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363B1 - Solid phase electrolyte for secondary cell - Google Patents

Solid phase electrolyte for secondary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363B1
KR101813363B1 KR1020160019961A KR20160019961A KR101813363B1 KR 101813363 B1 KR101813363 B1 KR 101813363B1 KR 1020160019961 A KR1020160019961 A KR 1020160019961A KR 20160019961 A KR20160019961 A KR 20160019961A KR 101813363 B1 KR101813363 B1 KR 10181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secondary battery
thiol group
electrolyte
crosslink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8061A (en
Inventor
이종찬
심지민
김희중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363B1/en
Publication of KR2017009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Abstract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이 제공된다. 상기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과 상기 싸이올기와 결합하는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액체상 전해질에 비해 누액, 휘발, 폭발 등의 위험이 적어 안정성이 높다. 또, 상기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우수한 이온 전도도 등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고,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re is provided an electrolyte for a solid secondary battery. The solid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polymer matrix formed by a reaction between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nd a crosslinking agent binding to the thiol group.
Since the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in a solid state does not use an organic solvent, the liquid electrolyte has less risk of leakage, volatilization, explosion, and the like, thereby providing high stability. In addition, the solid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can have excellent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excellent ion conductivity and can be produced by a simple process.

Description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SOLID PHASE ELECTROLYTE FOR SECONDARY CELL}SOLID PHASE ELECTROLYTE FOR SECONDARY CELL [0002]

본 발명은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e for a solid secondary battery.

이차전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외부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방전되었을 때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 내부에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대표적인 이차전지로는 리튬이온전지가 있다. 상기 리튬이온전지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에너지 저장 밀도가 높아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secondary battery can convert the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o supply power to the external circuit, or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the external energy can be supplied and the electrical energy can be converted into chemical energy to store the electricity. A typical secondary battery is a lithium ion battery. The lithium ion battery has excellent portability and high energy storage density and is used in electronic devices. In particular, it is widely used in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s, and camcorders.

리튬이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의 3가지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리튬이온전지 전해질은 카보네이트계 유기 용매에 리튬염이 용해되어,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전도될 수 있다. 그러나 전해질에 포함된 유기 용매는 외부 충격이나 온도 상승에 의하여 누액, 휘발, 폭발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액체 전해질에 의한 사고가 보도되고 있다.The lithium ion battery may be formed of three elements, that is, an anode, a cathode, and an electrolyte. Conventional lithium ion battery electrolytes can dissolve lithium salts in a carbonate-based organic solvent, and lithium ions can be conduct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However, the organic solvent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can cause leakage, volatilization, explosion, etc. due to external impact or temperature rise. Accidents caused by such organic liquid electrolytes have been repor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기 용매가 필요 없는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은 안정성은 높으나, 액체 전해질에 비해 낮은 이온 전도도를 갖기 때문에, 상용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고체상을 유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갖는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이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지면 대체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므로, 높은 이온 전도도와 더불어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고체상 고분자 전해질의 개발이 필요하다.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lid polymer electrolyte which does not require an organic solvent. The solid polymer electrolyte has high stability, but has low ionic conductivity as compared with the liquid electrolyte,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the polymer electrolyt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olid polymer electrolyte having a high ion conductivity while maintaining a solid phase and ensuring stability. In addition, if the solid polymer electrolyte has a high ion conductivity,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lid polymer electrolyte which can be produced by a simple process with high ion conductivit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정성이 높은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lyte for a solid secondary battery having high stability.

본 발명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lyte for a solid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과 상기 싸이올기와 결합하는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한다.The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matrix formed by a reaction between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nd a crosslinking agent binding to the thiol group.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실록산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lymer matrix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siloxane and derivatives thereof.

상기 제1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화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first compound may be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 to (3).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1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1

[화학식 2](2)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2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2

[화학식 3](3)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3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m 및 n은 각각 1 내지 50의 정수)(In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3, m and n are each an integer of 1 to 50)

상기 가교제는 테르펜계 화합물일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 terpene compound.

상기 가교제는 리모넨 및 게라니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limonene and geraniol.

상기 가교제는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가질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have at least two double bonds.

