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274B1 - Knee brace - Google Patents

Knee br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274B1
KR101815274B1 KR1020160172197A KR20160172197A KR101815274B1 KR 101815274 B1 KR101815274 B1 KR 101815274B1 KR 1020160172197 A KR1020160172197 A KR 1020160172197A KR 20160172197 A KR20160172197 A KR 20160172197A KR 101815274 B1 KR101815274 B1 KR 10181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vertical member
support
bending angle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1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은희
Original Assignee
정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희 filed Critical 정은희
Priority to KR102016017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2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2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brace which is worn on a knee or the region around the knee of a patient who has received a knee joint surgery or an orthopedic wound dressing, a person with disability, or an elderly person to aid the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or to prevent secondary damage such as tears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MCL) inside the knee, which connects the femur and the tibia, tears or damage of the posterior collateral ligament (PCL), and tears of the anterior collateral ligament (ACL) which make movements of the knee diffic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ee brace comprises: a knee brace main body (100) which has a shape having a wider upper portion and a narrower lower portion; femoral region supporting units (200) which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ee brace main body (100) to compress and support the femoral region of a user; lower leg supporting units (300) which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ee brace main body (100) to compress and support the lower leg of the user; knee bending angle adjustment units (400)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vertical members (212, 312; 222, 322) of the femoral region supporting units (200) and the lower leg supporting units (300); and a knee bending angle adjustment unit supporting means (500).

Description

무릎보조기{Knee brace}Knee brace Knee brace

본 발명은 무릎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릎관절 수술 내지 정형외과적 상처 치료를 받은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의 무릎 및 그 주위부위에 착용하는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고 있는 무릎 안쪽 내측측부 인대(MCL)의 파열이나, 후방십자인대(PCL)의 파손이나 손상, 그리고 무릎을 움직이기 어려운 전방십자인대(ACL)의 파열등에 따른 환자의 재활이나 2차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된 무릎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orthosis,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ee orthosis worn on the knee and its vicinity of a patient, a handicapp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who has undergone knee surgery or orthopedic wound healing, Helps prevent rehabilitation or secondary damage of the patient due to rupture of the MCL, breakage or damage of the PCL, and rupture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which is difficult to move the knee To a knee orthosis.

일반적으로 무릎보조기는 넓적다리와 정강이의 사이에 있는 관절인 무릎부위가 골절 또는 상해되었을 때 무릎관절부위를 지지, 고정, 보호, 속박하는데 사용한다.In general, knee orthoses are used to support, fix, protect, and constrain knee joints when the knee joints between the thighs and shanks are fractured or injured.

즉, 무릎보조기는 무릎관절 수술 내지 정형외과적 상처 치료를 받은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에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무릎 및 그 주위부위에 착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knee orthosis is used fo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knee surgery or orthopedic wounds treatment,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they wear it on the knee and its surrounding area.

이러한 무릎보조기는 무릎관절의 측면 움직임을 제어 및 안정화시키고, 관절의 굴곡 작용을 제한하거나 교정하며, 통상적으로 제어 가능한 방법에 의해 무릎부상의 재발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These knee orthoses are design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and stabilizing lateral movement of the knee joint, restricting or correcting the flexion of the joints, and preventing recurrence of knee injuries by a generally controllable method.

한편, 상기한 무릎 부위에는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후방십자인대(PCL;Posterior Cruciate Ligament), 좌측십자인대 및 우측십자인대가 위치되어 있다. 이들 인대들이 파손이나 손상될 경우, 별도의 무릎보조기를 착용하여 2차적인 손상을 예방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anterior cruciate ligament,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left cruciate ligament, and right cruciate ligament are located at the knee region. When these ligaments are damaged or damaged, a separate knee orthosis is worn to prevent secondary damage.

이중에서 후방십자인대의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되면, 무릎을 굽히거나 펴는 과정에서 하퇴(下腿)의 정강이 상부측이 뒤쪽으로 빠지는 현상, 즉 발목에서 무릎까지 이어지는 축(Alignment)이 고관절(Hip)에서 무릎까지 이어지는 축으로부터 정강이 상부측이 뒤쪽으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방십자인대가 손상 또는 파손된 상태에서 무릎을 계속하게 사용하면, 그 인접된 좌측십자인대가 2차적인 손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When the injury or damage to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occurs, the upper part of the shin of the lower thigh slips backward in the process of bending or stretching the knee, that is, an alignment extending from the ankle to the knee is generated in the hip joint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shin part slips backward from the axis extending to the knee. Accordingly, when the knee is continuously used in the state where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s damaged or broken as described above, the adjacent left cruciate ligament sometimes suffers secondary damage.

따라서, 후방십자인대가 손상 또는 파손된 환자를 위한 무릎보조기를 착용하여 하퇴의 정강이 상부측이 뒤쪽으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2차적인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무릎보조기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knee orthosis that can prevent a secondary injury from occurring when the knee orthosis for a patient with injured or damag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s worn to prevent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ack from being pulled backward .

이에 따라 무릎 관절의 보호나, 무릎 통증을 저감시키기 위해 압박붕대와 같은 탄력섬유로 무릎을 감싸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며 한 번 탈거한 이후 재착용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Thus, in order to protect the knee joint and reduce knee pain, a method of wrapping the knee with elastic fibers such as compression bandages is widely used. However, in this case, the blood circulation is not smoothly performed. There is a drawback that there is difficulty.

