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202B1 -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202B1
KR101804202B1 KR1020160162738A KR20160162738A KR101804202B1 KR 101804202 B1 KR101804202 B1 KR 101804202B1 KR 1020160162738 A KR1020160162738 A KR 1020160162738A KR 20160162738 A KR20160162738 A KR 20160162738A KR 101804202 B1 KR101804202 B1 KR 101804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weight
carbon
carbon nanotube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기
김광목
박솔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6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202B1/ko
Priority to PCT/KR2017/002797 priority patent/WO2018101545A1/ko
Priority to US16/465,049 priority patent/US2019028409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386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04B14/026Carbon of particular shape, e.g.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2Super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58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or shield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90Electrical properties
    • C04B2111/905Anti-stat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90Electrical properties
    • C04B2111/94Electrically conduc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에 탄소나노튜브와 탄소섬유를 적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물/시멘트비(w/c)의 변화에 의한 비저항 변화의 민감성을 낮춰 안정적인 전기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은, 물/시멘트비(w/c)의 변화에도 비저항이 100Ω·㎝ 이하로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갖기 위하여, 시멘트와, 시멘트 중량 대비 0.1~0.5 중량%의 탄소나노튜브, 시멘트 중량 대비 0.1~0.4 중량%의 탄소섬유, 기타 첨가제로서 실리카퓸(Silica fume)과 유동화제(superplasticizer)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Electrically conductive cememtitious composite}
본 발명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시멘트 복합 재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에 탄소나노튜브와 탄소섬유를 적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물/시멘트비(w/c)의 변화에 의한 비저항 변화의 민감성을 낮춰 안정적인 전기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도성 시멘트계 재료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시멘트계 재료로서, 접지저항 저감, 정전기 방지, 압저항 센서, 전자파 차폐재, 발열체 제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도성 시멘트계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전통적인 전도성 필러인 강섬유, 흑연 등을 사용하는 방법과 나노소재인 CNT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강섬유를 사용한 전도성 시멘트계 재료는 강섬유의 부식에 의해 시멘트계 복합체의 전기적 성능의 저하, 강섬유의 노출에 의한 손상, 복합체의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성 등의 단점이 있고, 온도에 의한 전기전도성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흑연을 사용한 시멘트계 복합체의 경우 전기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해 15% 이상의 흑연을 혼입해야 하며, 이로 인해 복합체의 역학적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고, 단순 양생에 의한 제조가 불가능하여 압출 성형 등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탄소나노튜브(CNT)를 사용한 시멘트 복합체는 언급된 강섬유와, 흑연이 혼입된 시멘트계 복합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기 않으나, 높은 전기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물/시멘트비(w/c)(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섞여져 있는 물의 양 w와 시멘트량 c의 중량비)를 극도로 제한하여 타설해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온도 및 수분에 의해 쉽게 전기전도성이 변할 수 있다.
즉,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 시멘트계 복합체는 탁월한 전기전도성과 역학적 성질을 갖지만, 나노 사이즈의 CNT로 인해 제조 시에 사용되는 물/시멘트비(w/c)에 의해 전기적 성질의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요인은 CNT가 혼입된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의 실용화에 기술적 한계요인이 된다. 