상기 싸이올기는 제1 싸이올기와 제2 싸이올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제1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전도성을 갖고 상기 제2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한 제2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thiol group comprises a first thiol group and a second thiol group, the cross-linking agent reacts with and binds to the first thiol group, and the polymer matrix has a conductivity and is reacted with the second thiol group to bond to the second compound . ≪ / RTI >

상기 제2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compound may have the following formula (4).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4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n은 1 내지 150의 정수)(Wherein n is an integer of 1 to 150)

상기 제2 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페닐렌, 폴리페닐렌 비닐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compoun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polyaniline, polyacetylene, polyethylene,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phenylene, polyphenylene vinylene, polyphenylene sulfide, polypyrrole, polythiophene, .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액체상 전해질에 비해 누액, 휘발, 폭발 등의 위험이 적어 안정성이 높다. 또, 상기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우수한 이온 전도도 등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고,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Since the electrolyte for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n organic solvent, there is less risk of leakage, volatilization, explosion, etc., compared with the liquid electrolyte. In addition, the solid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can have excellent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excellent ion conductivity and can be produced by a simple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분자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1H NMR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29Si NMR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의 1H NMR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들과 그 비교예의 IR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들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코인 셀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코인 셀 어셈블리의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1 shows a method for producing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a molecular weight of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1 H NMR graph of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29 Si NMR graph of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method for producing a second compound having condu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1 H NMR graph of a second compound having condu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IR graph of an electrolyte for a solid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arative example thereof.
9 is a graph showing ionic conductivities of electrolytes for a solid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coin cell assembly including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hows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result of a coin cell assembly including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element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or the relative sizes between the elements, may be exaggerated somewhat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somewhat modified by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lik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specifically stat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ome modifications.

< 이차전지용 전해질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싸이올(Thiol)기를 갖는 제1 화합물과 상기 싸이올기와 결합하는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기존의 액체 전해질에 비해 누액, 휘발, 폭발 등의 위험이 적어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에 비해 관리가 용이하며, 변성될 가능성이 낮을 수 있다.The electrolyte for a solid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lymer matrix formed by a reaction between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nd a crosslinking agent binding to the thiol group. The solid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has less risk of leakage, volatilization, explosion, and the like, compared to conventional liquid electrolytes, and thus can have stability. In addition, the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in the solid state is easier to manage than a liquid electrolyte, and may be less likely to be denatured.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가지형 폴리실록산(Branched Polysiloxane)일 수 있다. 상기 가지형 폴리실록산은 상기 폴리실록산 보다 큰 자유 부피를 가질 수 있다. The polymer matrix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siloxane and derivatives thereof. The polymer matrix may be a branched polysiloxane. The branched polysiloxane may have a larger free volume than the polysiloxane.

상기 싸이올기를 갖는 상기 제1 화합물은 이중 결합을 갖는 다양한 화합물과 싸이올-엔 클릭 반응(Thiol-ene click reaction)을 할 수 있다. 상기 싸이올-엔 클릭 반응은 낮은 에너지로도 가교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싸이올-엔 클릭 반응은 자외선을 통해 가교 반응이 진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광으로도 가교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The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may undergo a thiol-ene reaction with various compounds having a double bond. The thiol-enclination reaction can proceed with a crosslinking reaction even at a low energy. Therefore, the cyan-click reaction can proceed not only through ultraviolet light but also under natural light.

상기 제1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화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first compound may be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 to (3).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5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5

[화학식 2](2)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6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6

[화학식 3](3)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7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7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m 및 n은 각각 1 내지 50의 정수)(In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3, m and n are each an integer of 1 to 50)

상기 제1 화합물은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이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져, 리튬 이온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compound may have a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first compound has a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can smoothly transfer lithium ions.

상기 가교제는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테르펜(Terpene)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테르펜은 아이소프렌(Isoprene)을 기본 단위로 가질 수 있다. 상기 테르펜은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이중결합을 통해 가교 반응을 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리모넨(Limonene) 및 게라니올(Geraniol)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넨과 상기 게라니올은 같은 탄소 수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리모넨의 구조식은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게라니올의 구조식은 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have at least two double bonds.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 terpene compound. The terpene may have isoprene as a basic unit. The terpene may have at least two double bonds, and a crosslinking rea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ouble bonds. The crosslinking ag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Limonene and Geraniol. The limonene and the geraniol may be compounds having the same carbon number.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limonene may have a ring shape, and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geraniol may have a linear shape.

