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392B1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392B1
KR101799392B1 KR1020170000410A KR20170000410A KR101799392B1 KR 101799392 B1 KR101799392 B1 KR 101799392B1 KR 1020170000410 A KR1020170000410 A KR 1020170000410A KR 20170000410 A KR20170000410 A KR 20170000410A KR 101799392 B1 KR101799392 B1 KR 101799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onic device
main body
audio signal
attachmen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흥
Original Assignee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392B1/ko
Priority to PCT/KR2017/014299 priority patent/WO20181245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42B3/306Audio entertainmen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본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를 헬멧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복수의 옆면 중 일면에 구비되어 헬멧을 착용하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마이크, 빔포밍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중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부 및 부착 모드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의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빔포밍 방향을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dio apparatus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물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사용자의 통화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및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 기능이 탑재된 이어폰이나, 차량용 핸즈프리 기기와 같은 장치들은,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자재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쉽게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준다.
한편, 근래에는 다양한 현장에서 안전상의 이유로 헬멧을 착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 현장, 벌목현장, 공장, 비행기 운행 등과 같이 작업상 안전의 이유로 헬멧을 착용하거나, 스키, 인라인 스케이트, 자전거 등 레저상 안전을 이유로 헬멧을 착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마이크 기능이 탑재된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격한 움직임에 의해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서 떨어질 수 있으며,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차량 내부와 같은 특정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들은 헬멧 등을 착용하는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 장치들에 탑재된 마이크는 크기 및 가격의 한계로 인하여 외부 노이즈 제거에 취약하다는 단점 또한 존재하였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하는 헬멧 등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본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를 헬멧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복수의 옆면 중 일면에 구비되어 헬멧을 착용하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마이크, 빔포밍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중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부 및 부착 모드에 대응하는 빔포밍 방향을 바탕으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 중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마이크는 제1 마이크와 제2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 사이의 거리는 3cm 내지 7c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마이크는, 상기 사용자의 발화점 뒤에 위치한 상기 헬멧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착된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부착 방향에 따라 상기 부착 모드를 우측 모드 및 좌측 모드 중 하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부착 모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부착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은 부착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I 화면을 통해 선택된 부착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부착 모드를 변경하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을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상기 부착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진동을 이용하여 오디오를 생성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 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를 헬멧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의 복수의 옆면 중 일면에 구비되어 헬멧을 착용하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획득하는 단계, 빔포밍 방향에 따라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중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획득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부착 모드를 바탕으로 상기 빔포밍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부착된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부착 방향에 따라 상기 부착 모드를 우측 모드 및 좌측 모드 중 하나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부착 모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부착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은 부착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UI 화면을 통해 선택된 부착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방법은 버튼을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상기 부착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방법은 진동을 이용하여 오디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다른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멧에 부착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 모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 모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멧에 부착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50)에 부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를 헬멧(50)에 부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가 떨어지거나 위치가 변하는 상황에 대한 걱정 없이 다른 사용자와 통화 등을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에 부착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자 장치(100)는 헬멧(50)뿐만 아니라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물체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부착부(110), 복수의 마이크(120),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부착부(110)는 전자 장치(500)를 헬멧(50)과 부착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부착부(110)는 다양한 구조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후술한다.
복수의 마이크(12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마이크(120)는 전자 장치(100)의 복수의 옆면 중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마이크(120)는 헬멧(50)의 측면에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입을 기준으로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마이크(120)는 사용자의 발화점 뒷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빔포밍 방향에 따라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중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빔포밍을 적용하여 복수의 마이크(12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 중 사용자의 발화점 근처 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오디오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부착 모드를 판단하여, 판단된 부착 모드에 대응하는 빔포밍 방향을 설정하도록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부착 모드란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의 좌측에 부착된 좌측 부착 모드,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의 우측에 부착된 우측 부착 모드를 말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헬멧(50)에 부착된 전자 장치(10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부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 모드는 헬멧(50)에 부착된 전자 장치(100)의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부착된 높이에 따라 부착 모드를 제1 부착 모드(상부에 부착), 제2 부착 모드(중간에 부착) 및 제3 부착 모드(하부에 부착)구분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세개의 부착 모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높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부착 모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40)는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이용하여 부착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부착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부착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의 입력을 이용하여 부착 모드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14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부착 모드를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부착부(110), 