또한, 다리의 좌우측에 지지대(brace)가 장착되고 무릎과 대응되는 부위가 절곡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로 제작된 무릎보조기가 다양한 구조 및 디자인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일정 부위에만 효능이 발현될 뿐, 여러 부위에 다기능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 knee orthosis made of a hinge structure is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and designs so that a brace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g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knee can be bent.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use it in a multifunctional mann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30935호(1999. 11. 15)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230935 (November 15, 199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30891호(2006. 10. 04)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630891 (2006.10.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97925호(2011. 12. 23)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97925 (Dec. 23, 20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41642호(2014. 09. 23)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41642 (Apr. 23, 201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릎보조기를 사용자(환자)가 한쪽 무릎(또는 양쪽 무릎)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대퇴부가 대퇴부 지지부에 의해 밀착,지지되고, 사용자의 하퇴부가 하퇴부 지지부에 의해 밀착,지지되는 것이 가능한 무릎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nee orthosis in which a user's (patient) wears on one knee (or both knees) And a knee orthosis in which the user's lower leg can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hip suppo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릎굽힘각도조절부를 통해 양 아암(arm)이 하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양 아암이 서로 이루는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무릎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ee orthosis capable of maintaining an angle between both arms when a pair of arms are rot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body through a knee flexion angle adjusting unit at a desired ang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고 있는 무릎 안쪽 내측측부 인대(MCL)의 파열에 따른 환자의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무릎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ee brace that can assist in the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due to the rupture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MCL) in the knee connecting the femur and tibi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십자인대(PCL)가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무릎보조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정강이 상부를 당겨주어 하퇴가 무릎으로부터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압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무릎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ression effect that prevents the rear leg ligament (PCL) from being pulled back from the knee by pulling the upper part of the shank when the knee is bent, It is capable of providing a knee br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릎 관절 인대 손상 가운데 가장 흔한, 무릎을 움직이기 어려운 전방십자인대(ACL)의 파열에 따른 환자의 2차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무릎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ee orthosis that can help prevent secondary damage to the patient due to rupture of the ACL, which is the most common knee ligament injury, There is.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물 재질로서 인체의 대퇴부와 하퇴부의 골격에 대응하여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가지며, 상단 일측에 'U'자 형태의 절개부(102)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102)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환기를 위한 통기구(110)가 구비된 무릎보조기 본체(100);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abric is made of a woven material having a shape of a top-down bottom with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upper part corresponding to the skeleton of the thigh and lower part of the human body, A knee orthosis main body 100 having a cut-out portion 102 formed therein and having a ventilation hole 110 for ventilation at regular intervals above and below the cut-out portion 102;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21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21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21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212)의 타측에 수평부재(21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216a)가 구비된 제 1지지부(210)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22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22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22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222)의 타측에 수평부재(22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22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226a)가 구비된 제 2지지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주면 상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대퇴부를 압박,지지하는 대퇴부 지지부(200); A vertical member 212 provided at one end portion is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d an extended portion 214 is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12, A horizontal member 21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12 while a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having a male Velcro tape 216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The vertical member 222 is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d the extension member 224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22,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220 having a male Velcro tape 226a at one side of the tip of the horizontal member 226.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knee joint 222, And are provid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00, A femoral support part 200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femur part;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31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31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31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312)의 타측에 수평부재(31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31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16a)가 구비된 제 1지지부(310)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32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32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32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322)의 타측에 수평부재(32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32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26a)가 구비된 제 2지지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주면 하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하퇴부를 압박,지지하는 하퇴부 지지부(300);A vertical member 312 provided at one end portion is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d an extension portion 314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12, A horizontal member 31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12 while a first supporting portion 310 having a male Velcro tape 316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316, A vertical member 322 attached to the knee orthosis body 100 is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and an extension portion 324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22, A horizontal member 32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22 while a second supporting member 320 having a male Velcro tape 326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326,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The pressure, the supporting lower leg supporting part 300, which;

일단부에 핀부재(450)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비되고, 이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기어가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알루미늄제 아암(arm)(410)(420)과, 타원 형태로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면 중앙부에 나사봉(432)이 입설된 제 1판체(430)와, 상기 제 1판체(430)와 동일한 형태로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제 2판체(440)와, 중앙부를 중심으로 다수의 날개(474)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일체로 구비되고, 좌우 양측에는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연결공이 구비되며, 외측면에는 스폰지(480)가 부착된 무릎관절 지지대(470)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직부재(212,312; 222,322)에 각각 연결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 및A pair of right and left aluminum arms 410 and 420 provided at one end with through holes for the pin member 450 to pass therethrough and gears around the through holes, A first plate body 430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penetrat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plate body 430 and having a screw bar 432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plate 440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passes, the first plate 440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474 radially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 knee joint support 470 having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passes and a sponge 480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joint support 470. The vertical member 212,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connected to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respectively; And

신축이 자재한 사각 형태의 직물제로서 일단부에 합성수지제 제 1마감부재(522)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제 2마감부재(524)가 구비된 끈부재(520)를 포함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을 포함하는 무릎보조기가 제공된다.And a knee bending angle (bending angle) including a string member 520 having a first closing member 522 made of synthetic resin at one end and a second closing member 524 at the other end, A knee orthosis comprising a control part support means (500) is provided.

본 발명에서 상기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의 제 1판체(430) 외측면에는 외부 미관 향상과 더불어 상기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이 연결되기 위한 커버(49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커버(490)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 재질로서 양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고, 상기 커버(490)의 중앙부에 상기 나사봉(432)에 결합되는 나사공(492)이 구비되며, 이 나사공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의 'ㄷ'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터널부(494)가 일체로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body 430 of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er 400 is provided with a cover 490 for connecting the support means 500 of the knee bending angle regulator with the improvement of the external appearance The cover 490 is made of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through hol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ver 490 passes through the pin member 450. The cover 490 has a through hole 492, and a tunnel portion 494 having a 'C' -shaped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periphery of the screw hole is integrally provided.

본 발명에서 상기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의 제 1마감부재(522)는 선단에 상기 대퇴부 지지부(200)의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에 구비된 연결공(212a,222a)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돌기부(522a)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 2마감부재(524)의 선단에 상기 하퇴부 지지부(300)의 제 1지지부(310) 및 제 2지지부(320)에 구비된 연결공(312a,322a)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돌기부(524a)가 일체로 구비된다.
The first closure member 522 of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er support means 500 may b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0 of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The first supporting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250 of the lower supporting part 300 are integrally provided at the tip of the second closing member 524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otrusions 522a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parts 212a, 320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protrusions 524a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s 312a, 322a.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릎보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knee orthosi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무릎보조기를 사용자(환자)가 한쪽 무릎(또는 양쪽 무릎)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대퇴부가 대퇴부 지지부(200)에 의해 밀착,지지되고, 사용자의 하퇴부가 하퇴부 지지부(300)에 의해 밀착,지지된다.First, when the user (patient) wears the knee orthosis on one knee (or both knees), the femur part of the user is closely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femoral support part 200 and the user's lower part is closely contacted by the hip support part 300 .

둘째,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를 통해 양 아암(410)(420)이 하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양 아암(410)(420)이 서로 이루는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Secondly, when both arms 410 and 420 are rot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body through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the angle between the arms 410 and 420 can be maintained at a desired angle.

셋째, 신축 자재한 단수의 끈부재(520)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고 있는 무릎 안쪽 내측측부 인대(MCL)의 파열에 따른 환자의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ird, the use of a single stranded cord member 520 may help to rehabilitate the patient due to rupture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MCL), which connects the femur and tibia.

넷째, 신축 자재한 복수의 끈부재(520)를 사용하는 경우 후방십자인대(PCL)가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무릎보조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정강이 상부를 당겨주어 하퇴가 무릎으로부터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압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Fourth, when using a plurality of stretchable cord members 520, when a user wearing a knee orthosis suffers damage or damage to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the upper part of the shank is pull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essing effect for preventing the slippage from being caused to fall.