상기 싸이올기는 제1 싸이올기와 제2 싸이올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제1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전도성을 갖고 상기 제2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한 제2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은 리튬 이온 전도성을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Wherein the thiol group comprises a first thiol group and a second thiol group, the cross-linking agent reacts with and binds to the first thiol group, and the polymer matrix has a conductivity and is reacted with the second thiol group to bond to the second compound . &Lt; / RTI &gt; The second compound may be a compound having lithium ion conductivity.

상기 제2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compound may have the following formula (4).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8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8

(상기 화학식 4에서, n은 1 내지 150의 정수)(Wherein n is an integer of 1 to 150)

상기 제2 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T),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P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PPE), 폴리페닐렌 비닐렌(polyphenylene vinylene, PPV),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피롤(polypyrrole, PPy), 폴리티오펜(polythiophen, PT),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PET), polyaniline (PANI), polyacetylene (PA), polyethylene (PE),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polyphenylene (PPE), polyphenylene vinylene (PPV),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pyrrole (PPy), polythiophen (PT) , And derivatives thereof.

제1 화합물 제조 예Production Example of First Compou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1 shows a method for producing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1구 100mL 플라스크에 염산(0.052mol, 5.2g)을 증류수 2.2g 및 에탄올 9.2g에 녹인 후 교반했다. 교반 후, 0.01mol 메르캅토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3-Mercaptopropyl)methyldimethoxysilane) 1.8g과 0.01mol 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2.0g을 넣고, 50℃ 질소 분위기 하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80℃ 진공 상태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증류수에 떨어뜨려, 최종적으로 제1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 제1 화합물은 점도를 갖는 액체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can be prepared by the following procedure. Hydrochloric acid (0.052 mol, 5.2 g)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2.2 g) and ethanol (9.2 g),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fter stirring, 1.8 g of 0.01 mol of mercaptopropylmethyldimethoxysilane and 2.0 g of 0.01 mol of 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 were place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50 占 폚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in a nitrogen atmosphere for 3 hours. After the reaction,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a vacuum of 80 캜 and dropped into distilled water to finally obtain the first compound. The first compound may be in liquid form having a viscosit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분자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2 is a graph showing a molecular weight of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분자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의 수평균분자량은 1892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2175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1.1496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can be confirmed. The first compound ha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892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175. As a result, the polydispersity index (PDI) is 1.1496. The molecular weight can b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1H NMR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의 29Si NMR 그래프이다.FIG. 3 is a 1 H NMR graph of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29 Si NMR graph of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메르캅토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과 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이 결합하여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의 1H NMR 그래프와 29Si NMR 그래프를 를 통해 그 구조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nd FIG. 4,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wa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mercaptopropylmethyl dimethoxysilane and 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mpound can also be determined by a 1 H NMR graph and a 29 Si NMR graph.

제2 화합물 제조 예Second compound preparation examp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5 shows a method for producing a second compound having condu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은 윌리엄슨의 에테르합성법(Williamson ether synthesis)으로 합성될 수 있다. 1구 250mL 플라스크에 하기 화학식 5를 갖는 화합물(0.1mol, 35g)을 넣고, 증류한 톨루엔(Toluene) 40mL에 교반하여 녹였다. 교반하여 녹인 후, 0.11mol 브롬화알릴(Allyl bromide) 13g과 0.11mol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4.4g을 넣고 45℃에서 16시간 교반했다. 교반 후 진공 감압하에서 톨루엔을 제거하고, 염화메틸렌(Methyl chloride)에 녹인 후, 증류수로 3회 추출하고 정제하여 최종적으로 제2 화합물을 얻었다.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compound having conductivity can be prepared by the following process. The second compound may be synthesized by Williamson ether synthesis. The compound (0.1 mol, 35 g) having the following formula (5) was placed in a 250 mL flask and dissolved in 40 mL of distilled toluene (Toluene) by stirring. After dissolving with stirring, 0.11 mol of Allyl bromide (13 g) and 0.11 mol of sodium hydroxide (4.4 g) were adde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45 ° C for 16 hours. After stirring, the toluene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dissolved in methyl chloride, extracted three times with distilled water and purified to finally obtain the second compound.

[화학식 5][Chemical Formula 5]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9
Figure 112016016877314-pat00009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은 약 500 정도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The compound of formula (5) may have a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의 1H NMR 그래프이다.6 is a 1 H NMR graph of a second compound having condu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전도성을 갖는 제2 화합물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1H NMR 그래프를 통해 그 구조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confirmed that a second compound having conductivity is produced. The structure of the conductive polymer can also be determined by a 1 H NMR graph of the conductive polymer.

