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040B1 -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040B1
KR101803040B1 KR1020160178143A KR20160178143A KR101803040B1 KR 101803040 B1 KR101803040 B1 KR 101803040B1 KR 1020160178143 A KR1020160178143 A KR 1020160178143A KR 20160178143 A KR20160178143 A KR 20160178143A KR 101803040 B1 KR101803040 B1 KR 10180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unit
antenna
antenna uni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1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진식
조정일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0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01Q5/15Resonant antennas for operation of centre-fed antennas comprising one or more collinear, substantially straight or elongated a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y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for wirelessl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backbone network. Accord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es: a transceiving unit including a first antenna unit and a second antenna unit; a base station unit for forming each wireless link with the backbone network and a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unit;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for forming a wireless link with other base stations through the second antenna unit; and a housing having the transceiving unit installed on one surface, and receiv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inside.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have different length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on the one surface of the housing.

Description

이동형 기지국 장치{MOBILE BASE STATION APPARATUS}[0001]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이동형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간망과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형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용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환경에서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간망, 기지국 및 단말기로 구성되고,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A commerci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composed of a backbone network,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in a wireless environment,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여기서, 기지국은 육상에 고정으로 설치되어 기간망과 단말기를 연결하는 통신 설비로서, 일정한 셀(Cell) 내에서 기간망과 단말기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이외에도 착발신 신호의 송출, 통화 채널 지정, 통화 채널 감시 및 자기 진단 기능 등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셀을 제어 및 관장한다.The base station is a communication facility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and and connects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t performs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n a certain cell. In addition to these functions, A call channel monitoring and a self diagnosis function to control and manage the corresponding cell.

또한, 4G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의 대중화로 인하여, 기지국은 대용량의 음성 및 데이터 패킷을 취합하여 기간망에 전달하여 주는 백홀(Backhaul) 링크의 구성도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지국을 이용한 백홀 링크의 구성은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기간망과 광케이블 등의 연결을 통한 유선 방식으로 구현된다.In addition, due to popularization of 4G LTE (Long Term Evolution) service, a base station is also required to construct a backhaul link that collects large-capacity voice and data packets and transmits them to the backbone network.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haul link using such a base station is implemented in a wired manner through a connection between a backbone network and an optical cable for providing a stable communication service.

군용 이동 통신 환경에서는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가 서로 이동하면서 전장 상황에 적합한 통신망을 능동적으로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군용 이동 통신 환경에서는 기지국 장비를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하며, 기지국 수요가 있는 곳에 차량을 이동시켜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기존 기지국들과 별도의 전송 장비를 통하여 백홀 링크를 형성하여 기간망과 연결된다.In a military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figure a communication network suitable for a battlefield situation while a bas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mov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in a military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a base station equipment is mounted on a vehicle, a vehicle is moved to a place where a base station is in demand, and a backhaul link is formed through a separate transmission equipment from existing base stations while the vehicle is stationary, do.

즉, 종래의 군용 이동 통신 환경에서는 기지국 간의 백홀 링크 형성을 위하여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전송 장비가 필요하여 지형 및 전장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 운용 편의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military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that operational convenience is remarkably deteriorated in a region where the terrain and the battlefield environment are poor due to a wired connection or a separate transmission equipment for forming a backhaul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s.

KRKR 10-2015-016130510-2015-0161305 AA

본 발명은 이동 통신 환경에서 별도의 전송 장비 없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additional transmission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는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송수신부;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통하여 기간망 및 사용자 단말기와 각각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기지국부; 상기 제2 안테나부를 통하여 다른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단말부; 및 일면에 상기 송수신부가 설치되고, 상기 기지국부 및 통신 단말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receiver unit including a first antenna unit and a second antenna unit; A base station for establishing a radio link with a bas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unit;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forming a radio link with another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antenna unit; And a housing in whic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base unit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are housed therein, wherei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have different lengths in a direction crossing one side of the housing .

상기 기지국부는, 상기 기지국부가 송신하는 신호의 경로와 상기 기지국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제1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부는, 상기 통신 단말부가 송신하는 신호의 경로와 상기 통신 단말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base station section includes a first switch section for switching a path of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and a path of a sig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section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section is connected to a path of a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cond switch unit for switching the pa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switch unit.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각각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may be installed on a single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는 단일 대역(In-band)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can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of a single band (In-band).

상기 제1 안테나부는,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1 지지체 상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2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 상에 설치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first antenna unit comprises a first support memb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first antenna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antenna unit includes a second support memb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antenna provided on the support, wherei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may have different length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ne side of the housing.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have the same length.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may be provid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may include an omnidirectional antenna.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에 의하면, 기지국을 기간망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유선 설비가 요구되지 않으며, 무선으로 기지국과 기간망을 연결하여 기지국의 이동 및 추가에 따른 유동적인 통신망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wired facility for connecting the base station to the backbone network is not required, and a flexibl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realized by connecting the base station and the backbone network wirelessly, have.

