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264B1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264B1
KR101813264B1 KR1020110078103A KR20110078103A KR101813264B1 KR 101813264 B1 KR101813264 B1 KR 101813264B1 KR 1020110078103 A KR1020110078103 A KR 1020110078103A KR 20110078103 A KR20110078103 A KR 20110078103A KR 101813264 B1 KR101813264 B1 KR 10181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target device
power transmiss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836A (ko
Inventor
김남윤
권상욱
박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264B1/ko
Priority to US13/567,237 priority patent/US9608452B2/en
Publication of KR20130015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07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07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s
    • H03H3/007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of micro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s by tuning of resonance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
    • H03H2003/0414Resonance frequ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 전송 효율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dissipation power)을 고려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전력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POWER TRANSMISSION SYSTEM}
기술 분야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은,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은,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타겟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때, 소스 디바이스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라 칭할 수 있다. 또한, 타겟 디바이스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라 칭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공진기(source resonator)를 구비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공진기(target resonator)를 구비한다.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사이에 마그네틱 커플링 또는 공진 커플링이 형성될 수 있다.
무선 환경의 특성 상,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변하거나,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의 매칭 조건이 변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변하거나,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의 매칭 조건이 변하면, 전력 전송 효율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전송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전력 전송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진 주파수를 정확하게 트래킹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은,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전송 효율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dissipation power)을 고려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전력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은,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전력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은,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을 위한 트래킹 전력(tracking power)을 수신하는 단계;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트래킹 전력의 전력량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이 수행된 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동작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알려 주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소스 디바이스는, 공급 받는 전압 및 기준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을 위한 트래킹 전력(tracking power) 또는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부;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상기 트래킹 전력 또는 상기 동작 전력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소스 공진기; 및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dissipation power)을 고려하여, 상기 동작 전력을 생성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소스 공진기와 마그네틱 커플링을 형성하고, 상기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트래킹 전력 또는 동작 전력을 수신하는 타겟 공진기; 상기 타겟 공진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조정하고, 레벨이 조정된 DC 전압을 디바이스 로드(device load)로 제공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수신된 트래킹 전력의 전력량, 상기 디바이스 로드의 소비 전력량 및 상기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은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된다.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에서, 전력 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공진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에서, 전력 전송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력 전송 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 전력변환부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트래킹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래킹 모드의 일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b는 파워 트래킹 모드에서 전력 제어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주파수 트래킹 모드 및 파워 트래킹 모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부의 피딩에 따른 공진기의 내부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은 소스 디바이스(110) 및 타겟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110)는 AC/DC 컨버터(111), Power Detector(113), 전력변환부(114), 제어 및 통신부(115) 및 소스 공진기(116)을 포함한다.
타겟 디바이스(120)는 타겟 공진기(121), 정류부(122), DC/DC 컨버터(123), 스위치부(124), 디바이스 로드(Device load)(125) 및 제어 및 통신부(126)를 포함한다.
AC/DC 컨버터(111)는 Power Supply(112)로부터 출력되는 수십 Hz 대역의 AC 전압을 정류하여 DC 전압을 생성한다. AC/DC 컨버터(111)는 일정한 레벨의 DC 전압을 출력하거나, 제어 및 통신부(115)의 제어에 따라 DC 전압의 출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Power Detector(113)는 AC/DC 컨버터(111)의 출력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 및 전압에 대한 정보를 제어 및 통신부(115)로 전달한다. 또한, Power Detector(113)는 전력변환부(114)의 입력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할 수 도 있다.
전력변환부(114)는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트래킹 전력 또는 동작 전력을 생성한다. 즉, 전력변환부(114)는 공급 받는 전압 및 기준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을 위한 트래킹 전력(tracking power) 또는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생성한다. 또한, 전력변환부(114)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120)의 소비 전력량(dissipation power)을 고려하여, 상기 동작 전력을 생성한다.
전력변환부(114)는 수십 KHz ~ 수십 MHz 대역의 스위칭 펄스 신호에 의하여 일정한 레벨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전력변환부(114)는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타겟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트래킹 전력" 또는 "충전 전력 또는 동작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래킹 전력은 0.1~1mWatt의 작은 전력을 의미하고, 충전 전력 또는 동작 전력은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1mWatt~200Watt의 큰 전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충전"이라는 용어는 전력을 충전하는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에 전력을 공급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전"이라는 용어는 전력을 소비하는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에 전력을 공급하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전력"은 타겟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전력 또는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에 소비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여기서,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는 예를 들어 배터리, 디스플레이, 음성 출력 회로, 메인 프로세서, 각종 센서들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준 공진 주파수"는 소스 디바이스(110)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공진 주파수의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트래킹 주파수"는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조정된 공진 주파수의 의미로 사용된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트래킹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에 대한 반사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파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공진기(121)와 상기 소스 공진기(116) 사이의 미스매칭(mismatching)을 검출한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반사파의 엔벨롭(envelop)을 검출함으로써, 미스 매칭을 검출하거나 반사파의 전력량을 검출함으로써 미스 매칭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소스 공진기(116) 또는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압의 레벨 및 상기 반사파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전압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계산하고, 상기 전압정재파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미스매칭이 검출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및 통신부(115)는 상기 전압정재파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기 설정된 N개의 트래킹 주파수 각각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을 계산하고, 상기 N개의 트래킹주파수 중 전력 전송 효율이 가장 좋은 트래킹 주파수 FBest를 결정하고, 상기 FRef를 상기 FBest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및 통신부(115)는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의 제어에 의하여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전력변환부(114)를 제어함으로써, 타겟 디바이스(120)에 전송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 및 통신부(115)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다양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및 통신부(115)는 반사파를 검출하고, 반사파의 포락선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밴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스위칭 펄스 신호를 온/오프 함으로써,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및 통신부(115)는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일정한 포락선을 가지는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및 통신부(115)는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Zigbee, Bluetooth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아웃-밴드 통신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12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01
)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02
)이 하기 조건 1을 만족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조건 1]
Figure 112011060632889-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11060632889-pat00004
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을 나타낸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을 검출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으면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재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으면 기 설정된 윈도우 사이즈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으면, 상기 소비 전력량의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소비 전력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16)는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타겟 공진기(121)로 전달(transferring)한다. 즉, 소스 공진기(116)는 타겟 공진기(121)와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트래킹 전력" 또는 "동작 전력"을 타겟 디바이스(120)로 전달한다.