이차전지용 전해질 제조 예Examples of electrolytes for secondary batterie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7 illustrat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해질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 0.1g, 상기 제2 화합물 0.0824g, 가교제(리모넨(Limonene) 또는 게라니올(Geraniol)) 0.0432g, 광개시제(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DMPA) 0.00824g, 및 리튬염(Bis(trifluoromethane)sulfonimide lithium, LiTFSI) 0.018497g을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0.5mL에 넣어 용해시켰다. 용해시킨 후, 2.5×2.5cm2 크기의 유리판에 캐스팅했다. 여분의 테트라히드로퓨란을 상압·상온(1atm, 25℃)에서 자연 건조시킨 후, 캐스팅한 상기 유리판을 자연광에 30분 노출시켜, 필름을 얻었다. 상기 필름을 상기 유리판에서 떼어낸 후, 60℃ 진공 조건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얻었다.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에서 상기 제2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가교제의 총합에 대하여 25mol%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가교제의 함량을 변화시켜 상기 제2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가교제의 총합에 대하여 각각 0mol%, 50mol%, 및 75mol%인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얻었다.Referring to FIG. 7, the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may be manufactured by the following process. 0.18 g of the first compound, 0.0824 g of the second compound, 0.0432 g of a crosslinking agent (Limonene or Geraniol), 0.00824 g of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DMPA) 0.018497 g of bis (trifluoromethane) sulfonimide lithium (LiTFSI) was dissolved in 0.5 mL of tetrahydrofuran (THF). After dissolving, it was cast on a 2.5 x 2.5 cm 2 glass plate. The excess tetrahydrofuran was naturally dried at normal pressure and room temperature (1 atm, 25 ° C), and the cast glass plate was exposed to natural light for 30 minutes to obtain a film. The film was removed from the glass plate and dried at 60 캜 under a vacuum condition for 24 hours or more to obtain an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The content of the second compound in the electrolyte for the secondary battery is 25 mol%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second compound and the crosslinking agent. The content of the second compound and the crosslinking agent was vari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o obtain an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content of the second compound was 0 mol%, 50 mol%, and 75 mol%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second compound and the crosslinking agent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들과 그 비교예의 IR 그래프이다.FIG. 8 is an IR graph of an electrolyte for a solid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arative example thereof.

