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534B1 -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534B1
KR101803534B1 KR1020160087812A KR20160087812A KR101803534B1 KR 101803534 B1 KR101803534 B1 KR 101803534B1 KR 1020160087812 A KR1020160087812 A KR 1020160087812A KR 20160087812 A KR20160087812 A KR 20160087812A KR 101803534 B1 KR101803534 B1 KR 10180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image acquisition
emitting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일수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3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는,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MAGE ACQUISITION}
본원은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무선통신 단말기에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카메라가 구비된 무선통신 단말기(카메라폰)가 공중 화장실이나 목욕탕, 수영장 등에서 몰래 카메라로 사용되고 있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부는 카메라폰의 불법적인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카메라폰으로 사진 촬영 시, 빛을 발산하거나 신호음을 내도록 하여 촬영을 당하는 사람이 현재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적극 유도하고 있으나, 편법 등으로 인해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몰래 카메라를 방지하기 위한, 무선 전파의 신호 세기 검출을 이용하는 무선 검출 방식과 렌즈의 반사 빛을 수동식으로 검출하는 렌즈 검출 방식을 이용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 검출 방식은 전문 FRO 장비와 숙련도를 필요로 하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렌즈 검출 방식은 빨간색 광원을 쏘고 리드 필터(red filter)를 통해 육안으로 밝은 빛을 찾는 방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를 구비해야 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98053호 (등록일: 2006.06.30)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몰래 카메라 촬영에 의한 피해를 근절시킬 수 있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히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것이 아니라 몰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내에 객체가 노이즈로 인해 식별 불가능하도록 하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는,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은,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은,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는 상기 발광부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가 동작하면 상기 소음이 발생되도록 상기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은, 발광부의 광 발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하고,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은,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은,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시마다 교대로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OFF되도록 제어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사용자의 초기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된 다음 OFF되도록 제어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을 발산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발광부를 통해 발산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를 발생시켜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촬영을 방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은 가능하고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은 불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발광부를 통해 발산함으로써, 인간 시야를 교란하지 않으면서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촬영을 방해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시킴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가 노이즈로 인해 정확한 화상을 촬영하지 못하게 하여 몰래 촬영에 의한 피해를 근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광의 불규칙한 주기의 변경에 의해,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을 교란시킴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이미지 획득을 방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광의 불규칙한 주기의 변경에 의해,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이나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등의 수행을 교란시킴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가 노이즈로 인해 정확한 화상을 촬영하지 못하게 하여 몰래 촬영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발광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이미지 획득 장치(200)가 노이즈로 인해 정확한 화상을 촬영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일예로,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촬영을 방해하는 조명 장치일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200)는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장치로서 이미지 획득 모듈, 이미지 센서 등이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200)는 일예로,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아날로그 카메라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이미지 획득 장치(200)는 촬영 등을 통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는 정지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 등의 다양한 이미지 형태일 수 있다.
발광부(110)는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에 포함된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라 함은, 모든 인간이 볼 수 없는 파장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파장 범위는 일부의 사람들은 광 인식이 가능하지만, 나머지 일부의 사람들은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라 함은, 사람마다 광을 인식할 수 있는 범위가 상이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소정의 표준편차 내에 속하는 평균적인 인간에 있어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380nm~780nm의 파장 영역은 가시광선 영역을 나타내고, 380nm 이하의 파장 영역은 자외선 영역을, 780nm 이상의 파장 영역은 적외선 영역을 나타낸다. 이때, 가시광선 영역이라 하더라도 모든 사람들이 380nm~780nm의 파장 영역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사람에 따라 광 인식 범위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획득 장치(200)는 특정 파장 이하의 광(자외선 광) 또는 특정 파장 이상의 광(적외선 광)은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발광부(110)를 통해 인간의 눈에는 잘 보이지 않고,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이미지센서에는 강하게 반응하는 파장의 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200)가 노이즈로 인해 정확히 화상을 촬영 또는 녹화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발광부(110)는,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된 광으로서, 380nm 부근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근자외선 광) 또는 780nm 부근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근적외선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110)는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시광의 파장 범위는 대략 380nm 내지780nm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도 2를 참조하면, 가시광 영역의 파장 범위는 자외선 영역의 파장 범위 및 적외선 영역의 파장 범위와 특정 파장값에서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즉, 가시광의 파장 범위와 자외선의 파장 범위 사이에는 근자외선 영역이 존재하고, 가시광의 파장 범위와 적외선의 파장 범위 사이에도 근적외선 영역이 존재한다. 이러한 근자외선 영역과 근적외선 영역을 고려하였을 때, 가시광의 파장 범위는 좁게는 대략 400nm 내지 680nm, 넓게는 대략 360nm 내지 830nm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발광부(110)를 통해 발산되는 광은,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400nm 이하의 파장의 광이더라도 적어도 일부 사람들에게는 광이 인식될 수 있고, 680nm 이상의 파장의 광이더라도 적어도 일부 사람들에게는 광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수치범위에 속한 파장을 갖는 광의 경우, 광을 인식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명확한 인식은 어려운 수준일 수 있고, 자극의 정도가 낮을 수 있다.
