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306B1 -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306B1
KR101803306B1 KR1020160102392A KR20160102392A KR101803306B1 KR 101803306 B1 KR101803306 B1 KR 101803306B1 KR 1020160102392 A KR1020160102392 A KR 1020160102392A KR 20160102392 A KR20160102392 A KR 20160102392A KR 101803306 B1 KR101803306 B1 KR 10180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xternal
internal
sound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Priority to KR102016010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306B1/ko
Priority to US16/321,910 priority patent/US10764669B2/en
Priority to DE112016007138.8T priority patent/DE112016007138T5/de
Priority to CN201680088172.6A priority patent/CN109565625B/zh
Priority to JP2019504913A priority patent/JP2019523604A/ja
Priority to PCT/KR2016/013994 priority patent/WO2018030589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04R25/305Self-monitoring or self-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귀 내부에서 생성된 내부음성을 수음하여 내부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마이크로폰과, 성대에서 구강밖으로 전달된 외부음성과 외부소음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외부음향을 수음하여 외부음향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마이크로폰과, 내부음성신호와 외부음향신호의 비교를 통해 외부소음의 크기를 판단하여 경보신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경보신호에 대응하여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마이크로폰과 외부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소음 존재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고음질 재생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밀착상태에 대한 경보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알맞게 재착용함으로써, 재생 음향이 새어 나가거나 외부소음이 새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저음이 강화된 고음질을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tate of wearing earphone}
본 발명은 이어폰의 착용상태를 감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어폰이 외이도에 밀착된 정도의 상태를 알려주는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크게, 오픈형 이어폰과 커널형 이어폰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오픈형 이어폰은 저음이 많이 새어 나가는 구조를 갖고 있어, 최근 커널형 이어폰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커널형 이어폰은 외이도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착용감이 우수하고, 외이도에 밀착됨에 따라 저음이 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커널형 이어폰은 귀의 외이도 형상을 고려하여 제작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개인마다 외이도의 크기 및 모양이 다르므로 자신에게 꼭 맞는 커널형 이어폰을 고르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커널형 이어폰을 포함하여 통상의 이어폰을 귀(귓속)에 압박하였을 경우 저음이 강화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즉, 이어폰이 귀에 밀착되는 정도에 따라 저음 재생의 강도가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이도와 이어폰의 밀착이 견고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음질 재생을 기대하기 어렵다. 게다가 새어 나가는 음량을 보상하기 위해 볼륨을 높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귀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 즉, 소음성 난청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외이도와 이어폰의 밀착이 견고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소음이 새어 들어오게 되므로,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제대로 듣기 위해 볼륨을 높이는 경향이 있다. 즉, 외부소음이 강할 경우에도 볼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고음질 재생에는 외부소음이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기존에 외부소음을 측정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외부소음을 측정하는 마이크로폰이 사람의 음성과 외부소음을 함께 수음함으로 인해 사람의 음성과 외부소음을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외부소음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음질개선에 한계가 있었다.
한번 손상된 청각세포는 치료나 회복이 어려우므로, 적절한 볼륨에서 고음질의 재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이 귀에 알맞게 착용(밀착)되었는지 알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외부소음의 정확한 측정을 통해, 통화 시 또는 음악감상 시에 음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도 필요하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1442450호, 공고일 2014.10.30. "소음제거시스템 및 방법, 지능제어방법 및 장치, 통신설비"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목소리가 생성되는 시점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목소리와 외부소음을 구분하고, 외부소음의 측정값으로부터 이어폰의 밀착 상태를 판단하여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귀 내부에서 생성된 내부음성을 수음하여 내부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마이크로폰; 성대에서 구강밖으로 전달된 외부음성과 외부소음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외부음향을 수음하여 외부음향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마이크로폰; 상기 내부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향신호의 비교를 통해 상기 외부소음의 크기를 판단하여 