타겟 공진기(121)는 소스 공진기(116)로부터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수신한다. 즉, 타겟 공진기(121)는 소스 공진기(116)와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110)로부터 "트래킹 전력" 또는 "동작 전력"을 수신한다. 또한, 타겟 공진기(121)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다양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정류부(122)는 교류 전압을 정류함으로써, DC 전압을 생성한다. 즉, 정류부(122)는 타겟 공진기(121)에 수신된 교류 전압을 정류한다.
DC/DC 컨버터(123)는 정류부(122)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디바이스 로드(Device load)(125)의 용량에 맞게 조정한다. 즉, DC/DC 컨버터(123)는 정류부(122)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조정하고, 레벨이 조정된 DC 전압을 디바이스 로드(device load)(125)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123)는 정류부(122)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3~10Volt로 조정할 수 있다.
스위치부(124)는 제어 및 통신부(126)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된다. 스위치부(124)가 오프되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110)의 제어 및 통신부(115)는 반사파를 검출하게 된다. 즉, 스위치부(124)가 오프되는 경우, 소스 공진기(116)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마그네틱 커플링이 제거 될 수 있다.
디바이스 로드(Device load)(125)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로드(Device load)(125)는 DC/DC 컨버터(123)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26)는 수신된 트래킹 전력의 전력량, 상기 디바이스 로드의 소비 전력량 및 상기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은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된다. 제어 및 통신부(126)는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는 배터리로 흐르는 전류량 및 배터리에 걸리는 전압일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26)는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및 통신부(126)는 타겟 공진기(121)과 정류부(122) 사이의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거나, 정류부(122)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즉, 제어 및 통신부(126)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복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및 통신부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를 조정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110)에 전송하는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및 통신부는 스위치부(124)의 온/오프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10)에 전송하는 신호를 변조할 수 도 있다. 간단한 예로, 제어 및 통신부(126)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를 증가 시킴으로써, 소스 디바이스(110)의 제어 및 통신부(115)에서 반사파가 검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사파의 발생 여부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110)의 제어 및 통신부(115)는 이진수 "0" 또는 "1"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26)는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제품의 종류",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제조사 정보",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모델명",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Battery type",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충전 방식",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Load의 임피던스 값",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Target 공진기의 특성에 대한 정보",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소요되는 전력량",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고유의 식별자", 또는 "해당 타겟 디바이스의 제품의 버전 또는 규격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및 통신부(126)는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제어 및 통신부(126)는 Zigbee, Bluetooth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26)는 아웃-밴드 통신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11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부(126)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웨이크-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을 검출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를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타겟 공진기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정류부(122)의 입력 전압 값 및 전류 값", "상기 정류부(122)의 출력 전압 값 및 전류 값" 또는 "DC/DC(123) 출력 전압 값 및 전류 값"이다.
도 1에서, 제어 및 통신부(115)는 소스 공진기(116)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16)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의 설정에 따라서, 소스 공진기(116)의 Q-factor(QS)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및 통신부(126)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할 수 있다.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의 설정에 따라서, 타겟 공진기(121)의 Q-factor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소스 공진기(116)의 공진 대역폭은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 보다 넓거나 좁게 설정될 수 있다. 통신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110)와 타겟 디바이스(120)는 소스 공진기(116) 및 타겟 공진기(121) 각각의 공진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20)로부터 기준값 보다 높은 전력(High Power)이 요구되는 경우, 소스 공진기(116)의 큐-펙터 QS는 100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타겟 장치(120)로부터 기준 값 보다 낮은 전력(Low Power)이 요구되는 경우, 소스 공진기(116)의 큐-펙터 QS는 100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에서, 공진 대역폭은 중요한 factor이다. 소스 공진기(116)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거리 변화, 공진 임피던스의 변화, 임피던스 미스 매칭, 반사 신호 등을 모두 고려한 Q-factor를 Qt라 할 때, Qt는 수학식 1과 같이 공진 대역폭과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60632889-pat00005
수학식 1에서, f0는 중심주파수,
Figure 112011060632889-pat00006
는 대역폭,
Figure 112011060632889-pat00007
는 공진기 사이의 반사 손실, BWS는 소스 공진기(116)의 공진 대역폭, BWD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을 나타낸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 U는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1060632889-pat00008
여기서, K는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에너지 커플링에 대한 결합 계수,
Figure 112011060632889-pat00009
는 소스 공진기(115)에서의 반사계수,
Figure 112011060632889-pat00010
는 타겟 공진기(121)에서의 반사계수,
Figure 112011060632889-pat00011
는 공진 주파수, M은 소스 공진기(116)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 RS는 소스 공진기(116)의 임피던스, RD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QS는 소스 공진기(116)의 Q-factor, QD는 타겟 공진기(121)의 Q-factor, QK는 소스 공진기(116)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에너지 커플링에 대한 Q-factor이다.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Q-factor는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과 관련이 높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Q-factor는 높은 값으로 설정된다. 이때, QS 와 QD가 각각 지나치게 높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 에너지 커플링에 대한 결합 계수 K의 변화, 소스 공진기(116)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거리 변화, 공진 임피던스의 변화, 임피던스 미스 매칭 등에 의하여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스 공진기(116)와 타겟 공진기(121) 각각의 공진 대역폭을 지나치게 좁게(narrow) 설정하면, 외부의 작은 영향에도 임피던스 미스매칭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임피던스 미스 매칭을 고려하면, 수학식 1은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1060632889-pat00012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간의 공진 대역폭 또는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의 대역폭을 불평형(unbalance) 관계로 유지하는 경우, 결합 계수 K의 변화, 소스 공진기(116)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거리 변화, 공진 임피던스의 변화, 임피던스 미스 매칭 등에 의하여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감소할 수 있다. 수학식 1 및 수학식 3에 따르면, 소스 공진기(116)와 타겟 공진기(121) 간의 공진 대역폭 또는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의 대역폭을 불평형(unbalance) 관계로 유지하면, 소스 공진기(116)의 큐-펙터와 타겟 공진기(121)의 큐-펙터는 서로 불평형(unbalance) 관계가 유지된다.
