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537B1 - Assistant DC Power Supply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 Google Patents

Assistant DC Power Supply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537B1
KR101799537B1 KR1020170010748A KR20170010748A KR101799537B1 KR 101799537 B1 KR101799537 B1 KR 101799537B1 KR 1020170010748 A KR1020170010748 A KR 1020170010748A KR 20170010748 A KR20170010748 A KR 20170010748A KR 101799537 B1 KR101799537 B1 KR 10179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battery module
bus ba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상대
이용주
유선상
유경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알씨디에이치
두성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씨디에이치, 두성테크(주) filed Critical (주)알씨디에이치
Priority to KR102017001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5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5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H01M2/206
    • H01M2/34
    • H01M2/34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clear power plant DC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having hig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clear power plant DC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comprises a frame main body, a rear panel, a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and a battery module.

Description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Assistant DC Power Supply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DC pow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랙 프레임의 내부에 전지모듈을 슬라이딩 방식 및 핀 접합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원전에서 DC비상전원 공급을 가능하도록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ounting a DC emergency power supply in a nuclear power plant by detachably mounting a battery module in a sliding frame or a p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최근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원전 안전성에 대한 국제적인 규제강화와 국민적인 관심 고조되고 있으며, 후쿠시마 원전 비상전원 상실사고 분석결과 지진과 해일로 인해 비상디젤발전기 및 비상전원(축전지)의 기능상실로 인한 노심냉각 실패가 폭발사고의 큰 원인으로 확인되었다.In recent years,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has been strengthen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on safety of nuclear power, and public attention has been rising.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emergency power loss analysis results in failure of core cooling due to emergency diesel generator and emergency power supply (accumulator) Was identified as a major cause of the explosion.

따라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에서는 SBO 사고 시 1차(능동형) 8시간, 2차(수동형)72시간 사고완화 전략을 마련하도록 권고하였으며, DC비상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였다.Therefore,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 advised that the SBO should take the first (active) 8 hour, second (passive) 72 hour accident mitigation strategy and have DC emergency power supply .

이와 같이 원전 사고시에 DC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은 랙 프레임을 사용하여 내부에 다수의 전지모듈을 장착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내부에 전지모듈을 장착하는 랙 프레임은 공간적인 제약 때문에, 대용량 전지로 이루어지는 전지모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랙이나, 캐비넷,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ystem for supplying DC emergency power at the time of a nuclear accident,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re mounted inside the rack frame using a rack frame. Because of the space limitation of the rack frame in which the battery module is mounted, In order to accommodate the battery module, it is necessary to be disposed in a rack, a cabinet, or the like.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랙 프레임을 사용하면 내진보강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랙 프레임에 장착된 다수의 전지모듈을 연결을 위하여 별도의 전선 등 전원 연결을 위한 장치 등이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랙 프레임의 내부에 이의 설치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지진시에 진동에 의하여 이와 같은 전원 연결을 위한 장치 등이 쉽게 끊어지기 때문에 비상시에 원전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such a conventional rack frame is used, not only the seismic reinforcing can be performed, but also a device for connecting a power source such as a separate electric wir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mounted on the rack frame, In addition to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power sour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source can not be supplied to the nuclear power plant in case of an emergency because the apparatus for power connection is easily broken due to vibration during an earthquak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896769호 " 배터리 랙 시스템"(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거치용 전력공급을 위한 배터리 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랙 시스템은, "UBC Zone IV" 요건을 만족시키는 내지진성을 갖는 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랙 어셈블리는, 점유영역을 한정하는 랙 프레임; 상기 랙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개의 선반; 및 상기 랙 프레임 점유영역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랙 프레임과 상기 각 선반은 전면 개방부를 갖는 각각의 전지 수납 영역을 한정하고, 상기 각 선반은 적어도 하나의 전지 구속장치를 가지며, 상기 전지 구속장치는, 상기 전지 수납 영역에 배치되는 전지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랙 어셈블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전지 수납 영역의 상기 전면 개방부를 가로질러 뻗어 있으며, 상기 채널은, 상기 랙 시스템 내에 보관되는 전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선을 수용하는, 인접한 전지 수납 영역 사이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장되어 있는, 배터리 랙 시스템.'을 제안한다.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0896769 entitled "Battery Rack System" (Patent Document 1). In the background art, a battery rack system for a 'stand-by power supply', the battery rack system comprising a rack assembly with an inertia that meets the "UBC Zone IV" requirement, the rack assembly comprising an occupied area Limited rack frame; A plurality of shelves supported by the rack frame; And at least one channel disposed within the rack frame occupied area, wherein the rack frame and each shelf defines a respective battery receiving area having a front opening, each shelf having at least one battery restraining device Wherein the battery restraining devic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ack assembly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battery disposed in the battery storing area and extends across the front opening part of each of the battery storing areas, Wherein the channel is extended to provide a passage between adjacent battery receiving areas that accommodates wiring used to connect the batteries stored in the rack system to each other.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지진시에 진동에 의하여 이와 같은 전원 연결을 위한 장치 등이 쉽게 끊어지기 때문에 비상시에 원전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 background art also has a problem in that power supply to the nuclear power plant can not be provided in case of an emergency because the apparatus for power connection is easily broken due to vibration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특허등록 제0896769호 "배터리 랙 시스템"Patent Registration No. 0896769 "Battery Rack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랙 프레임에서 모든 전원 연결은 버스 바를 프레임 등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버스 바 간의 버스 바 간의 연결을 플렉시블 버스 바로 연결하도록 하여 지진에 의한 진동시에도 전원 공급이 끊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랙 프레임에 슬라이드 레일 및 커넥터를 구성하여 랙 프레임의 내부에 전지모듈을 슬라이딩 방식 및 핀 접합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랙 프레임에 전지모듈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상하좌우의 진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며, 전지모듈 1개당 독립적인 BMS를 구성함으로써 랙 프레임에 장착된 복수의 전지모듈 중 전지모듈 단위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system in which all power connections in a rack frame are established by fixing a bus bar to a frame or the like, And the slide rail and the connector are formed in the rack frame so that the battery modul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rack frame by a sliding method or a pin joining method to facilitate mounting of the battery module in the rack frame ,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vertical and horizontal vibration, and it is possible to monitor each battery module unit amo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mounted on a rack frame by configuring an independent BMS per one battery module, To provide high performance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To have its purpose.

