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314B1 -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314B1
KR101804314B1 KR1020160056248A KR20160056248A KR101804314B1 KR 101804314 B1 KR101804314 B1 KR 101804314B1 KR 1020160056248 A KR1020160056248 A KR 1020160056248A KR 20160056248 A KR20160056248 A KR 20160056248A KR 101804314 B1 KR101804314 B1 KR 10180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filter
water
clean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180A (ko
Inventor
육근재
진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6005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31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0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 B01D2247/101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using a cycl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1Engine exhaust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엔진 등에서 배출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 등을 해수와의 흡착을 통해 제거하는 스크러버와,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공급된 오염된 세정수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고용량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에서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운용되고 수처리 시스템의 설치 투자 비용이 절감되며, 상기 세척부에 구비된 필터와 하이드로싸이클론의 조합을 통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와 닫힘 모드에서 모두 운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SCRUBBER SYSTEM FOR CLEANING EXHAUST GAS}
본 발명은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엔진 등에서 배출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 등을 해수와의 흡착을 통해 제거하는 스크러버와,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공급된 오염된 세정수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자동 세척이 가능한 고용량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에서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운용되고 수처리 시스템의 설치 투자 비용이 절감되며, 상기 세척부에 구비된 필터와 하이드로싸이클론의 조합을 통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와 닫힘 모드에서 모두 운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해운업은 선박 운행시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고 국제 해사 기구(IMO)에 설정된 규정 준수를 위하여 선박 엔진을 통해 발생하는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SOx) 등 유해한 물질 배출 감소를 위해 노력한다.
배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러버(scrubber)가 사용된다. 스크러버란 파형으로 된 판자를 여러 겹 쌓아 놓고 그 사이로 증기를 흐르게 하여 증기 속의 수분을 제거하거나, 대기 오염물이 섞인 가스 등을 그 사이로 통과시켜 가스 속의 오염물을 물에 흡수, 분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스크러버에 공급된 세정수는 그을음 및 다양한 연소 잔사를 포함하므로 상기 세정수를 정화시키지 않고 곧바로 해양으로 배출하는 경우 해양 생태계를 심각하게 훼손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상기 스크러버 내에 공급된 세정수를 해양에 배출하기 전 상기 세정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수처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 황산화물과의 흡착을 통해 오염된 세정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심 분리기(850)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염된 세정수는 상기 스크러버(810)로부터 순환수 탱크(830)에 공급되고, 상기 순환수 탱크(830)에 저장된 오염된 세정수가 원심 분리기(850)에 공급되며, 상기 원심 분리기(850)를 통해 상기 세정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는 슬러지 탱크(870)에, 세척된 세정수는 다시 순환수 탱크(830)에 수송되며, 상기 순환수 탱크(830)에 수송된 세정된 세척수는 다시 상기 스크러버(810)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운전 중에는 상기 세정수가 폐쇄 경로(스크러버(810) -> 순환수 탱크(830) -> 원심 분리기(850) -> 순환수 탱크(830) -> 스크러버(810))를 따라 반복하여 순환한다.
그러나 원심 분리기(850)와 순환수 탱크(830)를 순환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대략 0.15~.0.5m3/MWh이며 이는 스크러버(810)와 순환수 탱크(830)를 순환하는 유량의 2% 미만이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의 운전 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폐쇄 경로를 순환하는 세정수의 탁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시스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센서 등의 파손, 배압 발생 및 원심 분리기 과부하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 안정적인 운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의 운전 시간은 일반적으로 24시간 이내로 한정된다. 상기 시스템의 운전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순환수 탱크(830)의 용량 또는 수처리 시스템의 처리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나, 단일의 원심 분리기(850)는 처리 용량이 제한적이므로 이를 위하여 다수의 원심 분리기(850)를 병렬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원심 분리기(850) 설치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 설치 공간 증가 및 설비 투자 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등록특허 제10-1503582호는 가스 스크러버 유체를 위한 세정 설비에 관한 것으로, 배기 가스 스크러버 유체 루프(9)로부터의 오염된 스크러버 유체를 위한 세정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정 설비는 스크러버 유체 루프(9)로부터 오염된 스크러버 유체의 일부가 흘러나오게 하는 수단, 상기 유체의 일부로부터 오염물질 및 세정된 스크러버 유체를 분리하기 위한 디스크 적층형 원심 분리기(12)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특허는 오염된 유체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디스크 적층형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므로 전술한 시스템 운전 시간 제한의 문제와, 상기 운전 시간 증가를 위한 수처리 시스템 설치 공간 증가 및 설비 투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폐쇄 경로를 따라 순환되는 세정수의 탁도의 급속한 증가 방지를 통해 장시간 운전이 가능하여 수처리 시스템 설치 공간 증가 및 설비 투자 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에 대한 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황산화물 등과의 흡착을 통해 오염된 세정수를 고용량 필터에 의해 필터링 하는 제 1 처리부를 포함하여 세정수 탁도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여 상기 세정수가 폐쇄 경로를 따라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시스템의 닫힘 모드 작동 시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폐쇄 경로를 순환하는 일정 비율 이상의 세정수를 단일의 고용량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여 수처리 시스템의 처리 용량 증가에 따른 설치 비용 및 투자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의 선회류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하이드로싸이클론을 구비하는 제 2 처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시 별도의 수처리 공정 없이도 세정수가 일정 수준의 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제 1 처리부와 제 2 처리부가 동시에 작동하여 수처리의 효율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열림 모드와 닫힘 모드에서 모두 운전 가능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및/또는 하이드로싸이클론을 통해 세정수로부터 걸러내진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탱크와, 상기 슬러지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슬러지탱크에 축적된 슬러지에 수분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오버플로우 되는 물량을 버퍼탱크로 재수송하는 수분재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을 순환하는 세정수의 탁도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고, 상기 축적된 