경보신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보신호에 대응하여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음성이 생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내부음성 생성여부 판단부; 상기 내부음성이 생성되었을 경우, 상기 외부음향신호와 상기 내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외부음향에 외부소음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음 존재여부 판단부; 상기 외부소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내부음성신호로부터 원래음성을 복원하여 복원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음성 복원부; 상기 복원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향신호의 차, 상기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된 시간 이외의 상기 외부음향신호로부터 외부소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소음크기 측정부; 측정된 소음크기를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에서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경보신호 발생부; 및 상기 외부음향에 상기 외부소음이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측정된 소음크기를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 미만에서 상기 내부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는 음향처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음성 복원부는, 입력된 초협대역 신호(Super-Narrowband signal)로부터 여기신호(excitation signal)를 결정하는 제1 선형 예측 분석부; 결정된 상기 여기신호를 스펙트럼 폴딩 기법 또는 가우시안 노이즈 통과대역 변환 기법을 통해 광대역 여기신호를 출력하여 소리를 생성하는 여기신호 확장부; 상기 초협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배가시켜 고주파 대역 신호를 포함하는 광대역 신호로 확장시키는 고주파 스펙트럼 확장부; 확장된 상기 광대역 신호로부터 고주파 대역 신호를 추정 및 결정하는 제2 선형 예측 분석부; 상기 고주파 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상기 필터링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대역 신호와 상기 여기신호 확장부로부터 출력된 광대역 여기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 및 상기 합성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와 초협대역 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귀 내부에서 생성된 내부음성을 수음하여 생성된 내부음성신호를 내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받고, 성대에서 구강밖으로 전달된 외부음성과 외부소음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외부음향을 수음하여 생성된 외부음향신호를 외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내부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향신호로부터 상기 외부소음의 존재 및 크기를 판단하여 경보신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내부 마이크로폰에서 생성된 협대역 저주파 신호를 초과하는 신호를 외부소음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음성이 생성되면, 상기 성대에서 구강밖으로 전달되어 생성된 외부음성신호와 상기 내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외부소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소음이 존재하면, 상기 내부음성신호로부터 원래음성신호를 복원한 후, 상기 복원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소음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소음크기에 대응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상기 복원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고; 상기 외부소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내부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음성이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음향이 생성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외부음향이 존재하면, 상기 외부음향인 소음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소음크기에 대응하여 경보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내부 마이크로폰과 외부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소음 존재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고음질 재생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밀착상태에 대한 경보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알맞게 재착용함으로써, 재생 음향이 새어 나가거나 외부소음이 새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저음이 강화된 고음질을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어폰의 재착용에 따라 저음이 강화된 고음질을 재생할 수 있으므로 볼륨을 높이지 않아도 되어 청각세포를 포함한 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음성 복원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음성이 생성될 경우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내부음성과 외부소음이 함께 생성되는 경우의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음성이 생성되지 않을 경우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내부음성과 외부소음이 별도로 생성되는 경우의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귀 내부에서 생성된 내부음성을 수음하여 내부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마이크로폰(1)과, 성대에서 구강밖으로 전달된 외부음성과 외부소음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외부음향을 수음하여 외부음향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마이크로폰(2)과, 내부음성신호와 외부음향신호의 비교를 통해 외부소음 크기를 판단하여 경보신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3)와, 경보신호에 대응하여 경보하는 경보부(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이어폰에 내부 마이크로폰(1)과 외부 마이크로폰(2)을 설치하고, 내부 마이크로폰(1)으로부터 귀 내부에서 생성된 내부음성을 수음하여 내부음성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외부 마이크로폰(2)에서는 성대에서 구강밖으로 전달된 외부음성을 수음하여 외부음향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 때,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되는 시점에 외부소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외부음향신호에는 외부소음이 포함되게 된다. 