도 8을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해질들과 그 비교예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a)는 제1 화합물을 나타내며, 2565cm-1 부근에 존재하는 IR 피크는 상기 (a)의 싸이올(Thiol)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에 포함되는 제2 화합물의 함량에 따라 (b) 내지 (e)로 표현하였다. 상기 (b) 내지 (e)의 상기 제2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가교제의 총합에 대하여 각각 0mol%, 25mol%, 50mol%, 및 75mol%일 수 있다. 상기 (b) 내지 (e)는 상기 제1 화합물과 상기 제2 화합물 및/또는 상기 가교제가 결합하여 제조된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화합물과 상기 제2 화합물 및/또는 가교제가 결합하여,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이 제조된 후에는 2565cm-1 부근에 존재하는 IR 피크가 감소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structures of the electrolytes for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comparative example can be confirmed. (a) represents the first compound, and the IR peak existing at about 2565 cm -1 can represent the thiol group of (a). (B) to (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second compound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for the secondary battery. The content of the second compound of (b) to (e) may be 0 mol%, 25 mol%, 50 mol%, and 75 mol%, respectively, relative to the total amount of the second compound and the crosslinking agent. (B) to (e) may be an electrolyte for the secondary battery produced by combining the first compound with the second compound and / or the crosslinking agent. The first compound and the second compound and / or the crosslinking agent bind to each other, and after the electrolyte for the secondary battery is produced, the IR peak at about 2565 cm -1 can be reduc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들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ionic conductivities of electrolytes for a solid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해질들의 이온 전도도를 확인할 수 있다. (a) 내지 (c)는 리모넨(Limonene)을 가교제로 사용한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나타낸다. 또, 상기 (a) 내지 (c)의 제2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리모넨의 총합에 대하여 각각 25mol%, 50mol%, 및 75mol%일 수 있다. (d) 내지 (f)는 게라니올(Geraniol)을 가교제로 사용한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나타낸다. 또, 상기 (d) 내지 (f)는 제2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제2 화합물과 상기 게라니올의 총합에 대하여 각각 25mol%, 50mol%, 및 75mol%일 수 있다. 상기 제2 화합물의 함량이 25mol%에서 75mol%로 증가할수록, 이온전도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고리 형상을 갖는 상기 리모넨은 고리 저항(Ring strain)이 작용하여 선 형상을 갖는 상기 게라니올에 비해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자유 회전(Free rotation)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자유 회전이 저하되어, 상기 이온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에서 상기 (f)의 이온전도도 값은 1.0×10-4S/cm이고, 30℃에서 상기 (c)의 이온전도도 값은 2.9×10-5S/cm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onic conductivities of electrolytes for a secondary battery can be confirmed. (a) to (c) show an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using limonene as a crosslinking agent. The content of the second compound (a) to (c) may be 25 mol%, 50 mol%, and 75 mol%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second compound and the limonene, respectively. (d) to (f) show the electrolyte for the secondary battery using Geraniol as a crosslinking agent. In the above (d) to (f), the content of the second compound may be 25 mol%, 50 mol%, and 75 mol%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second compound and the geraniol, respectively. As the content of the second compound increases from 25 mol% to 75 mol%, the ion conductivity increases. Also, the free rotation of the electrolyte for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geraniol having a linear shape due to the ring strain acting on the limonene having a ring shape. Free rotation of the electrolyte for the secondary battery is lowered and the ion conductivity can be reduced. For example, the ion conductivity value of (f) may be 1.0 × 10 -4 S / cm at 30 ° C. and the ion conductivity value of (c) may be 2.9 × 10 -5 S / cm at 30 ° C.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예Manufacturing Example of Secondary Battery Electrod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코인 셀 어셈블리를 나타낸다.FIG. 10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llustrates a coin cell assembly including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극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리튬-바나듐 산화물(LiV3O8) 0.6g, Super P 0.2g, 및 폴리비닐이딘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0.2g을 NMP(N-methyl 2-pyrrolidone) 3mL에 넣어 용액을 제조했다. 상기 용액을 알루미늄 집전체 위에 닥터 블레이드 방식으로 층을 형성한 후, 120℃ 진공 조건에서 NMP를 제거하여, 이차전지용 캐소드 전극을 형성했다. 상기 이차전지용 캐소드 전극을 원형으로 펀칭하고, 이를 애노드 전극(Lithium metal anode) 및 상기 이차전지용 전해질과 함께 집적하여 코인셀을 형성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can be manufactured by the following process. A solution was prepared by adding 0.6 g of lithium-vanadium oxide (LiV 3 O 8 ), 0.2 g of Super P and 0.2 g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to 3 mL of NMP (N-methyl 2-pyrrolidone) . A layer of the solution was formed on the aluminum current collector by a doctor blade method, and NMP was removed under a vacuum condition of 120 캜 to form a cathod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The cathode electrode for the secondary battery was circularly punched and integrated with the anode electrode (lithium metal anode) and the electrolyte for the secondary battery to form a coin cell.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코인 셀 어셈블리의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FIG. 12 shows a charge-discharge cycle test result of a coin cell assembly including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코인 셀 어셈블리의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는 0.1C, 60℃ 구동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상기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결과, 상기 코인 셀 어셈블리는 20사이클 동안 전지를 구동하였을 때 용량 유지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ferring to FIG. 12, the result of the charge / discharge cycle test of the coin cell assembly including the electrode for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confirmed. The above charge / discharge cycle test was conducted under the driving conditions of 0.1 C and 60 캜. As a result of the charge / discharge cycle test, the coin cell assembly showed excellent capacity retention when the battery was driven for 20 cycle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싸이올기를 갖는 제1 화합물과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상기 싸이올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A polymer matrix formed by the reaction of a first compound having a thiol group with a crosslinking agent,
Wherein the crosslinking agent binds to the thiol grou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실록산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mer matrix may comprise,
A polysiloxane, and a derivative thereof. The electrolyte for a solid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화학식 1]
Figure 112017075870582-pat00010

[화학식 2]
Figure 112017075870582-pat00011

[화학식 3]
Figure 112017075870582-pat00012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m 및 n은 각각 1 내지 50의 정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mpound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lt; EMI ID = 6.1 &gt;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7075870582-pat00010