따라서, 뛰어난 전기전도성을 보유한 동시에 제조 시에 사용되는 물의 양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전도성 복합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1-0075871호 등록특허 제10-0328539호 등록특허 제10-0234577호 등록특허 제10-14255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보유함과 동시에 제조 시에 사용되는 물/시멘트비(w/c)에 의한 전기적 특성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전기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은, 시멘트와, 탄소나노튜브와, 시멘트 중량 대비 0.1~0.4 중량%의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탄소섬유는 시멘트 중량 대비 0.1~0.2 중량%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시멘트 중량 대비 0.1~0.5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은 실리카퓸(Silica fume)과 유동화제(superplasticiz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멘트 재료에 전도성 필러로서 나노 소재인 탄소나노튜브(CNT)와 마이크로 소재인 탄소섬유(Carbon fiber)를 혼입하여 구성하고, 탄소섬유의 혼입량을 시멘트 중량 대비 0.1~0.4 중량%로 하고, 탄소나노튜브(CNT)의 혼입량을 시멘트 중량 대비 0.1~0.5 중량%로 한정함으로써 시멘트 복합체가 우수한 전기적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균일한 품질로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에 물을 혼합하여 성형한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의 작용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시멘트에 혼입되는 탄소나노튜브(CNT)의 혼입량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탄소섬유의 혼입량을 다르게 하여 시멘트 복합체 조성물 시료(specimens)를 제조한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3은 도 2에 제시된 각각의 시료(specimens)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멘트 복합체에 대한 전기 비저항값(Electrical resistivity) 및 플로우(flow)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탄소섬유의 혼입량을 달리하여 제작한 시멘트 복합체 조성물 시료에 대한 플로우(flow)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시멘트에 혼입되는 탄소섬유와 탄소나노튜브(CNT)의 혼입량을 다르게 하여 시멘브 복합체 조성물 시료(specimens)를 제조한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도 5에 제시된 각각의 시료(specimens)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멘트 복합체에 대한 전기 비저항값(Electrical resistivity) 및 플로우(flow)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은 시멘트와 탄소나노튜브(CNT), 탄소섬유, 기타 첨가제를 혼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물과 혼합된 후 성형되어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를 이루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은 물/시멘트비(w/c)의 변화에도 비저항이 100Ω·㎝ 이하로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갖기 위하여, 시멘트와, 시멘트 중량 대비 0.1~0.5 중량%의 탄소나노튜브, 시멘트 중량 대비 0.1~0.4 중량%의 탄소섬유, 기타 첨가제로서 실리카퓸(Silica fume)과 유동화제(superplasticizer)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는 튜브형태의 나노크기의 작은 입자로서 sp2라는 강한 화학결합에 의한 독특한 구조적, 화학적, 기계적 및 전기적 성질을 바탕으로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지만, 다양한 길이를 갖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 carbon nanotube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은 전도성 필러로서 나노 소재인 탄소나노튜브(CNT)와 함께 마이크로 소재인 탄소섬유(Carbon fiber)를 상기와 같이 정해진 비율(중량비)로 혼용하여, 물과 혼합하여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를 제조할 때 물/시멘트비(w/c)의 변화에도 비저항이 100Ω·㎝ 이하로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플로우(flow)도 양호하여 우수한 작업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에 물을 혼합하여 성형한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의 작용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 (b), (c)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탄소섬유(Carbon fiber)가 혼합되지 않고 시멘트 재료에 탄소나노튜브(CNT)만 혼합된 경우, 물/시멘트비(w/c)가 증가함에 따라 탄소나노튜브(CNT)의 뭉침 현상은 증가하고 전해액(electrolytic solution)으로 채워진 공극이 증가하여 전도성 네크워크가 불안정해짐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1의 (d), (e), (f)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멘트 재료에 탄소나노튜브(CNT)와 함께 탄소섬유(Carbon fiber)가 혼합되는 경우, 물/시멘트비(w/c)가 증가함에 따라 탄소나노튜브(CNT)의 뭉침 현상이 증가하고 전해액(electrolytic solution)으로 채워진 공극이 증가하더라도 탄소섬유(Carbon fiber)에 의해 탄소나노튜브들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므로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는 시멘트에 대해 설정된 중량비만큼 혼합되어야 물/시멘트비(w/c)의 변화에 따른 비저항 증가를 방지함과 동시에 플로우(flow)를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멘트에 대한 탄소섬유의 바람직한 배합비는 시멘트 중량 대비 0.1~0.4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 탄소섬유는 시멘트 중량 대비 0.1~0.2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섬유는 시멘트 중량 대비 0.1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물/시멘트비(w/c)가 증가함에 따라 비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0.4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물/시멘트비(w/c)가 증가하더라도 플로우가 낮아서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CNT)는 시멘트 중량 대비 0.1~0.5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비저항이 대폭 증가하여 전기 전도도가 매우 낮아 전도체로서 기능하지 못하며,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량이 0.5 중량%를 초과할 경우, 플로우가 급격히 낮아져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우수한 전기 전도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양호한 작업성을 얻기 위한 탄소섬유의 혼입량은 시멘트 중량 대비 0.1~0.4 중량%이며, 탄소나노튜브(CNT)의 혼입량은 시멘트 중량 대비 0.1~0.5 중량% 로 제한된다.