슬러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상기 슬러지탱크 용량 증가를 통한 추가적인 비용 증가 및 설치 공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스크러버 내에서 배기가스와의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온도가 상승하는 세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세정수가 순환하는 폐쇄 경로의 일측에 열교환부를 구비하여 상기 세정수를 냉각시켜 일정 수준의 온도 유지를 가능하도록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시 상기 시스템에 유입된 세정수가 열교환부를 우회하여 수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여 상기 열교환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탱크와 연결되며 일정량의 해수를 상기 버퍼탱크 내로 유입시켜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폐쇄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세정수의 탁도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는 제 2 해수공급관을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센서 등을 보호를 통한 안정적인 운용을 도모할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상기 제 2 해수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로 인해 폐쇄 경로를 순환하는 추가적인 세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홀딩 탱크를 구비하여 세정수량의 증가에 따른 배압 형성 등을 방지하여 상기 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된 해수가 수송되는 제 1 세정수공급관에 각각 펌프가 설치된 제 1 공급관과 제 2 공급관을 구비하여,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폐쇄 경로를 순환하는 일정량의 세정수를 수송하기 위해 제 1 공급관을 개방하고, 상기 시스템이 해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열림 모드로 작동시 다량의 해수를 수송하기 위해 제 1 공급관과 제 2 공급관을 모두 개방하여 해수의 원활한 수송을 도모할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 등과의 흡착을 위하여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부와, 상기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배기가스공급부와, 상기 공급된 세정수를 통해 상기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 등을 제거하는 스크러버와,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공급된 오염된 세정수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세척부는 상기 오염된 세정수를 필터링 하여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제 1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제 1 처리부는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를 자동 세척하여 상기 오염된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고용량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의 닫힘 모드 작동시간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필터를 순환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0.5m3/MWh~10m3/MWh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세척부는 일단이 상기 스크러버와 연결되어 상기 오염된 세정수가 수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스크러버 연결관과, 상기 제 2 스크러버 연결관과 연결되며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탱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제 1 처리부는 상기 버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버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수를 상기 필터 측으로 수송하는 필터유입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입관은 상기 필터유입관의 선단 측에 설치되어 상기 버퍼탱크로부터 상기 필터로의 세정수의 수송 여부를 결정하는 필터유입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제 1 처리부는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필터유입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필터로의 세정수 공급을 차단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필터유입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세척부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제 2 처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처리부는 유체의 선회류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기 위한 하이드로싸이클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제 2 처리부는 상기 버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버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수를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으로 수송하는 싸이클론 유입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제 1 처리부는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필터유입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필터로의 세정수 공급을 차단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필터유입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처리부는 상기 싸이클론 유입관을 통해 세정수가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 내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필터 및/또는 하이드로싸이클론으로부터 걸러진 슬러지를 저장하고 상기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상기 버퍼탱크로 재수송하는 슬러지 저장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슬러지 저장부는 상기 필터 및/또는 싸이클론으로부터 걸러진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탱크와, 상기 슬러지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슬러지탱크에 축적된 슬러지에 수분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오버플로우 되는 물량을 버퍼탱크로 재수송하는 수분재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세정수공급부는 해수를 상기 선박 내로 유입시키는 제 1 해수공급관과, 상기 제 1 해수공급관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세정수를 수송하는 제 1 세정수공급관과,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폐쇄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세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부 선단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부 내 세정수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열교환밸브와, 상기 열교환부 말단 측에 설치되는 제 2 열교환밸브와, 상기 제 1 열교환밸브와 제 2 열교환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수송되는 세정수를 냉각된 해수와 상호 열교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은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밸브와 제 2 열교환밸브를 개방하여 폐쇄 경로를 순환하는 세정수의 냉각을 도모하고,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밸브와 제 2 열교환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세정수공급부는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세정수가 상기 열교환부를 우회하여 수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바이패스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을 통해 수송된 세정수의 상기 바이패스부 측으로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세척부는 상기 버퍼탱크와 연결되어 일정 수준의 해수를 상기 버퍼탱크 내로 유입시켜 상기 폐쇄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세정수 탁도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는 제 2 해수공급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세척부는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동안 상기 필터에 의해 세척된 일정량의 여과액을 저장하여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여과액저장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여과액저장부는 상기 필터에 의해 세척된 일정량의 세정수를 저장하는 홀딩탱크와, 상기 홀딩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의 닫힘 모드 종료 후 상기 홀딩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여과액을 해양으로 배출하는 여과액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처리부는 상기 필터에 의하여 세척된 세정수가 수송되는 필터액유출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필터액유출관은 