(2)
Figure 112017075870582-pat00011

(3)
Figure 112017075870582-pat00012

(In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3, m and n are each an integer of 1 to 5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테르펜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linking agent is a terpene-based compoun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리모넨 및 게라니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ross-linking agen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limonene and gerani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2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linking agent has at least two double bon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올기는 제1 싸이올기와 제2 싸이올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제1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전도성을 갖고, 상기 제2 싸이올기와 반응하여 결합한 제2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ol group comprises a first thiol group and a second thiol group,
The crosslinking agent reacts with and binds to the first thiol group,
The polymer matrix may comprise,
And a second compound having conductivity and reacting with and bonding to the second thiol group.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화학식 4]
Figure 112016016877314-pat00013

(상기 화학식 4에서, n은 1 내지 150의 정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compound has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4).
[Chemical Formula 4]
Figure 112016016877314-pat00013

(Wherein n is an integer of 1 to 15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합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페닐렌, 폴리페닐렌 비닐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compound may be,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polyaniline, polyacetylene, polyethylene,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phenylene, polyphenylene vinylene, polyphenylene sulfide, polypyrrole, polythiophene and derivatives thereof A solid electrolyte for a secondary battery.
KR1020160019961A 2016-02-19 2016-02-19 Solid phase electrolyte for secondary cell KR101813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61A KR101813363B1 (en) 2016-02-19 2016-02-19 Solid phase electrolyte for secondary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61A KR101813363B1 (en) 2016-02-19 2016-02-19 Solid phase electrolyte for secondary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061A KR20170098061A (en) 2017-08-29
KR101813363B1 true KR101813363B1 (en) 2017-12-28

Family

ID=5975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961A KR101813363B1 (en) 2016-02-19 2016-02-19 Solid phase electrolyte for secondary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3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769A1 (en)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Solid electroly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461B1 (en) 2018-05-14 2021-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WO2019221456A1 (en) * 2018-05-14 2019-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372A (en) * 2002-09-23 2004-04-15 Samsung Sdi Co Ltd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372A (en) * 2002-09-23 2004-04-15 Samsung Sdi Co Ltd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769A1 (en)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Solid electroly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901507B2 (en) 2018-09-28 2024-02-13 Lg Energy Solution, Ltd. Solid electroly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061A (en)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o et al. Healable, highly conductive, flexible, and nonflammable supramolecular ionogel electrolytes for lithium-ion batteries
Wang et al. Thiol‐branched solid polymer electrolyte featuring high strength, toughness, and lithium ionic conductivity for lithium‐metal batteries
Mai et al. Self‐healing materials for energy‐storage devices
Wang et al. Siloxane-based polymer electrolytes for solid-state lithium batteries
Yang et al. Safety-enhanced polymer electrolytes for sodium batteries: recent progress and perspectives
Chai et al. In situ generation of poly (vinylene carbonate) based solid electrolyte with interfacial stability for LiCoO2 lithium batteries
Ngai et al. A review of polymer electrolytes: fundamental, approaches and applications
Rolland et al. Single-ion diblock copolymers for solid-state polymer electrolytes
KR20160079574A (en) Polymer, electrolyte comprising the polym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electrolyte
KR101718444B1 (en) Electrolyte membrane made of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polymer formed by branching of block copolymer comprising poly(propylene oxide) block and poly(ethylene oxide) block, and ionic electrolyte
JP5827404B2 (en) Electrode protective film forming agent
KR101813363B1 (en) Solid phase electrolyte for secondary cell
US10020118B2 (en) Self-rechargeable hybrid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Rong et al. UV-cured 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of solid electrolytes for rechargeable lithium metal batteries
Zuo et al. Enhanced performance of a novel gel polymer electrolyte by dual plasticizers
Hu et al. Recent progress of polymer electrolytes for solid-state lithium batteries
He et al. High conductivity, lithium ion conducting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hydrocarbon backbone with pendent carbonate
Mong Anh et al. Solid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from poly (arylene ether sulfone)-g-poly (ethylene glyco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Wang et al. Boronic ester transesterification accelerates ion conduction for comb-like solid polymer electrolytes
Wang et al. High-rate solid polymer electrolyte based flexible all-solid-state lithium metal batteries
He et al. Difunctional block copolymer with ion solvating and crosslinking sites as solid polymer electrolyte for lithium batteries
JP2009245903A (en) Composite electrode
JP5915826B2 (en) Conductive polymer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P2002100404A (en) Resin composition for gel high 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for the gel high polymer solid electrolyte, the gel high polymer solid electrolyte using them, composite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device
JP2002025335A (en) Polymeric compound and use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