도 2는 도 1에서 전력변환부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변환부(114)는 스위칭 펄스 신호 발생부(210), 전력 증폭부(220) 및 임피던스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스위칭 펄스 신호 발생부(210)는 수 MHz ~ 수십 MHz 대역의 스위칭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는 제어 및 통신부(115)의 제어에 따라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소스 공진기(116)의 기준 공진 주파수 FRef가 13.56MHz 또는 5.78MHz인 경우, 제어 및 통신부(115)는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13.56MHz 또는 5.78MHz가 되도록 스위칭 펄스 신호 발생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칭 펄스 신호 발생부(210)는 복수의 커패시터들 및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펄스 신호 발생부(210)는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들을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전력 증폭부(220)는 공진 주파수 발생부(12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 신호에 의해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전력 증폭부(220)는 스위칭 펄스 신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PA 전력 제어 전압을 스위칭함으로써, "트래킹 전력" 또는 "동작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230)는 제어 및 통신부(115)의 제어에 따라서, 소스 공진기(116)의 임피던스를 조정한다.
제어 및 통신부(115)는 복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도 2에 도시된 PA 전력 제어 전압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고, 상기 동작 전력에 대한 반사파, 상기 복수의 타겟 디바이스들 각각의 수신 전력량, 상기 충전용 전력의 전력량, 또는 상기 충전용 전력의 전송 효율에 기초하여, 상기 FRef를 조정한다.
또한, 제어 및 통신부(115)는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으면, 상기 기준 공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0은 전력 전송 효율에 대한 기준값을 의미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기준 공진 주파수 Fref를 이용하여 트래킹 전력을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만일, 트래킹 전력의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으면, 공진 주파수를 step size 만큼 변경시키면서, 트래킹 전력의 전송 효율을 검출한다.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순서는 순차적 또는 랜덤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공진 주파수가 FN인 경우, 전력 전송 효율이 기준값 보다 크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는 FN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는 410단계에서,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한다. 여기서,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은 트래킹 전력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 또는 동작 전력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일 수 있다. 전력 전송 효율은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량과 타겟 디바이스에서 수신되는 전력량의 비율로 계산될 수 있다. 즉,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량이
Figure 112011060632889-pat00013
이고, 타겟 디바이스에서 수신되는 전력량이 Preceive이면, 전력 전송 효율은 Preceive /PAout이다.
소스 디바이스는 420단계에서, 전력 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전력을 생성한다. 즉,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이 Pdissipation이면, 소스 디바이스는 "Pdissipation/전력 전송 효율" 보다 큰 전력을 생성한다. 여기서,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은 타겟 디바이스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 용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력 전송 효율이 0.8이고,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이 10Watt이면, 소스 디바이스는 12.5Watt이상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430단계에서,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전력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440 단계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 나면 공진 주파수의 조정 과정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스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부하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타겟 디바이스의 부하 변화를 고려하여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력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440 단계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을 검출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440단계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440단계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으면 상기 생성된 전력의 전송을 유지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으면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410 단계를 재 수행 할 수 있다.