본 발명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전면 수직 프레임과, 전면 수직 프레임의 후면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후면 수직 프레임과, 양측의 전면 수직 프레임과 후면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일정 높이마다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과, 한 쌍의 후면 수직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후면 수평 프레임과, 한 쌍의 전면 수직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전면 수평 프레임과, 후면 수평 프레임과 전면 수평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전면 수평 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슬라이드 레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본체와; 일정크기의 수직의 판 형상으로 전면 양측에 일정 길이로 절연덮개로 덮여 구성되는 고정 버스 바가 형성되며 프레임 본체 배면의 후면 수평 프레임과 후면 수평 프레임의 사이를 폐합하도록 결합되는 리어패널과; 각 리어패널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후면 수평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며, 케이스 내부에 버스 바가 구성되고 버스 바와 연결되도록 전면부로 돌출하여 커넥터가 형성되며, 커넥터의 하부에 일정 깊이로 도킹핀 삽입홀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의 전면에 노출되어 버스 바와 연결된 연결판이 형성된 수평 전원연결 부재와; 리어패널의 고정 버스 바의 양측 단부 및 이에 인접한 수평 전원연결 부재의 연결판을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플렉시블 버스 바로 이루어지는 랙 프레임과, 전지 셀과 전지 셀의 외주 테두리에 형성되는 난연 소재의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을 복수개 병렬로 배치하고 외측면에 커버가 형성되는 전지모듈 본체와, 전지모듈 본체의 배면에 구성되어 전지 셀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버스 바와, 일정 크기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로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커넥터 홀과 커넥터 홀의 내부에 버스 바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핀으로 이루어지는 하이퍼 커넥터와, 전지모듈 본체의 배면에 구성되는 BMS와, 전지모듈 본체의 하부에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가이드 롤러가 슬라이드 레일에 끼워져 이동하며 커넥터 홀에 커넥터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전지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air of front vertical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air of rear vertical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rear surface of the front vertical frame, A rear horizontal frame formed to connect the pair of rear vertical fram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front horizontal frame formed so as to connect the pair of front vertical fram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rear horizontal A frame body including a slide rail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horizontal frame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top of the front horizontal frame; A rear panel coupled to the rear horizontal frame and the rear horizontal fram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body to form a fixed bus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and covered with an insulating cover; A bus bar is formed inside the case and a connecto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bus bar, and a docking pin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A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having a connecting plat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both ends and connected to the bus bar; A rack frame made up of a flexible bus bar configured to connect both ends of a fixed bus bar of a rear panel and a connecting plate of a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adjacent to the fixed bus bar, and a cartridg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ttery cell and the battery cell A battery pack comprising: a battery module body having a plurality of unit members arranged in parallel and having a cover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 bus bar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to connect the battery cells;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connector pin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bus bar inside the connector hole, a BMS configured on a back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and a guide roller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The roller is inserted into the slide rail and moves to the connector hole The connector is to provide a high DC nuclear power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ismic consisting of battery modules that are combined to be fitted.

또한, 랙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는 후면 수평 프레임과 전면 수평 프레임은 각각 상부의 입구 간격이 좁고 하부의 간격이 넓은 단면의 레일 결합홈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레일 결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상단부에서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레일이, 가이드부가 후면 수평 프레임과 전면 수평 프레임의 레일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rear horizontal frame and the front horizontal frame, to which the guide rails of the rack frame are coupled, are each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rail connecting grooves at the upper and lower intervals, respectively, A slide rail including a guide portion having an upper open shap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engagement groove and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guid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ail engagement groove of the rear horizontal frame and the front horizontal frame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ower source, to provide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또한, 전면 수평 프레임은 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nuclear emergency DC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horizontal frame is formed by fastening holes at regular intervals.

또한,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는 일정 크기로 프레임 본체를 지지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wherein a base frame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body to support the frame body with a predetermined size.

또한, 판재 형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하부로 돌출되어 진동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 부재가,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 양측의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d an upper guide member protruding downward at regular intervals in a plate form so as to form an anti-vibration protrusion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nect both side frames to a lower portion of the side frame. To provide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또한,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는 상부 덮개가 형성되는 전원연결 버스 바가 구성되고, 상부 덮개에는 버스 바가 노출되도록 양단부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결합구이 형성되며, 최상부의 리어패널의 고정 버스 바와 전원연결 버스 바가 플렉시블 버스 바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부 랙 전원연결 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 power connection bus bar having an upper lid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body, and an engagement groov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lid so as to expose the bus bar, and a fixed bus bar and a power connection bus bar And an upper rack power supply connection member connected by a flexible bus bar is configured to provide a nuclear emergency DC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또한, 수평 전원연결 부재의 커넥터의 하부에는 일정 깊이로 도킹핀 삽입홀이 형성되고, 전지모듈의 하이퍼 커넥터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하여 구성되는 1개 이상의 도킹 핀이 구성되어, 전지모듈을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장착시에 도킹 핀이 도킹핀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 docking pi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of the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and at least one docking pin protruded outward is formed under the hyper connector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docking pin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docking pin insertion hole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docking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단위부재의 카트리지에는 복수의 관통공가 형성되고, 복수의 단위부재를 관통공에 결합핀이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artridge of the unit member, and a plurality of unit members are coupled through the through holes to the through holes.

또한, 단위부재과 단위부재의 사이에는 난연 패드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a flame retardant pad is inserted between the unit member and the unit member.

또한, 랙 프레임에서, 최상부 및 최하부를 제외한 전면 수평 프레임은 각형 강관형상으로 단면 중앙부에 수평으로 보강 플레이트가 구성되며, 보강 플레이트와 동일 높이에서 전면부의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거치 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전지모듈에서, 수직 판 형상의 고정부와, 고정부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결부와, 수평 연결부의 외측 단부에서 수평 하부로 연장되는 거치턱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재가, 거치턱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전지모듈 본체의 전면부의 하부와 상부에 대칭되어 결합되어, 전지모듈을 랙 프레임에 장착시에 거치부재(86)의 거치턱이 전면 수평 프레임의 전면부에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rack frame, the front horizontal frame except for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arts has a rectangular reinforcing plate in the form of a square steel pipe and horizontally in the center of the end face. The mounting plat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the front part at the same height as the reinforcing plate, In the module, a mounting member composed of a vertical plate-shaped fixing portion, a horizontal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and a mounting tongue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portion to the horizontal lower portion, Wherein when the battery module is mounted on the rack frame, the mounting jaw of the mounting member (86)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horizontal frame so as to be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To provide high performance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또한, 거치부재의 고정부의 전면에는 손잡이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l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a handle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ationary part of the stationary member.

또한, 가이드 롤러는, 전지모듈 본체의 하부에 구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가이드편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가이드편의 사이에 지그재그로 복수개가 구성되어, 슬라이드 레일의 양측 내면에 각각 접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guide roller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and has a plurality of zigzags formed between the guide portions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fixed plate where the guide pieces are bent downward at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nd to mov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two sides, respectively, to provide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본 발명의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은 랙 프레임에서 모든 전원 연결은 버스 바를 프레임 등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버스 바 간의 버스 바 간의 연결을 플렉시블 버스 바로 연결하도록 하여 지진에 의한 진동시에도 전원 공급이 끊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랙 프레임에 슬라이드 레일 및 커넥터를 구성하여 랙 프레임의 내부에 전지모듈을 슬라이딩 방식 및 핀 접합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랙 프레임에 전지모듈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상하좌우의 진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the nuclear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seismic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power connections in the rack frame are established by fixing the bus bars to the frame and connecting the bus bars between the bus bars to the flexible bus bars, The slide rail and the connector are formed in the rack frame so that the battery modul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rack frame by a sliding method and a pin joining metho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vibration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전지모듈 1개당 독립적인 BMS를 구성함으로써 랙 프레임에 장착된 복수의 전지모듈 중 전지모듈 단위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Further, by configuring the independent BMS per one battery modul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battery module unit amo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mounted on the rack frame, and i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랙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는 상기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은 상기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랙 프레임에서 슬라이드 레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의 진동시의 작동상태를 일실시예를 비교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랙 프레임 전면 수평 프레임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전지모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은 상기 도 8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전지모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전지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전지모듈이 랙 프레임에 장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FIG. 1 is a front view of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of high seismic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ck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FIG.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2.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slide rails in the rack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l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b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rack frame front horizont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8. FIG.
10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ack frame.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의 정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of high seismic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랙(rack) 형상으로 이루어는지는 랙 프레임(1)의 내부에 다수의 전지모듈(8)을 삽입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랙 프레임(1)은 1개 이상이 병렬로 구성되도록 하여 원전에서 지진과 같은 비상상황시에 DC비상전원을 공급하여 전원 공급이 끊기지 않도록 하고, 지진의 진동시에도 랙 프레임(1)의 내부에 장착된 전지모듈(8)의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하여 전원의 공급이 끊겨지지 않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a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having a high seismic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insert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8 into a rack frame 1, In such a rack frame 1, one or more of the rack frames 1 ar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DC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the NPP in an emergency such as an earthquake to prevent the power supply from being cut off, Thereby minimizing the vibration of the battery module 8 mounted inside and preventing the power supply from being cut off.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전지모듈(8) 1개당 독립적인 BMS를 구성함으로써 랙 프레임(1)에 장착된 복수의 전지모듈(8)들의 개별적인 단위의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 등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랙 프레임(1) 단위로 전력제어보드를 구성하여 랙 프레임(1) 단위의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independent BMS per one battery module 8, it is possible to perform management such as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individual unit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8 mounted on the rack frame 1, A power control board may be configured in units of frames (1) so that monitoring and management can be performed in units of rack frames (1).