상기 실리카퓸(Silica fume)은 탄소나노튜브의 뭉침 현상을 억제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킨다.
실시예
도 2는 시멘트 중량 대비 탄소나노튜브(CNT)의 혼입량을 0.5중량%로 고정하고, 탄소섬유(CF)의 혼입량을 시멘트 중량 대비 0~0.5중량%로 변화시키고, 실리카퓸과 유동화제를 혼합하여 시멘트 복합체 시료(specimens)를 제작한 예를 나타낸 표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멘트 복합체 시료들을 큐빅 몰드에 타설하여 기건양생하여 제작한 시멘트 복합체에 대한 비저항값(Electrical resistivity)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서 시료(specimens)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 중 F는 탄소섬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F0.03은 시멘트 중량 대비 탄소섬유가 0.03 중량%가 혼입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W1, W2, W3, W4는 각각 물/시멘트비(w/c)가 0.3, 0.32, 0.35, 0.40 임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탄소섬유가 0.05 중량% 이하(F0, F0.03, F0.05)일 경우 물/시멘트비(w/c)가 증가함에 따라 비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지만, 탄소섬유가 0.1~0.5 중량% 일 경우 물/시멘트비(w/c)가 증가하더라도 비저항값이 100Ω·㎝ 이하에서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탄소섬유의 혼입량이 시멘트 중량 대비 0.1~0.5 중량% 일 경우에 물/시멘트비(w/c)가 변화하더라도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발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는 탄소섬유의 혼입량을 0.1 중량%, 0.2중량%, 0.25 중량%, 0.3 중량%, 0.4 중량%, 0.5 중량%로 변화를 주어 시멘트 복합체 조성물 시료를 제작하고, 각각의 시료에 대해 물/시멘트비(w/c)를 0.3, 0.32, 0.35, 0.40 로 달리하여 플로우(flow)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플로우(flow)를 보면, 탄소섬유가 0.1~0.4 중량%가 혼입될 경우에는 물/시멘트비(w/c)가 증가함에 따라 플로우가 급격히 증가하여 작업성이 양호한 반면에, 탄소섬유의 혼입량이 0.5 중량%인 경우에는 플로우가 다른 시료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아서 작업성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탄소섬유를 0.5 중량%로 혼입한 경우 물/시멘트비(w/c)를 0.4까지 증가시켜도 플로우가 약 118㎜ 수준으로 낮게 확보되기 때문에 시멘트 복합체 제조시 작업성이 매우 나쁘고, 따라서 제조되는 시멘트 복합체의 품질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면서 100Ω·㎝ 이하의 비저항을 갖는 시멘트 복합체를 얻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시멘트 복합체 조성물에 혼입되는 탄소섬유는 시멘트 중량 대비 0.1~0.4인 것이 바람직하며, 경제성을 고려하면 0.1~0.2 중량%가 혼입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는 시멘트에 혼입되는 탄소섬유의 혼입량이 0.1~0.4 중량%인 경우, 탄소나노튜브(CNT)의 혼입량을 시멘트 중량 대비 0.05~0.7 중량%로 변화시켜 시료(specimens)를 제조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물.시멘트비(w/c)는 0.4로 고정하였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 제시된 각각의 시료(specimens)를 큐빅 몰드에 타설하여 기건양생하여 제조한 시멘트 복합체에 대한 전기 비저항값(Electrical resistivity) 및 플로우(flow)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량이 0.05 중량%인 경우에는 비저항값이 20000Ω·㎝ 이상으로 매우 높아서 전기 전도도가 매우 낮고,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량이 0.7 중량%인 경우에는 비저항값은 매우 낮아 전도성은 우수하지만 플로우가 118 이하로 현저하게 낮아져서 유동성이 나빠진다.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량이 0.1~0.5 중량%에서는 비저항값과 플로우가 모두 양호하여 우수한 전기적 성능과 작업성을 가짐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전기적 성능과 작업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CNT)의 혼입량은 시멘트 중량 대비 0.1~0.5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은 시멘트 재료에 전도성 필러로서 나노 소재인 탄소나노튜브(CNT)와 함께 마이크로 소재인 탄소섬유(Carbon fiber)를 혼입하여 구성하되, 탄소섬유를 시멘트 중량 대비 0.1~0.4 중량%로 혼입하고, 탄소나노튜브(CNT)를 시멘트 중량 대비 0.1~0.5 중량%로 혼입함으로써 우수한 전기적 성능과 작업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NT : 탄소나노튜브 CF : 탄소섬유

Claims (4)

  1. 시멘트와, 시멘트 중량 대비 0.5 중량%의 탄소나노튜브와, 시멘트 중량 대비 0.1~0.2 중량%의 탄소섬유와, 실리카퓸(Silica fume)과 유동화제(superplasticizer)를 포함하며,
    양생 후 비저항이 100Ω·㎝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62738A 2016-12-01 2016-12-01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KR10180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738A KR101804202B1 (ko) 2016-12-01 2016-12-01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PCT/KR2017/002797 WO2018101545A1 (ko) 2016-12-01 2017-03-15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US16/465,049 US20190284094A1 (en) 2016-12-01 2017-03-15 Electrically conductive cement-based composite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738A KR101804202B1 (ko) 2016-12-01 2016-12-01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202B1 true KR101804202B1 (ko) 2017-12-06

Family

ID=6092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738A KR101804202B1 (ko) 2016-12-01 2016-12-01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284094A1 (ko)
KR (1) KR101804202B1 (ko)