다섯째, 복수의 끈부재(520)가 당겨져서 사용자의 하퇴 부분을 당겨주는 것에 의해 다리가 앞쪽으로 빠지는 현상을 줄임에 따라 무릎 관절 인대 손상 가운데 가장 흔한, 무릎을 움직이기 어려운 전방십자인대(ACL)의 파열에 따른 환자의 2차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Fifth, since a plurality of string members 520 are pulled to pull the user's lower back part to reduce the falling of the leg forward, the most common ACL knee ligament injured ACL, which is difficult to move the knee, May help prevent secondary damage to the patient due to rupture of the ner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에 있어서의 무릎굽힘각도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에 있어서의 무릎굽힘각도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굽힘각도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굽힘각도조절부의 분리 사시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knee orth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a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ar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side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respectively, of another use state of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in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in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knee orthos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knee ortho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showing a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5 and 6 are side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use of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에 있어서의 무릎굽힘각도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에 있어서의 무릎굽힘각도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굽힘각도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9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in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in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굽힘각도조절부의 분리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는 크게 무릎보조기 본체(100), 대퇴부 지지부(200), 하퇴부 지지부(300),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 그리고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13,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knee orthosis body 100, a femoral support portion 200, a hip support portion 200, (300),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and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supporting unit (50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무릎보조기 본체(100)는 직물 재질로서 인체의 대퇴부와 하퇴부의 골격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가지며,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마치 바지를 입듯이 한쪽 발을 넣어서 당긴 후, 후술하는 대퇴부 지지부(200)와 하퇴부 지지부(300)를 통해 하체에 고정시킨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is formed of a fabric material having a shape of a supra-wide lowered upper part having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er lower part corresponding to a skeleton of a thigh and a lower part of a human body,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ed so that the user puts one foot in the same manner as the user puts on the pants and then fixes the foot on the lower body through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무릎보조기 본체(100)는 상단 일측에 'U'자 형태의 절개부(102)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102)를 사이에 두고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에 수벨크로테이프(velcro tape)(미도시)가 재봉에 의해 부착되며, 일측면에 암벨크로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된 연장부(106)가 절개부(102)와 인접하여 재봉에 의해 부착되어 있어서, 연장부(106)는 전술한 암벨크로테이프를 통해 수벨크로테이프에 선택적으로 탈착된다.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has a U-shaped incision 102 formed on one side of its upper end and a Velcro tape 10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with the incision 10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extension 106 having an arm Velcro tape (not shown) attached to one side thereof is attached adjacent to the cutout 102 by sewing so that the extension (not shown) 106 are selectively detached from the Velcro tape through the arm Velcro tape described above.

또한, 절개부(102)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중앙에 환기를 위한 통기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Further, a ventilation hole 110 for ventila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at regular intervals above and below the incision portion 102.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대퇴부 지지부(200)는 제 1지지부(210)와 제 2지지부(220)가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주면 상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대퇴부를 압박,지지한다.1 to 4,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10 and 220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to press the thighs of the user, .

제 1지지부(210)는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212)가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재봉에 의해 부착되고, 수직부재(21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21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수직부재(212)의 타측에 사각 형태를 갖는 수평부재(21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216a)가 부착되어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210 is attached by se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and a vertical member 212 provided at one end part is attached to the extension part A horizontal member 216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12 while a male Velcro tape 216a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212 .

이때, 수직부재(212)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끈부재(520)의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눈사람 형태의 상하 1쌍의 연결공(212a)이 사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pair of upper and lower connecting holes 212a in the form of a snowman for selectively connecting one end of the string member 52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212, respectively.

또한, 수직부재(212)는 정면에서 보아 그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이 개방부를 통해 후술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의 아암(410)이 일부 삽입되며, 연장부(214)에는 후술하는 제 2지지부(220)의 수평부재(226) 선단부가 연결되기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링부재(218)가 구비되어 있다. The arm member 410 of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described later is inserted partly through the opening so that the extending portion 214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a ring member 218 made of a synthetic resin for connecting the tip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226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0 is provided.

제 2지지부(220)는 전술한 통기구(110)를 사이에 두고 제 1지지부(210)와 대향되게끔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222)가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수직부재(22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22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수직부재(222)의 타측에 수평부재(22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22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226a)가 부착되어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220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first support part 210 with the air vent 11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vertical support part 222 provided at one end part of the second support part 220 faces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d a horizontal member 22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22.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member 22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vertical member 222, A male Velcro tape 226a is attach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226.

이때, 수직부재(222)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끈부재(520)의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눈사람 형태의 상하 1쌍의 연결공(222a)이 사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pair of upper and lower connecting holes 222a in the form of a snowman for selectively connecting one end of the string member 52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222, respectively.

또한, 수직부재(222)는 정면에서 보아 그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이 개방부를 통해 후술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의 아암(410)이 일부 삽입되며, 연장부(224)에는 전술한 제 1지지부(210)의 수평부재(216) 선단부가 연결되기 위한 링부재(228)가 구비되어 있다. The arm member 410 of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partly through the opening so that the extension member 224 is provided with the above- And a ring member 228 for connecting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216 of the first support part 210 is provid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퇴부 지지부(300)는 제 1지지부(310)와 제 2지지부(320)가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주면 하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하퇴부를 압박,지지한다.1 to 4, the lower support part 30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310 and a second support part 320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to press the lower part of the user, .

제 1지지부(310)는 대퇴부 지지부(200)의 제 1지지부(210)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끔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312)가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재봉에 의해 부착되고, 수직부재(31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31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수직부재(312)의 타측에 사각 형태를 갖는 수평부재(31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31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16a)가 부착되어 있다.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is provided to be oppos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of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and a vertical member 312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faces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of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And an extension 314 is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with the vertical member 31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horizontal member 316 having a rectangular shape at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12 is attached by sewing along the outer- And a male Velcro tape 316a is attach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316. [

이때, 수직부재(312)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끈부재(520)의 타단부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눈사람 형태의 상하 1쌍의 연결공(312a)이 사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pair of upper and lower connecting holes 312a in the form of a snowman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string member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312.

또한, 수직부재(312)는 정면에서 보아 그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이 개방부를 통해 후술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의 아암(420)이 일부 삽입되며, 연장부(314)에는 후술하는 제 2지지부(320)의 수평부재(326) 선단부가 연결되기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링부재(318)가 구비되어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312 is open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arm 420 of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portion 400 described later is partially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nd a ring member 318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connecting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326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provided.

제 2지지부(320)는 대퇴부 지지부(200)의 제 2지지부(220)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끔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322)가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수직부재(32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32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수직부재(322)의 타측에 수평부재(32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32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26a)가 부착되어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is provided to be oppos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0 of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and a vertical member 322 provided at one end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is fixed to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 extension portion 324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22 and a horizontal member 32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22 And a male Velcro tape 326a is attach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326. [

이때, 수직부재(322)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끈부재(520)의 타단부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눈사람 형태의 상하 1쌍의 연결공(322a)이 사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pair of upper and lower connection holes 322a in the form of a snowman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cord member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322.