450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전력 전송 종료여부를 판단한단. 타겟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타겟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종료되었거나, 타겟 디바이스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전력 전송은 종료된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는 510단계에서 주파수 트래킹 모드를 수행한다. 주파수 트래킹 모드란,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510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단계들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520단계에서, 전력 전송 효율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dissipation power)을 고려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생성한다. 520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단계들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530단계에서,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전력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이 수행된 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동작 전력을 수신하게 된다. 타겟 디바이스는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알려 주고,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는 상태에서 동작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540단계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540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단계들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550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전력 전송 종료여부를 판단한단. 타겟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타겟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종료되었거나, 타겟 디바이스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전력 전송은 종료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트래킹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는 611단계에서, 전력 변환부로 공급되는 전압 및 기준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을 위한 트래킹 전력(tracking power)을 생성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613단계에서,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상기 트래킹 전력을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을 위한 트래킹 전력(tracking power)을 수신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615단계에서, 트래킹 전력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을 확인한다. 여기서, 소스 디바이스는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량을 검출하고,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량 및 수신 전력량의 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량 및 수신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타겟 디바이스는, 수신된 트래킹 전력의 전력량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617단계에서 트래킹 전력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트래킹 전력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소스 디바이스는 도 5의 52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래킹 전력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으면, 소스 디바이스는 619단계에서, 기준 공진 주파수를 조정한다. 이때, 기준 공진주파수를 조정하는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래킹 모드의 일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b는 파워 트래킹 모드에서 전력 제어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는 721단계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14
)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723 단계에서,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15
)이 하기 조건 1을 만족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114)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조건 1]
Figure 112011060632889-pat00016
도 8을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는 841단계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Preceive)을 검출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전력량(Preceive)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Preceive)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는 Preceive 이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으면, 기 설정된 윈도우 사이즈를 고려하여 전력 증폭부(220)의 제어 전압, 즉 전력 증폭부(220)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으면 기 설정된 윈도우 사이즈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한다. 도 8a에 도시된 예에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은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량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소스 디바이스는 전력 증폭부(220)로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제어 범위를 벗어 나면, 주파수 트래킹 모드로 동작할 수 도 있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제1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부의 공급 전압을 감소시키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제2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전력변환부의 공급 전압을 증가시키고, 상기 전력 변환부의 공급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재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소스 디바이스는 842단계 및 843 단계에서, Preceive 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f 및 윈도우 사이즈
Figure 112011060632889-pat00017
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8b에서, Ref는 참조 전력량을 의미한다. 참조 전력량 Ref는 소비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18
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참조 전력량 Ref는
Figure 112011060632889-pat00019
/
Figure 112011060632889-pat00020
로 설정될 수 도 있다. 또한, 참조 전력량 Ref는 소스 디바이스의 설정에 따라 고정된 값일 수 도 있다. 윈도우 사이즈
Figure 112011060632889-pat00021
는 Ref, 전력 증폭부(220)의 효율, 또는
Figure 112011060632889-pat00022
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사이즈
Figure 112011060632889-pat00023
Figure 112011060632889-pat00024
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1060632889-pat00025
는 "High Efficiency"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8b에서,
Figure 112011060632889-pat00026
는 "Low Efficiency"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igh Efficiency"는 92.5% 일 수 있으며, "Low Efficiency"는 76.7%일 수 있다. Ref가 100Watt인 경우,
Figure 112011060632889-pat00027
/2는 22Watt로 설정될 수 도 있다. 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28
/2는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일정 범위의 전력 전송 효율 내에서 유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b는 윈도우 사이즈
Figure 112011060632889-pat00029
Figure 112011060632889-pat00030
보다 크거나 같고,
Figure 112011060632889-pat00031
보다 작거나 같은 값으로 설정된 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Figure 112011060632889-pat00032
는 제1 기준값,
Figure 112011060632889-pat00033
는 제2 기준값이라 칭하기로 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842단계에서, Preceive가 제1 기준값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 만일, Preceive가 제1 기준값 보다 크면, 소스 디바이스는 843단계에서 도 2의 PA 전력 제어 전압을 감소시킨다. 이때,PA 전력 제어 전압의 감소 폭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전력증폭부(220)의 효율이 일정하면, PA 전력 제어 전압이 감소됨에 따라 전력 증폭부(220)의 출력 전력량은 감소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844단계에서, Preceive가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지를 판단한다. 만일, Preceive가 제2 기준값 보다 크거나 같은 값이면, 소스 디바이스는 846 단계에서 동작 전력의 전송을 유지한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으면, 동작 전력의 전송을 유지한다. 만일, Preceive
Figure 112011060632889-pat00034
보다 작은 값이면, 소스 디바이스는 845단계에서 도 2의 PA 전력 제어 전압을 증가시킨다. 이때, PA 전력 제어 전압의 증가 폭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전력증폭부(220)의 효율이 일정하면, PA 전력 제어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력 증폭부(220)의 출력 전력량은 증가한다.
소스 디바이스는 847단계에서,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35
이 Preceive + IncreaseMax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IncreaseMax"는 전력 전송 효율
Figure 112011060632889-pat00036
이 일정 범위 내에 유지되면서, 동시에
Figure 112011060632889-pat00037
을 증가시킬 수 있는 최대 전력량이다. 즉, "IncreaseMax"는 전력 전송 효율
Figure 112011060632889-pat00038
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와 타겟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전력 전송 효율
Figure 112011060632889-pat00039
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소스 디바이스는 주파수 트래킹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일 측면에 있어서, "IncreaseMax"는 하기 조건 2를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조건 2]
Figure 112011060632889-pat00040
이때, Est는 도 8b의 "Low Efficiency"일 수 있다. 즉,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보다 낮은 경우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을 높이는 경우에도 전력 전송 효율을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소스 디바이스는 "IncreaseMax"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41
이 Preceive + IncreaseMax 보다 크지 않으면, 소스 디바이스는 841단계를 재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42
이 Preceive + IncreaseMax 보다 큰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도 5의 510단계 또는 도 6의 619단계를 재 수행한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주파수 트래킹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510단계 또는 619 단계를 재 수행한다.
한편, 소스 디바이스는 846단계를 수행한 후,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으면, 상기 소비 전력량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소비 전력량의 변화는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로드의 변화일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소비 전력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전력 변환부(114)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로드가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고려하여 전력 변환부(114)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용 배터리가 일정 레벨 이상 충전이 완료된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전력 변환부(114)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만일,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 레벨이 고정된 경우, 전력 변환부(114)로 공급되는 전압을 높여주면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로드(125)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용 배터리가 일정 레벨 이상 충전이 완료되어 타겟 디바이스를 보호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로드(125)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도록 전력 변환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 레벨이 가변(variable)되는 경우, 전력 변환부(114)로 공급되는 전압을 높여 주면, 전력 변환부(114)의 출력 전력 레벨은 증가할 수 있다.