또한, 이동형 기지국 장치 내의 기지국부 및 통신 단말부가 단일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어 추가적인 주파수 자원 또는 각 사용 주파수 대역에 필요한 신호 처리부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전송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통신 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se station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can use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ngle band radio signal,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provide an additional frequency resource or a signal processing unit required for each frequency band to be used.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transmission equipment, so that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an be simplified.

뿐만 아니라, 이동형 기지국 장치에 포함되는 기지국부 및 통신 단말부 상호 간의 자기 간섭 신호를 상위 프로토콜이 아닌, 안테나부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어 휴대형 제작을 통한 이동 운용 및 군사 작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magnetic interference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mobile base station device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antenna instead of the upper protocol,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obile operation and military operations through portable production .

도 1은 상용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 간의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안테나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부의 길이가 조절된 이동형 기지국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안테나부의 주파수에 따른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안테나부의 주파수에 따른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a commerci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length of an antenna unit is adjusted;
6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having an antenna unit of which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recep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n antenna portion having the same length.
8 is a diagram showing recep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frequencies of antenna portions having different length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는 별도의 전송 장비 없이 기간망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동시에 다른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제시한다.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cal feature that enable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while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base station without a separate transmission equip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user.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상용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a commerci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Long Term Evolution) 기간망과 같은 무선 통신망에서 기지국 장비는 고정되어 있고, 고정된 기지국과 LTE 기간망 간에는 광대역 유선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 상용 이동 통신에서의 기지국은 기간망과 단말기를 연결하는 통신 설비로서, 일정한 셀(Cell) 내에서 기간망과 단말기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이외에도 착발신 신호의 송출, 통화 채널 지정, 통화 채널 감시 및 자기 진단 기능 등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셀을 제어 및 관장한다.As shown in FIG. 1, base station equipment is fix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 LTE (Long Term Evolution) backbone network, and a broadband wired link is provided between a fixed base station and an LTE backbone network. A base station in a commercial mobile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facility for connecting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nd performs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n a certain cell. In addition to these functions, transmission / reception of signals, And a self-diagnosis function to control and supervise the corresponding cell.

기지국과 기간망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상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최근 스몰 셀(Small Cell) 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규모의 기지국이 셀 반경 내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간망과 무선 백홀 링크를 형성하는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mall Cell technology, a small-sized base station provides a high-speed data service to a user terminal within a cell radius,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base station and a backbone network are connected by wire, A technique for forming a link is being developed.

그러나, 이러한 스몰 셀 환경에서의 통신은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무선 링크는 3 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기지국과 기간망 사이의 무선 링크는 6 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다중 대역(Multi-Band) 주파수 방식으로 각 무선 링크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운용되고 있다.However, in the communication in the small cell environment, the radio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uses a frequency band of 3 GHz or less, and the radio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uses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more, -Band) frequency system with minimized interference between each radio link.

그러나, 이러한 다중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백홀 링크 시스템에서는 서로 다른 대역에 적합한 안테나 및 신호 처리 장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며, 추가적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다중 대역을 사용하지 않고 단일 대역(In-Band)으로 무선 백홀 링크를 운용하게 되면, 단일 대역 내에서 수신기로 유입되는 유효 수신 신호보다 강한 자기 간섭 신호의 발생으로 인한 통신 성능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such a multi-band wireless backhaul link system, an antenna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suitable for different bands are additionally required, and a problem of an increase in cost for using additional frequency resources arises. Therefore, if a wireless backhaul link is operated in a single band without using multiple bands, there is a problem of degradation in communication performance due to generation of strong magnetic interference signals in a single band, Occurs.

즉, 무선 백홀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스몰 셀 환경에서의 통신은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무선 링크와 기지국과 기간망 사이의 무선 링크를 위해 주파수가 서로 수 GHz 이상 이격된 환경에서 운용을 하기 때문에 각 사용 주파수 대역에 필요한 안테나, RF 수신기, 신호 처리기를 별도로 가져가야 한다. 또한, 주파수를 이격하지 않고 동일 주파수 밴드 내에서 무선 백홀망을 구성할 경우 동일 주파수 밴드 내의 강한 자기 간섭 신호로 인하여 정상적인 무선 백홀망을 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communication in a small cell environment for forming a wireless backhaul link is perform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radio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and the radio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backbone network are separated by several GHz or more from each other. The antenna, RF receiver, and signal processor needed for the frequency band should be taken separately. In addition, when a wireless backhaul network is configured within the same frequency band without frequency sepa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normal wireless backhaul network can not be constructed due to strong magnetic interference signals in the same frequency ban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 간의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는 제1 안테나부(120) 및 제2 안테나부(140)를 포함하는 송수신부(100); 상기 제1 안테나부(120)를 통하여 기간망 및 사용자 단말기와 각각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기지국부(200); 상기 제2 안테나부(140)를 통하여 다른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단말부(300); 및 일면에 상기 송수신부(100)가 설치되고, 상기 기지국부(200) 및 통신 단말부(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4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부(120) 및 제2 안테나부(140)는 상기 하우징(400)의 일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2 and 3, a mobile station typ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unit 100 including a first antenna unit 120 and a second antenna unit 140; A base station unit 200 forming a radio link with a bas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unit 120;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forming a radio link with another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nd a housing 400 hav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00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and housing the base station unit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The first antenna unit 120, 2 antenna portions 140 have different length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ne surface of the housing 400. [