도 2은 본 발명의 랙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3는 상기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은 상기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ack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본 발명의 랙 프레임(1)은 랙(rack)형상의 프레임 본체(10)와, 프레임 본체(10)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패널(20)과, 전지모듈(8)의 전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 전원연결 부재(30)와, 각 수평 전원연결 부재(30)를 연결하도록 하는 플렉시블 버스 바(40)로 이루어진다.The rack fram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body 10 in a rack shape, a rear panel 20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rame body 10, And a flexible bus bar 40 connecting the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s 30 to each other.

프레임 본체(1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전면 수직 프레임(110)과, 전면 수직 프레임(110)의 후면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후면 수직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져 4개의 기둥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해당하는 각 양측의 전면 수직 프레임(110)과 후면 수직 프레임(120)을 연결하도록 일정 높이마다 측면 프레임(130)을 형성하도록 한다.The frame body 10 includes a pair of front vertical frames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air of rear vertical frames 120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vertical frames 110 And the side frame 1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connect the front vertical frame 110 and the rear vertical frame 120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both sides.

또한, 배면에는 측면 프레임(130)과 동일한 높이에서 한 쌍의 후면 수직 프레임(1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후면 수평 프레임(140)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한 쌍의 전면 수직 프레임(11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전면 수평 프레임(15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rear horizontal frame 14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to horizontally connect a pair of rear vertical frames 120 at the same height as the side frames 130, and a pair of front vertical frames 110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is formed to conne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이, 전면 수직 프레임(110), 후면 수직 프레임(120), 측면 프레임(130), 후면 수평 프레임(140) 및 전면 수평 프레임(150)을 결합하여 육면체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도록 하며, 각 프레임 간의 연결부는 용접, 볼트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front vertical frame 110, the rear vertical frame 120, the side frame 130,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are combined to form a hexahedron frame shape,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joined by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welding, bolt, and the like.

전면 수직 프레임(110), 후면 수직 프레임(120), 측면 프레임(130), 후면 수평 프레임(140) 및 전면 수평 프레임(150)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 및 각형 단면 등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강 플레이트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front vertical frame 110, the rear vertical frame 120, the side frame 130,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various materials such as aluminum, A reinforcement plate may be formed to secure rigidity therein.

이외에도 후면 수평 프레임(140) 및 전면 수평 프레임(150)의 중앙부를 연결하여 보강하도록 복수의 보강 프레임(170)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170 may be formed so as to connect and reinforce the central portions of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본 발명에서는 전지모듈(8)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슬라이드 레일(160)을 구성하는데, 최상부를 제외한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전면 수평 프레임(150)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전면 수평 프레임(150)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슬라이드 레일(160)을 구성하고, 전지모듈(8)에도 슬라이드 레일(160)에 대응하는 가이드 롤러를 구성하도록 하여 슬라이드 레일(160)을 따라 전지모듈(8)이 장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맞물려 이동하도록 하여, 지진 발생시 진동에도 전지모듈(8)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lide rail 160 is constructed so that the battery module 8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n a sliding manner. In order to connect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except the uppermost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The slide rail 160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50 and the battery module 8 is also provided with the guide rollers corresponding to the slide rails 160, 8 are mounted so as to be attachable or detachable, so that the battery module 8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attery module 8 even when the earthquake occurs.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l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60)이 결합되는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전면 수평 프레임(150)에는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별도의 레일 결합홈(141)(151)을 형성하도록 하고, 슬라이드 레일(160)의 양단부가 각각 레일 결합홈(141)(151)이 끼워져 구성되도록 하여 전지모듈(8)의 탈착시에도 진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외부 충격에서도 슬라이드 레일(160)이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전면 수평 프레임(15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5,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to which the slide rails 160 are coupled, are provided with additional rail coupling grooves 141 151 are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slide rail 160 are fitted into the rail engagement grooves 141 and 151 so that vibration does not occur even when the battery module 8 is attached and detached, 16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후면 수평 프레임(140)은 레일 결합홈(141)이 폭방향 전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배면을 막아놓아 슬라이드 레일(160)의 후면의 단부가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ail engagement grooves 141 penetrate the entire width direction or may block the rear surface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lide rail 160 does not protrude rearward.

도 6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의 진동시의 작동상태를 일실시예를 비교도시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l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b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레일 결합홈(141)(151)은 도 6(b)에서와 같이, 상부의 입구 간격이 좁고 하부의 간격이 넓은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슬라이드 레일(160) 또한 레일 결합홈(141)(15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가이드부(161)와 가이드부(161)의 상단부에서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62)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이드부(161)가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전면 수평 프레임(150)의 레일 결합홈(141)(151)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고, 결합부(162)는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전면 수평 프레임(150)에 볼트 결합등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6 (b),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of the rail coupling grooves 141 and 151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 cross section and a wide lower cross section, and the slide rail 160 may also be formed in the rail coupling groove 141, A guide portion 161 having an upper open shap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ortion 151 and an engaging portion 162 extending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guide portion 161, 151 of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and the engaging portion 162 is engaged with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Bolt coupling or the like, so that the coupling can be made strong.

슬라이드 레일(160)이 도 6(a)에서와 같이, U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진시 횡력이 발생하여 단면이 변형되나, 도 6(b)에서와 같이, 레일 결합홈(141)(151)은 상부의 입구 간격이 좁고 하부의 간격이 넓은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도록 하면 횡력 발생시에 탄성으로 변형 후 다시 복원하도록 할 수도 있어 더욱 안정적이다.When the slide rail 160 is formed as a U-shaped section as shown in FIG. 6A, a lateral force is generated at the time of an earthquake to deform the section. However, as shown in FIG. 6B, 151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 cross-section at the upper part and a wide cross-section at the lower part, and to have a rounded corners so that they can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hape after being deformed when the lateral force is generated.

이와 같은 프레임 본체(10)는 프레임 형상으로 육면이 모두 뚫려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지모듈(8)의 장착과 전원 연결을 위하여 배면에는 리어패널(20)로 마감하도록 한다.The frame body 10 is formed in a frame-like shape in which both sides of the frame body 10 are perforated, and the rear panel 20 is closed on the back surface for mounting the battery module 8 and connecting the power source.

특히, 전면 수평 프레임(150)은 체결공(153)이 1열 또는 2열로 일정간격마다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전지모듈(8)의 장착시에 전지모듈(8)에 별도의 고정부재와 볼트로 체결공(153)에 결합하여 견고하게 전지모듈(8)을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Particularly,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153 formed in one or two rows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when the battery module 8 is mounted, a separate fixing member and a bolt So that the battery module 8 can be fixed firmly.

도 7은 본 발명의 전면 수평 프레임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front horizont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최상부 및 최하부를 제외한 전면 수평 프레임(150)은 각형 강관형상으로 단면 중앙부에 수평으로 보강 플레이트(154)가 구성되며, 보강 플레이트(151)와 동일 높이에서 전면부의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거치 플레이트(152)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5 and 7,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except for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arts has a rectangular steel pipe shape, and a reinforcing plate 154 is formed horizontally at the center of the end face. The reinforcing plate 151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einforcing plate 151 The mounting plate 152 can be config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the front portion.