상기 필터와 연결되어 세척된 세정수를 상기 버퍼탱크로 재수송하는 제 1 버퍼탱크 연결관과, 상기 필터에 의해 세척된 세정수를 홀딩탱크로 수송하는 홀딩탱크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은 상기 세정수를 수송하기 위한 제 1 공급관과 제 2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관은 일측에 제 1 공급밸브와 제 1 공급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급관은 일측에 제 1 공급밸브와 제 1 공급펌프가 설치되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공급밸브와 제 2 공급밸브를 모두 개방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공급밸브만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황산화물 등과의 흡착을 통해 오염된 세정수를 고용량 필터에 의해 필터링 하는 제 1 처리부를 포함하여 세정수 탁도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여 상기 세정수가 폐쇄 경로를 따라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시스템의 닫힘 모드 작동 시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폐쇄 경로를 순환하는 일정 비율 이상의 세정수를 단일의 고용량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여 수처리 시스템의 처리 용량 증가에 따른 설치 비용 및 투자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의 선회류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하이드로싸이클론을 구비하는 제 2 처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시 별도의 수처리 공정 없이도 세정수가 일정 수준의 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제 1 처리부와 제 2 처리부가 동시에 작동하여 수처리의 효율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열림 모드와 닫힘 모드에서 모두 운전 가능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및/또는 하이드로싸이클론을 통해 세정수로부터 걸러내진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탱크와, 상기 슬러지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슬러지탱크에 축적된 슬러지에 수분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오버플로우 되는 물량을 버퍼탱크로 재수송하는 수분재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을 순환하는 세정수의 탁도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고, 상기 축적된 슬러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상기 슬러지탱크 용량 증가를 통한 추가적인 비용 증가 및 설치 공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스크러버 내에서 배기가스와의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온도가 상승하는 세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세정수가 순환하는 폐쇄 경로의 일측에 열교환부를 구비하여 상기 세정수를 냉각시켜 일정 수준의 온도 유지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시 상기 시스템에 유입된 세정수가 열교환부를 우회하여 수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여 상기 열교환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탱크와 연결되며 일정량의 해수를 상기 버퍼탱크 내로 유입시켜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폐쇄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세정수의 탁도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는 제 2 해수공급관을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센서 등을 보호를 통한 안정적인 운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상기 제 2 해수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로 인해 폐쇄 경로를 순환하는 추가적인 세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홀딩 탱크를 구비하여 세정수량의 증가에 따른 배압 형성 등을 방지하여 상기 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된 해수가 수송되는 제 1 세정수공급관에 각각 펌프가 설치된 제 1 공급관과 제 2 공급관을 구비하여,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폐쇄 경로를 순환하는 일정량의 세정수를 수송하기 위해 제 1 공급관을 개방하고, 상기 시스템이 해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열림 모드로 작동시 다량의 해수를 수송하기 위해 제 1 공급관과 제 2 공급관을 모두 개방하여 해수의 원활한 수송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블럭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세정수 공급부의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세정수 공급부의 블럭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제 1 공급관의 블럭도
도 7은 도 5에 따른 제 2 공급관의 블럭도
도 8은 도 5에 따른 중화제공급관의 블럭도
도 9는 도 3에 따른 배기가스 공급관의 블럭도
도 10은 도 2에 따른 세척부의 구성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세척부의 블럭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필터유입관의 블럭도
도 13은 도 11에 따른 필터액 유출관의 블럭도
도 14는 도 11에 따른 싸이클론 유입관의 블럭도
도 15는 도 11에 따른 제 2 슬러지탱크 연결관의 블럭도
도 16은 도 11에 따른 수분 재공급관의 블럭도
도 17은 도 11에 따른 여과액 배출관의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세정수 공급부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세정수 공급부의 블럭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제 1 공급관의 블럭도이고, 도 7은 도 5에 따른 제 2 공급관의 블럭도이고, 도 8은 도 5에 따른 중화제공급관의 블럭도이고, 도 9는 도 3에 따른 배기가스 공급관의 블럭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따른 세척부의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세척부의 블럭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필터유입관의 블럭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따른 필터액 유출관의 블럭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따른 싸이클론 유입관의 블럭도이고, 도 15는 도 11에 따른 제 2 슬러지탱크 연결관의 블럭도이고, 도 16은 도 11에 따른 수분 재공급관의 블럭도이고, 도 17은 도 11에 따른 여과액 배출관의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에서 배출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SOX) 등과의 흡착을 위하여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부(1)와, 상기 황산화물 등이 함유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배기가스공급부(2)와, 상기 공급된 세정수와의 흡착을 통해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 등을 제거하는 스크러버(3)와, 상기 스크러버(3)로부터 공급된 오염된 세정수를 세척하는 세척부(4)와, 상기 세척된 세정수를 선박 외로 배출하는 세정수배출관(5)과, 상기 세척된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공급부(1)로 재공급하는 세정수재공급관(6)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7)를 포함하여, 상기 세척부(4)에 자동 세척 가능한 필터(442)를 구비하여 닫힘 모드(close mode)의 장시간 운용 및 설치 투자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필터(442)와 하이드로싸이클론(453)의 조합을 통해 열림 모드와 닫힘 모드에서 모두 작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닫힘 모드(close mode)는 후술할 제 1 해수공급관(11)으로부터 세정수가 유입된 이후 일정 시간 별도의 세정수 유입 없이 상기 기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시스템의 폐쇄 경로를 따라 상기 스크러버(3)에 반복적으로 공급되는 모드를 의미하고, 열림 모드(open mode)는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새로운 세정수가 유입되고 상기 세척부(4)에 의해 세척된 세정수를 선박 외로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세정수공급부(1)는 선박에서 배출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 제거를 위하여 후술할 스크러버(3)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제 1 해수공급관(11), 제 1 세정수공급관(12), 중화액공급부(13), 열교환라인(14), 바이패스라인(15), 제 2 세정수공급관(16)과, 제 1 스크러버연결관(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은 해수를 상기 선박 내로 유입시키는 관으로, 이를 위하여 제 1 해수공급밸브(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해수공급밸브(111)는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의 제어 하에 작동하여 해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을 통해 일정량의 해수가 유입된 이후 상기 제 1 해수공급밸브(111)를 폐쇄하며,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해수공급밸브(111)를 개방하여 해수의 지속적인 