송수신부(100)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에 구비되어 기지국부(200)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무선 링크 및 기지국부(200)와 기간망 간의 무선 링크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통신 단말부(300)와 다른 기지국 간의 무선 링크를 형성한다. 여기서, 송수신부(100)는 기지국부(200)와 통신 단말부(300)의 무선 링크 경로를 별개로 형성하기 위하여, 기지국부(200)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기간망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기지국으로 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120) 및 통신 단말부(300)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기지국의 무선 신호를 통신 단말부(300)로 수신하는 제2 안테나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안테나부(120) 및 제2 안테나부(140)는 각각 복수 개로 설치되어 동시에 동작하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여, MIMO(Multi Input Multi Output)에 의한 고속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안테나부(120) 및 제2 안테나부(140)는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단일 밴드 내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단일 즉, 하나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함에 의하여 이동형 기지국 장치 내의 RF 신호 처리를 위한 RF 신호 처리부 등을 별도로 가져갈 필요가 없게 된다. 제1 안테나부(120) 및 제2 안테나부(140)의 세부 구성과 관련하여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transceiver unit 100 is provided in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to form a radio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unit 200 and the user terminal and a radio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unit 200 and the base station, Form a wireless link. The transceiver 100 transmits a radio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200 and a radio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user terminal in order to form a radio link path between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300 separately. And a second antenna unit 140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another base station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do. In addition,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14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antennas, respectively, and may form a high-speed wireless link by using MIMO (Multi Input Multi Output) using multiple antennas operating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140 can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radio signal in a single band and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in a single band, It is not necessary to take an RF signal processing unit for signal processing separately.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1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to FIG.

기지국부(200)는 제1 안테나부(120)를 통하여 기간망 및 사용자 단말기와 각각 무선 링크를 형성한다. 기지국부(200)는 일정한 셀 내에서 기간망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부(120)를 통하여 CDMA, GSM, WCDMA, LTE 등 이동 통신망의 기간망과 무선 링크를 형성한다.The base station unit 200 forms a radio link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unit 120, respectively. The base station unit 200 performs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in a certain cell and transmits a radio signal through a first antenna unit 1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CDMA, GSM, WCDMA, Link.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laptop comput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smart phone, can do.

기지국부(200)는 기지국 모뎀(210)(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기지국 하향 링크(DL) RF(220), 기지국 상향 링크(UL) RF(230) 및 제1 스위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모뎀(210)은 기지국 하향 링크(DL) RF(220)를 통하여 수신하는 신호를 복조하거나,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기지국 상향 링크(UL) RF(23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기지국 하향 링크(DL) RF(220)는 기지국부(200)(120)가 수신하는 신호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기지국 상향 링크(UL) RF(230)는 기지국부(200)(120)가 송신하는 신호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The base station 200 includes a MODEM 210, a base station downlink (DL) RF 220, a base station uplink (UL) RF 230, and a first switch 240 . The base station modem 210 performs a function of demodulat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a base station downlink (DL) RF 220, generating a modulate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to a base station uplink (UL) RF 230, The DL (DL) RF 220 forms a movement path of a sig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200 and 120, and the base station uplink (UL) Thereby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signal.

제1 스위치(240)는 기지국 하향 링크(DL) RF(220) 및 기지국 상향 링크(UL) RF(230)와 연결되어 기지국부(200)가 송신하는 신호의 경로와 기지국부(200)로 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전환한다. 제1 스위치(240)는 기지국 하향 링크(DL) RF(220)와 기지국 상향 링크(UL) RF(230)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위치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스위치(240)에 의하여 기지국부(200) 내에서의 신호 이동 경로를 다중화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지국부(200)에서 기간망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신호가 자기 간섭에 의하여 기지국부(200)로 다시 수신되는 것을 제1 스위치(240)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스위치(240)는 전술한 제1 안테나부(120)와 연결되어 신호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The first switch 24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downlink (DL) RF 220 and the base station uplink (UL) RF 230 to route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200 to the base station 200 Thereby switching the signal path. The first switch 240 may be a switch circuit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base station downlink (DL) RF 220 and the base station uplink (UL) It is possible to multiplex the signal movement path in the unit 200. That i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200 to the base station or the user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200 due to magnetic interference by the first switch 240. The first switch 24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unit 120 to form a signal path.