도 9는 주파수 트래킹 모드 및 파워 트래킹 모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10은 주파수 트래킹만 수행된 경우 타겟 디바이스에서 수신되는 전력의 변화를 보여준다. 930은 주파수 트래킹 및 도 7 및 도 8에 따른 파워 트래킹을 수행한 경우 타겟 디바이스에서 수신되는 전력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9에서 920은 주파수 트래킹 모드에서 조정되는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다. 도 9에서 Tracking Frequency는 MHz 단위일 수 있다. 도 9에서 Distance는 meter 단위 일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낸다.
별도의 피더를 통해 공진기가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피더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고, 공진기에서도 자기장이 발생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피더(1010)에서 입력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기장(1030)이 발생한다. 피더(1010) 내부에서 자기장의 방향(1031)과 외부에서 자기장의 방향(1033)은 서로 반대 위상을 가진다. 피더(10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1030)에 의해 공진기(1020)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유도 전류의 방향은 입력 전류의 방향과 반대이다.
유도 전류에 의해 공진기(1020)에서 자기장(1040)이 발생한다. 자기장의 방향은 공진기(1020)의 내부에서는 동일한 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공진기(1020)에 의해 피더(10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1041)과 피더(1010)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1043)은 동일한 위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피더(1010)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공진기(102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합성하면, 피더(1010)의 내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되고, 피더(1010)의 외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된다. 따라서, 도 14와 같은 구조의 피더(1010)를 통해 공진기(102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공진기(1020) 중심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고, 외곽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다. 공진기(1020) 상에서 자기장의 분포가 균일(uniform)하지 않은 경우, 입력 임피던스가 수시로 변화하므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자기장의 세기가 강한 부분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이 잘되고, 자기장의 세기가 약한 부분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이 잘 되지 않으므로, 평균적으로 전력 전송 효율이 감소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공진기(1110)는 캐패시터(1111)를 포함할 수 있다. 피딩부(1120)는 캐패시터(1111)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b)는 (a)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때, 공진기(1110)는 제1 전송선로, 제1 도체(1141), 제2 도체(1142), 적어도 하나의 제1 캐패시터(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1150)는 제1 전송 선로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113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1132) 사이에 위치에 직렬로 삽입되며, 그에 따라 전계(electric field)는 제1 캐패시터(1150)에 갇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를 포함하며, 상부에 있는 도체를 통해서는 전류가 흐르며, 하부에 있는 도체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 된다(grounded).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전송 선로의 상부에 있는 도체를 제1 신호 도체 부분(113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1132)로 나누어 부르고, 제1 전송 선로의 하부에 있는 도체를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1133)으로 부르기로 한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는 2 차원 구조의 형태를 갖는다. 제1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제1 신호 도체 부분(11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1132)을 포함하고, 하부에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1133)을 포함한다. 제1 신호 도체 부분(11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1132)과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113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전류는 제1 신호 도체 부분(11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1132)을 통하여 흐른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도체 부분(1131)의 한쪽 단은 제1 도체(1141)와 접지(short)되고, 다른 쪽 단은 제1 캐패시터(115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신호 도체 부분(1132)의 한쪽 단은 제2 도체(1142)와 접지되며, 다른 쪽 단은 제1 캐패시터(1150)와 연결된다. 결국, 제1 신호 도체 부분(1131), 제2 신호 도체 부분(1132) 및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1133), 도체들(1141, 1142)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하며, '루프 구조를 갖는다고 함은' 전기적으로 닫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캐패시터(1150)는 전송 선로의 중단부에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캐패시터(1150)는 제1 신호 도체 부분(11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1132)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제1 캐패시터(1150)는 집중 소자(lumped element) 및 분산 소자(distributed element)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분산 소자의 형태를 갖는 분산된 캐패시터는 지그재그 형태의 도체 라인들과 그 도체 라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1150)가 전송 선로에 삽입됨에 따라 소스 공진기는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메타물질이란 자연에서 발견될 수 없는 특별한 전기적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인공적으로 설계된 구조를 갖는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의 전자기 특성은 고유의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지며, 대부분의 물질들은 양의 유전율 및 양의 투자율을 갖는다.
대부분의 물질들에서 전계, 자계 및 포인팅 벡터에는 오른손 법칙이 적용되므로, 이러한 물질들을 RHM(Right Handed Material)이라고 한다. 그러나,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진 물질로서, 유전율 또는 투자율의 부호에 따라 ENG(epsilon negative) 물질, MNG(mu negative) 물질, DNG(double negative) 물질, NRI(negative refractive index) 물질, LH(left-handed) 물질 등으로 분류된다.
이 때, 집중 소자로서 삽입된 제1 캐패시터(1150)의 캐패시턴스가 적절히 정해지는 경우, 소스 공진기는 메타물질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캐패시터(1150)의 캐패시턴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소스 공진기는 음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으므로, 소스 공진기는 MNG 공진기로 불려질 수 있다. 제1 캐패시터(1150)의 캐패시턴스를 정하는 전제(criterion)들은 다양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가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전제(criterion), 소스 공진기가 대상 주파수에서 음의 투자율을 갖도록 하는 전제 또는 소스 공진기가 대상 주파수에서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제 등이 있을 수 있고, 상술한 전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제 아래에서 제1 캐패시터(1150)의 캐패시턴스가 정해질 수 있다.