한편, 제어부(3)에서는 내부음성신호와 외부음향신호의 비교를 통해 외부소음의 크기를 판단하고, 외부소음의 크기에 따라 경보신호 발생여부를 결정한다. 제어부(3)에서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경우에는 경보부(4)에서 이어폰으로 경보음을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3)는, 내부음성이 생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내부음성 생성여부 판단부(31)와, 내부음성이 생성되었을 경우, 외부음향신호와 내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외부음향에 외부소음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음 존재여부 판단부(32)와, 외부소음이 포함된 경우에 내부음성신호로부터 원래음성을 복원하여 복원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음성 복원부(33)와, 복원음성신호와 외부음향신호의 차,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된 시간 이외의 외부음향신호로부터 외부소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소음크기 측정부(34)와, 측정된 소음크기를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에서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경보신호 발생부(35)와, 외부음향에 외부소음이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측정된 소음크기를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 미만에서 내부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는 음향처리부(3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어부(3)는, 먼저 내부음성 생성여부 판단부(31)에서 내부음성이 생성되는지 판단한다. 내부음성이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은 사용자가 음성을 발성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내부음성신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외부소음은 생성되어 외부음향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소음만 존재하게 되므로, 외부음향신호를 소음크기 측정부(34)로 전달하여 소음크기를 측정하게 한다. 이에 소음크기 측정부(34)에서 소음크기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경보신호 발생부(35)에서 경보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한편, 소음크기 측정부(34)에서 소음크기가 설정값 미만이라고 판단하면, 경보신호는 생성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내부음성이 생성될 경우에는, 외부음향도 반드시 생성되게 된다. 이 때, 외부음향에 외부소음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에, 소음 존재여부 판단부(32)에서는 외부음향신호와 내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외부음향에 외부소음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외부소음 포함여부는 조용한 곳 또는 방음이 갖춰진 곳에서 발성을 통해 얻어진 외부음향신호와 내부음성신호의 차를 기준값으로 하여 일정범위를 초과할 경우, 외부소음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음향신호와 내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외부소음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나, 내부음성 주파수는, 사람마다 미미한 차이가 있으나, 협대역 저주파 신호이므로 내부음성 주파수를 초과하는 고주파는 소음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는 내부 마이크로폰(1)만으로도 외부소음 측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만약, 외부음향에 외부소음이 포함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음향처리부(36)를 구동시켜 내부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도록 한다. 한편, 외부음향에 외부소음이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내부음성 복원부(33)를 통해 내부음성신호로부터 원래음성을 복원하여 복원음성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소음크기 측정부(34)에서 복원음성신호와 외부음향신호의 차를 측정하여, 소음크기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경보신호 발생부(35)에서 경보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한편, 소음크기 측정부(34)에서 소음크기가 설정값 미만이라고 판단하면, 음향처리부(36)를 구동시켜 복원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음성 복원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부음성 복원부(33)는, 입력된 초협대역 신호(Super-Narrowband signal)로부터 여기신호(excitation signal)를 결정하는 제1 선형 예측 분석부(331)와, 결정된 여기신호를 스펙트럼 폴딩 기법 또는 가우시안 노이즈 통과대역 변환 기법 등을 통해 광대역 여기신호를 출력하여 소리를 생성하는 여기신호 확장부(332)와, 초협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배가(N배)시켜 고주파 대역 신호를 포함하는 광대역 신호로 확장시키는 고주파 스펙트럼 확장부(333)와, 확장된 광대역 신호로부터 고주파 대역 신호를 추정 및 결정하는 제2 선형 예측 분석부(334)와, 제2 선형 예측 분석부(334)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335)와, 필터링부(335)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대역 신호와 여기신호 확장부(332)로부터 출력된 광대역 여기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336)와, 합성부(336)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와 초협대역 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33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내부음성 복원부(33)는, 고주파 크게 입력된 초협대역 신호(Super-Narrowband signal)로부터 확장된 여기신호(excitation signal)와 초협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배가시켜 확장시키고 필터링한 고주파 대역 신호를 합성하여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고주파 신호 생성부와, 고주파 신호와 초협대역 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337)로 구성되어 있다.