또한, 수직부재(322)는 정면에서 보아 그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이 개방부를 통해 후술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의 아암(420)이 일부 삽입되며, 연장부(324)에는 전술한 제 1지지부(310)의 수평부재(316) 선단부가 연결되기 위한 링부재(328)가 구비되어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322 is opened as viewed from the front so that the arm 420 of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portion 400 described later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vertical member 322. In the extending portion 324, And a ring member 328 for connecting the tip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316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is provided.

도 5, 도 6, 그리고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는 전술한 통기구(110)를 사이에 두고 양 수직부재(212,312; 222,322)에 각각 연결되어 무릎의 굽힘과 폄을 안정적으로 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5, 6, and 9 to 13,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is connected to both the vertical members 212 and 312 (222 and 322) with the air vent 1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o help stabilize the span.

인체의 무릎은 경골의 중심과 대퇴골의 중심축이 십자인대에 연결고리가 있어 서로 맞물려 움직이게 한다. 전,후방 십자인대가 경골 두 부분과 대퇴골 두 부분에서 각각의 인대가 십자로 연결되어 있다.The human knee has a tibial center and a central axis of the femur, which are connected to the cruciate ligaments, so that they can move together. The anterior and posterior cruciate ligaments are cross-linked with the ligaments of both the tibia and the femoral head.

즉, 경골의 전방부분의 인대는 대퇴골의 후방부분과 연결되며(전방십자인대), 경골 후면부분의 인대는 대퇴골의 전방부분과 연결되는(후방십자인대) 모양이다.The ligament of the anterior portion of the tibia is connected to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femur (anterior cruciate ligament), and the ligament of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tibia is connected to the anterior portion of the femu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무릎은 이러한 상호 십자인대가 대퇴부와 경골부를 이어주고 있어 서로 떨어지지 않게 잘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무릎은 실제 굽히고 폄을 할 때 직각 모양으로 굽히고 피는 것이 아니라 반달모양의 대퇴골(femur)이 아래의 경골(Tibia)위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는(Sliding) 형태로 움직이는데,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는 무릎의 굽힘과 폄을 안정적으로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 수술 또는 보호 목적의 부목과 보조기에 접목하여 일상에서 편리한 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한 것이다.The knee is a cross ligament that connects the thigh and the tibia. The knee bending and swinging movements do not bend and bend at right angles but move in the form of a half-moon femur sliding on the lower tibia.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er 400 moves the knee It can help to stabilize the bending and spreading of the knee joint. It can be applied to splints and ankles for surgical or protection purposes, so that it can be useful for daily life.

이러한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는 좌우 한 쌍의 알루미늄제 아암(arm)(410)(420), 제 1판체(430), 제 2판체(440), 그리고 무릎관절 지지대(470)를 포함한다.The knee bending angle adjuster 40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aluminum arms 410 and 420, a first plate body 430, a second plate body 440, and a knee joint support 470 do.

아암(410)(420)은 일단부에 후술하는 핀부재(450)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기어(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The arms 410 and 420 are each formed with a through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and a gear (not shown)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이러한 아암(410)(420)은 핀부재(450)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과정에서 선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치합되는 상기 기어를 통해 회동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The arms 410 and 420 are provided at the tip ends of the pin member 450 in a rotating manner with the hinge shaft as a hinge axis, and smoothly rotate through the gears engaged with each other.

제 1판체(430)는 전체적으로 타원 형태로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핀부재(450)가 후술하는 커버(490)와, 아암(410)(420)의 관통공, 그리고 제 1판체(430)를 경유하여 후술하는 제 2판체(440)에 각각 연결됨에 따라 아암(410)(42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제 1판체(430)의 상면 중앙부에는 나사봉(432)이 입설되어 있다. The first plate body 430 is formed in a generally elliptical shape and has through hole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passes throug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portion. The pin member 450 includes a cover 490 420 ar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440 to be described later via the through holes of the arms 410 and 420 and the first plate 430, A screw rod 43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element body 430.

제 2판체(440)는 제 1판체(430)와 동일한 형태로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핀부재(450)가 후술하는 커버(490)와, 아암(410)(420)의 관통공, 그리고 제 1판체(430)를 경유하여 제 2판체(440)에 각각 연결됨에 따라 아암(410)(420)의 타측면에 결합된다.The second plate member 440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late member 430 and has through hole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passes at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as a center, The through holes of the arms 410 and 420 and the second plate 440 via the first plate body 430 to the other side of the arm 410 and 420 .

한편, 정면에서 보아 제 1판체(430)와 제 2판체(440)의 상단과 하단에는 후술하는 아암각도유지수단(460)이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끼움공(434)(444)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아암각도유지수단(460)은 합성수지제 본체(462)를 중심으로 양 측면에 일정 높이의 돌출부(46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본체(462)는 제 1, 제 2판체(430)(44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fitting holes 434 and 444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arm angle maintaining means 4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bodies 430 and 440, The arm angle maintaining means 460 is integrally formed with protruding portions 464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both sides of the synthetic resin body 462. The body 462 includes first and second plate bodies 430, (440). ≪ / RTI >

또한, 돌출부(464)는 끼움공(434)(444)과 서로 접촉하고, 이러한 돌출부(464)상에는 아암(410)(420)이 하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양 아암(410)(420)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각인되어 있다. 이때, 각도는 가령, 0도, 10도, 20도, 30도, 40도, 45도, 60도, 75도, 90도 등으로 표시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The protrusions 464 are in contact with the fitting holes 434 and 444 and the protrusions 464 are formed on both the protrusions 464 when the arms 410 and 420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body. Are ang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angle can be selectively used, for example, 0 degree, 10 degree, 20 degree, 30 degree, 40 degree, 45 degree, 60 degree, 75 degree, 90 degree and so on.

일 예로서, 양 아암(410)(420)이 하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양 아암(410)(420)이 서로 이루는 각도를 10도로 유지하고 싶은 경우, 돌출부(464)에 10도가 표시된 본체(462)를 제 1 및 제 2판체(430)(440)의 끼움공(434)(444)에 삽입한다.When the two arms 410 and 420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body, when the angle between the arms 410 and 420 is 10 degrees,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30 and 440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434 and 444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30 and 440, respectively.

무릎관절 지지대(47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다수의 날개(474)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는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연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The knee joint support 470 has a plurality of blades 474 radial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center portion of the knee joint support 470, and a connecting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passes, .