MNG 공진기는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가 0일 때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MNG 공진기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는 MNG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에 대해 독립적일 수 있다. 즉,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MNG 공진기에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제1 캐패시터(1150)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MNG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근접장(near field)에서 전계는 전송 선로에 삽입된 제1 캐패시터(1150)에 집중되므로, 제1 캐패시터(1150)로 인하여 근접 필드에서는 자기장(magnetic field)이 도미넌트(dominant)해진다. 그리고, MNG 공진기는 집중 소자의 제1 캐패시터(1150)를 이용하여 높은 큐-팩터(Q-Factor)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전력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큐-팩터는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 저항 손실(ohmic loss)의 정도 또는 저항(resistance)에 대한 리액턴스의 비를 나타내는데, 큐-팩터가 클수록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이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b)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MNG 공진기를 관통하는 마그네틱 코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는 전력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피딩부(1120)는 제2 전송선로, 제3 도체(1171), 제4 도체(1172), 제5 도체(1181) 및 제6 도체(1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제3 신호 도체 부분(1161) 및 제4 신호 도체 부분(1162)을 포함하고, 하부에 제2 그라운드 도체 부분(1163)을 포함한다. 제3 신호 도체 부분(1161) 및 제4 신호 도체 부분(1162)과 제2 그라운드 도체 부분(116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전류는 제3 신호 도체 부분(1161) 및 제4 신호 도체 부분(1162)을 통하여 흐른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신호 도체 부분(1161)의 한쪽 단은 제3 도체(1171)와 접지(short)되고, 다른 쪽 단은 제5 도체(1181)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4 신호 도체 부분(1162)의 한쪽 단은 제4 도체(1172)와 접지되며, 다른 쪽 단은 제6 도체 (1182)와 연결된다. 제5 도체(1181)는 제1 신호 도체 부분(1131)과 연결되고, 제6 도체 (1182)는 제2 신호 도체 부분(1132)과 연결된다. 제5 도체(1181)와 제6 도체(1182)는 제1 캐패시터(1150)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때, 제5 도체(1181) 및 제6 도체(1182)는 RF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포트로 사용될 수 있다.
결국, 제3 신호 도체 부분(1161), 제4 신호 도체 부분(1162) 및 제2 그라운드 도체 부분(1163), 제3 도체(1171), 제4 도체(1172), 제5 도체(1181), 제6 도체(1182) 및 공진기(1110)는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1110) 및 피딩부(1120)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제5 도체(1181) 또는 제6 도체(1182)를 통하여 RF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 전류는 피딩부(1120) 및 공진기(1110)에 흐르게 되고,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기(1110)에 유도 전류가 유도 된다. 피딩부(1120)에서 흐르는 입력 전류의 방향과 공진기(1110)에서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공진기(1110)의 중앙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공진기(1110)의 외곽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된다.
공진기(1110)와 피딩부(1120) 사이 영역의 면적에 의해 입력 임피던스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와 상기 입력 임피던스의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는 필요하지 않다. 매칭 네트워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피딩부(1120)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입력 임피던스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칭 네트워크의 구조는 단순해질 수 있다. 단순한 매칭 네트워크 구조는 매칭 네트워크의 매칭 손실을 최소화한다.
제2 전송 선로, 제3 도체(1171), 제4 도체(1172), 제5 도체(1181), 제6 도체(1182) 는 공진기(1110)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공진기(1110)가 루프 구조인 경우에는 피딩부(1120)도 루프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공진기(1110)가 원형 구조인 경우에는 피딩부(1120)도 원형 구조일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부의 피딩에 따른 공진기의 내부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 전력 전송에서 피딩은, 소스 공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에서 피딩은, 정류부에 AC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피딩부에서 흐르는 입력 전류의 방향 및 소스 공진기에서 유도되는 유도 전류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a)는 피딩부의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 및 소스 공진기의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a)는 도 11의 공진기(1110) 및 피딩부(1120)를 좀 더 간략하게 표현한 도면이다. (b)는 피딩부와 공진기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a)를 참조하면, 피딩부의 제5 도체 또는 제6 도체는 입력 포트(1210)로 사용될 수 있다. 입력 포트(1210)는 RF 신호를 입력 받는다. RF 신호는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타겟 디바이스의 필요에 따라 RF 신호의 진폭을 증감시킬 수 있다. 입력 포트(1210)에서 입력된 RF 신호는 피딩부에 흐르는 입력 전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피딩부를 흐르는 입력 전류는 피딩부의 전송선로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흐른다. 그런데, 피딩부의 제5 도체는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5 도체는 공진기의 제1 신호 도체 부분과 연결된다. 따라서 입력 전류는 피딩부 뿐만 아니라 공진기에도 흐르게 된다. 공진기에서 입력 전류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른다. 공진기에 흐르는 입력 전류에 의하여 자기장이 발생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해 공진기에 유도 전류가 생성된다. 유도 전류는 공진기에서 시계방향으로 흐른다. 이때 유도 전류는 공진기의 캐패시터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유도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한다. (a)에서 피딩부 및 공진기에 흐르는 입력 전류는 실선으로 표시되고, 공진기에 흐르는 유도 전류는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은 오른나사의 법칙을 통해 알 수 있다. 피딩부 내부에서, 피딩부에 흐르는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1221)과 공진기에 흐르는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1223)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피딩부 내부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된다.
또한, 피딩부와 공진기 사이의 영역에서, 피딩부에 흐르는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1233)과 소스 공진기에 흐르는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1231)은 서로 반대 위상이다. 따라서, 피딩부와 공진기 사이의 영역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약화된다.
루프 형태의 공진기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진기의 중심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고, 공진기의 외곽부분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다. 그런데 (a)를 참조하면, 피딩부가 공진기의 캐패시터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의 유도 전류의 방향과 피딩부의 입력 전류의 방향이 동일해 진다. 공진기의 유도 전류의 방향과 피딩부의 입력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피딩부의 내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피딩부의 외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된다. 결과적으로 루프 형태의 공진기의 중심에서는 피딩부로 인하여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공진기의 외곽부분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진기 내부에서는 전체적으로 자기장의 세기가 균일해질 수 있다.