유입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12)은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의 말단과 연결되어 세정수를 수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12)의 구성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제 1 공급관(121)과 제 2 공급관(123), 즉 두 개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공급관(121)은 세정수를 수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측에 제 1 공급밸브(121a)와, 타측에 제 1 공급펌프(121b)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급밸브(121a)를 후술할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하여 개방하면 상기 제 1 공급관(121)에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제 1 공급펌프(121b)에 의하여 수송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공급관(123)은 세정수를 수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측에 제 2 공급밸브(123a)와, 타측에 제 2 공급펌프(123b)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공급밸브(123a)를 상기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하여 개방하면 상기 제 2 공급관(123)에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제 2 공급펌프(123b)에 의하여 수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을 따라 수송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상기 제 1 공급밸브(121a)와 제 2 공급밸브(123a)를 모두 개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관(121, 123)을 통해 상기 세정수가 수송될 수 있도록 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공급밸브(121a)만을 개방하여 상기 제 1 공급관(121)을 통해서만 상기 세정수가 수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중화제공급부(13)는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후술할 버퍼탱크(42)로부터 재공급되는 세정수를 중화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중화제 탱크(131)와, 중화제공급관(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화제 탱크(131)는 후술할 버퍼탱크(42)로부터 재공급되는 세정수에 잔류하는 산화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세정수에 공급되는 중화제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중화제공급관(133)은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12)의 선단 측과 연결되어 중화제 탱크(131)로부터 공급되는 중화제를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12) 측으로 공급하여 세정수를 중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중화제공급펌프(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화제공급펌프(133a)는 상기 중화제공급관(133)의 일측에 형성되며 후술할 제어부(7)의 제어 하에 작동하여 상기 중화제 탱크(131)로부터 공급된 중화액을 상기 중화제공급관(133)을 통해 수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화제공급펌프(133a) 출력의 강약을 제어하여 수송되는 중화제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부(14)은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12)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후술할 스크러버(3) 내에서 배기가스와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해 가열된 세정수를 냉각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일정 온도의 해수가 세정수로서 선박 내에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문제가 없으나,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폐쇄 경로를 따라 후술할 스크러버(3)에 반복적으로 공급되는 세정액이 배기가스와 접촉하여 온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상기 세정수를 냉각시켜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교환부(14)은 제 1 열교환밸브(141), 열교환기(143)와, 제 2 열교환밸브(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밸브(141)는 상기 열교환부(14) 선단 측에 위치하여 후술할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열교환부(14) 내 세정수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밸브(141)를 개방하여 폐쇄 경로를 따라 지속적으로 수송되는 세정수가 상기 열교환부(14) 측으로 수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43)는 상기 열교환부(14)의 일측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열교환밸브(141)와 후술할 제 2 열교환밸브(145)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열교환부(14) 측으로 수송되는 세정수와, 냉각된 해수를 상호 열교환하여 상기 세정수를 냉각시키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폐쇄 경로를 따라 후술할 스크러버(3)에 반복적으로 공급되는 세정액이 배기가스와 계속해서 접촉하여 가열되므로 상기 열교환기(143)를 통해 상기 세정수를 냉각시켜 상기 세정수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밸브(145)는 상기 열교환부(14)의 말단 측에 위치하여 후술할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후술할 제 2 세정수공급관(16)을 통해 수송되는 세정수가 상기 열교환부(14)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이 개방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밸브(145)를 폐쇄하고, 폐쇄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밸브(145)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패스부(15)는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12)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세정수가 상기 열교환부(14)를 우회하여 수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밸브(141)가 폐쇄되어 상기 세정수의 열교환부(14)로의 수송은 차단되며 상기 바이패스부(15)를 통해 후술할 제 2 세정수공급관(16) 측으로 수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부(15)는 바이패스 밸브(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151)는 상기 바이패스부(15)의 일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12)을 통해 수송된 세정수가 상기 바이패스부(15) 측으로 수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151)가 개방되어 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151)가 폐쇄되어 세정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세정수공급관(16)은 상기 열교환부(14) 및 바이패스부(15)의 말단과 연결되어 세정수가 수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스크러버 연결관(17)은 일단이 상기 제 2 세정수공급관(16)의 말단과 연결되며 타단은 후술할 스크러버(3)의 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러버(3)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스크러버(3) 내 노즐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2)는 선박 내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후술할 스크러버(3)에 유입시키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배기가스공급관(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공급관(21)은 일측이 선박의 주 엔진 또는 보조 엔진과 같은 대형 디젤 엔진과 연결되어 후술할 스크러버(3)에 황산화물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배기가스공급밸브(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공급밸브(211)는 상기 배기가스공급관(21)의 일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제어부(7)에 의해 개폐되어 후술할 스크러버(3)에 배기가스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크러버(3)는 유입된 배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스크러버(3)에 공급된 세정수와의 흡착을 통해 제거하는 구성이다.