통신 단말부(300)는 제2 안테나(114)를 통하여 다른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형성한다. 여기서 다른 기지국이라 함은 이동형 기지국 장치 내에 구비되는 기지국부(200)가 아닌, 다른 셀 범위를 갖는 고정 기지국 또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다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에 포함되는 기지국부(200)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forms a radio link with another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antenna 114. [ Here, the other base station is not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200 included in the mobile base station, but is included in another mobile base station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fixed base stations or mobil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ranges are provided to perform mutual communication And may be the base station unit 200.

통신 단말부(300)는 통신 단말 모뎀(310), 통신 단말 하향 링크(DL) RF(320), 통신 단말 상향 링크(UL) RF(330) 및 제2 스위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단말 모뎀(310)은 통신 단말 하향 링크(DL) RF(320)를 통하여 수신하는 신호를 복조하거나,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단말 상향 링크(UL) RF(33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신 단말 하향 링크(DL) RF(320)는 통신 단말부(300)가 수신하는 신호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통신 단말 상향 링크(UL) RF(330)는 통신 단말부(300)가 송신하는 신호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terminal modem 310, a communication terminal downlink (DL) RF 320, a communication terminal uplink (UL) RF 330 and a second switch 340.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em 310 performs a function of demodulat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downlink (DL) RF 320, generating a modulate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to a communication terminal uplink (UL) RF 330 (DL) RF 320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forms a movement path of a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plink (UL) Thereby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signal.

제2 스위치(340)는 통신 단말 하향 링크(DL) RF(320) 및 통신 단말 상향 링크(UL) RF(320)와 연결되어 통신 단말부(300)가 송신하는 신호의 경로와 통신 단말부(300)로 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전환한다. 제1 스위치(240) 또한, 통신 단말 하향 링크(DL) RF(320)와 통신 단말 상향 링크(UL) RF(330)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위치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340)에 의하여 통신 단말부(300) 내에서의 신호 이동 경로를 다중화할 수 있게 된다. 즉, 통신 단말부(300)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신호가 자기 간섭에 의하여 통신 단말부(300)로 다시 수신되는 것을 제2 스위치(340)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게 됨은 제1 스위치(240)에서와 같다. 제2 스위치(340)는 전술한 제1 안테나부(120)와 연결되어 신호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The second switch 34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ink (DL) RF 32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plink (UL) RF 320 to rout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 / RTI > The first switch 24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switch circuit for selectively interrup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ink (DL) RF 32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plink (UL)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can be multiplexed. That is, the second switch 340 can preven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to another base station to be received again by the magnetic interference unit 300, . The second switch 34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unit 120 to form a signal path.

제어부(500)는 기지국부(200) 및 통신 단말부(300)와 연결되며, 조정부(6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지국부(200)과 통신 단말부(300)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500)는 기지국부(200)의 기지국 모뎀(210) 및 통신 단말부(300)의 통신 단말 모뎀(310)의 신호 변조 방법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통신 단말 하향 링크(DL) RF(320), 통신 단말 상향 링크(UL) RF(330), 기지국 단말 하향 링크(DL) RF(220) 및 기지국 단말 상향 링크(DL) RF(230)의 주파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nd sets the operation states of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300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ordinator 600 Function. The control unit 500 can set the signal modul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modem 210 of the base station unit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em 310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 The controller 500 includes a communication terminal downlink RF 320, a communication terminal uplink RF 330, a base station terminal downlink RF 220 and a base station terminal uplink DL.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RF 230 can be set.

조정부(600)는 사용자의 외부 명령 및 장치 동작을 위한 사용 주파수, 변조 방법 등의 설정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00)으로부터 전달받은 장치 내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djustment unit 600 performs a function of inputting setting parameters such as a frequency of use, a modulation method, and the like for a user's external command and device oper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can display information in the device.

