홀(339)을 통해 자갈을 세척한 미디어가 메인 드럼(331)의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미디어는 제1 미디어 회수 가이드(353)에 의해 미디어 이송부(350)로 이동하게 된다.Thus, the gravel-washed medi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drum 331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339, and the discharged media is moved to the media transferring unit 350 by the first media recovery guide 353.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이송부(350)는 제2 컨베이어(355), 제3 컨베이어(357) 및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35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C, the media transfer unit 3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onveyor 355, a third conveyor 357, and a second media recovery guide 359.

제2 컨베이어(355)는 다수 개로 형성되며,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359)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집된 미디어를 제3 컨베이어(357)로 이송하는 것이다.The second conveyor 355 is formed in a plurality of pieces and is formed under the second media recovery guide 359 to transfer the collected media to the third conveyor 357.

본 발명에서는 제2 컨베이어(355)를 4 개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second conveyors 355 is fou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컨베이어(355)는 메인 드럼부(3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스크류 컨베이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컨베이어(355)는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359)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359)에 의해 수집된 미디어를 제3 컨베이어(357)로 이송할 수 있다.The second conveyor 355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rum 330, and may be formed of a screw convey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conveyor 355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edia recovery guide 359 and can transfer the media collected by the second media recovery guide 359 to the third conveyor 357.

제3 컨베이어(357)는 메인 드럼부(330)의 하부에 형성되되, 메인 드럼부(3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컨베이어(355)로부터 이송된 미디어를 싸이클론부(380)로 이송하는 것이다.The third conveyor 357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drum 330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rum 330. The third conveyor 357 is configured to convey the medium conveyed from the second conveyor 355 to the cyclone portion 380 To be transferred.

제3 컨베이어(357)은 본 발명에서는 한 개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역시 스크류 컨베이어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third conveyor 357 is illustrated as o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screw conveyor.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359)는 메인 드럼부(330)의 하부에 형성되되, 메인 드럼부(3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 드럼부(330)로부터 토출되는 미디어를 수집하는 것이다.The second media recovery guide 359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drum 330 and has a concave shap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rum 330, .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359)는 제2 컨베이어(355)의 형성 갯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359)는 메인 드럼부(33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타공홀(미도시) 등에 의해 배출되는 미디어를 수집하는 것이다.The second media recovery guide 359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second conveyors 355 formed. The second media recovery guide 359 collects the media tha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drum 330 and is discharged by a perforation hole (not shown) or the like.

이에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컨베이어를 통해 버려지는 미디어의 양을 최소화하여 미디어의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amount of discarded media through a plurality of conveyors, thereby dramatically increasing the recovery rate of the medi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선별장치
110: 스크린 망 120: 스크린 박스
130: 댐핑 스프링 140: 힌지부
150: 지지부
200; 건조장치
210: 열풍생성부 220: 건조부
230: 배출부
C: 이송 컨베이어
310: 공급장치
311: 자갈저장부 313: 자갈 이송 가이드
315: 진동모터 317: 고정 스프링
319: 지지 프레임
D: 건식 세척장치
320: 세척 프레임부
321: 세척 프레임 323: 드럼 가이드
324: 메인 동력부 325: 메인 구동부
330: 메인 드럼부
331: 메인 드럼 332: 구획 벨트
333: 드럼 벨트 335: 타이밍 벨트
337: 나선형 날개 338: 믹싱바
339: 타공홀
340: 미디어 보관부
350: 미디어 이송부
351: 제1 컨베이어 353: 제1 미디어 회수 가이드
355: 제2 컨베이어 357: 제3 컨베이어
359: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
360: 미디어 분사부
361: 분사 노즐 363: 에어 공급관
365: 미디어 공급관 367: 고정 프레임
370: 덮개
380: 싸이클론부
381: 싸이클론 본체 382: 미디어 회수관
383: 미디어 회수관 결합부 385: 공기 배출부
400: 집진장치
100: sorting device
110: screen net 120: screen box
130: damping spring 140:
150: Support
200; Drying device
210: hot air generating part 220: drying part
230:
C: conveying conveyor
310: Feeder
311: gravel storage unit 313: gravel transport guide
315: Vibration motor 317: Fixing spring
319: Support frame
D: Dry cleaning device
320: cleaning frame part
321: Cleaning frame 323: Drum guide
324: main power section 325: main power section
330: main drum portion
331: main drum 332:
333: Drum belt 335: Timing belt
337: Spiral wing 338: Mixing bar
339: Perforated hole
340: Media storage unit
350: Media transfer section
351: first conveyor 353: first media recovery guide
355: second conveyor 357: third conveyor
359: Second media retrieval guide
360: Media distributor
361: jet nozzle 363: air supply pipe
365: Media supply tube 367: Fixing frame
370: Cover
380: Cyclone moiety
381: Cyclone body 382: Media recovery tube
383: media return pipe coupling part 385: air discharge part
400: Dust collector