WO (1) WO2018101545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102B1 (ko) * 2018-11-19 2019-07-15 (주)이스텍 고강도 스마트 투수콘크리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스마트 투수콘크리트 제품
KR20200018892A (ko) * 2018-08-13 2020-02-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도성 필러 및 고분자 필러를 포함하는 셀프힐링 시멘트 복합체
KR102213185B1 (ko) 2019-10-31 2021-02-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파 차폐용 고성능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6779B1 (ko) * 2019-11-08 2021-05-0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도전성 탄소를 포함하여 전자파 차폐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우수한 압축강도를 갖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8498A (ko) * 2019-11-14 2021-05-24 정명준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
KR102303165B1 (ko) * 2020-10-08 2021-09-16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50096A (ko) 2022-01-05 2022-04-2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비저항 측정방법
CN114394851A (zh) * 2022-02-26 2022-04-26 河北工业大学 一种高发热电激养护混凝土结构的制备方法
KR20220055925A (ko) 2020-10-27 2022-05-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파 차폐용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몰탈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316496A1 (en) * 2018-08-02 2021-02-18 Axis Innovation Pty Ltd Heat generating compositions
US11767466B2 (en) 2019-04-17 2023-09-26 Saudi Arabian Oil Company Nanocomposite coated proppa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20214374A1 (en) 2019-04-17 2020-10-22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s of suspending weighting agents in a drilling fluid
US11370951B2 (en) 2019-04-17 2022-06-28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s of suspending weighting agents in a drilling fluid
US11377944B2 (en) 2019-04-17 2022-07-05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s of suspending proppants in hydraulic fracturing fluid
US11370706B2 (en) 2019-07-26 2022-06-28 Saudi Arabian Oil Company Cement slurries, cured cemen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US11643587B2 (en) 2019-08-16 2023-05-09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s of making cement slurries and cured cement and use thereof
WO2021034665A1 (en) 2019-08-16 2021-02-25 Saudi Arabian Oil Company Cement slurries, cured cemen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CN114716198B (zh) * 2022-04-14 2023-06-06 西南交通大学 一种混凝土结构内置式碳纳米管复合传感器与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0647A (zh) * 2013-07-25 2013-12-04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复掺导电材料的导电混凝土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0954A (en) * 1944-10-12 1946-11-12 Permanente Cement Company Silica modified cement
KR20110075871A (ko) * 2009-12-29 2011-07-06 김영일 전도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
US20140060392A1 (en) * 2011-06-16 2014-03-06 Pro Perma Engineered Coatings, Llc Fiber Reinforced Concrete
KR101433650B1 (ko) * 2012-07-17 2014-08-25 유한회사 콘원 탄소섬유 고강도 콘크리트
KR20140134909A (ko) * 2013-05-15 2014-11-25 한국과학기술원 전자파 흡수성능을 갖는 시멘트계 다공성 건설재료
KR101698464B1 (ko) * 2014-12-17 2017-01-20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전도성 시멘트 복합재료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내 염소 침투 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0647A (zh) * 2013-07-25 2013-12-04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复掺导电材料的导电混凝土及其制备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892A (ko) * 2018-08-13 2020-02-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도성 필러 및 고분자 필러를 포함하는 셀프힐링 시멘트 복합체
KR102127983B1 (ko) 2018-08-13 2020-06-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도성 필러 및 고분자 필러를 포함하는 셀프힐링 시멘트 복합체
KR102000102B1 (ko) * 2018-11-19 2019-07-15 (주)이스텍 고강도 스마트 투수콘크리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스마트 투수콘크리트 제품
KR102213185B1 (ko) 2019-10-31 2021-02-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파 차폐용 고성능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6779B1 (ko) * 2019-11-08 2021-05-0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도전성 탄소를 포함하여 전자파 차폐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우수한 압축강도를 갖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1125B1 (ko) * 2019-11-14 2022-02-09 정명준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