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부(4)는 상기 스크러버(3)로부터 공급된 오염된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제 2 스크러버 연결관(41), 버퍼탱크(42), 제 2 해수공급관(43), 제 1 처리부(44), 제 2 처리부(45), 슬러지저장부(46)와, 여과액저장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크러버 연결관(41)은 일단이 상기 스크러버(3)와 연결되어 상기 오염된 세정수가 수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버퍼탱크(순환탱크)(42)는 상기 제 2 스크러버 연결관(41)과 연결되어 상기 오염된 세정수 및/또는 세척된 세정수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 2 해수공급관(43)은 상기 버퍼탱크(42)와 연결되어 해수를 상기 버퍼탱크(42) 내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후술할 제 1 및 제 2 처리부(44, 45)에 의해 오염된 세정수를 실시간으로 세척하여도 상기 스크러버(3)에 황산화물을 함유한 배기가스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폐쇄 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세정수의 탁도가 시간이 갈수록 높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세정수 탁도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버퍼탱크(42) 내에 일정량의 해수를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해수공급관(43)은 해수공급펌프(4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수공급펌프(431)는 상기 제 2 해수공급관(43)의 일측에 형성되며 후술할 제어부(7)의 제어 하에 작동하여 상기 제 2 해수공급관(43)에 의하여 수송된 해수가 상기 버퍼탱크(42) 내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출력의 강약을 제어하여 수송되는 해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처리부(44)는 상기 오염된 세정수를 필터링 하여 상기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필터유입관(441), 필터(443), 필터액유출관(445)과, 제 1 슬러지탱크 연결관(44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유입관(441)은 상기 버퍼탱크(42)와 연결되어 상기 버퍼탱크(42)에 저장되어 있는 오염된 세정수를 후술할 필터(443) 측으로 수송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필터유입밸브(441a)와 필터유입펌프(44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유입밸브(441a)는 상기 필터유입관(441)의 선단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의 제어 하에 작동하여 상기 버퍼탱크(42)로부터 후술할 필터(443) 측으로 세정수의 수송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을 통해 탁도가 낮은 해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후술할 하이드로싸이클론(453) 외에 상기 필터(443)에 의한 추가적인 세척이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필터유입밸브(441a)를 폐쇄하여 세정수의 상기 필터(443)로의 수송을 차단한다.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을 통해 해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시스템의 작동 시간이 길어질수록 폐쇄 경로를 순환하는 세정액의 탁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상기 필터유입밸브(441a)를 개방하여 세정수의 상기 필터(443)로의 수송을 허용하여 후술할 하이드로싸이클론(453) 외에 상기 필터(443)에 의한 추가적인 세척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유입펌프(441b)는 상기 필터유입관(44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의 제어 하에 작동하여 상기 버퍼탱크(42)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를 상기 필터유입관(441)을 통해 수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필터유입펌프(441b) 출력의 강약을 제어하여 수송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필터(443)는 내부로 유입된 오염된 세정수를 자동세척하여 상기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필터링 하기 위한 구성이다. 기존의 저용량의 원심 분리기를 순환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일반적으로 0.15 ~ 0.5m3/MWh으로 스크러버(3)와 버퍼탱크(42)를 순환하는 유량의 2% 미만인 것에 반하여, 상기 필터(443)를 순환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일반적으로 10m3/MWh까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필터(443)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시 상기 시스템을 순환하는 세정수의 탁도의 증가속도가 상기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닫힘 모드의 작동시간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필터(443)를 순환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0.5m3/MWh~10m3/MW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심 분리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 용량이 작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의 장기간 닫힘 모드 작동을 위하여 복수의 원심 분리기를 병렬 연결하여야 하므로 상기 원심 분리기의 설치 공간이 증가하고 투자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상기 고용량의 단일 필터(443)를 적용하여 복수의 필터(443) 설치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 없고 세정수 처리 시스템에 대한 투자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도 3,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액유출관(445)은 상기 필터(443)에 의하여 세척된 세정수가 수송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제 1 버퍼탱크 연결관(445a)과 홀딩탱크 연결관(44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버퍼탱크 연결관(445a)은 상기 필터(443)에 의해 세척된 세정수를 상기 버퍼탱크(42)로 재수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버퍼탱크 연결관(445a)의 일측에는 버퍼탱크 유입밸브(445a-1)가 설치된다.
상기 홀딩탱크 연결관(445b)은 상기 필터(443)에 의해 세척된 세정수를 후술할 홀딩탱크(471)로 수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홀딩탱크 연결관(445b)의 일측에는 홀딩탱크 유입밸브(445b-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443)에 의해 세척된 세정수가 상기 버퍼탱크 유입밸브(445a-1) 및 홀딩탱크 유입밸브(445b-1)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버퍼탱크(42) 및 홀딩탱크(471)로 수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러지탱크 연결관(447)은 상기 필터(443)에 의해 오염된 세정수로부터 걸러진 슬러지를 후술할 슬러지탱크(461)로 수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처리부(45)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싸이클론 유입관(451), 하이드로싸이클론(453), 제 2 슬러지탱크 연결관(455)와, 제 2 버퍼탱크 연결관(45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싸이클론 유입관(451)은 상기 버퍼탱크(42)와 연결되어 상기 버퍼탱크(42)에 저장되어 있는 오염된 세정수를 후술할 하이드로싸이클론(453)에 수송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싸이클론 유입펌프(45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 유입펌프(451a)는 상기 싸이클론 유입관(45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의 제어 하에 작동하여 상기 버퍼탱크(42)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를 상기 싸이클론 유입관(451)을 통해 수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싸이클론 유입펌프(451a) 출력의 강약을 제어하여 수송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hydrocyclone)(453)은 유체의 선회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은 필터(443)와 함께 하이드로싸이클론(453)을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을 통해 해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세척 전 세정수의 탁도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므로 상대적으로 분리효율이 낮은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453)만을 작동하며,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을 통해 해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아 세척 전 세정수의 탁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아지므로 상기 필터(443)와 하이드로싸이클론(453)을 동시에 작동한다. 