이때, 무릎관절 지지대(470)의 외측면에는 통상의 관절염 교정기에 사용되는 소정 두께를 갖는 스폰지(480)가 부착되며, 전술한 핀부재(450)는 후술하는 커버(490), 제 1판체(430), 아암(410)(420), 제 2판체(440), 그리고 무릎관절 지지대(470)를 차례로 관통한 후, 그 선단부가 압착되어 힌지축으로 작용한다. A sponge 48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joint support 470. The pin member 450 includes a cover 490, 430, the arms 410, 420, the second plate 440, and the knee joint supporter 470, and then the distal end thereof is pressed and acts as a hinge shaft.

또한, 제 1판체(430) 외측면에는 외부 미관 향상과 더불어 후술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이 연결되기 위한 커버(490)가 구비된다. 이러한 커버(490)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양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전술한 핀부재(450)가 각각 관통하고, 중앙부에는 전술한 나사봉(432)에 결합되는 나사공(492)이 형성되며, 이 나사공은 베어링(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body 430 is provided with a cover 490 for connecting the support means 500 of the knee bending angle regulating unit described later with the improvement of the outer appearance. The cover 49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pin member 450 penetrates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ver 490, And a screw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screw hole.

이에 따라 커버(490)는 나사봉(432)을 축으로 하여 회전자재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나사공(492)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의 'ㄷ'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터널부(494)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어서 이 터널부(494)를 후술하는 끈부재(520)가 통과한다.Accordingly, the cover 490 has a structure that is rotatable about the screw rod 432. In addition, it has a "C" -shaped cross-sectional shape with a certain height along the periphery of the screw hole 492 The tunnel portion 494 integrally protrudes and the string member 520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the tunnel portion 494.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은 전술한 연결공(212a,222a,312a,322a)에 끈부재(520)가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knee bending angle regulator support means 500. The knee bending angle regulating portion support means 500 is connected to the string member 520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holes 212a, 222a, 312a, and 322a.

즉, 끈부재(520)는 신축이 자재한 가로, 세로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형태의 직물제로서 일단부에 합성수지제 제 1마감부재(522)가 재봉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합성수지제 제 2마감부재(524)가 재봉에 의해 연결된다.That is, the string member 520 is made of a rectangular fabric having a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which is made of stretchable material, and the first closing member 522 made of synthetic resin is connected to one end by sewing, 2 closing member 524 is connected by sewing.

이때, 제 1마감부재(522)는 선단에 전술한 연결공(212a,222a)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돌기부(522a)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마감부재(524)의 선단에도 연결공(312a,322a)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돌기부(52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closing member 522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rotrusion 522a for selectively connecting to the connection holes 212a and 222a at the front end thereof, 312a, and 322a, respectively, are integrally formed.

이러한 구성에 따라 끈부재(520)의 일단부는 돌기부(522a)를 통해 연결공(212a,222a)에 연결되고, 끈부재(520)의 타단부는 제 2마감부재(524)가 전술한 커버(490)의 터널부(494)를 경유한 후 돌기부(524a)를 통해 연결공(312a,322a)에 연결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ne end of the cord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212a, 222a through the protrusion 522a, and the other end of the cord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losure member 524 490 through the tunnel portion 494 and the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s 312a, 322a through the projecting portion 524a.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사용자(환자)가 한쪽 무릎(또는 양쪽 무릎)에 착용한다.First, the user (patient) wears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one knee (or both knees).

오른쪽 무릎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절개부(102)를 벌린 상태에서 오른쪽 발을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상부를 통해 넣고 무릎보조기를 당겨서 통기구(110)가 무릎 중앙부에 놓이게 한다.For example, the right knee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with the incision 102 open, and the knee orthosis is pulled to place the vent 110 in the center of the knee.

이후, 대퇴부 지지부(200)의 제 1지지부(210)에 구비된 수평부재(216)를 회동시켜서 제 2지지부(220)의 링부재(228)에 넣어 당긴 후 수평부재(216) 선단의 수벨크로테이프(216a)를 수평부재(216)에 결착시킨다.The horizontal member 216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of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is pivot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ing member 228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0, And the tape 216a is bonded to the horizontal member 216. [

또한, 대퇴부 지지부(200)의 제 2지지부(220)에 구비된 수평부재(226)를 회동시켜서 제 1지지부(210)의 링부재(218)에 넣어 당긴 후 수평부재(226) 선단의 수벨크로테이프(226a)를 수평부재(226)에 결착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대퇴부가 대퇴부 지지부(200)에 의해 밀착,지지된다.The horizontal member 226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0 of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is pivoted to be pushed into the ring member 218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As the tape 226a is fastened to the horizontal member 226, the femoral portion of the user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

한편, 하퇴부 지지부(300)의 제 1지지부(310)에 구비된 수평부재(316)를 회동시켜서 제 2지지부(320)의 링부재(328)에 넣어 당긴 후 수평부재(316) 선단의 수벨크로테이프(316a)를 수평부재(316)에 결착시킨다.The horizontal member 316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300 is pivoted to be pushed into the ring member 328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and then, And the tape 316a is bonded to the horizontal member 316. [

또한, 하퇴부 지지부(300)의 제 2지지부(320)에 구비된 수평부재(326)를 회동시켜서 제 1지지부(310)의 링부재(318)에 넣어 당긴 후 수평부재(326) 선단의 수벨크로테이프(326a)를 수평부재(326)에 결착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하퇴부가 하퇴부 지지부(300)에 의해 밀착,지지된다.The horizontal member 326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320 of the lower support part 300 is pivot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ing member 318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As the tape 326a is fastened to the horizontal member 326, the lower leg portion of the user is closely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lower leg supporting portion 300. [