한편, 소스 공진기에서 타겟 공진기로 전달되는 전력 전송의 효율은 소스 공진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므로, 소스 공진기의 중심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됨에 따라 전력 전송 효율도 증가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피딩부(1240) 및 공진기(1250)는 등가회로로 표현될 수 있다. 피딩부(1240)에서 공진기 측을 바라볼 때 보이는 입력 임피던스 Zin은 다음의 수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1060632889-pat00043
여기서, M은 피딩부(1240)와 공진기(1250)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를 의미하고, ω 는 피딩부(1240)와 공진기(1250) 간의 공진 주파수를 의미하고, Z는 공진기(1250)에서 타겟 디바이스 측을 바라볼 때 보이는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Zin은 상호 인덕턴스 M에 비례한다. 따라서, 피딩부(1240)와 공진기(1250) 사이에 상호 인덕턴스를 조절함으로써 Zin을 제어할 수 있다. 상호 인덕턴스 M은 피딩부(1240)와 공진기(1250) 사이 영역의 면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피딩부(1240)의 크기에 따라 피딩부(1240)와 공진기(1250) 사이 영역의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Zin은 피딩부(124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와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가 필요하지 않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포함된 타겟 공진기 및 피딩부도 위와 같은 자기장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타겟 공진기는 소스 공진기로부터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한다. 이때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통하여 타겟 공진기에서는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타겟 공진기에서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은 피딩부에 다시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a)의 구조와 같이 타겟 공진기와 피딩부가 연결되면, 타겟 공진기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피딩부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동일해진다. 따라서, 피딩부의 내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피딩부와 타겟 공진기 사이의 영역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전송 효율 및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dissipation power)을 고려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생성하는 단계;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전력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상기 기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공진 주파수를 재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전력 변환부로 공급되는 전압 및 기준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을 위한 트래킹 전력(tracking power)을 생성하는 단계;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상기 트래킹 전력을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전력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킹 전력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으면, 상기 기준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전력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전력량 및 상기 수신 전력량의 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44
    )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45
    )이 하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건]
    Figure 112011060632889-pat00046

    여기서,
    Figure 112011060632889-pat00047
    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으면 상기 동작 전력의 전송을 유지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으면 기 설정된 윈도우 사이즈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제1 기준값 보다 크면 상기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부의 공급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제2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전력변환부의 공급 전압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소비 전력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전력 변환부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는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고려하여 전력 변환부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8.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전력을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상기 기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공진 주파수를 재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으면 상기 생성된 전력의 전송을 유지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으면 기 설정된 윈도우 사이즈를 고려하여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10.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을 위한 트래킹 전력(tracking power)을 수신하는 단계;
    타겟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트래킹 전력의 전력량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이 수행된 후,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동작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알려 주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12. 공급 받는 전압 및 기준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여, 공진 주파수의 트래킹을 위한 트래킹 전력(tracking power) 또는 타겟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동작 전력(operation power)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부;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상기 트래킹 전력 또는 상기 동작 전력을 상기 타겟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소스 공진기; 및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 및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dissipation power)을 고려하여, 상기 동작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및 통신부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상기 기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공진 주파수를 재결정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소스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통신부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이 기 설정된 값 보다 작으면, 상기 기준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소스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통신부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48
    )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동작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력량(
    Figure 112011060632889-pat00049
    )이 하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조건]
    Figure 112011060632889-pat00050

    여기서,
    Figure 112011060632889-pat00051
    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소스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통신부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을 검출하고,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밖에 있으면 기 설정된 윈도우 사이즈를 고려하여 상기 동작 전력의 전력량을 제어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소스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및 통신부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의 수신 전력량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안에 있으면, 상기 소비 전력량의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소비 전력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소스 디바이스.
  17. 소스 디바이스의 소스 공진기와 마그네틱 커플링을 형성하고, 상기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트래킹 전력 또는 동작 전력을 수신하는 타겟 공진기;
    상기 타겟 공진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조정하고, 레벨이 조정된 DC 전압을 디바이스 로드(device load)로 제공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수신된 트래킹 전력의 전력량, 상기 디바이스 로드의 소비 전력량 및 상기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어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동작 전력의 전력량은 기 설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타겟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로드는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및 통신부는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타겟 디바이스.