따라서, 열림 모드와 닫힘 모드에서 모두 운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3,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슬러지탱크 연결관(455)은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453)과 연결되어 상기 싸이클론(453)에 의해 오염된 세정수로부터 걸러진 슬러지를 후술할 슬러지 탱크(461)로 수송하는 구성으로, 슬러지탱크 연결밸브(45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탱크 연결밸브(455a)는 상기 제 2 슬러지탱크 연결관(455)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453)으로부터 걸러진 슬러지의 슬러지 탱크(461)로의 유입 여부를 결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버퍼탱크 연결관(457)은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453)과 연결되어 상기 싸이클론(453)에 의해 세척된 세정수를 상기 버퍼탱크(42)로 재수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슬러지 저장부(46)는 상기 필터(443) 및/또는 하이드로싸이클론(453)으로부터 걸러진 슬러지를 저장하고 상기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상기 버퍼탱크(42)로 재수송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슬러지탱크(461)과 수분재공급관(4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탱크(461)는 상기 필터(443) 및/또는 싸이클론(453)을 통해 걸러진 슬러지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도 3, 도 11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수분재공급관(463)은 상기 슬러지탱크(461)와 연결되어 상기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버퍼탱크(42)로 재수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러지탱크(461)에 축적된 슬러지에 수분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슬러지는 침전되므로 오버 플로우되는 물량을 버퍼탱크(42)로 재수송하여 상기 슬러지탱크(461)에 축적된 슬러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상기 슬러지탱크(461) 용량 증가에 따른 설치 공간 및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분재공급관(463)은 재공급펌프(46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공급펌프(463a)는 상기 수분재공급관(463)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의 제어 하에 작동하여 상기 슬러지탱크(461)에 축적된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물량을 상기 수분재공급관(463)을 통해 상기 버퍼탱크(42)로 재수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재공급펌프(463a) 출력의 강약을 제어하여 수송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여과액저장부(47)는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동안 상기 필터에 의해 세척된 일정량의 세정수를 저장하여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라 하여도 상기 제 2 해수공급관(43)을 통해 일정 수준의 해수가 유입되어 상기 시스템을 통해 순환되는 세정수의 양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버퍼탱크(42)에 저장될 수 있는 세정수의 용량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별도의 여과액저장부(47)를 통해 닫힘 모드 작동 중 증가하는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여과액저장부(47)는 홀딩탱크(471)와 여과액배출관(4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탱크(471)는 상기 홀딩탱크 연결관(443b)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443)에 의해 세척된 일정량의 세정수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도 3, 도 11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여과액배출관(473)은 상기 홀딩탱크(471)와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의 닫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탱크(471)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수를 선박 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여과액배출밸브(47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액배출밸브(473a)는 상기 여과액배출관(473)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홀딩탱크(471)로부터 후술할 세정수 배출관(5)으로 여과된 세정수의 수송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여과액배출밸브(473a)는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닫힘 모드가 종료된 이후 개방되어 상기 홀딩탱크(471)에 저장되어 있는 여과된 세정수가 상기 여과액배출관(473)을 통해 선박 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세정수 배출관(5)은 상기 버퍼탱크(42) 및/또는 여과액배출관(473)과 연결되어 세척된 세정수를 해양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세정수 배출밸브(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배출밸브(51)는 상기 세정수 배출관(5)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버퍼탱크(42)로부터 상기 세정수 배출관(5) 측으로 세정수의 수송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배출 밸브(51)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세정수재공급관(6)은 일단은 상기 버퍼탱크(42)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과 연결되어 상기 버퍼탱크(42)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 측으로 재공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버퍼탱크(42)의 세정수를 제 1 해수공급관(11)으로 재공급할 수 있어 상기 세정수가 폐쇄 경로를 따라 지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세정수재공급관(6)은 세정수재공급밸브(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재공급밸브(61)는 상기 세정수재공급관(6)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버퍼탱크(42)로부터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으로의 세정수 수송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세정수재공급밸브(61)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세정수재공급밸브(61)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며, 개별 펌프의 작동 및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와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먼저 상기 제 1 해수공급밸브(111)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을 통해 해수가 선박 내로 유입되며 일정 수준 이상의 해수가 유입된 이후 상기 제 1 해수공급밸브(111)를 폐쇄한다. 이후, 상기 제 1 공급밸브(121a)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공급관(121)에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제 1 공급펌프(121b)에 의하여 수송된다. 수송된 세정수는 상기 제 1 열교환밸브(141)가 개방된 상기 제 1 열교환부(14) 측으로 수송되고 상기 제 2 세정수공급관(16)과 제 1 스크러버 연결관(17)을 통해 상기 스크러버(3) 내로 수송된다. 상기 스크러버(3) 내에서 상기 세정수는 배기가스와 접촉하여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 등과의 흡착에 의하여 오염된다. 이후, 상기 오염된 세정수는 제 2 스크러버 연결관(41)을 통해 상기 버퍼탱크(42)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 2 해수공급관(43)을 통해 일정량의 해수가 상기 버퍼탱크(42) 내로 유입된다.
상기 버퍼탱크(42) 내에 저장된 세정수는 상기 필터유입밸브(441a)가 개방된 필터유입관(441)과 함께, 싸이클론 유입관(451) 측으로 수송된다. 상기 수송된 세정수는 필터(443)와 하이드로싸이클론(453)에 의해 세척되고, 상기 필터(443)에 의해 세척된 세정수는 상기 제 1 버퍼탱크 유입밸브(445a-1) 또는 홀딩탱크 유입밸브(445b-1)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버퍼탱크 연결관(445a) 또는 홀딩탱크 연결관(445b) 측으로 수송되어 상기 버퍼탱크(42) 또는 홀딩탱크(471)에 저장되고,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453)에 의해 세척된 세정수는 상기 제 2 슬러지탱크 연결관(455)을 통해 상기 버퍼탱크(42)에 수송된다. 또한, 상기 필터(443)에 의해 세정수로부터 걸러진 슬러지는 상기 제 1 슬러지탱크 연결관(447)을 통해 상기 슬러지 탱크(461)로 수송되고, 상기 싸이클론(453)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는 제 2 슬러지탱크 연결관(455)을 통해 상기 슬러지 탱크(461)로 수송된다. 상기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은 상기 슬러지 탱크(461) 내에서 축적되어 상기 수분재공급관(463)을 통해 상기 버퍼탱크(42)에 재수송된다. 상기 버퍼탱크(42)에 저장된 세정수는 상기 세정수재공급밸브(61)가 개방된 세정수재공급관(6)을 통해 다시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 측으로 수송되어 동일한 폐쇄 경로를 순환한다. 상기 시스템의 닫힘 모드 종료시 상기 여과액배출밸브(473a)와 세정수 배출밸브(51)가 개방되어 세척된 세정수가 상기 세정수 배출관(5)을 통해 해양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해수공급밸브(111)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해수공급관(11)을 통해 해수가 선박 내로 유입되며 상기 제 1 해수공급밸브(111)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해수의 지속적인 유입을 도모한다. 이후, 상기 시스템을 통해 유동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많으므로 상기 제 1 공급밸브(121a)와 제 2 공급밸브(123a)를 동시에 개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관(121, 123)에 유입된 세정수가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펌프(121b, 123b)에 의하여 수송된다. 수송된 세정수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151)가 개방된 바이패스부(15) 측으로 수송되어 상기 닫힘 모드와 동일한 경로를 거쳐 상기 버퍼탱크(4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상기 열림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해수공급밸브(111)를 통한 해수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선박 외로 배출되는 세정수의 탁도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므로 상기 필터유입밸브(441a)를 폐쇄하여 상기 세정수의 필터(443) 내 유입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453)에 의한 세척만이 진행되고 세척된 세정수는 버퍼탱크(42)에, 슬러지는 슬러지탱크(461)에 저장된다. 상기 열림 모드에서는 여과액배출밸브(473a)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퍼탱크(42)에 저장된 세정수는 지속적으로 상기 여과액배출관(473)을 통해 선박 외로 배출된다. 또한, 세정수재공급밸브(61)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세척된 세정수는 상기 시스템을 순환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세정수공급부