고주파 스펙트럼 확장부(333)는 일례로서, 초협대역 신호(0 ~ 2KHz)를 2배로 업샘플링하면, 업샘플링된 신호는 4KHz에서 샘플링된다. 이에 고주파 스펙트럼 확장부(333)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0 ~ 4KHz 대역과 동일하고, 고주파 대역인 4 ~ 8KHz에서는 입력 신호의 폴딩된 버전과 동일한 스펙트럼을 갖게 된다. 이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고주파 대역 신호를 추정하게 된다. 이에, 필터링부(335)에서는 4 ~ 8KHz 대역의 음성 신호를 추출하게 된다. 이후, 합성부(336)에서는 0 ~ 4KHz 대역의 음성 신호와 4 ~ 8KHz 대역의 음성 신호의 합성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합성부(336)에서 출력된 고주파 음성과 확장 이전의 초협대역 신호(0 ~ 2KHz)를 믹싱하여 최종적으로 고음역을 복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부음성 복원부(33)는, 초협대역 신호(Super-Narrowband signal)가 내부 마이크로폰(1)으로 입력되더라도 고음역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고음 복원 알고리즘은 0 ~ 4KHz를 8KHz 까지 확장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내부 마이크로폰(1)으로 입력되는 2KHz 미만의 초협대역 신호에 대해 복원이 이루어지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연산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음역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형 예측 부호화 기반 알고리즘을 통해 주파수를 예측하여 확장시키는 연산은 수행하지 않으며, 고주파 스펙트럼 확장(High Frequency Spectrum Extension)을 통해 단순 주파수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주파수를 예측해서 실시간으로 만들어서 확장시키는 연산은 생략하고, 정류기(rectifier), 스펙트럼 폴딩(spectral folding), 변환(modulation) 기법을 사용해서 주파수만 확장시킨다. 이에 연산량이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주파 스펙트럼 확장부(333)에서 단순히 주파수만 확장시킴으로써 광대역 신호가 출력되면, 이에 대해 선형 예측 분석을 수행한 후, 선형 예측 모델링을 통한 주파수 확장을 수행하지 않고 필터를 사용하여 단순 필터링만을 수행한다. 즉, 대역폭 확장 없이 원음(고음역)에 근접한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후, 필터링된 결과와 여기신호가 확장된 결과를 합성하면 고주파 신호가 생성된다. 이어서, 마지막으로 고주파 신호와 내부 마이크로폰(1)을 통해 입력받은 초협대역 신호를 믹싱하면 고음역이 복원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마이크로폰(1)과 외부 마이크로폰(2)의 구동에 대응하여, 내부 마이크로폰(1)에서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내부음성을 수음하고, 외부 마이크로폰(2)에서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외부음성과 외부소음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외부음향을 수음한다.
이 때, 내부음성이 생성되면, 외부음성신호와 내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외부소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외부소음 존재여부 판단에 있어, 내부 마이크로폰(1)의 단독 동작에 의해 외이도에서 생성되는 협대역 저주파 신호를 초과하는 신호(고주파)를 외부소음으로 간주할 수 있다.
외부소음이 존재할 경우에는, 내부음성신호로부터 원래음성신호를 복원한 후, 복원음성신호와 외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소음크기를 측정하고, 소음크기에 대응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복원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도록 한다. 한편, 내부음성이 생성되는 시점에 외부소음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부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도록 한다.
한편, 내부음성이 생성되지 않으면, 다음으로 외부음향이 생성되는지 판단하고, 외부음향(외부소음)이 존재하면, 소음크기를 측정하고, 소음크기에 대응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①로 리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음성이 생성될 경우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음성이 생성되면, 내부 마이크로폰(1)에서는 내부음성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되면, 반드시 외부음성신호도 생성되게 된다. 이는, 외이도를 통해 전달되는 내부음성과, 성대에서 구강밖으로 전달되는 외부음성이 함께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음성이 생성되는 시점에 외부소음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외부음향이 외부음성과 외부소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음성이 생성되는 시점에 외부소음이 생성되는지 여부는, 외부음성신호와 내부음성신호의 차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외부음성신호와 내부음성신호의 차가 설정값 미만일 경우에는 외부소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외부음성신호와 내부음성신호의 차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외부소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외부소음이 존재할 경우에는, 내부음성신호로부터 원래음성신호를 복원한 후, 복원음성신호와 외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소음크기를 측정한다. 소음크기 측정 결과, 소음크기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시키고, 소음크기가 설정값 미만일 경우에는 복원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도록 한다.