이와 같이 거치 플레이트(152)는 전지모듈(8)이 슬라이드 레일(160)을 따라 진입하여 장착시에 전지모듈(8)의 전면부에 별도의 거치부재(86) 등을 형성하여 거치 플레이트(152)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진동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battery module 8 is moved along the slide rail 160 and the battery module 8 is mounted, the mounting plate 152 is formed with a separate mounting member 86 or the lik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8, The vibration caused by the impact can be minimized.

상기와 같은 프레임 본체(10)는 하부에 일정 크기로 프레임 본체(10)를 지지하도록 베이스 프레임(60)이 형성되도록 하여, 레벨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별도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 등을 구성하도록 하여 프레임 본체(1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대학 억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frame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base frame 60 to support the frame body 10 with a predetermined size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level can be adjusted or a separate vibration absorbing member So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vibration to the frame body 10 can be suppressed at the most university

리어 패널(20)은 일정 크기의 수직의 판재 형상으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라직하게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리어 패널(20)은 프레임 본체(10) 배면의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후면 수평 프레임(140)의 사이를 폐합하도록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The rear panel 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in a vertical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may be made of an insulator. The rear panel 20 may be formed of a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respectively.

리어 패널(20)의 전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고정 버스 바(21)가 형성되도록 하고, 고정 버스 바(21)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덮개(22)로 덮어져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 버스 바(21)의 양단부는 노출되어 후술하는 플렉시블 버스 바(40)와의 연결을 용이하도록 한다.A fixed bus bar 2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anel 20 and the fixed bus bar 21 is covered with an insulating lid 22 made of an insulator. At this time, the both ends of the fixed bus bar 21 are exposed to facilitate connection with the flexible bus bar 40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프레임 본체(10)의 배면을 전체를 마감하도록 형성하지 않고, 단위부재로 나누어 각각의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후면 수평 프레임(140)의 사이를 폐합하도록 형성하는 것은 전면에 구성되는 고정 버스 바(21) 등의 결합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In this manner,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body 10 is not formed so as to be entirely closed, but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re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unit members. So that the conn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fixed bus bar 21 and the like can be facilitated.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후면 수평 프레임(140)의 사이의 리어패널(20)에는 각각 고정 버스 바(21)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며, 각 층의 고정 버스 바(21)를 상호 연결하도록 별도의 수평 전원연결 부재(30)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xed bus bars 21 are vertically arranged on the rear panel 20 between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fixed bus bars 21 The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3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은 수평 전원연결 부재(30)는 케이스(34) 내부에 버스 바가 구성되고 버스 바와 연결되도록 전면부로 돌출하여 커넥터(31)가 형성되며, 커넥터(31)의 하부에 일정 깊이로 도킹핀 삽입홀(32)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의 전면에 노출되어 버스 바와 연결된 연결판(33)이 형성되어, 각 리어패널(20)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후면 수평 프레임(14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30 includes a bus bar and a connector 31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34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bus bar. A connection plate 33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each rear panel 20 .

커넥터(31)는 전연 연결부재(30)의 전면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각 슬라이드 레일(160)을 따라 장착되는 전지모듈(8)의 후면에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한다.The connector 31 protrudes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leading edge connecting member 30 and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8 mounted along the slide rails 160.

이때, 전지모듈(8)의 배면은 커넥터(31)에 의하여 버스 바와 연결되지만, 전지모듈(8)의 안정적인 장착 및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도킹핀 삽입홀(32)이 형성되도록 하고, 전지모듈(8)에는 이에 대응하는 도킹핀을 형성하도록 하여 전지모듈(8)을 슬라이드 레일(160)을 따라 장착시에 커넥터(31) 및 도킹핀 삽입홀(32)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지진에 의한 진동시에도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8 is connected to the bus bar by the connector 31, but a separate docking pin insertion hole 32 is formed for stable mounting and fixing of the battery module 8, The battery module 8 is stably fixed by the connector 31 and the docking pin insertion hole 32 when the battery module 8 is mounted along the slide rail 160 so as to form a corresponding docking pin, So that the connection is not disconnected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전원연결 부재(30)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고정 버스 바(21)는 별도의 플렉시블 버스 바(40)에 의하여 전원이 연결되도록 한다.The fixed bus bar 21 disposed vertically to the horizontally arranged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3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by a separate flexible bus bar 40.

플렉시블 버스 바(40)는 자유로운 벤딩이 가능한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 전원연결 부재(30)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고정 버스 바(21)의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면서도 플렉시블 버스 바(40)가 진동시에는 이에 대응하여 벤딩이 되도록 하여 전원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flexible bus bar 40 may be made of various known materials capable of bending freely. In this way, the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30 disposed horizontally and the fixed bus bar 21 disposed verticall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flexible bus bar 40 is energized, bending is performed correspondingly to prevent the power supply from being cut off.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별도의 전선 등이 구성되지 않고 모든 전지모듈(8)과의 전원의 연결을 고정 버스 바(21), 내부에 버스 바가 삽입된 수평 전원연결 부재(30) 및 플렉시블 버스 바(40)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진의 진동 및 충격시에도 전지모듈(8)과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to all the battery modules 8 is not constituted by a separate electric wire or the like, but the fixed bus bar 21, the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30 in which the bus bar is inserted, And the bus bar 40, so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battery module 8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ut off even when vibration or shock of an earthquake occurs.

이와 같은 버스 바(Bus bar)는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도록 하는 막대형의 전도체를 말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uch a bus bar refers to a rod-like conductor that allows electrical connection, and may be of various sizes and shapes.

전지모듈(8)은 프레임 본체(10)에 장착시에, 하부면은 슬라이드 레일(160)에 맞물려 고정되고, 후면은 커넥터(31) 및 도킹핀 삽입홀(32)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상부면은 상부의 프레임과 간격이 이격되기 때문에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판재 형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하부로 돌출되어 진동방지 돌기(71)가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 부재(70)이, 측면 프레임(130)의 하부에 양측의 측면 프레임(130)을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battery module 8 is mounted on the frame body 10,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engaged and fixed to the slide rail 160 and the rear surface thereof is fixed by the connector 31 and the docking pin insertion hole 32, The upper guide member 70 protruding downwar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orm of a plate to form the vibration preventing protrusions 7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30 in order to suppress the vibration, So as to connect the side frames 130 on both sides.

이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70)은 진동방지 돌기(71)가 프레임 본체(10)에 장착된 전지모듈(8)의 상부면을 눌러주어 진동 발생시에 전지모듈(8)의 진동 범위를 억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Such a guide frame 70 can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8 mounted on the frame body 10 to suppress the vibration range of the battery module 8 when the vibration is generated It is.

또한, 본 발명의 랙 프레임(1)은 랙 프레임(1)과 랙 프레임(1) 간의 전원 연결을 위하여 프레임 본체(10)의 상부에 별도의 상부 랙 전원연결 부재(40)가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rack fram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a separate upper rack power connection member 40 is constructed on top of the frame body 10 for power connection between the rack frame 1 and the rack frame 1 have.