이때,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는 아암(410)(420)이 전술한 수직부재(212,312;222;322)의 개방부를 통해 일부 삽입된 상태로서,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는 스폰지(480)를 통해 무릎 양쪽과 접촉하며, 이때, 원하는 각도가 표시된 아암각도유지수단(460)의 본체(462)를 제 1, 제 2판체(430)(440)의 끼움공(434)(444)에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양 아암(410)(420)이 하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양 아암(410)(420)이 서로 이루는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유지시킨다.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is a state in which the arms 410 and 420 are partially inserted through the openings of the vertical members 212 and 312 and 222 and 322, The main body 462 of the arm angle maintaining means 460 having the desired angl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434 and 444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30 and 440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arms 410 and 420 is maintained at a desired angle when the arms 410 and 420 are rot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body.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무릎보조기를 무릎에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펴고 구부리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본체(462)의 돌출부(464)가 가령 10도로 표시된 것을 사용할 경우 무릎을 곧게 편 상태에서 양 아암(410)(420)은 하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각각 회동되어 양 아암(410)(420)이 서로 10도의 각도를 유지한다.In this way, the user repeatedly stretches and bends the knee while wearing the knee orthosis on the knee. When the protrusion 464 of the main body 462 is used as shown in FIG. 10, the two arms 410 and 420 are rot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body, And maintain an angle of 10 degrees with each other.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단수(하나)의 끈부재(520)를 통해 연결되는 바, 끈부재(520)의 일단부는 제 1마감부재(522)에 구비된 돌기부(522a)를 통해 연결공(212a)에 연결되고, 끈부재(520)의 타단부는 제 2마감부재(524)에 구비된 돌기부(524a)를 통해 연결공(312a)에 연결된다.3, one end of the string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520 through a protrusion 522a provided in the first closing member 522. The connecting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520 through a single string member 520,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ng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312a through a protrusion 524a provided in the second closing member 524. [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끈부재(520)의 일단부는 제 1마감부재(522)에 구비된 돌기부(522a)를 통해 연결공(222a)에 연결되고, 끈부재(520)의 타단부는 제 2마감부재(524)에 구비된 돌기부(524a)를 통해 연결공(322a)에 연결된다.4, one end of the string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222a through a protrusion 522a provided in the first closing member 522,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ng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222a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322a through the protruding portion 524a provided in the second closing member 524.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는 경우(도 6 참조), 아암(420)이 핀부재(450)를 힌지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서 아암(420)이 다른 아암(410)측으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 또한 아암(420)과 함께 회동한다.6), the arm 420 moves toward the other arm 410 while rotating the pin member 450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in member 450 as a hinge axis, and when the knee is bent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arm 420.

이때, 아암(420)이 핀부재(450)를 힌지축으로 하여 다른 아암(410)측으로 회전되면, 전술한 끈부재(520)를 당겨줌으로써, 신축 자재한 단수(하나)의 끈부재(520)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고 있는 무릎 안쪽 내측측부 인대(MCL)의 파열에 따른 환자의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arm 420 is rotated toward the other arm 410 with the pin member 450 as a hinge axis, the string member 520 is stretched to pull the strap member 520, (MCL), which connects the femur and tibia, may help to rehabilitate the patient.

즉, 내측 측부인대(MCL)의 중증도 이상의 파열로 인한 수술 전,후 또는 경도의 파열로 인한 비수술 보존적 치료시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착용 후, 끈부재(520)를 당겨줌에 따라 파열된 부분을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파열된 부분에 의해서 더 무리가 가지 않게 함에 따라 환자의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at is, in the non-surgical conservative treatment due to the rupture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MCL) before, after, or after the rupture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more severely, after the wear of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irmly holding the affected part, it is possible to help the patient's rehabilitation by preventing the burdened part from becoming more difficult.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2개)의 끈부재(520)가 X자 형태로 연결되는 바, 하나의 끈부재(520) 일단부는 제 1마감부재(522)에 구비된 돌기부(522a)를 통해 연결공(212a)에 연결되고, 끈부재(520)의 타단부는 제 2마감부재(524)에 구비된 돌기부(524a)를 통해 연결공(312a)에 연결된다.7 and 8, a plurality (two) of strap members 520 are connected in an X-shaped manner, and one end of one string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losing member 522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ng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312a through a protrusion 524a provided in the second closing member 524. The connection member 212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212a through the protrusion 522a.

또한, 다른 끈부재(520) 일단부는 제 1마감부재(522)에 구비된 돌기부(522a)를 통해 연결공(222a)에 연결되고, 끈부재(520)의 타단부는 제 2마감부재(524)에 구비된 돌기부(524a)를 통해 연결공(322a)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other string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222a through a protrusion 522a provided in the first closing member 522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ng member 5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losing member 524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322a through a protruding portion 524a.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는 경우(도 6 참조), 아암(420)이 핀부재(450)를 힌지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서 아암(420)이 다른 아암(410)측으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 또한 아암(420)과 함께 회동한다.6), the arm 420 moves toward the other arm 410 while rotating the pin member 450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in member 450 as a hinge axis, and when the knee is bent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arm 420.

이때, 아암(420)이 핀부재(450)를 힌지축으로 하여 다른 아암(410)측으로 회전되면, 전술한 복수의 끈부재(520)를 X자 형태로 당겨줌으로써, 신축 자재한 복수(2개)의 끈부재(520)를 사용하는 경우 후방십자인대(PCL)가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무릎보조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정강이 상부를 당겨주어 하퇴가 무릎으로부터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압박 효과를 얻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arm 420 rotates to the other arm 410 side with the pin member 450 as a hinge axis, the plurality of string members 520 described above are pulled in the X shape to form a plurality of When using a string member 520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is broken or damaged so that when a user wearing the knee orthosis is bent, the upper portion of the shin is pulled to prevent the lower back from being withdrawn from the knee A pressing effect is obtained.

즉,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착용하고 난 후, 무릎을 굽히면, 복수의 끈부재(520)가 당겨져서 사용자의 하퇴 부분을 당겨주고, 무릎을 펴면, 대퇴부 지지부(200)와 하퇴부 지지부(300)가 사용자의 대퇴부와 하퇴부를 압박함에 따라, 후측십자인대(PCL)가 파손되거나 손상된 환자의 2차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bends the knee after wearing the knee orth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ring members 520 are pulled to pull the user's lowered portion and, when the knee is extended,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PCL) can help prevent secondary damage of a broken or damaged patient as the patient 300 compresses the thighs and lower legs of the user.

또한, 복수의 끈부재(520)가 당겨져서 사용자의 하퇴 부분을 당겨주는 것에 의해 다리가 앞쪽으로 빠지는 현상을 줄임에 따라 무릎 관절 인대 손상 가운데 가장 흔한, 무릎을 움직이기 어려운 전방십자인대(ACL)의 파열에 따른 환자의 2차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as a plurality of string members 520 are pulled to pull down the user's lowered part,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which is the most common among knee joint ligament injuries, May help prevent secondary damage to the patient due to rupture of the nerve.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무릎보조기를 사용자(환자)가 한쪽 무릎(또는 양쪽 무릎)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대퇴부가 대퇴부 지지부(200)에 의해 밀착,지지되고, 사용자의 하퇴부가 하퇴부 지지부(300)에 의해 밀착,지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atient) wears the knee orthosis on one knee (or both knees), the femur of the user is closely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femoral support part 200, And supported by the leg supporting portion 300.

또한,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를 통해 양 아암(410)(420)이 하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양 아암(410)(420)이 서로 이루는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When both the arms 410 and 420 are rot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er body through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er 400, the angle between the arms 410 and 420 can be maintained at a desired angle.

또한, 신축 자재한 단수의 끈부재(520)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고 있는 무릎 안쪽 내측측부 인대(MCL)의 파열에 따른 환자의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a single string member 520 of a stretchable material can assist in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due to the rupture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MCL) in the knee connecting the femur and tibia.