하우징(400)은 일면에 송수신부(100)가 설치되고, 전술한 기지국부(200) 및 통신 단말부(300)를 내부에 수용한다. 하우징(400)에 의하여 기지국부(200) 및 통신 단말부(300)는 하나의 장비에 통합되고, 통합된 이동형 기지국 장치가 복수 개로 포함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housing 400 is provided with a transceiver 100 on one side thereof and accommodates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erein. The base station unit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are integrated into one equipment by the housing 400 and a plurality of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are integrat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 간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간망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기지국부(200) 및 다른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단말부(300)가 하우징(400)에 의하여 통합되고, 통합된 이동형 기지국 장치가 복수 개로 포함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tation unit 200 forming a wireless link between a backbone network and a user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forming a wireless link with another base station, Are integrated by the housing (400), and a plurality of integrated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are includ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이동형 기지국 장치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각 이동형 기지국 장치는 각각의 셀 영역 내에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링크를 형성한다. 이동형 기지국 장치들은 종래의 이격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스몰 셀 환경에서의 통신 장비와는 다르게 단일 밴드(In-Band) 내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며 각각의 주파수 범위는 사용 주파수 대역으로 정의된다.In order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are provided, and each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forms a wireless link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each cell region. Mobile base station devices use different frequencies in a single band (unlike communication devices in a small cell environment using a conventional spaced frequency band, and each frequency range is defined as a used frequency band.

이동형 기지국 장치는 기간망 및 셀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링크를 형성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다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에 포함되는 기지국부(200) 및 통신 단말부(300)와도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즉, 이동형 기지국 장치 내의 통신 단말부(300)는 다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의 기지국부(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이동형 기지국 장치 내의 기지국부(200)는 인접한 다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의 통신 단말부(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in a base station and a cell region by establishing a radio link and is also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included in oth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That is,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in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unit 200 of anoth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nd the base station unit 200 in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복수 개의 이동형 기지국 장치들은 각각의 셀 영역을 구획하기 위하여 단일 밴드(In-Band) 내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며 이동형 기지국 장치들은 다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들이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대역 및 다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 내의 기지국부(200) 및 통신 단말부(300)가 사용하는 사용 주파수 정보를 가지도록 초기 설정된다. 각 이동형 기지국 장치들은 다른 이동형 장치들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상기의 사용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들과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use different frequencies in a single band to separate respective cell regions, and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use frequency bands used by oth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and base station apparatuses Is set so as to have the use frequency information us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Each of the mobile base station devices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other mobile base station devices using the preset use frequency information for other mobile devices.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부(100), 즉 제1 안테나부(120)와 제2 안테나부(14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ransceiver 100, that is,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안테나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부의 길이가 조절된 이동형 기지국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 length of an antenna unit is adjusted. 6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having a length adjus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안테나부(120) 및 제2 안테나부(140)는 기지국부(200) 및 통신 단말부(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400)의 일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제1 안테나부(120)는 하우징(400)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1 지지체 상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121)를 포함하고, 제2 안테나부(140)는 하우징(400)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2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 상에 설치되는 제2 안테나(141)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ase unit 200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And have different length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400. The first antenna unit 120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400 and a first antenna member 121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suppo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400 and a second antenna 141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부(120) 및 제2 안테나부(140)는 각각 복수 개로 설치되어 동시에 동작하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여, MIMO(Multi Input Multi Output)에 의한 고속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안테나부(120)는 하우징(400)의 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안테나부(140)는 하우징(400)의 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안테나부(120)와 제2 안테나부(140)가 각각 두 개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추가되는 제1 안테나부(120)를 제3 안테나부(130)로 표현하고, 추가되는 제2 안테나부(140)를 제4 안테나부(150)로 표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안테나부(120)와 제3 안테나부(130)는 제1 스위치(240)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2 안테나부(140)와 제4 안테나부(150)는 제2 스위치(340)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Also,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antennas and are operated simultaneously to form a high-speed wireless link by MIMO (Multi Input Multi Output) can do. That is, the first antenna unit 12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two sides of the housing 40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14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two sides of the housing 400 have. Hereinafter,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140 will be described as two examples, respectiv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antenna unit 120 to be added is referred to as a third antenna unit 130, and the added second antenna unit 140 will be described as a fourth antenna unit 150. FIG. Here,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third antenna unit 1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240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nd the fourth antenna unit 1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2 switch 340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제1 안테나부(120), 제2 안테나부(140), 제3 안테나부(130) 및 제4 안테나부(150)는 동일 평면, 즉 하우징(400)의 일면에 각각 설치된다. 즉, 제1 안테나부(120) 내지 제4 안테나부(150)는 원거리까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하여 하우징(400)의 상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테나부(120), 제2 안테나부(140), 제3 안테나부(130) 및 제4 안테나부(150)는 단일 밴드(In-band)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동일한 재질 및 길이로 형성되어 동일한 성능을 가지는 제1 안테나(121), 제2 안테나(141), 제3 안테나(131) 및 제4 안테나(15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테나(121) 내지 제4 안테나(151)는 수평 방향으로 사방으로 퍼지는 무지향성의 다이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테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 장비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하우징(400)의 일면 상에서 제1 안테나(121) 내지 제4 안테나(151)의 배치 간격은 사용 주파수(예를 들어, 2.2GHz)를 고려하여 MIMO 안테나의 신호 수신 이득 효과를 극대화하는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unit 120, the second antenna unit 140, the third antenna unit 130 and the fourth antenna unit 150 are installed on the same plane, that is, one surface of the housing 400. That is, the first to fourth antenna units 120 to 150 may b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housing 400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to a long distance, respectively. The first antenna unit 120, the second antenna unit 140, the third antenna unit 130 and the fourth antenna unit 15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of a single band (in-band) The second antenna 141, the third antenna 131, and the fourth antenna 151, which have the same performance and have the sam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first antenna 121 to the fourth antenna 151 may be configured as a non-directional dipole antenna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antenna can be simplified, Can be achieved.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antenna 121 and the fourth antenna 151 on one side of the housing 400 may be adjusted to a value maximizing the signal reception gain effect of the MIMO antenna in consideration of the use frequency (for example, 2.2 GHz) .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일 밴드(In-band) 내에서 이동형 기지국 장치 내의 기지국부(200)에 의하여 사용되는 안테나(121, 131)와 통신 단말부(300)에 의하여 사용되는 안테나(141, 151)가 동시에 동작할 때, 인접 안테나 간의 간섭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형 기지국 장치에서 기지국부(200) 전용 안테나(121, 13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자기 간섭 신호에 의하여 동일한 이동형 기지국 장치의 통신 단말부(300) 전용 안테나(141, 151)에 전송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통신 단말부(300) 전용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이러한 자기 간섭 신호는 다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와 무선 링크를 방해하여 무선 백홀망을 형성하기 어렵게 된다.However, since the antennas 121 and 131 used by the base station unit 200 in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nd the antennas 141 and 151 us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in a single band are used, An interference signal is generated between adjacent antennas. For example, in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signals transmitted from antennas 121 and 131 dedicated to the base station unit 200 are transmitted to antennas 141 and 151 dedica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of the sam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by magnetic interference signals . This problem also occurs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 antenna dedica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 Such a magnetic interference signal interferes with the radio link with oth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es,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wireless backhaul network.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는 제1 안테나부(120) 및 제3 안테나부(130)의 길이를 제2 안테나부(140) 및 제4 안테나부(150)의 길이와 다르게 형성하여 자기 간섭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제1 안테나부(120) 내지 제4 안테나부(150)는 단일 밴드 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제1 안테나(121), 제2 안테나(141), 제3 안테나 및(131) 제4 안테나(151)는 모두 동일한 길이(A)를 가져야 하는바, 각 안테나와 하우징(40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체, 제2 지지체, 제3 지지체 및 제4 지지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안테나부(120) 및 제3 안테나부(130)의 길이를 제2 안테나부(140) 및 제4 안테나부(150)의 길이와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안테나(121)와 제3 안테나(131)는 동일 높이로 배치되어 신호 송수신 이득(gain)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1 안테나부(120) 및 제3 안테나부(130)의 길이를 제2 안테나부(140) 및 제4 안테나부(150)의 길이와 다르게 형성하여 자기 간섭 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s of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third antenna unit 130 are different from the lengths of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nd the fourth antenna unit 150 Thereby preventing the magnetic interference signal from being received.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antenna unit 120 to the fourth antenna unit 150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in a single band, the first antenna 121, the second antenna 141, the third antenna 131, The fourth antenna 151 must have the same length A and the length of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pports installed between the antennas and the housing 400 may be adjusted, The lengths of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third antenna unit 130 may be different from the lengths of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nd the fourth antenna unit 150. [ In this case, the first antenna 121 and the third antenna 131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to increase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gain, and the length of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third antenna unit 130 Can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lengths of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nd the fourth antenna unit 150 to suppress the magnetic interference signal.