복수의 마이크(120),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 프로세서(140) 및 통신부(150), 센서(160), 진동부(170), 복수의 버튼(180), 및 저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 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착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헬멧(50)에 부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부착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스피커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자석을 생성한 후 전자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를 헬멧(50)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부착부(110)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를 헬멧(50)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착부(310)가 헬멧(50)에 고정되며, 제2 부착부(320)가 전자 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착부(310) 및 제2 부착부(320)가 서로 부착되어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착부(310)는 양면 테이프 또는 자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a의 형태 및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착부(311) 및 제2 부착부(321)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또는 도 3g 및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착부(390)는 헬멧과 부착시키기 위한 벨크로 연결부(391) 및 벨크로(39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멧(50)이 스켈레톤 헬멧등인 경우, 벨크로(392)를 이용하여 헬멧(50)과 전자 장치(100)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부착부(1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 구조(33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구조(34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 구조(35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또 다른 예로, 부착형 보조 스피커로 헬멧(50)에 부착한 후, 보조 스티커의 홈에 전자 장치(100)의 본체의 클립을 끼우는 클립 형태, 네비게이션을 자동차에 부착할 때 사용되는 형태로 고무 패킹으로 헬멧(50) 표면에 압착하여 부착하는 압착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헬멧(50) 전자 장치(100)가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마이크(12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마이크(120)는 제1 마이크(121) 및 제2 마이크(122)로 구성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마이크(120)는 2개 이상의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마이크(120)는 제1 마이크 내지 제4 마이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마이크와 제3마이크, 제2 마이크와 제4 마이크는 3cm~7c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마이크와 제2 마이크, 제3 마이크와 제4 마이크는 0.5cm~1c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마이크 내지 제4 마이크는 가로가 3~7cm, 세로가 0.5~1cm인 임의의 직사각형의 꼭지점이 위치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마이크(120)는 최적의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이크(121) 및 제2 마이크(122)는 전자 장치(100)의 복수의 옆 면 중 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c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세개의 옆면을 가지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 사이의 거리는 3cm 내지 10cm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마이크(120)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 도면이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20) 주변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191), 스펀지(192), 홀(193) 및 실리콘(194)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성 인쇄 회로 기판(191) 상에는 마이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이크(120)가 향하는 방향과 홀(193)을 통해 오디오 신호가 들어오는 방향이 수직이 된다. 그러나 연성 회로 기판(191)을 사용함으로써, 마이크(120)가 향하는 방향과 오디오 신호가 들어오는 홀(193)의 방향을 일치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120)는 외부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회절이나 굴절 없이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20)는 사용자의 발화점의 위치를 고려하여 아래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20)의 전방부에는 방수 및 외부 노이즈 제거를 위해 스펀지(192)가 부착될 수 있으며, 마이크(120)의 후방부에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실리콘(194)이 채워질 수 있다. 그러나 스펀지(193) 및 실리콘(194)은 상술한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또는 균등한 역할을 하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빔포밍을 적용하여 복수의 마이크(12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 중 사용자의 발화점 근처 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오디오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제외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딜레이 앤 섬 빔포머(Delay-And-Sum-Beamform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4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4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41), ROM(142), 메인 CPU(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버스(146)를 포함한다. 이때, RAM(141), ROM(142), 메인 CPU(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등은 버스(14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44)는 ROM(14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RAM(14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44)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144)는 저장부(19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9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44)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내지 14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도록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센서(160)가 감지한 전자 장치(100)의 부착 방향에 따라, 부착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140)로부터 부착 모드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버튼(180)의 입력에 대응하는 부착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단말과 직접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근처에 존재하는 헬멧 착용자의 휴대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여 외부 단말과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착용자의 휴대 단말로부터 알람 정보(예를 들어, 메시지 알람 등)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알람 정보를 바탕으로 오디오 알람을 출력하도록 진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160)는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에 부착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60)는 전자 장치가 헬멧(50)의 좌측면에 부착되었는지 또는 우측면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60)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센서(160)는 전자 장치(100)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의 어느 위치에 부착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160)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진동부(170)는 진동을 발생하여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진동부(1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에 대응되는 진동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에 대한 알림 오디오에 대응되는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170)는 진동 소자를 통해 헬멧(50)을 진동시켜 오디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동부(170)는 일반적인 스피커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버튼(180)은 전자 장치(100) 상에 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버튼(180)은 각각 복수의 기능 및 복수의 연락처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튼(360), 제2 버튼(370), 제3 버튼(380)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버튼은 빔포밍 방향 및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360)은 제1 빔포밍 방향에 대응되며, 제2 버튼(370)은 제2 빔포밍 방향에 대응되며, 제3 버튼(380)은 제3 빔포밍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빠르게 누르는 횟수에 따라 빔포밍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0.5초)동안 버튼을 한번 누르는 경우 제1 빔포밍 방향을, 두번 누르는 경우 제2 빔포밍 방향을, 세번 누르는 경우 제3 빔포밍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버튼 입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로, 제1 버튼(360)은 제1 기능(예를 들어, 통신 연결 기능)에 대응되며, 제1 연락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2 버튼(370)은 제2 기능(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 확인 기능)에 대응되며, 제2 연락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3 버튼(380)은 제3 기능(예를 들어, 현재 시각 및 날씨 정보 알람 기능)에 대응되며, 제3 연락처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360,370,380) 중 하나를 누르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시간을 기설정된 시간과 비교하여 눌러진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눌러진 버튼에 대응되는 연락처로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버튼(360)을 기설정된 시간보다 짧게 누르는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통신 연결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제1 버튼(360)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연락처에 대응되는 외부 휴대 단말로 전화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제1 버튼(360)을 기설정된 시간보다 짧게 누르는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연락처에 대응되는 외부 휴대 단말로 전화 통화를 요청하고, 사용자가 제1 버튼(360)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통신 연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알림(notific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알림은 능동형 알림(active notification)과 수동형 알림(passive notification)일 수 있다. 