또한, 신축 자재한 복수의 끈부재(520)를 사용하는 경우 후방십자인대(PCL)가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무릎보조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릎을 굽혔을 때, 정강이 상부를 당겨주어 하퇴가 무릎으로부터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압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a plurality of stretchable cord members 520, when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is broken or damaged and a user wearing the knee orthosis is bent, the upper portion of the shank is pull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essing effect for preventing the slippage from being caused to fall.

또한, 복수의 끈부재(520)가 당겨져서 사용자의 하퇴 부분을 당겨주는 것에 의해 다리가 앞쪽으로 빠지는 현상을 줄임에 따라 무릎 관절 인대 손상 가운데 가장 흔한, 무릎을 움직이기 어려운 전방십자인대(ACL)의 파열에 따른 환자의 2차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as a plurality of string members 520 are pulled to pull down the user's lowered part,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which is the most common knee joint ligament damage, May help prevent secondary damage to the patient due to rupture of the ner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Of course it is.

100 : 무릎보조기 본체 102 : 절개부
106 : 연장부 110 : 통기구
200 : 대퇴부 지지부 210 : 제 1지지부
212 : 수직부재 216 : 수평부재
218 : 링부재 220 : 제 2지지부
300 : 하퇴부 지지부 400 : 무릎굽힘각도조절부
410,420 : 아암 430 : 제 1판체 440 : 제 2판체 450 : 핀부재
462 : 본체 464 : 돌출부
470 : 무릎관절 지지대 474 : 날개
480 : 스폰지 490 : 커버
494 : 터널부 500 :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
520 : 끈부재 522 : 제 1마감부재
524 : 제 2마감부재
100: knee orthosis body 102:
106: extension part 110: ventilation hole
200: femoral support part 210: first support part
212: vertical member 216: horizontal member
218: ring member 220: second support portion
300: lower leg supporting part 400: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part
410, 420: arm 430: first plate 440: second plate 450: pin member
462: main body 464:
470: knee joint support 474: wing
480: Sponge 490: Cover
494: tunnel part 500: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part support means
520: string member 522: first closing member
524: second closing member

Claims (3)

삭제delete 직물 재질로서 인체의 대퇴부와 하퇴부의 골격에 대응하여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가지며, 상단 일측에 'U'자 형태의 절개부(102)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102)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환기를 위한 통기구(110)가 구비된 무릎보조기 본체(100);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21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21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21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212)의 타측에 수평부재(21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216a)가 구비된 제 1지지부(210)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22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22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22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222)의 타측에 수평부재(22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22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226a)가 구비된 제 2지지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주면 상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대퇴부를 압박,지지하는 대퇴부 지지부(200);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31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31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31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312)의 타측에 수평부재(31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31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16a)가 구비된 제 1지지부(310)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32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32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32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322)의 타측에 수평부재(32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32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26a)가 구비된 제 2지지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주면 하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하퇴부를 압박,지지하는 하퇴부 지지부(300);와 일단부에 핀부재(450)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비되고, 이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기어가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알루미늄제 아암(arm)(410)(420)과, 타원 형태로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면 중앙부에 나사봉(432)이 입설된 제 1판체(430)와, 상기 제 1판체(430)와 동일한 형태로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제 2판체(440)와, 중앙부를 중심으로 다수의 날개(474)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일체로 구비되고, 좌우 양측에는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연결공이 구비되며, 외측면에는 스폰지(480)가 부착된 무릎관절 지지대(470)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직부재(212,312; 222,322)에 각각 연결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와 신축이 자재한 사각 형태의 직물제로서 일단부에 합성수지제 제 1마감부재(522)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제 2마감부재(524)가 구비된 끈부재(520)를 포함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의 제 1판체(430) 외측면에는 외부 미관 향상과 더불어 상기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이 연결되기 위한 커버(49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커버(490)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 재질로서 양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고, 상기 커버(490)의 중앙부에 상기 나사봉(432)에 결합되는 나사공(492)이 구비되며, 이 나사공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의 'ㄷ'자형 단면 형태를 갖는 터널부(494)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
As the material of the fabric, it has a shape of a supermarket with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lower part corresponding to the skeleton of the thigh and lower part of the human body, and a cutout part 102 of 'U' sha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A knee orthosis body 100 having a ventilation hole 110 for ventila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incision part 102 and a vertical member 212 provided at one end part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 extension 214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12 and a horizontal member 21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12 A first support part 210 provided with a male Velcro tape 216a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a vertical member 222 provided at one end part of the first support part 210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d an extension portion 224 is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with the vertical member 222 interposed therebetween A horizontal member 22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22 while a second supporting portion 220 having a male Velcro tape 226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226 And a vertical member (312) provided at one end portion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d a knee joint portion (300) provided on one end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And a horizontal member 316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12. The horizontal member 316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12, A first support portion 310 provided with a male Velcro tape 316a and a vertical member 322 provided at one end portion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31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322, And a horizontal member 32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22.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326, A lower support part 300 including a second support part 320 provided with a tape 326a and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to press and support a user's lower part, A pair of right and left aluminum arms 410 and 420 provided with through holes for the pin member 450 to pass therethrough and gears around the through holes, A first plate body 430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passes on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body 430 and having a screw bar 432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penetrates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A plurality of blades 474 are radial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40 and 440 around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440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40 and 440, And a knee joint support (470) with a knee joint (480) attached thereto, wherein the vertical member (212, 312;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connected to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and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losure members 222 and 322. The first closure member 522 is made of synthetic resin at one end, And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support means (500) including a string member (520) provided with a knee angle adjusting member (524)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body 430 of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er 400 is provided with a cover 490 for improving the external appearance and for connecting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er support means 500, The pin member 450 penetrates a through hol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ver 490 and a screw hole 492 coupled to the screw rod 43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490, , And a tunnel portion (494) having a 'C' -shaped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periphery of the screw hole is integrally provided.
직물 재질로서 인체의 대퇴부와 하퇴부의 골격에 대응하여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가지며, 상단 일측에 'U'자 형태의 절개부(102)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102)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환기를 위한 통기구(110)가 구비된 무릎보조기 본체(100);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21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21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21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212)의 타측에 수평부재(21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216a)가 구비된 제 1지지부(210)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22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22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22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222)의 타측에 수평부재(22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22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226a)가 구비된 제 2지지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주면 상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대퇴부를 압박,지지하는 대퇴부 지지부(200);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31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31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31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312)의 타측에 수평부재(31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31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16a)가 구비된 제 1지지부(310)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재(322)가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재(32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연장부(324)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322)의 타측에 수평부재(326)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이 수평부재(326)의 선단부 일측면에는 수벨크로테이프(326a)가 구비된 제 2지지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보조기 본체(100)의 외주면 하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하퇴부를 압박,지지하는 하퇴부 지지부(300);와 일단부에 핀부재(450)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비되고, 이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기어가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알루미늄제 아암(arm)(410)(420)과, 타원 형태로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면 중앙부에 나사봉(432)이 입설된 제 1판체(430)와, 상기 제 1판체(430)와 동일한 형태로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제 2판체(440)와, 중앙부를 중심으로 다수의 날개(474)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일체로 구비되고, 좌우 양측에는 상기 핀부재(450)가 관통하는 연결공이 구비되며, 외측면에는 스폰지(480)가 부착된 무릎관절 지지대(470)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직부재(212,312; 222,322)에 각각 연결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400);와 신축이 자재한 사각 형태의 직물제로서 일단부에 합성수지제 제 1마감부재(522)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제 2마감부재(524)가 구비된 끈부재(520)를 포함하는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무릎굽힘각도조절부 지지수단(500)의 제 1마감부재(522)는 선단에 상기 대퇴부 지지부(200)의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에 구비된 연결공(212a,222a)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돌기부(522a)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 2마감부재(524)의 선단에 상기 하퇴부 지지부(300)의 제 1지지부(310) 및 제 2지지부(320)에 구비된 연결공(312a,322a)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돌기부(524a)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
As the material of the fabric, it has a shape of a supermarket with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lower part corresponding to the skeleton of the thigh and lower part of the human body, and a cutout part 102 of 'U' sha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A knee orthosis body 100 having a ventilation hole 110 for ventila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incision part 102 and a vertical member 212 provided at one end part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 extension 214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12 and a horizontal member 21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12 A first support part 210 provided with a male Velcro tape 216a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a vertical member 222 provided at one end part of the first support part 210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d an extension portion 224 is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with the vertical member 222 interposed therebetween A horizontal member 22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222 while a second supporting portion 220 having a male Velcro tape 226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226 And a vertical member (312) provided at one end portion of the knee orthosis body (100) and a knee joint portion (300) provided on one end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And a horizontal member 316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12. The horizontal member 316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12, A first support portion 310 provided with a male Velcro tape 316a and a vertical member 322 provided at one end portion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31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322, And a horizontal member 32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322.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326, A lower support part 300 including a second support part 320 provided with a tape 326a and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nee orthosis main body 100 to press and support a user's lower part, A pair of right and left aluminum arms 410 and 420 provided with through holes for the pin member 450 to pass therethrough and gears around the through holes, A first plate body 430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passes on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body 430 and having a screw bar 432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in member (450) penetrates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A plurality of blades 474 are radial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40 and 440 around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440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40 and 440, And a knee joint support (470) with a knee joint (480) attached thereto, wherein the vertical member (212, 312;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connected to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and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40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losure members 222 and 322. The first closure member 522 is made of synthetic resin at one end, And a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support means (500) including a string member (520) provided with a knee angle adjusting member (524)
The first closing member 522 of the knee bending angle adjusting unit support means 500 is provided with connecting holes 212a and 212b provided at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20 of the femoral support portion 200, A protrusion 522a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protrusion 522a to the protrusion 522a,
A protrusion 524a for selectively connecting to the connection holes 312a and 322a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300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econd closing member 524, ) Is provided integrally.
KR1020160172197A 2016-12-16 2016-12-16 Knee brace KR1018152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197A KR101815274B1 (en) 2016-12-16 2016-12-16 Knee br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197A KR101815274B1 (en) 2016-12-16 2016-12-16 Knee br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274B1 true KR101815274B1 (en) 2018-01-04