Claims (15)

회수된 자갈을 건식 세척장치(D)로 공급하는 공급장치(310);
상기 공급장치(310)로 공급된 자갈을 세척하는 건식 세척장치(D); 및
상기 건식 세척장치(D)에서 세척 중 발생하는 미세분진을 포집하여 정화하는 집진장치(400);를 포함하며,
상기 건식 세척장치(D)는, 건식 세척장치(D)의 외관을 형성하는 세척 프레임부(320); 상기 세척 프레임부(32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메인 드럼부(330); 상기 메인 드럼부(330)에 공급되는 미디어를 보관하는 미디어 보관부(340); 상기 메인 드럼부(330)로부터 사용된 미디어를 회수하는 미디어 이송부(350); 및 상기 메인 드럼부(330) 내부의 자갈에 고압의 공기와 함께 미디어를 분사하는 미디어 분사부(360);를 포함하며,
상기 건식 세척장치(D)는, 상기 미디어 이송부(350)에 의해 회수된 미디어로부터 미세분진을 분리하는 싸이클론부(380);를 포함하되, 상기 싸이클론부(380)는 미디어 이송부(350)에 의해 회수된 미디어를 미디어 회수관(382)에 의해 싸이클론 본체(381)로 이송하게 되며, 미디어 회수관(382)는 미디어 회수관 결합부(383)에 의해 싸이클론 본체(381)와 연결되며, 싸이클론 본체(381)에 의해 분리된 미세분진은 싸이클론 본체(381)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385)에 의해 집진장치(400)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 프레임부(320)는, 메인 드럼부(330) 및 투입된 자갈의 하중을 지지하는 세척 프레임(321); 상기 세척 프레임(321)의 하부의 전,후,좌,우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드럼부(3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드럼 가이드(323); 및 상기 드럼 가이드(323)의 사이에 형성되어 메인 동력부(324)에 의해 메인 드럼부(330)의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구동부(325); 및 외부충격에 건식 세척장치(D)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세척 프레임(321)의 상부에 반원형 형태로 형성된 덮개(370);를 포함하여
상기 미디어 이송부(350)는,
상기 세척 프레임부(320)에 고정되되,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며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드럼부(350)로부터 토출되는 미디어를 수집하는 제1 미디어 회수 가이드(353); 및 상기 메인 드럼부(3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미디어 회수 가이드(353)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디어를 상기 싸이클론부(380)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351);
상기 메인 드럼부(33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드럼부(3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드럼부(330)로부터 토출되는 미디어를 수집하는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359); 상기 제2 미디어 회수 가이드(359)의 하부에 형성되어 수집된 미디어를 제3 컨베이어(357)로 이송하는 다수의 제2 컨베이어(355); 및 상기 메인 드럼부(33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드럼부(3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355)로부터 이송된 미디어를 상기 싸이클론부(380)로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357);를 포함하는 건식 자갈세척시스템.
A feeder 310 for feeding the recovered gravel to the dry scrubber D;
A dry scrubber (D) for scrubbing the gravel supplied to the feeder (310); And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400) for collecting and purifying fine dust generated during washing in the dry cleaning device (D)
The dry cleaning apparatus (D) includes a cleaning frame section (32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dry cleaning apparatus (D); A main drum part 330 supported and rotated by the cleaning frame part 320; A media storage unit 340 for storing media supplied to the main drum unit 330; A media transfer unit 350 for recovering the used media from the main drum unit 330; And a media jetting unit 360 for jetting the medium together with high-pressure air to the gravel inside the main drum unit 330,
The dry cleaning apparatus D includes a cyclone unit 380 for separating fine dust from the medium recovered by the medium transport unit 350. The cyclone unit 380 includes a media transport unit 350, The media recovery pipe 382 is connected to the cyclone main body 381 by the media recovery pipe coupling portion 383. The media recovery pipe 382 is connected to the cyclone main body 381 by the media recovery pipe 382, And the fine dust separated by the cyclone body 381 is mov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400 by the air discharge portion 385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clone body 381,
The cleaning frame part 320 includes a main drum part 330 and a cleaning frame 321 for supporting loads of the loaded gravel. A drum guide 323 formed at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frame 321 to guide rotation of the main drum 330; A main drive part 325 formed between the drum guide 323 and providing a rotational power of the main drum part 330 by the main power part 324; And a cover (370)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on top of the cleaning frame (321) so as to protect the dry cleaning device (D) against an external impact
The media transporting unit 350 includes:
A first media recovery guide 353 which is fixed to the cleaning frame part 320 and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collects the media discharged from the main drum part 350; And a first conveyor 351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drum 330 to convey the medium discharged from the first media recovery guide 353 to the cyclone unit 380;
A second medium formed in a lower part of the main drum part 330 and formed in a concave shap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rum part 330 to collect media discharged from the main drum part 330, A recovery guide 359; A plurality of second conveyors 355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edia recovery guide 359 and transferring the collected media to the third conveyor 357; And a second conveyor 355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drum 330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rum 330 to convey the media conveyed to the cyclone unit 380 And a third conveyor (35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드럼부(3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메인 드럼(331);
상기 메인 드럼(3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세척 프레임부(320)의 드럼 가이드(323)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드럼 벨트(333); 및
상기 메인 드럼(3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세척 프레임부(320)의 메인 구동부(325)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타이밍 벨트(3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자갈세척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drum unit 330,
A main drum 331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at both ends thereof;
A drum belt 333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drum 331 and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drum guide 323 of the cleaning frame part 320 is formed; And
And a timing belt (335)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drum (331) and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main drive part (325) of the cleaning frame part (320) is formed.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드럼부(330)는,
상기 메인 드럼(331)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드럼 벨트(333)와 상기 타이밍 벨트(335)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구획 벨트(332); 및
상기 메인 드럼(331)의 내주면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나선형 날개(3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자갈세척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in drum unit 330,
A partition belt 33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drum 331 and separated from the drum belt 33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timing belt 335 and the drum belt 333; And
And a plurality of spiral blades (337) formed in a spiral shape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drum (33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분사부(360)는,
분사 노즐(361)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363)과 상기 에어 공급관(363)의 일측에 형성되어 미디어를 공급하는 미디어 공급관(3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자갈세척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dia ejection unit 360 ejects,
An air supply pipe (363) for supplying high pressure air to the spray nozzle (361), and a media supply pipe (365)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supply pipe (363) for supplying the mediu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64754A 2016-05-26 2016-05-26 System for dry clean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 KR1018184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754A KR101818490B1 (en) 2016-05-26 2016-05-26 System for dry clean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754A KR101818490B1 (en) 2016-05-26 2016-05-26 System for dry clean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680A KR20170133680A (en) 2017-12-06
KR101818490B1 true KR101818490B1 (en) 2018-02-28