제1 안테나부(120) 및 제3 안테나부(130)의 길이를 제2 안테나부(140) 및 제4 안테나부(150)의 길이와 다르게 형성하기 위하여는 제1 지지체 및 제3 지지체의 길이와 제2 지지체 및 제4 지지체의 길이가 다른 지지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각 지지체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지지체의 길이를 조절함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부(120)는 제1 안테나(121)와 제1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지지체는 제1 상부 지지체(122)와 제1 하부 지지체(123)를 포함하여 제1 상부 지지체와 제1 하부 지지체의 실린더 구동에 따라 지지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a)는 제1 상부 지지체(122)가 제1 하부 지지체(123)로부터 노출되어 지지체의 길이를 연장(B)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제1 상부 지지체(122)가 제1 하부 지지체(123)로 인입되어 지지체의 길이를 단축(B')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In order to make the lengths of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third antenna unit 130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nd the fourth antenna unit 150,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third support members The length of the second and fourth support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the length of each support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each support. 5, the first antenna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antenna 121 and a first support body, and the first support body may include a first upper support body 122 and a first lower support body 122.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suppor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cylinders of the first upper support and the first lower support. 5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upper support 122 is extended from the first lower support 123 to extend the length of the support, and FIG. 5 (b) 122 are drawn into the first lower support 123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support (B ').