Family

ID=6099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197A KR101815274B1 (en) 2016-12-16 2016-12-16 Knee br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27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576B1 (en) 2020-01-20 2020-11-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Knee supporter with variable pneumatic contact pressure
RU209291U1 (en) * 2021-02-19 2022-03-14 РЕХАРД ТЕХНОЛОДЖИС ГмбХ ORTHOSIS
KR20230041431A (en) * 2021-09-17 2023-03-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Knee extension power strengthen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5116A (en) * 2004-12-22 2008-07-17 オスール・エイチエフ Knee support device and method of attaching it
JP2008528104A (en) 2005-01-22 2008-07-31 ブレグ,インク Orthopedic orthosis frame with offset hinge
KR101522964B1 (en) * 2015-02-04 2015-05-27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Braces for relief knee osteoarthrit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5116A (en) * 2004-12-22 2008-07-17 オスール・エイチエフ Knee support device and method of attaching it
JP2008528104A (en) 2005-01-22 2008-07-31 ブレグ,インク Orthopedic orthosis frame with offset hinge
KR101522964B1 (en) * 2015-02-04 2015-05-27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Braces for relief knee osteoarthriti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576B1 (en) 2020-01-20 2020-11-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Knee supporter with variable pneumatic contact pressure
RU209291U1 (en) * 2021-02-19 2022-03-14 РЕХАРД ТЕХНОЛОДЖИС ГмбХ ORTHOSIS
KR20230041431A (en) * 2021-09-17 2023-03-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Knee extension power strengthening device
KR102611623B1 (en) * 2021-09-17 2023-12-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Knee extension power strengthe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5773A (en) Training assist brace
US6752774B2 (en) Tension assisted ankle joint and orthotic limb braces incorporating same
US8308671B2 (en) Knee orthosis
US7608051B1 (en) Osteoarthritis knee orthosis
US8945035B2 (en) Knee brace with improved gait swing assist
KR101626907B1 (en) The mechanism of the knee joint to assist
US10765548B2 (en) Knee joint orthosis
US20090292229A1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
US11819436B2 (en) Unloading knee brace apparatus with conforming and distracting hinge
EP2612624A1 (en) Functional knee brace fo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support
US20130144197A1 (en) Orthopedic device for dynamically treating osteoarthritis
US9265646B2 (en) Orthotic device for treating knee flexion contracture
KR101815274B1 (en) Knee brace
US20140005584A1 (en) Knee brace with expansible pressure components
CA3000778C (en) Customizable knee brace intended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US20070016122A1 (en) Orthopedic foot splint with an optional posterior strut and cuff
JP2023548643A (en) Unloading joint orthosis device
Murphy et al. Lower limb orthoses
US11730656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ower limb contractures
KR101882877B1 (en) Assistance apparatus for walk
TWI706800B (en) Knee fixation device
US20040167451A1 (en) Ambulatory hip fixation-traction splint frame
US20210137765A1 (en) Passive-dynamic correction device for hallux valgus and associated deformities
KR20220154916A (en) A joint brace for preventing patellar dislocation and rehabilitative training
CN117064608A (en) Foot exoskele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