Family

ID=6092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754A KR101818490B1 (en) 2016-05-26 2016-05-26 System for dry clean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49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752B1 (en) * 2020-09-02 2021-02-02 (주)에니스환경건설 Cleaning System for Polluted Pebb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6073B (en) * 2018-05-31 2020-09-29 重庆荣爵摩托车有限公司 Cleaning device for motorcycle packaging
CN110980351B (en) * 2019-11-06 2021-08-27 潍坊泰利包装有限公司 Conveyor of cardboard production usefulness
CN111672828A (en) * 2020-06-09 2020-09-18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Dry type cleaning device
CN112871876B (en) * 2021-02-04 2022-11-01 莱芜凤凰建工集团有限公司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construction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86B1 (en) * 2004-05-07 2005-02-07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ggregate crushing construction waste
KR100719164B1 (en) * 2005-05-04 2007-05-17 에이비앤씨코리아(주) The device for wash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86B1 (en) * 2004-05-07 2005-02-07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ggregate crushing construction waste
KR100719164B1 (en) * 2005-05-04 2007-05-17 에이비앤씨코리아(주) The device for wash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752B1 (en) * 2020-09-02 2021-02-02 (주)에니스환경건설 Cleaning System for Polluted Peb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680A (en)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490B1 (en) System for dry cleaning gravels using construction
EP2265765B1 (en) Improved road planer for milling road-surface
KR100552351B1 (en) Fines eliminator for recycled coarse aggregate
US92784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abrasive blasting material and screening device for separating abrasive blasting material
JPH0663867A (en) Recovery and purification system for blasting medium
KR100789054B1 (en) Environmentally freindly blast apparatus
KR101928748B1 (en) Shot Blast System with Continuance Belt Conveyor Type
KR100516002B1 (en) Refuse sorting structures of intermediate handling for disposal of construction
US4771579A (en) Abrasive blast media recovery and cleaning for reuse
WO2014041586A1 (en) Apparatus for grinding particulate substance and plant for manufacturing particulate substance
KR101769439B1 (en) Cleaning equipment for ballast
US4382352A (en)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s, including means for separating debris and abrasive material
US6514128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brasive blasting media from debris
US5193291A (en) Soil remedi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29152A (en) Apparatus for dry cleaning gravels
US6578714B2 (en) Mobile washer with fluid reclamation system
KR101736400B1 (en) The bulk hopper for scattering dust remove
KR102210752B1 (en) Cleaning System for Polluted Pebble
WO2017029610A1 (en) Cleaning of aggregate materials such as rail track ballast material
US11547962B2 (en) Screen dump station system for disposing of spent drilling mud
JP2013221312A (en) Road surface treatment method and road surface treatment device
KR101433325B1 (en) Dust removal apparatus and, methods for repairing water supply pipe using the same
US10794129B2 (en) Screen dump station system for disposing of spent drilling mud
JP4282881B2 (en) Surface layer regen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rainage pavement
KR100488241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ggregate crushing construction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