이와 같이, 제1 지지체, 제2 지지체, 제3 지지체 및 제4 지지체가 각각 제1 상부 지지체(122)와 제1 하부 지지체(123), 제2 상부 지지체(142)와 제2 하부 지지체(143), 제3 상부 지지체(132)와 제3 하부 지지체(133) 및 제4 상부 지지체(152)와 제4 하부 지지체(153)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하여 제1 안테나부(120) 내지 제4 안테나부(150)의 길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6은 제2 지지체 및 제4 지지체의 길이가 연장(B)되고, 제1 지지체 및 제3 지지체의 길이가 단축(B')되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여기서, 제2 안테나부(140) 및 제4 안테나부(150)의 높이와 제1 안테나부(120) 및 제3 안테나부(130)의 높이는 제2 지지체 및 제4 지지체의 길이(B)와 제1 지지체 및 제3 지지체의 길이(B')의 차이(B-B')만큼 달라지게 된다.In this manne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pports support the first upper support 122, the first lower support 123, the second upper support 142,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143 The third upper support 132 and the third lower support 133 and the fourth upper support 152 and the fourth lower support 153 to form the first to fourth antennas 120 to 153, So that the length of the portion 150 can be adjusted.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s of the second and fourth supporting bodies are extended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third supporting bodies are shortened (B ').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first antenna unit 140 and the fourth antenna unit 150 and the heights of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third antenna unit 130 are different from the lengths B and B of the second and fourth supports, (B-B ') of the length (B') of the support.

도 7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안테나부의 주파수에 따른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안테나부의 주파수에 따른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그래프는 제1 안테나부(120)로부터 제2 안테나부(140)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감도를 나타내며, 실선으로 표시되는 그래프는 제3 안테나부(130)로부터 제2 안테나부(140)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감도를 나타낸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recep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antenna unit having the same length,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recep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antenna unit having different lengths. Here, the graph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unit 120 to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nd the graph indicated by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second antenna unit 140 from the third antenna unit 130. [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140. [

먼저, 수신 감도를 측정하기 전에 기지국 전용 안테나인 제1 안테나부(120) 및 제3 안테나부(130)와 통신 단말부(300) 전용 안테나인 제2 안테나부(140) 및 제4 안테나부(150)를 일정 수평 이격 거리로 배치하고, 제1 안테나부(120) 및 제3 안테나부(130)의 길이와 제2 안테나부(140) 및 제4 안테나부(150)의 길이를 변경시켜 격리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즉, 각 안테나는 2.2GHz 대역용의 동일한 안테나를 사용하였으며, 도 7은 제1 지지체 내지 제4 지지체가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며, 도 8은 제2 지지체 및 제4 지지체의 길이가 연장되고, 제1 지지체 및 제3 지지체의 길이가 단축되어 35mm의 높이 차를 가지도록 설치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다.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third antenna unit 130 which are dedicated antenna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nd the fourth antenna unit 130 that are dedicated antenna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The length of the first antenna unit 120 and the length of the third antenna unit 130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antenna unit 140 and the fourth antenna unit 150 are changed, . That is, each antenna uses the same antenna for the 2.2 GHz band, FIG. 7 shows the results when the first to fourth supports all have the same length, and FIG. 8 shows the results of the case where the lengths of the second and fourth supports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third support members are shortened to provide a height difference of 35 mm.

이를 참조하면, 도 7에 점선으로 표시되는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도(S) 값보다 도 8에 점선으로 표시되는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도(S)가 더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 실선으로 표시되는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도(S) 값보다 도 8에 실선으로 표시되는 주파수에 따른 신호 감도(S)가 더 낮아지게 되어 자기 간섭 신호가 수신되는 감도를 낮춰 자기 간섭 신호가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즉, 실험 결과 관심 주파수 대역인 2.2 내지 2.3GHz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12.72dB의 신호 감도(S) 차이 즉, 격리도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signal sensitivity S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8 is lower than the signal sensitivity S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The signal sensitivity S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8 is lower than the signal sensitivity value S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7, thereby lowering the sensitivity with which the magnetic interference signal is received, Is suppressed.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signal sensitivity (S) difference of 12.72dB, that is, the isolation performance, is shown in the frequency band of 2.2 to 2.3GHz which is the interest frequency band.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 장치에 의하면, 기지국을 기간망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유선 설비가 요구되지 않으며, 무선으로 기지국과 기간망을 연결하여 기지국의 이동 및 추가에 따른 유동적인 통신망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wired facility for connecting a base station to a backbone network is not required,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implemented.