한편, 내부음성이 생성되는 시점에 외부소음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부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음성이 생성되지 않을 경우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부음성이 생성되는 시점과 외부음향이 생성되는 시점이 다를 경우는, 즉 외부음향만 생성되는 경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소음만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이 경우에는 외부음향(외부소음)에 대해 즉시 소음크기를 측정한다. 소음크기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시키고, 소음크기가 설정값 미만일 경우에는 ①로 리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해당 기술을 이어폰, 헤드셋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외부소음을 활용하여 통화 시 또는 음악감상 시에 음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외부와 물리적으로 차단되어 설치된 내부 마이크로폰(1)과, 외부에 설치된 외부 마이크로폰(2)을 이용하여 외부소음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음질의 재생, 외부소음 크기에 따른 경보발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내부 마이크로폰 2 : 외부 마이크로폰
3 : 제어부 31 : 내부음성 생성여부 판단부
32 : 소음 존재여부 판단부 33 : 내부음성 복원부
34 : 소음크기 측정부 35 : 경보신호 발생부
36 : 음향처리부 4 : 경보부

Claims (8)

  1. 귀 내부에서 생성된 내부음성을 수음하여 내부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마이크로폰;
    성대에서 구강밖으로 전달된 외부음성과 외부소음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외부음향을 수음하여 외부음향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마이크로폰;
    상기 내부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향신호의 비교를 통해 상기 외부소음의 크기를 판단하여 경보신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보신호에 대응하여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음성이 생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내부음성 생성여부 판단부;
    상기 내부음성이 생성되었을 경우, 상기 외부음향신호와 상기 내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외부음향에 외부소음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음 존재여부 판단부;
    상기 외부소음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내부음성신호로부터 원래음성을 복원하여 복원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내부음성 복원부;
    상기 복원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향신호의 차, 상기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된 시간 이외의 상기 외부음향신호로부터 외부소음의 크기를 측정하는 소음크기 측정부;
    측정된 외부소음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에서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경보신호 발생부; 및
    상기 외부음향에 상기 외부소음이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측정된 외부소음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 미만에서 상기 내부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는 음향처리부를 포함하며:

    이어폰이 귀에 밀착되어 착용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상기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상태에서 상기 외부소음이 발생되면, 상기 외부소음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의 재착용 여부를 경보로서 안내하며;
    상기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될 때 상기 외부소음이 존재하면, 상기 내부음성신호로부터 원래음성신호를 복원한 후, 복원된 복원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외부소음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외부소음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의 재착용 여부를 경보로서 안내하거나, 상기 복원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며;
    상기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될 때 상기 외부소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내부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는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음성 복원부는,
    입력된 초협대역 신호(Super-Narrowband signal)로부터 여기신호(excitation signal)를 결정하는 제1 선형 예측 분석부;
    결정된 상기 여기신호를 스펙트럼 폴딩 기법 또는 가우시안 노이즈 통과대역 변환 기법을 통해 광대역 여기신호를 출력하여 소리를 생성하는 여기신호 확장부;
    상기 초협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배가시켜 고주파 대역 신호를 포함하는 광대역 신호로 확장시키는 고주파 스펙트럼 확장부;
    확장된 상기 광대역 신호로부터 고주파 대역 신호를 추정 및 결정하는 제2 선형 예측 분석부;
    상기 고주파 대역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상기 필터링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대역 신호와 상기 여기신호 확장부로부터 출력된 광대역 여기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 및
    상기 합성부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와 초협대역 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를 포함하는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4. 제어부에서,
    귀 내부에서 생성된 내부음성을 수음하여 생성된 내부음성신호를 내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받고, 성대에서 구강밖으로 전달된 외부음성과 외부소음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외부음향을 수음하여 생성된 외부음향신호를 외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내부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향신호로부터 상기 외부소음의 존재 및 크기를 판단하여 경보신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어폰이 귀에 밀착되어 착용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상기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상태에서 상기 외부소음이 발생되면, 상기 외부소음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의 재착용 여부를 경보로서 안내하며,
    상기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될 때 상기 외부소음이 존재하면, 상기 내부음성신호로부터 원래음성신호를 복원한 후, 복원된 복원음성신호와 외부음성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외부소음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외부소음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의 재착용 여부를 경보로서 안내하거나, 상기 복원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며,