능동형 알림의 경우,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80) 중 특정 버튼을 눌렀을 때, 즉시 알림이 활성화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예를 들어, 날씨, 시간, 배터리 잔량 등)을 TTS(Text to Speech; 텍스트 음성 변환)으로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수동형 알림의 경우,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전용 휴대 단말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가 메시지, 이메일, 일정 등 알림을 받고 싶은 서비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서비스가 활성화될 때,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여 전자 장치(100)로 TTS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메신저 앱을 선택해두면, 메신저 앱에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메시지의 발신자 및 메시지의 내용을 TTS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기능은 복수의 버튼(180) 각각이 활성화되어 있는 서비스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버튼(180) 중 하나의 버튼이 여러 개의 서비스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전자 장치(100)에는 볼륨 조절을 위한 버튼, 전원 버튼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버튼(360,370,380)에는 대응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은 전화기 모양의 인디케이터가 형성되며, 문자 메시지 확인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은 문자 메시지 모양의 인디케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빔포밍 기법이란, 송신 기기 또는 수신 기기의 배열을 이용하여 방사 패턴의 방향 또는 민감도를 조절하거나, 신호를 중첩시켜 신호의 세기를 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처리 기법의 한 종류이다. 이때 복수개의 신호의 위상이 달라질 수 있는데, 위상을 맞추기 위해 출력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수행되는 빔포밍 기술은 복수의 마이크(121, 12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화점을 선택하고, 발화점 주변 영역(410)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만을 수신하고, 발화점 주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는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딜레이 앤 섬 빔포머(delay-and-sum-beamformer)로 구성되어 발화점 주변 영역(410)에서 검출되는 오디오 신호를 검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화점 주변 영역(410)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가 제1 마이크(121) 및 제2 마이크(122)에 도착하는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발화점 주변 영역(410)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만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빔포밍 기술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 모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의 우측에 부착되면 사용자의 발화점은 제1 영역(510)에 위치하고,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의 좌측에 부착되면, 사용자의 발화점은 제2 영역(520)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의 우측에 부착된 경우 제1 영역(510)은 제1 마이크(121)와 제2 마이크(122)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수직인 선(530)을 중심으로 제2 마이크(122)에 더 가깝게 형성된다. 반면,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의 좌측에 부착된 경우 제2 영역(520)은 제1 마이크(121)와 제2 마이크(122)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수직인 선(530)을 중심으로 제1 마이크(121)에 더 가깝게 형성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부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빔포밍 방향을 제1 영역(510) 또는 제2 영역(520)으로 변경하도록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하여야 한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센서(160)으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부착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도록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복수의 버튼(180)을 푸쉬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도록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도록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200)에 표시된 Left side UI(540) 또는 Right side UI(550)를 터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도록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으로부터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상대방과 통화 기능, 그룹 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등과 같은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 모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전자 장치(100)가 헬멧(50)에 부착된 위치에 따라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마다 발화점의 위치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헬멧(50)에 부착하는 위치가 다르거나, 사용자의 머리의 모양이 달라 발화점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맞는 적절한 발화점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UI를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도록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UI는 제3영역(6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세팅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하단에 위치한 제1 빔포밍 방향(610)은 제3 영역(640)의 setting 1에 대응하고, 중단에 위치한 제2 빔포밍 방향(620)은 제3 영역(640)의 setting 2에 대응하고, 상단에 위치한 제3 빔포밍 방향(630)은 제3 영역(640)의 setting 3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4 영역(6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적절한 빔포밍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4영역(650)에 위치한 Angle+ 또는 Angle- UI를 터치하는 경우 빔포밍 방향에 사용자 터치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각도 표시에 나타난 제1 빔포밍 방향 내지 제3 빔포밍 방향(610,620,630)에 대응하는 제1 선 UI 내지 제3 선 UI(611,621,631)를 직접 이동시켜 빔포밍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선 UI 또는 빔포밍 방향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선 UI 또는 빔포밍 방향 중 나머지 하나가 선 UI 또는 빔포밍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변경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선 UI(611)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제2 선 UI(621)로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빔포밍 방향을 제1 빔포밍 방향(610)에서 제2 빔포밍 방향(620)으로 변경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른 입력들에 의해 제1 빔포밍 방향(610)이 제2 빔포밍 방향(620)으로 변경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1 선UI(611)를 제2 선UI(621)로 변경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제4 영역(650)에 나타난 빔포밍 방향의 변경은 제1 빔포밍 방향 내지 제3 빔포밍 방향(610, 620, 6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0도부터 90도까지연속적인 값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센서(160)으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부착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도록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복수의 버튼(180)을 푸쉬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도록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정확한 발화점을 찾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빔포밍 방향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전자 장치(100)를 헬멧(50)에 부착시킬 수 있다(S710). 이때, 전자 장치(100)의 부착위치는 헬멧(50)의 측면부 중 어느 한 부분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를 부착한 사용자는 자신의 발화점에 대응하게 전자 장치(100)의 빔포밍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S720). 구체적으로, 빔포밍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160), 복수의 버튼(180),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UI를 이용하는 방법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기능 중 통화 기능과 같이 사용자의 음성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의 음성은 복수의 마이크(12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수신된다(S730).