상부 랙 전원연결 부재(40)는 프레임 본체(10)의 상부에 프레임 본체(10)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전원연결 버스 바(51)가 고정되도록 하는데, 전원연결 버스 바(51)는 상부에 절연체의 상부 덮개(5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 덮개(52)에는 버스 바(51)가 노출되도록 양단부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결합구(53)이 형성되도록 하며, 프레임 본체(10)의 최상부의 리어패널(20)의 고정 버스 바(21)와 전원연결 버스 바(51)가 플렉시블 버스 바(4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upper rack power supply connection member 40 has a power supply bus bar 51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body 10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body 10, And an upper cover 52 of an insulator is formed and the upper lid 52 is cut at a predetermined size at both ends so as to expose the bus bar 51 to form a coupling hole 53, The fixed bus bar 21 of the rear panel 20 and the power connection bus bar 51 are connected by the flexible bus bar 40. [

이와 같이, 상부 랙 전원연결 부재(40)가 구성되면, 랙 프레임(1)과 랙 프레임(1)을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시에는 인접한 결합구(53)로 노출된 전원연결 버스 바(51) 상호간을 플렉시플 버스 바 등으로 연결하도록 하여, 복수의 랙 프레임(1)을 매우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rack frame 1 and the rack frame 1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power connecting bus bar 51 exposed to the adjacent coupling hole 53 So that the plurality of rack frames 1 can be connected very easily.

도 8는 본 발명의 전지모듈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9은 상기 도 8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의 전지모듈(1)은 도 8에서와 같이, 복수의 단위부재(810)로 구성되는 전지모듈 본체(81)와, 전지모듈 본체(81)의 배면에 각각 구성되는 하이퍼 커넥터(83) 및 BMS(85)로 이루어지며, 도 1에서와 같이 랙 프레임(1)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8, the battery modu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module main body 81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unit members 810, a hyper connector 83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And a BMS 85, and is mounted on the rack frame 1 as shown in Fig.

전지모듈 본체(81)는 도 9b에서와 같이, 복수의 단위부재(810)를 병렬로 구성하고 외측면에 커버(820)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9B,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members 810 arranged in parallel and a cover 820 on the outer side.

단위부재(810)는 일정 크기의 전지 셀(811)과 전지 셀(811)의 외주 테두리에 형성되는 카트리지(812)로 이루어지는데, 전지 셀(811)은 기존 납배터리에 비하여 우수한 리튬-폴리머로 형성되도록 하여 원전 비상대응에 필요한 전원용량을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The unit member 810 is composed of a battery cell 811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cartridge 81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attery cell 811. The battery cell 811 has a superior lithium- So that it can be designed considering the power capacity required for nuclear emergency response.

카트리지(812)는 전지 셀(811)의 외주면을 감싸는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공지의 다양한 난연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지 셀(811)의 열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지 셀(811)과 카트리지(812)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810)를 형성함으로써 단위부재(810) 별로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cartridge 812 may have a frame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811 and may be made of a variety of known flame retardant materials to block the heat of the battery cell 811, By forming the unit member 810 made of the cartridge 812, the unit member 810 can be replaced and maintained.

특히, 단위부재(810)과 단위부재(810)의 사이에는 난연 소재로 이루어지는 난연 패드(830)가 삽입되어 구성되도록 하여,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면서도 전지 셀(811)의 열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a flame-retardant pad 830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the unit member 810 and the unit member 810 so as to absorb the vibration and block the heat of the battery cell 811 .

이와 같은 단위부재(8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결합되도록 하며, 양측면에 각각 난연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820)가 형성되어 마감하여 내부의 전지 셀(811)의 열을 차단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unit member 810 includes a cover 820 formed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on both sides of the unit member 810 so as to be closed to block the heat of the internal battery cell 811 .

또한, 단위부재(810)의 카트리지(812)에는 복수의 관통공(814)이 형성되도록 하고, 복수의 단위부재(810)를 관통공(814)에 결합핀(840)이 관통하여 복수의 단위부재(810) 상호간을 결합하도록 하여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814 are formed in the cartridge 812 of the unit member 810 and a plurality of unit members 810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814 through engagement pins 840, The members 810 may be fixe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전지모듈 본체(81)의 배면에는 단위부재(810)의 전지 셀(811)들을 연결하도록 버스 바(82)가 구성된다. 버스 바(82)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bus bar 82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to connect the battery cells 811 of the unit member 810 to each other. The bus bar 82 may be of various sizes and shapes.

버스 바(Bus bar)는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도록 하는 막대형의 전도체를 말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Bus bars are rod-shaped conductors that allow electrical connection, and can be of various sizes and shapes.

랙 프레임(1)에 장착시에 별도의 전원 선 등에 의하지 않고 랙 프레임(1)에 끼워 넣는 것만으로도 전원이 연결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전지모듈(8)에는 하이퍼 커넥터(83)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8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yper connector 83 is configured so that the power source can be connected only by being inserted into the rack frame 1 without being connected to a separate power line or the like when the battery module 8 is mounted on the rack frame 1. [ can do.

하이퍼 커넥터(83)는 전지모듈 본체(81)의 배면에 고정되는데, 일정 크기의 프레임(831)과, 프레임(831)의 내부로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커넥터 홀(832) 및 커넥터 홀(832)의 내부에서 버스 바(82)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핀(833)으로 이루어진다.The hyper connector 83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and includes a frame 831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connector hole 832 and a connector hole 832 formed to a certain depth into the frame 831. [ And a connector pin 833 tha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bus bar 82 within the bus bar 82.

이와 같이 구성되면, 랙 프레임(1)에 커넥터(31)를 돌출하여 형성하고 전지모듈(8)을 랙 프레임(1)에 장착시에 배면의 하이퍼 커넥터(83)의 커넥터 홀(832)에 커넥터(31)가 삽입되어 커넥터 핀(833)과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 선의 연결 등이 필요 없이 랙 프레임(1)에 밀어 넣는 것만으로도 전원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When the battery module 8 is mounted on the rack frame 1, the connector 3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le 832 of the rear side hyper connector 83, The power connector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pin 833 only by inserting it into the rack frame 1 without the necessity of connecting a separate power line.

특히, 전지모듈(8)을 랙 프레임(1)에 장착시에 하이퍼 커넥터(83)에 커넥터(31)가 삽입되어 전원이 연결되면서 고정되지만 진동시에는 연결부위에 횡하중이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장착을 위하여, 하이퍼 커넥터(83)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하여 1개 이상의 도킹 핀(84)을 구성하도록 하고 랙 프레임(1)에 이에 대응하는 도킹핀 삽입홀(32)을 형성하도록 하여, 랙 프레임(1)의 도킹핀 삽입홀(32)에 도킹핀(84)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지진에 의한 진동시에도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battery module 8 is mounted on the rack frame 1, the connector 31 is inserted into the hyper connector 83 to fix the power supply while being connected, but the lateral load can be concentrated on the connecting part The docking pin insertion hole 32 may be formed in the rack frame 1 so as to form at least one docking pin 84 protruding out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hyper connector 83 for stable mounting, The docking pin 84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pin insertion hole 32 of the rack frame 1 and is stably fixed so that the connec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even when the vehicle is driven by an earthquake.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지모듈 본체(81)의 배면에 BMS(Battery Management System)(85)를 구성하도록 하여, 전지모듈(8) 1개당 독립적인 BMS(85)를 구성함으로써 랙 프레임(1)에 장착된 복수의 전지모듈(8)들의 개별적인 단위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85 is configur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to constitute an independent BMS 85 per one battery module 8, It is possible to monitor individual units of the plurality of mounted battery modules 8 and i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BMS(85)는 충방전 전류, 각 전지 셀(811)의 전압 또는 전류를 포함한 전기적 특성값 측정, 충방전 제어,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 SOC(State Of Charge)의 추정 등을 포함하여 당업자 수준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BMS 85 includes a charge / discharge current, an electric characteristic value measurement including voltage or current of each battery cell 811, charge / discharge control, equalization control of voltage, estimation of state of charge (SOC)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control functions applicabl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BMS(85)는 통신망을 통해서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디바이스는 상위 레벨의 BMS, 배터리 분석 장치, BMS의 통합 제어 장치 또는 중앙관리시스템이 될 수 있다. 상기 BMS(85)는 자신이 담당하는 전지모듈(8)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서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지모듈(8)의 충방전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BMS 85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high-level BMS, a battery analyzer, an integrated control device of the BMS, or a central management system. The BMS 85 can transmit data relat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module 8 in charge of itself via a communication network or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related to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module 8 from the external device.