    상기 내부음성신호가 생성될 때 상기 외부소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내부음성신호 및 외부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음향처리하는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이크로폰에서 생성된 협대역 저주파 신호를 초과하는 신호를 외부소음으로 간주하는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02392A 2016-08-11 2016-08-11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80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392A KR101803306B1 (ko) 2016-08-11 2016-08-11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16/321,910 US10764669B2 (en) 2016-08-11 2016-11-30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earphone wearing state
DE112016007138.8T DE112016007138T5 (de) 2016-08-11 2016-11-30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tragezustandes eines ohrhörers
CN201680088172.6A CN109565625B (zh) 2016-08-11 2016-11-30 耳机佩戴状态监测装置及方法
JP2019504913A JP2019523604A (ja) 2016-08-11 2016-11-30 イヤホン着用状態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
PCT/KR2016/013994 WO2018030589A2 (ko) 2016-08-11 2016-11-30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392A KR101803306B1 (ko) 2016-08-11 2016-08-11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306B1 true KR101803306B1 (ko) 2017-11-30

Family

ID=6081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392A KR101803306B1 (ko) 2016-08-11 2016-08-11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64669B2 (ko)
JP (1) JP2019523604A (ko)
KR (1) KR101803306B1 (ko)
CN (1) CN109565625B (ko)
DE (1) DE112016007138T5 (ko)
WO (1) WO201803058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578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20262835A1 (ko) * 2019-06-28 2020-12-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
WO2022080612A1 (ko) * 2020-10-12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1249B (zh) * 2020-04-07 2022-09-30 江苏紫米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耳机入耳状态的检测方法、装置、耳机及存储介质
KR20220015833A (ko) * 2020-07-31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3473280B (zh) * 2021-05-17 2022-11-29 安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耳机及其佩戴状态的检测方法
US20240016663A1 (en) * 2022-07-14 2024-01-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es,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onitoring audio protector f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9077A1 (en) * 2006-12-18 2010-05-13 Phonak Ag Active hearing prot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60A (ja) * 1997-06-11 1999-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温風暖房機
JPH1124690A (ja) 1997-07-01 1999-01-29 Sanyo Electric Co Ltd 話者音声抽出装置
KR100598614B1 (ko) 2004-08-23 2006-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각적 가중필터를 이용한 음성신호의 광대역 확장시스템및 방법
WO2006033104A1 (en) * 2004-09-22 2006-03-30 Shalon Ventures Resear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odifying behavior
KR100892095B1 (ko) 2007-01-23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셋에서 송수신 음성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JP5691618B2 (ja) * 2010-02-24 2015-04-01 ヤマハ株式会社 イヤホンマイク
EP2482566B1 (en) * 2011-01-28 2014-07-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generating an audio signal
US9100756B2 (en) * 2012-06-08 2015-08-04 Apple Inc. Microphone occlusion detector
CN205283773U (zh) * 2015-12-18 2016-06-01 山东亿诺赛欧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入耳式耳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9077A1 (en) * 2006-12-18 2010-05-13 Phonak Ag Active hearing protec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578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20262835A1 (ko) * 2019-06-28 2020-12-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
WO2022080612A1 (ko) * 2020-10-12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6007138T5 (de) 2019-04-25
US20200107104A1 (en) 2020-04-02
WO2018030589A2 (ko) 2018-02-15
CN109565625B (zh) 2021-01-08
US10764669B2 (en) 2020-09-01
WO2018030589A3 (ko) 2018-03-29
CN109565625A (zh) 2019-04-02
JP2019523604A (ja)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306B1 (ko) 이어폰 착용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106310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US20230156418A1 (en) Acoustic sealing analysis system
US97062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JP2004514327A (ja) 電気通信網における電話リンクの会話品質の測定
CN105491495B (zh) 基于确定性序列的反馈估计
US202201506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US10034087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for listening devices
Bouserhal et al. In-ear microphone speech quality enhancement via adaptive filtering and artificial bandwidth extension
US202201226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WO20081281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US9245538B1 (en) Bandwidth enhancement of speech signals assisted by noise reduction
KR101850693B1 (ko) 인-이어 마이크로폰을 갖는 이어셋의 대역폭 확장 장치 및 방법
CN109076283B (zh) 耳机的音色补偿装置及方法
Ainsworth et al. Auditory processing of speech
Drullman The significance of temporal modulation frequencies for speech intelligibility
Wijngaarden et al. Objective prediction of speech intelligibility at high ambient noise levels using the speech transmission index
JP2011141540A (ja) 音声信号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音声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4121040A (zh) 用于借助听力设备评估语音信号的语音质量的方法
Tardelli et al. Exploiting nonacoustic sensors for speech enhancement
WO2017025107A2 (en) Talker language, gender and age specific hea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