KR20210058498A (ko) * 2019-11-14 2021-05-24 정명준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
KR102303165B1 (ko) * 2020-10-08 2021-09-16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55925A (ko) 2020-10-27 2022-05-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파 차폐용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몰탈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8739B1 (ko) * 2020-10-27 2022-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자파 차폐용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몰탈의 제조 방법
KR20220050096A (ko) 2022-01-05 2022-04-2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비저항 측정방법
KR102462809B1 (ko) * 2022-01-05 2022-11-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기비저항 측정방법
CN114394851A (zh) * 2022-02-26 2022-04-26 河北工业大学 一种高发热电激养护混凝土结构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545A1 (ko) 2018-06-07
US20190284094A1 (en)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202B1 (ko)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Chen et al. High‐performance epoxy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three‐dimensional carbon nanotube sponge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Wang et al. Carbon nanotube composite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at low percolation threshold
Kuzhir et al. Epoxy composites filled with high surface area-carbon fillers: Optimization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electric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Wang et al. A material with high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ing effectiveness fabricated us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wrapped with poly (ether sulfone) in a poly (ether ether ketone) matrix
Luo et al. Carbon nanotubes/epoxy resin metacomposites with adjustable radio-frequency negative permittivity and low dielectric loss
Han et al. Fabrication of piezoresistive CNT/CNF cementitious composites with superplasticizer as dispersant
Basuli et al. Electrical properties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effectivenes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reinforced EMA nanocomposites
Baeza et al. Triple Percolation in Concrete Reinforced with Carbon Fiber.
Wang et al.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of silicone rubber filled with nickel coated carbon fiber
Muthusamy et al. Carbon-Fiber Cement-Based Materials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King et al.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y and tensile and flexur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polycarbonate resins
Shehzad et al. Influence of carbon nanotube dimensions on the percolat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nanotube/polymer composites
Li et al. Electrically insulating ZnOs/ZnOw/silicone rubber nanocomposites with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CN108929542B (zh) 一种具有负介电常数的聚二甲基硅氧烷/石墨烯柔性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
Prashantha et al. Electric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filled polypropylene nanocomposites
EP0425711B1 (en) An electrically conductive cement composition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ss prepared from the composition
Zhang et al. Effect of mix proportion and processing method on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ementitious composites with nano/fiber fillers
Gao et al. Multi-walled carbon nanotube induced co-continuity of poly (ether ether ketone)/polyimide blends for high performance conductive materials
Cwirzen Controlling physical properties of cementitious matrixes by nanomaterials
Jang et al. Enhanced electrical heating capability of CNT-embedded cementitious composites exposed to water ingress with addition of silica aerogel
Jang et al. Pressure-aided fabrication of CNT-incorporated composites made with fly ash or slag-blended Portland cement
KR100281697B1 (ko) 도전성 복합물
CN110177840B (zh) 硅橡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Bodnarova et al. Study the effect of carbon nanoparticles in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