또한, 이동형 기지국 장치 내의 기지국부(200) 및 통신 단말부(300)가 단일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어 추가적인 주파수 자원 또는 각 사용 주파수 대역에 필요한 신호 처리부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전송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통신 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300 in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can use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ngle-band radio signal,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provide an additional frequency resource or a signal processing unit required for each used frequency band And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transmission equipm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so that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an be simplified.

뿐만 아니라, 이동형 기지국 장치에 포함되는 기지국부(200) 및 통신 단말부(300) 상호 간의 자기 간섭 신호를 상위 프로토콜이 아닌, 안테나부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어 휴대형 제작을 통한 이동 운용 및 군사 작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magnetic interference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unit 2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300 included in the mobile base station device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antenna unit, not the upper protocol, The convenience of military operations can be improved.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bed terminology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송수신부 120: 제1 안테나부
140: 제2 안테나부 200: 기지국부
300: 통신 단말부 400: 하우징
500: 제어부 600: 조정부
100: transceiver unit 120: first antenna unit
140: second antenna unit 200: base station unit
300: communication terminal unit 400: housing
500: control unit 600:

Claims (9)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송수신부;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통하여 기간망 및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여 각각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기지국부;
상기 제2 안테나부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부를 제외한 다른 기지국으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여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단말부; 및
일면에 상기 송수신부가 설치되고, 상기 기지국부 및 통신 단말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상기 기지국부 사이의 신호 이동 경로와, 상기 제2 안테나부와 상기 통신 단말부 사이의 신호 이동 경로는 별개로 형성되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including a first antenna unit and a second antenna unit;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to a bas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unit to form a radio link, respectively;
A communication terminal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to a base station other than the base station unit through the second antenna unit to form a radio link; And
And a housing for receiving the base sta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therein,
Wherein the first antenna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portion have different lengths in a direction crossing one side of the housing,
Wherein a signal movement path betwee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base station unit and a signal movement path between the second antenna unit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are formed separat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부는, 상기 기지국부가 송신하는 신호의 경로와 상기 기지국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제1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부는, 상기 통신 단말부가 송신하는 신호의 경로와 상기 통신 단말부로 수신되는 신호의 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station unit includes a first switch unit for switching a path of a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and a path of a sig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unit,
Where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includes a second switch unit for switching a path of a signal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ath of a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각각 복수 개로 설치되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are installed on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제2 안테나부는 단일 대역(In-band)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tenna unit and the second antenna unit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of a single band (In-ba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부는,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1 지지체 상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2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 상에 설치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tenna un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first antenna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Wherein the second antenna unit includes a second support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antenna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have different lengths in a direction crossing one side of the hous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re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comprise an omnidirectional antenna.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이동형 기지국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ar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KR1020160178143A 2016-12-23 2016-12-23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KR101803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143A KR101803040B1 (en) 2016-12-23 2016-12-23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143A KR101803040B1 (en) 2016-12-23 2016-12-23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040B1 true KR101803040B1 (en) 2017-11-29

Family

ID=6081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143A KR101803040B1 (en) 2016-12-23 2016-12-23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0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831B1 (en) * 2022-12-27 2023-10-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backhaul link in in-band backhaul base s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421B2 (en) * 1990-10-22 2000-06-19 八木アンテナ株式会社 Yamagata antenna
WO2014141332A1 (en) * 2013-03-14 2014-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421B2 (en) * 1990-10-22 2000-06-19 八木アンテナ株式会社 Yamagata antenna
WO2014141332A1 (en) * 2013-03-14 2014-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831B1 (en) * 2022-12-27 2023-10-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backhaul link in in-band backhaul base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857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with beamforming antennas
US8849217B2 (en) Antenna arrangement
EP3526905B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EP3540969B1 (en) Multiway switch, radio frequency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8565701B2 (en) Multi-band and multi-mode antenna system and method
EP3540956B1 (en) Multiway switch, radio frequency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10498039B2 (en) Base station
EP2122757B1 (en) Antenna system
KR101974549B1 (en)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9161386B1 (en) Hybrid LMR transceiver with LTE and dynamic antenna control
US11735815B2 (en) Reconfigurable antenna systems integrated with metal case
EP3012909A1 (en) Multiprotocol antenna structure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 multiprotocol antenna pattern
CN111373838B (en)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CN103874076A (en) Base station
KR101803040B1 (en)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EP3678398A1 (en) Access poin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974550B1 (en)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CN112425082A (en) Adjustable antenna and communication terminal
CN111509405B (en)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782115B1 (en)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782114B1 (en)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EP4322325A1 (en) Combined antenna structure
EP1746684A1 (en) Antenna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unit
CN110800160A (en) Antenna system,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01809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