KR1020110078103A 2011-08-05 2011-08-05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1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103A KR101813264B1 (ko) 2011-08-05 2011-08-05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3/567,237 US9608452B2 (en) 2011-08-05 2012-08-06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103A KR101813264B1 (ko) 2011-08-05 2011-08-05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836A KR20130015836A (ko) 2013-02-14
KR101813264B1 true KR101813264B1 (ko) 2017-12-29

Family

ID=4762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103A KR101813264B1 (ko) 2011-08-05 2011-08-05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08452B2 (ko)
KR (1) KR101813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3571A1 (en) * 2008-09-27 2016-02-11 Witricity Corporation Resonator enclosure
KR102028112B1 (ko) * 2013-01-14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호 공진을 이용하는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송수신 장치, 상호 공진을 이용하는 전력 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이의 방법
CA2919462C (en) * 2013-07-29 2018-03-06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Implant charging field control through radio link
US9419469B2 (en) 2013-12-23 2016-08-16 Automotive Research & Testing Center High efficiency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10116230B2 (en) 2013-12-30 2018-10-30 Eaton Capital Unlimited Company Methods, circuit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configuring DC output filter circuits
US9590525B2 (en) 2014-07-03 2017-03-07 Eaton Capital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using load feedback
US9635222B2 (en) 2014-08-03 2017-04-25 PogoTec, Inc. Wearable camera systems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 eyewear camera
TWI584018B (zh) 2014-08-03 2017-05-21 帕戈技術股份有限公司 穿戴式照相機系統與用於將照相機系統或其他電子裝置附接至穿戴式製品之設備及方法
JP6279452B2 (ja) * 2014-10-31 2018-02-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
US9984815B2 (en) 2014-12-22 2018-05-29 Eaton Capital Unlimited Company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and power supplies including overlapping magnetic cores
KR20170118054A (ko) 2014-12-23 2017-10-24 포고텍, 인크. 무선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들
US10038324B2 (en) 2015-01-06 2018-07-3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ethods, circuit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fer responsive to controller circuit states
US10243389B2 (en) 2015-03-27 2019-03-26 Goodri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near resonant wireless power and data transfer
US10116144B2 (en) 2015-05-22 2018-10-3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using enclosures with enhanced magnetic fea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10481417B2 (en) 2015-06-10 2019-11-19 PogoTec, Inc. Magnetic attachment mechanism for electronic wearable device
CA2989077A1 (en) 2015-06-10 2016-12-15 PogoTec, Inc. Eyewear with magnetic track for electronic wearable device
US10341787B2 (en) 2015-10-29 2019-07-02 PogoTec, Inc. Hearing aid adapted for wireless power reception
US11558538B2 (en) 2016-03-18 2023-01-17 Opkix, Inc. Portable camera system
KR102622053B1 (ko) * 2016-07-18 2024-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들의 구동방법
EP3539285A4 (en) 2016-11-08 2020-09-02 Pogotec,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TELLIGENT BOX
WO2018169223A1 (ko) * 2017-03-13 2018-09-20 주식회사 맵스 자기 전압 제어형 정류장치를 가진 무선전력 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
WO2020102237A1 (en) 2018-11-13 2020-05-22 Opkix, Inc. Wearable mounts for portable camera
US11642537B2 (en) 2019-03-11 2023-05-09 Axonics, Inc. Charging device with off-center coil
US11990766B2 (en) 2019-07-02 2024-05-2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with radially arrayed magnetic structures
US20220345219A1 (en) * 2021-04-23 2022-10-27 Cortina Access, Inc. Wireless Optical Networking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182A (ja) 2000-03-08 2001-09-21 Sharp Corp 非接触による電力伝達装置
JP2010119246A (ja) * 2008-11-14 2010-05-27 Toyota Motor Corp 給電システム
JP2011509067A (ja) 2008-01-07 2011-03-17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デューティサイクル制御を有する誘導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5909B1 (en) 2007-08-03 2011-04-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mergency mobile device power source
KR20100052565A (ko) 2007-09-17 2010-05-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자기 공진기에서의 고효율 및 고전력 전송
KR20100130215A (ko) * 2008-03-17 2010-12-10 파우워매트 엘티디. 유도송전장치
WO2009144542A1 (en) 2008-04-15 2009-12-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Wireless energy transfer device
US9130407B2 (en) 2008-05-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charging in wireless power environment
KR20100012944A (ko) 2008-07-30 2010-02-09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전력 송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비접촉 무선 전원 공급시스템 및 그 방법
US8111042B2 (en) 2008-08-05 2012-02-07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wireless resonant power charging and communication channel
US8643326B2 (en) * 2008-09-27 2014-02-04 Witricity Corporation Tunable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8427100B2 (en) 2009-02-06 2013-04-23 Broadcom Corporation Increasing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084904B1 (ko) 2009-10-07 2011-11-18 삼성전기주식회사 통신 기능이 구비된 무선전력 송수신 장치 및 그 무선전력 송수신 방법
US8411693B2 (en) 2009-12-18 2013-04-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of electric power controller, LRWPAN-ethernet bridge and sensor node
US8143746B2 (en) 2009-12-21 2012-03-27 Alcatel Lucent Automatic tuning for wireless power transfer
WO2012164744A1 (ja) * 2011-06-03 2012-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非接触送電装置、ならびに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182A (ja) 2000-03-08 2001-09-21 Sharp Corp 非接触による電力伝達装置
JP2011509067A (ja) 2008-01-07 2011-03-17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デューティサイクル制御を有する誘導電源装置
JP2010119246A (ja) * 2008-11-14 2010-05-27 Toyota Motor Corp 給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33117A1 (en) 2013-02-07
US9608452B2 (en) 2017-03-28
KR20130015836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264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0947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공진 주파수 트래킹 방법 및 장치
KR101988009B1 (ko) 공진 주파수를 조정해서 커플링 효율을 높이는 무전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817194B1 (ko)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88003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2개의 소스 공진기를 이용해서 자기장을 제어하는 소스 장치 및 방법
KR101896979B1 (ko)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공진 주파수 제어 방법
KR101947980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926009B1 (ko) 무선 전력을 송수신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KR101882273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947982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공진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25959B1 (ko)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임피던스 제어 방법
KR101808086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사운드 시스템
KR101813125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검출 파라미터에 기초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KR102000525B1 (ko) 무선 전력을 이용한 인 밴드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101318742B1 (ko) 임피던스 매칭 조건을 고려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2227504B1 (ko)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2122394B1 (ko) 효율적인 전력 분배를 위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50000028A (ko) 충전 환경 판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40008020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릴레이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962747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누설 자기장 차폐 장치 및 방법
KR20150010029A (ko) 커플링 영역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948089B1 (ko) 무선 전력 전송의 부하 변동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30801B1 (ko)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68601B1 (ko) 무선 전력 전송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36953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