발광부(110)는 발광소자로서 일예로 엘이디(LED)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발광부(110)는 본원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예로, 발광부(11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광을 발산하도록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10)의 구비 개수, 구비 형태 등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110)의 구비 형태, 구비 개수 등은 후술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발광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해진 패턴은,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발광부(110)가 불규칙한 주기로 변경되는 정해진 패턴의 광을 발산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자동 초점 기능 및 자동 노출 조절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능 수행을 교란할 수 있다. 즉, 정해진 패턴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이미지 획득 장치(20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에 의해 변경되는 정해진 패턴은,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일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120)에 의하여 불규칙하게 변경될 수 있다.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이라 함은, 광 밝기의 정도가 변화되는 패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광의 밝기 파라미터 및 광 밝기의 변화 속도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은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점멸되는 변화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밝기 값 파라미터는 100 → 62 → 0 → 45 -> 22 -> 3 -> 80과 같이 불규칙하게(무작위로) 제어부(120)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에 의해 불규칙하게 변경되는 정해진 패턴에는, 발광부(110)를 통해 근자외선 광과 근적외선 광이 교번하여 발산되는 주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자외선 광과 근적외선 광의 교번 발산도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자외선 광이 2회 발산되고 근적외선 광이 1회 발산되고 다시 근자외선 광이 4회 발산되는 등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상이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이 불규칙한 주기로 교번하여 발산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제어부(120), 발광부(110)의 밝기 파라미터, 밝기의 변화 속도 파라미터, 점멸 ON/OFF, 점멸되는 주기 및 근자외선 광과 근적외선 광의 발산 교번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발광부(110)가 불규칙한 주기의 패턴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에 의해 변경되는 정해진 패턴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또는 오버플로우)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버튼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130)는 발광부(110)에 대한 제어부(120)의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버튼부(130)는 물리적 버튼, 터치식 버튼 등을 포괄하는 개념의 버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의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로는 제1 동작 모드에 관한 신호와 제2 동작 모드에 관한 신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발광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동작 모드는 버튼부(130)의 입력시마다 교대로 발광부(110)의 동작이 ON/OFF 되는 토글형 동작 모드로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130)가 입력될 때마다 발광부(110)가 교대로 ON/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버튼부(130)를 한번 클릭한 경우에는 발광부(110)가 ON 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사용자가 다시 한번 버튼부(130)를 클릭한 경우에는 발광부(110)가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동작 모드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발광부(110)가 ON 되는 타이머형 동작 모드로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초기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부(110)의 동작이 ON 된 다음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입력이라 함은 동작 모드에 대한 초기 설정 입력 또는 기설정된 시간에 대한 초기 설정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의 초기 입력 값이 제2 동작 모드이고, 기설정된 시간의 초기 입력 값이 20초인 경우라 가정하자. 이때,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버튼부(130)를 한번 클릭한 경우 20초 동안에만 발광부(110)가 ON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후 20초 후에는 자동으로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10)가 제2 동작 모드(타이머형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중에 버튼부(130)에 대한 클릭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발광부(110)가 제2 동작 모드로 ON 되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버튼부(130)에 대한 클릭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됨과 동시에 발광부(110)가 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버튼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 유지된 것(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누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작 모드인 상태에서 버튼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이상으로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제1 동작 모드를 제2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 제2 동작 모드인 상태에서 버튼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이상으로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제2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제2 동작 모드 시 동작하는 시간(즉, 기설정된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타이머 설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 설정부(미도시)는 터치식, 버튼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상태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미도시)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에 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때, 상태 표시부는 상태를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에 대한 동작 제어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태 표시부(미도시)는 타이머 설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태 표시부는 제2 동작 모드의 동작 시간(예를 들어 20초)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동작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는 현재의 동작 모드 상태(예를 들어, 제1 모드인지 또는 제2 모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는 후술할 배터리부(140)의 배터리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상태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동작 모드의 전환 시 기준이 되는 버튼부(130)의 누름 시간(예를 들어 3초)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배터리부(140)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배터리부(140)에 의하여, 제어부(120)는 버튼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부(140)의 잔량 정보는 상태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배터리 충전 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부(140)는 배터리 충전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 발생부는 발광부(110)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구비된 사운드(소리) 기록 모듈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20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사운드 기록 모듈(예를 들어, 녹음기 등)에 의한 녹음을 방해할 수 있다. 