11 : 제 1 해수공급관
111 : 제 1 해수공급밸브
12 : 제 1 세정수공급관
121 : 제 1 공급관
121a : 제 1 공급밸브 121b : 제 1 공급펌프
123 : 제 2 공급관
123a : 제 2 공급밸브 123b : 제 2 공급펌프
13 : 중화제공급부
131 : 중화제탱크
133 : 중화제공급관 133a : 중화제공급펌프
14 : 열교환부
141 : 제 1 열교환밸브 143 : 열교환기 145 : 제 2 열교환밸브
15 : 바이패스부
151 : 바이패스 밸브
16 : 제 2 세정수공급관
17 : 제 1 스크러버 연결관
2 : 배기가스 공급부
21 : 배기가스공급관
211 : 배기가스공급밸브
3 : 스크러버
4 : 세척부
41 : 제 2 스크러버 연결관 42 : 버퍼탱크
43 : 제 2 해수공급관
431 : 해수공급펌프
44 : 제 1 처리부
441 : 필터유입관
441a : 필터유입밸브 441b : 필터유입펌프
443 : 필터
445 : 필터액유출관
445a : 제 1 버퍼탱크 연결관 445b : 홀딩탱크 연결관
447 : 제 1 슬러지탱크 연결관
45 : 제 2 처리부
451 : 싸이클론 유입관
451a : 싸이클론 유입펌프
453 : 하이드로싸이클론
455 : 제 2 슬러지탱크 연결관
455a : 슬러지탱크 연결밸브
457 : 제 2 버퍼탱크 연결관
46 : 슬러지 저장부
461 : 슬러지탱크
463 : 수분재공급관 463a : 재공급펌프
47 : 여과액저장부
471 : 홀딩탱크
473 : 여과액배출관 473a : 여과액배출밸브
5 : 세정수 배출관
51 : 세정수 배출밸브
6 : 세정수재공급관
61 : 세정수재공급밸브
7 : 제어부

Claims (20)

  1. 선박에서 배출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 등의 제거를 위하여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부와, 배기가스를 스크러버에 유입시키는 배기가스공급부와, 공급된 세정수로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 등을 제거하는 스크러버와,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공급된 오염된 세정수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공급부는 해수를 상기 선박 내로 유입시키는 제 1 해수공급관과, 상기 제 1 해수공급관 말단과 연결되어 세정수를 수송하는 제 1 세정수공급관과,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폐쇄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세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부 선단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부 내 세정수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열교환밸브와, 상기 열교환부 말단 측에 설치되는 제 2 열교환밸브와, 상기 제 1 열교환밸브와 제 2 열교환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수송되는 세정수를 냉각된 해수와의 상호 열교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오염된 세정수를 필터링 하여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제 1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처리부는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를 자동 세척하여 상기 오염된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고용량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의 닫힘 모드 작동시간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순환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0.5m3/MWh~10m3/MW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일단이 상기 스크러버와 연결되어 상기 오염된 세정수가 수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스크러버 연결관과, 상기 제 2 스크러버 연결관과 연결되며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탱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처리부는 상기 버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버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수를 상기 필터 측으로 수송하는 필터유입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입관은 상기 필터유입관의 선단 측에 설치되어 상기 버퍼탱크로부터 상기 필터로의 세정수의 수송 여부를 결정하는 필터유입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처리부는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필터유입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필터로의 세정수 공급을 차단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필터유입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제 2 처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처리부는 유체의 선회류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정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기 위한 하이드로싸이클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처리부는 상기 버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버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수를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으로 수송하는 싸이클론 유입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처리부는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필터유입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필터로의 세정수 공급을 차단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필터유입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처리부는 상기 싸이클론 유입관을 통해 세정수가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 내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필터 및/또는 하이드로싸이클론으로부터 걸러진 슬러지를 저장하고 상기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포집하여 상기 버퍼탱크로 재수송하는 슬러지 저장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저장부는 상기 필터 및/또는 하이드로싸이클론으로부터 걸러진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탱크와, 상기 슬러지탱크에 축적된 슬러지에 수분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오버플로우 되는 물량을 버퍼탱크로 재수송하는 수분재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밸브와 제 2 열교환밸브를 개방하여 폐쇄 경로를 순환하는 세정수의 냉각을 도모하고,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밸브와 제 2 열교환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공급부는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세정수가 상기 열교환부를 우회하여 수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바이패스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을 통해 수송된 세정수의 상기 바이패스부 측으로의 유입 여부를 결정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18. 