이와 같은 BMS(85)는 별도의 프레임 등에 의하여 전지모듈 본체(81)에 부착될 수 있다. The BMS 85 may be attached to the battery module body 81 by a separate frame or the like.

도 10는 본 발명의 전지모듈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전지모듈이 랙 프레임에 장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0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ack frame.

본 발명의 전지모듈(8)은 랙 프레임(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데 안정적인 장착 및 탈착을 위하여 별도의 거치부재(86)가 전지모듈 본체(81)의 전면부에 구성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8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rack frame 1 and fixed. In order to stably mount and detach the battery module 8, a separate mounting member 86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거치부재(86)는 합성수지재, 난연 복합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 판 형상의 고정부(861)와, 고정부(861)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결부(862)와, 수평 연결부(862)의 외측 단부에서 수평 하부로 연장되는 거치턱(863)으로 이루어지며, 도 10에서와 같이, 전지모듈 본체(81)의 하부에 고정부(861)가 면접하도록 부착된다. 이때, 거치턱(863)은 전지모듈 본체(81)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한다.The fixing member 86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flame-retardant composite material and includes a vertical plate-shaped fixing portion 861, a horizontal connecting portion 86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rtion 861, And a fixing jaw 863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862 to the horizontal lower portion. The fixing portion 861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xing portion 86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mounting jaw 863 is proj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고정부(861)는 전지모듈 본체(81)와의 결합면을 제공하도록 하며, 수평 연결부(862)는 거치턱(863)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결정하도록 하고, 거치턱(863)은 랙 프레임(1)에 삽입되어 거치시에, 랙 프레임(1)의 상부 또는 하부의 수평 프레임에 걸려서 더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의 수평 프레임에 거치되어 전지모듈(8)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에 의하여 전지모듈(8)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861 provides a coupling surface with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portion 862 allows the mounting jaw 863 to determine the length protruding outward, (1) and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frame of the rack frame (1) to prevent it from being inserted any more, So that the battery module 8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by the vibration.

특히, 거치부재(86)의 고정부(861)의 전면에는 손잡이(864)가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여, 전지모듈(8)의 장착 또는 탈착시에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a handle 864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861 of the stationary member 86, so that the user can stably grasp the battery module 8 when the battery module 8 is attached or detached, have.

특히, 도 12에서와 같이, 최상부 및 최하부를 제외한 전면 수평 프레임(150)의 전면부의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거치 플레이트(152)가 구성되도록 하여 전지모듈(8)을 랙 프레임(1)에 장착시에 거치부재(86)의 거치턱(863)이 전면 수평 프레임(150)의 전면부에 거치되도록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12, when the battery module 8 is mounted on the rack frame 1 such that the mounting plate 152 is configu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except for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The mounting jaw 863 of the mounting member 86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

도 11은 본 발명의 전지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지모듈(8)은 도 11에서와 같이, 전지모듈 본체(81)의 저면에 가이드 롤러(8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이드 롤러(88)가 슬라이드 레일(160)에 끼워져 이동하도록 하여, 전지모듈(8)이 랙 프레임(1)의 슬라이드 레일(160)을 따라 장착시에 전지모듈(8)의 커넥터 홀(832)에 커넥터(31)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도록 한다.The battery module 8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guide roller 88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so that the guide roller 88 is inserted into the slide rail 160 The connector 31 is fitted into the connector hole 832 of the battery module 8 when the battery module 8 is mounted along the slide rail 160 of the rack frame 1. [

가이드 롤러(88)는 슬라이드 레일(16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슬라이드 레일(160)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roller 88 may have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lide rails 16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de rails 160.

이때, 지진 등의 외부의 충격에도 전지모듈(8)이 흔들리지 않도록 더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88)는 전지모듈 본체(81)의 하부에 고정 플레이트(90)를 결합하고 고정 플레이트(90)의 하부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 the guide roller 88 connects the fixing plate 90 to the lower part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so that the battery module 8 is not shaken even when an external shock such as an earthquake occurs, (Not shown).

이때 고정 플레이트(90)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하부로 절곡되도록 가이드편(91)을 형성하여, 전지모듈(8)의 가이드 롤러(88)가 슬라이드 레일(160)을 따라 이동시에 슬라이드 레일(160)의 가이드부(161)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하여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plate 91 is formed on the fixing plate 90 so as to be bent downward 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guide roller 88 of the battery module 8 moves along the slide rail 160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161 of the slide rail 160 to be guided.

또한, 가이드 롤러(88)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1개씩을 구성하여 슬라이드 레일(16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90)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가이드편(91)의 사이에 지그재그로 복수개가 구성되도록 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된 가이드 롤러(88)가 각각 가이드부(161)와 결합부(162)가 만나는 모서리에 접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슬라이드 레일(160)을 따라 이동시에 양측의 가이드 롤러(88)가 각각 슬라이드 레일(160)의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이동 및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시에도 전지모듈(8)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guide rollers 88 may be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slide rail 160 by forming one of the guide rollers 88 on the front side and the guide rollers on the rear side of the fixed plate 90 The guide rollers 88 formed in a staggered configuration can be moved in contact with the corners where the guide portions 161 and the engaging portions 162 meet and the slide rails 160 The guide rollers 88 on both sides move and mount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slide rails 160 while pressing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slide rails 160 so that the battery module 8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은 랙 프레임에서 모든 전원 연결은 버스 바를 프레임 등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버스 바 간의 버스 바 간의 연결을 플렉시블 버스 바로 연결하도록 하여 지진에 의한 진동시에도 전원 공급이 끊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랙 프레임에 슬라이드 레일 및 커넥터를 구성하여 랙 프레임의 내부에 전지모듈을 슬라이딩 방식 및 핀 접합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랙 프레임에 전지모듈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상하좌우의 진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nuclear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ith high earthquake-proof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power connections in the rack frame are established by fixing the bus bars to the frame and connecting the bus bars between the bus bars to the flexible bus bars. The power suppl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onne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slide rail and the connector are formed in the rack frame so that the battery modul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rack frame by the sliding method and the pin joining method, It is possible to prevent vibrations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전지모듈 1개당 독립적인 BMS를 구성함으로써 랙 프레임에 장착된 복수의 전지모듈 중 전지모듈 단위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Further, by configuring the independent BMS per one battery modul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battery module unit amo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mounted on the rack frame, and i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 : 랙 프레임
10 : 프레임 본체
110 : 전면 수직 프레임
120 : 후면 수직 프레임
130 : 측면 프레임
140 : 후면 수평 프레임
150 : 전면 수평 프레임
160 : 슬라이드 레일
20 : 리어패널
30 : 수평 전원연결 부재
40 : 플랙시블 버스 바
50 : 상부 랙 전원연결 부재
60 : 베이스 프레임
70 : 상부 가이드 부재
8 : 전지모듈
81 : 전지모듈 본체
810 : 단위부재
811 : 전지 셀
812 : 카트리지
820 : 커버
82 : 버스 바
83 : 하이퍼 커넥터
84 : 도킹 핀
85 : BMS
86 : 거치부재
1: Rack frame
10: frame body
110: front vertical frame
120: rear vertical frame
130: side frame
140: Rear horizontal frame
150: Front horizontal frame
160: slide rail
20: rear panel
30: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40: Flexible bus bar
50: Upper rack power connection member
60: base frame
70: upper guide member
8: Battery module
81: Battery module body
810: unit member
811: Battery cell
812: Cartridge
820: cover
82: bus bar
83: Hyper connector
84: Docking pin
85: BMS
86:

Claims (12)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전면 수직 프레임(110)과, 전면 수직 프레임(110)의 후면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후면 수직 프레임(120)과, 양측의 전면 수직 프레임(110)과 후면 수직 프레임(120)을 연결하도록 일정 높이마다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130)과, 한 쌍의 후면 수직 프레임(12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한 쌍의 전면 수직 프레임(11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전면 수평 프레임(150)과,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전면 수평 프레임(150)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전면 수평 프레임(150)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슬라이드 레일(160)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본체(10)와; 일정크기의 수직의 판 형상으로 전면 양측에 일정 길이로 절연덮개(22)로 덮여 구성되는 고정 버스 바(21)가 형성되며 프레임 본체(10) 배면의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후면 수평 프레임(140)의 사이를 폐합하도록 결합되는 리어패널(20)과; 각 리어패널(20)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후면 수평 프레임(140)의 상부에 고정되며, 케이스(34) 내부에 버스 바가 구성되고 버스 바와 연결되도록 전면부로 돌출하여 커넥터(31)가 형성되며, 양측 단부의 전면에 노출되어 버스 바와 연결된 연결판(33)이 형성된 수평 전원연결 부재(30)와; 리어패널(20)의 고정 버스 바(41)의 양측 단부 및 이에 인접한 수평 전원연결 부재(30)의 연결판(33)을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플렉시블 버스 바(40)와; 프레임 본체(10)의 측면 프레임(130)의 하부에 양측의 측면 프레임(130)을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판재 형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하부로 돌출되어 진동방지 돌기(71)가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 부재(70);로 이루어지는 랙 프레임(1)과,
전지 셀(811)과, 전지 셀(811)의 외주 테두리에 형성되는 난연 소재의 카트리지(812)로 이루어지는 단위부재(810)을 복수개 병렬로 배치하고 외측면에 커버(820)가 형성되는 전지모듈 본체(81)와; 전지모듈 본체(81)의 배면에 구성되어 전지 셀(811)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버스 바(82)와; 일정 크기의 프레임(831)과, 프레임(831)의 내부로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커넥터 홀(832)과, 커넥터 홀(832)의 내부에 버스 바(82)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핀(833)으로 이루어지는 하이퍼 커넥터(83)와; 전지모듈 본체(81)의 배면에 구성되는 BMS(85)와; 전지모듈 본체(81)의 하부에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88);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가이드 롤러(88)가 슬라이드 레일(160)에 끼워져 이동하며 커넥터 홀(832)에 커넥터(31)가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전지모듈(8)을 포함하며,
랙 프레임(1)의 수평 전원연결 부재(30)의 커넥터(31)의 하부에는 일정 깊이로 도킹핀 삽입홀(32)이 형성되고, 전지모듈(80)의 하이퍼 커넥터(83)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1개 이상의 도킹 핀(84)이 구성되어, 전지모듈(80)을 슬라이드 레일(160)을 따라 장착시에 도킹 핀(84)이 도킹핀 삽입홀(3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A pair of front vertical frames 110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air of rear vertical frames 120 spaced apart from a rear surface of the front vertical fram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ide frame 130 formed at every predetermined height to connect the rear vertical frame 120 and the rear vertical frame 120, a rear horizontal frame 140 formed to connect the pair of rear vertical frames 1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front horizontal frame 150 formed to connect a pair of front vertical frames 11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ront horizontal frame 150 connecting the rear horizontal frames 140 and the front horizontal frames 150 A frame body 10 formed of slide rails 16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xed bus bar 21 is formed on the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frame body 10 and is covered with an insulating cover 22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rear horizontal frame A rear panel (20) coupled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anel (140) and the rear panel (20); A bus bar is formed in the case 34 and a connector 31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ont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bus bar and to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front portion of each rear panel 20, A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30) having a connection plate (33) exposed to the front of both end portions and connected to the bus bar; A flexible bus bar 40 configured to connect both ends of the fixed bus bar 41 of the rear panel 20 and the connecting plate 33 of the adjacent horizontal power connecting member 30;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body 1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30. The upper frame 120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frame 130 of the frame body 10, A rack frame (1) composed of a member (70)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members 810 composed of a battery cell 811 and a cartridge 812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attery cell 811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a cover 82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A main body 81; A bus bar 82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and configured to connect the battery cells 811; A connector hole 832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to the frame 831 and a connector pin 833 connected to the bus bar 82 in the connector hole 832 A hyper connector 83 comprising: A BMS 85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And a guide roller 88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so that the guide roller 88 is inserted into the slide rail 160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le 832 And a battery module (8)
A docking pin insertion hole 32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31 of the horizontal power connection member 30 of the rack frame 1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 lower portion of the hyper connector 83 of the battery module 80 One or more docking pins 84 protruding from the docking pin insertion hole 32 may be formed so that the docking pin 84 is inserted into the docking pin insertion hole 32 and fixed when the battery module 80 is mounted along the slide rail 160 Features a high quake-resistant Nuclear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랙 프레임(1)의 가이드 레일(160)이 결합되는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전면 수평 프레임(150)은 각각 상부의 입구 간격이 좁고 하부의 간격이 넓은 단면의 레일 결합홈(141)(151)이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레일 결합홈(141)(15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가이드부(161)와 가이드부(161)의 상단부에서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62)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레일(160)이,
가이드부(161)가 후면 수평 프레임(140)과 전면 수평 프레임(150)의 레일 결합홈(141)(15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to which the guide rails 160 of the rack frame 1 are coupled are formed with rail coupling grooves 141 ) Are formed to penetrate in the width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rail 16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coupling grooves 141 and 151 and an engaging portion 162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guide portion 16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60)
Wherein the guide portion 161 is fitted into and joined to the rear horizontal frame 140 and the rail coupling grooves 141 and 151 of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면 수평 프레임(150)은 체결공(153)이 일정간격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53)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10)의 하부에는 일정 크기로 프레임 본체(10)를 지지하도록 베이스 프레임(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se frame (6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body (10) to support the frame body (10) with a predetermined siz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10)의 상부에는 상부 덮개(52)가 형성되는 전원연결 버스 바(51)가 구성되고, 상부 덮개(52)에는 버스 바(51)가 노출되도록 양단부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결합구(53)이 형성되며, 최상부의 리어패널(20)의 고정 버스 바(21)와 전원연결 버스 바(51)가 플렉시블 버스 바(40)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부 랙 전원연결 부재(5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wer connection bus bar 51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body 10 and the upper lid 52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t both ends so as to expose the bus bar 51, And the upper rack power connection member 50 in which the fixed bus bar 21 of the uppermost rear panel 20 and the power connection bus bar 51 are connected by the flexible bus bar 40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igh seismic performan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위부재(810)의 카트리지(812)에는 복수의 관통공(814)가 형성되고,
복수의 단위부재(810)를 관통공(814)에 결합핀(840)이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814 are formed in the cartridge 812 of the unit member 810,
And the plurality of unit members (810) are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814) through engagement pins (840).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위부재(810)과 단위부재(810)의 사이에는 난연 패드(830)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lame retardant pad (830) is inserted between the unit member (810) and the unit member (810).
청구항 1에 있어서,
랙 프레임(1)에서, 최상부 및 최하부를 제외한 전면 수평 프레임(150)은 각형 강관형상으로 단면 중앙부에 수평으로 보강 플레이트(154)가 구성되며, 보강 플레이트(154)와 동일 높이에서 전면부의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거치 플레이트(152)가 구성되고,
전지모듈(8)에서, 수직 판 형상의 고정부(861)와, 고정부(861)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결부(862)와, 수평 연결부(862)의 외측 단부에서 수평 하부로 연장되는 거치턱(863)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재(86)가, 거치턱(863)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전지모듈 본체(81)의 전면부의 하부와 상부에 대칭되어 결합되어,
전지모듈(8)을 랙 프레임(1)에 장착시에 거치부재(86)의 거치턱(863)이 전면 수평 프레임(150)의 전면부에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ack frame 1,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except for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steel pipe, and the reinforcing plate 154 is horizont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nd face. The mounting plate 152 is constru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 86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rtion 861 and a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 86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er end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 862 to the horizontal lower portion 862. [ A mounting member 86 composed of an extending mounting tongue 863 is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so that the mounting tongue 863 protrudes downwar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attery module (8) is mounted on the rack frame (1), the mounting step (863) of the mounting member (86) is mounted on the front face of the front horizontal frame (150) DC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청구항 10에 있어서,
거치부재(86)의 고정부(861)의 전면에는 손잡이(864)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a handle (864)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861) of the stationary member (86).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88)는, 전지모듈 본체(81)의 하부에 구성되며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가이드편(91)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90)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가이드편(91)의 사이에 지그재그로 복수개가 구성되어,
슬라이드 레일(160)의 양측 내면에 각각 접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roller 88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main body 81 and is bent downward at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91 to guide the front and rear guide plates 91, 91 are zigzag-shaped,
And is configured to mov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slide rail (160), respectively.
KR1020170010748A 2017-01-23 2017-01-23 Assistant DC Power Supply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KR1017995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48A KR101799537B1 (en) 2017-01-23 2017-01-23 Assistant DC Power Supply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48A KR101799537B1 (en) 2017-01-23 2017-01-23 Assistant DC Power Supply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537B1 true KR101799537B1 (en) 2017-11-20