소음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사운드 기록 장치(모듈)에 의한 사운드 기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교란 또는 방해하는 사운드(소리)로 설정될 수 있다. 소음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소음 발생부의 동작시 사운드 기록 장치 내지 모듈에 기록되는 사운드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기록된 사운드의 인식 내지 분간이 어려워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발생부는 사운드 기록 장치(모듈)에 의한 사운드 기록을 교란 또는 방해하는 패턴(주파수, 진폭 등의 설정 패턴)으로 소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발생부는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대부분)의 인간의 귀에는 인식이 불가능하지만(또는 인식 가능하더라도 아주 미미하지만) 사운드 기록 장치(모듈)는 인식 가능한 영역의 소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소음 발생부가 동작하더라도 사용자가 그에 따른 소음 인식이 미미해 소음 발생부 이용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발광부(110)가 동작하면,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예를 들어, 화이트 노이즈)이 발생되도록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녹화 뿐만 아니라 녹음(녹취)도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발광부(110)가 동작하는 동안에(즉 발광부(110)로부터 광이 발산되는 동안에),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소음 발생부(미도시)에 대한 제어부(120)의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음량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음량 스위치(미도시)는 물리적 버튼, 터치식 버튼 등을 포괄하는 개념의 스위치(또는 버튼)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음량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부의 동작 ON/OFF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소음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의 음량 크기(예를 들어, 단계별 음량 크기, 무음 등)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클립형, 목걸이형, 휴대용 단말기 액세서리형, 팔찌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인간의 눈에는 잘 감지되지 않고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이미지 센서에는 인식이 가능한(반응하는) 근자외선 또는 근적외선의 파장을 발광부(110)를 통해 발산함으로써, 몰래 촬영을 시도하는 사용자에게는 이미지 확득의 방해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고, 몰래 촬영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대해서는 너무 밝은 광원으로 인하여 노이즈(오버플로우)에 의해 정확한 이미지(화상)가 획득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는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예를 들어, 밝기 파라미터, 밝기 변화 속도 파라미터, 점멸 ON/OFF, 근자외선과 근적외선의 교번 점멸 주기 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자동 초점 기능이나 자동 노출 조절 기능에 대한 수행을 교란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200)가 정확한 화상을 획득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의 다양한 구현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3(b)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본체(10), 발광부(20), 버튼부(30), 전원 스위치(40), 배터리 충전 단자(50) 및 상태 표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20), 버튼부(30), 배터리 충전 단자(50) 및 상태 표시부(60)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발광부(110), 버튼부(130), 배터리 충전 단자(미도시) 및 상태 표시부(미도시)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제어부(120), 배터리부(140), 소음 발생부(미도시) 및 음량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에 보다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전원 스위치(40)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의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발광부(20)가 본체(10)의 일면에 1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전원 스위치(40)가 ON 되면, 발광부(20)는 버튼부(30)를 통해 입력된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예를 들어, 제1 동작 모드 또는 제2 동작 모드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또는, 정해진 패턴으로서, 미리 설정된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광을 발산할 수 있다.
한편, 도 3(c)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전후면에 대하여 광 발산이 가능하도록, 2개의 발광부(20a, 20b)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화장실 등에서 몰래 촬영시에는, 화장실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서 이미지 획득 장치(200)를 통해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양 방향(위쪽 또는 아래쪽)에서의 이미지 획득이 방해되도록, 2개의 발광부(20a, 20b)를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는 도 3에 도시된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에서 발광부(20)의 개수 및 배치 구조만 다를 뿐 다른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4(b)는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는 복수의 발광부(20, 21, …, 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발광부(20, 21, …, 27)는 버튼부(30)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20, 21, …, 27)는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의 전면을 향해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발광부(20, 21, …, 27)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 발산(사방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발광부(20, 21, …, 27) 중 적어도 일부의 발광부가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c)는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는 전후면에 대하여 광 발산이 가능하도록, 전후면 각각에 복수의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400)의 경우, 전면에는 복수의 발광부(20a, 21a, …, 27a)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전면에 구비된 발광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발광부(20b, 21b, …, 27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30a, 30b) 또한 전후면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발광부(20)의 개수, 배열 형태 및 각 구성들의 배치 구조 등은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5는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일예로 클립형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의류 등에 쉽게 탈부착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클립 부재(70)가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300)는 클립형 외에, 목걸이 팬던트형,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 가능한 액세서리형, 팔찌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은 앞서 설명된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 300, 4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 300, 4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은 앞서 설명된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 300, 400)의 제어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10에서는, 버튼부(130)를 통해, 발광부(110)의 광 발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620에서는, 제어부(120)를 통해, 단계S610에서 입력된 신호 입력에 기초하여 발광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S610에서 제어부(120)는 발광부(110)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정해진 패턴은,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정해진 패턴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패턴은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정해진 패턴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일 수 있다.