이때,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설정한 빔포밍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의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S740).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부착부 120: 복수의 마이크
130: 오디오 신호 처리부 140: 프로세서
150: 통신부 160: 센서
170: 진동부 180: 복수의 버튼
190: 저장부

Claims (1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사용자 착용물체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 측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착용물체를 착용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마이크;
    빔포밍 방향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발화점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발화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 중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착용물체에 상기 본체가 부착된 위치인 부착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부착 위치에 따라서 상기 빔포밍 방향을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는 일정 거리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마이크와 제2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본체가 상기 사용자 착용물체의 우측에 부착된 경우,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수직인 선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제1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빔포밍 방향을 상기 기 설정된 제1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사용자 착용물체의 좌측에 부착된 경우,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수직인 선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제2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빔포밍 방향을 상기 기 설정된 제2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가 부착된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부착 방향에 따라 상기 부착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부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부착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I 화면을 통해 선택된 상기 부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부착 위치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상기 부착 위치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진동을 이용하여 오디오를 생성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본체를 사용자 착용물체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 측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착용물체에 상기 본체가 부착된 위치인 부착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부착 위치에 따라서 상기 본체의 빔포밍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빔포밍 방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착용물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발화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된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발화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 중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획득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부착된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 위치는 상기 감지된 부착 방향에 따라 판단하는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부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위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UI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 위치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판단하는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진동을 이용하여 오디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70000410A 2017-01-02 2017-01-02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9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10A KR101799392B1 (ko) 2017-01-02 2017-01-02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17/014299 WO2018124531A1 (ko) 2017-01-02 2017-12-07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10A KR101799392B1 (ko) 2017-01-02 2017-01-02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392B1 true KR101799392B1 (ko) 2017-11-20

Family

ID=6080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410A KR101799392B1 (ko) 2017-01-02 2017-01-02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9392B1 (ko)
WO (1) WO20181245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742B1 (ko) * 2019-02-19 2019-06-12 주식회사 소리자바 음성인식용 핀 마이크 장치 및 회의 작성 시스템
KR102060341B1 (ko) * 2019-07-25 2020-02-11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진동자 스피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98B1 (ko) * 2007-09-21 2008-05-28 주영신 통신기능을 구비한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5782B2 (en) * 2010-07-26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multi-microphone location-selective processing
KR20150103972A (ko) * 2014-03-04 201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촬영 기능과 통화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208477B1 (ko) * 2014-06-30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06798B1 (ko) * 2015-03-20 202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코 제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98B1 (ko) * 2007-09-21 2008-05-28 주영신 통신기능을 구비한 헬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742B1 (ko) * 2019-02-19 2019-06-12 주식회사 소리자바 음성인식용 핀 마이크 장치 및 회의 작성 시스템
KR102060341B1 (ko) * 2019-07-25 2020-02-11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진동자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531A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139B2 (en) Selective sound field environ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10764730B (zh) 播放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US20150065893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customized display device and system of same
KR102102643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KR2015004525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121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지오펜스 관리 방법
KR20150049977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58908A (ko) 오디오 재생 및 수집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N103561163A (zh) 智能表带
KR102127390B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JP5122243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携帯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041677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523859B2 (en) Portable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8777731A (zh) 按键配置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8958697A (zh) 屏幕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KR101799392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9977570B (zh) 车身噪声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810198A (zh)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KR20170009589A (ko) 웨어러블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089283A (ko)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824925B1 (ko)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306313B (zh) 音频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60121853A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09032008A (zh) 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CN109116982A (zh) 信息播放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