선박에서 배출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 등의 제거를 위하여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부와, 배기가스를 스크러버에 유입시키는 배기가스공급부와, 공급된 세정수로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 등을 제거하는 스크러버와,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공급된 오염된 세정수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오염된 세정수를 필터링 하여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제 1 처리부와, 슬러지를 분리하는 제2처리부와, 세척부의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처리부는 세정수를 필터 측으로 수송하는 필터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입관은 필터의 선단 측에서 필터로의 세정수의 수송 여부를 결정하는 필터유입밸브를 포함하여 열림 모드로 작동시 필터유입밸브를 폐쇄하여 필터로의 세정수 공급을 차단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시 필터유입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버퍼탱크와 연결되어 일정 수준의 해수를 상기 버퍼탱크 내로 유입시켜 폐쇄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세정수 탁도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는 제 2 해수공급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시스템이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동안 필터에 의해 세척된 일정량의 여과액을 저장하여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여과액저장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여과액저장부는 필터에 의해 세척된 일정량의 세정수를 저장하는 홀딩탱크와, 상기 홀딩탱크와 연결되어 시스템의 닫힘 모드 종료 후 상기 홀딩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여과액을 해양으로 배출하는 여과액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처리부는 필터에 의하여 세척된 세정수가 수송되는 필터액유출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필터액유출관은 필터와 연결되어 세척된 세정수를 상기 버퍼탱크로 재수송하는 제 1 버퍼탱크 연결관과, 필터에 의해 세척된 세정수를 홀딩탱크로 수송하는 홀딩탱크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정수공급관은 상기 세정수를 수송하기 위한 제 1 공급관과 제 2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관은 일측에 제 1 공급밸브와 제 1 공급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급관은 일측에 제 2 공급밸브와 제 2 공급펌프가 설치되어 상기 시스템이 열림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공급밸브와 제 2 공급밸브를 모두 개방하고, 닫힘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공급밸브만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KR1020160056248A 2016-05-09 2016-05-09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KR10180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48A KR101804314B1 (ko) 2016-05-09 2016-05-09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248A KR101804314B1 (ko) 2016-05-09 2016-05-09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180A KR20170126180A (ko) 2017-11-17
KR101804314B1 true KR101804314B1 (ko) 2018-01-10

Family

ID=6080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248A KR101804314B1 (ko) 2016-05-09 2016-05-09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3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712A (ko)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에코노바 미세분진과 악취 제거를 위한 선회유동형 복합 약액 세정 탈취기
KR20210036180A (ko) 2019-09-25 2021-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내 유증기 통합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693B1 (ko) * 2017-09-19 2019-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038949B1 (ko) * 2018-05-10 2019-10-31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KR102038952B1 (ko) * 2018-05-10 2019-11-26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9006B1 (ko) * 2018-05-10 2019-11-01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8950B1 (ko) * 2018-05-10 2019-10-31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KR102150866B1 (ko) * 2018-06-28 2020-09-03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9996B1 (ko) * 2018-11-30 2020-1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크러빙 워터 재순환 시스템
KR102031260B1 (ko) * 2019-04-08 2019-10-11 농업회사법인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보일러 배가스가 친환경 세정되어 대기오염이 저감되는 스마트 팜
EP4112154A4 (en) * 2020-09-04 2023-11-08 Fuji Electric Co., Ltd.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AND EXHAUST GAS TREATMENT METHOD FOR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312A (ja) 2002-01-29 2003-08-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トラップ
CN201214036Y (zh) 2008-06-23 2009-04-01 丁磊 旋风除尘器
US20100206171A1 (en) 2008-06-13 2010-08-19 Sigan Peng Ship flue gas desulphurization method and equipment
CN102553417A (zh) 2012-02-20 2012-07-11 无锡翱翔环保机械有限公司 湿式旋风脱硫除尘器
KR101381833B1 (ko) * 2013-12-09 2014-04-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소선박 엔진용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JP2014511451A (ja) 2011-02-23 2014-05-15 ワルトシラ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ユキチュア 船舶において排気ガスを処理するためのスクラバシステム及び船舶のスクラバシステムにおいて排気ガスを処理する方法
KR101486882B1 (ko) 2013-09-03 2015-01-28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312A (ja) 2002-01-29 2003-08-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トラップ
US20100206171A1 (en) 2008-06-13 2010-08-19 Sigan Peng Ship flue gas desulphurization method and equipment
CN201214036Y (zh) 2008-06-23 2009-04-01 丁磊 旋风除尘器
JP2014511451A (ja) 2011-02-23 2014-05-15 ワルトシラ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ユキチュア 船舶において排気ガスを処理するためのスクラバシステム及び船舶のスクラバシステムにおいて排気ガスを処理する方法
CN102553417A (zh) 2012-02-20 2012-07-11 无锡翱翔环保机械有限公司 湿式旋风脱硫除尘器
KR101486882B1 (ko) 2013-09-03 2015-01-28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381833B1 (ko) * 2013-12-09 2014-04-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소선박 엔진용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712A (ko)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에코노바 미세분진과 악취 제거를 위한 선회유동형 복합 약액 세정 탈취기
KR20210036180A (ko) 2019-09-25 2021-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내 유증기 통합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180A (ko) 201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314B1 (ko)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JP6042551B2 (ja) 燃焼機関からの排ガスにおけるsox及びnoxの削減のための、複合洗浄システム及び方法
JP7214346B2 (ja) 水処理装置
KR101590551B1 (ko)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979420B1 (ko) 선박의 세정수 처리 시스템
JP2019079881A (ja) 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装置の洗浄方法
KR101792726B1 (ko) 직렬 연결된 제 1 세척부와 제 2 세척부를 가지는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CN112203989A (zh) 洗涤器排水的净化装置和方法以及盐分浓度差发电***
JP2022065670A (ja) 船舶排ガスの洗浄排水処理装置
CN104981603A (zh) 洗涤冷却装置、egr单元以及发动机***
KR102038949B1 (ko)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JP6280328B2 (ja) Egrユニット及びエンジンシステム
CN107551791A (zh) 一种废气处理设备的循环液***及废气处理设备
JP2022136076A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および排気ガスを浄化するための方法
KR20180079492A (ko)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시스템
CN212091636U (zh) 排气清洁***
KR20190069071A (ko) 수처리 시스템
KR102038950B1 (ko)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JPH06277637A (ja) 洗浄装置
KR101517724B1 (ko) 폐액 정화장치
JPH1043553A (ja) 濾過装置及び濾過方法
KR200493729Y1 (ko) 정화 시스템, 방법 및 사용
KR101138203B1 (ko) 선박용 폐열회수장치 세척수의 저장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DK201900059U3 (da) Rensesystem og anvendelse
WO2022049930A1 (ja) 排ガス処理装置及び排ガス処理装置の排ガス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