또한, 단계S620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시마다 교대로 발광부(110)의 동작이 ON/OFF되도록 제어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사용자의 초기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부(110)의 동작이 ON된 다음 OFF되도록 제어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발광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단계S620에서 제어부(120)는 소음 발생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발광부(110)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630에서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기초하여 발광부(11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10)를 통해 발산되는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발광부(110)는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10)는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단계S630에서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음 발생부는 외부의 사운드 기록 장치(모듈)에 의한 사운드 기록을 교란 또는 방해하는 형태(패턴)의 소음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S610 내지 단계S630을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100, 300, 400)는 이미지 획득 장치(200)에 의한 이미지 획득을 방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3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300, 400: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110: 발광부 120: 제어부
130: 버튼부 140: 배터리부

Claims (21)

  1.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시마다 교대로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OFF되도록 제어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사용자의 초기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된 다음 OFF되도록 제어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광의 밝기 변화에 관한 패턴인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인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소음 발생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가 동작하면 상기 소음이 발생되도록 상기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11. 발광부의 광 발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광은,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시마다 교대로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OFF되도록 제어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사용자의 초기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발광부의 동작이 ON된 다음 OFF되도록 제어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은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속성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변경하고,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광의 속성을 불규칙한 주기에 따라 변경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자동 초점 기능, 자동 노출 조절 기능 및 획득한 이미지의 후보정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수행이 교란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패턴은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광이 불규칙적인 주기에 따라 점멸되는 패턴인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근자외선 영역의 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광 중 인간 시야를 통한 광 인식이 불가능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의 광을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400nm 이하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및 680nm 이상의 파장이되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에 의한 인식이 가능한 파장 범위를 갖는 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에 관한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입력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소음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을 발산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 발생부를 통해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이미지 획득 방해 방법.
  21. 제11항 내지 제17항, 제19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87812A 2016-07-12 2016-07-12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 KR10180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12A KR101803534B1 (ko) 2016-07-12 2016-07-12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12A KR101803534B1 (ko) 2016-07-12 2016-07-12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534B1 true KR101803534B1 (ko) 2017-11-30

Family

ID=6081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812A KR101803534B1 (ko) 2016-07-12 2016-07-12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17B1 (ko) * 2018-10-09 2019-05-10 대한민국 불법 촬영 방지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213A (ja) * 2002-09-18 2004-04-08 Sony Corp 照明装置及び照明方法
JP2009512025A (ja) * 2005-10-07 2009-03-19 オークトエヌワイシー 19 エルエルシー 劇場公演から生ずるコンテンツ信号の検出および阻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213A (ja) * 2002-09-18 2004-04-08 Sony Corp 照明装置及び照明方法
JP2009512025A (ja) * 2005-10-07 2009-03-19 オークトエヌワイシー 19 エルエルシー 劇場公演から生ずるコンテンツ信号の検出および阻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17B1 (ko) * 2018-10-09 2019-05-10 대한민국 불법 촬영 방지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8927B2 (en) Mobile terminal iris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having human-computer interaction mechanism
JP4808420B2 (ja) 目の検出を利用した電子装置の制御および電力管理
WO2018177311A1 (zh) 视线追踪装置及头戴式显示设备
JP5354008B2 (ja) 切替装置、切替方法、及び電子機器
WO2016147272A1 (ja) 生体検知装置、生体検知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5979967B2 (ja) 被写体検出機能を備えた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40196399A1 (en) Device incorporating retina tracking
CN103620535A (zh) 信息输入装置
CN106462240A (zh) 用于提供触觉反馈以辅助捕获图像的***和方法
JP2006280938A (ja) 安全な眼球検出
CN107209551A (zh) 通过眼具的注视跟踪
CN104159360A (zh) 照明控制方法、装置及设备
CN105359502B (zh) 追踪装置、追踪方法以及存储了追踪程序的非易失性存储介质
US9380270B1 (en) Skin detection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JPWO2015136675A1 (ja) 検知装置、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164480A (ko) 다중 광학 경로 이미징 기법들 및 능동 심도 감지 기법들을 위한 공유된 이미터
CN108968972B (zh) 柔性疲劳检测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170009743A (ko) 발광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034151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803534B1 (ko) 이미지 획득 방해 장치 및 방법
KR101733553B1 (ko) 눈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29553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3448387A (zh) 一种可穿戴设备
JP2006141589A (ja) 個人認証装置及び個人認証方法
JP3296119B2 (ja) 車両用視線方向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