Family

ID=6080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748A KR101799537B1 (en) 2017-01-23 2017-01-23 Assistant DC Power Supply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537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411A1 (en) * 2018-08-17 2020-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Tower-shaped support device
WO2020036409A1 (en) * 2018-08-17 2020-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odular current limiting resistor
KR20200020402A (en) * 2018-08-17 2020-0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Tower type supportingdevice
KR20200020400A (en) * 2018-08-17 2020-0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Tower type supportingdevice
KR102277341B1 (en) * 2021-03-08 2021-07-14 주식회사 인투알 Connection construction for battery module rack housing
WO2021194146A1 (en)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onveyance jig for loading battery pack onto battery rack, and battery rack loading method using same
WO2022067427A1 (en) * 2020-10-02 2022-04-07 Blue Solutions Canada Inc. Energy storage unit having a rack assembly and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US11437676B2 (en) * 2017-08-10 2022-09-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pack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11522245B2 (en) 2018-03-12 2022-12-06 Lg Energy Solution,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using hook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energy storage apparatus
WO2023232550A1 (en) * 2022-05-31 2023-12-07 Emost Ag Mobile power supply un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2543A1 (en) * 1998-11-17 2002-12-19 C&D Charter Holdings, Inc. Selectable capacity fixed footprint lead-acid battery racking system with horizontal plates
JP2013152814A (en) 2012-01-24 2013-08-08 Toyota Motor Corp Bus bar module
JP2015060690A (en) * 2013-09-18 2015-03-3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Battery laminate and battery pack
KR101584295B1 (en) * 2014-07-03 2016-01-25 인셀(주) Battery System Having Rack Structure
KR200482159Y1 (en) * 2015-08-06 2016-12-22 윤석규 Sectional furni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2543A1 (en) * 1998-11-17 2002-12-19 C&D Charter Holdings, Inc. Selectable capacity fixed footprint lead-acid battery racking system with horizontal plates
JP2013152814A (en) 2012-01-24 2013-08-08 Toyota Motor Corp Bus bar module
JP2015060690A (en) * 2013-09-18 2015-03-3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Battery laminate and battery pack
KR101584295B1 (en) * 2014-07-03 2016-01-25 인셀(주) Battery System Having Rack Structure
KR200482159Y1 (en) * 2015-08-06 2016-12-22 윤석규 Sectional furnitur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7676B2 (en) * 2017-08-10 2022-09-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pack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11522245B2 (en) 2018-03-12 2022-12-06 Lg Energy Solution,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using hook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energy storage apparatus
CN112567486A (en) * 2018-08-17 2021-03-26 Ls电气株式会社 Tower type supporting device
US11355268B2 (en) 2018-08-17 2022-06-07 Ls Electric Co., Ltd. Modular current limiting resistor
KR20200020401A (en) * 2018-08-17 2020-0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odule type current limiting resistor
KR102131683B1 (en) * 2018-08-17 2020-07-08 엘에스일렉트릭(주) Tower type supportingdevice
KR102134601B1 (en) * 2018-08-17 2020-07-16 엘에스일렉트릭(주) Module type current limiting resistor
KR102134654B1 (en) * 2018-08-17 2020-07-16 엘에스일렉트릭(주) Tower type supportingdevice
WO2020036411A1 (en) * 2018-08-17 2020-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Tower-shaped support device
US11800672B2 (en) 2018-08-17 2023-10-24 Ls Electric Co., Ltd. Tower-shaped support device
WO2020036409A1 (en) * 2018-08-17 2020-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odular current limiting resistor
KR20200020402A (en) * 2018-08-17 2020-0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Tower type supportingdevice
KR20200020400A (en) * 2018-08-17 2020-0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Tower type supportingdevice
WO2021194146A1 (en)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onveyance jig for loading battery pack onto battery rack, and battery rack loading method using same
WO2022067427A1 (en) * 2020-10-02 2022-04-07 Blue Solutions Canada Inc. Energy storage unit having a rack assembly and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KR102277341B1 (en) * 2021-03-08 2021-07-14 주식회사 인투알 Connection construction for battery module rack housing
WO2023232550A1 (en) * 2022-05-31 2023-12-07 Emost Ag Mobile power supply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537B1 (en) Assistant DC Power Supply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KR101799542B1 (en) Rack Frame For Nuclear Power Plant Assistant DC Power Supplying System
KR101799540B1 (en) Battery Module For Nuclear Power Plant Assistant DC Power Supplying System
JP6767006B2 (en) Battery pack
KR102270234B1 (en) Battery module embedding cross beam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US8900737B2 (en) Energy storage system
KR102235655B1 (en) Secondary battery pack
EP2731166A1 (en) Rack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KR101255243B1 (en)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794265B1 (en) Battery pack having reinforcement bead
KR101961877B1 (en) Test apparatus including a fixing jig for vibration test of battery pack
EP2919569A1 (en) Rack structure,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rack structure
CN108604654B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KR102284484B1 (en)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rog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024724A (en) Battery pack
KR20110060480A (en) Battery pack
KR102092917B1 (en)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the battery pack
KR102088974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the battery pack
KR20210069424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1545702B2 (en) Support plate for protection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KR102110516B1 (en) Nuclear facility DC power supply system
KR102187049B1 (en) Power module electric joint structure for securing seismic safety in bulk lithium-polymer battery system
KR20150056274A (en) Connecting appatatus for battery module
CN110190202A (en) Car battery and vehicle
CN219067041U (en) Module support, storage battery module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